KR100686721B1 - 화질개선장치 및 화질개선방법 - Google Patents

화질개선장치 및 화질개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6721B1
KR100686721B1 KR1020050036840A KR20050036840A KR100686721B1 KR 100686721 B1 KR100686721 B1 KR 100686721B1 KR 1020050036840 A KR1020050036840 A KR 1020050036840A KR 20050036840 A KR20050036840 A KR 20050036840A KR 100686721 B1 KR100686721 B1 KR 1006867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gain
pattern
horizontal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6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4769A (ko
Inventor
최형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6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6721B1/ko
Publication of KR20060114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47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6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67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142Edging; Contou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2Automatic gai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1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질개선장치 및 화질개선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질개선장치는, 입력영상데이터가 형성하는 일정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패턴간의 에지에 해당하는 영상데이터의 게인을 조정하는 패턴 에지 처리부와; 상기 입력영상데이터에 상기 패턴 에지 처리부에 의해 게인이 조정된 영상데이터를 반영하여 개선영상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입력되는 영상데이터가 일정 패턴을 형성하는 경우, 패턴 간의 에지에 해당하는 영상데이터의 샤프니스가 개선되어 양질의 화질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질개선장치 및 화질개선방법 {PICTURE QUALITY ENHANCEMENT DEVICE AND PICTURE QUALITY ENHANCEMENT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질개선장치의 제어 블럭도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질개선장치가 패턴의 에지에 해당하는 영상데이터를 찾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질개선장치의 제어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질개선장치의 제어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화질개선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패턴 에지 처리부 20 : 수직패턴 에지 처리부
30 : 수직패턴 에지 처리부 40 : 출력부
21 : 수평패턴 에지 추출부 22 : 수평 게인 조절부
23 : 노이즈 차단부 31 : 수직패턴 에지 추출부
32 : 수직 게인 조절부
본 발명은, 화질개선장치 및 화질개선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영상데이터의 샤프니스 개선장치 및 그 개선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영상장치는 스케일러와, 인핸서를 포함한다.
스케일러는 영상데이터의 해상도를 변경시키고, 인핸서는 스케일러로부터 출력된 영상데이터의 화질을 개선한다.
인핸서는 영상데이터 중에서 에지에 해당하는 영상데이터를 찾아내어 게인값을 조정함으로써 영상데이터의 샤프니스를 개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인핸서는 주파수대역성분을 분석하여 영상데이터 중 에지에 해당하는 영상데이터를 검출하였다.
이에, 영상데이터가 일정 패턴을 형성하는 경우, 패턴 간의 에지에 해당하는 영상데이터를 더 고려하여 게인을 조정하는 경우, 영상의 샤프니스 개선에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데이터가 일정 패턴을 형성하는 경우, 패턴간의 에지에 해당하는 영상데이터에 충분한 게인을 주어 화질의 전체적인 샤프니스를 개선하는 화질개선장치 및 화질개선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화질개선장치에 있어서, 입력영상데이터가 형성하는 일정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패턴간의 에지에 해당하는 영상데이터의 게인을 조정하는 패턴 에지 처리부와; 상기 입력영상데이터에 상기 패턴 에지 처리부에 의해 게인이 조정된 영상데이터를 반영하여 개선영상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질개선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패턴 에지 처리부는, 상기 패턴간의 수평방향의 에지에 해당하는 영상데이터를 추출하는 수평패턴 에지 추출부와, 상기 수평패턴 에지 추출부로부터 추출된 상기 패턴간의 수평방향의 에지에 해당하는 영상데이터의 게인을 조정하는 수평 게인 조정부를 갖는 수평패턴 에지 처리부와; 상기 패턴간의 수직방향의 에지에 해당하는 영상데이터를 추출하는 수직패턴 에지 추출부와, 상기 수직패턴 에지 추출부로부터 추출된 상기 패턴간의 수직방향의 에지에 해당하는 영상데이터의 게인을 조정하는 수직 게인 조정부를 갖는 수직패턴 에지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평패턴 에지 추출부는 소정의 개수의 수직방향 영상데이터의 중심 데이터를 기준으로 나머지 데이터들의 게인이 대칭적으로 변동하는 경우 상기 중심데이터를 상기 패턴간의 수평방향의 에지에 해당하는 영상데이터로 추출하고, 상기 수직패턴 에지 추출부는 소정의 개수의 수평방향 영상데이터의 중심 데이터를 기준으로 나머지 데이터들의 게인이 대칭적으로 변동하는 경우 상기 중심데이터를 상기 패턴간의 수직방향의 에지에 해당하는 영상데이터로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입력영상데이터의 주파수대역성분을 기초로 에지에 해당하는 영상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에지에 해당하는 영상데이터의 게인을 조정하는 노멀 에지 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입력영상데이터에 상기 패턴 에지 처리부 및 상기 노멀 에지 처리부에 의해 게인이 조정된 영상데이터를 반영하여 개선영상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라, 화질개선방법에 있어서, 입력영상데이터가 형성하는 일정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패턴간의 에지에 해당하는 영상데이터의 게인을 조정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영상데이터에 상기 게인이 조정된 영상데이터를 반영하여 개선영상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질개선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는데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여 설명하며 그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질개선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 에지 처리부(10)와 출력부(40)를 포함한다.
패턴 에지 처리부(10)는 입력영상데이터가 형성하는 일정 패턴에 기초하여 패턴간의 에지에 해당하는 영상데이터의 게인을 조정한다. 출력부(40)는 입력영상데이터에 패턴 에지 처리부(10)에 의해 게인이 조정된 영상데이터를 반영하여 개선영상데이터를 출력한다.
패턴 에지 처리부(10)는 패턴간의 수평방향의 에지에 해당하는 영상데이터의 게인을 조정하는 수평패턴 에지 처리부(20)와, 패턴간의 수직방향의 에지에 해당하는 영상데이터의 게인을 조정하는 수직 패턴 에지 처리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수평패턴 에지 처리부(20)는 패턴간의 수평방향 에지에 해당하는 영상데이터를 추출하는 수평패턴 에지 추출부(21)와, 수평패턴 에지 추출부(21)로부 터 추출된 패턴간의 수평방향 에지에 해당하는 영상데이터의 게인을 조정하는 수평 게인 조정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수직패턴 에지 처리부(30)는 패턴간의 수직방향 에지에 해당하는 영상데이터를 추출하는 수직패턴 에지 추출부(31)와, 수직패턴 에지 추출부(31)로부터 추출된 패턴간의 수직방향 에지에 해당하는 영상데이터의 게인을 조정하는 수직 게인 조정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패턴 에지 추출부(21) 및 수직패턴 에지 추출부(31)에서 패턴의 에지에 해당하는 영상데이터를 검출하는 과정을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패턴의 에지에 해당하는 영상데이터를 찾기 위해 9개의 영상데이터를 이용하는 것을 일예로 하여 설명한다.
도 2a 내지 도 2c에서 박스는 각 영상데이터를 나타내고 박스안의 숫자는 각 영상데이터의 게인(예를 들어 휘도의 게인) 이다.
도 2a에서 중심 데이터인 7을 기준으로 양쪽에 있는 데이터들의 변화를 보면 규칙적이지 않다. 즉, 7을 기준으로 오른쪽으로 6은 7보다 작고, 8는 6보다 크고, 9는 8보다 크고, 3은 9보다 작다. 인접 데이터 보다 큰 경우를 a, 작은 경우를 b 라고 할 때, 7을 기준으로 오른쪽의 데이터는 baab 의 형태를 갖는다.
이에 반해 7을 기준으로 왼쪽에 위치한 데이터들을 살펴보면, 3은 7보다 작고, 5는 3보다 크고, 3은 5보다 작고, 7은 3보다 크므로 baba 의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7을 기준으로 하여 오른쪽 및 왼쪽의 데이터들이 각각 baab 및 baba 형태를 가지는 바, 영상데이터는 일정 패턴을 형성하지 않는다고 판단된다.
한편, 수평패턴 에지 추출부(21) 및 수직패턴 에지 추출부(31)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a의 데이터들이 오른쪽으로 한 칸 씩 이동된 상태 즉, 중심 데이터가 왼쪽으로 한 칸 옮겨간 상태에서 영상데이터가 일정 패턴을 형성하는지 판단한다.
도 2b의 중심 데이터는 3이고, 3을 기준으로 하여 오른쪽은 abaa 의 형태를 갖고, 왼쪽은 abab 의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abaa 와 abab 는 서로 다르므로 영상데이터는 일정 패턴을 형성하지 않는다고 판단된다.
한편, 수평패턴 에지 추출부(21) 및 수직패턴 에지 추출부(31)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b의 중심 데이터가 왼쪽으로 한 칸 옮겨간 상태에서 영상데이터가 일정 패턴을 형성하는지 판단한다.
중심 데이터인 5를 기준으로 오른쪽은 baba 의 형태를 갖고, 왼쪽도 baba 의 형태를 가지므로 이때 영상데이터가 일정 패턴을 형성한다고 판단한다. 여기서, 중심데이터가 패턴간의 에지에 해당하는 영상데이터에 해당한다.
여기서, 중심 데이터를 기준으로 영상데이터가 일정 패턴을 형성하였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오른쪽 4개의 데이터와 왼쪽 4개의 데이터를 모두 비교하는 일예를 보였으나, 오른쪽 2개의 데이터와 왼쪽 2개의 데이터만을 비교할 수도 있다.
한편, 도 2c에서는 중심 데이터인 5를 기준으로 오른쪽과 왼쪽의 데이터가 baba 라는 같은 형태를 가질 뿐만 아니라 게인이 변동되는 정도 역시 일치한다. 그 러나 같은 형태를 갖기는 하지만 게인이 변동되는 정도가 다른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8,5,7,4,6 은 baba 의 형태를 갖고, 8,4,8,3,5 역시 baba의 형태를 갖지만 실제 게인이 변동되는 정도는 다르다.
이때 이 두개의 형태를 서로 같은 것으로 간주하여 일정 패턴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할지 아니면 구체적으로 게인이 변동되는 정도가 다르므로 일정 패턴이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단할지는 미리 정하여진 범위를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중심 데이터를 기준으로 왼쪽과 오른쪽에서 발생하는 인접데이터와의 게인의 차이가 소정의 범위 이내인 경우 서로 같은 형태를 갖는다고 간주하여 패턴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인접데이터와의 게인의 차이가 없는 경우에는 패턴이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지금까지 중심 데이터를 기준으로 왼쪽과 오른쪽에서 발생하는 규칙성을 기준으로 패턴의 에지에 해당하는 영상데이터를 판단하는 과정을 상술하였으나, 이는 패턴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판단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한편, 수평 게인 조절부(22) 및 수직 게인 조절부(32)는 각각 수평패턴 에지 추출부(21) 및 수직패턴 에지 추출부(31)로부터 출력되는 에지에 해당하는 영상데이터에 소정의 게인을 인가한다.
여기서, 인가되는 소정의 게인은 최적의 화질개선 효과를 갖도록 하기 위해 미리 조정된 값이다. 화질개선이라는 것, 특히 샤프니스 개선이라는 것은 다양한 이미지를 통틀어 일의적으로 규정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눈에 가장 적절하게 보인다고 판단되는 것을 기준으로 삼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화질개선장치에서 영상데이터에 인가되는 게인은 실험치에 의해 정하여진 값이다.
이때, 수평 게인 조절부(22) 및 수직 게인 조절부(32)는 에지에 해당하는 영상데이터에 게인을 인가하는 경우 영상데이터의 높은 고주파성분에 의해 오히려 화질이 저하되는 것을 막기 위해 적절한 필터링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고주파성분을 적절히 제거한 후에 게인을 인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질개선장치의 수평패턴 에지 처리부(20) 및 수직패턴 에지 처리부(30)는 각각 노이즈 차단부(23)(33)를 더 포함하여 영상데이터의 노이즈 성분을 제거할 수 있다.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는 방법에는 미디언 필터링, 하이브리드 미디언 필터링, 평균값 필터링, 최대/최소값 필터링 등 다양한 필터링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알고리즘은 기 공지된 내용인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질개선 장치의 제어흐름에 대해 설명한다.
수평패턴 에지 추출부(21)는 소정의 수직 방향의 영상데이터로부터 수평패턴을 판단한다. 여기서 소정의 수직 방향 영상 데이터는 상술한 바와 같이 9개의 영상데이터를 일예로 하여 설명한다.
수평패턴 에지 추출부(21)는 9개의 수직방향 영상 데이터 중 중심 데이터를 기준으로 영상데이터가 형성하는 수평방향으로의 일정 패턴을 검출하는 경우 패턴간의 수평방향의 에지에 해당하는 영상데이터를 추출하고(S20a), 수평 게인 조절부(22)는 추출된 패턴간의 수평방향 에지에 해당하는 영상데이터의 게인을 조절한다(S30a).
반면에, 수평패턴 에지 추출부(21)는 9개의 수직방향 영상 데이터 중 중심 데이터를 기준으로 영상데이터가 형성하는 수평방향으로의 일정 패턴을 검출하지 못한 경우에는(S20a), 중심 데이터의 위치를 하나의 데이터만큼 쉬프트 시켜(S40a) 다시 새로운 중심 데이터를 기준으로 영상데이터가 형성하는 수평방향으로의 일정 패턴이 검출되는지 판단한다(S20a).
이때 판단할 영상데이터가 더 이상 없는 경우에는(S50a) 상황이 종료된다.
한편, 수직패턴 에지 추출부(31)는 9개의 수평방향 영상 데이터 중 중심 데이터를 기준으로 영상데이터가 형성하는 수직방향으로의 일정 패턴을 검출하는 경우 패턴간의 수직방향의 에지에 해당하는 영상데이터를 추출하고(S20b), 수직 게인 조절부(32)는 추출된 패턴간의 수직방향 에지에 해당하는 영상데이터의 게인을 조절한다(S30b).
출력부(40)는 게인이 조절된 패턴간의 에지에 해당하는 영상데이터와 입력된 원래의 영상데이터를 중첩하여 개선영상신호를 출력한다(S60).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질개선장치의 수평패턴 에지 처리부(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에지 필터(24), 수평 게인 조절부(22), 노이즈 차단부(23), 수평패턴 검출부(25)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평 게인 조절부(22), 노이즈 차단부(23)는 전술한 제1실시예의 수평 게인 조절부(22), 노이즈 차단부(23)에 대응하는 바, 그 설명은 생략한다.
수평 에지 필터(24)는 1차 미분을 이용하는 소벨 필터, 프르윗 필터, 로버츠 필터, 콤파스 필터와 2차 미분을 이용하는 라플라시안 필터, 가우시안-라플라시안 필터 등 종래의 여러 에지 검출 필터 중의 하나로 마련될 수 있다.
수평패턴 검출부(25)는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영상데이터의 수평방향으로의 패턴을 검출하고, 검출된 결과에 따라 0과 1 사이의 실수 중 어느 하나를 제공한다. 이때 수평방향으로의 패턴을 검출하지 못한 경우에는 0을 제공하고 완전한 패턴을 검출한 경우에는 1을 제공할 수 있고, 또한 패턴에 따라 0과 1사이의 실험에 의해 정하여진 임의의 실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수직패턴 에지 처리부(30)는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수평패턴 에지 처리부(20)의 구성요소에 각각 대응된다.
따라서 수직패턴 에지 처리부(30)에 포함된 수직패턴 검출부(35)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영상데이터의 수직방향으로의 패턴을 검출하고, 검출된 결과에 따라 0과 1 사이의 실수 중 어느 하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질개선장치의 출력부는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입력영상신호에 패턴 에지 처리부(10)에서 나온 영상데이터를 더하여 개선영상데이터를 출력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화질개선 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에지 처리부(10), 노멀에지 처리부(50)와, 출력부(40)를 포함한다.
패턴에지 처리부(10)는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영상데이터가 일정 패턴을 갖는 경우 패턴간의 에지에 해당하는 영상데이터의 게인을 조정한다.
노멀에지 처리부(50)는 영상데이터의 주파수대역성분을 기초로 에지에 해당하는 영상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에지에 해당하는 영상데이터의 게인을 조정한다. 주파수대역성분을 기초로 에지에 해당하는 영상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해 노멀에지 처리부는(50) 상술한 바와 같이 1차 미분 또는 2차 미분을 이용하는 다양한 필터를 포함하여 마련될 수 있다.
출력부(40)는 패턴에지 처리부(10)와 노멀에지 처리부(50)에서 출력되는 에지에 해당하는 영상데이터를 입력영상데이터에 더하여 개선영상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때 아래의 [식 1]과 같이 패턴에지 처리부(10)와 노멀에지 처리부(5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데이터에 소정의 가중치를 주는 것에 의해 보다 나은 화질을 제공할 수 있다.
[식 1]
OUT = α× A + (1-α) × B + IN
(여기서,OUT은 출력되는 개선된 영상데이터이고, A는 패턴에지 처리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데이터이고, B는 노멀에지 처리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데이터이고, IN 은 원래의 영상 데이터이고, α는 0과 1사이의 임의의 실수이다.)
여기서, α 값의 크기에 따라 패턴에지 처리부(10)와 노멀에지 처리부(50)가 개선영상데이터에 미치는 영향의 크기가 변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질개선장치는 각종 영상을 처리하는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래의 스케일러와 함께 화질개선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이때 스케일러의 전단 또는 후단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본 발명에 따른 화질개선장치가 마련될 수도 있고, 스케일러의 전단 과 후단 모두에 본 발명에 따른 화질개선장치가 마련될 수도 있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패턴을 포함하는 영상데이터의 샤프니스를 개선하여 영상데이터의 전체적인 화질을 개선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Claims (5)

  1. 화질개선장치에 있어서,
    입력영상데이터가 형성하는 일정 패턴에 기초하여, 소정의 개수의 영상데이터의 중심 데이터를 기준으로 나머지 데이터들의 게인이 대칭적으로 변동하는 경우, 상기 중심데이터를 상기 패턴간의 에지에 해당하는 영상데이터로 판단하고 상기 영상데이터의 게인에 소정의 게인을 인가하여 게인을 조정하는 패턴 에지 처리부와;
    상기 패턴 에지 처리부에 의해 조정된 영상데이터를 상기 입력영상데이터에 중첩하여 개선영상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질개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에지 처리부는,
    상기 패턴간의 수평방향의 에지에 해당하는 영상데이터를 추출하는 수평패턴 에지 추출부와, 상기 수평패턴 에지 추출부로부터 추출된 상기 패턴간의 수평방향의 에지에 해당하는 영상데이터의 게인을 조정하는 수평 게인 조정부를 갖는 수평패턴 에지 처리부와;
    상기 패턴간의 수직방향의 에지에 해당하는 영상데이터를 추출하는 수직패턴 에지 추출부와, 상기 수직패턴 에지 추출부로부터 추출된 상기 패턴간의 수직방향의 에지에 해당하는 영상데이터의 게인을 조정하는 수직 게인 조정부를 갖는 수직패턴 에지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질개선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패턴 에지 추출부는 소정의 개수의 수직방향 영상데이터의 중심 데이터를 기준으로 나머지 데이터들의 게인이 대칭적으로 변동하는 경우 상기 중심데이터를 상기 패턴간의 수평방향의 에지에 해당하는 영상데이터로 추출하고,
    상기 수직패턴 에지 추출부는 소정의 개수의 수평방향 영상데이터의 중심 데이터를 기준으로 나머지 데이터들의 게인이 대칭적으로 변동하는 경우 상기 중심데이터를 상기 패턴간의 수직방향의 에지에 해당하는 영상데이터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질개선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영상데이터의 주파수대역성분을 기초로 에지에 해당하는 영상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에지에 해당하는 영상데이터의 게인을 조정하는 노멀 에지 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입력영상데이터에 상기 패턴 에지 처리부 및 상기 노멀 에지 처리부에 의해 게인이 조정된 영상데이터를 반영하여 개선영상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질개선장치.
  5. 화질개선방법에 있어서,
    입력영상데이터가 형성하는 일정 패턴에 기초하여, 소정의 개수의 영상데이터의 중심데이터를 기준으로 나머지 데이터들의 게인이 대칭적으로 변경하는 경우, 상기 중심데이터를 상기 패턴의 에지에 해당하는 영상데이터로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중심데이터로 판정된 영상데이터의 게인에 소정의 게인을 인가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영상데이터에 상기 게인이 조정된 영상데이터를 중첩하여 개선영상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질개선방법.
KR1020050036840A 2005-05-02 2005-05-02 화질개선장치 및 화질개선방법 KR1006867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6840A KR100686721B1 (ko) 2005-05-02 2005-05-02 화질개선장치 및 화질개선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6840A KR100686721B1 (ko) 2005-05-02 2005-05-02 화질개선장치 및 화질개선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4769A KR20060114769A (ko) 2006-11-08
KR100686721B1 true KR100686721B1 (ko) 2007-02-26

Family

ID=37652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6840A KR100686721B1 (ko) 2005-05-02 2005-05-02 화질개선장치 및 화질개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67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9106B1 (ko) * 2006-01-17 2007-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오프셋/게인 조정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4985A (ja) * 1993-08-30 1995-03-17 Victor Co Of Japan Ltd 画質改善装置
JPH08204995A (ja) * 1995-01-20 1996-08-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輪郭補正回路
JPH11261848A (ja) 1998-03-12 1999-09-24 Victor Co Of Japan Ltd 輪郭補正装置
KR20030052497A (ko) * 2001-12-21 2003-06-27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의 윤곽선 보정 장치 및 방법
JP2005012642A (ja) 2003-06-20 2005-01-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映像信号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4985A (ja) * 1993-08-30 1995-03-17 Victor Co Of Japan Ltd 画質改善装置
JPH08204995A (ja) * 1995-01-20 1996-08-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輪郭補正回路
JPH11261848A (ja) 1998-03-12 1999-09-24 Victor Co Of Japan Ltd 輪郭補正装置
KR20030052497A (ko) * 2001-12-21 2003-06-27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의 윤곽선 보정 장치 및 방법
JP2005012642A (ja) 2003-06-20 2005-01-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映像信号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4769A (ko) 2006-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2173B2 (en) Image processing method,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program
US7176983B2 (en) Adaptive coring for video peaking
EP1847957A2 (en) Noise reduction apparatus of frame recursive type
US8958656B2 (en) Contour correction device
US8005313B2 (en) Edge enhancing device and method
US2005005836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nd processing noisy edges in image detail enhancement
JP3309941B2 (ja) ノイズ検出回路、ノイズ除去回路及び輪郭強調回路
KR100879993B1 (ko) 영상 에지 향상 장치 및 방법
KR100627615B1 (ko) 조정 가능한 임계값을 이용한 노이즈 제거 장치
KR100686721B1 (ko) 화질개선장치 및 화질개선방법
KR20040014724A (ko) 주파수 특성을 검출하는 장치 및 방법
JP4428195B2 (ja) 撮像装置、補完信号生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6027853A (zh) 图像处理装置、摄像装置及图像处理方法
JP4990240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2010011077A (ja) ノイズ低減画像処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7457475B2 (en) Edge detecting apparatus, noise eliminating apparatus, edge detecting method, and noise eliminating method and program
KR100944002B1 (ko) 이미지 처리 장치 및 이미지 처리 방법
JP4596496B2 (ja) ノイズ除去装置およびノイズ除去方法
JPH06315104A (ja) フィルタ回路
JP4571605B2 (ja) ノイズ低減装置および方法
RU2383055C2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и сглаживания ступенчатых краев на изображении
KR100776389B1 (ko) 조정 가능한 임계값을 이용한 컬러 보간 장치
McLean et al. Telecine noise reduction
KR100888428B1 (ko) 영상의 노이즈 제거 장치 및 방법
US8102472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Y/C sepa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