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5278B1 - A carbonization system and the carbonization vehicle for processing all kinds of wastes including medical waste, food waste and garbage, etc - Google Patents

A carbonization system and the carbonization vehicle for processing all kinds of wastes including medical waste, food waste and garbage, etc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5278B1
KR100685278B1 KR1020060010543A KR20060010543A KR100685278B1 KR 100685278 B1 KR100685278 B1 KR 100685278B1 KR 1020060010543 A KR1020060010543 A KR 1020060010543A KR 20060010543 A KR20060010543 A KR 20060010543A KR 100685278 B1 KR100685278 B1 KR 100685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ization
waste
heating chamber
gas
bu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05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타케시 후꾸무라
Original Assignee
타케시 후꾸무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케시 후꾸무라 filed Critical 타케시 후꾸무라
Priority to KR1020060010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5278B1/en
Priority to JP2006178594A priority patent/JP500452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5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52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0075Disposal of medical was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53/00Destructive distill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olid raw materials or solid raw materials in special fo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7/00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 F23G7/06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of waste gases or noxious gases, e.g. exhaust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9/00Specific waste
    • F23G2209/20Medical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Coke Industry (AREA)
  • Incineration Of Waste (AREA)
  • Gasification And Melting Of Waste (AREA)

Abstract

A carbonization system which is very excellent in the aspect of energy efficiency, uniformly heats the entire carbonization box to completely carbonize wastes loaded in the carbonization box, and substantially reduces emission of harmful substances as compared with a case of directly burning wastes, and a carbonization vehicle having the carbonization system are provided. In a carbonization system for carbonizing medical waste or garbage, the carbonization system comprises: a carbonization furnace body; a combustion chamber installed on a lower part of the carbonization furnace body; a heating chamber dividingly formed within the carbonization furnace body by perforated walls in whic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perforated; a carbonization box installed on one of walls of the heating chamber and isolated from an external air; a burner for fuel and a burner for carbonization installed on one wall of the combustion chamber; a carbonization gas transfer pipe for supplying carbonization gas from the carbonization box to the burner for carbonization; and a duct connected to the heating chamber to exhaust combustion gas.

Description

의료폐기물 및 쓰레기 탄화처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이 구비된 탄화처리차량{A CARBONIZATION SYSTEM AND THE CARBONIZATION VEHICLE FOR PROCESSING ALL KINDS OF WASTES INCLUDING MEDICAL WASTE, FOOD WASTE AND GARBAGE, ETC}Medical waste and waste carbonization system, and carbonization vehicle equipped with the system {A CARBONIZATION SYSTEM AND THE CARBONIZATION VEHICLE FOR PROCESSING ALL KINDS OF WASTES INCLUDING MEDICAL WASTE, FOOD WASTE AND GARBAGE, ETC}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탄화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arbonization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탄화처리차량의 평면도이다. 2 is a plan view of a carbonization vehic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도2의 정면도이다. 3 is a front view of FIG. 2.

도4는 도3의 우측면도이다. 4 is a right side view of FIG.

도5는 탄화처리차량에 탑재된 탄화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 단면도이다. 5 is an explanatory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arbonization processing system mounted on a carbonization vehicle.

도6은 도5의 X-X선으로부터 바라본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tion seen from the X-X ray of FIG.

도7은 도5의 Y-Y선으로부터 바라본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tion seen from the Y-Y line in FIG.

도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탄화처리차량의 평면도이다.8 is a plan view of a carbonization vehic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9는 제3 실시예와 일부 구성이 상이한 탄화처리차량의 평면도이다.Fig. 9 is a plan view of a carbonization vehicle with some configurations different from that of the third embodiment.

도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탄화처리차량의 정면도이다.10 is a front view of a carbonization vehicl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탄화처리차량을 이용하여 폐기물 등을 탄화처리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11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method of carbonizing wastes and the like using a carbonization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2: 압축기 3: 탄화처리 시스템2: compressor 3: carbonization system

4: 접속관 5: 설치공간4: connector 5: installation space

6: 용기 71: 폐기물 등6: container 71: waste, etc.

72: 페이스트화된 폐기물 9: 혼련기72: Pasted Waste 9: Kneader

G: 이송장치 HP: 호퍼G: Feeder HP: Hopper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belongs)

본 발명은 각 가정, 식당, 편의점, 병원 등에서 배출되는 의료폐기물, 쓰레기 등을 수집하여 효과적으로 탄화처리할 수 있는 탄화처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이 구비된 탄화처리차량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bonization treatment system equipped with a carbonization treatment system capable of effectively carbonizing treatment by collecting medical waste, garbage, and the like discharged from homes, restaurants, convenience stores, hospitals, and the like.

(종래의 기술)(Conventional technology)

편의점이나 슈퍼마켓, 식당, 아파트, 병원 등에서는 날마다 의료폐기물, 쓰레기 등(이하, '폐기물 등'이라 함)이 다량 배출되고 있다. 이러한 폐기물 등은 수거차에 의해 수거하여 매립 또는 소각시키는 것이 지금까지의 일반적인 처리방법이었다. 그러나, 소각 과정에서 다이옥신 등과 같은 인체에 유해한 물질을 배출하여 환경오염을 야기시킴과 아울러, 폐기물 등에 함유된 다량의 수분에 기인하여 다량의 연료를 필요로 하여 에너지 효율도 저하시키는 바, 폐기물 등의 처리는 사회 문제화되어 가고 있다. In convenience stores, supermarkets, restaurants, apartments, hospitals, and the like, medical waste and garbage (hereinafter referred to as 'waste') are produced in large quantities every day. Such waste and the like have been collected by land vehicles and landfilled or incinerated have been common treatment methods. However, during the incineration process, harmful substances such as dioxin are emitted to cause environmental pollution, and due to the large amount of water contained in the waste, a large amount of fuel is required to reduce energy efficiency. Treatment is becoming a social problem.

특히, 최근들어 폐기물 등의 소각 처리가 국제적인 규제의 강화, 지역주민의 반대 등에 의해 점점 어렵게 되어 폐기물 등의 재생 내지 재이용이 긴급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근래들어 탄화로를 사용하여 폐기물을 탄화시켜 재생시키려는 다양한 시도가 있어 왔다. 폐기물의 탄화처리란 폐기물 등을 무산소 상태에서 가열하여 탄소 이외의 성분을 열분해시켜서 탄화시키는 방법이다. 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incineration of wastes has become increasingly difficult due to the strengthening of international regulations, opposition of local residents, etc., and the recycling or reuse of wastes has emerged as an urgent task. In recent years, various attempts have been made to carbonize and recycle wastes using carbonization furnaces. Carbonization of waste is a method of heating waste and the like in an anoxic state to pyrolyze and carbonize components other than carbon.

그러나, 종래의 탄화로의 경우에는 폐기물에 함유된 수분에 기인하여 상당한 연료를 소모하여 에너지 효율을 저하시킴과 동시에, 탄화에 적합한 온도 조절도 용이하지 않고, 그 결과 과도한 가열에 의해 일부 폐기물이 탄화하지 않고 연소되어 버려 재로 됨과 동시에 다이옥신, 악취 등과 같은 유해 물질을 방출하여 환경오염을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carbonization furnace, considerable fuel is consumed due to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waste, thereby reducing energy efficiency, and at the same time, temperature control suitable for carbonization is not easy, and as a result, some waste is carbonized by excessive heating. There is a problem in that environmental pollution by releasing harmful substances such as dioxins, odors, etc. while being burned without being burned.

본 발명은 400℃ 전후에 피처리물로부터 발생하는 건류가스(일종의 에너지원)를 연소실로 유입시키고 그 건류가스에 과잉공기를 불어넣어 주어 건류가스를 재사용하여 연소실을 800℃이상으로 가열해 주는 구조를 채택하였는 바, 에너지 효율 측면에서 매우 우수한 탄화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that heats the combustion chamber to 800 ℃ or more by reusing dry gas by introducing dry gas (a kind of energy source) generated from the object to be treated at about 400 ° C into the combustion chamber and blowing excess air into the dry gas. In order to provide a carbonization system which is very excellent in terms of energy efficiency,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rbonization treatment system.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열실내로 유입되는 고온의 연소가스를 이용하여 탄화박스를 간접 가열시키는 방식을 채택하였는 바, 탄화박스 전체를 균일하게 가열시켜 탄화박스에 적재된 폐기물 등을 완전히 탄화시킬 수 있는 탄화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dopt a method of indirectly heating the carbonization box using a high-temperature combustion gas flowing into the heating chamber, it is possible to completely carbonize the waste loaded in the carbonization box by uniformly heating the entire carbonization box.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rbonization treatment system.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기와 완전히 차단된 밀폐 탄화박스내에서 폐기물 등을 간접 가열 방식에 의해 탄화처리함으로써 폐기물 등을 직접 연소시킬 경우와 비교하여 유해물질 배출량을 대폭 저감시키는 탄화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arbonization treatment system which significantly reduces the amount of harmful substances compared to the case of directly burning wastes by carbonizing wastes by indirect heating in an airtight carbon box completely blocked from outside air. It is in doing i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탄화처리 시스템을 수거차량에 직접 장착함으로써 멀리 떨어져 산재해 있는 편의점, 슈퍼마켓, 병원 등에서 배출되는 폐기물 등을 수거함과 동시에 탄화처리함으로써, 폐기물 등의 수거후 방치로 말미암아 폐기물이 부패하여 악취를 방출하고 잡균 번식의 온상이 되고 나아가 폐기물 자체가 조류독감, 광우병 등과 같은 바이러스를 전파하는 매개체가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탄화처리차량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rectly install a carbonization treatment system on a collection vehicle, to collect wastes discharged from convenience stores, supermarkets, hospitals, and the like, which are scattered far away, and to carbonize the wastes. It is to provide a carbonized vehicle that can prevent odors, release odors, become a breeding ground for various germs, and prevent wastes from becoming carriers of viruses such as bird flu and mad cow diseas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거되어 소각 또는 매립되는 폐기물 등을 탄화처리하여 유용한 탄화물로 재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폐기물 등에 의해 야기되는 환경오염의 문제를 원천적으로 해소하는 것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wastes collected and incinerated or landfilled can be carbonized and regenerated into useful carbides, thereby not only utilizing resources efficiently but also eliminating the problem of environmental pollution caused by wastes. It is in doing it.

청구항 제1항의 발명의 요지는 폐기물 또는 쓰레기를 탄화처리하는 탄화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탄화로 본체와, 상기 탄화로 본체의 하부에 구비된 연소실과, 다수의 통공이 타공된 타공벽에 의해 상기 탄화로 본체내에 구획형성되는 가열실과, 상기 가열실의 일측벽에 설치되고 외기와 차단되어 밀폐된 탄화박스와, 상기 연소실의 일측벽에 구비되는 연료용 버너와 건류용 버너와, 상기 탄화박스로부터 건류 가스를 상기 건류용 버너에 공급하는 건류가스 이송관과, 상기 가열실에 연결되어 연소가스를 배출시키는 덕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gist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1 is a carbonization treatment system for carbonizing waste or waste, comprising: a carbonization furnace body, a combustion chamber provided in a lower portion of the carbonization furnace body, and a perforated wall in which a plurality of holes are perforated. A heating chamber partitioned in the furnace body, a carbonization box installed on one side wall of the heating chamber and closed to outside air, a fuel burner and a dry gas burner provided on one side wall of the combustion chamber, and dry carbon from the carbonization box.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dry gas transfer pipe for supplying gas to the dry gas burner, and a duct connected to the heating chamber to discharge the combustion gas.

청구항 제2항의 발명의 요지는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실을 타공벽에 의해 제1 가열실과 제2 가열실로 구획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gist of the invention of claim 2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ting chamber is partitioned into a first heating chamber and a second heating chamber by a perforated wall.

청구항 제3항의 발명의 요지는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류가스 이송관을 경유하여 건류용 버너에 공급되는 건류가스에 에어를 혼합하여 연소실로 불어넣어 주기 위한 건류용 블로어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claim 3, further comprising a dry flow blower for mixing air with the dry gas supplied to the dry gas burner via the dry gas transfer pipe to blow air into the combustion chamber. It is done.

청구항 제4항의 발명의 요지는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용 버너와 건류용 버너는 연소실내에서 화염을 방사하여 연소가스를 발생시키고, 그 결과 가열된 연소 가스는 상기 타공벽의 통공을 경유하여 상기 가열실로 유입되고, 그 연소 가스에 의해 상기 탄화박스를 간접가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gist of the invention of claim 4, wherein the fuel burner and the dry gas burner emit combustion flames in a combustion chamber, and as a result, the heated combustion gas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in the perforated wall. It is introduced into the heating chamber, characterized in that for indirect heating the carbonization box by the combustion gas.

청구항 제5항의 발명의 요지는 청구항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는 제1 가열실내의 연소가스를 배기시키는 제1 덕트와 제2 가열실내의 과잉 연소가스를 배출시키는 제2 덕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gist of the invention of claim 5, wherein the duct comprises a first duct for exhausting the combustion gas in the first heating chamber and a second duct for discharging excess combustion gas in the second heating chamber. do.

청구항 제6항의 발명의 요지는 상기 제1 및 제2 덕트의 말단부에는 연소가스의 배기량을 조절하는 단파 조절 장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gist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6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nd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ducts are further provided with a short wave control device for adjusting the exhaust amount of the combustion gas.

청구항 제7항의 발명의 요지는 탄화처리 시스템을 구비한 탄화처리차량에 있어서, 투입구로부터 투입되는 폐기물 또는 쓰레기를 페이스트화하여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시키는 압축기와, 상기 페이스트화된 폐기물 또는 쓰레기를 탄화처리하는 탄화처리 시스템과, 이 탄화처리 시스템의 공급구와 상기 압축기의 배출구를 연결 하고 압축기의 페이스트화된 폐기물 또는 쓰레기를 탄화처리 시스템에 공급하는 접속관과, 차량의 짐받이상에 폐기물 수납용 용기의 설치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탄화처리 시스템은 탄화로 본체와, 상기 탄화로 본체의 하부에 구비된 가열실과, 다수의 통공이 타공된 타공벽에 의해 상기 탄화로 본체내에 구획형성되는 가온실과, 상기 가온실의 일측벽에 설치되고 외기와 차단되어 밀폐된 탄화박스와, 상기 가열실을 가열시키는 연료용 버너와 건류용 버너와, 상기 탄화박스로부터 건류가스를 상기 건류용 버너에 공급하는 건류가스 이송관과, 상기 가온실에 연결되어 연소가스를 배출시키는 덕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7 is a carbonization vehicle equipped with a carbonization system, comprising: a compressor for pasting waste or waste introduced from an inlet through a discharge port and carbonizing the pasted waste or waste A connection pipe for connecting the carbonization system, the supply port of the carbonization system and the outlet of the compressor, and supplying the carbonized treatment system with paste or waste of the compressor to the carbonization system; The carbonization treatment system includes a carbonization furnace body, a heating chamber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arbonization furnace body, a heating chamber partitioned in the carbonization furnace body by a plurality of perforated holes and perforated walls, and the heating chamber.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wall and blocked from outside air sealed carbonization box, and to heat the heating chamber A fuel burner, a dry distillation burner, a dry gas transfer pipe for supplying dry gas from the carbonization box to the dry distillation burner, and a duct connected to the heating chamber to discharge combustion gas.

청구항 제8항의 발명의 요지는 탄화처리 시스템을 구비한 탄화처리차량에 있어서, 투입구로부터 투입되는 폐기물 또는 쓰레기를 혼련하여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시키는 혼련기와, 상기 혼련한 폐기물 또는 쓰레기를 탄화처리하는 탄화처리 시스템과, 이 탄화처리 시스템의 공급구와 상기 혼련기의 배출구를 연결하고 혼련화된 폐기물 또는 쓰레기를 탄화처리 시스템에 공급하는 접속관과, 차량의 짐받이상에 폐기물 수납용 용기의 설치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탄화처리 시스템은 탄화로 본체와, 상기 탄화로 본체의 하부에 구비된 연소실과, 다수의 통공이 타공된 타공벽에 의해 상기 탄화로 본체내에 구획형성되는 가열실과, 상기 가열실의 일측벽에 설치되고 외기와 차단되어 밀폐된 탄화박스와, 상기 연소실의 일측벽에 구비되는 연료용 버너와 건류용 버너와, 상기 탄화박스로부터 건류가스를 상기 건류용 버너에 공급하는 건류가스 이송관과, 상기 가열실에 연결되어 연소가스를 배출시키는 덕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gist of the invention of claim 8 is a carbonization vehicle equipped with a carbonization system, comprising: a kneader for kneading waste or garbage introduced from an inlet and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and a carbonization treatment for carbonizing the kneaded waste or garbage The system, a connection pipe connecting the supply port of the carbonization system and the discharge port of the kneader, and supplying the kneaded waste or garbage to the carbonization system, and an installation space for a waste storage container above the vehicle load. The carbonization treatment system includes a carbonization furnace body, a combustion chamber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arbonization furnace body, a heating chamber partitioned into the carbonization furnace body by a plurality of perforated holes and perforated walls, and one side wall of the heating chamber. A carbonized box installed at the outside and closed to outside air, and a burner for fuel and dry matter provided at one side wall of the combustion chamber. Characterized in that from the burners and the box consisting of a hydrocarbon gas by dry distillation and dry distillation gas transfer tube for supplying to the burner for dry distillation, the duct connecting to the heating chamber is a combustion exhaust gas.

청구항 제9항의 발명의 요지는 탄화처리 시스템을 구비한 탄화처리차량에 있어서, 투입구로부터 투입되는 폐기물 또는 쓰레기를 압출하여 이송하는 이송장치와, 상기 이송된 폐기물 또는 쓰레기를 탄화처리하는 탄화처리 시스템과, 이 탄화처리 시스템의 공급구와 상기 이송장치의 출구를 연결하고 압출된 폐기물 또는 쓰레기를 탄화처리 시스템에 공급하는 접속관과, 차량의 짐받이상에 폐기물 수납용 용기의 설치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탄화처리 시스템은 탄화로 본체와, 상기 탄화로 본체의 하부에 구비된 연소실과, 다수의 통공이 타공된 타공벽에 의해 상기 탄화로 본체내에 구획형성되는 가열실과, 상기 가열실의 일측벽에 설치되고 외기와 차단되어 밀폐된 탄화박스와, 상기 연소실의 일측벽에 구비되는 연료용 버너와 건류용 버너와, 상기 탄화박스로부터 건류가스를 상기 건류용 버너에 공급하는 건류가스 이송관과, 상기 가열실에 연결되어 연소가스를 배출시키는 덕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th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arbonization vehicle equipped with a carbonization system, comprising: a conveying apparatus for extruding and conveying waste or waste introduced from an inlet; and a carbonization system for carbonizing the conveyed waste or waste; And a connection pipe connecting the supply port of the carbonization treatment system to the outlet of the transfer device and supplying the extruded waste or garbage to the carbonization treatment system, and an installation space of a waste storage container at least over the load of the vehicle. The treatment system includes a carbonization furnace body, a combustion chamber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arbonization furnace body, a heating chamber partitioned in the carbonization furnace body by a plurality of perforated walls perforated, and one side wall of the heating chamber. A carbonization box which is closed and sealed to outside air, a fuel burner and a dry distillation burner provided on one side wall of the combustion chamber, and the carbonization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dry gas supply pipe for supplying dry gas from the box to the dry gas burner, and a duct connected to the heating chamber to discharge the combustion ga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폐기물은 의료폐기물, 건축폐기물, 분뇨, 산업폐기물 등과 같은 각종 폐기물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고, 쓰레기는 음식물찌꺼기, 생활쓰레기 등과 같은 각종 쓰레기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 the waste should be interpreted as a concept including various wastes such as medical waste, construction waste, manure, industrial waste, etc., and waste should be interpreted as a concept including various wastes such as food waste, household waste, and the like.

제1 First 실시예에Example 따른 탄화처리 시스템 According to carbonization system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탄화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arbonization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탄화처리 시스템은 탄화로 본체와, 상기 탄화로 본체의 하부에 구비된 연소실과, 다수의 통공이 타공된 타공벽에 의해 상기 탄화로 본체내에 구획형성되는 가열실과, 상기 가열실의 일측벽에 설치되고 외기와 차단되어 밀폐된 탄화박스와, 상기 가열실의 일측벽에 구비되어 화염을 방사하여 연소가스를 발생시키는 연료용 버너와 건류용 버너와, 상기 탄화박스로부터 건류가스를 상기 건류용 버너에 공급하는 건류가스 이송관과, 상기 가열실에 연결되어 연소가스를 배출시키는 덕트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열실은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공벽에 의해 제1 가열실과 제2 가열실로 구획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화박스는 외기와 완전히 밀폐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탄화박스내에 수용된 피처리물이 무산소 상태에서 탄화가능하다. 또한, 탄화과정 동안 탄화박스를 고온으로 유지함으로써 폐기물 등에 포함된 병균 등을 멸균시킬 수 있다. 상기 탄화처리 시스템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제어부에서 동작 스위치를 누르면 가열실내에 구비된 연료용 버너가 점화되면서 탄화 공정이 개시된다. 가열실에서 가열된 연소가스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공벽에 타공된 다수의 통공을 경유하여 제1 가열실과 제2 가열실로 유입되고, 특히 제1 가열실로 유입되는 연소가스는 탄화박스 전체를 균일하게 가열시키고, 그 결과 탄화박스내부에 수용된 피처리물은 간접 가열되게 된다. 탄화박스 내부의 온도가 400℃ 전후에 이르게 되면 피처리물로부터 건류가스가 발생한다. 탄화박스로부터 발생된 건류가스는 건류가스 이송관을 경유하여 건류용 버너에 공급된다. 건류용 버너는 가열실내에서 건류용 블로어에 의 해 공급되는 에어(또는 산소)로 건류가스를 완전 연소시키는 바, 다이옥신 등과 같은 유해 물질의 배출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덕트는 제1 가열실내의 연소가스를 배기시키는 제1 덕트와 제2 가열실내의 과잉 연소가스를 배출시키는 제2 덕트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및 제2 덕트의 말단부에는 연소가스의 배기량을 조절하는 제1 및 제2 단파 조절 장치가 각각 더 구비된다. 따라서, 2개의 단파 조절 장치에 의해 탄화박스내의 탄화온도를 간접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단파 조절 장치를 닫고 제2 단파 조절 장치를 열 경우, 가열실로부터 유입된 연소가스 대부분은 제2 가열실을 경유하여 제2 덕트로 배출될 것이기에 탄화박스내의 탄화온도는 떨어지게 된다. 이에 반하여, 제1 단파 조절 장치를 열고, 제2 단파 조절 장치를 닫을 경우, 연소실로부터 유입된 연소가스 대부분은 제1 가열실로 유입되어 탄화박스를 간접가열시키게 될 것이기에 탄화박스내의 탄화온도는 올라가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단파 조절 장치에 의해 연소가스의 배기량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탄화박스내의 탄화온도를 간접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1, the carbonization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rbonization furnace body by a carbonization furnace body, a combustion chamber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arbonization furnace body, and a perforated wall in which a plurality of holes are perforated. A heating chamber partitioned therein, a carbonization box installed at one side wall of the heating chamber and closed to outside air, and a burner for fuel and dry fuel provided at one side wall of the heating chamber to generate a combustion gas by radiating a flame. A burner, a dry gas supply pipe for supplying dry gas from the carbonization box to the dry gas burner, and a duct connected to the heating chamber to discharge combustion gas. As shown in FIG. 1, the heating chamber may be partitioned into a first heating chamber and a second heating chamber by a perforated wall. Since the carbonization box has a structure completely sealed to the outside air, the workpiece contained in the carbonization box can be carbonized in an oxygen-free state. In addition, by keeping the carbonization box at a high temperature during the carbonization process it is possible to sterilize germs and the like contained in the waste. 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carbonization treatment system, when the operation switch is pressed in the control unit, the carbonization process is started while the burner for fuel provided in the heating chamber is ignited. The combustion gas heated in the heating chamber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heating chamber and the second heating chamber via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perforated in the perforated wall as shown in FIG. 1, and in particular, the combustion gas flowing into the first heating chamber is entirely carbonized. Is heated uniformly, and as a result, the workpiece contained in the carbonization box is indirectly heated. When the temperature inside the carbonization box reaches about 400 ° C, dry gas is generated from the object to be treated. The dry gas generated from the carbonization box is supplied to the dry gas burner via the dry gas transfer pipe. The dry burner burns completely dry gas with the air (or oxygen) supplied by the dry blower in the heating chamber, thereby reducing the emission of harmful substances such as dioxins. The duct includes a first duct for exhausting the combustion gas in the first heating chamber and a second duct for discharging excess combustion gas in the second heating chamber. First and second short-wave control devices for adjusting the exhaust amount of the combustion gas are further provided at the end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ducts, respectively. Therefore, the carbonization temperature in the carbonization box can be indirectly controlled by the two short wave control devices. For example, when the first short wave control device is closed and the second short wave control device is opened, most of the combustion gas introduced from the heating chamber will be discharged to the second duct via the second heating chamber, so that the carbonization temperature in the carbonization box is lowered. In contrast, when the first short wave control device is opened and the second short wave control device is closed, most of the combustion gas introduced from the combustion chamber will flow into the first heating chamber to indirectly heat the carbonization box, so that the carbonization temperature in the carbonization box is increased. do. In this way, the carbonization temperature in the carbonization box can be indirectly adjusted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exhaust gas amount of the combustion gas by the first and second short wave control devices.

제2 2nd 실시예에Example 따른 탄화처리차량 Carbonization vehicle

이하, 상기 탄화처리 시스템이 탑재된 탄화처리차량을 도2 내지 도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carbonization vehicle equipped with the carbonization treatment system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7.

도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탄화처리차량의 평면도이다. 도3은 도2의 정면도이다. 도4는 도3의 우측면도이다. 도5는 탄화처리차량에 탑재된 탄화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 단면도이다. 도6은 도5의 X-X선으로부터 바라 본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7은 도5의 Y-Y선으로부터 바라본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탄화처리차량은 투입구로부터 투입되는 폐기물등 을 압축하여 페이스트상으로 배출시키는 압축기와, 상기 페이스트화된 폐기물을 탄화박스내에서 탄화처리하는 탄화처리 시스템과, 이 탄화처리 시스템의 공급구와 상기 압축기의 배출구를 연결하고 압축기의 페이스트화된 폐기물을 탄화처리 시스템에 공급하는 접속관를 차량에 구비한다. 차량의 짐받이상에는 폐기물 수납용 용기의 설치공간이 구비된다. 2 is a plan view of a carbonization vehic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of FIG. 2. 4 is a right side view of FIG. 5 is an explanatory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arbonization processing system mounted on a carbonization vehicle.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tion seen from the X-X line of FIG.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tion seen from the Y-Y line in FIG. 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arbonization vehicle including a compressor for compressing wastes injected from an inlet and discharging them into a paste, a carbonization system for carbonizing the pasted waste in a carbonization box, and the carbonization. The vehicle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pipe connecting the supply port of the processing system and the discharge port of the compressor and supplying the pasted waste of the compressor to the carbonization system. Above the vehicle luggage compartment is provided with an installation space for the waste storage container.

도2를 참조하면, 압축기(2)는 폐기물 등(71)을 압축하여 페이스트화시키는데, 여기에서는 유연공업주식회사제의 압축 분별기를 채용한다. 압축기(2)는 그 본체(20)의 상부에 호퍼(hopper)(21)가 설치되고, 편의점, 병원 등에서 용기(6)에 수집된 폐기물 등(71)을 상기 호퍼(21)의 투입구에 투입하여 페이스트상으로 1차 처리한다. 압축기(2)는 유압 실린더 선단에 구비되어 이동하면서 폐기물 등(71)을 압축하는 프레스 수단을 가진다. 폐기물 등(71)은 압축기(2)의 본체(20)내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고압 압축 처리된다. 따라서, 폐기물 등(71)은 압축기(2)내에서 미세화되고, 압축기(2)의 배출구(29)를 통하여 페이스트화되어 배출된다. 부재번호 22는 호퍼(21)에 폐기물 등(71)을 투입하는 때에 구동되는 교반기를 나타내고, 부재번호 23은 구동용 모터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압축기(2)는 폐기물 등(71)에 포함되는 접시, 식품용기, 소독저 등의 이물질을 분별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도3에서 부재번호 28은 접시 등의 이물질 배출구를 나타내고, 부재번호 81a는 압축기(2)의 제어장치를 나타낸다. Referring to Fig. 2, the compressor 2 compresses and pastes the wastes 71, and here, a compression separator made by Flexible Industrial Co., Ltd. is employed. In the compressor 2, a hopper 21 is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20, and wastes 71 collected in the container 6 at a convenience store, a hospital, and the like are introduced into the inlet of the hopper 21. 1st processing to paste form. The compressor 2 is provided at the tip of the hydraulic cylinder and has a press means for compressing the waste etc. 71 while moving. The waste, etc. 71 is subjected to a high pressure compression process in the course of passing through the main body 20 of the compressor 2. Therefore, the waste etc. 71 are refine | miniaturized in the compressor 2, and are paste-process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29 of the compressor 2, and are discharged | emitted. Reference numeral 22 denotes an agitator driven when the waste and the like 71 are put into the hopper 21, and reference numeral 23 denotes a driving motor. The compressor 2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function of separating foreign matters such as a dish, a food container, a disinfectant, and the like contained in the waste 71. In Fig. 3, reference numeral 28 denotes a foreign matter discharge port such as a dish, and reference numeral 81a denotes a control device of the compressor 2.

상기 탄화처리 시스템(3)은 폐기물 등(71)을 탄화처리하는 장치로서,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소로(3c)을 내장하는 타입을 채용한다. 탄화처리 시스템(3)은 탄화로 본체(3a)와 탄화박스(3b)와 연소로(3c)를 구비하고, 탄화로 본체(3a)내에 탄화박스(3b)와 연소로(3c)가 내장된다. 탄화로 본체(3a)의 상측벽에는 노즐(30)이 설치되고, 이 노즐(30)로부터 탄화박스내로 연결된 유도관(301)이 설치된다. 따라서, 노즐(30)의 선단개구가 탄화박스(3b)에 이르는 공급구가 된다. The carbonization treatment system 3 is a device for carbonizing wastes 71, and employs a type in which a combustion furnace 3c is incorporated as shown in FIG. The carbonization processing system 3 includes a carbonization furnace body 3a, a carbonization box 3b, and a combustion furnace 3c, and a carbonization box 3b and a combustion furnace 3c are built in the carbonization furnace body 3a. . The nozzle 30 is provided in the upper wall of the carbonization furnace main body 3a, and the induction pipe 301 connected to this carbonization box from this nozzle 30 is provided. Therefore, the tip opening of the nozzle 30 becomes a supply port which reaches the carbonization box 3b.

탄화로 본체(3a)는 내열성 노벽으로 가열실(32)을 형성하고, 노벽의 일부가 탄화박스(3b)의 일부를 구성하는 개폐문(38)으로 될 수 있다. 탄화박스(3b)는 탄화로 본체(3a)의 노벽(3a2)상에 설치되는 지지대(371)에 지지되는 상자형 모양으로서, 도4에서는 탄화로 본체(3a)내의 좌측에 배치된다. 탄화박스(3b)는 거기로 이송되는 폐기물 등(71)(또는 페이스트화된 폐기물(72))이 공기에 노출되지 않고 가열되는 공간(o)을 형성한다.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화박스(3b)의 하측에는 상기 지지대(371), 탄화로 본체(3a), 판면에 슬릿(slit)(372a)이 형성된 판체(372)에 의해 연도(煙道)(33)가 형성되고, 그 연도(33)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기덕트(392)에 연결된다. The carbonization furnace body 3a forms a heating chamber 32 as a heat resistant furnace wall, and a part of the furnace wall may be an opening / closing door 38 that forms part of the carbonization box 3b. The carbonization box 3b is a box shape supported by the support 371 provided on the furnace wall 3a 2 of the carbonization furnace body 3a, and is arranged on the left side in the carbonization furnace body 3a in FIG. The carbonization box 3b forms a space o in which the waste etc. 71 (or pasted waste 72) conveyed thereon are heated without being exposed to air. As shown in Fig. 5, the lower side of the carbonization box 3b is a flue by the support 371, the carbonization furnace body 3a, and a plate body 372 having a slit 372a formed on the plate surface. ) 33 is formed, and the year 33 is connected to the exhaust duct 392 as shown in FIG.

연소로(3c)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화로 본체(3a)의 우측에 배치되어 그 내부에 연소실(31)을 형성한다. 등유 등을 연료로 하여 화염을 분사시키는 연료용 버너(34)와 건류가스를 연료로 하는 건류용 버너(35)가 연소실(31)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건류용 버너(35)에는 탄화박스내에서 발생하는 건류가스를 공급하는 건류가스 이송관(36)이 연결된다. 건류가스에 에어를 혼합하고, 이 혼합가스를 연소실(31)에 불어 넣어주는 것에 의해, 이를테면 연료용 버너(34)가 작동정지되어도 연소실(31)내의 온도는 고온이기에 연소실(31)내로 유입된 혼합가스가 자기착화되어 화염을 분사하게 되는 바, 건류가스를 추가적인 열원으로 이용할 수 있다. 도3의 부재번호 351은 건류가스에 에어를 혼합시키기 위하여 공기를 송풍해 주는 건류용 블로어이다. 도5 및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열실(32)과 연소실(31)을 구분하는 노벽에는 복수의 통공(311)이 형성되고, 연소로(3c)의 연소가스가 상기 통공(311)를 통하여 가열실(32)로 유입되게 된다. 부재번호 391은 과잉의 연소가스를 배출시키는 제2 덕트이다. 제1 덕트와 제2 덕트의 말단부에는 각각 단파조절장치(도시되지 않음)가 장착되어 있어, 가열실(32)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부재번호 393은 배기 블로어이고, 부재번호 81b는 탄화처리 시스템(3)의 제어장치이고, 부재번호(MS)는 관리용(maintenance) 문을 나타낸다. The combustion furnace 3c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right side of the carbonization furnace main body 3a, as shown in FIG. 5, and forms the combustion chamber 31 inside it. A fuel burner 34 for injecting flame with kerosene or the like and a dry burner 35 for fueling dry gas are provided to the combustion chamber 31. The dry distillation burner 35 is connected with a dry distillation gas transfer pipe 36 for supplying dry distillation gas generated in the carbonization box. By mixing air with the dry gas and blowing the mixed gas into the combustion chamber 31, for example, even when the burner 34 for fuel is deactivated, the temperature in the combustion chamber 31 is high so that it is introduced into the combustion chamber 31. As the mixed gas self-ignites and injects a flame, dry gas can be used as an additional heat source. Reference numeral 351 of FIG. 3 denotes a dry blower for blowing air to mix air with dry gas. 5 and 7,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311 are formed in the furnace wall separating the heating chamber 32 and the combustion chamber 31, and the combustion gas of the combustion furnace 3c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s 311. It is introduced into the heating chamber 32 through. Reference numeral 391 denotes a second duct for discharging excess combustion gas. Short-wave control devices (not shown) are mounted at the end portions of the first duct and the second duct, respectively, to adjust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chamber 32. Reference numeral 393 denotes an exhaust blower, reference numeral 81b denotes a control device of the carbonization treatment system 3, and reference numeral MS denotes a maintenance door.

연소로(3c)로부터 발생된 연소가스는 도5 내지 도7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연소실(31)로부터 통공(311)을 통과하여 가열실(32)로 유입된다. 그리하여, 위쪽으로 이동한 연소가스는 가열실(31)의 천장에 닿고, 그 후 밑쪽으로 이동하여 슬릿(372a)를 통과한 후 연도(33)를 경유하여 배기덕트(392)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연소가스가 가열실(32) 내부를 이동하면서 배출되는 사이에 탄화박스를 가열시키게 된다. The combustion gas generated from the combustion furnace 3c flows into the heating chamber 32 from the combustion chamber 31 through the through-hole 311 as shown by the arrow in FIGS. Thus, the combustion gas moved upwards reaches the ceiling of the heating chamber 31, and then moves downward to pass through the slit 372a and is discharged to the exhaust duct 392 via the flue 33. As such, the carbonization box is heated while the combustion gas is discharged while moving inside the heating chamber 32.

접속관(4)은 내압성 플렉스블(flexible) 튜브로 이루어지고, 접속관(4)의 일단(41)이 압축기(2)의 배출구(29)에 연결되고, 그 타단(42)이 탄화처리 시스템(3) 의 노즐(30)에 연결된다. 압축기(2)에 의해 페이스트화된 폐기물 등(71)은 접속관(4)를 통과하고, 노즐(30)에 의해 탄화박스내로 투입된다. 압축기(2)는 배출구(29)에서 페이스트화된 폐기물을 배출시키는데, 배출력에 따라 페이스화된 폐기물을 탄화박스내로 압송가능하다. 부재번호 V는 노즐(30)에 삽설되는 밸브로서, 탄화처리시에는 탄화박스(3b)와 압축기(2)의 연통을 적절히 차단시켜, 압축기(2)로부터 탄화박스(3b)로 폐기물 등이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접속관(4)을 경유하여 탄화박스내로 투입된 페이스트화된 폐기물 등은 최종적으로 가열실(32)내의 연소가스에 의해 간접 가열되어 탄화처리된다. The connection tube 4 is made of a pressure resistant flexible tube, one end 41 of the connection tube 4 is connected to the outlet 29 of the compressor 2, and the other end 42 of the carbonization treatment system. It is connected to the nozzle 30 of (3). Waste and the like 71 pasted by the compressor 2 pass through the connection pipe 4 and are introduced into the carbonization box by the nozzle 30. The compressor 2 discharges the pasted waste from the discharge port 29, and is able to feed the faceted waste into the carbonization box according to the discharge force. The member No. V is a valve inserted into the nozzle 30. During the carbonization process,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carbonization box 3b and the compressor 2 is properly interrupted, and waste or the like flows from the compressor 2 into the carbonization box 3b. Can be prevented. Pasted waste and the like introduced into the carbonization box via the connection pipe 4 is finally indirectly heated and carbonized by the combustion gas in the heating chamber 32.

폐기물 수납용 용기(6)의 설치 공간(51)은 용기(6)를 한개 또는 복수개 배치가능한 공간으로서, 차량의 짐받이(11)상에 확보된다. 편의점, 병원 등으로부터 폐기물 등(71)이 가득찬 용기를 수취함과 동시에, 그 대신에 편의점 등에 제공하는 교환용 용기를 실을 수 있다. 도2 및 도3에서는 3개의 용기(6)를 싣고 있는 것을 도시한다. The installation space 51 of the waste storage container 6 is a space which can arrange | position one or more containers 6, and is secured on the carrier 11 of a vehicle. At the same time, a container full of waste 71 can be received from a convenience store, a hospital, or the like, and an exchange container provided to a convenience store or the like can be loaded instead. 2 and 3 show the three containers 6 being loaded.

부재번호 1은 탄화처리 시스템이 구비된 트럭차량을 나타내고, 부재번호 10은 운전석 등이 마련된 트럭 전방부를 나타내고, 부재번호 11은 차량의 짐받이를 나타내고, 부재번호 82는 탄화처리 시스템(3) 등을 구동시키기 위한 발전기를 나타내고, 부재번호 83은 탄화처리 시스템용 연료탱크를 나타낸다. 부재번호 19는 탄화처리 시스템(3) 전체를 덮거나 또는 개폐시킬 수 있는 월(wall)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외관상 산뜻하게 보이도록 하기 위함이다. The reference numeral 1 denotes a truck vehicle equipped with a carbonization treatment system, the reference numeral 10 denotes a truck front part provided with a driver's seat, etc., the reference numeral 11 denotes a carrier of the vehicle, and the reference numeral 82 denotes a carbonization treatment system 3 or the like. A generator for driving is shown, and a member 83 designates a fuel tank for a carbonization system. Reference numeral 19 denotes a wall capable of covering or opening / closing the entire carbonization processing system 3 so as to look neat in appearance.

접속관(4)에 의해 압축기(2)가 연결된 탄화처리 시스템(3)의 사용 방법을 예 로 들어 설명한다. 탄화처리 시스템(3)의 개폐문(38)을 닫은 상태로 하고, 압축기(2)를 기동시킨 후, 편의점, 병원 등에서 수거한 폐기물 등(71)을 압축기(2)의 호퍼에 투입한다. 압축기(2)가 작동하여 폐기물 등(71)은 고압으로 압축되고, 압축기(2)의 배출구(29)로부터 1차 처리된 페이스트상의 폐기물이 배출된다. 그 배출된 폐기물 등은 압축기(2)의 압력에 의해 접속관(4), 노즐(30), 유도관(301)을 거쳐 탄화박스내로 주입된다. 그 다음, 연료용 버너(34)를 착화시켜 탄화로 본체(3a)내를 500 ℃ 정도까지 승온시킨 후, 그 온도에서 잠시 유지시킨다. 그러한 과정에서 페이스트화된 폐기물이 건조되면서 건류가스를 발생시킨다. 그 후, 연료용 버너(34)를 정지시키고 건류가스에 공기를 혼합하여 연소실내로 불어 넣으면, 연소실(31) 내부는 고온이기 때문에 혼합가스는 자기착화되어 타면서 열원용 연소가스가 된다. 이 연소가스는 도5 내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소실(31)로부터 가열실(32), 연도(33)로 퍼지게 되고, 그 과정에서 탄화박스내부에 주입된 페이스트화된 폐기물 등을 건류시켜 탄화처리시킨다. 탄화처리 시스템을 정지시키고 탄화박스를 냉각시킨 다음, 개폐문(38)을 열고 완전탄화처리된 탄화물(73)을 꺼집어 낸다. The method of using the carbonization processing system 3 to which the compressor 2 is connected by the connecting pipe 4 is demonstrated as an example. After opening / closing the door 38 of the carbonization treatment system 3, the compressor 2 is started, and wastes 71 collected at convenience stores, hospitals, and the like are put into the hopper of the compressor 2. The compressor 2 is operated so that the waste and the like 71 are compressed to a high pressure, and the paste-like waste which has been primarily processed i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29 of the compressor 2. The discharged waste and the like are injected into the carbonization box through the connection pipe 4, the nozzle 30, and the induction pipe 301 by the pressure of the compressor 2. Then, the burner 34 for fuel is ignited, the carbonization furnace body 3a is heated up to about 500 ° C, and then held at that temperature for a while. In such a process, the pasted waste is dried to produce dry gas. Thereafter, when the burner 34 for fuel is stopped and air is mixed with the dry gas, the air is blown into the combustion chamber. Since the in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31 is at a high temperature, the mixed gas is self-ignited and burned into a combustion gas for a heat source. This combustion gas is spread from the combustion chamber 31 to the heating chamber 32 and the flue 33 as shown in FIGS. 5 to 7, and in the process, the pasteurized waste injected into the carbonization box is carbonized. Carburize. After stopping the carbonization system and cooling the carbonization box,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38 is opened and the fully carbonized carbide 73 is taken out.

제3 The third 실시예에Example 따른 탄화처리차량 Carbonization vehicle

도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탄화처리차량의 평면도이다. 도9는 제3 실시예와 일부 구성이 상이한 탄화처리차량의 평면도이다.8 is a plan view of a carbonization vehic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plan view of a carbonization vehicle with some configurations different from that of the third embodiment.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탄화처리차량은 투입구로부터 투입되는 폐기물 등을 혼련(混練)하여 배출시키는 혼련기와, 상기 혼련한 폐기물 등을 탄화처리하는 탄화처리 시스템과, 이 탄화처리 시스템의 공급구와 상기 혼련기의 출구를 연결하고 페이스트화된 폐기물 등을 탄화처리 시스템에 공급하는 접속관과, 차량의 짐받이상에 폐기물 수납용 용기의 설치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탄화처리 시스템은 탄화로 본체와, 상기 탄화로 본체의 하부에 구비된 가열실과, 다수의 통공이 타공된 타공벽에 의해 상기 탄화로 본체내에 구획형성되는 가열실과, 상기 가열실의 일측벽에 설치되고 외기와 차단되어 밀폐된 탄화박스와, 상기 가열실을 가열시키는 연료용 버너와 건류용 버너와, 상기 탄화박스로부터 건류가스를 상기 건류용 버너에 공급하는 건류가스 이송관과, 상기 가열실에 연결되어 연소가스를 배출시키는 덕트로 이루어진다. The carbonization vehicl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kneader for kneading and discharging wastes introduced from an inlet, a carbonization system for carbonizing the kneaded wastes, and supplying the carbonization system. And a connection pipe connecting the outlet of the kneader and the outlet of the kneader and supplying the pasted waste to the carbonization treatment system, and an installation space of a waste storage container above the load of the vehicle. And a heating chamber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arbonization furnace body, a heating chamber partitioned in the carbonization furnace body by a plurality of perforated walls and perforated walls, and a carbonization installed at one side wall of the heating chamber and blocked from outside air to be sealed. A box, a fuel burner for heating the heating chamber, a dry burner for burners, and a dry stream for supplying dry gas from the carbonization box to the dry burner. It comprises a duct which is connected to the transfer pipe and the heating chamber combustion exhaust gas.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제2 실시예의 압축기(2) 대신에 혼련기(9)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혼련기(9)는 혼합 조작에 사용되는 공지의 스크루(screw)형 혼련기(압출기(extruder))로서, 본체통(90)내에 스크류(91)가 구비되고, 본체통(90)과 도통하는 호퍼(92)를 본체통(90)의 상부에 설치한다. 호퍼(92)에 폐기물 등(71)이 투입되면, 스크류(91)가 회전하여 폐기물 등(71)을 혼련시키면서 배출구(93)로 페이스트화된 폐기물을 밀어낸다. 상기 압축기(2)와 비교하면 고압 압축 처리 설비 등이 필요하지 않고, 컴팩트하게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유지비 또한 매우 저렴한 이점이 있다.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kneader 9 instead of the compressor 2 of the second embodiment. Here, the kneader 9 is a well-known screw kneader (extruder) used for mixing operation, and the screw 91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cylinder 90, The main body cylinder 90 The hopper 92 which conducts with and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cylinder 90. When the waste lamp 71 is put into the hopper 92, the screw 91 rotates to knead the waste lamp 71 and pushes the pasted waste into the discharge port 93. Compared with the compressor 2, there is no need for a high-pressure compression treatment facility, etc., and it can be manufactured compactly, and its maintenance cost is also very low.

그리고,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탄화처리차량은 접속관(4)과 탄화처리 시스템(3)을 구비한다. 접속관(4)은 튜브 모양으로서, 혼련기(9)의 배출구(93)와 탄화박스(3b)에 이르는 공급구를 연결하여 혼련기(9)의 페이스트화된 폐기물을 탄화박스로 보낸다. 혼련기(9)는 페이스트화된 폐기물을 밀어내는 압력으로 그 페이스트화된 폐기물을 탄화박스내로 이송할 수 있다. And the carbonization process vehicle which concerns on 3rd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provided with the connection pipe 4 and the carbonization process system 3. As shown in FIG. The connecting pipe 4 is tubular, and connects the discharge port 93 of the kneader 9 and the supply port leading to the carbonization box 3b, and sends the pasted waste of the kneader 9 to the carbonization box. The kneader 9 can transfer the pasted waste into the carbonization box at a pressure to push pasted pasted waste.

도8을 참조하면, 폐기물 수납용 용기(6)의 설치 공간(51)은 용기(6)를 6개 설치할 수 있는 공간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어느 정도 폐기물 등이 모아진 용기를 융통성 있게 혼련기(9)의 투입구에 투입하여 탄화처리할 수 있다. 또한, 용기(6)의 설치 공간(51)을 줄이고 차량을 소형화할 수도 있다. 탄화처리 시스템 등의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Referring to Fig. 8, the installation space 51 of the waste storage container 6 is a space in which six containers 6 can be installed. Therefore, a container in which wastes and the like are collected to some extent can be flexibly introduced into the inlet of the kneader 9 to be carbonized. In addition, the installation space 51 of the container 6 can be reduced and the vehicle can be miniaturized. Since the configuration of the carbonization treatment system and the like is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또한, 혼련기(9)는 이송장치(G)로 대체될 수 있다.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장치(G)는 호퍼(G1)의 투입구로부터 투입되는 폐기물 등(71)을 배출구(G2)측으로 압출하여 밀어낸다. 접속관(4)은 이송장치(G)의 배출구(G2)를 탄화처리 시스템(3)의 탄화박스(3b)에 이르른 공급구와 연결한다. 따라서, 이송장치(G)에 의해 폐기물 등을 탄화처리 시스템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이송장치(G)로는 공지의 압출기, 피더(feeder) 등이 있다. In addition, the kneader 9 can be replaced with a conveying device (G). A feed device (G) as shown in Figure 9 to push the waste, such as 71, which is input from the input port of the hopper (G 1) is extruded toward the discharge port (G 2). The connecting pipe 4 connects the discharge port G 2 of the transfer device G with the supply port leading to the carbonization box 3b of the carbonization processing system 3. Therefore, waste etc. can be conveyed to the carbonization processing system by the conveying apparatus G. FIG. The feeding device G includes a known extruder, a feeder and the like.

제4 4th 실시예에Example 따른 탄화처리차량 Carbonization vehicle

도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탄화처리차량의 정면도이다.10 is a front view of a carbonization vehicl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탄화처리차량은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폐기물 등을 탄화시키는 탄화처리 시스템(3)과, 이 탄화처리 시스템(3)의 탄화박스와 연통하고 탄화로 본체(3a) 밖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노즐(30)과, 이 노즐(30)에 접속된 호퍼(HP)로 이루어진다. 차량의 짐받이상에는 폐기물 수납용 용기(6)의 설치 공간(51)이 마련된다. The carbonization vehicl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arbonization furnace 3 in communication with a carbonization system 3 for carbonizing waste and the like, and a carbonization box of the carbonization system 3, as shown in FIG. It consists of the nozzle 30 provided to protrude outside 3a), and the hopper HP connected to this nozzle 30. FIG. The installation space 51 of the container 6 for storing waste is provided above the load of the vehicle.

호퍼(HP)는 원추상으로 그 용기 단면이 하측 방향을 향하여 감소되는 용기로서, 여기에서는 상면이 개방된 용기로 이루어진다. 호퍼(HP)의 배출구측 상기 노즐(30)의 선단 개구에는 밸브(V)가 설치된다. 폐기물 등(71)은 호퍼(HP)에 투입되고, 그 투입된 폐기물은 노즐(30) 및 유도관(301)을 경유하여 탄화박스내로 주입된다. 폐기물 수납용 용기(6)의 설치공간(51)은 여기에서는 용기(6)를 4개 둘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다. 그러나, 제2 및 제3의 실시예에 있어서 압축기(2)와 혼련기(9)가 없기 때문에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을 소형화할 수 있다. 탄화처리 시스템(3)의 다른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바,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hopper HP is a container in which the container cross section is reduced in the downward direction in a conical shape, and is here a container with an open top surface. A valve V is provided at the tip opening of the nozzle 30 on the outlet side of the hopper HP. Waste and the like 71 is injected into the hopper HP, and the injected waste is injected into the carbonization box via the nozzle 30 and the induction pipe 301. The installation space 51 of the waste storage container 6 is provided with the space which can hold four containers 6 here. However, in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since there is no compressor 2 and the kneader 9, the vehicle can be miniaturized as shown in FIG. The other structure of the carbonization processing system 3 is the same as that of 1st Embodiment, The detaile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탄화처리차량을 이용한 탄화처리방법Carbonization Method Using Carbonization Vehicle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탄화처리차량을 이용한 탄화처리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이하에서는 제2 내지 제4 실시예에 따른 탄화처리차량을 이용하여 폐기물 등을 탄화처리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11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carbonization treatment method using a carbonization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method of carbonizing waste or the like using a carbonization vehicle according to the second to fourth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편의점, 슈퍼마켓, 병원 등에서는 매일같이 음식 쓰레기, 의료폐기물, 일반쓰레기 등과 같은 다량의 폐기물 등이 배출된다. 이러한 폐기물 등을 탄화처리차량을 이용하여 순회하면서 수집함과 동시에 그 폐기물을 탄화처리한다. Convenience stores, supermarkets, hospitals, etc., each day emit a large amount of waste such as food waste, medical waste, and general garbage. These wastes are circulated using a carbonization vehicle and collected and carbonized.

우선, 운전수(작업자이기도 하다)는 탄화처리차에 빈 용기(6)을 몇 개 싣고 출발한다. 폐기물 배출지인 편의점 또는 병원 A 등으로 이동하여 폐기물 등이 담긴 용기를 수집한다.(도11의 가) 용기(6)는 망상의 컨테이너식 상자로 이루어진다. 이 용기(6) 중의 폐기물 등(71)은 대략 8 kg 정도이다. 운전수는 편의점 또는 병원측으로부터 폐기물 등이 담긴 용기를 수취하는 대신에 빈 용기를 제공한다. First, the driver (which is also an operator) starts by loading some empty containers 6 in the carbonization car. Move to a convenience store or hospital A, which is a waste discharge site, and collect containers containing waste. (A in Fig. 11) The container 6 is made up of a reticulated container box. The waste etc. 71 in this container 6 are about 8 kg. The driver provides an empty container instead of receiving a container containing waste or the like from a convenience store or a hospital side.

그 다음, 폐기물 등(71)을 소정량 수집한 시점에서 운전수는 탄화처리차량에 탑재하고 있는 압축기(2)를 작동시킨다. 그리고, 그 때까지 수거한 용기에 담긴 폐기물을 탄화처리 시스템(3)의 탄화박스안에 넣어 용기를 비운다. 여기에서, 압축기(23)의 호퍼(21)에 용기(6)의 폐기물(71)을 투입하여 비운다. (도11의 나) 투입된 폐기물은 압축기의 작동에 의해 페이스트화되고, 접속관(4)를 경유하여 탄화박스내로 주입된다. 그 다음, 압축기(2)를 정지시키고 탄화처리 시스템(3)을 작동시켜 페이스트화된 폐기물을 탄화시킨다. 이와 같이, 폐기물 등을 수거함과 동시에 차량에서 바로 탄화처리시키기 때문에 특히 여름철에 많이 발생하는 음식물 부패나 오염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폐기물 등에 기생하는 병균을 수거와 동시에 멸균시킬 수 있다. Then, at a time when a predetermined amount of waste 71 is collected, the driver operates the compressor 2 mounted on the carbonization vehicle. Then, the waste contained in the collected container until then is put in the carbonization box of the carbonization processing system 3 to empty the container. Here, the waste 71 of the container 6 is thrown into the hopper 21 of the compressor 23, and it is emptied. 11B) The injected waste is pasted by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and injected into the carbonization box via the connecting pipe 4. The compressor 2 is then stopped and the carbonization system 3 is operated to carbonize the pasted waste. In this way, since the waste is collected and carbonized immediately in the vehicle, it is possible to prevent food spoilage and contamination, which are frequently generated in summer, and to sterilize germs that are parasitic in the waste and the like.

그 다음, 운전수는 빈 용기(6)를 짐받이(11)상의 설치 공간(51)에 싣고 다음의 폐기물 배출처로 향한다.(도11의 다) 다음의 폐기물 배출처로 이동하는 사이에 탄화박스내에서는 페이스트화된 폐기물이 탄화처리되어 간다. 그리고, 다음의 폐기물 배출처 B에 도착하면, 마찬가지로 폐기물 등이 담긴 용기(6)를 수거함과 동시에 싣고 있던 빈 용기를 교환하여 제공한다. (도11의 라) 수거한 폐기물 등(71)은 마찬가지로 압축기(2)의 호퍼 투입구에 투입되고, 탄화처리 준비되면(도11의 마) 다음의 폐기물 배출처로 이동하면서(도11의 바) 주행중에 탄화처리한다. 이와 같이 폐기물 배출처를 순회하면서 주행중에 탄화처리 작업을 되풀이하게 된다. Then, the operator loads the empty container 6 into the installation space 51 on the carrier 11 and heads to the next waste discharge destination (FIG. 11). In paste, the pasted waste is carbonized. When arriving at the next waste discharge destination B, the container 6 containing the waste and the like is collected in the same manner, and the empty container loaded is exchanged and provided. (D) The collected waste and the like 71 are similarly introduced into the hopper inlet of the compressor 2, and when ready for carbonization (Fig. 11E), the waste is moved to the next waste discharge destination (Fig. 11). Carbonize while driving. In this way, the carbonization process is repeated while traveling while discharging waste.

1일의 작업이 끝나고 탄화처리차량이 출발지점인 사업소로 돌아올 무렵에는 페이스트화된 폐기물의 탄화처리가 완료되고, 사업소에 도착한 후 탄화처리 시스템(3)을 정지시킨다.(도11의 사) 여기에서, 탄화처리 시스템(3)내는 여전히 온도가 높은 상태이다. 그러나, 탄화처리 시스템(3)은 하룻밤 정도 방치되는 사이에 냉각되므로, 다음날 아침 출근시에 개폐문(38)을 열고 전일 처리한 폐기물로부터 만들어진 탄화물(73)을 꺼집어낸다. (도11의 사) By the end of the one-day work, the carbonization of the pasted waste is completed by the carbonization vehicle returning to the place of origin, and the carbonization system 3 is stopped after arriving at the place of business (Fig. 11). In the carbonization system 3, the temperature is still high. However, since the carbonization processing system 3 is cooled while standing overnight,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38 is opened at work the next morning to take out the carbide 73 made from the waste treated the whole day. (Fig. 11)

이와 같이 구성된 탄화처리차량 및 탄화처리방법에 의하면, 편의점, 병원 등과 같은 폐기물 배출처를 순회하면서 수거함과 동시에 주행중 폐기물을 탄화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효율적이다. 편의점, 병원 등과 같은 폐기물 배출처는 점재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운전하면서 이동하는 시간을 유용하게 활용하여 탄화처리할 수 있다. 폐기물 등은 수거와 동시에 탄화처리되므로 특히 음식쓰레기 부패나 잡균 번식에 의한 오염 확대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폐기물로부터 유용한 탄화물을 생성할 수 있으므로, 폐기물을 재생(recycle) 내지 재사용할 수 있다. 폐기물 등이 담긴 용기를 수거한 다음, 그 수거된 폐기물을 주행중 탄화처리하기 때문에, 탄화 처리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빈 용기를 다음의 폐기물 배출처에 교환용 용기로서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용기를 운반하지 않고 최소한의 용기를 탄화처리차량에 싣는 것만으로도 충분한 바, 공간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게다가, 탄화처리하면 폐기물의 용량이 약 1/25 정도 감 소하므로, 종래처럼 수거차가 폐기물 배출처와 폐기물 처리장 사이를 빈번히 왕복해야 할 필요가 없어 매우 경제적이고 수거효율 또한 높아진다. 폐기물 자체로부터 발생하는 건류가스를 열원으로 이용하기 때문에 연료를 절감할 수 있다. 개폐문(38)을 이용하여 탄화처리된 탄화물을 꺼낼 수 있기 때문에 그 추출작업도 편리해진다. According to the carbonization vehicle and the carbonization method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t is very efficient because the waste can be carbonized while being collected while traveling through the waste discharge places such as convenience stores and hospitals. Waste discharge sources such as convenience stores and hospitals are often dotted, and thus, carbonization can be utilized by utilizing the traveling time while driving. The waste is carbonized at the same time as it is collected, and thu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pread of contamination due to food waste corruption or propagation of various bacteria. In addition, useful carbides can be produced from the waste, and thus the waste can be recycled or reused. Since the container containing the waste and the like is collected and then the collected waste is carbonized while driving, the time required for the carbonization processing can be saved. In addition, since the empty container can be provided as a replacement container to the next waste discharge destination, it is sufficient to mount a minimum container on the carbonized vehicle without carrying many containers, thereby maximizing space efficiency. In addition, carbonization reduces the volume of the waste by about 1/25, thus eliminating the need for frequent collection of trucks between the waste source and the waste disposal plant, which is very economical and increases the collection efficiency. Fuel can be saved because dry gas generated from the waste itself is used as a heat source. Since the carbonized carbide can be taken out using the opening / closing door 38, the extraction work is also convenient.

하루의 작업을 마치고 사업소로 돌아올 무렵에는 폐기물의 탄화처리가 완료되어 있어 그대로 방치할 수 있다. 종래처럼 수집한 폐기물을 꺼내어 소각처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그만큼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그 결과 하루종일 폐기물 수거 작업에 매진할 수 있다. 물론, 종래와 같이 폐기물 방치에 의해 폐기물 등이 부패되어 처리 곤란해지는 폐단도 없게 된다. 다음날 작업자가 출근했을 때는 탄화처리 시스템(3)이 자연 냉각되어 있기 때문에 개폐문(38)을 열고 탄화물(73)을 간단하게 꺼낼 수 있다. 그 다음, 바로 전일과 같은 순서로 폐기물 수거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이송장치(G) 또는 호퍼(HP)를 이용함으로써 탄화처리차량을 소형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비용으로 제작할 수도 있다. By the end of the day's work, the waste has been carbonized and can be left as it is. Since the collected waste does not need to be removed and incinerated as in the prior art, it is possible to save time, thereby concentrating on waste collection throughout the day. As a matter of course, there is no waste stage which causes the waste and the like to rot and become difficult to process due to the waste leaving. When the worker goes to work the next day, since the carbonization treatment system 3 is naturally cooled,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38 can be opened and the carbide 73 can be easily taken out. The waste collection operations can then be carried out in the same order as the previous day. In addition, by using the transfer device G or the hopper HP, not only the carbonized vehicle can be miniaturized but also manufactured at low cost.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예컨대,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도면에 도시한 탄화처리 시스템의 구조를 변형 내지 수정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고, 본 발명은 후술하는 청구의 범위 에 의해서만 단지 제한된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ll b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us, for example, it will be apparent to on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structure of the carbonization treatment system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modified or modif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invention is limited only by the claims that follow.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According to this invention, it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400℃ 전후에 피처리물로부터 발생하는 건류가스(일종의 에너지원)를 연소실로 유입시키고 그 건류가스에 과잉공기를 불어넣어 주어 건류가스를 재활용하여 연소실을 800℃이상으로 가열해 주는 구조를 채택하였는 바, 에너지 효율 측면에서 매우 우수한 탄화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First, before and after 400 ℃, dry gas (a kind of energy source) generated from the object is introduced into the combustion chamber, and excess dry air is blown into the dry gas to recycle the dry gas, thereby heating the combustion chamber to 800 ℃ or higher. Adopted, it provides a very good carbonization system in terms of energy efficiency.

둘째, 가열실에서 발생된 열에 의해 탄화박스를 간접적으로 가열시키는 방식을 채택하였는 바, 탄화박스 전체를 균일하게 가열시켜 탄화박스에 적재된 폐기물을 완전히 탄화시킬 수 있는 탄화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Second, since the carbonization box is indirectly heated by the heat generated in the heating chamber, the entire carbonization box is uniformly heated to provide a carbonization system capable of completely carbonizing the waste loaded in the carbonization box.

세째, 외기와 완전히 차단된 밀폐 탄화박스내에서 폐기물을 간접 가열 방식에 의해 탄화처리함으로써 폐기물이 직접 연소될 경우 발생하는 유해 물질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대폭 저감된 유해물질만을 방출시키는 탄화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Third, the carbonization treatment of the waste in an airtight carbonization box completely shielded from outside air provides a carbonization system that emits only harmful substances which are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e harmful substances generated when the waste is directly burned. .

네째, 탄화처리 시스템을 수거 차량에 직접 장착함으로써 멀리 떨어져 있는 편의점, 슈퍼마켓 등에서 배출되는 폐기물 등을 수거함과 동시에 주행중 탄화처리함으로써, 수거후 방치로 말미암아 폐기물 등이 부패하여 악취를 방출하고 잡균 번식의 온상이 되고 나아가 폐기물 자체가 조류독감, 광우병 등과 같은 바이러스를 전파하는 매개체가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한다. Fourth, the carbonation treatment system is installed directly on the collection vehicle to collect wastes from distant convenience stores, supermarkets, etc., while carbonizing them while driving.The wastes decay due to neglect after collection and release odors and breeding grounds of various germs. Furthermore, it prevents the waste itself from being a carrier of viruses such as bird flu and mad cow disease.

다섯째, 탄화처리차량을 이용하여 여기저기 산재한 편의점 등에서 배출되는 폐기물 등을 수거함과 동시에 주행중에 처리함으로써, 용량감소, 경량화시킬 수 있 고, 그 결과 폐기물 등의 효율적 수거가 가능하고 나아가 버려지는 폐기물 등을 탄화처리하여 유용한 탄화물도 생성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발휘한다. Fifth, by using carbonized vehicles, wastes discharged from convenience stores scattered throughout the area are collected and processed while driving, and thus the capacity can be reduced and lightened. As a result, waste can be efficiently collected and discarded. The carbonization process can produce excellent carbides.

여섯째, 수거되어 소각 또는 매립되는 폐기물 등을 탄화처리하여 유용한 탄화물로 재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폐기물 등에 의해 야기되는 환경오염의 문제를 원천적으로 해소하는 효과를 가진다. Sixth, since the wastes collected and incinerated or landfilled can be carbonized and recycled into useful carbides, not only can the resources be efficiently used but also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pollution caused by wastes can be solved at the source.

Claims (9)

의료폐기물 또는 쓰레기를 탄화처리하는 탄화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In the carbonization system for carbonizing medical waste or waste, 탄화로 본체와, 상기 탄화로 본체의 하부에 구비된 연소실과, 다수의 통공이 타공된 타공벽에 의해 상기 탄화로 본체내에 구획형성되는 가열실과, 상기 가열실의 일측벽에 설치되고 외기와 차단되어 밀폐된 탄화박스와, 상기 연소실의 일측벽에 구비되는 연료용 버너와 건류용 버너와, 상기 탄화박스로부터의 건류가스를 상기 건류용 버너에 공급하는 건류가스 이송관과, 상기 가열실에 연결되어 연소가스를 배출시키는 덕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화처리 시스템. A carbonization chamber body, a combustion chamber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arbonization furnace body, a heating chamber partitioned in the carbonization furnace body by a plurality of perforated walls perforated, and installed on one side wall of the heating chamber to block outside air. And a sealed carbonized box, a fuel burner and a dry distillation burner provided on one side wall of the combustion chamber, a dry gas transfer pipe for supplying dry gas from the carbonized box to the dry distillation burner, and the heating chamber. And a duct for discharging the combustion ga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실은 타공벽에 의해 제1 가열실과 제2 가열실로 구획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화처리 시스템. The carbonization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eating chamber is partitioned into a first heating chamber and a second heating chamber by a perforated wal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류가스 이송관을 경유하여 건류용 버너에 공급되는 건류가스에 에어를 혼합하여 가열실로 불어넣어 주기 위한 건류용 블로어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화처리 시스템. The carbonization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dry distillation blower for mixing air into the dry distillation gas supplied to the dry distillation burner via the dry distillation gas transfer pipe and blowing air into the heating chamb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용 버너와 건류용 버너는 가열실내에 화염을 방사하여 고온의 연소가스를 발생시키고, 그 결과 가열된 연소 가스는 상기 타공벽의 통공을 경유하여 상기 가열실로 유입되고, 그 연소 가스에 의해 상기 탄화박스가 간접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화처리 시스템. The burner for fuel and the distillation burner emit flames in the heating chamber to generate a high temperature combustion gas. As a result, the heated combustion gas flows into the heating chamber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perforated wall. And the carbonization box is indirectly heated by the combustion ga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는 제1 가열실내의 연소가스를 배기시키는 제1 덕트와 제2 가열실내의 과잉 연소가스를 배출시키는 제2 덕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화처리 시스템. 3. The carbonization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duct comprises a first duct for exhausting combustion gas in the first heating chamber and a second duct for exhausting excess combustion gas in the second heating chambe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덕트의 말단부에는 연소가스의 배기량을 조절하는 단파 조절 장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화처리 시스템6. The carbonization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end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ducts are further provided with a short wave regulating device for adjusting the exhaust amount of the combustion gas. 탄화처리 시스템을 구비한 탄화처리차량에 있어서, In a carbonization vehicle having a carbonization system, 투입구로부터 투입되는 폐기물 또는 쓰레기를 페이스트화하여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시키는 압축기와, 상기 페이스트화된 폐기물 또는 쓰레기를 탄화처리하는 탄화처리 시스템과, 이 탄화처리 시스템의 공급구와 상기 압축기의 배출구를 연결하고 압축기의 페이스트화된 폐기물 또는 쓰레기를 탄화처리 시스템에 공급하는 접 속관과, 차량의 짐받이상에 폐기물 수납용 용기의 설치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탄화처리 시스템은 탄화로 본체와, 상기 탄화로 본체의 하부에 구비된 연소실과, 다수의 통공이 타공된 타공벽에 의해 상기 탄화로 본체내에 구획형성되는 가열실과, 상기 가열실의 일측벽에 설치되고 외기와 차단되어 밀폐된 탄화박스와, 상기 연소실의 일측벽에 구비되는 연료용 버너와 건류용 버너와, 상기 탄화박스로부터 건류가스를 상기 건류용 버너에 공급하는 건류가스 이송관과, 상기 가열실에 연결되어 연소가스를 배출시키는 덕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화처리차량. A compressor for pasting waste or trash from an inlet through a discharge port, a carbonization system for carbonizing the pasted waste or trash, a supply port of the carbonization system and an outlet of the compressor and connecting the compressor And a connection pipe for supplying the pasted waste or garbage to the carbonization system, and an installation space for a waste storage container above the vehicle load. The carbonization system includes a carbonization furnace body and a lower portion of the carbonization furnace body. A combustion chamber provided in the combustion chamber, a heating chamber partitioned in the carbonization furnace body by a plurality of perforated walls, and a carbonization box installed at one side wall of the heating chamber and closed from outside air, and closed in one of the combustion chambers. The fuel burner and the dry fuel burner provided on the side wall, and the dry gas from the carbonization box To be supplied to the burner dry distillation gas transfer tube and the carbonization process the vehicle,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duct consisting of the heating chamber is connected to the combustion exhaust gas. 탄화처리 시스템을 구비한 탄화처리차량에 있어서, In a carbonization vehicle having a carbonization system, 투입구로부터 투입되는 폐기물 또는 쓰레기를 혼련하여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시키는 혼련기와, 상기 혼련한 폐기물 또는 쓰레기를 탄화처리하는 탄화처리 시스템과, 이 탄화처리 시스템의 공급구와 상기 혼련기의 배출구를 연결하고 혼련화된 폐기물 또는 쓰레기를 탄화처리 시스템에 공급하는 접속관과, 차량의 짐받이상에 쓰레기 수납용 용기의 설치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탄화처리 시스템은 탄화로 본체와, 상기 탄화로 본체의 하부에 구비된 연소실과, 다수의 통공이 타공된 타공벽에 의해 상기 탄화로 본체내에 구획형성되는 가열실과, 상기 가열실의 일측벽에 설치되고 외기와 차단되어 밀폐된 탄화박스와, 상기 연소실의 일측벽에 구비되는 연료용 버너와 건류용 버너와, 상기 탄화박스로부터 건류가스를 상기 건류용 버너에 공급하는 건류가스 이송관과, 상기 가열실에 연결되어 연소가스를 배출시키는 덕트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화처리차량. A kneader for kneading waste or waste introduced from an inlet and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a carbonization system for carbonizing the kneaded waste or garbage, and a supply port of the carbonization system and an outlet of the kneader and kneading A connection pipe for supplying the waste or waste to the carbonization system, and an installation space of the container for storing the waste above the load of the vehicle, wherein the carbonization system includes a carbonization furnace body and a lower portion of the carbonization furnace body. A combustion chamber, a heating chamber partitioned in the carbonization furnace body by a plurality of perforated walls with perforated holes, a carbonization box installed at one side wall of the heating chamber and closed from outside air, and closed at one side wall of the combustion chamber. Fuel burner and dry fuel burner, and dry gas for supplying dry gas from the carbonization box to the dry fuel burner A carbonization vehicle comprising a transfer pipe and a duct connected to the heating chamber to discharge combustion gas. 탄화처리 시스템을 구비한 탄화처리차량에 있어서, In a carbonization vehicle having a carbonization system, 투입구로부터 투입되는 폐기물 또는 쓰레기를 압출하여 이송하는 이송장치와, 상기 이송된 폐기물 또는 쓰레기를 탄화처리하는 탄화처리 시스템과, 이 탄화처리 시스템의 공급구와 상기 이송장치의 출구를 연결하고 압출된 폐기물 또는 쓰레기를 탄화처리 시스템에 공급하는 접속관과, 차량의 짐받이상에 폐기물 수납용 용기의 설치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탄화처리 시스템은 탄화로 본체와, 상기 탄화로 본체의 하부에 구비된 연소실과, 다수의 통공이 타공된 타공벽에 의해 상기 탄화로 본체내에 구획형성되는 가열실과, 상기 가열실의 일측벽에 설치되고 외기와 차단되어 밀폐된 탄화박스와, 상기 연소실의 일측벽에 구비되는 연료용 버너와 건류용 버너와, 상기 탄화박스로부터 건류가스를 상기 건류용 버너에 공급하는 건류가스 이송관과, 상기 가열실에 연결되어 연소가스를 배출시키는 덕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화처리차량. A conveying apparatus for extruding and transporting the waste or waste introduced from the inlet, a carbonization system for carbonizing the conveyed waste or waste, and a waste extruded by connecting the outlet of the carbonization system and the outlet of the conveying apparatus; A connection pipe for supplying garbage to the carbonization treatment system, an installation space of a waste storage container above the vehicle's luggage compartment, and the carbonization treatment system includes a carbonization furnace body, a combustion chamber provided under the carbonization furnace body, A heating chamber partitioned in the carbonization furnace body by a plurality of perforated walls, a carbonization box installed at one side wall of the heating chamber and closed from outside air, and sealed at one side wall of the combustion chamber. A burner and a dry distillation burner, a dry gas transfer pipe for supplying dry gas from the carbonization box to the dry distillation burner; Carbonization process th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combustion chamber made of a duct to a gas exhaust.
KR1020060010543A 2006-02-03 2006-02-03 A carbonization system and the carbonization vehicle for processing all kinds of wastes including medical waste, food waste and garbage, etc KR1006852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0543A KR100685278B1 (en) 2006-02-03 2006-02-03 A carbonization system and the carbonization vehicle for processing all kinds of wastes including medical waste, food waste and garbage, etc
JP2006178594A JP5004523B2 (en) 2006-02-03 2006-06-28 Method for carbonization of medical was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0543A KR100685278B1 (en) 2006-02-03 2006-02-03 A carbonization system and the carbonization vehicle for processing all kinds of wastes including medical waste, food waste and garbage, etc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5278B1 true KR100685278B1 (en) 2007-02-22

Family

ID=38104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0543A KR100685278B1 (en) 2006-02-03 2006-02-03 A carbonization system and the carbonization vehicle for processing all kinds of wastes including medical waste, food waste and garbage, etc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004523B2 (en)
KR (1) KR100685278B1 (en)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5805B1 (en) 2008-07-07 2009-02-26 윤기석 Air cooling type high efficiency carbonizing apparatus for organic waste
KR100909941B1 (en) 2008-10-16 2009-07-29 주식회사 금재 Food waste carbonizationer
KR101004765B1 (en) 2010-06-24 2011-01-04 현일수 Waste incinerator
KR101023192B1 (en) 2010-07-16 2011-03-18 (주)해맑은 Heating and mixing apparatus for food waste
KR101054608B1 (en) 2011-02-15 2011-08-22 주식회사 에코퍼스트 Apparatus for carbonization of trash
WO2011145767A1 (en) * 2010-05-20 2011-11-24 Fukumura Takeshi Indirect-heating-type carbonization treatment system for waste, and carbonization treatment vehicle using same
WO2014027752A1 (en) * 2012-08-16 2014-02-20 Lee Younghee Low fuel consumption pyrolysis apparatus
WO2016145339A1 (en) * 2015-03-12 2016-09-15 Aemerge Llc Integrated collection of infectious waste and disposal thereof
KR101733086B1 (en) 2016-11-23 2017-05-08 이두형 Biological waste treatment system
KR101784945B1 (en) 2015-06-19 2017-10-12 이두형 Combustion of the carbonization apparatus with an exhaust gas device
WO2022015152A1 (en) * 2020-07-15 2022-01-20 Millennium E & C (M) SDN. BHD. Enclosure for an apparatus for solid waste managem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08229B2 (en) * 2012-01-23 2016-10-19 常陽化成株式会社 Metal recovery device
JP5852472B2 (en) * 2012-02-28 2016-02-03 日新製鋼株式会社 Radio-contaminated organic matter continuous volume reduction storage system car
WO2018025410A1 (en) * 2016-08-05 2018-02-08 株式会社Fukutec Indirect heating carbonization apparatus
JP6711532B2 (en) * 2016-08-05 2020-06-17 株式会社Sumida In-vehicle carbonization equipm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9463A (en) * 2001-12-15 2003-06-25 최장주 Burner apparatus for reduce to ashe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6522Y2 (en) * 1990-01-24 1996-08-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Cleaning equipment
JP2003250878A (en) * 2001-12-26 2003-09-09 Metoran:Kk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osing of diap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9463A (en) * 2001-12-15 2003-06-25 최장주 Burner apparatus for reduce to ashes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5805B1 (en) 2008-07-07 2009-02-26 윤기석 Air cooling type high efficiency carbonizing apparatus for organic waste
KR100909941B1 (en) 2008-10-16 2009-07-29 주식회사 금재 Food waste carbonizationer
KR101129826B1 (en) * 2010-05-20 2012-03-27 타케시 후꾸무라 A carbonization system and the carbonization vehicle for processing all kinds of wastes
CN102667340A (en) * 2010-05-20 2012-09-12 福村猛 Indirect-heating-type carbonization treatment system for waste, and carbonization treatment vehicle using same
WO2011145767A1 (en) * 2010-05-20 2011-11-24 Fukumura Takeshi Indirect-heating-type carbonization treatment system for waste, and carbonization treatment vehicle using same
KR101004765B1 (en) 2010-06-24 2011-01-04 현일수 Waste incinerator
KR101023192B1 (en) 2010-07-16 2011-03-18 (주)해맑은 Heating and mixing apparatus for food waste
KR101054608B1 (en) 2011-02-15 2011-08-22 주식회사 에코퍼스트 Apparatus for carbonization of trash
WO2014027752A1 (en) * 2012-08-16 2014-02-20 Lee Younghee Low fuel consumption pyrolysis apparatus
KR101376103B1 (en) 2012-08-16 2014-03-20 이영희 Energy Saving Pyrolysis Apparatus
WO2016145339A1 (en) * 2015-03-12 2016-09-15 Aemerge Llc Integrated collection of infectious waste and disposal thereof
KR101784945B1 (en) 2015-06-19 2017-10-12 이두형 Combustion of the carbonization apparatus with an exhaust gas device
KR101733086B1 (en) 2016-11-23 2017-05-08 이두형 Biological waste treatment system
WO2018097462A1 (en) * 2016-11-23 2018-05-31 이두형 Biological waste treatment device
WO2022015152A1 (en) * 2020-07-15 2022-01-20 Millennium E & C (M) SDN. BHD. Enclosure for an apparatus for solid waste mana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203281A (en) 2007-08-16
JP5004523B2 (en) 2012-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5278B1 (en) A carbonization system and the carbonization vehicle for processing all kinds of wastes including medical waste, food waste and garbage, etc
KR101129826B1 (en) A carbonization system and the carbonization vehicle for processing all kinds of wastes
US20100160709A1 (en) Process and appratus for waste treatment
US641242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ying and incineration of sewage sludge
KR101219728B1 (en) Deodorizing apparatus using sawdust and aerobic ferment apparatus for organic wastes having the same
KR101219729B1 (en) Aerobic ferment apparatus for organic wastes
KR100289070B1 (en) Vehicle for drying organic waste
CN108126973B (en) Integrated crushing treatment method for kitchen waste
CN112066384A (en) Straw household garbage waste bundling and pyrolysis cooperative treatment method
CN110467486B (en) Automatic change integrative compost device
KR102077097B1 (en) carbonizing and thermal decomposition apparatus
JP3693624B2 (en) Garbage garbage carbonization vehicle and garbage carbonization method
JP3592622B2 (en) Method for producing carbonized fertilizer containing potassium component from organic waste
CN206483805U (en) The system that a kind of sludge microwave residue after gasifying targets renovation of organic pollution soil
CN216039190U (en) Combined complete equipment for resource utilization of microwave high-temperature anaerobic pyrolysis sludge
KR101542884B1 (en) Aerobic ferment apparatus for organic wastes
CN213362495U (en) Smoldering treatment equipment for contaminated soil
KR100530192B1 (en) system of dry refuse derived fue
CN112963842A (en) Solid waste carbonization and combustion integrated equipment
CN106482122B (en) A kind of processing unit of anaerobic degradation rubbish
CN206300207U (en) A kind of processing unit of anaerobic degradation rubbish
JP2003171909A (en) Asphalt plant using exhaust gas of carbonizing device
CN116947281B (en) Method for pyrolyzing and deodorizing sludge by using tunnel kiln
CN212108418U (en) Garbage pyrolysis gasification system
CN213708232U (en) Thermal cracking system for household garbage and solid was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