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5042B1 - 형강 압연기의 멀티 가이드장치 - Google Patents

형강 압연기의 멀티 가이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5042B1
KR100685042B1 KR1020050110861A KR20050110861A KR100685042B1 KR 100685042 B1 KR100685042 B1 KR 100685042B1 KR 1020050110861 A KR1020050110861 A KR 1020050110861A KR 20050110861 A KR20050110861 A KR 20050110861A KR 100685042 B1 KR100685042 B1 KR 1006850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box
rolling mill
guide plates
fix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0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승구
이상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50110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50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5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5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08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structural sections, i.e. work of special cross-section, e.g. angle st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08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structural sections, i.e. work of special cross-section, e.g. angle steel
    • B21B1/098Z-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2Feeding or supporting work; 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e.g. thread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14Guiding, positioning or alig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14Guiding, positioning or aligning work
    • B21B39/16Guiding, positioning or aligning work immediately before entering or after leaving the pass
    • B21B39/165Guides or guide rollers for rods, bars, rounds, tubes ; Aligning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형강압연기의 멀티 가이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하부 공형롤을 구비하는 수평식 압연기와, 수직 공형롤을 구비하는 수직식 압연기를 압연패스라인에 교대로 복수개 구비하고, 상기 수평, 수직식 압연기의 후방에 구비되어 압연재를 안내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형롤의 외부면에 형성된 복수의 캐리버에 근접하는 밀착날개를 선단에 갖는 상,하부 가이드플레이트와, 상기 상,하부 가이드플레이트사이에 복수 캐리버와 대응하는 복수의 안내통로를 형성하도록 절곡된 상,하부 가이드플레이트의 좌우양단이 고정되는 가이드 박스를 구비하는 안내부 ; 상기 가이드박스의 하부단이 삽입배치되는 고정홈을 구비하는 박스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홈에 삽입배치된 가이드박스의 하부단을 고정하도록 상기 박스고정 플레이트의 상부면에 조립되는 착탈플레이트를 구비하는 박스고정부 ; 및 상기 박스고정 플레이트가 상부면에 활주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레스트바 베이스와, 상기 박스고정플레이트를 전후진왕복이동시키는 작동실린더를 구비하는 작동부를 포함한다.
압연기, 공형롤, 캐리버, 안내통로, 밀착날개, 가이드박스, 작동실린더

Description

형강 압연기의 멀티 가이드장치{A Multi-Guide Device of Section Shape Steel Roll}
도 1는 일반적인 형강압연공정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 형강압연기의 가이드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측면도이고,
b)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형강압연기의 멀티 가이드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형강압연기의 멀티 가이드장치에 채용되는 안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형강압연기의 멀티 가이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a)(b)는 본 발명에 따른 형강압연기의 멀티 가이드장치가 수직식 압연기에 적용된 측면도와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12,21 : 공형롤 13a,13b,13c : 캐리버
110 : 안내부 111,112 : 상,하부 가이드플레이트
113 : 가이드 박스 113a,113b,113c : 안내통로
116a,116b : 보강대 118a,118b : 용접고정부
119 : 고정걸쇠 120 : 박스 고정부
121 : 박스 고정플레이트 122 : 착탈플레이트
124 : 수직바 125 : 레일
130 : 작동부 131 : 레스트바 베이스
132 : 장공 133 : 레일홈
134 : 작동실린더 135 : 고정블록
본 발명은 형강압연기에 구비되는 멀티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압연조건의 변경에 따른 가이드부의 교체작업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구조가 단순하여 제작이 간편하고, 설비유지비를 절감할 수 있는 형강 압연기의 멀티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에서 제조된 용강은 연주공정을 거치면서 압연 혹은 압출품의 소재로 슬라브, 빌레트등의 형상으로 주조되고 압출기, 압연기에서 가공되어 강판, 형강재등으로 제조된다.
제강공정이 완료된 소재를 압연공장으로 이송하여 재 가열후 압연을 하여 형 강재를 만들고, 이는 롤러 테이블을 타고 이송되면서 고속 회전되는 절단기에 의해 절단되어 적정 길이의 형강으로 제작되는 공정을 가지게 된다.
선재 압연의 소재중 하나인 빌레트(billet)는 가열로에서 약 90분간 가열되어 대략 1100℃에서 추출되어 조압연, 중간사상 압연, 사상압연을 거쳐 마무리되는 공정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형강 압연기(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부 공형롤(11)(12)이 상하로 배치되는 수평식 압연기(10)와, 수직 공형롤(21)이 복수개 배치되는 수직식 압연기(20)를 압연패스라인을 따라 교대로 설치된다.
상기 수평식 압연기(10)의 상,하부 공형롤(11)(12)과 상기 수직식 압연기(20)의 수직 공형롤(21)의 후방에는 압연재의 압연시 발생되는 마찰력 및 변형저항에 의해 압연재가 상하좌우로 이동되어 압연패스라인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도록 압연재를 후방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30)(40)를 각각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상,하부 공형롤(11)(12)은 롤스탠드(2)에 좌우양단이 롤쵸크(미도시)를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롤스탠드(2)는 바닥면에 고정설치되는 스탠드레일(3)상에 압연패스라인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왕복이동가능하게 조립된다.
또한,상기 상,하부 공형롤(11)(12)의 외부면에는 도 2(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요가의 다양한 요구에 따라 압연재를 다양한 크기로 압연할 수 있도록 마름모형상의 요홈인 캐리버(13a)(13b)(13c)을 구비하며, 상기 캐리버(13a)(13b)(13b)는 서로 다른 크기로 구비되며, 압연하고자 하는 압연재의 크기에 따라 상기 롤스탠드(2)를 수평이동시켜 선택된 캐리버(13a)(13b)(13c)와 압연패스라인(S)을 서로 일치시켜야 딘다.
이에 따라, 상기 상,하부 공형롤(11)(12)의 출측에 서로 마주하는 캐리버(13a)(13b)(13c)사이로 밀착날개(31)가 근접하도록 배치되는 가이드부(30)는 선택된 캐리버(13a)(13b)(13c)의 크기에 맞추어 교체하기 위해서 후방으로 위치이동된 다음 교체작업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상,하부 공형롤(11)(12)에 형성된 캐리버(13a)(13b)(13c)중 마모된 캐리버(13a)를 인접하는 동일한 크기의 다른 캐리버(13c)로 교체하는 캐리버 교체작업시나 상,하부 공형롤(11)(12)을 롤스탠드(2)로부터 교체하는 롤교체작업시에도 상기 상,하부 공형롤(11)(12)과 밀착날개(31)간의 접촉에 의한 가이드부(30)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상기 가이드부(30)를 후방으로 충분히 위치이동시킨 다음, 크기가 변경된 캐리버(13a)(13b)(13c)에 맞추어 가이드부(30)의 교체작업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가이드부(30)의 위치이동 및 교체작업은, 운전실에서 압연작업을 완료하면 레스트바 작동용 실린더(33)를 후진작동시켜 가이드부(30)가 구비된 레스트바 베이스(32)를 슬라이딩레일(34)을 따라 후진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상,하부 공형롤(11)(12)의 캐리버(13a)(13b)(13c)로부터 상기 가이드부(30)의 밀착날개(31)는 이격되어 멀어지게 됨으로서 상기 캐리버(13a)(13b)(13c)의 교체를 위치한 롤스탠드(2)의 수평이동시나 롤교체를 위한 상,하부 공형롤(11)(12)의 수평이동시 상기 상,하부 공형롤(11)(12)과 가이드부(30)간 의 접촉은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30)가 일정위치까지 후방이동이 완료되면, 상기 레스트바 베이스(32)에 체결된 체결부재를 해체하여 클램프에 고정된 가이드부(30)를 분리하고, 새로운 가이드부(30)를 재조립한 다음, 가이드부(30)의 중심과 압연 패스라인(S)을 서로 일치시키고, 이를 크램프로서 고정하여 준다.
이어서, 상기 레스트바 작동용 실린더(33)를 전진작동시켜 가이드부(30)의 밀착날개(31)가 상,하부 공형롤(11)(12)의 캐리버(13a)(13b)(13c)와 근접하도록 하면서 최종적으로 압연패스라인과 가이드부(30)의 중심이 서로 일치하는지 점검한다.
이때, 상기 압연패스라인(S)과 가이드부 중심이 서로 일치되면 상기 가이드부(30)를 그대로 완전히 고정하고, 일치하지 않으면 재 조정작업을 하는 여러단계의 공정을 거치게 된다.
한편, 상기 수직식 압연(20)의 수직 공형롤(21)의 후방에 구비되는 가이드부(40)에 대한 교체작업은 상기 상,하부 공형롤(11)(12)에 구비되는 가이드부(30)의 교체작업과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그러나, 작업자가 가이드부(30)(40)를 후진이동시켜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는 작업이 매우 번거롭기 때문에, 교체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작업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압연재의 크기에 맞추어 다양한 크기로 제작된 복수의 가이드부(30)(40)를 별도로 보관, 유지해야만 하기 때문에 설비유지비가 많이 소요되고, 기 계제작되는 가이드부(30)(40)의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원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압연조건의 변경에 따른 가이드부의 교체작업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구조가 단순하여 제작이 간편하고, 설비유지비를 절감할 수 있는 형강압연기의 멀티가이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하부 공형롤을 구비하는 수평식 압연기와, 수직 공형롤을 구비하는 수직식 압연기를 압연패스라인에 교대로 복수개 구비하고, 상기 수평, 수직식 압연기의 후방에 구비되어 압연재를 안내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형롤의 외부면에 형성된 복수의 캐리버에 근접하는 밀착날개를 선단에 갖는 상,하부 가이드플레이트와, 상기 상,하부 가이드플레이트사이에 복수 캐리버와 대응하는 복수의 안내통로를 형성하도록 절곡된 상,하부 가이드플레이트의 좌우양단이 고정되는 가이드 박스를 구비하는 안내부 ; 상기 가이드박스의 하부단이 삽입배치되는 고정홈을 구비하는 박스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홈에 삽입배치된 가이드박스의 하부단을 고정하도록 상기 박스고정 플레이트의 상부면에 조립되는 착탈플레이트를 구비하는 박스고정부 ; 및 상기 박스고정 플레이트가 상 부면에 활주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레스트바 베이스와, 상기 박스고정플레이트를 전후진왕복이동시키는 작동실린더를 구비하는 작동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형강압연기의 멀티 가이드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캐리버의 중심은 상기 안내통로의 중심과 서로 일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이드박스의 상,하부와 상기 상,하부 가이드플레이트사이에는 상기 상,하부 가이드플레이트의 계곡부에 하부단이 접하여 장력을 보강하는 보강대를 구비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강대는 상기 상,하부 가이드플레이트의 계곡부와 대응하는 가이드 박스의 상,하부 내부면에 함몰형성된 보강대 삽입홈에 끼워져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이드박스의 상,하부 내부면에는 상기 상,하부 가이드플레이트의 산부에 하부단이 접하여 용접고정되는 용접고정부를 일체로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이드 박스의 하부면에는 상기 박스고정 플레이트의 고정홈에 삽입배치되는 사다리꼴단면상의 고정걸쇠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박스 고정플레이트의 하부면에는 상기 레스트바 베이스의 상부면에 관통형성된 장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작동실린더의 로드선단에 연결되는 수직바와, 상기 레스트바의 상부면에 함몰형성된 레일홈에 활주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레일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레스트바 베이스의 좌우양단에는 상기 공형롤이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롤스탠드에 조립되는 고정블록을 구비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형강압연기의 멀티 가이드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형강압연기의 멀티 가이드장치에 채용되는 안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형강압연기의 멀티 가이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a)(b)는 본 발명에 따른 형강압연기의 멀티 가이드장치가 수직식 압연기에 적용된 측면도와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장치(100)는 도 3 내지 6(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연패스라인을 따라 진행되는 압연재의 일방향 진행을 안내하도록 압연재를 압연하는 압연기의 후방에 배치되어 롤의 교체 및 캐리버크기 교체작업을 보다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안내부(110), 박스고정부(120) 및 작동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안내부(110)는 상,하부 가이드플레이트(111)(112)와 가이드박스(113)를 수직, 수평식 압연기(10)(20)의 후방에 갖추어 상기 압연기(10)(20)의 공형롤(11)(12)(21)을 통과하는 압연재를 안내하도록 일정크기의 안내통로(113a)(113b)(113c)를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상,하부 가이드플레이트(111)(112)는 상기 수평, 수직식 압연기(10)(20)의 공형롤(11)(12)(21)의 외부면에 형성된 복수의 캐리버(13a)(13b)(13c)에 근접하는 밀착날개(111a)(112a)를 선단에 구비하고, 상하배치시 복수의 캐리버(13a)(13b)(13c)와 대응하는 안내통로(113a)(113b)(113c)를 구비하도록 산단면상으로 절곡가공된 판부재이다.
여기서, 상기 캐리버(13a)(13b)(13c)의 중심은 상기 안내통로(113a)(113b)(113c)의 중심과 서로 일치된다.
상기 가이드박스(113)는 상기 캐리버(13a)(13b)(13c)와 일치하는 안내통로(113a)(113b)(113c)를 형성하도록 상하배치되는 상,하부 가이드플레이트(111)(112)의 좌우양단이 내부면에 고정되는 사각틀형상의 고정부재이다.
상기 상,하부 가이드플레이트(111)(112)의 좌우양단에 구비된 삽입돌기(114a)(114b)는 상기 가이드박스(113)의 내부면에 구비되는 삽입홈(115a)(115b)으로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 가이드박스(113)의 상,하부와 상기 상,하부 가이드플레이트(111)(112)사이에는 상기 상,하부 가이드플레이트(111)(112)의 계곡부(111b)(112b)에 하부단이 접하여 장력을 보강하는 보강대(116a)(116b)를 배치하고, 상기 보강대(116a)(116b)는 상기 상,하부 가이드플레이트(111)(112)의 계곡부(111b)(112b)와 대응하는 가이드 박스(113)의 상,하부 내부면에 함몰형성된 보강대 삽입홈(117a)(177b)에 끼워져 배치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박스(113)의 상,하부 내부면에는 상기 상,하부 가이드플레이트(111)(112)의 산부(111c)(112c)에 하부단이 접하여 용접고정되는 용접고정부(118a)(118b)를 일체로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박스(113)의 상부면에는 분해 및 이동시 크레인의 로프가 걸리는 고리(113d)를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 박스(113)의 하부면에는 후술하는 박스고정 플레이트(121)의 고정홈(121a)에 삽입배치되는 사다리꼴단면상의 고정걸쇠(119)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박스 고정부(120)는 박스고정 플레이트(121)와 착탈 플레이트(122)로 구성되어 상기 가이드 박스를 교체가능하도록 위치고정하는 것이다.
상기 박스 고정플레이트(121)는 상부면에 상기 가이드 박스(113)의 하부단에 상부는 좁고 하부는 넓은 사다리꼴 단면상의 고정걸쇠(119)가 삽입되는 고정홈(121a)을 구비하는 구조물이다.
상기 착탈플레이트(122)는 상기 고정홈(121a)에 삽입배치된 가이드박스(113)의 하부단인 고정걸쇠(119)를 고정하도록 상기 박스고정 플레이트(121)의 상부면에 형성된 체결공(123a)과 조립되는 복수개의 체결부재(123)에 의해서 착탈이 가능하도록 조립된다.
여기서, 상기 박스 고정플레이트(121)의 하부면에는 후술하는 레스트바 베이스(131)의 상부면에 관통형성된 장공(132)으로 삽입되어 후술하는 작동실린더(134)의 로드선단에 연결되는 수직바(124)와, 상기 레스트바 베이스(131)의 상부면에 함몰형성된 레일홈(133)에 활주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레일(125)을 구비한다.
한편, 상기 작동부(130)는 레스트바 베이스(131)와 작동실린더(134)를 갖추어 상기 가이드박스(113)가 조립된 박스 고정부(120)를 압연패스라인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것이다.
상기 레스트바 베이스(131)는 상기 박스 고정플레이트(121)의 하부면에 형성 된 수직바(124)가 삽입배치되는 장공(132)을 관통형성하고, 상기 박스 고정플레이트(121)의 하부면에 돌출형성된 레일(125)이 활주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레일홈(133)을 함몰형성하며, 상기 상,하부공형롤(11)(12)과 수직 공형롤(21)이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롤스탠드(2)에 조립되는 고정블록(135)을 좌우양단에 구비하여 상기 공형롤(11)(12)(21)의 출구측에 고정배치되는 고정구조물이다.
상기 작동실린더(134)는 상기 레스트바 베이스(131)의 장공(132)을 통해 삽입된 수직바(124)와 로드선단이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박스(113)가 조립된 박스 고정부(120)를 압연패스라인(S)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 왕복이동시키는 작동부재이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멀티 가이드장치(100)는 산부(111c)(112c)와 계곡부(111b)(112b)를 갖도록 절곡가공된 상,하부 가이드플레이트(111)(112)를 가이드박스(113)내에 상하배치하여 공형롤(11)(12)(21)의 캐리버(13a)(13b)(13c)와 일치되는 안내통로(113a)(113b)(113c)를 형성한다.
상기 상,하부 가이드플레이트(111)(112)의 산부(111c)(112c)는 용접 고정부(118a)(118b)와 용접되어 고정되고, 계곡부(111b)(112b)는 보강대(116a)(116b)가 보강대 삽입홈(117a)(117b)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보강대(116a)(116b)와 용접된다.
상기 상,하부 가이드플레이트(111)(112)의 선단에 구비된 밀착날개(111a)(112a)는 공형롤(11)(12)(21)에 근접배치되도록 고정부(20)에 가이드 박스 (113)를 위치고정한다.
이에 따라, 수평식, 수직식 압연기(10)(20)의 상,하부 공형롤(11)(12), 수직 공형롤(11)(12)(21)을 통과하면서 압연되는 압연재는 상기 상,하부공형로(11)(12)의 후방인 출구측, 상기 수직 공형롤(21)의 후방인 출구측에 구비되는 멀티 가이드장치(100)에 의해서 배출안내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공형롤(11)(12)(21)을 교체하거나 공형롤(11)(12)(21)에 구비된 캐리버(13a)(13b)(13c)의 크기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상기 공형롤(11)(12)(13)과 밀착날개(111a)(112a)간이 간섭이 없도록 가이드 박스(113)를 위치이동시켜야 한다.
압연재의 압연작업이 종료되면 작업자는 운전실에서 작동실린더(134)를 후진작동시키면, 상기 작동실린더(134)의 로드선단에 연결된 수직바(124)를 갖는 박스 고정플레이트(121)는 레일홈(133)을 따라 레스트바 베이스(131)의 상부면에서 상기 공형롤(11)(12)(21)로부터 멀어지도록 활주이동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박스 고정플레이트(121)에 구비된 상,하부 가이드플레이트(111)(112)의 밀착날개(111a)(112a)도 상기 공형롤(11)(12)(21)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스탠드 이동용 유압장치를 이용하여 롤 스탠드(2)를 스탠드 레일(3)상에서 압연패스라인(S)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면 상기 스탠드 레일(3)을 타고 롤스탠드(2)가 압연패스라인(S)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밀착날개(111a)(112a)와의 간섭이 없이 수평이동된다.
그리고, 수평이동되는 롤 스탠드(2)의 공형롤(11)(12)(21)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캐리버중 사전에 선택된 캐리버(13a)(13b)(13c)의 중심과 상,하부 가이드플레이트(111)(112)사이에 형성되는 안내통로(113a)(113b)(113c)의 중심이 서로 일치될때 상기 롤 스탠드(2)의 수평이동을 중단시킨다.
또한, 상기 롤 스탠드(2)에 구비된 상,하부 공형롤(11)(12)이나 수직 공형롤(21)을 외부로 인출한 다음 새로운 롤을 롤 스탠드(2)에 조립하며,교체된 상,하부 공형롤(11)(12)이나 수직 공형롤(21)의 캐리버(13a)(13b)(13c)의 중심은 상기 상,하부 가이드플레이트(111)(112)사이에 구비된 안내통로(113a)(113)b(113c)의 중심과 서로 일치시킨다.
이러한 생태에서 후진작동된 작동실린더(134)를 전진작동시켜 원위치로 복귀시키면, 상기 상,하부 가이드플레이트(111)(112)의 선단에 구비된 밀착날개(111a)(112a)가 공형롤(11)(12)(21)의 캐리버(13a)(13b)(13c)에 근접배치되어 압연재를 출구측에 안내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 박스(113)의 상,하부 가이드플레이트(111)(112)에 의해 형성되는 안내통로(113a)(113b)(113c)와 상기 공형롤(11)(12)(21)의 캐리버(13a)(13b)(13c)은 서로 사전에 일치됨으로서 종래와 같이 가이드부(30)(40)를 재차 분해하고 조립하는 작업을 반복하여 압연패스라인과 일치시키는 작업의 필요없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안내부(110)의 위치이동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공형롤에 형성되는 복수 캐리버의 중심과 일치하는 복수개의 안내통로를 가이드 박스내에 상하배치되는 상,하부 가이드 플레이트에 구비하고, 가이드 박스를 압연기의 후방에서 전후진이동시키는 작동실린더를 구비함으로써, 공형롤 및 캐리버 크기의 교체 작업시 가이드 박스를 위치이동시키는 작업을 1개 공정으로 단순화할 수 있기 때문에, 교체작업시간을 단축하여 작업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하부 가이드 플레이트를 간단한 프레스 공정에 의해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고, 보관 및 유지가 간단하여 설비유지비를 종래에 비하여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Claims (8)

  1. 상,하부 공형롤을 구비하는 수평식 압연기와, 수직 공형롤을 구비하는 수직식 압연기를 압연패스라인에 교대로 복수개 구비하고, 상기 수평, 수직식 압연기의 후방에 구비되어 압연재를 안내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형롤의 외부면에 형성된 복수의 캐리버에 근접하는 밀착날개를 선단에 갖는 상,하부 가이드플레이트와, 상기 상,하부 가이드플레이트사이에 복수 캐리버와 대응하는 복수의 안내통로를 형성하도록 절곡된 상,하부 가이드플레이트의 좌우양단이 고정되는 가이드 박스를 구비하는 안내부 ;
    상기 가이드박스의 하부단이 삽입배치되는 고정홈을 구비하는 박스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홈에 삽입배치된 가이드박스의 하부단을 고정하도록 상기 박스고정 플레이트의 상부면에 조립되는 착탈플레이트를 구비하는 박스고정부 ; 및
    상기 박스고정 플레이트가 상부면에 활주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레스트바 베이스와, 상기 박스고정플레이트를 전후진왕복이동시키는 작동실린더를 구비하는 작동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형강압연기의 멀티 가이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버의 중심은 상기 안내통로의 중심과 서로 일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형강압연기의 멀티 가이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박스의 상,하부와 상기 상,하부 가이드플레이트사이에는 상기 상,하부 가이드플레이트의 계곡부에 하부단이 접하여 장력을 보강하는 보강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형강압연기의 멀티 가이드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대는 상기 상,하부 가이드플레이트의 계곡부와 대응하는 가이드 박스의 상,하부 내부면에 함몰형성된 보강대 삽입홈에 끼워져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형강압연기의 멀티 가이드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박스의 상,하부 내부면에는 상기 상,하부 가이드플레이트의 산부에 하부단이 접하여 용접고정되는 용접고정부를 일체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형강압연기의 멀티 가이드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박스의 하부면에는 상기 박스고정 플레이트의 고정홈에 삽입배치되는 사다리꼴단면상의 고정걸쇠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형강압연기의 멀티 가이드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 고정플레이트의 하부면에는 상기 레스트바 베이스의 상부면에 관통형성된 장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작동실린더의 로드선단에 연결되는 수직바와, 상기 레스트바의 상부면에 함몰형성된 레일홈에 활주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레일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형강압연기의 멀티 가이드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스트바 베이스의 좌우양단에는 상기 공형롤이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롤스탠드에 조립되는 고정블록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형강압연기의 멀티 가이드장치.
KR1020050110861A 2005-11-18 2005-11-18 형강 압연기의 멀티 가이드장치 KR100685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0861A KR100685042B1 (ko) 2005-11-18 2005-11-18 형강 압연기의 멀티 가이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0861A KR100685042B1 (ko) 2005-11-18 2005-11-18 형강 압연기의 멀티 가이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5042B1 true KR100685042B1 (ko) 2007-02-20

Family

ID=38104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0861A KR100685042B1 (ko) 2005-11-18 2005-11-18 형강 압연기의 멀티 가이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504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0895B1 (ko) 2008-10-28 2011-04-22 현대제철 주식회사 철근 이송용 가이드파이프 고정 클램프
KR102173328B1 (ko) * 2019-05-31 2020-11-04 주식회사 포스코 압연기 가이드장치
KR102260266B1 (ko) 2019-12-13 2021-06-03 주식회사 포스코 형강 압연기 가이드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3718A (ja) 1981-06-30 1983-01-10 Kawasaki Steel Corp 条材圧延用サイドガイド
JPH10175012A (ja) 1996-12-13 1998-06-30 Kotobuki Sangyo Kk 圧延機用多列ガイドの間隔調整装置
JP2002001412A (ja) 2000-06-20 2002-01-08 Nippon Steel Corp スタンド組替式条鋼圧延機の鋼片ガイド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3718A (ja) 1981-06-30 1983-01-10 Kawasaki Steel Corp 条材圧延用サイドガイド
JPH10175012A (ja) 1996-12-13 1998-06-30 Kotobuki Sangyo Kk 圧延機用多列ガイドの間隔調整装置
JP2002001412A (ja) 2000-06-20 2002-01-08 Nippon Steel Corp スタンド組替式条鋼圧延機の鋼片ガイド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0895B1 (ko) 2008-10-28 2011-04-22 현대제철 주식회사 철근 이송용 가이드파이프 고정 클램프
KR102173328B1 (ko) * 2019-05-31 2020-11-04 주식회사 포스코 압연기 가이드장치
KR102260266B1 (ko) 2019-12-13 2021-06-03 주식회사 포스코 형강 압연기 가이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21721B2 (ja) ロールを交換する方法と装置
ATE515334T1 (de) Strangguss- und walzverfahren für mediumplatte
KR100685042B1 (ko) 형강 압연기의 멀티 가이드장치
CN108466059B (zh) 一种钢筋横移递进装置及钢筋套丝系统
EP255428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continuous rolling
CN210333781U (zh) 冷床矫直板装置
US3763923A (en) Extractor for withdrawing or inserting roll-clusters
JP2006231356A (ja) 押出ワークの支承装置及び支承方法
CN106734212A (zh) 一种连轧管机的双芯棒冷却、润滑装置
CN101850409A (zh) 一种连铸方法
JP4072653B2 (ja) 板厚圧下プレスの金型交換装置とその方法
KR102007331B1 (ko) 작업 기계에 금속제품을 공급하는 기구 및 방법
KR20090067806A (ko) 압연소재 센터링용 사이드 가이드 장치
US8100166B2 (en) Continuous casting plant and method of operating a continuous casting plant
JP3160519B2 (ja) 熱間圧延ライン
KR101024752B1 (ko) 냉각상 런-인 사이드 롤러의 지지구조체
JP3160518B2 (ja) 熱間圧延ライン
JP5944211B2 (ja) 連続鋳造設備のモールド可変装置
JP4542099B2 (ja) 2ロール方式によるストリップ連続鋳造の際に、鋳造サイクルを延長するための方法、並びにこの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設備
CN109290451A (zh) 叉车横梁压型模具
CN216126547U (zh) 一种铸造件脱模下料机
US6763878B1 (en) Strip-casting machine with two casting rolls
KR101417228B1 (ko) 압연 장치
KR101205063B1 (ko) 런 인 롤러 테이블 진입용 압연제품 가이드 장치
KR20110018734A (ko) 플래쉬버트 용접기 전극 교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