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3892B1 - 피엘씨를 이용한 폐기물 선별장치의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피엘씨를 이용한 폐기물 선별장치의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3892B1
KR100683892B1 KR1020060047623A KR20060047623A KR100683892B1 KR 100683892 B1 KR100683892 B1 KR 100683892B1 KR 1020060047623 A KR1020060047623 A KR 1020060047623A KR 20060047623 A KR20060047623 A KR 20060047623A KR 100683892 B1 KR100683892 B1 KR 1006838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c
manual
image
screen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7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문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남부환경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남부환경개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남부환경개발
Priority to KR1020060047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38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3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3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8Contro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Abstract

본 발명은 PLC를 이용한 폐기물 선별장치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호퍼와, 부채살 진동 스크린과, 트롬멜과, 토사 정밀 스크린과, 버킷 스크린과, 제 1, 2송풍기와, 히터와, 제 1~6벨트 컨베이어를 구비하는 폐기물 선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구성부의 전류량을 감지하는 복수의 전류 센서와; 상기 각각의 구성부의 동작을 관리자가 제어할 수 있도록 각종 버튼을 구비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와; 상기 각각의 구성부가 설치된 현장의 영상을 촬영하는 복수의 카메라와;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를 통한 관리자의 입력에 따라 기설정된 각각의 운전 매뉴얼에 의해 상기 전류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확인하여 상기 각각의 구성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중계 및 저장하는 PLC; 및 상기 PLC로부터 중계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관리자가 폐기물 선별장치의 동작을 자동 및 수동으로 선택하여 해당 기기를 각각 제어할 수 있고, 카메라를 이용하여 작업장 환경을 원격 감시하여 비상 상황 발생시 관리자가 폐기물 선별장치를 비상 정지시킬 수 있다.
폐기물, 선별장치, PLC, 자동 운전, 모니터링

Description

피엘씨를 이용한 폐기물 선별장치의 제어 장치{Controll system for using PLC of waste sorting apparatus}
도 1은 종래의 석산용 또는 재활용 건설폐기물 파쇄 및 선별 시스템의 자동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일반적인 폐기물 선별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PLC를 이용한 폐기물 선별장치의 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PLC를 이용한 폐기물 선별장치의 제어장치의 PLC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PLC를 이용한 폐기물 선별장치의 리모트 컨트롤러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PLC를 이용한 폐기물 선별장치의 제어장치의 자동 기동 과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10 : 전류 센서 121 : 리모트 컨트롤러
130 : 카메라 140 : PLC
150 : 모니터 201 : 호퍼
206 : 부채살 진동 스크린 207 : 트롬멜
212 : 버킷 스크린 214 : 토사 정밀 스크린
본 발명은 폐기물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관리자가 폐기물 선별장치의 동작을 자동 및 수동으로 선택하여 해당 기기를 각각 제어할 수 있고, 카메라를 이용하여 작업장 환경을 원격 감시하여 비상 상황 발생시 관리자가 폐기물 선별장치를 비상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PLC를 이용한 폐기물 선별장치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래 전부터 재활용이 불가능한 생활쓰레기, 의류, 폐비닐 등은 처리기술과 비용측면에서 선별이 어렵기 때문에 지중에 매립되어 왔다.
그러나, 매립폐기물에 의해 생성되는 고농도의 복합 화학성 침출수와 매립폐기물의 유기지 미생물에 의한 분해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량의 가스(CO, CO2, CH4, H2 등)에 의해 환경오염이 극심해짐에 따라 최근에는 매립폐기물 처리에 대한 기술이 대두되고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매립폐기물 선별장치는,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특허등록공보 0517356호(명칭 : 매립폐기물 선별장치), 실용신안등록공보 0379542호(명칭 : 부채살형 진동스크린을 갖는 건설폐기물 선별장치) 등이 개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매립폐기물 선별장치는 제어 방식이 수동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자가 일일이 순서에 따라 각 기기의 모터를 동작시켜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실용신안등록 0332877호(석산용 또는 재활용 건설폐기물 파쇄 및 선별 시스템의자동제어장치)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석산용 또는 재활용 건설폐기물 파쇄 및 선별 시스템의 자동제어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죠크러셔(10), 피이더(11), 마그네트세퍼레이터(12), 콘크러셔(13), 진동스크린(14), 이송콘베이어(15) 및 배출콘베이어(16)의 작동을 위한 오일의 흐름상태, 압력, 온도, 오일탱크내 오일레벨의 리미트 스위치로부터의 제어 내지 각 구성의 모터로 인가되는 정격전류에 대한 기준치로부터 고장여부를 판별하고, 이에 따른 신호를 생성시켜 인가하는 검진부(20)와, 상기 검진부(20)의 판별신호로부터 상기 선별시스템의 고장여부를 점등램프 등으로 표시하는 표시부(30)를 포함하고, 아울러 기동시에는 상기 피이더(11), 죠크러셔(10), 마그네트세퍼레이터(12), 콘크러셔(13), 진동스크린(14), 이송콘베이어(15) 및 배출콘베이어(16)의 기동시간을 사전에 측정하여 기동순서를 정하고, 용량이 큰것부터 순차적으로 기동하도록 설정되며, 정지시에는 전술한 기동시의 역순으로 상기 죠크러셔(10), 피이더(11), 마그네트세퍼레이터(12), 콘크러셔(13), 진동스크린(14), 이송콘베이어(15) 및 배출콘베이어(16)의 정지시간 및 순서가 설정되어 상기 검진부(20)로부터 판별신호를 입력받아 상기한 선별시스템의 기동 및 정지를 제어하는 피엘씨모듈(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작동 중의 에러로 인한 고장 발생시 에는 상기 피엘씨모듈(40)이 인터록(Interlock) 방식에 따라 그 작동을 차단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석산용 또는 재활용 건설폐기물 파쇄 및 선별 시스템의 자동제어장치는 PLC 모듈이 기설정된 동작에 의해서만 제어를 수행하기 때문에 작업 조건이 변경되는 경우 해당 작업에 따른 기기별 수동 제어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석산용 또는 재활용 건설폐기물 파쇄 및 선별 시스템의 자동제어장치는 작업장 환경을 직접 확인하지 못하여 비상 상황(예를 들면, 작업자가 안전 사고 발생 위험이 있는 경우)에 대처를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관리자의 선택에 따라 작업을 자동 및 수동으로 선택하여 해당 기기를 제어할 수 있고, 별도의 리모트 컨트롤러를 통해 관리자가 해당 기기를 직접 제어할 수 있어 작업 조건 변경에 따라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고, 기기별 수동 제어가 가능하여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PLC를 이용한 폐기물 선별장치의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작업장 환경을 원격 감시하여 비상 상황 발생시 관리자가 폐기물 선별장치를 비상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상 상황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PLC를 이용한 폐기물 선별장치의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호퍼와, 부채살 진동 스크린과, 트롬멜과, 토사 정밀 스크린과, 버킷 스크린과, 제 1, 2송풍기와, 히터와, 제 1~6벨트 컨베이어를 구비하는 폐기물 선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구성부의 전류량을 감지하는 복수의 전류 센서와; 상기 각각의 구성부의 동작을 관리자가 제어할 수 있도록 각종 버튼을 구비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와; 상기 각각의 구성부가 설치된 현장의 영상을 촬영하는 복수의 카메라와;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를 통한 관리자의 입력에 따라 기설정된 각각의 운전 매뉴얼에 의해 상기 전류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확인하여 상기 각각의 구성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중계 및 저장하는 PLC; 및 상기 PLC로부터 중계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는 상기 각각의 구성부를 온/오프시키는 복수의 온/오프 스위치와, 상기 각각의 구성부의 속도를 조절하는 복수의 속도 설정기와, 상기 트롬멜의 정역회전을 설정하는 회전 설정기와, 상기 히터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계와, 자동, 수동 운전을 선택할 수 있는 운전 스위치와, 운전에 따른 기동 및 정지 스위치와, 비상 정지에 따른 비상 정지 스위치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또한, 상기 PLC는 시스템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 및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각각의 운전 매뉴얼이 저장되며, 상기 카메라의 영상이 저장되는 메모리와; 상기 전류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전류 변동량에 따라 상기 각각의 구성부의 동 작 상태 및 이상 여부를 체크하고,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를 통한 관리자의 입력에 따라 기설정된 각각의 운전 매뉴얼 또는 관리자의 직접 제어에 의해 상기 전류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확인하여 상기 각각의 구성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와;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제어에 따라 상기 각각의 구성부의 동작 상태 및 기동 상태를 복수의 램프를 통해 표시하되, 각 구성부가 처리 순서에 따라 이미지로 표시되고, 각 이미지에 운전 및 이상 램프가 구비되고, 상기 호퍼 및 트롬멜의 속도를 알리는 계기판 및 히터 온도를 알리는 계기판이 각각 구비되며, 자동 수동 운전 여부를 알리는 계기판이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카메라의 영상을 입출력하는 영상 입출력부와;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제어에 따라 기동 및 이상 발생시 경고음을 송출하는 부저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또한,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관리자가 자동 운전을 선택하면 상기 부저를 통해 자동 기동 경보를 일정 시간 경보하고, 상기 버킷 스크린, 히터, 제 2송풍기, 제 6벨트 컨베이어, 제 5벨트 컨베이어, 제 4벨트 컨베이어, 토사 정밀 스크린과, 트롬멜, 제 3벨트 컨베이어, 제 2벨트 컨베이어, 제 1송풍기, 부채살 진동 스크린, 제 1벨트 컨베이어, 호퍼를 순차적으로 동작시키되, 각 구성부가 동작후 일정 시간의 지연 시간을 갖으며, 상기 호퍼를 동작시 상기 히터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이상 상승되는 경우 동작시키며, 정지시에는 역순으로 정지시키며, 정지시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중 자동 기동 상태를 표시하는 램프를 점멸시킨다.
여기에서 또, 상기 운전 매뉴얼은 자동 매뉴얼과 복수의 수동 매뉴얼로 나뉘며, 수동 매뉴얼은 폐기물의 종류에 따라 각 구성부의 동작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 도록 설정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PLC를 이용한 폐기물 선별장치의 제어장치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앞서 일반적인 폐기물 선별장치의 구성을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일반적인 폐기물 선별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기물 선별장치(200)는, 매립폐기물(폐비닐, 생활쓰레기, 토사, 경량의 골재, 철근류가 혼합된 상태, 이하 "폐기물"이라 약칭함)이 투입되고, 투입된 폐기물을 진동에 의해 낙하시키는 호퍼(201)와, 호퍼(201)에서 낙하되는 폐기물을 크기에 따라 각각 이송하는 제 1, 2벨트 컨베이어(202, 203)와, 호퍼(201)에서 낙하되는 폐기물에 열풍을 가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제 1송풍기(204) 및 히터(205)와, 호퍼(201)의 하단에 설치되어 폐기물 중 일정 크기 이상의 골재 등을 선별하는 부채살 진동 스크린(206)과, 부채살 진동 스크린(206)을 통해 통과하여 제 2벨트 컨베이어(203)를 통해 공급되는 폐기물을 소각 가능한 가연성 폐기 물과 재생 가능한 토사로 선별하는 트롬멜(207)과, 트롬멜(207)에서 선별되는 가연성 폐기물과 토사를 각각 이송하는 제 3~6벨트 컨베이어(208, 209, 210, 211)와, 가연성 폐기물을 선별하는 버킷 스크린(212)과, 폐기물에 열풍을 가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제 2송풍기(213)와, 트롬멜(207)로부?? 배출되는 토사를 정밀하게 선별하는 토사 정밀 스크린(214)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트롬멜(207)은 본 출원인에 의해 특허 출원된 제2004-117470호(명칭 : 매립폐기물 선별장치)에 구체적으로 나타나 있으며, 간략히 설명하면, 폐기물은 수분함유량이 많기 때문에 트롬멜(207)의 통과시 선별공의 막힘이 발생되므로 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트롬멜(207)은 원형 단면을 갖는 다수의 봉이 격자형태로 결합되어 그 사이에 선별공이 형성된 그물망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봉이 원형단면이기 때문에 폐기물이 상기 봉에 고착되지 않고 미끄러지게 되어 상기 선별공의 막힘이 발생되지 않는다. 상기 봉은 폐기물의 수분에 의해 부식되지 않는 스텐레스(SUS)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트롬멜(207)은 단일 원통구조이거나 서로 다른 직경의 트롬멜이 결합된 이중구조일 수 있으며, 이중구조 트롬멜이 폐기물을 세분화하여 선별할 수 있으므로 이중구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트롬멜(207)은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밀폐형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고, 내부에 펄싱 밸브(고압 분사장치) 및 바이브레이터가 구비된다.
그리고, 부채살 진동 스크린(206)은 상호 간에 간격을 두고 배열된 다수의 스포크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포크간의 간격을 통해 호퍼(201)에서 낙하하는 폐기물 을 입도별로 선별하는 것으로 본 출원인에 의해 이미 공지된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PLC를 이용한 폐기물 선별장치의 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PLC를 이용한 폐기물 선별장치의 제어장치의 PLC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PLC를 이용한 폐기물 선별장치의 리모트 컨트롤러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PLC를 이용한 폐기물 선별장치의 제어장치(100)는, 전류 센서(110)와, 리모트 컨트롤러(120)와, 카메라(130)와, PLC(140)와, 모니터(150)로 이루어진다.
먼저, 전류 센서(110)는 각각의 구성부의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전류량을 감지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리모트 컨트롤러(1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구성부를 온/오프시키는 복수의 온/오프 스위치(121)와, 각각의 구성부의 속도를 조절하는 복수의 속도 설정기(122)와, 트롬멜(207)의 정역회전을 설정하는 회전 설정기(123)와, 히터(205)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계(124)와, 자동, 수동 운전을 선택할 수 있는 운전 스위치(125)와, 자동 운전에 따른 기동 및 정지 스위치(126)와, 비상 정지에 따른 비상 정지 스위치(127)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리모트 컨트롤러(120)는 PLC(140)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무선 통신인 경우 별도의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이 설치되며, 이는 공지의 기술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카메라(130)는 선별공정의 자동화와 선별효율 및 연속성 향상 및 작업 자에 대한 안전성 확보를 위해 자동화 선별공정에 대한 작동유무를 확인할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다. 여기에서, 카메라(130)는 4대가 사용되며, 주카메라는 작업상황을 넒은 시야에서 직접 관찰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모니터에 전송된 영상을 통해서 작업하기 편하도록 도움을 준다)하고, 나머지 보조카메라는 투입 호퍼, 인력이 보이지 않는 사각지역, 주변작업 환경을 볼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다.
또, PLC(140)는 메모리(141)와, 중앙처리장치(142)와, 구동부(143)와, 디스플레이 패널(144)과, 영상 입출력부(145)와, 부저(146)로 이루어진다.
메모리(141)는 시스템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 및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각각의 운전 매뉴얼이 저장되며, 카메라(130)의 영상이 저장된다.
중앙처리장치(142)는 각각의 전류 센서(110)로부터 입력되는 전류 변동량에 따라 각각의 구성부의 동작 상태 및 이상 여부를 체크하고, 리모트 컨트롤러(120)를 통한 관리자의 입력에 따라 기설정된 각각의 운전 매뉴얼 또는 관리자의 직접 제어에 의해 전류 센서(11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확인하여 각각의 구성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여기에서, 중앙처리장치(142)는 관리자가 자동 운전을 선택하면 부저(146)를 통해 자동 기동 경보를 일정 시간 경보하고, 버킷 스크린(212), 히터(205), 제 2송풍기(213), 제 6벨트 컨베이어(211), 제 5벨트 컨베이어(210), 제 4벨트 컨베이어(209), 토사 정밀 스크린(214), 트롬멜(207), 제 3벨트 컨베이어(208), 제 2벨트 컨베이어(203), 제 1송풍기(204), 부채살 진동 스크린(206), 제 1벨트 컨베이어(202), 호퍼(201)를 순차적으로 동작시키되, 각 구성부가 동작후 일정 시간의 지연 시간을 갖으며, 호퍼(201)를 동작시 히터(205)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이상 상승되는 경우 동작시키며, 정지시에는 역순으로 정지시키며, 정지시에 디스플레이 패널(144)중 자동 기동 상태를 표시하는 램프를 점멸시킨다. 여기에서 또한, 운전 매뉴얼은 자동 매뉴얼과 복수의 수동 매뉴얼로 나뉘며, 수동 매뉴얼은 폐기물의 종류에 따라 각 구성부의 동작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설정된다.
구동부(143)는 중앙처리장치(142)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각각의 구성부로 전압을 공급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44)은 중앙처리장치(142)의 제어에 따라 각각의 구성부의 동작 상태 및 기동 상태를 복수의 램프(144-1)를 통해 표시하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구성부가 처리 순서에 따라 이미지로 표시되고, 각 이미지에 운전 및 이상 램프(144-1)가 구비되고, 호퍼(201) 및 트롬멜(207)의 속도를 알리는 계기판(144-2) 및 히터(205)의 온도를 알리는 계기판(144-3)이 각각 구비되며, 자동 수동 운전 여부를 알리는 계기판(144-4)이 구비된다.
영상 입출력부(145)는 카메라(130)의 영상을 입출력하고, 필요에 따라 영상을 시스템에 맞는 포맷으로 변환시키고, 중앙처리장치(142)의 제어에 따라 영상을 메모리(141)에 제공한다.
부저(146)는 중앙처리장치(142)의 제어에 따라 기동 및 이상 발생시 경고음을 송출한다.
한편, 모니터(150)는 PLC(140)로부터 중계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에서, 모니터(150)는 아날로그 방식으로 4대의 카메라(130)에서 영상신호를 PLC(140)의 영상 입출력부(145)를 통해 입력받은 다음, 1, 2, 3, 4 화면을 분할하 여 디스플레이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PLC를 이용한 폐기물 선별장치의 제어장치의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PLC를 이용한 폐기물 선별장치의 제어장치의 자동 기동 과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관리자가 리모트 컨트롤러(120)의 운전 스위치(125)를 조작하여 자동 운전을 선택하고(S100), 기동 및 정지 스위치(126)를 조작하면 중앙처리장치(142)는 자동 매뉴얼에 따라 동작을 시작하는 데(S110), 먼저 부저(146)를 통해 자동 기동 경보를 5초간 경보한다(S120).
그런 다음, 중앙처리장치(142)는 구동부(143)를 제어하여 먼저 버킷 스크린(212)을 구동시키고(S130), 전류 센서(110)를 통해 동작 상태를 확인후 정상 동작이 이루어지면(S140), 디스플레이 패널(144)중 해당 이미지에 구비된 정상 램프(144-1)를 점등시키고, 약 2~3초간 지연 후(S150), 히터(205)와 제 2송풍기(213)를 동시에 구동시킨다(S160). 이때, 히터(205)의 온도는 관리자가 리모트 컨트롤러(120)의 온도 조절계(124)를 통해 설정하거나 기설정된다. 또한, 중앙처리장치(142)는 버킷 스크린(212)의 동작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부저(146)를 통해 경고음을 송출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 패널(144)중 해당 이미지에 구비된 이상 램프(144-1)를 점등시킨다.
그리고, 중앙처리장치(142)는 전류 센서(110)를 통해 히터(205)와 제 2송풍기(213)의 동작 상태를 확인후 정상 동작이 이루어지면 디스플레이 패널(144)중 해 당 이미지에 구비된 정상 램프(144-1)를 점등시키고, 약 2~3초간 지연 후(S160), 제 6벨트 컨베이어(211)를 구동시킨 다음, 동작 상태를 확인하여 정상 동작이 이루어지면 디스플레이 패널(144)중 해당 이미지에 구비된 정상 램프(144-1)를 점등시키고, 약 2~3초간 지연 후(S170), 제 5벨트 컨베이어(210)를 구동시킨다.
또한, 전류 센서(110)를 통해 제 5벨트 컨베이어(210)의 동작 상태를 확인후 정상 동작이 이루어지면 중앙처리장치(142)는 디스플레이 패널(144)중 해당 이미지에 구비된 정상 램프(144-1)를 점등시키고, 약 2~3초간 지연 후(S180), 제 4벨트 컨베이어(209)를 구동시킨 다음, 동작 상태를 확인하여 정상 동작이 이루어지면 중앙처리장치(142)는 디스플레이 패널(144)중 해당 이미지에 구비된 정상 램프(144-1)를 점등시키고, 약 2~3초간 지연 후(S190), 토사 정밀 스크린(214)을 구동시킨다.
또, 중앙처리장치(142)는 전류 센서(110)를 통해 토사 정밀 스크린(214)의 동작 상태를 확인후 정상 동작이 이루어지면 디스플레이 패널(144)중 해당 이미지에 구비된 정상 램프(144-1)를 점등시키고, 약 2~3초간 지연 후(S200), 트롬멜(207)을 구동시킨 다음, 동작 상태를 확인하여 정상 동작이 이루어지면 중앙처리장치(142)는 디스플레이 패널(144)중 해당 이미지에 구비된 정상 램프(144-1)를 점등시키고, 약 2~3초간 지연 후(S210), 약 2~3초간 지연 후 제 3벨트 컨베이어(208)를 구동시킨다.
한편, 중앙처리장치(142)는 전류 센서(110)를 통해 제 3벨트 컨베이어(208)의 동작 상태를 확인후 정상 동작이 이루어지면 디스플레이 패널(144)중 해당 이미 지에 구비된 정상 램프(144-1)를 점등시키고, 약 2~3초간 지연 후(S220), 제 2벨트 컨베이어(203)를 구동시킨 다음, 동작 상태를 확인하고 정상 동작이 이루어지면 디스플레이 패널(144)중 해당 이미지에 구비된 정상 램프(144-1)를 점등시키고, 약 2~3초간 지연 후(S230), 제 1송풍기(204)를 구동시킨다.
그리고, 중앙처리장치(142)는 전류 센서(110)를 통해 제 1송풍기(204)의 동작 상태를 확인후 정상 동작이 이루어지면 디스플레이 패널(144)중 해당 이미지에 구비된 정상 램프(144-1)를 점등시키고, 약 2~3초간 지연 후(S240), 부채살 진동 스크린(206)과 제 1벨트 컨베이어(202)를 순차적으로 구동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중앙처리장치(142)는 전류 센서(110)를 통해 제 1벨트 컨베이어(202)의 동작 상태를 확인후 정상 동작이 이루어지면 디스플레이 패널(144)중 해당 이미지에 구비된 정상 램프(144-1)를 점등시키고, 약 2~3초간 지연 후(S250), 히터(205)의 온도를 체크하여(S260), 히터(205)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이상 상승되었으면(S270), 호퍼(201)를 동작시키고, 동작 상태를 확인후 정상 동작이 이루어지면 디스플레이 패널(144)중 해당 이미지에 구비된 정상 램프(144-1)를 점등시킨 다음(S280), 작업을 시작한다(S290).
호퍼(201)의 동작이 이루어지면, 중앙처리장치(142)는 각각의 전류 센서(110)로부터 입력되는 전류 변동량에 따라 각각의 구성부의 동작 상태 및 이상 여부를 실시간으로 체크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44)을 통해 각각의 구성부의 동작 상태 및 기동 상태를 복수의 램프(144-1)를 통해 표시한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144)은 각 구성부가 처리 순서에 따라 이미지로 표시되고, 각 이미지에 운전 및 이상 램프(144-1)가 구비되고, 이상 발생시 부저(146)를 통해 경고음을 송출하기 때문에 손쉽게 이상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는 리모트 컨트롤러(120)를 통해 각 구성부의 회전, 속도 등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자는 모니터(150)를 통해 현장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있다가 비상 상황 발생시 리모트 컨트롤러(120)의 비상 정지 스위치(127)를 누르면 중앙처리장치(142)는 각 구성부의 동작을 모두 정지시킨다.
한편, 중앙처리장치(142)는 관리자가 리모트 컨트롤러(120)의 기동 및 정지 스위치(126)를 조작하면 각 구성부의 동작을 상기의 자동 기동의 역순으로 하여 일정 시간의 지연 시간을 갖으면서 각 구성부의 동작을 멈추는 데,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144)중 자동 기동 상태를 표시하는 램프를 점멸시켜 자동 정지임을 외부로 알린다.
관리자가 리모트 컨트롤러(120)의 운전 스위치(125)를 조작하여 수동 운전을 선택하고(S111), 기동 및 정지 스위치(126)를 조작하면 중앙처리장치는 수동 매뉴얼에 따라 상기와 같은 방식을 통해 각 구성부를 동작시킨다(S112).
또한, 관리자는 리모트 컨트롤러(120)의 온/오프 스위치(121)를 통해 각 구성부를 개별적으로 운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인 PLC를 이용한 폐기물 선별장치의 제어장치에 따르면, 관리자의 선택에 따라 작업을 자동 및 수동으로 선택하여 해당 기기를 제어할 수 있고, 별도의 리모트 컨트롤러를 통해 관리자가 해당 기기를 직접 제어할 수 있어 작업 조건 변경에 따라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고, 기기별 수동 제어가 가능하여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카메라를 이용하여 작업장 환경을 원격 감시하여 비상 상황 발생시 관리자가 폐기물 선별장치를 비상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상 상황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5)

  1. 호퍼와; 부채살 진동 스크린과; 트롬멜과; 토사 정밀 스크린과; 버킷 스크린과; 제 1, 2송풍기와; 히터와; 제 1~6벨트 컨베이어와; 상기 각각의 구성부의 전류량을 감지하는 복수의 전류 센서와; 상기 각각의 구성부를 온/오프시키는 복수의 온/오프 스위치와, 상기 각각의 구성부의 속도를 조절하는 복수의 속도 설정기와, 상기 트롬멜의 정역회전을 설정하는 회전 설정기와, 상기 히터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계와, 자동, 수동 운전을 선택할 수 있는 운전 스위치와, 운전에 따른 기동 및 정지 스위치와, 비상 정지에 따른 비상 정지 스위치를 구비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와; 상기 각각의 구성부가 설치된 현장의 영상을 촬영하는 복수의 카메라와;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를 통한 관리자의 입력에 따라 기설정된 각각의 운전 매뉴얼에 의해 상기 전류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확인하여 상기 각각의 구성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중계 및 저장하는 PLC와; 상기 PLC로부터 중계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LC를 이용한 폐기물 선별장치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PLC는,
    시스템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 및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각각의 운전 매뉴얼이 저장되며, 상기 카메라의 영상이 저장되는 메모리와;
    상기 전류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전류 변동량에 따라 상기 각각의 구성부의 동작 상태 및 이상 여부를 체크하고,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를 통한 관리자의 입력에 따라 기설정된 각각의 운전 매뉴얼 또는 관리자의 직접 제어에 의해 상기 전류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확인하여 상기 각각의 구성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와;
    상기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각각의 구성부로 전압을 공급하는 구동부와;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제어에 따라 상기 각각의 구성부의 동작 상태 및 기동 상태를 복수의 램프를 통해 표시하되, 각 구성부가 처리 순서에 따라 이미지로 표시되고, 각 이미지에 운전 및 이상 램프가 구비되고, 상기 호퍼 및 트롬멜의 속도를 알리는 계기판 및 히터 온도를 알리는 계기판이 각각 구비되며, 자동 수동 운전 여부를 알리는 계기판이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카메라의 영상을 입출력하는 영상 입출력부와;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제어에 따라 기동 및 이상 발생시 경고음을 송출하는 부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LC를 이용한 폐기물 선별장치의 제어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관리자가 자동 운전을 선택하면 상기 부저를 통해 자동 기동 경보를 일정 시간 경보하고, 상기 버킷 스크린, 히터, 제 2송풍기, 제 6벨트 컨베이어, 제 5벨트 컨베이어, 제 4벨트 컨베이어, 토사 정밀 스크린과, 트롬멜, 제 3벨트 컨베이어, 제 2벨트 컨베이어, 제 1송풍기, 부채살 진동 스크린, 제 1벨트 컨베이어, 호퍼를 순차적으로 동작시키되, 각 구성부가 동작후 일정 시간의 지연 시간을 갖으며, 상기 호퍼를 동작시 상기 히터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이상 상승되는 경우 동작시키며, 정지시에는 역순으로 정지시키며, 정지시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중 자동 기동 상태를 표시하는 램프를 점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LC를 이용한 폐기물 선별장치의 제어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매뉴얼은,
    자동 매뉴얼과 복수의 수동 매뉴얼로 나뉘며, 수동 매뉴얼은 폐기물의 종류에 따라 각 구성부의 동작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LC를 이용한 폐기물 선별장치의 제어장치.
KR1020060047623A 2006-05-26 2006-05-26 피엘씨를 이용한 폐기물 선별장치의 제어 장치 KR1006838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7623A KR100683892B1 (ko) 2006-05-26 2006-05-26 피엘씨를 이용한 폐기물 선별장치의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7623A KR100683892B1 (ko) 2006-05-26 2006-05-26 피엘씨를 이용한 폐기물 선별장치의 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3892B1 true KR100683892B1 (ko) 2007-02-16

Family

ID=38103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7623A KR100683892B1 (ko) 2006-05-26 2006-05-26 피엘씨를 이용한 폐기물 선별장치의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389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1390B1 (ko) 2006-12-05 2007-10-04 이정재 건축폐기물 선별 분리장치
CN103853090A (zh) * 2014-01-14 2014-06-11 鄂尔多斯市城市矿产研究开发有限责任公司 生活垃圾处理分选系统的自动控制
CN106311602A (zh) * 2015-06-16 2017-01-11 徐工集团工程机械股份有限公司 电气控制系统及控制方法、筛分机
KR102021735B1 (ko) * 2019-04-18 2019-09-18 주식회사 다원환경 혼합 폐기물 선별시스템
CN110482072A (zh) * 2019-07-02 2019-11-22 上海净收智能科技有限公司 垃圾分类方法、系统、介质、垃圾收纳装置、及云端平台
KR102330558B1 (ko) * 2021-01-27 2021-11-26 (주)정인산업 폐비닐 재활용 장치의 관리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8150A (ko) * 2000-12-16 2002-06-22 이구택 입도선별기의 자동 손상 검지방법
KR100441430B1 (ko) 2004-02-27 2004-07-23 주식회사 남부환경개발 이중 스크린망 트럼멜 및 이를 갖는 건설폐기물 선별장치
KR20050019441A (ko) * 2003-08-19 2005-03-03 서재호 석산용 또는 재활용 건설폐기물 파쇄 및 선별 시스템의자동제어장치
KR200379524Y1 (ko) 2004-12-28 2005-04-19 주식회사 세계로시스템 농산물 선별장치
KR100517356B1 (ko) 2004-12-30 2005-09-27 주식회사 남부환경개발 매립폐기물 선별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8150A (ko) * 2000-12-16 2002-06-22 이구택 입도선별기의 자동 손상 검지방법
KR20050019441A (ko) * 2003-08-19 2005-03-03 서재호 석산용 또는 재활용 건설폐기물 파쇄 및 선별 시스템의자동제어장치
KR100441430B1 (ko) 2004-02-27 2004-07-23 주식회사 남부환경개발 이중 스크린망 트럼멜 및 이를 갖는 건설폐기물 선별장치
KR200379524Y1 (ko) 2004-12-28 2005-04-19 주식회사 세계로시스템 농산물 선별장치
KR100517356B1 (ko) 2004-12-30 2005-09-27 주식회사 남부환경개발 매립폐기물 선별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1390B1 (ko) 2006-12-05 2007-10-04 이정재 건축폐기물 선별 분리장치
CN103853090A (zh) * 2014-01-14 2014-06-11 鄂尔多斯市城市矿产研究开发有限责任公司 生活垃圾处理分选系统的自动控制
CN106311602A (zh) * 2015-06-16 2017-01-11 徐工集团工程机械股份有限公司 电气控制系统及控制方法、筛分机
KR102021735B1 (ko) * 2019-04-18 2019-09-18 주식회사 다원환경 혼합 폐기물 선별시스템
CN110482072A (zh) * 2019-07-02 2019-11-22 上海净收智能科技有限公司 垃圾分类方法、系统、介质、垃圾收纳装置、及云端平台
KR102330558B1 (ko) * 2021-01-27 2021-11-26 (주)정인산업 폐비닐 재활용 장치의 관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3892B1 (ko) 피엘씨를 이용한 폐기물 선별장치의 제어 장치
US20100091103A1 (en) User interface of mineral material processing equipment
JP3160332U (ja) 廃棄物処理システム
JP2007126246A (ja) ごみ処理工場用自動クレーンの制御装置
CN104148282A (zh) 振动筛及其筛网破损检测装置
WO2018139456A1 (ja) 放射線検出アタッチメント、作業機械、及び選別方法
CN112387985A (zh) 用于增材制造设备的闭环粉末循环系统及其控制方法
US5519638A (en) Automatic system for monitoring and replenishing hazardous liquids in tanks
JP4297432B2 (ja) 焼却飛灰積込みシステム
KR100615513B1 (ko) 석산용 또는 재활용 건설폐기물 파쇄 및 선별 시스템의자동제어장치
JP2008100407A (ja) コンクリートミキサー車の残水報知システム
CN207332943U (zh) 掘进工作面多气体检测及风机控制一体化系统
KR200332877Y1 (ko) 석산용 또는 재활용 건설폐기물 파쇄 및 선별 시스템의자동제어장치
JP5009754B2 (ja) 自走式処理機械の操作装置
JP4576174B2 (ja) 骨材判別装置
CN214079259U (zh) 用于增材制造设备的闭环粉末循环系统
CN218486231U (zh) 一种多晶硅破碎筛分装置
EP4234458A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veying construction waste
CN212241672U (zh) 一种密炼机及其炭黑投料系统
JP7304144B2 (ja) 廃棄物処理システム
JPH0597250A (ja) ダンプトラツク誘導システム
KR100432162B1 (ko) 고로용 연료 및 원료 내 혼입금속 검출장치
JP2006059148A (ja) 空気導入型異常監視装置、及び通信ネットワーク対応型空気導入型異常監視システム
JP2005174611A5 (ko)
US20240024889A1 (en) Mobile rock processing apparatus with improved planning of a discontinuous material fe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