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1390B1 - 건축폐기물 선별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건축폐기물 선별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1390B1
KR100761390B1 KR20060121970A KR20060121970A KR100761390B1 KR 100761390 B1 KR100761390 B1 KR 100761390B1 KR 20060121970 A KR20060121970 A KR 20060121970A KR 20060121970 A KR20060121970 A KR 20060121970A KR 100761390 B1 KR100761390 B1 KR 100761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construction waste
sorting
receiving space
foreign ma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60121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재
Original Assignee
이정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재 filed Critical 이정재
Priority to KR20060121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13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1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1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03B5/28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sink-float separation
    • B03B5/3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sink-float separation using heavy liquids or suspensions
    • B03B5/36Devices therefor, other than using centrifugal force
    • B03B5/40Devices therefor, other than using centrifugal force of trough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03B5/48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mechanical classifiers
    • B03B5/50Rake classif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9/00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 B03B9/06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 B03B9/061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the refuse being industrial
    • B03B9/065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the refuse being industrial the refuse being building rub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8Construction or demolition [C&D] was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Of Solids By Using Liquids Or Pneumatic Power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폐기물 선별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파쇄된 건설폐기물을 이송시키는 이송 컨베이어와 상면이 개방된 구조로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하부에 배치되고, 내부에는 유체가 충진되는 수용공간부가 구비되며, 일측면에는 배출관이 경사지게 설치되고, 타측 상면에는 장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부의 저면에는 상기 건설폐기물에서 분리된 이물질을 상기 배출관을 통해 배출시키는 하부배출장치가 구비되고, 상부에는 상기 장홈부로 이물질을 배출시키는 상부배출장치가 구비된 선별장치와 일측은 상기 이송 컨베이어에 대응되도록 상기 수용공간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타측은 상기 수용공간부의 외부로 돌출되게 배치된 배출 컨베이어와 상기 선별장치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부에 유체를 공급하는 수조와 상기 수조의 유체를 양수기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부로 공급하는 공급관으로 구성되어, 선별 장치에 하부 배출장치와 상부 배출장치를 구비시킴으로써, 간편하게 건설폐기물 중 콘크리트 블럭에 포함된 이물질을 간편하게 분리시키고 그 분리된 이물질을 자동으로 수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건축 폐기물, 콘크리트 블럭, 선별 분리장치, 배출장치, 컨베이어

Description

건축폐기물 선별 분리장치{Separation Equipment of the Construction Wast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폐기물 선별 분리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폐기물 선별 분리장치에 있어 선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폐기물 선별 분리장치에 있어 선별장치를 나타낸 부분절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폐기물 선별 분리장치의 하부배출장치에 있어, 이물질배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폐기물 선별 분리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 : 건축폐기물 선별 분리장치 2 : 이송 컨베이어
3 : 선별 장치 31 : 수용공간부
32 : 배출관 321 : 배출모터
321a : 제어부 33 : 장홈부
34 : 하부배출장치 341 : 이물질이동장치
341a : 구동모터 341b : 회전축
341c : 체인 341d : 이동부재
342 : 이물질 배출장치 342a : 회전축
342b : 체인 342c : 이동 배출부재
35 : 상부배출장치 351 : 작동모터
352 : 회동축 353 : 날개
36 : 저면 361 : 경사면
362 : 배출홈부 37 : 안내부
38 : 발판 39 : 받침부
4 : 배출 컨베이어 5 : 수조
51 : 공간부 6 : 공급관
61 : 연결관 611 : 분사공
B : 콘크리트 블럭 b : 연결벨트
본 발명은 건축폐기물 선별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별 장치에 하부 배출장치와 상부 배출장치를 구비시킴으로써, 간편하게 건설폐기물 중 콘크리트 블럭에 포함된 이물질을 간편하게 분리시키고 그 분리된 이물질을 자동으로 수거할 수 있는 건축폐기물 선별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폐기물이라 함은 쓰레기, 폐자재 등이 섞인 흙이나 모래, 자갈, 콘크리트덩이, 폐목재, 아스팔트 콘크리트덩이 등을 지칭하는 것이며, 그 주요 특성의 하나가 건설폐기물의 대부분이 무기물로 구성되어 있어 인체에 무해하다는 것과, 다종의 폐기물이 혼재된 상태로 배출되어 그 처리가 복잡, 곤란하다는 것으로 바로 이점이 그동안 유용재로 활용할 수 있는 건설폐기물 처리에 관한 정부와 업계의 무관심의 원인을 제공한 것이라 할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건설폐기물 재생기술은, 대개 건설폐기물가 투입되는 호퍼, 호퍼에 투입된 건설폐기물을 적정량으로 공급하는 피더, 상기 피더를 통해 공급되는 건설폐기물을 파쇄하는 하나 이상의 파쇄수단, 건설폐기물에서 철근류를 선별하는 자석수단, 건설폐기물을 입도별로 선별하는 스크린, 건설폐기물을 이송하는 컨베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종래 기술에 의한 건설폐기물 재생기술은 파쇄→선별의 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작업방법은 국내 건설폐기물의 발생 여건상 재생골재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없게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건설폐기물은 현재 국내의 건설폐기물 발생 특성은 배출 사업자의 환경의식 결여와 해체공사시 사전 분리작업의 미비로 인하여 단순 건설폐기물이 아닌 혼합폐기물의 형태로 발생되고 있다. 즉, 재생시설에 공급되는 건설폐기물은 원석(콘크리트 덩어리), 토사, 이물질(폐비닐, 폐목재, 폐스티로폼, 폐 의류 등)이 혼합된 상태이며, 이처럼, 각종물질이 혼합된 상태로 파쇄→선별을 거치게 되는데, 실질적으로 파쇄대상은 일정 크기 이상의 원석이지만, 원석, 토사, 각종 이물질이 혼합된 상태로 파쇄된 후 선별되어 선별된 제품은 원석 이외에도 토사, 이물질이 혼합된 상태이므로 골재의 품질이 떨어진다.
그리고, 종래의 건설폐기물 현장의 기술력은 파쇄기에서 파쇄되어 컨베이어를 통해 배출되는 건설폐기물을 바닥(지면)에 깔고 인력으로 수작업해서 각종 이물질을 선별하는 작업을 해야하므로 생산성의 저하됨은 물론 번거롭고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파쇄를 할 경우 나무등 이물질이 잘게 원석과 같이 파쇄가 되어 골재와 같이 섞이기 때문에 골재의 선별시 나무조각 등의 이물질이 골재와 같이 혼합되어 우천시 선별작업이 더욱더 큰 문제점으로 대두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설폐기물의 콘크리트 블럭에 포함된 이물질을 손쉽게 분리시킬 수 잇는 건축폐기물 선별분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파쇄된 건설폐기물을 이송시키는 이송 컨베이어와 상면이 개방된 구조로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하부에 배치되고, 내부에는 유체가 충진되는 수용공 간부가 구비되며, 일측면에는 배출관이 경사지게 설치되고, 타측 상면에는 장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부의 저면에는 상기 건설폐기물에서 분리된 이물질을 상기 배출관을 통해 배출시키는 하부배출장치가 구비되고, 상부에는 상기 장홈부로 이물질을 배출시키는 상부배출장치가 구비된 선별장치와 일측은 상기 이송 컨베이어에 대응되도록 상기 수용공간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타측은 상기 수용공간부의 외부로 돌출되게 배치된 배출 컨베이어와 상기 선별장치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부에 유체를 공급하는 수조와 상기 수조의 유체를 양수기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부로 공급하는 공급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별장치은 그 저면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과 그 경사면에서 연장되는 배출홈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급관에는 이물질을 상기 상부배출장치로 이동시키도록 다수개의 분사공이 구비된 절곡된 구조의 연결관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배출장치는 상기 선별장치의 외면에 배치된 구동모터와 상기 경사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회전되는 다수개의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감싸면서 고정되고 그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이동되는 한쌍의 체인과 상기 체인에 설치되어 경사면의 이물질을 상기 배출면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재로 구성된 이물질이동장치와 상기 배출관에 구비된 배출모터와 상기 배출면과 상기 배출관의 저면에 설치되고, 상기 배출모터와 연결되어 회전되는 다수개의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감싸면서 고정되어 그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이동되는 한쌍의 체인과 상기 체인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면의 이물질을 상기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 시키는 이동배출부재로 구성된 이물질배출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모터에는 그 배출모터의 작동시간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배출장치는 상기 수용공간부의 상부에 설치된 작동모터와 상기 작동모터에 의해 회동되는 회동축와 상기 회동축에 구비되어 그 회동축의 회전에 의해 이물질을 상기 장홈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다수개의 날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날개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다공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체는 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축폐기물 선별 분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폐기물 선별 분리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폐기물 선별 분리장치에 있어 선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폐기물 선별 분리장치에 있어 선별장치를 나타낸 부분절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폐기물 선별 분리장치의 하부배출장치에 있어, 이물질배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축폐기물 선별 분리장치(1)(이하 선별불리장치)는 파쇄된 건설폐기물(이하 콘크리트 블럭(B))을 이송시키는 이송 컨베이어(2)와 상면이 개방된 구조로 내부에 수용공간부(31)를 갖는 선별장치(3)와 일측은 상기 이송 컨베이어(2)에 대응되도록 상기 수용공간부(31)의 내부에 배치되고, 타측은 상기 수용공간부(31)의 외부로 돌출되게 배치된 배출 컨베이어(4)와 상기 선별장치(3)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부(31)에 유체을 공급하는 수조(5)와 상기 수조(5)의 유체를 양수기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부(31)로 공급하는 공급관(6)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유체는 물과 같은 액체이다.
상기 이송 컨베이어(31)는 다양한 물품을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이는 다수개의 회동수단과 벨트로 이루어져 있고 그 벨트에 물품을 배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회동수단을 구동시켜 상기 벨트를 이동시키게 됨으로써, 원하는 장소로 그 물품을 이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이송 컨베이어(2)에 건축폐기물 즉 콘크리트 블럭(B)등이 배치되며 그 콘크리트 블럭(B)을 이동시켜 상기 선별장치(3)의 수용공간부(31)로 상기 콘크리트 블럭(B)이 수납되도록 한다.
상기 선별장치(3)는 상면이 개방된 구조로 상기 이송 컨베이어(2)의 하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수용공간부(31)가 구비되며, 일측면에는 배출관(32)이 경사지게 설치되고, 타측 상면에는 장홈부(33)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부(31)의 저면에는 상기 건설폐기물에서 분리된 이물질을 상기 배출관(32)을 통해 배출시키는 하부배출장치(34)가 구비되고, 상부에는 상기 장홈부(33)로 이물질을 배출시키는 상부배출장치(35)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수용공간부(31)에는 물과 같은 액체가 충진되어 상기 이송 컨베이어(2)에 의해 이송된 다수의 콘크리트 블럭(B)이 상기 수용공간부(31)에 삽입되고, 그 수용공간부(31)의 물에 의해 상기 콘크리트 블럭(B)과 그 콘크리트 블럭(B)에 묻은 이물질이 분리된다. 즉 상기 이물질은 물에 뜨도록 부력이 큰 이물질(나뭇잎, 종이, 나무조각, 스티로폼 등)과 물에 잠기게 되는 부력이 작은 이물질(금속재의 철편, 철사 및 철조각 등)로 분리되며, 물에 뜨는 이물질은 상기 상부배출장치(35)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며, 물에 잠기는 이물질은 상기 하부배출장치(34)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선별장치(3)은 그 저면(36)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361)과 그 경사면(361)에서 연장되는 배출홈부(362)로 이루어지며, 상기 경사면(361)의 상부에는 후술될 이물질이동장치(342)가 설치되고, 상기 배출홈부(362)와 상기 배출관(32)에는 후술될 하부배출장치(32)가 설치되며, 상기 선별장치의 외면 상측에는 상기 상부배출장치로 부터 배출되는 이물질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가 더 형성된다.
이때, 상기 안내부(37)의 하부에는 저면에 이송수단(도시생략)이 구비된 이물질 수용함(도시생략)을 구비시켜 상기 안내부(37)를 통해 떨어지는 이물질을 수 거하여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선별장치(3)에는 그 외면의 상단부에 작업자가 보행할 수 있도록 발판(38)을 용접 및 나사체결 등의 방법으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선별장치(3)의 하단부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39)를 설치하여 상기 수조(5)의 공간부(51)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배출장치(34)는 상기 선별장치(3)의 외면에 배치된 구동모터(341a)와 상기 경사면(361)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구동모터(431a)와 연결벨트(b)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되는 다수개의 회전축(341b)과 상기 회전축(341b)을 감싸면서 고정되고 그 회전축(431b)의 회전에 의해 이동되는 한쌍의 체인(341c)과 상기 체인(341c)에 설치되어 경사면(361)의 이물질을 상기 배출면(362)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재(341d)로 구성된 이물질이동장치와(341)와 상기 배출관(32)에 구비된 배출모터(321)와 상기 배출면(362)과 상기 배출관(32)의 저면에 설치되고, 상기 배출모터(321)와 연결벨트(b)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되는 다수개의 회전축(342a)과 상기 회전축(342a)을 감싸면서 고정되어 그 회전축(342a)의 회전에 의해 이동되는 한쌍의 체인(342b)과 상기 체인(342b)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면(362)의 이물질을 상기 배출관(32)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이동배출부재(342c)로 구성된 이물질배출장치(342)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배출모터(321)에는 그 배출모터(321)의 작동시간을 제어하는 제어부(321a)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321a)는 통상의 타이머(timer)이다.
여기서, 상기 이물질 이동장치(341)의 구동모터(341a)와 상기 배출관(32)의 배출모터(321)에는 상기 제어부(321a)를 더 구비시켜 그 구동모터(321a)와 상기 배출모터(321)의 작동시간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상부배출장치(35)는 상기 수용공간부(31)의 상부에 설치된 작동모터(351)와 상기 작동모터(351)에 연결벨트(b)로 연결되어 회동되는 회동축(352)와 상기 회동축(352)에 구비되어 그 회동축(352)의 회전에 의해 이물질을 상기 장홈부(33)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다수개의 날개(353)로 구성되어, 상기 수용공간부(31)의 상부의 이물질을 회동되는 상기 날개(353)에 의해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날개(353)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다공망으로 형성시켜 상기 수용공간부(31)의 물을 외부로 유출시키지 않고 이물질만을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 배출 컨베이어(4)는 이물질이 분리된 상기 콘크리트 블럭(B)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으로서, 이에 이와같은 배출 컨베이어(4)는 상술한 상기 이송 컨베이어(2)의 구성과 동일하며, 일측은 상기 이송 컨베이어(2)에 대응되도록 상기 수용공간부(31)의 내부에 배치되고, 타측은 상기 수용공간부(31)의 외부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이때, 상기 배출 컨베이어(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경사를 유지한 상태에서 배치된다.
상기 수조(5)는 상기 수용공간부(31)에 물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이에 이와같은 수조(5)는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부(51)가 형성되고, 그 공간부(51)에는 상기 선별장치(3)가 배치된다.
상기 공급관은 상기 수조(5)의 물을 양수기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부(31)로 공급하는 것으로, 이에 이와 같은 공급관에는 이물질을 상기 상부배출장치(35)로 이동시키도록 다수개의 분사공(611)이 구비된 절곡된 구조의 연결관(61)이 형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폐기물 선별 분리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건축폐기물 선별 분리장치(1)의 작동상태를 먼서, 상기 이송 컨베이어(2)를 통해 이동된 콘크리트 블럭(B)이 물이 충진된 상기 선별장치(3)의 수용공간부(31)에 떨어지게 됨과 아울러 그 콘크리트 블럭(B)에 묻은 이물질이 물에 의해 상기 콘크리트 블럭(B)에서 분리된다. 한편, 상기 이물질은 부력의 크기에 따라 물에 뜨는 이물질과 물에 잠기는 이물질로 분리되며, 이물질이 분리된 콘크리트 블럭(B)은 상기 배출 컨베이어(4)에 배치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부력이 큰 이물질은 물에 뜬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연결관(61)의 분사공(611)에서 분출되는 물에 의해 상기 상부배출장치(35)로 이동되어 상기 날개(363)의 회전에 의해 상기 장홈부(33)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부(31)에서 배출됨과 아울러 상기 안내부(37)에 안내되면서 상기 수용함(도시생략)에 수납된다.
다음, 물에 잠긴 이물질은 상기 경사면(361)의 상부에 설치된 이물질 이동장치(341)에 의해 상기 배출홈부(362)로 모이게 되고, 그 배출홈부(362)에 모인 이물질은 이물질 배출장치(342)에 의해 상기 배출관(32)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데 이때 상기 배출관(32)의 하단부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수용함(도시생략)을 구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건축폐기물 선별 분리장치는 선별 장치에 하부 배출장치와 상부 배출장치를 구비시킴으로써, 간편하게 건설폐기물 중 콘크리트 블럭에 포함된 이물질을 간편하게 분리시키고 그 분리된 이물질을 자동으로 수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파쇄된 건설폐기물을 이송시키는 이송 컨베이어(2)와
    상면이 개방된 구조로 상기 이송 컨베이어(2)의 하부에 배치되고, 내부에는 유체가 충진되는 수용공간부(31)가 구비되며, 일측면에는 배출관(32)이 경사지게 설치되고, 타측 상면에는 장홈부(33)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부(31)의 저면에는 상기 건설폐기물에서 분리된 이물질을 상기 배출관(32)을 통해 배출시키는 하부배출장치(34)가 구비되고, 상부에는 상기 장홈부(33)로 이물질을 배출시키는 상부배출장치(35)가 구비된 선별장치(3)와
    일측은 상기 이송 컨베이어(2)에 대응되도록 상기 수용공간부(31)의 내부에 배치되고, 타측은 상기 수용공간부(31)의 외부로 돌출되게 배치된 배출 컨베이어(4)와
    상기 선별장치(3)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부(31)에 유체를 공급하는 수조(5)와
    상기 수조(5)의 유체를 양수기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부(31)로 공급하는 공급관(6)으로 구성되며;
    상기 선별장치(3)은 그 저면(36)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361)과 그 경사면(361)에서 연장되는 배출홈부(362)로 이루어진 건축폐기물 선별 분리장치로서,
    상기 하부배출장치(34)는 상기 선별장치(3)의 외면에 배치된 구동모터(341a)와 상기 경사면(361)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구동모터(431a)와 연결되어 회전되는 다수개의 회전축(341b)과 상기 회전축(341b)을 감싸면서 고정되고 그 회전축(431b)의 회전에 의해 이동되는 한쌍의 체인(341c)과 상기 체인(341c)에 설치되어 경사면(361)의 이물질을 상기 배출면(362)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재(341d)로 구성된 이물질이동장치와(341);
    상기 배출관(32)에 구비된 배출모터(321)와 상기 배출면(362)과 상기 배출관(32)의 저면에 설치되고, 상기 배출모터(321)와 연결되어 회전되는 다수개의 회전축(342a)과 상기 회전축(342a)을 감싸면서 고정되어 그 회전축(342a)의 회전에 의해 이동되는 한쌍의 체인(342b)과 상기 체인(342b)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면(362)의 이물질을 상기 배출관(32)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이동배출부재(342c)로 구성된 이물질배출장치(34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폐기물 선별 분리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모터(321)에는 그 배출모터(321)의 작동시간을 제어하는 제어부(321a)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폐기물 선별 분리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20060121970A 2006-12-05 2006-12-05 건축폐기물 선별 분리장치 KR1007613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121970A KR100761390B1 (ko) 2006-12-05 2006-12-05 건축폐기물 선별 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121970A KR100761390B1 (ko) 2006-12-05 2006-12-05 건축폐기물 선별 분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1390B1 true KR100761390B1 (ko) 2007-10-04

Family

ID=39418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0121970A KR100761390B1 (ko) 2006-12-05 2006-12-05 건축폐기물 선별 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139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24387A (zh) * 2020-08-04 2020-11-13 泉州市元通科技服务有限公司 一种建筑用垃圾分类回收装置
KR102197370B1 (ko) 2020-04-29 2020-12-31 새마을환경개발주식회사 파쇄기능이 포함된 로더밀 동시 회전형 선별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6545A (ja) * 1993-11-22 1995-05-30 Echo Tec:Kk 破砕物のジグ選別方法およびそのための装置
KR0136229Y1 (ko) * 1996-03-07 1999-03-20 홍성평 건축폐기물을 위한 분류기
KR200313445Y1 (ko) 2003-02-07 2003-05-16 삼표산업 주식회사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 제거장치
KR100533616B1 (ko) 2005-07-22 2005-12-06 충청환경산업 주식회사 골재 선별 세척장치
KR100683892B1 (ko) 2006-05-26 2007-02-16 주식회사 남부환경개발 피엘씨를 이용한 폐기물 선별장치의 제어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6545A (ja) * 1993-11-22 1995-05-30 Echo Tec:Kk 破砕物のジグ選別方法およびそのための装置
KR0136229Y1 (ko) * 1996-03-07 1999-03-20 홍성평 건축폐기물을 위한 분류기
KR200313445Y1 (ko) 2003-02-07 2003-05-16 삼표산업 주식회사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 제거장치
KR100533616B1 (ko) 2005-07-22 2005-12-06 충청환경산업 주식회사 골재 선별 세척장치
KR100683892B1 (ko) 2006-05-26 2007-02-16 주식회사 남부환경개발 피엘씨를 이용한 폐기물 선별장치의 제어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7370B1 (ko) 2020-04-29 2020-12-31 새마을환경개발주식회사 파쇄기능이 포함된 로더밀 동시 회전형 선별기
CN111924387A (zh) * 2020-08-04 2020-11-13 泉州市元通科技服务有限公司 一种建筑用垃圾分类回收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8582B1 (ko) 건설 폐기물의 선별 분리장치
KR100756420B1 (ko) 건설폐기물에서 골재와 이물질의 선별 분리장치 및 그 방법
KR20210108268A (ko) 매립쓰레기에서 가연성쓰레기를 연료화하고 토석류는 재활용하기 위한 선별방법 및 선별시스템
KR100533738B1 (ko) 건설폐기물 습식 이물질 분류 장치
EP234661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laiming material
KR20140105041A (ko) 폐기물의 파쇄 및 선별장치와 그 방법
KR100761390B1 (ko) 건축폐기물 선별 분리장치
KR100729956B1 (ko) 음식쓰레기 일괄 처리장치
KR100553024B1 (ko) 폐토사를 이용한 잔골재 제조장치
KR100436545B1 (ko) 건설폐기물에서의 재생골재 선별장치
KR100494579B1 (ko) 폐기물선별장치
KR100472078B1 (ko) 건설폐기물에 포함된 임목폐기물 재활용장치 및 그 방법
KR100751838B1 (ko) 건축 폐기물의 분리장치
KR20030078844A (ko) 건설 폐기물 처리장치
KR101910463B1 (ko)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비닐류를 제거하기 위한 음식물 쓰레기 분쇄방법
KR100465313B1 (ko) 건설폐기물 재활용골재 선별장치
KR200275784Y1 (ko) 건설폐기물에서의 재생골재 선별장치
KR200286933Y1 (ko) 폐기물선별장치의 1차 처리물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는장치
KR20050055362A (ko) 비중차를 이용한 선별토사의 이물질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KR100791119B1 (ko) 쓰레기매립장의 토사와 폐기물의 분리 및 재활용화의선별장치 및 선별방법
JP3133689B2 (ja) 埋立被処理物の前処理方法
KR200366408Y1 (ko) 건설폐기물의 모래 선별장치
KR200411272Y1 (ko) 파쇄된 토사 선별장치
KR100550914B1 (ko) 건축폐기물에 있어서 부유성 폐기물 압축장치
JPH041452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