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1272Y1 - 파쇄된 토사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파쇄된 토사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1272Y1
KR200411272Y1 KR2020050037182U KR20050037182U KR200411272Y1 KR 200411272 Y1 KR200411272 Y1 KR 200411272Y1 KR 2020050037182 U KR2020050037182 U KR 2020050037182U KR 20050037182 U KR20050037182 U KR 20050037182U KR 200411272 Y1 KR200411272 Y1 KR 2004112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er
foreign matter
earth
sand
s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71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영노
Original Assignee
세창환경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창환경건설(주) filed Critical 세창환경건설(주)
Priority to KR20200500371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12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12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127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1/00Arrangement of accessories in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 B07B11/02Arrangement of air or material conditioning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9/00Combinations of apparatus for screening or sifting or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General arrangement of plant, e.g. flow 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쇄된 토사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토사에 포함된 모든 이물질을 토사로부터 선별하여 양질의 토사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개시된 본 고안에 따른 파쇄된 토사 선별장치는, 서로 대응되는 배출단과 입구단이 높이차를 두고 설치되어 파쇄된 토사를 이송하는 제1,2이송수단의 사이에 장착되며 송풍력을 상기 제2이송수단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하여 상기 제1이송수단에서 낙하하는 상기 토사에 포함된 이물질을 비산시키는 제1송풍기(10)와; 상기 제1,2이송수단 중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은 제2이송수단의 일측에 상기 토사의 이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송풍력을 가하여 상기 제1송풍기에 의해 비산되는 이물질을 반대측으로 비산시켜 선별하는 제2송풍기(20)와; 상기 제2이송수단을 중심으로 상기 제2송풍기의 반대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2송풍기에 의해 비산되는 이물질이 모이는 이물질 포집부(30)와; 그리고, 내부에 상기 제2이송수단이 장착되며 상기 제1,2송풍기 및 이물질 포집부와 연통되어 상기 제1송풍기의 송풍력에 의해 비산되는 이물질이 상기 제2송풍기의 송풍력에 의해 상기 이물질 포집부에 포집되도록 하는 밀폐형 토사 선별탱크(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건설폐기물, 토사, 이물질, 비중, 송풍기

Description

파쇄된 토사 선별장치{APPARATUS FOR SORTING WASTE IN CRUSHED SAND WASTE}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파쇄된 토사 선별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파쇄된 토사 선별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파쇄된 토사 선별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파쇄된 토사 선별장치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이송컨베이어, 10,20,40 : 송풍기
30 : 이물질 포집부, 40 : 밀폐형 토사 선별탱크
50 : 이송수단, 51 : 이송플레이트
52 : 가이드슈트,
본 고안은 파쇄된 토사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토사에 포함된 이물질의 선별 효율을 높여 양질의 토사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한 파쇄된 토사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른바, 개발우선정책과 고도성장주의의 정책추진에 따라 이제까지 국내에서는 그 역기능인 환경문제는 고려의 대상에서 다소 벗어나 있었음이 현실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성장위주 정책의 결과 그 부산물의 각종의 폐기물과 오염물질의 증가는 이제 더 이상 미뤄질 수 없는 절박한 시점에 도달되어 있다.
특히, 각종 건축, 토목공사의 건설산업폐기물은 매우 급격한 증가를 보이고 있는바, 이는 도시와 지방 건축물의 노후화 및 기능저하에 따라 최근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재개발, 재건축의 활성화 및 구조물의 해체에 주로 기인한다.
일반적으로, 건설폐기물이라 함은 쓰레기, 폐자재등이 섞인 흙이나 모래, 자갈, 토석 또는 이들이 혼합된 형태의 토사와, 콘크리트덩이, 폐목재, 아스팔트 콘크리트덩이 및 건설 오니 등을 지칭하는 것이며, 그 주요 특성의 하나가 건설폐기물의 대부분이 무기물로 구성되어 있어 인체에 무해하다는 것과, 다종의 폐기물이 혼재된 상태로 배출되어 그 처리가 복잡, 곤란하다는 것으로 바로 이점이 그 동안 유용재로 활용할 수 있는 건설폐기물 처리에 관한 정부와 업계의 무관심의 원인을 제공한 것이라 할 것이다.
이러한 무관심은 귀중한 자원의 낭비를 수반하였고, 그나마 이루어지고 있던 재생골재의 품질저하를 유발시키게 되어, 재생골재의 활용도는 성토나, 복토 및 매립용등 대부분이 토사대용으로 사용되는데 그치고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폐기물의 관리를 통해 실질적인 재활용을 가능하게 함으로 환경오염의 최소화와 부족자원의 대체화, 그리고 건설산업기반의 원가절감을 적극적으로 도모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국내에서는 최근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어 건설폐기물의 재활용이 의무화되기 시작하였으며, 비로소 재활용을 위한 각종 생산설비가 제작되어 각종 산업 현장에 적용되기 시작하였다.
상기에서와 같이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의무화에 따라 종래 단순 소거처리의 폐기물 처리방식에서 벗어나 부분적, 혹은 폐기물 처리에서부터 재생까지의 일괄적인 처리를 담당하는 여러 장치가 제안되었다.
현재, 각 건설업체에서는 해당 건설현장에 크러셔(CRUSHER)를 반입하여 폐자재의 재활용을 도모하고 있으나, 이는 건설폐자재가 다종다양한 것이 혼합되어 배출되는 경우가 많고, 이동식 기기의 성능상 소정의 품질을 확보하기가 곤란하였다.
또한, 이와 같은 각 장치들의 대부분은 건설폐기물이 발생특성이 국내, 성상과는 상이한 외국의 제품이나, 그 기술을 모방한 것으로 효용성이 매우 낮아 그 사용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었다.
또한, 건설폐기물을 이용하여 재생골재를 생산하거나, 또는 쓰레기를 자동으로 분리하는 방법은 선진화된 외국의 기술로도 그 품질개선을 기대할 수 없었다.
건설폐기물 선별장치는 대개, 건설폐기물을 파분쇄하는 파분쇄장치, 건설폐기물을 크기별로 선별하는 선별장치, 철근류를 선별하는 자석, 폐기물을 세척하는 세척장치, 비중이 작은 폐기물(비닐류, 스티로폼 등과 같은 이물질)을 선별하는 비중선별장치 등으로 구성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건설폐기물 선별방법에 의한 토사 선별장치는, 대개 자유낙하하는 토사에 송풍력을 가하여 이물질을 토사로부터 제거하는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토사 선별장치에 따르면 송풍력에 의해 토사에 묻은 이물질 중 일부를 제거할 수 있지만, 토사들 사이에 놓여져 송풍력이 미치지 않는 이물질은 토사로부터 선별되지 못하며, 결과적으로 양질의 토사를 생산하기 위해서 토사로부터 선별되지 못한 이물질을 재선별하는 공정이 필요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 이물질이 포함된 토사를 공급함에 따라 토사의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토사의 비중선별이 대개 선별현장의 외부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외부 바람의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으므로 송풍효율이 떨어지고, 선별된 이물질이 주위로 비산되어 민원이 발생되며, 외부 이물질이 토사에 포함되는 문제점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토사로부터 이물질 선별하기 위하여 공급할 때 1차적으로 이물질이 송풍기의 송풍력에 의해 선별될 수 있도록 전처리하여 토사로부터 모든 이물질을 선별할 수 있도록 한 파쇄된 토사 선별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토사로부터 이물질을 선별하기 위한 송풍력의 손실을 없애고, 선별된 이물질이 외부로 비산되지 않도록 하려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본 고안에 따른 파쇄된 토사 선별장치는, 파쇄(및/또는 분쇄)되어 골재 등이 선별된 토사에 송풍력을 가하여 토사에 포함된 이물질을 선별하는 것으로, 자유낙하하는 토사에 송풍력을 가하여 토사에 묻은 이물질을 밀폐된 선별공간으로 비산시키는 제1송풍수단, 상기 송풍기에 의해 비산되는 이물질을 일정 장소로 비산시켜 토사로부터 제거하는 제2송풍수단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 실시예 1 >
도 1 내지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파쇄된 토사 선별장치(100)는, 토사 이송수단인 제1이송컨베이어(1)의 배출단과 제2이송컨베이어(2)의 입구단 사이 간격에 송풍구(11)가 대응되어 제1이송컨베이어(1)에서 제2이송컨베이어(2)로 낙하하는 토사(S)에 송풍력을 가함으로써 토사(S)에 포함된 이물질(미분, 가연성 쓰레기 등)을 비산시키는 제1송풍기(10)와, 제2이송컨베이어(2)의 이송방향의 일측에 설치되며 제2이송컨베이어(2)를 타고 이송되는 토사(S)와 제1송풍기(10)에 의해 비산되는 이물질(W)에 송풍력을 가하여 이물질(W)이 비산되도록 하는 제2송풍기(20)와, 제2송풍기(20)의 반대측에 배치되며 제2송풍기(20)의 송풍력에 의해 비산되는 이물질(W)이 모이는 이물질 포집부(30)와, 내부에 제2이송컨베이어(2)가 장착되며 제1,2송풍기(10,20) 및 이물질 포집부(30)와 연통되어 제1,2송풍기 (10,20)의 송풍력에 의해 이물질(W)이 이물질 포집부(30)에 모이도록 하는 밀폐형 토사 선별탱크(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제1송풍기(10)는 자유낙하상태의 토사에 송풍력을 가하여 토사(S)와 이물질(W) 중 비중이 가벼운 이물질(W)을 밀폐형 토사 선별탱크(40)의 공중(또는 제2이송컨베이어(2)를 따라 이송되는 토사(S)의 표면)으로 비산시킴으로써 제2송풍기(20)의 송풍력에 의한 토사 선별효율을 높일 수 있는 전처리 기술인 것인다.
이물질 포집부(30)는 포집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도어(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밀폐형 토사 선별탱크(40)는 제1,2송풍기(10,20)의 송풍력이 외부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밀폐형 선별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토사(S)와 이물질(W)의 선별을 위하여 필요한 공간(예컨대, 토사 투입구(41), 토사 배출구(41), 제2송풍기 연통구(43), 이물질 포집부 연통구(44))만 개방된 구조가 바람직하다.
제1송풍기(10)에 의해 비산되는 이물질의 비산거리는 송풍력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비산거리를 길게 하면 제1송풍기(10)의 송풍력을 무리하게 크게 하여야 하므로, 제1송풍기(10)의 동력을 최소화하고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선별할 수 있도록 제2송풍기(20)는 제1송풍기(10)에 근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밀폐형 토사 선별탱크(40)는 제2이송컨베이어(2) 전체를 밀폐하지 않고 제1송풍기(10)에 근접된 위치까지만 밀폐한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2송풍기 및 이물질 포집부 연통구(43,44)에는 연결덕트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덕트는 각각 밀폐형 토사 선별탱크(40)측으 로 갈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는 곡선형일 수 있다. 즉, 제2송풍기 연결덕트는 밀폐형 토사 선별탱크(40)를 향해 단면적이 넓어져 제2송풍기(20)의 송풍력이 밀폐형 토사 선별탱크(40)에 전체적으로 가해지도록 하며, 이물질 포집부 연결덕트(미도시)는 이물질 포집부(30)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져 이물질(W)이 모이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의한 파쇄된 토사 선별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파쇄기에 의해 파쇄되고 선별스크린 등을 통해 골재, 목재, 철괴류 등이 선별된 토사(S)(이물질(W)이 포함된 상태)는 제1이송컨베이어(1)를 타고 이송되다가 제2이송컨베이어(2)로 자유 낙하한다.
토사(S)와 이물질(W)이 제2이송컨베이어(2)로 낙하하는 중에 제1송풍기(10)의 송풍력에 의해 이물질(W)은 밀폐형 토사 선별탱크(40) 내부로 비산되고 토사(S)는 제2이송컨베이어(2)를 타고 이송된다. 이물질(W)은 밀폐형 토사 선별탱크(40) 내부에서 비산되거나 제2이송컨베이어(2)를 타고 이송되는 토사(S) 표면에 쌓이게 된다.
이처럼 밀폐형 토사 선별탱크(40) 내부에서 비산되는 이물질(W)과 토사(S) 표면에 쌓인 이물질(W)은 제2송풍기(20)의 송풍력에 의해 이물질 포집부(30)를 향해 비산된다. 제2송풍기(20)의 송풍력은 연결덕트(43)를 거쳐 밀폐형 토사 선별탱크(40)에 공급되는데, 연결덕트(43)가 밀폐형 토사 선별탱크(40)로 갈수록 넓어지기 때문에 제2송풍기(20)의 송풍력은 밀폐형 토사 선별탱크(40) 내부의 전영역에 미치게 된다.
제2송풍기(20)의 송풍력에 의해 비산되는 이물질(W)은 연결덕트(44)를 경유하여 이물질 포집부(30)에 모이게 된다.
< 실시예 2 >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파쇄된 토사 선별장치는, 제1송풍기(10)의 송풍력에 의해 이물질(W)을 밀폐형 토사 선별탱크(40) 내부에 비산되도록 한 후 제2송풍기(20)의 송풍력에 의해 비산 선별하는 것은 전술한 실시예 1과 동일하며, 토사(S)의 선별 중 제2송풍기(20)의 송풍력에 의해 비산되지 못한 일부 이물질(W)도 이물질 포집부(30)에 모이도록 함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며, 실시예 1의 제2이송컨베이어 대신 신규한 이송수단(50)이 채용된다.
이송수단(50)은, 상하로 관통하는 토사배출공(51a)을 가지며 제1이송컨베이어(1)에서 공급되며 미도시된 실시예 1의 제1송풍기(10)에 의해 전처리된 토사(S)와 이물질(W)을 이송하는 이송플레이트(51), 이송플레이트(51)의 저부에 일단부가 이물질 포집부(30) 내부에 연결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이송플레이트(51)의 토사 배출공(51a)을 통해 배출된 이물질(S)이 이물질 포집부(30)에 모이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슈트(52)로 구성된다. 이송플레이트(51)는 토사(W)의 이송이 원활하도록 경사지거나 진동모터(미도시)에 의해 진동할 수 있다. 이처럼, 이송플레이트(51)가 경사지거나 진동되어도 제2송풍기(20)에 의한 토사 선별은 가능할 것이며, 제2송풍기(20)의 송풍력에 의해 비산되지 않은 일부 이물질(W)은 이송수단(50)에 의해 선별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1송풍기(10)의 송풍력에 의해 이물질(W)이 밀폐형 토사 선별탱크(40) 내부로 비산된 후 제2송풍기(20)의 송풍력에 의해 이물질 포집부(30)로 비산되며, 이송플레이트(51) 바닥부에 쌓인 일부 이물질(W)은 토사(S)들 사이에 존재하기 때문에 제2송풍기(20)의 송풍력에 의해 비산되지 않을 수 있지만, 이송플레이트(51)의 배출단을 통해 배출되지 못하고 이송플레이트(51)의 토사 배출공(51a)을 통해 이송플레이트(51) 하부로 배출된 후, 가이드슈트(52)를 통해 이물질 포집부(30)에 모이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파분쇄 건설폐기물 비중선별수장치에 의하면, 토사와 이물질을 송풍력에 의해 선별하기 이전에 이물질이 잘 선별되도록 이물질을 비산시켜 토사의 선별효율이 향상되므로 토사를 재선별하는 공정이 불필요하고, 고품질의 토사를 생산할 수 있다.
그리고, 제1,2송풍기의 송풍력이 외부로 손실되지 않고 밀폐형 토사 선별탱크 내부에만 미치기 때문에 토사로부터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선별 제거할 수 있고, 외부 이물질에 의한 토사의 오염을 막을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이상, 본 고안을 본 고안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고안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3)

  1. 토사에 송풍력을 가하여 이물질을 선별하는 파쇄된 토사 선별장치에 있어서,
    서로 대응되는 배출단과 입구단이 높이차를 두고 설치되어 파쇄된 토사를 이송하는 제1,2이송수단의 사이에 장착되며 송풍력을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하여 상기 제1이송수단에서 낙하하는 상기 토사에 포함된 이물질을 비산시키는 제1송풍기(10)와;
    상기 제1,2이송수단 중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은 제2이송수단의 일측에 상기 골재의 이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송풍력을 가하여 상기 제1송풍기에 의해 비산되는 이물질을 제2이송수단의 반대측으로 비산시켜 선별하는 제2송풍기(20)와;
    상기 제2이송수단을 중심으로 상기 제2송풍기의 반대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2송풍기에 의해 비산되는 이물질이 모이는 이물질 포집부(30)와; 그리고,
    내부에 상기 제2이송수단이 장착되며 상기 제1,2송풍기 및 이물질 포집부와 연통되어 상기 제1송풍기의 송풍력에 의해 비산되는 이물질이 상기 제2송풍기의 송풍력에 의해 상기 이물질 포집부에 포집되도록 하는 밀폐형 토사 선별탱크(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된 토사 선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형 토사 선별탱크는 내부가 중공인 박스형태로서, 일측과 타측에 개방된 토사 투입구(41)와 토사 배출구(42), 상기 제2송풍기와 이물질 포집부에 연통되는 연통구(43,44)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된 토사 선별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송수단은 상하로 관통하는 토사배출공(51a)을 가지며 상기 제1이송수단에서 공급된 골재와 토사를 이송하는 이송플레이트(50), 상기 이송플레이트의 저부에 일단부가 상기 이물질 포집부에 연결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이송플레이트의 토사 배출공을 통해 배출된 토사가 상기 이물질 포집부에 모이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슈트(5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된 토사 선별장치.
KR2020050037182U 2005-12-30 2005-12-30 파쇄된 토사 선별장치 KR2004112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7182U KR200411272Y1 (ko) 2005-12-30 2005-12-30 파쇄된 토사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7182U KR200411272Y1 (ko) 2005-12-30 2005-12-30 파쇄된 토사 선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1272Y1 true KR200411272Y1 (ko) 2006-03-10

Family

ID=41761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7182U KR200411272Y1 (ko) 2005-12-30 2005-12-30 파쇄된 토사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127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5650B1 (ko) * 2022-06-13 2023-06-20 동부이엔티 주식회사 송풍과 흡입을 적용한 굵은골재의 이물질 저감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5650B1 (ko) * 2022-06-13 2023-06-20 동부이엔티 주식회사 송풍과 흡입을 적용한 굵은골재의 이물질 저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7250B1 (ko) 건설폐기물 선별장치
KR100981949B1 (ko) 폐토사의 재생장치
KR100733631B1 (ko) 건설폐기물의 분쇄 및 이물질 제거장치
KR20080058076A (ko) 진동스크린의 변형구조를 이용한 이물질 분리방법 및 그장치
KR100761554B1 (ko) 파분쇄된 순환골재 선별장치
KR100730688B1 (ko) 건설폐기물 중간처리과정중 파쇄된 건설폐기물로부터이물질을 선별하는 장치
KR100765852B1 (ko) 건설폐기물 재생장치
KR100587023B1 (ko) 파쇄된 건설폐기물 선별장치
KR100518919B1 (ko) 파분쇄 건설폐기물 선별장치
KR100358687B1 (ko)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처리방법
KR100660142B1 (ko) 건식 모래 생산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436545B1 (ko) 건설폐기물에서의 재생골재 선별장치
KR20050050320A (ko) 건설폐기물 이물질 선별 방법 및 장치
KR200411272Y1 (ko) 파쇄된 토사 선별장치
KR19990017560A (ko) 건축 폐기물의 재활용 처리공정
KR100570319B1 (ko) 건설폐기물 재생장치
KR20040032140A (ko) 비중을 이용한 폐기물 선별 분리 방법
KR20070019780A (ko) 건설폐기물 토사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0853413B1 (ko) 고온고압 스팀방식의 버블와류형 이물질 미립분 제거장치및 이에 의하여 생산된 콘크리트용 순환잔골재
KR100514605B1 (ko) 건설폐기물 및 매립폐기물용 토사 선별장치
KR100703954B1 (ko) 가연성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건설폐기물 선별장치
KR200377657Y1 (ko) 파분쇄 건설폐기물 비중선별장치
KR100834710B1 (ko) 회전식 스크린을 이용한 건설폐기물 토사 처리방법 및 그장치
KR100400197B1 (ko) 습식 재생골재 선별장치
KR100751838B1 (ko) 건축 폐기물의 분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