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3413B1 - 고온고압 스팀방식의 버블와류형 이물질 미립분 제거장치및 이에 의하여 생산된 콘크리트용 순환잔골재 - Google Patents

고온고압 스팀방식의 버블와류형 이물질 미립분 제거장치및 이에 의하여 생산된 콘크리트용 순환잔골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3413B1
KR100853413B1 KR1020080019342A KR20080019342A KR100853413B1 KR 100853413 B1 KR100853413 B1 KR 100853413B1 KR 1020080019342 A KR1020080019342 A KR 1020080019342A KR 20080019342 A KR20080019342 A KR 20080019342A KR 100853413 B1 KR100853413 B1 KR 100853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ter
aggregate
circulating
classifier
transfer chu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9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복
조구영
강석표
서정필
Original Assignee
(주) 영흥산업환경
재단법인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영흥산업환경, 재단법인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 filed Critical (주) 영흥산업환경
Priority to KR1020080019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34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3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3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03B5/48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mechanical classifiers
    • B03B5/52Spiral classif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13/00Contro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et-separating apparatus or for dressing plant, using physical effects
    • B03B13/04Contro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et-separating apparatus or for dressing plant, using physical effects using electrical or electromagnetic eff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03B5/02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using shaken, pulsated or stirred beds as the principal means of separation
    • B03B5/1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using shaken, pulsated or stirred beds as the principal means of separation on jigs
    • B03B5/2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using shaken, pulsated or stirred beds as the principal means of separation on jigs using pulses generated by air inj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eparation Of Solids By Using Liquids Or Pneumatic Pow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온고압 스팀방식의 버블와류형 이물질 미립분 제거장치 및 이에 의하여 생산된 콘크리트용 순환잔골재에 관한 것으로, 순환잔골재와 세척수의 공급량을 조절하여 순환잔골재와 세척수에 포함된 미분 등의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순환잔골재의 품질을 향상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고온고압 스팀방식의 버블와류형 이물질 미립분 제거장치는, 분쇄를 거친 순환잔골재를 세척수와 함께 투입받아 선별공을 통해 상기 순환잔골재를 크기별로 선별하는 진동 스크린(10)과; 순환잔골재와 세척수를 공급받으며 일측에 타구간보다 낮은 포집부가 형성된 수조, 상기 수조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수조에 유입된 순환잔골재를 상기 수조의 포집부로 이송하는 스크류, 상기 스크류에 의해 상기 수조의 포집부에 모인 순환잔골재를 외부로 퍼내는 배출 버킷으로 이루어진 분급기(20)와; 상기 스크린에 의해 선별된 순환잔골재와 세척수를 상기 분급기에 공급하는 이송슈트와; 상기 이송슈트 내부 유로의 개도를 조절하는 게이트(110)와; 상기 이송슈트로부터 오버블로우된 세척수와 부유물을 배출하는 이물질제거조(120)로 구성된다.
분급기, 진동 스크린, 게이트, 이물질 제거조

Description

고온고압 스팀방식의 버블와류형 이물질 미립분 제거장치 및 이에 의하여 생산된 콘크리트용 순환잔골재{Bubble-vortex alien substance particle removing apparauts as high-temperature high-pressure steam style and concrete circulation-fine aggregate produced by this apparatus}
본 발명은 순환잔골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순환잔골재에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분급기에 공급하기 이전에 순환잔골재와 세척수의 공급량을 조절하여 순환잔골재와 세척수에 포함된 미분 등의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순환잔골재의 이물질 함유율을 낮추고 흡수율과 체통과율을 높일 수 있는 고온고압 스팀방식의 버블와류형 이물질 미립분 제거장치 및 이에 의하여 생산된 콘크리트용 순환잔골재에 관한 것이다.
이른바, 개발우선정책과 고도성장주의의 정책추진에 따라 이제까지 국내에서는 그 역기능인 환경문제는 고려의 대상에서 다소 벗어나 있었음이 현실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성장위주 정책의 결과 그 부산물의 각종의 폐기물과 오염물질 의 증가는 이제 더 이상 미뤄질 수 없는 절박한 시점에 도달되어 있다.
특히, 각종 건축, 토목공사의 건설산업폐기물은 매우 급격한 증가를 보이고 있는 바, 이는 도시와 지방 건축물의 노후화 및 기능저하에 따라 최근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재개발, 재건축의 활성화 및 구조물의 해체에 주로 기인한다.
건설폐기물이라 함은 쓰레기, 폐자재 등이 섞인 흙이나 모래, 자갈, 토석 또는 이들이 혼합된 형태의 토사와, 콘크리트덩이, 폐목재, 아스팔트 콘크리트덩이 및 건설 오니 등을 지칭하는 것이며, 그 주요 특성의 하나가 건설폐기물의 대부분이 무기물로 구성되어 있어 인체에 무해하다는 것과, 다종의 폐기물이 혼재된 상태로 배출되어 그 처리가 복잡, 곤란하다는 것으로 바로 이점이 그 동안 유용재로 활용할 수 있는 건설폐기물 처리에 관한 정부와 업계의 무관심의 원인을 제공한 것이라 할 것이다.
이러한 무관심은 귀중한 자원의 낭비를 수반하였고, 그나마 이루어지고 있던 재생골재의 품질저하를 유발시키게 되어, 재생골재의 활용도는 성토나, 복토 및 매립용 등 대부분이 토사대용으로 사용되는데 그치고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폐기물의 관리를 통해 실질적인 재활용을 가능하게 함으로 환경오염의 최소화와 부족자원의 대체화, 그리고 건설산업기반의 원가절감을 적극적으로 도모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국내에서는 최근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어 건설폐기물의 재활용이 의무화되기 시작하였으며, 비로소 재활용을 위한 각종 생산설비가 제작되어 각종 산업 현장에 적용되기 시작하였다.
상기에서와 같이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의무화에 따라 종래 단순 소각처리의 폐기물 처리방식에서 벗어나 부분적, 혹은 폐기물 처리에서부터 재생까지의 일괄적인 처리를 담당하는 여러 장치가 제안되었다.
종래 기술에 의한 건설폐기물로부터 순환잔골재를 생산하는 기술은 건설폐기물의 파/마쇄, 각종 이물질(폐목, 폐비닐, 폐의류, 폐지 등)을 선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순환잔골재를 생산하는 장치 및 방법에 의해 생산되는 순환잔골재의 경우 표면에 시멘트 몰탈(cement mortar)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은 상태이고, 또한 나무 조각이나 흙, 스치로폼 조각과 같은 불순물이 포함되어 있는 상태인 경우가 많아 혼합 콘크리트 제조용으로 사용할 경우 콘크리트 강도를 저하시키게 되므로 현재까지는 상기와 같이 재생된 순환잔골재는 단순매립용 또는 복토재 보조기층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다양한 방법으로 입자가 작은 재생 모래를 생산하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재생된 모래는 표면에 스크류가 부착된 회전체를 수조상에 축 설치한 구성의 분급기에 공급하여 순환잔골재와 슬러지와 나무조각, 스치로폼 조각 등의 이물질을 분리 배출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분급기는 스크류와 버킷이 1축으로 형성된 회전체가 수조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회전체의 회전시 상기 스크류에 의해 상기 수조에 유입된 순환잔골재를 상기 드럼측으로 이송하고, 상기 드럼의 회전에 의해 상기 드럼 하부에 모이는 순환잔골재를 퍼내어 탈수스크린으로 공급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분급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분급기에 순환잔골재와 세척수와 공급되면 순환잔골재는 수조에 가라앉지만 미분 등의 이물질은 세척수에 부유하게 되어 세척수의 상등수와 함께 배출됨으로써 이물질을 제거할 수는 있지만, 수조 내의 세척수는 양이 많고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유속이 빠를 뿐 아니라 파동이 크기 때문에 일부 순환잔골재도 배출될 수 있고 이물질의 제거효율이 떨어질 수밖에 없고, 결과적으로 순환잔골재는 이물질 함유율이 높기 때문에 저품위 순환잔골재로 사용될 수밖에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 분급기에 의해 순환잔골재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기 이전에 순환잔골재에서 이물질을 제거하여 1차로 이물질이 제거된 순환잔골재를 분급기에 공급하여 이물질을 공급함으로써 이물질 제거효율을 높여 양질의 순환잔골재를 공급할 수 있는 고온고압 스팀방식의 버블와류형 이물질 미립분 제거장치 및 이에 의하여 생산된 콘크리트용 순환잔골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고온고압 스팀방식의 버블와류형 이물질 미립분 제거장치는, 분쇄를 거친 순환잔골재를 세척수와 함께 투입받아 선별공을 통해 상기 순환잔골재를 크기별로 선별하는 진동 스크린과; 순환잔골재와 세척수를 공급받으며 일측에 타구간보다 낮은 포집부가 형성된 수조, 회전축의 둘레부에 날개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수조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수조에 유입된 순환잔골재를 상기 수조의 포집부로 이송하는 스크류, 상기 포집부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스크류에 의해 상기 수조의 포집부에 모인 순환잔골재를 외부로 퍼내는 다수의 버킷을 갖는 드럼형 배출 버킷으로 이루어진 분급기와; 상기 진동 스크린과 상기 분급기를 연결하여 상기 스크린에 의해 선별된 순환잔골재와 세척수를 상기 분급기에 공급하는 상기 이송슈트와; 상기 이송슈트 내부 유로의 개도를 조절하는 게이트와; 상기 이송슈트의 상기 게이트 하류측에 유체 이송 가능하게 연통되어 상기 이송슈트로부터 오버블로우된 세척수와 부유물을 집수로로 유도하는 이물질제거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고온고압 스팀방식의 버블와류형 이물질 미립분 제거장치 및 이에 의하여 생산된 콘크리트용 순환잔골재에 의하면, 순환잔골재와 세척수가 분급기에 공급되지 이전에 순환잔골재와 세척수의 유량과 유속을 조절하여 최적의 환경을 조성한 후 순환잔골재와 세척수에 포함된 미분 등의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분급기에 공급되는 순환잔골재와 세척수는 이물질 혼합율이 낮아져 분급기에서 이물질 제거율을 높일 수 있으므로 양질의 순환잔골재를 생산할 수 있다.
도 1과 도 2에서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한 고온고압 스팀방식의 버블와류형 이물질 미립분 제거장치는, 전처리 공정을 거친 순환잔골재를 세척수와 함께 공급받아 입도별로 선별하는 진동 스크린(10)과, 진동 스크린(10)에 의해 선별된 순환잔골재(진동 스크린(10)의 선별공보다 작은 크기의 순환잔골재)와 세척수를 공급받아 순환잔골재에 포함된 미분을 제거하여 순환잔골재만을 선별하는 분급기(20)와, 진동 스크린(10)에서 분급기(20)로 이송되는 순환잔골재 포함된 미분 등의 이물질(부유물)을 선별하여 1차로 이물질이 제거된 순환잔골재만 분급기(20)에 공급되도록 하는 이물질제거장치(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진동 스크린(10)은 다수의 선별공(11)을 갖는 판상이면서 진동 모터(미도시)를 통해 설치되어 투입되는 순환잔골재와 세척수에 떨림을 가하여 선별공(11)의 단면적을 기준으로 하여 입도별로 순환잔골재를 선별하는 것으로, 선별공(11)보다 큰 크기의 순환잔골재를 별도로 선별하고 선별공(11)보다 작은 크기의 순환잔골재와 세척수를 선별하여 분급기(20)에 공급한다.
도 2와 도 3에서처럼, 분급기(20)는 진동 스크린(10)으로부터 순환잔골재와 세척수를 공급받는 수조(21), 수조(21) 내부에 설치되어 수조(21)에 유입되며 비중에 의해 수조(21) 바닥에 가라앉는 순환잔골재를 일측으로 이송하는 스크류(22)와, 스크류(22)에 의해 이송되는 순환잔골재를 퍼내어 세척수가 제거된 순환잔골재만을 탈수스크린(미도시)으로 공급하는 드럼형 배출 버킷(23)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 스팀의 열과 압력에 의해 드럼형 배출 버킷(23)의 배수공이 막히지 않도록 하는 스 팀분사수단이 더 갖추어질 수도 있다.
수조(21)는 상부가 개방된 통 구조이며, 스크류(22)와 드럼형 배출 버킷(23)이 대응되는 부분이 서로 다른 높이 즉, 드럼형 배출 버킷(23)측에 스크류(22)측보다 낮은 포집부(21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순환잔골재를 포집부(21a)에 모아 드럼형 배출 버킷(23)의 효율을 높이기 위함이다. 이러한 구조의 수조(21)는 진동 스크린(10)과 이송슈트(12)를 통해 연결되어 순환잔골재와 세척수를 공급받고, 배출로(미도시)를 통해 세척수를 침강조(미도시)로 배출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순환잔골재의 침전 속도를 가속할 수 있도록 이송수트(12)는 곡선부 또는/및 낙차부가 갖추어질 수 있다.
순환잔골재가 직선형 이송로를 따라 이송되면 유속이 빨라져 수조(21) 내에서 침전속도가 느릴 수밖에 없으므로 일부 순환잔골재가 침전되지 못할 수 있고 또한 파쇄 등에 의해 순환잔골재의 표면에 각진 부분이 많은데 순환잔골재의 이송 중에 각진 부분을 구형으로 성형하지 못하기 때문에 순환잔골재의 생산성이 떨어지고 순환잔골재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순환잔골재가 곡선부를 통과하면서 유속이 느려짐과 아울러 곡선부에 충돌하여 침전속도가 빨라지고 충돌에 의해 각진 부분이 없어질 수 있으며, 그리고, 낙차부에 의해 순환잔골재가 낙하할 때 유속이 느려지고 각진 부분이 제거됨으로써 입형이 구형으로 변하게 된다.
스크류(22)와 드럼형 배출 버킷(23)의 사이에는 수조(21)에 저장된 세척수에 부유하는 이물질이 드럼형 배출 버킷(23)측으로 유동하지 않도록 차단하는 차단판(21b)이 형성될 수 있다.
스크류(22)는 수조(21) 내부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구동수단을 통해 회전하면서 수조(21) 내에 유입되는 순환잔골재를 일측에서 타측(드럼형 배출 버킷(23)측)으로 이송하는 것으로, 예컨대, 수조(21)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상기 구동수단을 통해 회전하는 회전축(22a), 회전축(22a)의 둘레부에 회전축(22a)의 축방향을 따라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스포크(22b), 스포크(22b)들의 단부에 연결되는 이송 리드(22c)로 이루어진다. 즉, 이송 리드(22c)는 스포크(22b)의 지지를 받으면서 나선형으로 감겨 회전축(22a)과 함께 회전하면서 수조(21) 내에 침전된 순환잔골재를 타측으로 이송하는 것이다. 이때, 이송 리드(22c)는 피치들의 간격이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상기 구동수단은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와 회전축(22a)에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회전축(22a)에 전달하는 스프로킷으로 구성될 수 있다.
드럼형 배출 버킷(23)은 한 쌍의 측판(23a,23b), 측판(23a,23b)의 사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배수공이 구비된 다수의 버킷(23c)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드럼형 배출 버킷(23)은 스크류(22)의 회전축(22a)에 연결되어 스크류(22)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이물질제거장치(100)는 이송 슈트(12)를 경유하여 분급기(20)에 공급되는 순환잔골재와 세척수에서 이물질(부유물)을 제거하여 분급기(20)에 의한 선별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으로, 이송 슈트(12)의 유로를 개폐하는 게이트(110), 이송 슈트(12)에서 이물질을 집수조(미도시)로 유도하는 이물질 제거 조(120)로 구성된다.
게이트(110)는 이송 슈트(12) 내부에 순환잔골재와 세척수의 흐름을 막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이송 슈트(12)의 내부 유로의 개도를 조절한다. 게이트(110)는 이송 슈트(12)의 개도를 조절함으로써 순환잔골재와 세척수의 유속을 조절함과 아울러 분급기(20)에 유입되는 양을 조절하는 것이며, 순환잔골재와 세척수의 유속을 느리게 하여 순환잔골재의 침전 속도와 이물질의 부유속도를 가속하는 것이다.
게이트(110)는 이송 슈트(12)의 유로의 개도를 조절할 수 있는 모든 구조가 가능하며, 예컨대 수직으로 승강하는 수문형일 수 있고, 자동이나 수동 모든 방식으로 제어 가능하다.
게이트(110)에 의해 이송 슈트(12)의 개도가 조절되면 예를 들어 게이트(110)가 이송 슈트(12)의 유로를 완전 개방하면 순환잔골재와 세척수에 저항이 가해지지 않으므로 순환잔골재와 세척수는 이물질 제거조(120)에 채워지지 않고 이송 슈트(12)를 통해 분급기(20)에 공급되며, 이송 슈트(12)의 개도가 완전 폐쇄되거나 일부만 개방되면 유로 단면적이 좁아짐에 따라 게이트(110)의 하류측에 순환잔골재와 세척수의 양이 점진적으로 많아지다가 일부 세척수와 이물질이 이물질 제거조(120)로 오버블로우됨으로써 제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작용에 의해 이물질 제거조(120)는 이송 슈트(12)의 게이트(110) 상류측에 이송 슈트(12)와 유체 연통 가능하게 설치되어 게이트(110)에 의해 분급기(20)에 유입되지 못하고 오버플로우된 이물질과 세척수를 후술하는 집수관(122)으로 유도한다.
이물질 제거조(120)는 이물질과 세척수가 경유하는 곳이므로 이송 슈트(12)에서 오버블로우된 세척수와 이물질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을 정도의 용적으로 이루 어질 것이며, 도 4에서처럼, 저부가 수직의 유도부(121)를 통해 이송 슈트(12)와 연결되며 일측에 집수조로 유도하는 집수관(122)이 연결된다. 유도부(121)는 이물질 제거조(120)의 바닥보다 높게 돌출된다. 즉, 순환잔골재와 세척수는 이송 슈트(12)와 유도부(121)에 차오르게 되고 세척수의 위쪽인 상등수와 이물질은 유도부(121)를 넘어 이물질 제거조(120)로 유동한 후 집수관(122)을 통해 집수조로 배출된다.
더불어, 게이트(110)에 의해 이송 슈트(12)의 개도가 조절된 상태에서 순환잔골재와 세척수의 투입량이 많아져 순환잔골재와 세척수가 이물질 제거조(120)의 처리용량을 넘게 되면 순환잔골재와 세척수가 외부로 누출될 것이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이물질 제거조(120) 내부에는 이물질 제거조(120)에 담긴 세척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S)가 장착된다.
수위센서(S)는 실시간으로 수위를 감지하여 컨트롤러에 인가하며 컨트롤러는 수위센서(S)에서 인가된 현재 수위가 만수위(사용자가 임의로 셋팅할 수 있는 값)에 도달하면 게이트(110)를 통해 이송 슈트(12)의 개도를 크게 하여 분급기(20)에 대한 공급량을 크게 한다. 즉, 게이트(110)는 수위센서(S)에 의해 감지되는 수위에 따라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도 1에서처럼, 본 발명은 세척수에 부유하는 이물질뿐만 아니라 순환잔골재의 안쪽에 낀 이물질도 제거할 수 있도록 고온고압으로 스팀을 분사하는 폭기수단(130)이 더 갖추어진다.
폭기수단(130)은 이송 슈트(12)의 저부에 설치되며 소각로(미도시)에서 발생되는 스팀을 공급받아 이송 슈트(12)를 따라 흐르는 순환잔골재에 분사하여 버블와류에 의해 순환잔골재를 섞으면서 열에 의해 순환잔골재 표면에 붙은 이물질을 순환잔골재에서 제거한다. 즉, 폭기수단(130)은 순환잔골재와 세척수가 분급기(20)에 공급되기 전에 순환잔골재의 표면에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여 분급기(20)에 유입되는 이물질의 양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고온고압 스팀방식의 버블와류형 이물질 미립분 제거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진동 스크린(10)에 의해 선별된 순환잔골재는 세척수와 함께 이송 슈트(12)를 따라 수조(21)에 유입된다. 이때, 이송 슈트(12)에 곡선부와 낙차부가 갖추어진 경우 상기 곡선부와 낙차부를 경유하는 중에 순환잔골재의 유속이 감속됨에 따라 순환잔골재의 침전속도가 빨라진다.
수조(21)에 유입된 순환잔골재와 세척수 중 순환잔골재는 비중에 의해 서서히 수조(21) 바닥으로 가라앉고 세척수는 침강조로 배출된다. 순환잔골재가 수조(21)에 유입되는 중에 스크류(22)와 드럼형 배출 버킷(23)이 저속 회전하게 된다. 스크류(22)가 회전하게 되면 이송 리드(22c)에 의해 수조(21) 바닥에 가라앉는 순환잔골재가 수조(21)의 포집부(21a)로 이동되어 모이게 된다.
드럼형 배출 버킷(23)이 스크류(22)와 회전할 때 개별 버킷(23c)들이 각각 포집부(21a)를 통과하면서 포집부(21a)에 모인 순환잔골재를 담은 상태로 포집부(21a)에서 나오게 되며, 드럼형 배출 버킷(23)이 회전하는 중에 개별 버킷(23c)의 배수공을 통해 개별 버킷(23c)에 담긴 세척수가 배수된다.
드럼형 배출 버킷(23)이 회전하는 중에 개별 버킷(23c)들의 개방부가 하부에 배치된 탈수스크린(24)(도 2참조)을 향하게 되면 버킷(23c)에 담긴 순환잔골재가 중력에 의해 하부의 탈수스크린(24)으로 낙하한다. 순환잔골재가 탈수스크린(24)으 로 낙하한 개별 버킷(23c)은 다시 포집부(21a)를 향해 회전하여 포집부(21a)에 모인 순환잔골재를 퍼내게 된다. 즉, 개별 버킷(23c)이 연속 회전하여 순환잔골재를 지속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수조(21)에는 순환잔골재와 세척수만 유입되는 것이 아니라 각종 이물질(폐목, 폐비닐, 폐의류, 폐지 등)이 함께 유입되며, 상기 이물질은 파쇄 등의 공정을 통해 파쇄되어 비중이 작기 때문에 수조(21)에 유입되면 수조(21) 내의 세척수에 부유하게 된다. 이처럼 세척수에 떠있는 이물질은 스크류(22)에 의해 세척수와 함께 드럼형 배출 버킷(23)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차단판(21b)에 의해 드럼형 배출 버킷(23)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며, 결과적으로 이물질이 없는 순환잔골재만 탈수스크린(24)에 공급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정 중에 순환잔골재와 세척수가 이송 슈트(12)를 따라 진동 스크린(10)에서 분급기(20)에 공급되기 전에 먼저 순환잔골재와 세척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게이트(110)를 통해 이송 슈트(12)의 개도를 조절한다.
게이트(110)는 수동 및 자동 방식으로 제어되며, 예를 들어 게이트(110)에 의해 이송 슈트(12)의 유로를 구속하지 않을 때 순환잔골재와 세척수의 공급량을 "100"이라 할 때 공급량을 "70~80"정도로 유지하기 위하여 게이트(110)를 작동하면 게이트(110)의 하류측에 순환잔골재와 세척수가 서서히 차오르게 된다.
이때, 순환잔골재는 이송 슈트(12)의 바닥에 쌓이게 되고 세척수에 포함된 이물질(부유물)이 세척수에 부유하게 된다. 순환잔골재와 세척수가 유도부(121)에 차오르다가 세척수의 수위가 유도부(121)의 높이보다 높아지면 세척수의 상등수와 이물질(부유물)이 유도부(121)를 넘어 이물질 제거조(120)로 이동하여 제거된다. 물론, 게이트(110)가 이송 슈트(12)의 바닥부부터 개방하기 때문에 바닥부에 쌓인 순환잔골재와 일부 세척수는 분급기(20)에 공급되고 있다.
이 과정 중에 폭기수단(130)에서는 고온의 스팀이 분사되어 압력에 의해 이송 슈트(12)의 바닥에 쌓인 또는 바닥을 따라 흐르는 순환잔골재를 뒤집게 되고, 이때, 순환잔골재들 사이에 끼인 이물질이 순환잔골재들 사이에서 흩어짐으로써 세척수에 부유하게 되고, 아울러, 스팀의 열에 의해 순환잔골재 표면에 붙은 이물질이 순환잔골재로부터 제거되어 세척수에 부유하여 이물질 제거조(120)에 의해 제거된다.
즉 본 발명은 전술한 이물질제거장치(100)에 의한 전처리 공정을 통해 이물질이 제거된 순환잔골재가 분급기(20)에 공급되기 때문에 분급기(20)에 의한 이물질의 선별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생산된 콘크리트용 순환잔골재는 도 5와 도 6에서 보이는 것처럼, 기존 분급기를 통과한 경우보다 밀도, 흡수율, 0.08mm 체통과량 등 모든 항목에서 우수한 특성을 갖고 있으며 콘크리트 제품 생산용도로 활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고온고압 스팀방식의 버블와류형 이물질 미립분 제거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고온고압 스팀방식의 버블와류형 이물질 미립분 제거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고온고압 스팀방식의 버블와류형 이물질 미립분 제거장치에 적용된 분급기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고온고압 스팀방식의 버블와류형 이물질 미립분 제거장치에 적용된 이물질제거장치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이물질이 제거된 고품위 순환잔골재의 품질 평가 결과표
도 6a와 도 6b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한 이물질이 제거된 고품위 순환잔골재의 흡수율과 0.08mm 체 통과량을 보인 그래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진동 스크린, 20 : 분급기
21 : 수조, 22 : 스크류
23 : 드럼형 배출 버킷, 110 : 게이트
120 : 이물질 제거조,

Claims (4)

  1. 분쇄를 거친 순환잔골재를 세척수와 함께 투입받아 선별공을 통해 상기 순환잔골재를 크기별로 선별하는 진동 스크린(10)과;
    순환잔골재와 세척수를 공급받으며 일측에 타구간보다 낮은 포집부가 형성된 수조, 회전축의 둘레부에 날개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수조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수조에 유입된 순환잔골재를 상기 수조의 포집부로 이송하는 스크류, 상기 포집부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스크류에 의해 상기 수조의 포집부에 모인 순환잔골재를 외부로 퍼내는 다수의 버킷을 갖는 드럼형 배출 버킷으로 이루어진 분급기(20)와;
    상기 진동 스크린과 상기 분급기를 연결하여 상기 스크린에 의해 선별된 순환잔골재와 세척수를 상기 분급기에 공급하는 이송슈트와;
    상기 이송슈트 내부 유로의 개도를 조절하여 상기 분급기에 유입되는 순환골재와 세척수의 양을 조절하는 게이트(110)와;
    상기 이송슈트의 상기 게이트 상류측에 유체 이송 가능하게 연통되어 상기 게이트에 의해 상기 분급기로 공급되지 못하고 상기 이송슈트로부터 오버플로우된 세척수와 부유물을 집수로로 유도하는 이물질제거조(12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고압 스팀방식의 버블와류형 이물질 미립분 제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슈트의 저부에 설치되며 소각로에서 발생되는 스팀을 공급받아 상기 이송슈트를 따라 흐르는 순환잔골재에 분사하여 상기 이송슈트를 따라 흐르는 순환잔골재를 섞으면서 열에 의해 이물질을 제거하는 폭기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고압 스팀방식의 버블와류형 이물질 미립분 제거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제거조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이물질 제거조에 채워지는 세척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S)
    상기 수위센서에 의해 감지된 수위값을 근거로 하여 상기 게이트를 구동시켜 상기 이송슈트의 개도를 조절하는 컨트롤러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고압 스팀방식의 버블와류형 이물질 미립분 제거장치.
  4. 청구항 3에 의해 생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고압 스팀방식의 버블와류형 이물질 미립분 제거장치에 의하여 생산된 콘크리트용 순환잔골재.
KR1020080019342A 2008-02-29 2008-02-29 고온고압 스팀방식의 버블와류형 이물질 미립분 제거장치및 이에 의하여 생산된 콘크리트용 순환잔골재 KR100853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9342A KR100853413B1 (ko) 2008-02-29 2008-02-29 고온고압 스팀방식의 버블와류형 이물질 미립분 제거장치및 이에 의하여 생산된 콘크리트용 순환잔골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9342A KR100853413B1 (ko) 2008-02-29 2008-02-29 고온고압 스팀방식의 버블와류형 이물질 미립분 제거장치및 이에 의하여 생산된 콘크리트용 순환잔골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3413B1 true KR100853413B1 (ko) 2008-08-22

Family

ID=39878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9342A KR100853413B1 (ko) 2008-02-29 2008-02-29 고온고압 스팀방식의 버블와류형 이물질 미립분 제거장치및 이에 의하여 생산된 콘크리트용 순환잔골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341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400B1 (ko) * 2008-10-30 2009-06-26 (주) 영흥산업환경 고온고압 에어와 스팀방식의 버블와류형 이물질 미립분 제거장치
KR101238447B1 (ko) 2012-10-22 2013-02-28 (주) 영흥산업환경 이물질 선별효율을 증대한 고온고압 스팀방식과 버블와류형 이물질 미립분 제거장치 및 이에 의해 생산된 콘크리트용 순환잔골재
KR20200117424A (ko) * 2019-04-04 2020-10-14 홍익대학교세종캠퍼스산학협력단 열 충격을 이용한 순환골재 분리방법 및 열 충격을 이용한 순환골재 분리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07547A (ja) * 1989-05-20 1990-12-20 Shigehiko Tamagawa 湿式分級器
JPH05104020A (ja) * 1991-10-18 1993-04-27 Kikoushiya:Kk バケツト付スパイラル砂分級機による砂の分級における浮遊物の除去方法及びバケツト付スパイラル砂分級機
KR200353125Y1 (ko) 2004-03-19 2004-06-22 주식회사 일성산업 세척 및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분급기
KR100764136B1 (ko) 2007-06-22 2007-10-08 (주) 영흥산업환경 소각로 폐열을 이용한 고온고압 스팀분사방식의 순환골재미립분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07547A (ja) * 1989-05-20 1990-12-20 Shigehiko Tamagawa 湿式分級器
JPH05104020A (ja) * 1991-10-18 1993-04-27 Kikoushiya:Kk バケツト付スパイラル砂分級機による砂の分級における浮遊物の除去方法及びバケツト付スパイラル砂分級機
KR200353125Y1 (ko) 2004-03-19 2004-06-22 주식회사 일성산업 세척 및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분급기
KR100764136B1 (ko) 2007-06-22 2007-10-08 (주) 영흥산업환경 소각로 폐열을 이용한 고온고압 스팀분사방식의 순환골재미립분 제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400B1 (ko) * 2008-10-30 2009-06-26 (주) 영흥산업환경 고온고압 에어와 스팀방식의 버블와류형 이물질 미립분 제거장치
KR101238447B1 (ko) 2012-10-22 2013-02-28 (주) 영흥산업환경 이물질 선별효율을 증대한 고온고압 스팀방식과 버블와류형 이물질 미립분 제거장치 및 이에 의해 생산된 콘크리트용 순환잔골재
KR20200117424A (ko) * 2019-04-04 2020-10-14 홍익대학교세종캠퍼스산학협력단 열 충격을 이용한 순환골재 분리방법 및 열 충격을 이용한 순환골재 분리시스템
KR102190797B1 (ko) * 2019-04-04 2020-12-14 홍익대학교세종캠퍼스산학협력단 열 충격을 이용한 순환골재 분리방법 및 열 충격을 이용한 순환골재 분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000783B (zh) 一种管渠污泥减量化及无害化处理工艺及其装置
CN104874599A (zh) 一种土壤异位淋洗系统及方法
KR100816492B1 (ko) 재생골재의 세척 및 이물질 선별장치
KR20080058076A (ko) 진동스크린의 변형구조를 이용한 이물질 분리방법 및 그장치
KR100765852B1 (ko) 건설폐기물 재생장치
CN112007936A (zh) 一种渣土资源化处理系统
KR100534680B1 (ko)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 제거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보충수의 재사용 방법
CN110104918A (zh) 一种通沟污泥处理方法
KR100853413B1 (ko) 고온고압 스팀방식의 버블와류형 이물질 미립분 제거장치및 이에 의하여 생산된 콘크리트용 순환잔골재
KR100904400B1 (ko) 고온고압 에어와 스팀방식의 버블와류형 이물질 미립분 제거장치
KR100358687B1 (ko)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처리방법
CN204620627U (zh) 一种土壤异位淋洗系统
KR100764136B1 (ko) 소각로 폐열을 이용한 고온고압 스팀분사방식의 순환골재미립분 제거장치
CN110116041A (zh) 一种建筑垃圾分类搅碎装置
KR100518919B1 (ko) 파분쇄 건설폐기물 선별장치
CN214290004U (zh) 一种重金属及有机物复合污染土壤的淋洗修复装置
CN104941790B (zh) 三元垃圾淘洗分选机
KR100985277B1 (ko) 암석 미사 회수장치
KR20040057498A (ko) 폐콘크리트를 이용한 재생골재의 생산방법 및 장치
KR100722569B1 (ko) 트로멜과 버켓을 이용한 골재 선별 방법 및 그 장치
CN108409073A (zh) 通沟污泥处理方法
KR100834710B1 (ko) 회전식 스크린을 이용한 건설폐기물 토사 처리방법 및 그장치
KR101238447B1 (ko) 이물질 선별효율을 증대한 고온고압 스팀방식과 버블와류형 이물질 미립분 제거장치 및 이에 의해 생산된 콘크리트용 순환잔골재
KR100400197B1 (ko) 습식 재생골재 선별장치
KR20030078574A (ko) 재활용 모래 선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