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3387B1 - 반도체 소자와 그 패드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와 그 패드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3387B1
KR100683387B1 KR1020050132749A KR20050132749A KR100683387B1 KR 100683387 B1 KR100683387 B1 KR 100683387B1 KR 1020050132749 A KR1020050132749 A KR 1020050132749A KR 20050132749 A KR20050132749 A KR 20050132749A KR 100683387 B1 KR100683387 B1 KR 100683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semiconductor device
forming
metal layer
appl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2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근
Original Assignee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32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33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3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33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02Bonding areas ;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0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4/0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onding are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02Bonding areas ;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03Manufacturing metho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2Bonding area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0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onding are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 Wire Bo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패드(pad) 형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제1 층간 절연막(the fist intermetallic dielectric layer) 상에 하부 금속층을 도포한 후, 사진 및 식각 공정에 의하여 하부 패드를 형성하는 공정과; 제2 층간 절연막(the second intermetallic dielectric layer) 과 상부 금속층을 도포한 후, 사진 및 식각 공정에 의하여 상부 패드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상부 패드 상에 패드 보호막(passivation layer)을 도포하는 공정과; 상기 상부 패드를 오픈하는 공정과; 상기 하부 패드를 오픈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구성에 의하여, 종래의 스택(stack) 형태의 패드 구조에 비하여 칩(chip) 면적을 줄여 전체적인 칩의 크기를 축소하는 효과가 있다.
상부 패드, 하부 패드

Description

반도체 소자와 그 패드 형성 방법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Pad in the Semiconductor Device}
도 1a 내지 도 1e는 종래기술에 의한 반도체 소자의 패드 형성 방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j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반도체 소자의 패드 형성 방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반도체 소자의 패드(pad)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 1a 내지 도 1e를 참조하여 종래기술에 의한 반도체 소자의 패드 형성 방법을 설명한다. 도 1a 내 도 1e는 일반적인 반도체 소자의 제조 공정 중 패드를 형성하는 공정에 관하여만 도시되어 있다.
도 1a는 층간 절연막(100) 상에 금속 배선층(110), PR(photo resist, 120)을 순서대로 도포한 상태를 나타낸다. 그 다음 도 1b에서는 사진 공정에 의하여 PR(120)에 패드를 형성하기 위한 패턴(pattern)을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다.
그 다음, 도 1c는 그 패턴 위에 식각 공정에 의해 다수의 패드(115)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다. 패드(115)가 형성된 웨이퍼 표면에 도 1d와 같이 보호막(passivation layer, 130)을 전체적으로 도포한다.
그리고, 도 1e에서처럼 후속 와이어 본딩(wire bonding) 공정을 위해, 사진 및 식각 공정에 의하여 각 패드(115)를 오픈한다. 이와 같은 패드(115)의 형성 이전에는 패드(115)의 하부에 이미 회로(circuit)가 배치되어 있다.
대개 이와 같이 형성된 다수의 패드는 반도체 칩(chip)의 전체 면적의 20 내지 30 %를 차지한다. 반도체 칩의 설계 또는 제조에서는 칩의 크기(size)를 줄일수록 원가 경쟁력에 크게 기여한다. 따라서, 칩 설계 및 제조자는 패드의 하부에 회로(circuit)를 배치하여 전체적으로 반도체 칩의 크기를 축소하는 방법을 채택하는데, 이를 CUP(circuit under pad) 구조라 한다.
그러나, 기존의 CUP 구조에서도 각 패드는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므로, 각 패드 사이의 공간이 반도체 칩의 일정 면적을 차지하게 된다. 따라서, 기존 CUP 구조도 여전히 반도체 칩의 크기 증대에 기여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CUP 구조를 가지는 반도체 소자의 칩 면적을 줄여 칩의 크기를 축소하는 반도체 소자의 패드 형성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 층간 절연막(the first intermetallic layer) 상에 하부 금속층을 도포한 후, 사진 및 식각 공정에 의하여 하부 패드를 형성하는 공정과; 제2 층간 절연막(the second intermetallic layer)과 상부 금속층을 도포한 후, 사진 및 식각 공정에 의하여 상부 패드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상부 패드 상에 패드 보호막을 도포하는 공정과; 상기 상부 패드를 오픈하는 공정과; 상기 하부 패드를 오픈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패드 형성 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반도체 소자는 제1 층간 절연막 상에 형성되는 하부 패드와; 상기 하부 패드를 제2 층간 절연막으로 도포한 후, 상기 제2 층간 절연막 상에 형성되는 상부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패드와 상기 하부 패드는 평면적 관점에서 간격 없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2a 내지 도 2j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반도체 소자의 패드 형성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도 2a는 제1 층간 절연막(200) 상에 하부 금속층(210), PR(220)을 순서대로 도포한 상태를 나타낸다. 그 다음, 도 2b는 사진 공정에 의하여 하부 패드의 패턴을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다. 그리고, 도 2c는 하부 패드의 패턴 위에 식각 공정을 진행하여 하부 패드(215)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다.
한편, 본 발명은 종래기술과 달리 하부 패드(215) 상에 전체적으로 제2 층간 절연막(230)을 도포한다(도 2d). 그리고 나서, 상부 금속층(240), PR(250)을 순서대로 도포한다(도 2e).
그 다음, 하부 패드(215)를 형성하는 공정과 같이 상부 패드를 형성한다. 도 2f를 보면 사진 공정에 의해 상부 패드를 형성하기 위한 패턴을 형성한다. 그 리고, 도 2g와 같이 식각 공정에 의해 상부 패드(245)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일반적인 패드 형성 공정에서처럼 상부 패드(245)를 보호하기 위한 패드 보호막(260)을 도포하고(도 2h), 상부 패드(245)를 오픈한다(도 2i).
마지막으로, 사진 및 식각 공정에 의해 제2 층간 절연막(230)에 덮여 있는 하부 패드(215)를 오픈한다(도 2j).
이러한 패드 형성 방법은 종래와 달리 상부 패드와 하부 패드로 나누기 때문에, 상부 패드와 하부 패드 간의 간격이 필요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형성한 패드 구조는 종래기술에 의한 패드 구조에 비해 면적이 줄어 들어, 전체적으로 반도체 칩의 크기가 축소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여기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패드를 상부 패드와 하부 패드로 나누어 구성하는 반도체 소자의 패드 형성 방법에 의하여, 반도체 소자의 칩 면적을 줄여 칩의 크기를 축소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반도체 소자의 패드 형성 방법으로서,
    제1 층간 절연막 상에 하부 금속층을 도포한 후, 사진 및 식각 공정에 의하여 하부 패드를 형성하는 공정과;
    제2 층간 절연막과 상부 금속층을 도포한 후, 사진 및 식각 공정에 의하여 상부 패드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상부 패드 상에 패드 보호막을 도포하는 공정과;
    상기 상부 패드를 오픈하는 공정과;
    상기 하부 패드를 오픈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패드 형성 방법.
  2. 반도체 소자로서,
    제1 층간 절연막 상에 형성되는 하부 패드와;
    상기 하부 패드를 제2 층간 절연막으로 도포한 후, 상기 제2 층간 절연막 상에 형성되는 상부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패드와 상기 하부 패드는 평면적 관점에서 간격 없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KR1020050132749A 2005-12-28 2005-12-28 반도체 소자와 그 패드 형성 방법 KR1006833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2749A KR100683387B1 (ko) 2005-12-28 2005-12-28 반도체 소자와 그 패드 형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2749A KR100683387B1 (ko) 2005-12-28 2005-12-28 반도체 소자와 그 패드 형성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3387B1 true KR100683387B1 (ko) 2007-02-15

Family

ID=38106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2749A KR100683387B1 (ko) 2005-12-28 2005-12-28 반도체 소자와 그 패드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338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1082A (ko) * 1999-12-28 2001-07-07 박종섭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JP2004214345A (ja) * 2002-12-27 2004-07-29 Renesas Technology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019952A (ja) * 2003-06-24 2005-01-20 Samsung Electro Mech Co Ltd 多層基板の端子構造及びその形成方法
JP2005030336A (ja) * 2003-07-09 2005-02-03 Denso Corp 電磁駆動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燃料噴射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1082A (ko) * 1999-12-28 2001-07-07 박종섭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JP2004214345A (ja) * 2002-12-27 2004-07-29 Renesas Technology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019952A (ja) * 2003-06-24 2005-01-20 Samsung Electro Mech Co Ltd 多層基板の端子構造及びその形成方法
JP2005030336A (ja) * 2003-07-09 2005-02-03 Denso Corp 電磁駆動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燃料噴射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30625B2 (en) Semiconductor packag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TW523905B (en) Semiconductor devi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WO2017056297A1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9538537A (ja) パッシベーション及びポリイミドにより包囲されたコンタクト及びその製造方法
CN108155155B (zh) 半导体结构及其形成方法
US20060030083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JP2010016224A (ja) 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4506767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4675147B2 (ja) 半導体装置
KR100683387B1 (ko) 반도체 소자와 그 패드 형성 방법
TWI717173B (zh) 記憶體裝置及其製造方法
JP2002324797A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3729680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半導体装置
TW201701401A (zh) 用以增加通孔蝕刻率之光圖案法
JP2008066440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10001234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JP5382889B2 (ja) パッケージ構造の製造方法
JP6068326B2 (ja) 多層配線用パッド構造の製造方法
US20210233822A1 (en) Semiconductor device, pad structur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KR100236713B1 (ko) 반도체장치의 범프(Bump) 형성방법
KR970003730B1 (ko) 반도체 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02119B1 (ko) 반도체소자의 본딩패드 및 그 제조방법
JPH04109654A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990587B1 (ko) 반도체 소자 및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591128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