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2605B1 - 이동식 아스팔트 믹싱플랜트 - Google Patents

이동식 아스팔트 믹싱플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2605B1
KR100682605B1 KR1020060016628A KR20060016628A KR100682605B1 KR 100682605 B1 KR100682605 B1 KR 100682605B1 KR 1020060016628 A KR1020060016628 A KR 1020060016628A KR 20060016628 A KR20060016628 A KR 20060016628A KR 100682605 B1 KR100682605 B1 KR 100682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ixing plant
reinforcing frame
reinforc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6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정현
Original Assignee
대명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명산업(주) filed Critical 대명산업(주)
Priority to KR1020060016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26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2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2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0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preparing the materials
    • E01C19/10Apparatus or plants for premixing or precoating aggregate or fillers with non-hydraulic binders, e.g. with bitumen, with resins, i.e. producing mixtures or coating aggregates otherwise than by penetrating or surface dressing; Apparatus for premixing non-hydraulic mixtures prior to placing or for reconditioning salvaged non-hydraulic compositions
    • E01C19/1004Reconditioning or reprocessing bituminous mixtures, e.g. salvaged paving, fresh patching mixtures grown unserviceable; Recycling salvaged bituminous mixtures; Apparatus for the in-plant recycl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5/00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 B28C5/08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using driven mechanical means affecting the mixing
    • B28C5/18Mixing in containers to which motion is imparted to effect the mix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7/00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pparatus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for mixing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Discharging the mixture
    • B28C7/04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식 아스팔트 믹싱플랜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스팔트 배치플랜트를 구성하는 각각의 유닛을 운반시 차량에 장착된 상태로 움직이기 때문에 이동이 편리하고 조립과 설치가 용이하며, 투입되는 원재료들이 믹싱플랜트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작업공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양질의 아스콘을 빠르게 생산할 수 있는 이동식 아스팔트 믹싱플랜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아스팔트 믹싱플랜트는, 차량에 고정 설치되기 위해 일측 하부면에 연결장치가 설치된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과 일정간격을 두고 수평하게 배치된 상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과 상부프레임 사이의 일측에 경사지게 설치된 제1보강프레임과, 상기 제1보강프레임과 일정간격을 두고 수평하게 상기 하부프레임의 타측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된 제2보강프레임과, 상기 제2보강프레임과 일정간격을 두고 수평하게 설치된 제3보강프레임과, 상기 제3보강프레임과 수평하게 배치되고 일단이 상기 하부프레임의 타측에 고정 설치된 제4보강프레임과, 상기 제4보강프레임의 소정위치에 일단이 고정 설치되고 타단은 입설시 지면에 접하도록 설치된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가 회전 가능하게 작동되기 위해, 상기 하부프레임의 길이방향의 양측면 소정위치에 힌지축이 고정 설치되도록 일단에 설치된 복수의 브라켓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타측 하부면을 지지하도록 타단의 하부면에 설치된 바퀴를 포함하는 차대프레임과, 상기 제1보강프레임의 경사면에 타단이 고정 설치되고 일단에 원재료가 투입되는 스크린부와, 상기 제1보강프레임과 제2보강프레임 사이의 경사면에 고정 설치된 저장부와, 상기 제2보강프레임과 제3보강프레임 사이의 경사면에 고정 설치된 계량부와, 상기 제3보강프레임과 제4보강프레임 사이의 경사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4보강프레임의 하단방향으로 아스콘을 배출하는 믹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차량, 프레임, 경사, 입설, 회전

Description

이동식 아스팔트 믹싱플랜트{A MOBILE ASPHALT MIXING PLA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아스팔트 믹싱플랜트의 일실시예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아스팔트 믹싱플랜트의 설치된 상태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믹싱플랜트가 설치된 상태의 아스팔트 배치플랜트의 개략도
도 4는 종래 이동식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장치의 측면도
<도면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 믹싱플랜트 110 차대프레임
120 본체 130 하부프레임
140 상부프레임 150,151,152,153 보강프레임
160 스크린부 170 저장부
180 계량부 190 믹서부
191 이송부 200 운반차량
300 이동수단 400 아스콘운반차량
500 드라이어 510 버너
600 버킷엘리베이터
본 발명은 이동식 아스팔트 믹싱플랜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스팔트 배치플랜트를 구성하는 각각의 유닛을 운반시 차량에 장착된 상태로 움직이기 때문에 이동이 편리하고 조립과 설치가 용이하며, 투입되는 원재료들이 믹싱플랜트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작업공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양질의 아스콘을 빠르게 생산할 수 있는 이동식 아스팔트 믹싱플랜트에 관한 것이다.
도 4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2001-0007810호에 공개된 발명의 명칭이 '이동식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장치'인 이동식 아스콘 플랜트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플랜트는, 일반도로 및 고속도로의 포장작업에 사용되는 플랜트설을 각각의 트레일러에 탑재된 상태에서 도로의 포장에 사용되는 재료를 선별, 가열, 혼합하여 아스콘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저장기, 가열기, 선별기, 혼합기를 각각의 트레일러 프레임에 고정된다. 따라서 저장기를 통해 일정한 크기에 따라 구분되고 가열기로 이동하여 건조된 후 버킷엘리베이터를 타고 선별기인 진동스크린(50)를 통해 골재 및 자갈을 분리하여 골재저장빈에 낙하 보관된다. 상기와 같이 보관된 골재는 버킷엘리베이터(56)를 따라 계량기(48)에 공급된 후 실린더(52)에 의해 지지된 트레일러(29)의 일측에 탑재된 혼합기(41)에 공급되고, 일정시간 배합된 골재는 혼합기(41)의 하부면에 배치된 운반차량으로 공급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이동식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장치는, 선별기와 혼합기가 별도의 트레일러에 각각 탑재된 상태로 이송되고, 설비시 선별기에서 혼합기로 공급해 주기 위해 경사면을 갖는 별도의 버킷엘리베이터를 추가 설치해야하기 때문에, 각각의 장비를 설치 및 분리하기 위한 시간이 지연될 뿐만 아니라 장비 제작비와 이동시 발생되는 유지비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계량기와 혼합기에 골재를 공급해 주기 위해 경사면을 갖는 버킷엘리베이터를 설치해야하기 때문에, 설치면적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길이가 긴 만큼 이송되는 속도가 늦어져 시간당 아스팔트 생산량이 적다. 따라서, 현장에서 투입되는 공급량을 맞추기 위해 장시간 동안 구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제조장치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다른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트레일러에 탑재된 혼합기를 일정 높이를 갖도록 배치하기 위해 트레일러에 설치된 실린더를 작동시켜 지면에 지지하게 되나, 아스팔트를 운반하는 차량에 비해 낮기 때문에 운반차량이 이송되는 지면을 따라 소정깊이를 갖는 이동통로를 만들어 줘야 하는 작업상의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각각의 트레일러에 분리된 상태로 운반되는 선별기와, 혼합기를 일체로 형성된 믹싱플랜트를 구성함으로서, 이동과 설치가 용이하고 제작비용이 저렴한 이동식 아스팔트 믹싱플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믹싱플랜트의 상부에 투입된 골재는 상기 믹싱플랜트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자유낙하 되듯이 스크린부, 저장부, 계량부, 믹서부를 거쳐 운반차량에 공급됨으로 다량의 골재들이 정확하게 배합되고 혼합된 양질의 아스콘을 얻을 수 있으며, 상기 아스콘의 생산량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가동시간이 단축됨으로 인한 믹싱플랜트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한 지면에 설치된 믹싱플랜트의 믹서부 하부로 운반차량이 충분히 통과할 수 있으므로 지면보다 낮게 이동통로를 만드는 기초작업이 필요치 않으며, 실린더를 사용하지 않고 믹싱플랜트를 지지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으로 저렴하고 안정적인 이동식 아스팔트 믹싱플랜트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아스팔트 믹싱플랜트는, 차량에 고정 설치되기 위해 일측 하부면에 연결장치가 설치된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과 일정간격을 두고 수평하게 배치된 상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과 상부프레임 사이의 일측에 경사지게 설치된 제1보강프레임과, 상기 제1보강프레임과 일정간격을 두고 수평하게 상기 하부프레임의 타측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된 제2보강프레임과, 상기 제2보강프레임과 일정간격을 두고 수평하게 설치된 제3보강프레임과, 상기 제3보강프레임과 수평하게 배치되고 일단이 상기 하부프레임의 타측에 고정 설치된 제4보강프레임과, 상기 제4보강프레임의 소정위치에 일단이 고정 설치되고 타단은 입설시 지면에 접하도록 설치된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가 회전 가능하게 작동되기 위해, 상기 하부프레임의 길이방향의 양측면 소정위치에 힌지축이 고정 설치되도록 일단에 설치된 복수의 브라켓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타측 하부면을 지지하도록 타단의 하부면에 설치된 바퀴를 포함하는 차대프레임과, 상기 제1보강프레임의 경사면에 타단이 고정 설치되고 일단에 원재료가 투입되는 스크린부와, 상기 제1보강프레임과 제2보강프레임 사이의 경사면에 고정 설치된 저장부와, 상기 제2 보강프레임과 제3보강프레임 사이의 경사면에 고정 설치된 계량부와, 상기 제3보강프레임과 제4보강프레임 사이의 경사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4보강프레임의 하단방향으로 아스콘을 배출하는 믹서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아스팔트 믹싱플랜트는, 상기 믹서부의 일단에 설치된 계량부에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상부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타단의 외측에 설치된 모터에 의해 내측에 설치된 스크류가 작동되어 타단의 측면에 투입된 충진재를 이송하는 이송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아스팔트 믹싱플랜트는, 상기 하부프레임의 타측에 일단이 힌지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프레임과, 상기 회전프레임의 타단을 고정시켜 주기 위해 상기 하부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된 하부스톱퍼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가 입설시 회전프레임의 타단을 고정시켜 주기 위해 상기 차대프레임의 내측 소정위치에 설치된 차대스톱퍼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아스팔트 믹싱플랜트의 일실시예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아스팔트 믹싱플랜트의 설치된 상태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믹싱플랜트가 설치된 상태의 아스팔트 배치플랜트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아스팔트 배치플랜트의 유닛을 각각의 트레일러에 분산 탑재하여 이송한 후 현장에 근접한 장소에 설치함으로서, 포장작업 시간을 단축시켜 효과적 인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동식 아스팔트 믹싱플랜트는, 차량으로 이동되는 복수의 호퍼를 구비한 호퍼프레임과(미도시 됨)과, 호퍼프레임의 하부로 배출되고 콘베어에 의해 이송된 골재를 건조시켜 주기 위해 차량으로 이동되는 드라이어(500)가 탑재된 드라이어프레임과, 드라이어프레임을 통해 배출된 가열골재를 수직방향으로 이송시켜 주는 버킷엘리베이터(600)와, 버킷엘리베이터(600)의 토출부로 배출된 가열골재를 혼합하는 믹싱플랜트(100)을 포함한다.
호퍼는 하부면에 설치된 개폐장치의 작동에 의해 저장된 골재가 배출되고, 상기와 같이 배출된 골재는 호퍼의 하부면에 설치된 콘베이어(미도시 됨)의 진행방향을 따라서 드라이어(500)로 공급된다.
드라이어(500)는, 일단에 버너(510)가 설치되고 투입된 골재를 건조시키며, 상기와 같이 건조된 골재를 버킷엘리베어터(600)의 하부 투입구로 이송된다.
버킷엘리베이터(600)는, 가열골재를 경사면이 아닌 수직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이송시켜 주기 위해 일단의 개구부는 드라이어(500)에 배치되고, 타단의 개구부는 믹싱플랜트(100)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수직으로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수직으로 설치된 버킷엘리베어터(600)는 경사면을 갖는 종래의 이송수단보다 이송거리가 짧으므로 안정적이고 빠르게 이송작업을 할 수 있으며, 또한 수직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설치면적이 적게 소요되는 장점이 있다.
버킷엘리베이터(600)의 타단의 개구부를 통해 배출된 가열골재가 투입되는 믹싱플랜트(100)는, 이동이 편리하고 설치 및 조립이 용이하도록 운반차량(200)에 고정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또한 믹싱플랜트(100)는, 종래의 저장부와 믹서부가 분리된 상태로 플랜트 현장에서 조립되는 번거로움을 개선하여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스크린부(160)와, 저장부(170)와 계량부(180) 및 믹서부(190)와 충진재를 투입하는 이송부(191)를 일체로 구성한다.
따라서 믹싱플랜트(100)는, 이동이 용이하도록 타측 하부면에 바퀴(111)가 설치된 차대프레임(110)과, 차대프레임(110)의 일단에 힌지축(11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운반차량(200)에 장착될 수 있도록 일측 하부면에 연결장치(136)가 설치된 본체(120)를 포함한다.
차대프레임(110)은,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것으로, 길이방향의 타단 하부면에는 폭방향으로 복수의 바퀴(111)가 설치되고, 일단 상부면의 폭방향으로 동일선상에 힌지축(113)이 삽입 설치될 수 있도록 폭방향의 일단의 양측면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복수의 브라켓(112)이 설치된다.
한편 차대프레임(110)의 브라켓(112)이 설치된 내측에, 운반차량(200)에 설치되고 입설시 회전될 수 있도록 본체(120)가 설치된다.
본체(120)는, 차량에 고정 설치되기 위해 일측 하부면에 연결장치(136)가 설치된 하부프레임(130)과, 하부프레임(130)과 일정간격을 두고 수평하게 배치된 상부프레임(140)과, 하부프레임(130)과 상부프레임(140) 사이의 일측에 경사지게 설치된 제1보강프레임(150)과, 제1보강프레임(150)과 일정간격을 두고 수평하게 상기 하부프레임(130)의 타측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된 제2보강프레임(151)과, 제2보강프 레임(151)과 일정간격을 두고 수평하게 설치된 제3보강프레임(152)과, 제3보강프레임(152)과 수평하게 배치되고 일단이 상기 하부프레임(130)의 타측에 고정 설치된 제4보강프레임(153)과, 제4보강프레임의 소정위치에 일단이 고정 설치되고 타단은 입설시 지면에 접하도록 설치된 지지프레임(154)을 포함한다.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하부프레임(130)의 소정위치의 외측 양측면이 차대프레임(110)의 복수의 브라켓(112) 사이에 삽입 설치된 상태에서 힌지축(113)에 의해 고정되고, 고정된 하부프레임(130)은 힌지축(113)을 기준으로 회전되며, 최대로 회전시 하부프레임(130)의 힌지축(113)이 설치된 전방 하부면이 차대프레임(110)의 일단에 설치된 폭방향의 프레임과 맞닿게 된다.
특히 믹싱플랜트(100)는 입설시 아스콘운반차량(400)이 간섭없이 통과할 수 있도록 차대프레임(110)의 힌지축(113)은 하부프레임(130)의 길이방향의 중심에서 타단방향의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부프레임(130)과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된 직사각형상의 상부프레임(140)은, 하부프레임(130) 보다 길이방향으로 더 길게 형성되며, 입설시 믹싱플랜트(100)의 무게중심을 안정적으로 유지시켜 주게 된다.
또한 하부프레임(130)과 상부프레임(140)의 일정간격을 유지시켜 주고 내측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경사지게 복수의 보강프레임(150,151,152,153)이 설치된다. 따라서 하부프레임(130)과 상부프레임(140) 그리고 복수의 보강프레임(150,151,152,153)에 의해 각각의 프레임에 의해 내측 공간을 갖는 직육면체의 본체(120)가 형성된다.
또한 하부프레임(130)의 하부 내측에 일단이 힌지축(132)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회전프레임(131)이 설치되며, 이동시 회전프레임(131)의 타단은 체결부재에 의해 하부프레임(130)의 내측면에 설치된 하부스톱퍼(133)에 고정된다. 한편 본체(120)가 회전될 때에는 회전프레임(131)이 타단과 하부스톱퍼(133)의 분리한 후 회전프레임(131)의 타단을 차대프레임(110)의 내측에 설치된 차대스톱퍼(114)에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 설치하여 본체(120)를 지지하게 된다.
또한 복수의 보강프레임(150,151,152,153)에 있어서, 일단이 하부프레임(130)의 타단에 설치되고 타단은 상부프레임(140)에 설치된 제4보강프레임(153)에 지지프레임(154)이 설치된다. 지지프레임(154)은 일단은 제4보강프레임(153)에 설치되고 타단은 입설시 지면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본체(120)의 하부면을 지탱해 준다.
그리고 본체(120)의 내측면에 설치되고 입설시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설치되어 양질의 아스콘을 생산할 수 있도록 버킷엘리베이터(600)의 상측 개구부를 통해 공급된 가열골재는 스크린부(160)의 상부로 공급된다. 스크린부(160)는 제1보강프레임(150)의 경사면에 타단이 고정 설치되며, 공급된 가열골재를 크기별로 구분하여 하부에 배치된 저장부(170)로 공급된다.
저장부(170)는, 제1보강프레임(150)과 제2보강프레임(151) 사이의 경사면에 설치된다.
저장부(170)에 공급된 가열골재는 계량부(180)에 공급되며, 제2보강프레임(151)과 제3보강프레임(152) 사이의 경사면에 고정 설치된다. 또한 계량부(180)는 저장부(170)에서 배출된 가열골재를 계량 배출하는 곳이며, 제어부에 의해 정확한 량의 가열골재를 계량부(180)의 하부면에 설치된 믹서부(190)로 배출하게 된다.
믹서부(190)는, 제3보강프레임(152)과 제4보강프레임(153) 사이의 경사면에 고정 설치되며, 제4보강프레임(153)의 하단방향으로 혼합된 아스콘을 배출하게 된다.
또한 믹서부(190)에 가열골재의 공간부를 보충하기 위해 더스트, 돌가루 등의 충진재를 투입하기 위해 상부프레임(14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일단은 믹서부(190)에 설치되고 타단의 외측에 설치된 모터(192)에 의해 내측에 설치된 스크류가 작동되어 타단의 측면에 투입된 충진재를 이송하는 이송부(191)를 포함한다.
이때 이송부(191)의 일단 즉 믹서부(190)에 고정된 부분에 정확한 혼합을 위해 계량부(193)가 설치됨은 물론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스크린부(160), 저장부(170), 계량부(180) 및 믹서부(190)는 운반차량(2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이동시에는 경사지게 설치된 복수의 보강프레임(105,151,152,153)에 의해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나, 작업현장에 설치하기 위해 입설시에는 본체(120)가 복수의 보강프레임(150,151,152,153)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회전시켜 설치하기 때문에 스크린부(160), 저장부(170), 계량부(180) 및 믹서부(190)는 또한 수평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계량부(180)에 의해 투입된 가열골재와 이송부(191)에 의해 투입된 충진재는 믹서부(190)에서 혼합되어 양질의 아스콘을 생성하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믹싱플랜트가 설치된 아스팔트 배치플랜트의 설치 상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운반차량(200)에 의해 현장에 이동된 믹싱플랜트(100)는 운반차량(200)과 분리하여 차대프레임(110)의 바퀴(111)가 설치된 타측 폭방향이 지면에 닿도록 수직하게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차대프레임(110)이 수직하게 설치되면, 하부프레임(130)이 차대프레임(110)의 힌지축(113)에 의해 회전되고, 이때 회전프레임(131)의 타단은 차대프레임(110)의 내측에 설치된 차대스톱퍼(114)에 고정 설치되어 본체(120)가 흔들림없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하부프레임(130)과 상부프레임(140) 사이에 설치된 제4보강프레임(153)에 설치된 지지프레임(154)의 타단은 지면에 닿도록 설치되고, 차대프레임(110)과 본체(120)를 안정적으로 지탱시켜주기 위해 입설시 차대프레임(110)과 하부프레임(130)의 소정위치에 각각 차대브라켓(115)과 하부브라켓(134) 사이에 보조프레임(135)을 더 설치하게 되며, 경우에 따라서 별도의 보강을 위해 프레임을 본체(120)와 차대프레임(110)에 각각 고정시 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본체(120)는 각각의 보강프레임이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힌지축(112)을 기점으로 회전되며, 상기와 같이 수평을 유지함으로서, 각각의 보강프레임과 고정 설치된 스크린부(160), 저장부(170), 계량부(180) 및 믹서부(190)는 또한 수평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작업을 진행함으로서, 양질의 아스콘을 빠른 시간내에 생산할 수 있게 된다.
믹싱플랜트(100)를 지면에 설치한 후 본체(120)의 외주면을 따라서 상하방향 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수직계단과 수평면을 갖는 이동수단(300)을 설치하게 된다.
따라서 호퍼의 하부로 배출되고 콘베어에 의해 이송된 원재료를 건조시켜 주기 위해 드라이어(500)가 탑재된 드라이어이동차량과, 드라이어(500)를 통해 배출된 가열골재를 수직방향으로 이송시켜 주는 버킷엘리베이터(600)와, 버킷엘리베이터(600)의 토출부로 배출된 가열골재가 믹싱플랜트(100)의 본체 상부면에 투입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믹싱플랜트(100)는 투입된 가열골재를 스크린부(160)와 저장부(170) 및 계량부(180)를 거쳐 믹서부(190)에 공급되고, 믹서부(190)에 일단이 설치된 이송부(191)를 통해 충진재를 믹서부(190)에 공급하게 된다.
또한 가열골재와 충진재는 믹서부(190)에서 혼합된 상태에서 믹서부(190)의 하부에 배치된 아스콘운반차량(400)으로 배출된다. 이때 믹서부(190)의 하부에는 제어부에 의해 작동되는 개폐장치가 설치된다.
이동시에는 상기의 역순으로 작업을 하여 운반차량(200)에 혼합유닛(100)의 연결장치(136)를 장착한 후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아스팔트 배치플랜트의 설치 및 이동이 용이하도록 차량에 탑재된 믹싱플랜트를 구비하여 설치장소에 제약없이 편리하게 이동이 가능하고, 일체로 형성됨으로서 조립과 분리가 용이하고 전체적인 제작비와 유지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믹싱플랜트의 상부에 투입된 가열골재는 상기 믹싱플랜트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자유낙하 되듯이 각각의 공정을 거쳐 운반차량에 공급됨으로 다량의 골재들이 정확하게 배합되고 혼합된 양질의 아스콘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작업지연을 일으키는 계량기에서 믹서기로 운반하는 버킷엘리베이터와 같은 이송수단이 없기 때문에 시간당 생산량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가동시간이 단축됨으로 인한 믹싱플랜트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다른 효과가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Claims (4)

  1. 차량에 고정 설치되기 위해 일측 하부면에 연결장치가 설치된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과 일정간격을 두고 수평하게 배치된 상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과 상부프레임 사이의 일측에 경사지게 설치된 제1보강프레임과, 상기 제1보강프레임과 일정간격을 두고 수평하게 상기 하부프레임의 타측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된 제2보강프레임과, 상기 제2보강프레임과 일정간격을 두고 수평하게 설치된 제3보강프레임과, 상기 제3보강프레임과 수평하게 배치되고 일단이 상기 하부프레임의 타측에 고정 설치된 제4보강프레임과, 상기 제4보강프레임의 소정위치에 일단이 고정 설치되고 타단은 입설시 지면에 접하도록 설치된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가 회전 가능하게 작동되기 위해, 상기 하부프레임의 길이방향의 양측면 소정위치에 힌지축이 고정 설치되도록 일단에 설치된 복수의 브라켓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타측 하부면을 지지하도록 타단의 하부면에 설치된 바퀴를 포함하는 차대프레임과,
    상기 제1보강프레임의 경사면에 타단이 고정 설치되고 일단에 원재료가 투입되는 스크린부와,
    상기 제1보강프레임과 제2보강프레임 사이의 경사면에 고정 설치된 저장부와,
    상기 제2보강프레임과 제3보강프레임 사이의 경사면에 고정 설치된 계량부와,
    상기 제3보강프레임과 제4보강프레임 사이의 경사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4보강프레임의 하단방향으로 아스콘을 배출하는 믹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아스팔트 믹싱플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믹서부의 일단에 설치된 계량부에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상부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타단의 외측에 설치된 모터에 의해 내측에 설치된 스크류가 작동되어 타단의 측면에 투입된 충진재를 이송하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아스팔트 믹싱플랜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의 타측에 일단이 힌지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프레임과, 상기 회전프레임의 타단을 고정시켜 주기 위해 상기 하부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된 하부스톱퍼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가 입설시 회전프레임의 타단을 고정시켜 주기 위해 상기 차대프레임의 내측 소정위치에 설치된 차대스톱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아스팔트 믹싱플랜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믹싱플랜트의 입설시 지면에서 상부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도 록 상기 믹싱플랜트의 외주면에 설치된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아스팔트 믹싱플랜트.
KR1020060016628A 2006-02-21 2006-02-21 이동식 아스팔트 믹싱플랜트 KR100682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6628A KR100682605B1 (ko) 2006-02-21 2006-02-21 이동식 아스팔트 믹싱플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6628A KR100682605B1 (ko) 2006-02-21 2006-02-21 이동식 아스팔트 믹싱플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2605B1 true KR100682605B1 (ko) 2007-02-15

Family

ID=38106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6628A KR100682605B1 (ko) 2006-02-21 2006-02-21 이동식 아스팔트 믹싱플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2605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1503B1 (ko) 2007-07-26 2008-02-12 대우산업주식회사 이동식 아스팔트 믹싱플랜트
KR100890954B1 (ko) 2008-08-22 2009-03-27 대명산업(주) 이동식 아스팔트 믹싱 플랜트
KR100916636B1 (ko) * 2009-01-12 2009-09-08 대우산업주식회사 현장설치 및 차량 적재가 용이한 이동식 아스팔트 믹싱 플랜트
WO2011007975A2 (ko) * 2009-07-13 2011-01-20 대명산업(주) 이동식 아스팔트 믹싱 플랜트
KR101035369B1 (ko) 2008-11-14 2011-05-20 (주)홍보컴퍼니 이동식 아스팔트 믹싱 플랜트
WO2016191843A1 (pt) * 2015-06-05 2016-12-08 Ciber Equipamentos Rodoviários Ltda Aperfeiçoamento aplicado em chassi de usinas asfálticas móveis
RU2693103C1 (ru) * 2018-04-18 2019-07-01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Коминвест-АКМТ" Мобильная асфальтобетонная установка и рамный корпус агрегата асфальтобетонной установки
CN110480828A (zh) * 2019-09-11 2019-11-22 云南建投建筑机械有限公司 移动式混凝土搅拌系统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1503B1 (ko) 2007-07-26 2008-02-12 대우산업주식회사 이동식 아스팔트 믹싱플랜트
KR100890954B1 (ko) 2008-08-22 2009-03-27 대명산업(주) 이동식 아스팔트 믹싱 플랜트
KR101035369B1 (ko) 2008-11-14 2011-05-20 (주)홍보컴퍼니 이동식 아스팔트 믹싱 플랜트
KR100916636B1 (ko) * 2009-01-12 2009-09-08 대우산업주식회사 현장설치 및 차량 적재가 용이한 이동식 아스팔트 믹싱 플랜트
WO2010079861A1 (ko) * 2009-01-12 2010-07-15 대우산업주식회사 현장설치 및 차량 적재가 용이한 이동식 아스팔트 믹싱 플랜트
WO2011007975A2 (ko) * 2009-07-13 2011-01-20 대명산업(주) 이동식 아스팔트 믹싱 플랜트
WO2011007975A3 (ko) * 2009-07-13 2011-04-14 대명산업(주) 이동식 아스팔트 믹싱 플랜트
WO2016191843A1 (pt) * 2015-06-05 2016-12-08 Ciber Equipamentos Rodoviários Ltda Aperfeiçoamento aplicado em chassi de usinas asfálticas móveis
US10309064B2 (en) 2015-06-05 2019-06-04 Ciber Equipamentos Rodoviarios Ltda Applied to chasis of mobile asphalt plants
RU2693103C1 (ru) * 2018-04-18 2019-07-01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Коминвест-АКМТ" Мобильная асфальтобетонная установка и рамный корпус агрегата асфальтобетонной установки
CN110480828A (zh) * 2019-09-11 2019-11-22 云南建投建筑机械有限公司 移动式混凝土搅拌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2605B1 (ko) 이동식 아스팔트 믹싱플랜트
KR101200090B1 (ko) 배처플랜트
EP3303706B1 (en) Highly portable asphalt plant
BR112019004522B1 (pt) Usina misturadora de concreto com tempo de ciclo reduzido e tempo de instalação e desmontagem reduzido e método para sua operação
AU2010200288B2 (en) Stabiliser or recycler
CN104612026B (zh) 粉末撒布车
CN108867274B (zh) 铺筑混凝土路面的摊铺机
KR100890954B1 (ko) 이동식 아스팔트 믹싱 플랜트
CN102345265A (zh) 隔档进料式热拌间歇式沥青混合料拌和机及其生产工艺
JP6648940B2 (ja) アスファルトプラント
KR20180112971A (ko) 자갈궤도를 개량하기 위한 급속경화궤도용 모르타르 공급장비
KR100801503B1 (ko) 이동식 아스팔트 믹싱플랜트
KR100393257B1 (ko) 이동식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장치
CN105672098A (zh) 一种设有预混合装置的再生沥青混凝土加工成套设备
KR100476686B1 (ko) 일괄방식 상온 재생아스콘 제조장치 및 방법
KR100827557B1 (ko) 콘크리트 타설기
KR101129533B1 (ko) 이동식 아스팔트 믹싱 플랜트
RU2602838C2 (ru) Вставка для бункера асфальтоукладчика
CN203004079U (zh) 一种配置振动搅拌主机的混凝土搅拌站
KR20020011787A (ko) 이동식 콘크리트 혼합 플랜트
KR20120042453A (ko) 신재 아스콘과 재생 아스콘을 혼합하여 만들어지는 순환 아스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CN103101116A (zh) 一种配置振动搅拌主机的混凝土搅拌站
CN214143143U (zh) 一种沥青混凝土混料装置
KR100776358B1 (ko) 분리수단이 구비된 폐아스콘 또는 폐콘크리트 재생 플랜트
JP4480819B2 (ja) コンクリートの製造方法およびコンクリートの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