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3257B1 - 이동식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식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3257B1
KR100393257B1 KR10-2000-0057006A KR20000057006A KR100393257B1 KR 100393257 B1 KR100393257 B1 KR 100393257B1 KR 20000057006 A KR20000057006 A KR 20000057006A KR 100393257 B1 KR100393257 B1 KR 1003932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mixer
asphalt concrete
attache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7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7810A (ko
Inventor
정수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도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도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도스텍
Priority to KR10-2000-0057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3257B1/ko
Publication of KR20010007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7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3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32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5/00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 B28C5/08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using driven mechanical means affecting the mixing
    • B28C5/0893Mobile mixing devices, e.g. han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5/00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 B28C5/08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using driven mechanical means affecting the mixing
    • B28C5/10Mixing in containers not actuated to effect the mixing
    • B28C5/12Mixing in containers not actuated to effect the mixing with stirrers sweeping through the materials, e.g. with incorporated feeding or discharging means or with oscillating stirrers
    • B28C5/1238Mixing in containers not actuated to effect the mixing with stirrers sweeping through the materials, e.g. with incorporated feeding or discharging means or with oscillating stirrers for materials flowing continuously through the mixing device and with incorporated 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5/00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 B28C5/08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using driven mechanical means affecting the mixing
    • B28C5/18Mixing in containers to which motion is imparted to effect the mixing
    • B28C5/1825Mixers of the tilted-drum type, e.g. mixers pivotable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rotation for emptying
    • B28C5/1831Mixers of the tilted-drum type, e.g. mixers pivotable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rotation for emptying to be mounted on a trac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7/00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pparatus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for mixing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Discharging the mixture
    • B28C7/0007Pretreatment of the ingredients, e.g. by heating, sorting, grading, drying, disintegrating; Preventing generation of du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9/00General arrangement or layout of plant
    • B28C9/002Mixing systems, i.e. flow charts or diagrams; Making slurries; Involving methodical aspects; Involving pretreatment of ingredients; Involving packag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0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preparing the materials
    • E01C19/10Apparatus or plants for premixing or precoating aggregate or fillers with non-hydraulic binders, e.g. with bitumen, with resins, i.e. producing mixtures or coating aggregates otherwise than by penetrating or surface dressing; Apparatus for premixing non-hydraulic mixtures prior to placing or for reconditioning salvaged non-hydraulic compos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식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반도로 및 고속도로의 포장작업에 사용되는 플랜트 시설을 차량의 트레일러에 탑재하여 고정시킨 상태에서 도로의 포장에 사용되는 재료를 선별, 가열, 혼합하여 아스콘(ascon)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저장기, 가열기, 혼합기, 선별기를 각각의 트레일러 프레임에 부착하여 구성하고, 상기 저장기에는 캐리어 롤러와 컨베이어를 연결하여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공급받은 가열기는 구동모터의 회전에 의하여 링 지지구가 연동됨에 따라 드럼에 고정된 링을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가열기의 내부에는 버너의 작용으로 높은 온도를 유지하면서 재료를 건조시키고, 상기 가열기의 일측에는 집진기를 부착해 두어 건조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백 필터로 배출되게 구성하고, 상기 가열기에서 건조된 재료는 엘리베이터를 타고 선별기로 공급되도록 구성하고, 상기의 선별기에는 규격별로 형성된 걸림망이 진동 스트린에 의해 작동되면서 골재 및 자갈을 분리하여 골재 저장빈에 저장시켰다가 주기적으로 혼합기의 내부로 이동되도록 구성되게 하였다.
따라서 이상과 같이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완성시키는 플랜트의 구조를 지면에 고정시키는 방식이 아니라 이동식으로 형성하여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특징과 함께 별도의 기초공사나 기타 제반적인 시설에 소요되는 경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식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장치{A movable asphalt concrete manufacturing machine}
본 발명은 이동식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반도로 및 고속도로의 포장작업에 사용되는 플랜트 시설을 차량의 트레일러에 탑재하여 고정시킨 상태에서 도로의 포장에 사용되는 재료를 선별, 가열, 혼합하여 아스콘(asc
on)으로 형성시켜 출하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식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도로의 일부가 파손되거나 노후되어 재포장할 때는 도로의 아스팔트를 걷어내고 새로운 아스팔트 콘크리트로 포장하게 된다.
상기의 과정에서 사용되는 아스팔트 콘크리트(아스콘)를 대량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일반적인 방법은 먼저 지면에 기초 공사를 한 후 저장기, 가열기, 혼합기 등의 대형 플랜트 시설들을 수직방향으로 배치시키고, 상기 플랜트 프레임의 하단부와 기초부를 앵커볼트로 연결하여 고정 설치하였다.
그리고 아스팔트 혼합기의 플랜트 하부에 운반 트럭이 대기한 상태로 아스콘을 생산하도록 되어 있고, 생산된 아스콘을 운반 트럭에 직접 배출시켜 출하하는 방식이 이용되고 있으며, 별도로 아스콘 저장 싸이로가 설치된 경우는 본체에서 생산된 아스콘을 이송장치를 통하여 이송시키거나 이를 저장하였다가 싸이로에서 적재 트럭에 적재시켜 출하하는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에서 완성되는 아스팔트 콘크리트는 모래, 파쇄 모래, 자갈, 파쇄 자갈, 파쇄 돌가루, 석분, 아스팔트유 등의 재료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의 재료들은 저장기를 통하여 일정한 크기에 따라 구분된 후 가열기로 이동하여 건조되고, 혼합기에 의해 혼합되는 각각의 플랜트 시설들이 갖추어져 있어야지만 대량적으로 생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플랜트 시설들은 넓은 지면 위에 기초공사를 한 후 플랜트를 고정시키므로 인하여 상기의 아스팔트 플랜트는 지면에 고정됨에 따라 소기의 공정을 안정적으로 수행하는 장점은 있으나, 작업 현장이 장거리 일 때는 덤프차량에 아스콘을 적재하여 장시간을 이동하여 현장에 투입을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작업조건에 따라서 상기의 플랜트 전체 시설들을 다른 지역으로 이동시킬 경우에는 상기 아스팔트 플랜트를 전체적으로 분해 조립하여 이동시키게 되고, 현장 도착시 다시 기초 공사가 이루어진 후 상기 플랜트를 다시 세워야 하는 문제 등으로 인하여 시간적, 경제적으로 많은 부담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도로포장을 하는 플랜트 시설들을 차량의 트레일러에 고정시켜 작업을 하고, 포장작업 완료 후 바로 이동하는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이동식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각 트레일러의 프레임에는 저장기, 가열기, 혼합기를 부착하여 구성하고, 상기 저장기에는 다수의 저장탱크를 프레임에 부착하고, 상기 프레임에는 상하조절부와 구동모터 및 감속기를 일체로 부착하여 샤프트에 고정된 기어와 연결시켜 벨트를 회동시키고,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는 스탠드와 캐리어 롤러를 부착시켜 컨베이어로 연결하고,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는 롤러와 연결된 장력조절부가 구성되는 수단과, 상기 가열기의 프레임의 전측과 후측에는 복수의 링 지지구를 구성시키고, 상기 링 지지구는 주축과 베어링으로 고정하여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풀리와 벨트에 의해 전달할 수 있도록 감속기와 연결하고, 상기 링지지구와 드럼의 좌, 우측의 표면에는 연결편으로 고정된 링을 밀착시켜 드럼을 회전시키고, 상기 드럼의 내부에는 공간부와 수개의 걸림판이 구성되는 수단과, 상기 혼합기의 본체 내부 중앙에는 복수의 구동축을 베어링으로 고정하여 구성시키고, 상기 구동축의 일측에 스프로킷을 형성하여 구동모터와 체인으로 연결시켜 기어의 맞물림으로 구동축이 연동되게 하고, 상기 복수로 형성된 구동축에는 다수의 절삭날이 고정된 아암이 부착되고, 상기 구동모터는 차량의 트레일러의 메인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본체의 하부에는 실린더가 부착된 게이트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상측에는 아스팔트유가 분사되는 스프레이 노즐이 구성되는 수단과, 상기 혼합기의 일측에는 선별기가 고정되고, 상기 선별기에는 진동스크린과 가열골재 저장빈이 구성되어, 선별된 재료가 버킷 엘리베이터를 타고 혼합기로 공급되고, 상기 선별기에는 판 스프링과 방진고무가 부착되어 소음과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수단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저장 및 출하방법을 보인 공정의 계통도
도 2는 본 발명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저장 및 출하방법을 보인 공정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아스팔트 콘크리트 장치의 요부인 재료 저장부의 사용상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재료 저장부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재료 저장부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아스팔트 콘크리트 장치의 요부인 재료 가열부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재료 가열부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재료 가열부의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아스팔트 콘크리트 장치의 요부인 재료 혼합장치부의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재료 혼합기의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재료 혼합기의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재료 선별기의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재료 선별기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베어링 3. 벨트
4. 기어 5. 체인
6. 모터 7. 풀리
8. 주축 9. 저장탱크
10. 저장기 11,12,13. 프레임
14,15,16. 구동모터 17,18,19. 컨베이어
20. 배출구 21. 상하조절부
22. 롤러 23. 스탠드
24, 캐리어 롤러 25. 안내 슈트
26. 장력조절부 27,28,29. 트레일러
30. 샤프트 31. 감속기
32. 가열기 33. 링 지지구
34. 드럼 35. 링
36. 걸림판 37. 연결편
38. 집진기 39. 화염구
40. 버너 41. 혼합기
42. 케이싱 43. 게이트
44. 스프레이 노즐 45. 스프로킷
46. 아암 47. 구동축
48. 계량기 49. 엘리베이터
50. 진동스크린 51. 선별기
52. 실린더 53. 백 필터
54. 판 스프링 55. 방진고무
56. 버킷 엘리베이터 57. 가열골재 저장빈
58. 걸림망 59. 오일 히터
60. 경유 탱크 61. 벙커씨 탱크
62. 아스팔트유 탱크 63. 석분 사일로
64. 스크루 컨베이어 65. 절삭날
67. 전자저울 68. 게이트
69. 공간부 70. 브래킷
71. 체인커버 72. 아스팔트유
이하, 첨부된 도면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실시례에 의해서 이루어진 그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저장 및 출하방법을 보인 공정의 계통도이며, 도 2는 본 발명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저장 및 출하방법을 보인 공정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아스팔트 콘크리트 장치의 요부인 재료 저장부의 사용상태 측면도이고, 도 4는 재료 저장부의 정면도이고, 도 5는 재료 저장부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아스팔트 콘크리트 장치의 요부인 재료 가열부의 측면도이고, 도 7은 재료 가열부의 정면도이고, 도 8은 재료 가열부의 측면부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아스팔트 콘크리트 장치의 요부인 재료 혼합장치부의 측면도이고, 도 10은 재료 혼합기의 정면도이고, 도 11은 재료 혼합기의 측면도이고, 도 12는 재료 선별기의 정면도이고, 도 13은 재료 선별기의 측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저장 및 출하방법을 보인 공정의 계통도를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먼저 다수의 저장기(10)는 트레일러(27)에 형성된 프레임(11)에 고정되고, 각각의 캐리어 롤러(24)와 컨베이어(17)가 연결되어 가열기(32)로 재료를 투입하게 구성한다.
상기의 재료를 컨베이어(17)를 통해 공급받은 가열기(32)는 구동모터(14)의 회전으로 링 지지구(33)가 연동되어 상기 드럼(34)에 고정된 링(35)을 회전시키고, 상기 가열기(32)의 내부에는 버너(40)의 작용으로 높은 온도가 유지되면서 재료가 건조될 수 있게 구성한다.
또한 상기 가열기(32)의 일측에는 집진기(38)가 부착되어 있어 발생되는 분진을 백 필터(53)로 배출되게 구성하고, 상기 가열기(32)에서 건조된 재료는 엘리베이터(49)를 타고, 선별기(51)로 공급된다.
상기의 선별기(51)에는 규격별로 형성된 걸림망(58)이 진동스크린(50)에 의해 작동되면서 골재 및 자갈은 분리되어 골재 저장빈(57)에 낙하되어 보관된다.
이때 상기의 골재 저장빈(57)에는 5mm, 5-13mm, 13-19mm, 19-40mm의 규격으로 구분되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전자저울(67)에 입력된 무게와 저장빈(57)의 무게가 일치하게 되면서 실린더(52)의 작용으로 게이트를 개방시켜 재료를 버킷 엘리베이터(56)로 공급시켜 상기의 혼합기(41)로 바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의 혼합기(41) 내부에는 가열되고 건조된 재료가 공급됨과 동시에 아스팔트유와 석분이 추가적으로 투입시켜 혼합되도록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저장 및 출하방법을 보인 공정의 평면도를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오일히터(59), 경유탱크(60), 벙커씨탱크(61), 아스팔트유탱크(62), 석분사일로(63)가 형성되어 배관라인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의 석분사일로(63)와 혼합기(41)를 스크루 컨베이어(64)로 연결시켜서 석분을 원활하게 혼합기(41)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저장기(10)는 컨베이어(17,18)에 의해 가열기(32)로 재료를 공급하고, 상기 가열기(32)는 엘리베이터(49)에 의해 선별기(51)로 가열된 재료를 투입하고, 상기 선별기(51)에서 분리된 재료는 버킷 엘리베이터(56)에 의해 재료를 혼합기(41)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아스팔트 콘크리트 장치의 요부인 재료 저장부의 측면도를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트레일러(27)의 본체 프레임(11)의 상측에는 컨베이어(17)가 가열기(32)까지 길게 형성되어 연결되고, 일정 간격의 프레임(11)에 다수의 저장탱크(9)가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의 각 저장탱크(9)에는 별도의 배출구(20)와 구동모터(14) 및 재료 이동장치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저장탱크(9)의 내부에는 각각의 재료가 저장될 수도 있고, 동일한 재료가 저장되어 공급될 수도 있다.
도 4는 재료 저장부의 정면도를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저장탱크(9)의 하부에는 배출구(20)가 형성되고, 벨트 롤러(22)는 프레임(11)에 고정되고, 상기 상측 프레임(11)에는 안내 슈트(25)와 상하조절부(21)가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1)의 일측면에 형성된 구동모터(14)와 감속기(31)의 기어는 롤러(22)를 회동시키는 샤프트(30)의 기어(4)와 체인(5)으로 연결되어서 회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 슈트(25)의 하측에는 스탠드(23)에 조립된 캐리어 롤러(24)가 형성되어 재료를 가열장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5는 재료 저장부의 측면도를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저장탱크(9)의 하측에는 감속기(31)와 구동모터(14)를 일렬로 구성시키고, 구동모터(14)의 동력을 감속기(31)로 바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감속기(31)에는 기어(4)가 고정되고, 프레임(11)에 고정된 샤프트(30)는 기어(4)와 체인(5)으로 연결시켜서, 롤러(22)와 벨트(3)를 회동시키고, 상기 롤러(22)의 일측에는 장력조절부(26)가 구성되도록 하였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아스팔트 콘크리트 장치의 요부인 재료 가열부의 측면도를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저장기(10)에 공급된 재료는 계량기(48)에 의해 무게와 크기별로 분리, 계량되어 배출된다.
이때, 분리된 재료는 컨베이어(18)를 타고 가열기(32)의 내부로 정해진 무게만큼 유입된다.
한편 상기의 가열기(32) 내부로 유입되는 재료는 자갈, 석분, 골재 등으로 구분되어 유입되거나, 혼합되어 유입되어도 무관 한다.
그리고 구동모터(15)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링 지지구(33)가 서서히 회전하면서 상기 드럼(34)에 고정된 링(35)을 회전시키게 되고, 버너(40)에서는 화염이 분사되면서 상기 드럼(34)의 내부는 고온으로 가열된다.
도 7은 재료 가열부의 정면도를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차량의 트레일러(28)에 프레임(12)을 형성시켜 구동모터(15)를 전측과 후측에 각각 복수로 형성시킨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15)의 풀리(7)는 벨트(3)에 의해서 감속기(31)와 연결되고, 상기 감속기(31)는 주축(8)과 연결되어 베어링으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 감속기(31)와 연결된 주축(8)은 풀리(7)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15)의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베어링(2)으로 고정된 주축(8)에는 링 지지구(33)가 조립된다.
상기 링 지지구(33)는 드럼(34)의 표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링(35)과 상호 밀착되어진 상태이며, 상기 링(35)은 다시 드럼(34)의 표면에 고정된 연결편(37)에 의해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드럼(34)의 내부에는 다수의 걸림판(36)이 고착되고, 일측의 끝단에는 버너(40)가 고정된 화염구가 형성된다.
도 8은 재료 가열부의 측면도를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차량의 트레일러(28)의 좌측과 우측에는 집진기(38)와 버너(40)가 구성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아스팔트 콘크리트 장치의 요부인 재료 혼합장치부의 측면도를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혼합기(41)는 트레일러(29)에 형성된 프레임(13)에 고정된다.
도 10은 재료 혼합기의 정면도를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혼합기(41)의 측면에 구동축(47)을 고정시키는 베어링(2)은 받침대에 고정되고, 상기 받침대는 트레일러(29)의 메인 프레임(13)에 다시 고착 고정된다.
그리고 혼합기(41) 하부를 견고히 밀폐하기 위하여 케이싱(12)(casing)부를 형성하고, 실린더(52)에 의해 작동되는 게이트(43)를 구성한다.
또한 혼합기(41)의 상부에는 스프레이 노즐(44)을 부착하여 재료인 골재와 석분의 표면에 아스팔트유를 분사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도 11은 재료 혼합기의 평면도를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혼합기(41) 내부에는 복수의 구동축(47)이 베어링(2)에 삽입되고, 상기 각 구동축(47)에는 절삭날(65)과 일체로 형성된 아암(46)이 다수 조립되는데 있어서, 상기 구동축(47)에 조립된 아암(46)들은 엇갈리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 구동축(47)의 일측에는 기어가 서로 맞물리도록 구성하고, 상기 구동축(47)의 타측에는 스프로킷(45)을 고정한다.
또한 상기 구동축(47)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동모터(16)에도 스프로킷(45)을 고정하고, 체인(5)으로 연결시켜 복수의 구동축(47)이 연동되도록 하였다.
도 12는 재료 선별기의 정면도를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상기 선별기(51)에는 규격별로 형성된 걸림망(58)이 진동 스크린(50)에 의해 작동되면서 골재 및 자갈은 분리되어 각각의 골재 저장빈(57)에 낙하되어 보관된다.
이때 상기의 걸림망(58)은 5mm, 5-10mm, 13-19mm, 19-40mm의 규격으로 구분되어 있다.
상기 진동 스크린(50)은 구동모터(6)와 연결된 풀리(7)와 벨트(3)에 의해 좌, 우측으로 진동되면서 회동하게 된다.
도 13은 재료 선별기의 측면도를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상기 가열골재 저장빈(57)의 외부에는 전자저울(67)이 부착되어 있어서, 상기 저장빈(57)의 내부에 투입된 재료의 무게와 전자저울(67)에 입력된 무게가 일치하게 되면서, 실린더(52)는 작동되어 게이트(43)를 개방하고, 재료는 버킷 엘리베이터(56)로 낙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의 버킷 엘리베이터(56)는 계속적으로 회동하면서 재료를 혼합기(41)의 내부로 투입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다수의 저장탱크(9) 내부에는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재료인 자갈, 석분 등이 중장비에 의해 이동되어 저장된다.
한편, 트레일러(27)의 본체 프레임(11)의 상측에 형성된 컨베이어(17)는 모터의 회전으로 계속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컨베이어(17)는 가열기(32)쪽으로 재료를 이동시키는데 있어서, 속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였고, 재료가 외부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조이다.
상기의 저장탱크(9)에 보관중인 재료는 계량기(48)와 배출구(20)를 통하여 정해진 무게만큼 배출되어 작동중인 벨트에 낙하되면서 이동하여 캐리어 롤러(24)가 부착된 컨베이어(17)에 다시 떨어져 가열기(32)로 계속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재료의 이동작업은 다수의 저장탱크(9)에서 동시에 재료가 낙하되어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각각의 저장탱크(9)에서 별도로 재료를 낙하시켜도 무방하다.
그리고 배출구(20)에서 방출되는 재료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상하의 높이로 이동하는 상하조절부(21)를 프레임(11)에 고정시켜 배출구(20)와 벨트(3)의 간격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의 작업공정을 거쳐 발생된 석분, 자갈은 계속적으로 컨베이어(17)에 의해 가열기(32)로 이동된다.
한편, 가열기(32)의 트레일러(28)에 고정된 구동모터(15)는 동력을 공급받음과 함께 회전하게 되고, 벨트(3)에 의해 풀리(7)와 연결된 감속기(31)도 풀리(7)의 회전력을 받아 서서히 회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감속기(31)에는 주축(8)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감속기(31)에 의해 조절된 회전속도는 바로 주축(8)으로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의 주축(8)에는 링 지지구(33)가 고정되어 일체로 회전하게 되면서 드럼(34)의 하중에 의해 링(35)과 링 지지구(33)는 서로 밀착되고, 링 지지구(33)의 회전에 의해 드럼(34) 표면에 고정된 링(35)도 서서히 회전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회전하는 드럼(34)의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저장기(10)에서 공급된 재료들이 상기 드럼(34)의 공간부에 일정량 채워지게 되면서 버너(40)에서는 화염이 분사되어 재료를 직접적으로 건조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버너(40)의 작용으로 화염이 지속적으로 발생되고, 드럼(34)은 계속적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재료인 자갈, 석분에 남아 있는 수분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의 드럼(34) 내부 표면에는 다수의 걸림판(36)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재료들은 자연적으로 걸림판(36)에 의해 규칙적으로 부딪치면서 흩어지게 되어보다 빠르게 건조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건조작업이 완료되면서, 재료들은 드럼(34)에 형성된 배출구(20)를 통하여 배출되어 선별기(51)의 내부로 투입되게 하였다.
상기 선별기(51)에는 규격별로 형성된 걸림망(58)이 진동 스크린(50)에 의해 작동되면서 골재 및 자갈은 분리되어 각각의 골재 저장빈(57)에 낙하되어 보관될 수 있다.
이때 상기의 걸림망(58)은 5mm, 5-10mm, 13-19mm, 19-40mm의 규격으로 구분되어 있다.
상기 진동 스크린(50)은 구동모터(6)와 연결된 풀리(7)와 벨트(3)에 의해 좌, 우측으로 진동되면서 회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의 진동 스크린(50)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판스프링(54)과 방진고무(55)가 부착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가열골재 저장빈(57)의 외부에는 전자저울(67)이 부착되어 있어서, 상기 저장빈(57)의 내부에 투입된 재료의 무게와 전자저울(67)에 입력된 무게가 일치하게 되면서, 실린더(52)는 작동되어 게이트(68)를 개방하여 재료를 버킷 엘리베이터(56)로 공급하게 되면서 상기의 재료를 혼합기(41)의 내부로 투입하도록 하였다.
상기의 혼합기(41) 내부에는 구동모터(16)와 동시에 회전되는 구동축(47)이 복수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동축(47)에 고정되는 아암(46)과 절삭날(65)도 지속적으로 회전하게되므로 상기 골재와 석분의 혼합은 적합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의 혼합작업이 진행되는 도중에 혼합기(41)의 상부에 부착된 스프레이 노즐(44)에서는 아스팔유가 계속적으로 혼합기(41)의 내부로 분사된다.
이때, 상기 혼합기(41) 내부의 골재와 석분, 아스팔트유는 구동축(47)에 형성된 아암(46)과 절삭날(65)의 회전으로 믹서되면서 하나의 아스팔트 콘크리트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혼합작업이 종료되면 대기중인 덤프트럭에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공급하게 된다.
한편, 상기 덤프트럭에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공급할 때에는 혼합기(41)의 하부에 형성된 실린더(52)가 작동하여 게이트(43)를 개방하여서, 혼합기(41) 내부의 혼합된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이상과 같이 작업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도로포장 작업이 종료되고, 다른 작업현장으로 이동할 때는 트레일러에 부착된 실린더를 간단히 원위치시키고, 차량으로 견인하여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완성시키는 플랜트의 구조를 지면에 고정시키는 방식이 아니라 이동식으로 형성하여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특징과 함께 별도의 기초공사나 기타 제반적인 시설에 소요되는 경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이동식 제조장치에 있어서,
    저장기, 가열기, 혼합기, 선별기를 각각의 트레일러 프레임에 부착하여 구성시키되, 상기 저장기에는 각각의 캐리어 롤러와 컨베이어를 연결하여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재료가 가열기로 투입될 수 있게 구성하며, 상기 가열기의 일측에는 집진기를 부착해 두어 건조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백 필터로 배출되게 구성하고, 상기 가열기에서 건조된 재료는 엘리베이터를 타고 선별기로 공급되도록 구성하고, 상기의 선별기에는 규격별로 형성된 걸림망이 진동 스크린에 의해 작동되면서 골재 및 자갈을 분리하여 골재 저장빈에 저장시켰다가 주기적 혼합기의 내부로 이동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혼합기의 내부에는 아스팔트유와 석분이 공급됨과 함께 상기 골재와 자갈이 구동축과 절삭날에 의해 혼합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한 이동식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제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기의 트레일러 프레임에는 다수의 저장탱크를 부착되게 구성함과 아울러 상기 프레임에는 상하조절부와 구동모터, 감속기를 일체로 형성하여 샤프트에 고정된 기어와 연결시켜 벨트를 회동시키고,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는 스탠드와 캐리어 롤러를 부착시켜 컨베이어로 연결하고,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는 롤러와 연결된 장력조절부를 구성하여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상기 기구들이 차량에 견인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한 이동식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제조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일러 프레임에 고정된 혼합기의 내부 중앙에는 복수의 구동축을 베어링으로 고정하여 구성시키고, 상기 구동축의 일측에 스프로킷을 형성하여 구동모터와 체인으로 연결시켜 기어의 맞물림에 의하여 구동축이 연동되게 하고, 상기 복수로 형성된 구동축에는 다수의 절삭날이 고정된 아암을 부착하고, 상기 혼합기의 하부에는 실린더가 부착된 게이트를 형성하고, 상기 혼합기의 상측에는 아스팔트유를 분사하는 스프레이 노즐을 부착하여 선별기에서 공급된 재료와 혼합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상기 기구들이 차량에 견인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한 이동식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제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기에는 규격별로 형성된 걸림망을 진동 스크린에 의해 작동되게 구성하여 골재, 자갈을 분리시켜 각각의 골재 저장빈에 낙하되도록 구성하고, 상기의 걸림망은 5mm, 5-10mm, 13-19mm, 19-40mm의 규격으로 구분하며, 상기 진동 스크린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판 스프링과 방진고무를 부착하고, 상기 가열 골재 저장빈의 외부에는 전자저울을 부착하여 상기 전자저울의 반응에 의해 실린더와 게이트를 작동시키고, 상기 선별기는 혼합기의 트레일러 프레임 일측에 구성하고, 상기 선별기에 부착된 기구들은 차량에 견인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한 이동식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제조장치
KR10-2000-0057006A 2000-09-28 2000-09-28 이동식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장치 KR1003932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7006A KR100393257B1 (ko) 2000-09-28 2000-09-28 이동식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7006A KR100393257B1 (ko) 2000-09-28 2000-09-28 이동식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7810A KR20010007810A (ko) 2001-02-05
KR100393257B1 true KR100393257B1 (ko) 2003-07-28

Family

ID=19690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7006A KR100393257B1 (ko) 2000-09-28 2000-09-28 이동식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325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07975A2 (ko) * 2009-07-13 2011-01-20 대명산업(주) 이동식 아스팔트 믹싱 플랜트
KR101068980B1 (ko) 2011-03-04 2011-09-30 유한회사 숲으로 폐 아스콘 믹싱플랜트 및 폐 아스콘 혼합 배출 방법
KR101640517B1 (ko) 2015-12-03 2016-07-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이동식 아스팔트 혼합물 믹싱 플랜트 및 이를 이용한 준고온/준저온 아스팔트 혼합물의 제조 방법
EP3303706A4 (en) * 2015-06-04 2019-03-27 Gencor Industries Inc. HIGH-TRANSPORTABLE ASPHALT WORK
KR102078932B1 (ko) * 2018-10-30 2020-02-19 유상호 아스팔트 믹싱 플랜트용 드럼 타이어의 재생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5044B1 (ko) * 2001-03-22 2004-04-06 김용현 차량탑재용 토목공사 이동플랜트
KR100505478B1 (ko) * 2002-10-28 2005-08-05 황익현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시스템
KR100947655B1 (ko) * 2009-06-16 2010-03-12 이풍희 레미탈을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의 재포장 공법
KR102123307B1 (ko) * 2020-02-05 2020-06-16 유창토건 (주) 아스콘 제조설비
CN111879078B (zh) * 2020-06-12 2022-01-11 福建省铁拓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再生烘干滚筒防粘方法
CN112518998A (zh) * 2020-11-20 2021-03-19 陈宝军 一种具有自清洁功能的混凝土搅拌装置
CN113232156A (zh) * 2021-05-18 2021-08-10 安徽鑫生新型建材有限公司 一种特种砂浆生产工艺及生产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1802Y1 (ko) * 2000-03-14 2000-08-16 최진호 폐아스팔트 재생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1802Y1 (ko) * 2000-03-14 2000-08-16 최진호 폐아스팔트 재생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07975A2 (ko) * 2009-07-13 2011-01-20 대명산업(주) 이동식 아스팔트 믹싱 플랜트
WO2011007975A3 (ko) * 2009-07-13 2011-04-14 대명산업(주) 이동식 아스팔트 믹싱 플랜트
KR101068980B1 (ko) 2011-03-04 2011-09-30 유한회사 숲으로 폐 아스콘 믹싱플랜트 및 폐 아스콘 혼합 배출 방법
EP3303706A4 (en) * 2015-06-04 2019-03-27 Gencor Industries Inc. HIGH-TRANSPORTABLE ASPHALT WORK
KR101640517B1 (ko) 2015-12-03 2016-07-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이동식 아스팔트 혼합물 믹싱 플랜트 및 이를 이용한 준고온/준저온 아스팔트 혼합물의 제조 방법
KR102078932B1 (ko) * 2018-10-30 2020-02-19 유상호 아스팔트 믹싱 플랜트용 드럼 타이어의 재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7810A (ko) 2001-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22463A (en) Portable volumetric concrete mixer/silo
AU2016425585B2 (en) A concrete batching plant having reduced cycle time and reduced installation and dismantling time
KR100393257B1 (ko) 이동식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장치
EP3303706B1 (en) Highly portable asphalt plant
CA2793350C (en) Pothole repair product and mobile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 asphalt patch
KR100403753B1 (ko) 주행수단을 가지는 토양처리기
CN104612026B (zh) 粉末撒布车
US9296571B2 (en) Cab-forward truck bed mounted material spreader
CN110788125B (zh) 一种用于土壤修复的固化稳定化系统
JP5465095B2 (ja) アスファルトプラント
US4754869A (en) Down flow distributor
CN102345265A (zh) 隔档进料式热拌间歇式沥青混合料拌和机及其生产工艺
AU602316B2 (en) Apparatus for use in the transportation and production of cementitious mixes
KR100682605B1 (ko) 이동식 아스팔트 믹싱플랜트
US6183159B1 (en) Automotive soil treating machine
US2190044A (en) Mixing plant
KR100776358B1 (ko) 분리수단이 구비된 폐아스콘 또는 폐콘크리트 재생 플랜트
EP3964338A2 (en) Machine for applying decorative aggregate layer to multi-layer claddings
KR200215790Y1 (ko) 이동식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재료 저장장치
JP7372875B2 (ja) アスファルト混合物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H02286522A (ja) 複数の貯蔵ホッパーに粒状生成物を供給する装置
JP3375556B2 (ja) 土質改良システム
CN214682802U (zh) 一种土建砂石筛选设备
CN220392676U (zh) 一种混凝土物料提升机
WO2023204728A1 (ru) Мобильная установка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материалов в дорожном строительств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