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7595B1 - 상온유화아스팔트혼합물의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상온유화아스팔트혼합물의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7595B1
KR100297595B1 KR1019980050522A KR19980050522A KR100297595B1 KR 100297595 B1 KR100297595 B1 KR 100297595B1 KR 1019980050522 A KR1019980050522 A KR 1019980050522A KR 19980050522 A KR19980050522 A KR 19980050522A KR 100297595 B1 KR100297595 B1 KR 100297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er
aggregate
water
asphalt
emulsion aspha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0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3596A (ko
Inventor
리출선
Original Assignee
리출선
주식회사 서원 인더스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출선, 주식회사 서원 인더스트리 filed Critical 리출선
Priority to KR1019980050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7595B1/ko
Publication of KR20000033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35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7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75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7/00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pparatus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for mixing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Discharging the mixture
    • B28C7/04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7/00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pparatus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for mixing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Discharging the mixture
    • B28C7/0046Storage or weighing apparatus for supplying ingredi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0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preparing the materials
    • E01C19/10Apparatus or plants for premixing or precoating aggregate or fillers with non-hydraulic binders, e.g. with bitumen, with resins, i.e. producing mixtures or coating aggregates otherwise than by penetrating or surface dressing; Apparatus for premixing non-hydraulic mixtures prior to placing or for reconditioning salvaged non-hydraulic composi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온 유화아스팔트 혼합물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골재와 상온 유화아스팔트와 물을 혼합하여 아스팔트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조장치에 있어서, 입도가 다른 종류의 골재를 섞어 공급하도록 분리설치된 다수의 공급호퍼(12)(14)(16)와, 상기 공급호퍼에서 나온 골재를 소정의 높이로 이송하는 이송수단과, 상기 이송수단에서 이송된 골재에 유화아스팔트와 물을 추가하여 섞도록 상기 이송수단의 상단 출구에 배설된 믹서(28)와, 상기 믹서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수단(30)과, 상기 믹서에 상온 유화아스팔트를 공급하는 상온 유화아스팔트 공급수단(32)과, 상기 공급호퍼에서 나오는 골재의 양과 상기 물공급수단에서 나오는 물의 양과 상기 상온유화아스팔트 공급수단에서 나오는 유화아스팔트의 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34)과, 상기 믹서에서 혼합된 상온유화아스팔트 혼합물을 배출시키는 배출호퍼(36)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공급되는 골재의 입도조절이 용이하여 품질이 향상되고, 믹서가 상단에 설치되어 믹싱한 후 바로 적재차량에 적재하므로 적재가 간편하다.

Description

상온 유화아스팔트 혼합물의 제조장치
본 발명은 상온 유화아스팔트 혼합물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스팔트 혼합물은 열을 가하여 제조되는 가열 혼합형 아스콘(hot-mix asphalt concrete)와, 용제로 석유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컷백 아스팔트(cutback asphalt)와, 용제로 물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상온 유화아스팔트 혼합물(cold-mix bituminous emulsion asphalt)이 있다.
상기 가열 혼합형 아스콘(hot-mix asphalt concrete)은 제조과정에 많은 양의 열을 필요로 하며, 특히, 도로의 수용능력을 초과하는 교통량의 급속한 증가로 인하여, 제조시에 아스팔트성분의 산화 열화작용은 아스팔트혼합물을 경화변질시켜 동절기에 아스팔트의 균열을 생기게 한다. 그리고, 컷백 아스팔트(cutback asphalt)는 가열없이 상온에서 제조할 수 있으나, 용제로 비싼 석유를 사용해야 하며, 오일의 함량이 높게 되므로 시공후 양생과정에서 오일이 하천 및 토양으로 배출되어 자연환경에 대단히 유해한 것으로 판정되어 구미 각국에서는 사용을 억제하고 있다.
따라서, 물을 사용함에 의해, 가열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제조시 산화 열화작용이 생기지 않고 자연환경에도 영향을 주지 않는 상온 유화아스팔트 혼합물(cold-mix bituminous emulsion asphalt)의 사용이 권장되고 있다.
이러한 상온 유화아스팔트 혼합물(cold-mix bituminous emulsion asphalt)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로서, 종래에는 일반적으로 하나의 공급호퍼와 믹서로 구성되고, 공급호퍼와 믹서와 적재용 콘베이어가 별도로 분리된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종래의 상온 유화아스팔트 혼합물의 제조장치는 하나의 고급호퍼와 믹서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골재의 입도분포 조정이 자유롭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공급호퍼와 믹서와 적재용 콘베이어가 별도로 분리된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이동 및 설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골재 사이즈별로 혼합량을 자유로이 변경하여 입도분포조정을 자유롭게 하고, 혼합에 필요한 물과 유화아스팔트의 공급량을 정확히 제어하는 상온 유화아스팔트 혼합물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 및 설치가 간단한 상온 유화아스팔트 혼합물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온 유화아스팔트 혼합물을 제조한 후 별도의 이송장치 없이 바로 적재차량에 적재할 수 있는 상온 유화아스팔트 혼합물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상온 유화아스팔트 혼합물의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타내는 입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제2, 제3공급호퍼에서 나온 골재를 제4콘베이어에 이송하는 제2, 제3콘베이어를 나타내는 입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제1공급호퍼에서 나온 골재를 제4콘베이어에 이송하는 제1콘베이어를 나타내는 입면도,
제4도는 상기 제4콘베이어에서 이송된 골재를 믹서에 공급하는 제5콘베이어를 나타내는 입면도,
제5도는 제1도의 믹서의 일부 평면도,
제6도는 제1도에서 상온 유화 아스팔트를 믹서에 공급하는 상온 유화아스팔트 공급수단을 나타내는 시스템도,
제7도는 제1도에서 물을 믹서에 공급하는 물 공급수단을 나타내는 시스템도,
제8도는 제1도의 배출호퍼가 열린 상태의 일부 사시도,
제9도는 본 발명에 의한 상온 유화아스팔트 혼합물의 제조장치를 이동할 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입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14, 16 : 제1, 제2, 제3 공급호퍼
18, 20, 22, 24, 26 : 이송수단(제1, 제2, 제3, 제4, 제5콘베이어)
28 : 믹서 30 : 물공급수단
32 : 유화아스팔트 공급수단 34 : 제어수단
36 : 배출호퍼 42 : 바퀴
44 : 진퇴수단
본 발명에 의한 상온 유화아스팔트 혼합물의 제조장치는 골재와 상온 유화 아스팔트와 물을 혼합하여 아스팔트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조장치에 있어서, 프레임과, 입도가 다른 종류의 골재를 섞어 공급하도록 상기 프레임내에 분리설치된 다수의 공급호퍼와, 상기 공급호퍼에서 나온 골재를 소정의 높이로 이송하는 이송수단과, 상기 이송수단에서 이송된 골재에 유화아스팔트와 물을 추가하여 섞도록 상기 이송수단의 상단 출구에 배설된 믹서와, 상기 믹서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수단과, 상기 믹서에 상온 유화아스팔트를 공급하는 상온 유화아스팔트 공급수단과, 상기 공급호퍼에서 나오는 골재의 양과 상기 물공급수단에서 나오는 물의 양과 상기 상온유화아스팔트 공급수단에서 나오는 유화아스팔트의 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믹서에서 혼합된 상온유화아스팔트 혼합물을 배출시키는 배출호퍼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공급호퍼에서 나온 골재를 이송하는 이송수단의 이송 속도를 조정하는 스피드 콘트롤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믹서와, 상기 배출호퍼는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어, 제조장치의 이동설치시 믹서와 배출호퍼를 하측으로 회전시킴에 의해 제조장치의 전체높이를 줄이게 되어 있다.
상기 믹서에 골재를 이송하는 콘베이어는 두 개로 나누어져 힌지결합되어, 그 상단부가 하측으로 절곡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조장치의 이동설치시 이 콘베이어 높이를 줄이게 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의 하측에는 다수의 바퀴가 결합되고, 상기 바퀴는 프레임에 결합된 진퇴수단에 의해 상하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제조장치를 다른 장소로 이동할 시에는 진퇴수단으로 바퀴를 내려 제조장치를 용이하게 이동시키고, 제조장치를 가동할 시에는 진퇴수단으로 바퀴를 올려 프레임이 지면에 닿게 하여 제조장치를 지면에 견고히 고정시키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온 유화아스팔트 공급수단은 상온 유화아스팔트의 생산을 일시적으로 중지시킬 때에는 유화아스팔트를 저장탱크로 되돌리는 3방향 밸브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10)의 상측에는 입도가 다른 종류의 골재를 섞어 공급하도록 제1, 제2, 제3공급호퍼(12)(14)(16)가 분리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제2, 제3공급호퍼(12)(14)(16)의 하측에는 제1, 제2, 제3공급호퍼에서 나온 골재를 이송하여 한곳으로 모으는 다수의 제1, 제2, 제3, 제4콘베이어(18, 20, 22, 24)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4콘베이어(24)의 꼬리부에서 소정의 경사로 상승하여 후술하는 믹서에 이르는 제5콘베이어(2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5콘베이어(26)의 꼬리부에는 이 제5콘베이어에서 이송된 골재에 유화 아스팔트와 물을 추가하여 섞도록 믹서(28)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믹서(28)의 일측에는 이 믹서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수단(30)과 상온 유화아스팔트를 공급하는 상온 유화아스팔트 공급수단(32)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10)의 우측부에는 제1, 제2, 제3공급호퍼(12)(14)(16)에서 나오는 골재의 양과 상기 물공급수단(30)에서 나오는 물의 양과 상기 상온유화아스팔트 공급수단(32)에서 나오는 유화아스팔트의 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34)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믹서(28)의 하측에는 이 믹서에서 혼합된 상온유화아스팔트 혼합물을 배출시키는 배출호퍼(36)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10)은 차대(vehicle frame)형으로 다수의 비임(beam)(38)이 배열되고, 이 비임(38)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기둥(40)이 세워져, 각기둥(40)의 상측이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때, 상기 각 기둥(40)사이의 공간 상측에 상기 제1, 제2, 제3공급호퍼(12)(14)(1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10)의 하측에는 다수의 바퀴(42)가 결합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바퀴(42)를 상하이동시키도록 진퇴수단(44)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1, 제2, 제3공급호퍼(12)(14)(16)는 거꾸로 설치된 사각뿔대형상으로 되어 있으나, 원뿔대 형상으로 이루어 질 수도 있다. 상기 제1, 제2, 제3공급호퍼(12)(14)(16)의 출구에는 출구를 개폐하도록 실린더등의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되는 도시하지 않은 개폐판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2콘베이어(20)은 상기 제2공급호퍼(14)의 하측에 배설되어 있고, 상기 제3콘베이어(22)는 상기 제3공급호퍼(16)의 하측에 배설되어, 상기 제2, 제3공급호퍼(14)(16)에서 나온 골재를 이송하게 되어 있고, 상기 제2콘베이어(20) 및 제3콘베이어(22)는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2, 제3콘베이어(20)(22)은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여기서는, 제3콘베이어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상기 제2, 제3공급호퍼(14)(16)의 출구부에 설치된 보조호퍼(46)를 지지하는 프레임(48)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다. 즉, 중간부에 길이방향으로 요입공간이 형성되어 대체로 디귿자 단면을 이룬 브라켓(50)과 이를 지지하는 프레임(51)이 배설되고, 상기 프레임(51)의 전후방향 양측에 머리부 롤러(52) 및 꼬리부 롤러(54)가 설치되고, 상기 머리부 롤러(52)와 꼬리부 롤러(54)사이에는 다수의 아이들러 롤러(56)가 설치되며, 상기 머리부 롤러(52)와 꼬리부 롤러(54)와 아이들러 롤러(56)에 접촉하면서 공전하는 벨트(58)가 배설되어, 골재를 이송하게 되어 있다. 이때, 도2의 B는 공급호퍼, 보조호퍼가 제거된 상태의 단순화된 도면이고, 도2의 C는 콘베이어의 중간단면을 나타내는 단순화된 도면이다.
상기 머리부 롤러(52)측에는 구동모터(60)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꼬리부 롤러(54)의 하측에는 벨트(58)에 붙는 골재를 긁도록 스크래퍼(62)가 스프링(64)에 의해 매달려 그 단부가 벨트에 밀착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꼬리부 롤러(54)의 축단에는 콘베이어의 이송속도를 검출하는 엔코더(66)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아이들러 롤러(56)는 중간롤러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두 개의 롤러가 비스듬히 기울어지고, 그 롤러 상면에 닿는 벨트(58)의 중간부가 오목하게 되어 있어, 골재가 이송중에 양측으로 떨어지지 않게 되어 있다.
상기 제1공급호퍼(12)에는 그 내부의 골재가 용이하게 유출하도록 도시하지 않은 진동기가 장착되어 있음과 동시에 석분의 무게와 부피를 동시에 감지하도록 공지의 계량기로 된 도시하지 않은 감지수단이 결합되어 있다.
제1콘베이어(18)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높이로 된 재치대(68)에 설치되어 있고, 전체적인 구조인 개략적인 구조는 제2, 제3콘베이어와 동일하다. 도3에서는 제1콘베이어(18)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입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68)의 전후방향 양측에 머리부 롤러(70) 및 꼬리부 롤러(72)가 설치되고, 상기 머리부 롤러(70)와 꼬리부 롤러(72)사이에는 다수의 아이들러 롤러(74)가 설치되며, 상기 머리부 롤러(70)와 꼬리부 롤러(72)와 아이들러 롤러(74)에 접촉하면서 공전하는 벨트(76)가 배설되어, 골재를 이송하게 되어 있다.
상기 꼬리부 롤러(72)측에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모터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꼬리부 롤러(72)의 하측에는 벨트(76)에 붙는 골재를 긁도록 스크래퍼(78)가 결합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꼬리부 롤러(72)의 측단에는 콘베이어의 이송속도를 검출하는 엔코더(80)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4콘베이어(24)는 제1, 제2, 제3콘베이어(18)(22)(24)의 하측에 배설되어, 상기 제1, 제2, 제3공급호퍼(12)(14)(16)에서 나와 하강한 골재를 받아 제5콘베이어(26)에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5콘베이어(26)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부(82)와 하측부(84)로 나뉘어져 중간에서 서로 힌지결합되어 있고, 상기 하측부(84)의 하단부에는 머리부 롤러(86)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상측부(86)의 상단부에는 꼬리부 롤러(88)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머리부 롤러(86) 및 꼬리부 롤러(88)사이에는 다수의 아이들러 롤러(90) 및 리턴아이들러 롤러(9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아이들러 롤러(90)의 상면에 접촉하면서 상기 머리부 롤러(86)와 꼬리부 롤러(88)사이를 공전하는 벨트(94)가 배설되어 있다. 상기 리턴 아이들러 롤러(92)측에는 벨트(94)의 헐거움을 방지하도록 긴장시키는 공지의 긴장장치(96)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꼬리부 롤러(88)측에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모터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꼬리부 롤러(88)의 하측에는 벨트(94)에 붙는 골재를 긁도록 스크래퍼(100)가 결합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꼬리부 롤러(88)의 측단에는 콘베이어의 이송속도를 검출하는 도시하지 않은 엔코더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믹서(28)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대(102)에 수용되어 있고, 상기 수용대(102)는 연장된 보(104) 및 레버(106)에 의해 상기 프레임(10)에 힌지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가능케 되어 있다.
상기 믹서(28)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축(108)과 종동축(110)에 끼워진 원통형 롤에 의해 골재와 유화아스팔트와 물이 혼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구동축(108)에 동력이 전달되어 기어물림에 의해 2축이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게 되어 있다. 즉, 구동모터(112)에 의해 발생된 구동력은 벨트(114)를 매개로 기어박스(116)에 전달되어 감속된 후, 상기 구동축(108)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구동기어(118)와 종동기어(120)를 매개로 종동축(110)을 회전시키게 되어 있다.
상기 믹서(28)의 상측에는 상기 제5콘베이어(26)의 상단부에서 골재가 유입하도록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화아스팔트 공급수단(32)은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화 아스팔트를 저장하는 탱크(122)와, 상기 유화아스팔트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일시저장탱크(123)와, 상기 탱크(122)에 저장된 유화아스팔트를 펌핑하는 펌프(124)와, 상기 펌프(124)를 구동하는 모터(126)와 상기 모터(126)의 회전수를 감지하도록 모터축에 결합된 엔코더(128)와, 상기 펌프(124)에서 유출된 유화아스팔트를 상기 믹서(28)에 공급하거나 일시저장 탱크(123)로 되돌리도록 상기 펌프(124)에 연결된 3방향밸브(130)와, 상기 3방향밸브(130)를 구동하는 구동수단(13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유화아스팔트 공급수단(32)은 프레임(10)에 설치되어 파이프를 통해 상기 믹서(28)에 유화아스팔트를 공급하는 구조로 이루어 질 수가 있다.
상기 물공급수단(30)은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탱크(132)와, 상기 물탱크(132)의 물을 펌핑하는 펌프(134)와, 물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계(136)와, 상기 펌프에서 나온 물은 상기 믹서에 분사시키는 분사수단(138)을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유량을 조절하는 밸브(140)와 이 밸브(140)를 구동하는 구동수단(142)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물탱크(132)의 내부에는 물을 보충하는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펌프(134)로 이물질이 유입하지 않도록 스트레이너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분사수단(138)은 상기 믹서(28)의 내부에 설치된 파이프(144)로 되어 있고 이 파이프(144)에는 다수의 분사구멍(146)의 형성되어 믹서내부로 물이 분사 되게 되어 있다. 상기 분사수단(138)을 제외한 물공급수단의 구성부는 프레임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수단(34)은 도1에 도시한 바와 프레임(10)의 우측부에 설치되어 있고,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골재와 유화아스팔트와 물의 흐름을 전체적으로 제어하여 적절한 양의 원료를 믹서(28)에 공급함과 동시에 본 제조장치를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제어판넬을 구비하고 있다. 이때, 상기 제어수단(34)은 상기 공급호퍼에서 나온 골재를 이송하는 콘베이어의 이송속도를 조정하는 스피드 콘트롤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배출호퍼(36)는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믹서(28)의 하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서로 맞물리는 두 개의 호퍼(148)(150)가 벌어짐에 의해 믹서에서 혼합된 혼합물이 적재차량에 유출하게 되어 있다.
상기 호퍼(148)(150)의 회전중심부는 서로 기어 잇빨로 맞물리게 되어 있다.
상기 진퇴수단(44)은 바퀴(42)를 상,이동시키는 실린더등으로 되어 있고, 상,하 이동된 바퀴를 고정하는 핀을 구비할 수 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상온 유화아스팔트 혼합물의 제조장치에서 제1공급호퍼(12)에는 직경 6mm이하의 골재(석분이라 칭한다.)를 넣고, 제2공급호퍼(14)에는 평균직경 13mm정도의 골재를 넣으며, 제3공급호퍼(16)에는 직경 25mm~40mm의 골재를 넣고, 제어수단의 조작부를 조작하면 내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모든 작동이 제어수단(34)의 제어에 의해 작동한다.
이때, 상기 제1공급호퍼(12)에서 나오는 석분은, 다른 골재에 비해 수분을 많이 흡수하므로 계량기에 의해 석분의 무게와 부피가 정확히 계량되어 공급되며, 진동기에 의해 용이하게 유출한다. 그리고, 골재의 공급량은 각 콘베이어의 이송속도에 의해 결정되는데, 상기 제어수단(34)은 각 콘베이어을 구동하는 모터와 엔코더에 의한 피드백제어에 의해 이송속도를 정확히 제어되어, 각 공급호퍼에서 적정량의 골재가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34)은 물공급수단(30)에서 나오는 물과 유화아스팔트 공급수단(32)에서 나오는 유화아스팔트의 양을 정확히 제어하여 믹서에 공급한다. 상기 입도가 다른 골재와, 유화아스팔트의 양과 물의 양은 혼합물의 물성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정확한 양을 공급하여 배합할 필요가 있는데, 본 제조장치에 의하면, 그 배합을 간단히 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원료의 흐름에 따라 본 제조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공급호퍼(12)에서 나온 석분은 제1콘베이어(18)를 타고 좌측으로 이동하여 우측단부에서 제4콘베이어(24)에 낙하하고, 제2공급호퍼(14)에서 나온 골재는 제2콘베이어(20)를 타고 좌측으로 이동하여 좌측단부에서 제4콘베이어(24)에 낙하하며, 제3공급호퍼(16)에서 나온 골재는 제3콘베이어(22)를 타고 우측으로 이동하여 우측단부에서 제4콘베이어(24)에 낙하한다.
상기 제4콘베이어(24)에 낙하된 석분 및 골재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하여 제5콘베이어(26)의 좌측단부에 낙하하여, 제5콘베이어(26)를 타고 상승하여 우측상단에서 믹서(28)에 투입된다.
이때, 콘베이어의 꼬리부에 있는 스크래퍼는 각 벨트에 달라 붙는 석분 또는 골재를 긁어내므로, 석분 및 골재는 공전하는 벨트로 인한 리턴현상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각 공급호퍼의 출구의 크기는 일정하게 되어 있고, 상기 각 공급호퍼에서 나온 석재 및 골재를 이송하는 이송수단의 이송속도가 스피드 콘트롤러에 의해 제어되어, 석분과 골재의 혼합량이 결정된다. 따라서, 공급되는 석분 및 골재의 양 조절이 용이하여 품질이 향상된다.
한편, 물공급수단(30)의 펌프에 의해 유동되는 물이 분사수단(138)을 통해 믹서(28)에 공급되며, 유화스팔트공급수단(32)의 펌프에 의해 유동되는 유화아스팔트가 상기 믹서(28)에 공급된다. 이때, 상온 유화아스팔트의 생산을 일시적으로 중지시킬 때에는 3방향 밸브(130)를 작동하여 유화아스팔트를 일시저장탱크(123)로 리턴시킨다.
상기 믹서(28)에 투입된 석분과 골재와 물과 유화아스팔트는 구동축(108)과 종동축(110)에 끼워져 맞물려 회전하는 원통형 롤에 의해 섞여 혼합물로서 배출호퍼(36)에 일시적으로 모인다.
적재차량(C)이 이동하여 배출호퍼(36)의 하측에 정지하면, 조작부의 조작으로 배출호퍼(36)를 열어 적재차량에 혼합물을 적재하게 된다. 따라서, 믹싱한 혼합물을 바로 적재차량에 적재하므로 적재가 간편하다.
그리고, 본 제조장치를 사용하지 않거나, 소정의 장소로 이동할 시에는,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진퇴수단(44)으로 바퀴(42)를 내리고, 상기 제5콘베이어의 상측부(82)와 수용대의 보(104)와 레버(106)를 그 힌지점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믹서(28)가 설치된 수용대(102)를 하측으로 내린다. 따라서 제조장치의 높이를 줄이고 바퀴에 의해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프레임(10)을 걸이구로 걸어 견인차로 용이하게 견인할 수 있다.
본 제조장치는 그 각 공급호퍼에 폐아스팔트를 분쇄한 골재를 투입하여, 공급이송하여 믹서함에 의해 상온 유화아스팔트 재생혼합물의 제조에도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의한 상온유화아스팔트 혼합물의 제조장치는 골재사이즈별로 혼합량을 자유로이 변경하여 입도분포조정을 자유롭게 하고, 혼합에 필요한 물과 유화 아스팔트의 공급량을 정확히 제어할 수 있고, 이동 및 설치가 간단하며, 혼합물을 제조한 후 별도의 이송장치 없이 바로 적재차량에 적재할 수 있다.

Claims (4)

  1. 골재와 상온 유화아스팔트와 물을 혼합하여 아스팔트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조장치에 있어서, 프레임과, 입도가 다른 종류의 골재를 섞어 공급하도록 상기 프레임내에 분리 설치된 다수의 공급호퍼와, 상기 공급호퍼에서 나온 골재를 소정의 높이로 이송하는 이송수단과, 상기 이송수단에서 이송된 골재에 유화아스팔트와 물을 추가하여 섞도록 상기 이송수단의 상단 출구에 배설된 믹서와, 상기 믹서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수단과, 상기 믹서에 상온유화아스팔트를 공급하는 상온유화아스팔트 공급수단과, 상기 공급호퍼에서 나오는 골재의 양과 상기 물공급수단에서 나오는 물의 양과 상기 상온유화아스팔트 공급수단에서 나오는 유화아스팔트의 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믹서에서 혼합된 상온유화아스팔트 혼합물을 배출시키는 배출호퍼를 포함하되, 상기 믹서와 상기 배출호퍼는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어 하측으로 회전가능하고, 상기 믹서에 골재를 이송하는 콘베이어는 두개로 나누어져 힌지결합되어 그 상측부가 하측으로 절곡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온 유화아스팔트 혼합물의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공급호퍼에서 나온 골재를 이송하는 이송수단의 이송속도를 조정하는 스피드 콘트롤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온 유화아스팔트 혼합물의 제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하측에는 다수의 바퀴가 결합되고, 상기 바퀴는 프레임에 결합된 진퇴수단에 의해 상하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온 유화아스팔트 혼합물의 제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온 유화아스팔트 공급수단은 상온 유화아스팔트의 생산을 일시적으로 중지시킬 때에는 유화아스팔트를 일시저장탱크로 순환시키는 3방향 밸브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온 유화아스팔트 혼합물의 제조장치.
KR1019980050522A 1998-11-25 1998-11-25 상온유화아스팔트혼합물의제조장치 KR100297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0522A KR100297595B1 (ko) 1998-11-25 1998-11-25 상온유화아스팔트혼합물의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0522A KR100297595B1 (ko) 1998-11-25 1998-11-25 상온유화아스팔트혼합물의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3596A KR20000033596A (ko) 2000-06-15
KR100297595B1 true KR100297595B1 (ko) 2001-10-29

Family

ID=19559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0522A KR100297595B1 (ko) 1998-11-25 1998-11-25 상온유화아스팔트혼합물의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759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9755A (ko) * 2001-08-30 2003-03-07 주식회사 서원 폐아스콘을 재생할 수 있는 가열식 아스콘 제조장치
KR20030019756A (ko) * 2001-08-30 2003-03-07 주식회사 서원 연속식 상온 재생아스콘 제조장치 및 방법
KR100511523B1 (ko) * 2002-10-01 2005-08-3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석분토를 이용하는 채움재의 제조장치
KR101101873B1 (ko) * 2008-12-31 2012-01-05 (주)한동알앤씨 상온식 재생아스콘 제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6686B1 (ko) * 2001-08-30 2005-03-17 주식회사 서원 일괄방식 상온 재생아스콘 제조장치 및 방법
CN109407580B (zh) * 2018-10-22 2020-07-31 中联重科股份有限公司 骨料投料控制系统和搅拌站及控制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0839A (ko) * 1996-06-19 1998-03-30 동일천 상온(常溫) 아스콘용 골재를 가공하기 위한 자동화설비 및 그 골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0839A (ko) * 1996-06-19 1998-03-30 동일천 상온(常溫) 아스콘용 골재를 가공하기 위한 자동화설비 및 그 골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9755A (ko) * 2001-08-30 2003-03-07 주식회사 서원 폐아스콘을 재생할 수 있는 가열식 아스콘 제조장치
KR20030019756A (ko) * 2001-08-30 2003-03-07 주식회사 서원 연속식 상온 재생아스콘 제조장치 및 방법
KR100511523B1 (ko) * 2002-10-01 2005-08-3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석분토를 이용하는 채움재의 제조장치
KR101101873B1 (ko) * 2008-12-31 2012-01-05 (주)한동알앤씨 상온식 재생아스콘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3596A (ko) 2000-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91361B2 (en) Portable concrete plant
CN201211978Y (zh) 高效带式输送机给料装置及其构成的配料系统
EP1399305A2 (en) Portable concrete plant
CN110788125B (zh) 一种用于土壤修复的固化稳定化系统
CN110468665A (zh) 一种道路施工用沥青铺设装置
KR101128050B1 (ko) 이동식 콘크리트 배치 플랜트
CN1235223A (zh) 铺路机及其装料器
KR100297595B1 (ko) 상온유화아스팔트혼합물의제조장치
CN106335129B (zh) 畜牧养殖用漏缝板自动化生产系统
KR100393257B1 (ko) 이동식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장치
KR100476686B1 (ko) 일괄방식 상온 재생아스콘 제조장치 및 방법
CN102912712A (zh) 一种冷拌冷铺一体机
WO2012125565A2 (en) Discharging particulate materials from storage silos
US648192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ixing segregated material
CN114055633B (zh) 用于生产流态自密实固化土的模块化移动式设备
CN216266852U (zh) 一种生产流态自密实固化土的模块化移动工作系统
EP2059375B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tontransport auf schienen
KR20030019756A (ko) 연속식 상온 재생아스콘 제조장치 및 방법
KR101625119B1 (ko) 폐타이어 정량 공급장치
US20040022119A1 (en) Apparatus for preparing and dispensing road repair material
EP0305150A2 (en) Mobile concrete mixing apparatus
US5836456A (en) Discrete material washing apparatus
JPH02286522A (ja) 複数の貯蔵ホッパーに粒状生成物を供給する装置
US3208735A (en) Mobile concrete mixers
KR100640269B1 (ko) Mspc 조성물 믹싱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1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3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