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0269B1 - Mspc 조성물 믹싱 방법 - Google Patents

Mspc 조성물 믹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0269B1
KR100640269B1 KR1020040083264A KR20040083264A KR100640269B1 KR 100640269 B1 KR100640269 B1 KR 100640269B1 KR 1020040083264 A KR1020040083264 A KR 1020040083264A KR 20040083264 A KR20040083264 A KR 20040083264A KR 100640269 B1 KR100640269 B1 KR 100640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gregate
spc
mixer
storage tank
msp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3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4122A (ko
Inventor
허규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성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성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성산업
Priority to KR1020040083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0269B1/ko
Publication of KR20060034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41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0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02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5/00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 B28C5/003Methods for mix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7/00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pparatus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for mixing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Discharging the mixture
    • B28C7/0007Pretreatment of the ingredients, e.g. by heating, sorting, grading, drying, disintegrating; Preventing generation of dust
    • B28C7/0023Pretreatment of the ingredients, e.g. by heating, sorting, grading, drying, disintegrating; Preventing generation of dust by 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9/00General arrangement or layout of plant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6/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only organic binders, e.g. polymer or resin concrete
    • C04B26/02Macromolecular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reparation Of Clay, And Manufacture Of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MSPC(Modified Sulfur Polymer Concrete) 조성물 믹싱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상온에서는 녹여서 첨가하기 어려운 유황 폴리머와 같은 SPC(Sulfur Polymer Cement)를 콘크리트 조성물에 포함시켜 믹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a) 굵은골재, 잔골재를 별도의 호퍼에 수납하여, 상기 각 호퍼에서 굵은골재, 잔골재를 콘베이어 벨트로 일정량씩 투하하여 골재 드라이어로 이송하는 단계; (b) 상기 골재 드라이어에서 굵은골재, 잔골재를 가열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 (c) 상기 골재 드라이어의 일단에 연결된 리프트부에 의해 굵은골재, 잔골재를 상승시킨 후, 바이브레터 스크린(vibrator screen)에 의해 입자 크기별로 분리하여 투하하는 단계; (d) 투하된 굵은골재, 잔골재를 골재저장탱크에 저장하고, 일정량씩 믹서로 투하하는 단계; (e) SPC(Sulfur Polymer Cement) 저장탱크에 의해 SPC를 소정온도로 유지하여 상기 믹서로 공급하는 단계; (f) 상기 골재저장탱크에서 투하된 굵은골재, 잔골재와 상기 SPC 저장탱크에서 공급된 SPC를 상기 믹서내부에서 믹싱하여 MSPC(Modified Sulfur Polymer Concrete)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g) 상기 믹서의 하부에 설치된 MSPC 조성물 이송유니트에 의해 상기 믹서에서 투하된 MSPC 조성물을 이송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MSPC 조성물 믹싱 방법이 개시된다.
MSPC조성물, 믹싱, 이송, SPC

Description

MSPC 조성물 믹싱 방법{Mixing method for MSPC composi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MSPC(Modified Sulfur Polymer Concrete) 조성물 믹싱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MSPC 조성물 믹싱 방법에 사용되는 SPC(Sulfur Polymer Cement) 저장탱크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MSPC 조성물 믹싱 방법에 사용되는 MSPC 조성물 이송유니트의 사시도.
도 4는 MSPC 조성물 이송유니트의 이송카의 사시도.
도 5는 MSPC 조성물 이송유니트의 콘테이너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Ⅵ-Ⅵ'선에 따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뚜껑 20...몸통 30...히팅라인
46...회전날개 50...SPC 투입라인 52...SPC 리턴라인
54...SPC 배출라인 56...드레인라인 100...SPC 저장탱크
110...레일 120...이송카 130...콘테이너
140...도어부 145...회동부 150...몸체부
160...이송부 170...제어부 180...단열부
200...MSPC 조성물 이송유니트
본 발명은 MSPC(Modified Sulfur Polymer Concrete) 조성물 믹싱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굵은 골재, 잔골재에 소정온도로 가열된 유황 폴리머와 같은 SPC(Sulfur Polymer Cement)를 첨가하여 믹싱함으로써 MSPC 조성물을 제조하며, 제조된 MSPC 조성물을 원하는 장소까지 이송하는 MSPC 조성물 믹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는 압축강도와 내구성이 크고, 가격이 저렴하고 풍부하기 때문에 대표적인 건설 재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오늘날에는 산업의 발달에 따라 각종 구조물들이 점차 대형화, 다양화되는 추세이고, 이에 따라 기존의 콘크리트보다 물성이 향상된 콘크리트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콘크리트의 최대 결점인 큰 취성과 작은 인장 강도 및 쉽게 균열이 발생하는 단점을 개선해야 할 필요성이 크며, 또한 내화학성 및 내구성의 향상과 항균성에 대한 개선의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콘크리트 제품의 단점들을 보완하는 방법으로 굵은 골재, 잔골재, 충진재 등으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조성물에 유황 폴리머를 소정 비율로 혼합하여 몰드에 타설하여 MSPC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MSPC 제품의 제조 방법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3-0008279에 개시되었는데, MSPC 제품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약 100~160℃의 온도에서 유황 폴리머가 혼합된 조성물을 믹싱하여 약 100~160℃의 온도가 유지된 상태에서 몰드에 타설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유황 폴리머를 상기 온도로 가열하여 믹싱하고, 또한 상기 온도를 유지한 채로 믹싱장소에서 타설장소까지 이송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굵은골재, 잔골재 및 충진재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조성물에 소정온도로 가열된 유황 폴리머와 같은 SPC를 첨가하여 MSPC 조성물을 믹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믹싱된 MSPC 조성물을 소정온도로 유지한 채 원하는 곳으로 이동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MSPC 조성물 믹싱 방법은, (a) 굵은골재, 잔골재를 별도의 호퍼에 수납하여, 상기 각 호퍼에서 굵은골재, 잔골재를 콘베이어 벨트로 일정량씩 투하하여 골재 드라이어로 이송하는 단계; (b) 상기 골재 드라이어에서 굵은골재, 잔골재를 가열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 (c) 상기 골재 드라이어의 일단에 연결된 리프트부에 의해 굵은골재, 잔골재를 상승시킨 후, 바이브레터 스크린(vibrator screen)에 의해 입자 크기별로 분리하여 투하하는 단계; (d) 투하된 굵은골재, 잔골재를 골재저장탱크에 저장하고, 일정량씩 믹서로 투하하는 단계; (e) SPC 저장탱크에 의해 SPC를 소정 온도로 유지하여 상기 믹서로 공급하는 단계; (f) 상기 골재저장탱크에서 투하된 굵은골재, 잔골재와 상기 SPC 저장탱크에서 공급된 SPC를 상기 믹서 내부에서 믹싱하여 MSPC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g) 상기 믹서의 하부에 설치된 MSPC 조성물 이송유니트에 의해 상기 믹서에서 투하된 MSPC 조성물을 이송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b)는, 상기 골재 드라이어에서 굵은골재, 잔골재를 150~250℃로 가열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e)에서, 상기 SPC 저장탱크는, 상기 탱크의 몸통 내주면을 따라 하부에서 상부를 향해 소정 피치의 나선형 형상으로 설치된 히팅라인; 상기 히팅라인의 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열매유; 상기 열매유를 가열하는 히팅부; 상기 탱크의 상부에 설치된 모터; 및 상기 모터와 연결된 회전축에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SPC를 교반시켜주는 다수의 회전날개;를 구비하여, 상기 SPC를 130~140℃로 가열한다.
한편, 상기 단계(f)에서, 더스트, 플라이애쉬, 및 안료를 상기 믹서에 더 공급하여 믹싱함으로써 MSPC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f)는, 상기 믹서로 공급되는 SPC 중에 MSPC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되지 않은 SPC를 상기 SPC 저장탱크로 반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g)에서, 상기 MSPC 이송유니트는, 레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도어부를 구비하여 MSPC 조성물을 이송시키는 이송카; 및 상기 레일을 따라 상기 레일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며, 일단의 상부에는 MSPC 조성물이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되고 타단의 하부에는 MSPC 조성물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단열부;를 구비하여, 상기 믹서에서 투하된 MSPC 조성물을 상 기 이송카에 수납하여 상기 레일을 따라 이송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MSPC 조성물 믹싱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적절하게 정의되었다. 따라서, 이들의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유황 폴리머와 같은 SPC는, 특허공보 제1983-2618호에 공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디사이클로펜타디엔, 메틸 사이클로펜타디엔, 디비닐 벤젠, 사이클로옥타디엔, 사이클로데카트리엔, 옥타디엔 및 미르센으로부터 선택된 제1탄화수소 5 내지 20중량%(황에 대해)와, 디펜텐, 스티렌, 비닐톨루엔, 핀엔 및 옥텐으로부터 선택된 제2탄화수소 5 내지 20중량%(황에 대해)를 황원소와 발열반응이 일어나기에 충분히 높은 온도 즉, 120 내지 200℃에서 반응시켜서 제조된다. 상기 SPC는 5 내지 100의 투과도, 10 내지 70℃의 연화점 및 적어도 100의 연성을 가지며, 열전달율이 상당히 낮다. SPC는 100~110℃이하에서는 고상으로 존재하며,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액상으로 존재하는데, 150~160℃ 이상이 되면, 점도가 증가하고 유황성분이 배출되는 등 물성치의 변화가 발생한다. 따라서, SPC를 사용하기 위해 서는 130~140℃의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MSPC 조성물의 믹싱 방법을 보여준다. 본 발명에 따른 MSPC 조성물 믹싱 방법은 골재 1차계량 및 이송단계(S10), 골재를 가열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S20), 골재를 입자크기 별로 분리·투하하는 단계(S30), 골재 2차계량 및 믹서 투입단계(S40), 가열된 SPC를 믹서에 투입하는 단계(S50), 믹서에서 믹싱하는 단계(S60) 및, MSPC 조성물을 이송하는 단계(S70)를 거친다.
이하 각 단계별로 구체적인 작업 공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굵은골재와 잔골재를 1차 계량을 하여 일정량을 콘베이어 벨트에 의해 골재 드라이어로 이송한다(S10).
상기 굵은골재와 잔골재는 플랜트의 일측에 위치한 창고에 우선 보관되며, 창고의 하부에 각각 별도의 호퍼가 설치되어, 창고에서 직접 호퍼로 낙하하여 호퍼에 저장이 되며 호퍼에서 1차계량을 하게 된다. 1차계량을 마친 굵은골재와 잔골재는 후술하는 콘베이터 벨트에 의해 이송된다.
상기 호퍼는 굵은골재와 잔골재를 적정량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제작되며, 하부로 갈수록 입구가 좁아지는 형상을 한다. 호퍼의 최하단부에는 도어와 같은 개폐부가 설치되며, 계량기가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개폐부와 연결되어 있다. 굵은골재와 잔골재는 호퍼의 개폐부를 통해 투하되며, 계량기의 신호에 의해 제어부가 호퍼 개폐부를 개폐하여 일정량이 투하되도록 한다.
각 호퍼 개폐부의 하부에는 콘베이어 벨트가 설치된다. 콘베이어 벨트는 각 호퍼에서 투하된 굵은골재와 잔골재를 후술하는 골재 드라이어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콘베이어벨트는 통상의 구조를 갖는 콘베이어벨트를 사용한다. 바람직하게, 콘베이어 벨트의 상부에는 카메라와 같은 시각장치가 설치되어, 작업자가 제어실에서 콘베이어 벨트에 의해 이송되는 골재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는 전술한 호퍼의 개폐부와 함께 콘베이어 벨트의 이송속도를 조절함으로써 골재 드라이어로 공급되는 굵은골재와 잔골재의 양을 조절한다.
콘베이어 벨트에 의해서 이송된 굵은골재와 잔골재는 골재 드라이어에서 가열되어 수분이 제거된다(S20).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통상의 구조를 갖는 골재 드라이어를 사용한다. 바람직하게, 골재 드라이어는 원형관의 형상을 하며 일단을 통해서 콘베이어 벨트에 의해 이송된 굵은골재와 잔골재가 내부로 투입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골재 드라이어의 내부에는 내부 원주를 따라서 일단에서 타단을 향해서 나선형으로 회전하는 이송부재가 설치되며, 골재 드라이어의 내부를 가열하는 가열부가 골재 드라이어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골재를 직접 가열하게 된다. 골재 드라이어의 일단을 통해서 투입된 굵은골재와 잔골재는 이송부재에 의해 타단으로 이송되며, 이송되는 중에 가열부에 의해서 150~250℃정도로 가열되며, 바람직하게는 170℃로 가열되어 수분이 제거된다. 골재를 미리 가열 건조시키는 것은 골재에 수분이 함유되어 있으면 수분 때문에 다른 첨가물과의 결합력, 예를 들어 유황 폴리머와의 결합력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골재 등을 후술하는 믹서에 넣기 전에 골재 드라이어에 의해 소정 온도로 미리 가열시키면, 상기 골재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조성물이 믹서에 투입되었을 때에 온도 저하없이 원활한 믹싱 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한편, 골재 드라이어에는 집진부가 연결된다. 집진부는 골재 드라이어의 양단에 연결되어 굵은골재와 잔골재가 이동하면서 발생되는 더스트를 흡입하는 흡입구, 흡입구에 연결되며 내부에 필터가 설치된 집진기, 및 집진기에서 걸러진 더스트를 저장하는 더스트 싸일로를 구비한다. 흡입구는 더스트를 흡입하여 라인에 의해 집진기로 더스트를 이송하며, 집진기 내부에 설치된 필터에 의해 더스트를 거르고, 걸러진 더스트를 더스트 싸일로에 저장한다.
골재 드라이어에서 수분이 제거된 굵은골재와 잔골재는 골재 드라이어의 타단에 연결된 리프트부에 의해 상승된 후, 바이브레터 스크린(vibrator screen)에 의해 입자크기별로 분리되어 투하된다(S30).
골재 드라이어에서 수분이 제거된 굵은골재와 잔골재는 골재 드라이어의 타단에 연결된 흡입구를 통해 더스트를 제거하고, 리프트부에 의해 일정량씩 상승된다. 상승된 굵은골재와 잔골재는 리프트부에서 바이브레터 스크린으로 투하되는데, 바이브레터 스크린은 모터와 연결되어 있으며, 일정크기의 체가 형성된다. 모터의 구동에 의해 바이브레터 스크린은 진동을 하여 체를 통해 골재를 투하하고, 체를 통과하지 못하는 골재는 후술하는 골재저장탱크에 형성된 별도의 공간에 저장을 한다.
분리된 굵은골재와 잔골재는 골재저장탱크에 저장되고, 저장탱크에 설치된 계량기에 의해 2차계량을 하여 일정량씩 믹서로 투입한다(S40).
골재저장탱크 내부의 공간은 분리되어 굵은골재와 잔골재를 별도로 보관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골재저장탱크 하부에는 도어부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입자크기별로 분리된 굵은골재와 잔골재는 골재저장탱크 내부에 분리되어 저장되고, 골재저장탱크의 하부에 설치된 계량기에 의해 일정량씩 골재저장탱크 하부의 도어부를 통해서 투하된다. 계량기는 전술한 제어부를 통해 골재저장탱크 하부의 개폐부에 연결되어, 계량기에 의해 측정된 골재의 양에 의해 골재저장탱크 하부의 개폐부를 개폐하여 골재저장탱크 하부의 믹서로 투입되는 골재의 양을 조절한다.
한편, 상기 믹서와 인접한 지역에는 SPC를 가열하는 SPC 저장탱크가 구비되어, SPC를 소정온도로 가열하여 믹서로 투입한다(S50).
도 2는 SPC 저장탱크를 보여준다. 본 발명에 따른 SPC 저장탱크(100)는, 탱크의 몸통 내주면을 따라 하부에서 상부를 향해 소정 피치의 나선형 형상으로 설치된 히팅라인(30), 히팅라인(30)의 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열매유(미도시), 열매유를 가열하는 히팅부(미도시), 탱크(100)의 상부에 설치된 모터(40), 모터(40)와 연결된 회전축(42)에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SPC를 교반시켜주는 다수의 회전날개(46)를 구비한다.
탱크(100)의 몸통(20)은 바람직하게,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며, 일반 철에 비해 내식성이 강한 스테인레스 등으로 제조된다. 몸통(20)의 상부 일측에는 SPC가 탱크(100)내부로 투입되는 SPC 투입라인(50)이 형성된다. SPC 투입라인(50)은 탱크(100) 내부에 SPC가 적정량 수용될 수 있도록 탱크(100)의 뚜껑(10)에 인접한 몸통(20)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SPC 투입라인(50)에는 밸브(51)가 형성 되어 수동으로, 또는 바람직하게, 전술한 제어부에 의해 전기적 또는 전자적으로 구동되게 하여, 투입량을 조절하며, 탱크(100) 내부의 SPC의 수위가 높아져서 SPC 투입라인(50)을 통해서 SPC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바람직하게, SPC 투입라인(50)에는 펌프가 설치되어 SPC 운반용 차량에서 SPC를 용이하게 탱크(100) 내부로 투입할 수 있게 해준다.
한편, 몸통(20)의 상부 일측에는 투입라인(50)과 별도로 SPC 리턴라인(return line)(52)이 형성된다. SPC 리턴라인(52)은 믹서와 연결된 계량조(미도시) 및 SPC 투입라인(50)과 삼방향밸브(미도시)에 의해 연결되어, 평상시에는 SPC 투입라인(50)과 SPC 리턴라인(52)이 연결되어 SPC가 순환을 하며, 계량조로 SPC를 공급해야 하는 경우에는 SPC 투입라인(50)과 계량조가 연결되어 믹서로 SPC를 공급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SPC 리턴라인(52)에는 수동으로 혹은 자동으로 구동하는 밸브(53)가 형성되어 탱크(100) 내부로 돌아오는 SPC 양을 조절하게 된다.
몸통(20)의 하부 일측에는 SPC를 탱크(100) 외부로 배출하는 SPC 배출라인(54)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SPC를 믹서로 공급하는 라인은 단열부로 둘러싸여 있어서, SPC가 이송되는 중에 온도가 하강하는 것을 방지한다. SPC 배출라인(54)은 탱크(100)의 바닥에 인접한 몸통(20)의 하부에 형성되는데, 바람직하게, 펌프(미도시)가 설치되어 SPC가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펌프는 두 개이상이 병렬로 배치되어, 한 개가 고장나더라도 여분의 펌프에 의해 과정이 계속해서 진행되도록 한다. 배출라인(54)에는 밸브(55)가 형성되어, 수동으로 또는 전술한 제어부에 의해 자동으로 구동되게 하여 SPC의 배출량을 조절하게 된다.
몸통(20)의 바닥과 인접한 일측에는 드레인라인(drain line)(56)이 형성된다. 드레인라인(56)은 탱크(100) 내부로 투입된 SPC에 섞여있는 불순물 등이 탱크(100) 하부로 침강한 경우에 이를 탱크(100)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해준다. 드레인라인(100)에는 밸브(57)가 형성되어 작업자가 수동으로 또는 전술한 제어부에 의해 자동으로 구동시키게 된다.
히팅라인(30)은 탱크(100)의 몸통(20) 내주면을 따라 하부에서 상부를 향해 소정 피치의 나선형 형상으로 설치된다. 히팅라인(30)은 바람직하게, 탱크(100) 바닥을 수회 가로질러 설치된 후에 상부를 향해서 나선형 형상으로 설치된다. 히팅라인(30)에는 내부를 통해 열매유가 이동할 수 있도록 소정 지름을 갖는 중공이 형성된다.
히팅라인(30)은 탱크(100) 내부뿐만 아니라 외부로 연장되어 열매유를 가열하는 보일러와 같은 히팅부(미도시)와 연결된다. 본 발명의 SPC 저장탱크(100)에 사용되는 보일러는 통상의 구조를 갖는 보일러이다. 바람직하게, 보일러는 두 개가 설치되어 하나의 보일러가 고장이 나더라도, 여분의 보일러에 의해 작업의 중단없이 공정을 계속해서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보일러와 같은 히팅부에서 열매유 투입라인(미도시)이 연장되어 탱크(100) 하부에서 히팅라인(30)과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탱크(100)와 연결되는 열매유 투입라인에는 밸브(미도시)가 형성되어 탱크(100) 내부로 투입되는 열매유의 양을 조절 할 수 있다. 또한, 열매유 투입라인에는 두 개이상의 펌프(미도시)가 병렬로 설치되어 한 개가 고장나더라도 다른 펌프에 의해 열매유를 계속해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며, 열매유가 히팅라인(30)을 따라 탱크(100)의 하부에서 상부로 올라갈 수 있도록 압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달리, 열매유가 탱크(100)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자중에 의해 이동하게 되면, 열매유의 이동속도가 지나치게 빨라져서, 열매유에서 탱크(100) 내부의 SPC로 충분히 열전달이 되지 않은 상태로 탱크(100)하부까지 내려오게 되다. 따라서 펌프에 의해 열매유를 히팅라인(30)의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도록 하여, 열매유에서 SPC로 충분히 열전달이 이루어지게 하여, SPC를 가열하게 되다.
열매유 투입라인과 연결된 히팅라인(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탱크(100) 내부에서 탱크(100) 바닥을 수회 가로질러 설치되고, 하부에서 상부를 향해 소정 피치의 나선형 형상으로 설치된다. 탱크(100) 상부에서 히팅라인(30)은 탱크(100) 외부로 연장되는 열매유 배출라인(미도시)과 연결되며, 열매유 배출라인에는 밸브(미도시)가 형성되어 배출되는 열매유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열매유 배출라인은 보일러와 같은 히팅부로 다시 연결되어, 탱크(100)내부를 가열하고 온도가 내려간 열매유를 다시 가열할 수 있도록 한다.
열매유는 히팅부에서 160~180℃정도로 가열되며, 가열된 열매유는 열매유 투입라인에 의해서 탱크(100)내부로 투입되며, 열매유 투입라인에 설치된 펌프의 압력에 의해 탱크(100)내부에서 히팅라인(30)을 따라 이동하며 탱크(100) 내부에 수용된 SPC를 130~140℃로 유지하게 된다. 열매유가 SPC와의 열전달에 의해 온도가 낮아져서 탱크(100)의 상부에 도착하게 되면 히팅라인(30)과 연결된 열매유 배출라인에 의해 보일러와 같은 히팅부로 연결되어 다시 가열되며, 위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SPC를 계속해서 가열하게 된다.
SPC는 전술한 바와 같이 150~160℃ 이상으로 가열되게 되면, 점도가 급증하고 유황성분이 빠져나가는 등, 여러가지 물성치의 변화가 발생하므로 그 이상의 온도로 가열되지 않게 하는 것이 중요하며, 바람직하게, 130~140℃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열매유는 보일러와 같은 히팅부에서 발생한 열에 의해 가열되어 순환하며 탱크(100) 내부의 SPC를 소정 온도로 가열하는 역할을 한다. 열매유를 이용하여 SPC를 가열하고, 히팅라인(30) 주위의 국부적으로 가열된 SPC를 후술하는 회전날개(46)에 의해 교반시켜주면, 히터나 버너를 이용하여 직접 가열하는 경우보다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다. 열매유는 열분해 및 산화에 대해 안정성이 있고 금속을 부식시키지 않으며, 사용되는 온도에서 적정한 유동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열매유 투입라인에는 열매유를 주입하고 반출하는 밸브(미도시)가 형성되며, 열매유는 열매유 투입라인, 히팅라인(30), 열매유 배출라인, 및 보일러와 같은 히팅부를 순환하게 된다. 또한, 열매유는 온도 상승에 따른 열팽창을 하기 때문에 보일러와 같은 히팅부에 소정의 여유공간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히팅라인(30)은 열매유로 완전히 채우게 된다.
탱크(100)의 상부 중앙부에는 모터(40)가 설치되며, 모터(40)에 연결되어 탱크(100)의 내부를 향해 연장된 회전축(42)에는 회전날개(46)가 설치되며, 회전날개(46)가 회전하면서 SPC를 교반시켜준다.
바람직하게, 모터(40)는 탱크(100) 뚜껑(10)의 중앙부에 설치되며, 모터(40)의 회전축(42)이 탱크(100)의 내부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서 연장되어 뻗어있다. 회전축(42)은 탱크(100) 내부 바닥에서 고정부재(47)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경우에 진동하지 않고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회전축(42)에는 회전날개(46)가 설치되는데, 비록 도면에는 두 개의 회전날개(46)가 도시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SPC의 양과 탱크(100)의 내부공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갯수의 회전날개(46)가 설치될 수 있다. SPC는 전술한 바와 같이 150~160℃ 이상으로 가열되게 되면, 점도가 급증하고 유황성분이 빠져나가는 등, 여러가지 물성치의 변화가 발생하므로 그 이상의 온도로 가열되지 않게 하는 것이 중요하며, 바람직하게, 130~140℃의 온도를 유지한다. 본 발명에서는 회전날개(46)의 회전에 의해 탱크(100) 내부의 SPC가 골고루 섞이게 되며, 히팅라인(30)의 열매유에 의해 SPC의 일부만 가열되는 것이 아니라, 회전날개(46)의 회전에 의해 골고루 섞이게 되어 히팅라인(62) 주위의 SPC 일부만 가열되어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며, 전체가 균일하게 가열되어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게 해준다.
바람직하게, 탱크(100)의 뚜껑(10), 몸통(20)의 외측면, 바닥에는 단열부재(22)가 설치된다. 단열부재(22)가 탱크(100)의 뚜껑(10), 몸통(20)의 외측면, 바닥을 따라 설치되어 탱크(100) 내부의 열이 외부로 발산하는 것을 방지하여, 히팅라인(30)을 따라 흐르는 열매유에 의한 가열 효과를 최대화하며, SPC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믹서 내부로 투입된 굵은골재, 잔골재, 가열된 SPC는 교반날개에 의해 믹싱된다(S60).
믹서는 골재와 SPC를 적정량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제작되며, 일측에 모터가 설치되고, 모터의 구동축에 회전축이 연결되며, 회전축에는 다수의 교반날개가 설치된다. 모터의 구동에 의해 구동축, 회전축이 회전을 하여 교반날개도 회전을 하면서 굵은골재, 잔골재, 가열된 SPC를 교반하여 MSPC 조성물을 제조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믹서와 인접한 지역에는 더스트, 플라이애쉬, 및 안료를 각각 별도로 저장하는 싸일로가 구비되어, 믹서로 더스트, 플라이애쉬, 및 안료를 더 공급한다. 더스트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집진부를 통하여 빨아들여서 싸일로에 저장하게 되며, 본 발명의 공정에서 발생하는 더스트를 별도의 시설없이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플라이애쉬는 충진재의 역할을 하며, 안료는 완성품에 색깔을 넣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각 싸일로는 믹서와 연결된 투입라인에 의해 믹서 내부로 더스트와 플라이애쉬를 공급한다. 바람직하게, 믹서와 연결된 투입라인의 내부에는 스크류피더와 같은 피더수단이 구비되어 더스트와 플라이애쉬를 일정량씩 공급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믹싱된 MSPC 조성물은 MSPC 조성물 이송유니트에 의해 타설 장소까지 이송된다(S70).
도 3은 MSPC 조성물 이송유니트(200)를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이송유니트(200)는 지면에서 소정높이로 설치된 레일(110), 레일(110)을 따라 이동하며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도어부(140)를 구비하여 MSPC 조성물을 이송시키는 이송카(120), 및 레일(110)을 따라 레일(110)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며, 일단의 상부에는 MSPC 조성물이 투입되는 투입구(182)가 형성되고 타단의 하부에는 MSPC 조성물이 배출되는 배출구(184)가 형성된 단열부(180);를 구비한다.
레일(110)은 지지대(112)에 의해 지면에서 소정높이로 설치되거나, 또는 도 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건축 구조물의 천정을 따라 지지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레일(110)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적절한 변형이 가능하다. 레일(110)은 바람직하게, 한쌍이 설치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레일(110)에 돌출부 또는 홈이 형성되고 후술하는 이송카(120)의 바퀴(도4 참조:161)에는 홈 또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레일(110)을 따라 이송카(120)가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레일(110)은 직선뿐만 아니라 곡선 등 다양한 경로를 갖도록 설치될 수 있다. 비록 도면에는 도시 되지 않았지만, 바람직하게, 레일(110)의 양끝단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이송카(120)의 바퀴(161)가 걸려서 멈출 수 있도록 한다.
이송카(120)는 레일(110)을 따라 이동하며 MSPC 조성물을 이송하는데, 이송카(120)는 이후에 상세히 설명된다.
단열부(180)는 레일(110)을 둘러싸며 레일(110)의 이동경로를 따라 설치되고, 일단의 상부에는 MSPC 조성물이 투입되는 투입구(182)가 형성되고 타단의 하부에는 MSPC 조성물이 배출되는 배출구(184)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단열부(180)는 별도의 수용공간에 단열재(185)를 구비하여, 내부와 외부의 열전달을 차단하고 내부의 레일(110)을 따라 이송카(120)에 의해 이송되는 MSPC 조성물의 온도하강을 방지한다.
단열부(180)는 전체 길이가 짧을 경우에는 일체로 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소정길이를 갖는 복수의 단열부재(186)가 연결되어, 직선형뿐만 아니라 레일(110)의 경로에 따라 곡선형의 형상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단열부재(186)는 볼트 또는 리벳 등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단열부(180)는 이 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바람직하게, 단열부(180)의 양단에 형성된 MSPC 조성물이 투입되는 투입구(182)와 MSPC 조성물이 배출되는 배출구(184)에는 도어(183)가 설치되어, 작업자가 수동으로 도어(183)를 개폐하거나, 전술한 제어부에 의해 전기적 또는 전자적으로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이송카(120)를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이송카(120)는 상부가 개방되어 덮개(132)가 형성되며 MSPC 조성물을 수납하는 콘테이너(130), 콘테이너(130)의 하부에 설치되며 선택적으로 개폐되어 콘테이너(130)에 수납된 MSPC 조성물을 투하시키는 도어부(140), 콘테이너(130)가 안착되며 도어부(140)에 대응하는 소정 영역이 개방된 몸체부(150), 및 지면에서 소정높이로 설치된 레일(110)을 따라 몸체부(150)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이송부(160)를 구비한다.
몸체부(150)에는 후술하는 각종 구성요소가 설치되며 소정영역, 바람직하게, 중앙부가 개방되어 있다. 몸체부(150)는 레일(110)과 평행하게 배치된 한쌍의 리지드 바(rigid bar)(151)와 리지드 바(151)를 서로 연결시켜주는 연결부재(152)로 구성되며 연결부재(152) 사이의 영역은 개방되어 있다. 개방된 영역에는 콘테이너(130)가 위치하게 되는데, 콘테이너(130)는 이후에 상세히 설명된다.
몸체부(150)의 일측에는 후술하는 모터(162) 또는 콤프레셔(146) 등이 설치될 수 있는 플레이트(154)(156)가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플레이트(154)(156)는 모터(162) 또는 콤프레셔(146) 등을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후에 유지·보수를 위해 작업자가 그 위에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충분한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 하다. 더욱 바람직하게, 몸체부(150)의 일측에 모터(162) 또는 콤프레셔(146) 등이 설치될 수 있는 플레이트(154)(156)가 설치되고, 타측에는 작업자가 작업을 할 수 있는 플레이트(155)가 별도로 설치되어 작업자가 보다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한다.
몸체부(150)는 이송부(160)에 의해 지면에서 소정높이에 설치된 레일(110)을 따라서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된다. 이송부(160)는 몸체부(50)에 설치되어 레일(110)을 따라 이동하는 바퀴(161)와 몸체부(150)의 일측에 설치되어 바퀴(161)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모터(162)를 구비한다.
바퀴(161)는 적절한 갯수가 몸체부(150)에 설치되며, 지면에서 소정높이에 설치된 레일(110)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161)가 몸체부(150)의 양측에 두쌍 설치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몸체부(150)의 중앙을 따라 바퀴(161)가 설치되고, 몸체부(150)의 양측으로 몸체부(150)를 지지하는 가이드가 설치되는 구조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조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적절하게 변형되어 채택될 수 있다. 바퀴(161)가 레일(110)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 바람직하게, 레일(110)에는 돌출부 또는 홈이 형성되고, 바퀴(161)에는 홈 또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바퀴(161)가 레일(110)을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몸체부(150)의 일측에 설치된 플레이트(154)에는 모터(162)가 설치되는데, 바람직하게, 모터(162)는 바퀴(161)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바퀴(161)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경우에 구동력의 손실없이 보다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모터(162)는 볼트(미도시)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서 플레이트(154)에 고정된다.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모터(162)가 구동하는 경우, 또는 작업자가 플레이트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에 모터(162)를 보호하기 위해서, 모터(162)를 둘러싸는 커버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모터(162)의 구동축에는 스프로켓(sprocket)(163)이 설치되며, 마찬가지로 모터(162)와 인접한 바퀴(161)의 중심축에도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스프로켓이 설치되며, 스프로켓(163) 사이에 벨트(164)가 연결되어 모터(162)의 구동력을 바퀴(161)로 전달한다. 벨트(164)는 구동력을 용이하게 전달하도록 스프로켓(163)사이에서 처지지 않도록 타이트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조는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어나 체인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하거나 또는 모터(162)가 직접 바퀴(161)에 연결되는 구조도 가능하며,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몸체부(150)의 일측에는 별도의 제어부(170)가 설치되어 이송부(160)의 모터(162), 후술하는 회동부(도5 참조:145)의 에어실린더(도5 참조:147), 및 가열부(도5 참조:190)의 히터(도6 참조:194)를 제어하게 된다.
도 5에는 MSPC 조성물을 수납하는 콘테이너(130)가 도시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콘테이너(130)는 MSPC 조성물을 적정량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제작된다. 콘테이너(130)는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며, 개장된 상부에는 덮개(132)가 형성되며,개방된 하부에는 후술하는 도어부(140)가 설치된다. 콘테이너(130)의 내부는 MSPC 조성물을 투하하는 경우에, MSPC 조성물이 콘테이너(130)의 내부에 점착되지 않도록 도면에 점선(13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네 모서리가 라운드 형상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콘테이너(130)는 MSPC 조성물을 투하시키는 경우에 보다 정확한 지점에 용이하게 투하시키기 위해,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갖는다.
콘테이너(1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몸체부(150) 연결부재(152) 사이의 개방된 영역에 안착하게 되는데, 콘테이너(130)의 상부에는 연결부재(152)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부재(131)가 설치되어, 콘테이너(130)가 개방된 영역을 통해 몸체부(150)의 하부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한다. 바람직하게, 콘테이너(130)의 상부에는 MSPC 조성물의 투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가이드 부재(미도시)가 설치된다.
콘테이너(130)의 일측 또는 양측 측면에는 진동부재(199)가 설치된다. 진동부재(199)는 콘테이너(130)의 외측면에 직접 설치되거나 또는 후술하는 콘테이너(130)의 외측면에 형성된 케이스(191)의 외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진동부재(199)는 콘테이너(130)를 직접 진동시키거나 또는 케이스(191)를 통해 콘테이너(130)에 진동을 전달하여, MSPC 조성물의 점도로 인해 투하되지 않고 콘테이너(130)의 내벽에 점착되는 MSPC 조성물의 투하를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 진동부재(199)는 바이브레터를 구비하는데, 이러한 바이브레터의 갯수는 콘테이너(130)의 크기, 수납되는 MSPC 조성물의 양 등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콘테이너(130)의 상부에는 선택적으로 개폐되어 MSPC 조성물을 수납하는 덮개(132)가 형성되며, 콘테이너(130)의 하부에는 수납된 MSPC 조성물을 선택적으로 투하시키는 도어부(140)가 형성된다. 도어부(140)는 콘테이너(130) 하부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된 도어(141)와 도어(141)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해 회동시키는 회동부(145)를 구비한다.
덮개(132)는 콘테이너(130)의 상부에 형성되며,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별도의 구동장치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덮개(132)를 개방하여 MSPC 조성물이 콘테이너(130)의 내부에 수납되게 하며, 적정량의 MSPC 조성물이 수납되면 덮개(132)를 폐쇄하여 콘테이너(130) 내부를 밀폐한다. 바람직하게, 덮개(132)에는 가열부가 설치되어 콘테이너(130) 내부의 MSPC 조성물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데, 가열부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적절하게 변형되어 채택될 수 있다.
도어(141)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테이너(130)의 개방된 하부를 개폐하도록 피봇(142) 등에 의해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도어(141)는 하나만이 설치되어 회동되거나, 도면에 나타난 것처럼, 도어(141)가 복수로, 바람직하게는 두개가 설치되어 회동될 수 있다.
회동부(145)는 몸체부(150)의 일측에 설치된 콤프레셔(도4 참조:146)와 콘테이너(130)의 상부 일측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도어(141)에 연결되며, 콤프레셔(146)에서 압축공기를 공급받아 도어(141)를 회동시키는 에어실린더(147)를 구비한다.
콤프레셔(146)는 전술한 모터(162)가 설치된 플레이트(154)에 설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별도의 플레이트(156)가 콘테이너(130)에 인접하게 설치된다. 콤프레셔(146)는 압축호스 또는 관에 의해 에어실린더(147)와 연결되어 에어실린더(147)로 압축공기를 공급하게 되는데, 바람직하게, 각 에어실린더(147) 몸체에 별도의 압축호스 또는 관이 연결되어 실린더 로드(148)를 신장 또는 압축하는 압축공기를 별도로 공급하게 된다.
에어실린더(147)는 일단이 콘테이너(130) 상부 일측에 형성된 고정부재(149)에 연결되며, 타단의 실린더 로드(148)는 도어(141)에 연결된다. 에어실린더(147)는 적절한 갯수가 설치되는데, 도어(141)가 한개인 경우에는 콘테이너(130)의 일측에 설치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처럼 도어(141)가 두개인 경우에는 콘테이너(130)의 양측에 적절한 갯수가 설치된다.
콘테이너(130) 또는 도어(141)의 외측면에는 수납된 MSPC 조성물을 가열하는 가열부(190)가 구비된다. 가열부(190)는 콘테이너(130) 또는 도어(141)의 외측면에 형성된 케이스(191)(192), 케이스(191)(192)에 수용되는 열매유(193), 및 열매유(193)를 가열하는 가열부재(194)를 구비한다. 도어(141)의 외측면에 형성된 케이스(192)와 콘테이너(130)의 외측면에 형성된 케이스(191)는 크기만 틀릴 뿐, 구조는 동일하므로 이하 도어(141) 외측면에 형성된 케이스(192)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케이스(191)(192)는 바람직하게, 콘테이너(130)의 양측면 또는 도어(141)의 외측면에 설치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열매유(193)가 수납된다.
열매유(193)는 후술할 가열부재(194), 예를 들어, 히터에서 발생한 열에 의해 가열되어 케이스(191)(192)내부에서 순환하며 콘테이너(130) 내부를 소정 온도로 가열하는 역할을 한다. 열매유를 이용하여 콘테이너(130) 내부를 가열하면 히터 를 이용하여 직접 가열하는 경우보다 내부를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다. 열매유(193)는 열분해 및 산화에 대해 안정성이 있고 금속을 부식시키지 않으며, 사용되는 온도에서 적정한 유동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케이스(191)(192)의 일측에는 열매유(193)를 주입 또는 반출할 수 있는 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열매유(193)는 온도 상승에 따른 열팽창을 하기 때문에 케이스(191)(192)의 내부를 열매유(193)로 완전히 채우는 것보다 열팽창 할 수 있는 여유 공간을 남겨두고 채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열매유(193)를 케이스(191)(192) 내부에 완전히 채우는 경우에는 열매유(193)의 온도 상승시 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안전밸브(safety valve)등 압력 조절 밸브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부재(194)는 콘테이너(130) 내부를 소정 온도로 가열하기 위해 열매유(193)를 가열한다. 바람직하게, 가열부재(194)는, 도면에 나타나 바와 같이, 열매유(193)층 내부에 설치되는 히터이다. 히터의 갯수와 설치 위치는 요구되는 온도, MSPC 조성물의 양 등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도면에는 열매유(193)층 내부에 설치된 히터와 같은 가열부재(194)가 도시되지만, 열매유(193)층을 둘러싸는 전열선 또는 열매유(193)층 외부에 설치되는 히터 등 다양한 구조의 가열부재(194)가 가능하다. 아울러, 열매유(193)층이 없이 전열선 또는 히터가 콘테이너(130)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직접 내부를 가열하는 방식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케이스(191)(192)의 내부 중공부가 이중으로 구성되어, 안쪽 중공부에는 열매유(193)가 수용되고, 열매유(193)층 외부의 바깥 중공부에는 열매유(193)층을 둘러싸는 단열재(195)가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열재(195) 는 열매유(193)의 열이 외부로 발산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MSPC 조성물 이송유니트(200)에 의하여 소정온도를 유지한 채 이송된 MSPC 조성물은 타설기(미도시)에 투입된다. 상기 타설기는 MSPC 조성물을 몰드(미도시)에 투입하여 원하는 MSPC 제품을 제조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MSPC 조성물 믹싱 방법에 따른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MSPC 조성물을 믹싱하고 이송하는 전 과정을 자동화함으로써 인력 및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성분비가 일정한 MSPC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MSPC 조성물 믹싱에 사용되는 SPC 저장탱크에 의하면, SPC를 소정온도로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다.
세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MSPC 조성물 믹싱에 사용되는 SPC 저장탱크에 의하면, 액상의 SPC를 그대로 사용하므로, 고상의 SPC를 가열하여 액상으로 만드는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네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MSPC 조성물 믹싱에 사용되는 MSPC 조성물 이송유니트에 의하면, MSPC 조성물을 소정온도를 유지하면서 온도하강없이 이송할 수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MSPC 조성물 믹싱에 사용되는 MSPC 조성물 이송유니트에 의하면, 일정량씩 균일하게 이송시킬 수 있다.

Claims (6)

  1. (a) 굵은골재, 잔골재를 별도의 호퍼에 수납하여, 상기 각 호퍼에서 굵은골재, 잔골재를 콘베이어 벨트로 일정량씩 투하하여 골재 드라이어로 이송하는 단계;
    (b) 상기 골재 드라이어에서 굵은골재, 잔골재를 가열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
    (c) 상기 골재 드라이어의 일단에 연결된 리프트부에 의해 굵은골재, 잔골재를 상승시킨 후, 바이브레터 스크린(vibrator screen)에 의해 입자 크기별로 분리하여 투하하는 단계;
    (d) 투하된 굵은골재, 잔골재를 골재저장탱크에 저장하고, 일정량씩 믹서로 투하하는 단계;
    (e) SPC 저장탱크에 의해 SPC를 소정 온도로 유지하여 상기 믹서로 공급하는 단계;
    (f) 상기 골재저장탱크에서 투하된 굵은골재, 잔골재와 상기 SPC 저장탱크에서 공급된 SPC 를 상기 믹서 내부에서 믹싱하여 MSPC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g) 상기 믹서의 하부에 설치된 MSPC 조성물 이송유니트에 의해 상기 믹서에서 투하된 MSPC 조성물을 이송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f)는,
    상기 믹서로 공급되는 SPC 중에 MSPC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되지 않은 SPC를 상기 SPC 저장탱크로 반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SPC 조성물 믹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는,
    상기 골재 드라이어에서 굵은골재, 잔골재를 150~250℃로 가열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SPC 조성물 믹싱 방법.
  3. (a) 굵은골재, 잔골재를 별도의 호퍼에 수납하여, 상기 각 호퍼에서 굵은골재, 잔골재를 콘베이어 벨트로 일정량씩 투하하여 골재 드라이어로 이송하는 단계;
    (b) 상기 골재 드라이어에서 굵은골재, 잔골재를 가열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
    (c) 상기 골재 드라이어의 일단에 연결된 리프트부에 의해 굵은골재, 잔골재를 상승시킨 후, 바이브레터 스크린(vibrator screen)에 의해 입자 크기별로 분리하여 투하하는 단계;
    (d) 투하된 굵은골재, 잔골재를 골재저장탱크에 저장하고, 일정량씩 믹서로 투하하는 단계;
    (e) SPC 저장탱크에 의해 SPC를 소정 온도로 유지하여 상기 믹서로 공급하는 단계;
    (f) 상기 골재저장탱크에서 투하된 굵은골재, 잔골재와 상기 SPC 저장탱크에서 공급된 SPC를 상기 믹서 내부에서 믹싱하여 MSPC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g) 상기 믹서의 하부에 설치된 MSPC 조성물 이송유니트에 의해 상기 믹서에서 투하된 MSPC 조성물을 이송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e)에서,
    상기 SPC 저장탱크는,
    상기 탱크의 몸통 내주면을 따라 하부에서 상부를 향해 소정 피치의 나선형 형상으로 설치된 히팅라인;
    상기 히팅라인의 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열매유;
    상기 열매유를 가열하는 히팅부;
    상기 탱크의 상부에 설치된 모터; 및
    상기 모터와 연결된 회전축에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SPC를 교반시켜주는 다수의 회전날개;를 구비하여, 상기 SPC를 130~140℃로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SPC 조성물 믹싱 방법.
  4. (a) 굵은골재, 잔골재를 별도의 호퍼에 수납하여, 상기 각 호퍼에서 굵은골재, 잔골재를 콘베이어 벨트로 일정량씩 투하하여 골재 드라이어로 이송하는 단계;
    (b) 상기 골재 드라이어에서 굵은골재, 잔골재를 가열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
    (c) 상기 골재 드라이어의 일단에 연결된 리프트부에 의해 굵은골재, 잔골재를 상승시킨 후, 바이브레터 스크린(vibrator screen)에 의해 입자 크기별로 분리하여 투하하는 단계;
    (d) 투하된 굵은골재, 잔골재를 골재저장탱크에 저장하고, 일정량씩 믹서로 투하하는 단계;
    (e) SPC 저장탱크에 의해 SPC를 소정 온도로 유지하여 상기 믹서로 공급하는 단계;
    (f) 상기 골재저장탱크에서 투하된 굵은골재, 잔골재와 상기 SPC 저장탱크에서 공급된 SPC 를 상기 믹서 내부에서 믹싱하여 MSPC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g) 상기 믹서의 하부에 설치된 MSPC 조성물 이송유니트에 의해 상기 믹서에서 투하된 MSPC 조성물을 이송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f)에서,
    더스트(dust), 플라이애쉬(fly ash), 및 안료를 상기 믹서에 더 공급하여 믹싱함으로써 MSPC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SPC 조성물 믹싱 방법.
  5. 삭제
  6. (a) 굵은골재, 잔골재를 별도의 호퍼에 수납하여, 상기 각 호퍼에서 굵은골재, 잔골재를 콘베이어 벨트로 일정량씩 투하하여 골재 드라이어로 이송하는 단계;
    (b) 상기 골재 드라이어에서 굵은골재, 잔골재를 가열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
    (c) 상기 골재 드라이어의 일단에 연결된 리프트부에 의해 굵은골재, 잔골재를 상승시킨 후, 바이브레터 스크린(vibrator screen)에 의해 입자 크기별로 분리하여 투하하는 단계;
    (d) 투하된 굵은골재, 잔골재를 골재저장탱크에 저장하고, 일정량씩 믹서로 투하하는 단계;
    (e) SPC 저장탱크에 의해 SPC를 소정 온도로 유지하여 상기 믹서로 공급하는 단계;
    (f) 상기 골재저장탱크에서 투하된 굵은골재, 잔골재와 상기 SPC 저장탱크에서 공급된 SPC 를 상기 믹서 내부에서 믹싱하여 MSPC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g) 상기 믹서의 하부에 설치된 MSPC 조성물 이송유니트에 의해 상기 믹서에서 투하된 MSPC 조성물을 이송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g)에서,
    상기 MSPC 이송유니트는,
    레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도어부를 구비하여 MSPC 조성물을 이송시키는 이송카; 및
    상기 레일을 따라 상기 레일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며, 일단의 상부에는 MSPC 조성물이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되고 타단의 하부에는 MSPC 조성물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단열부;를 구비하여, 상기 믹서에서 투하된 MSPC 조성물을 상기 이송카에 수납하여 상기 레일을 따라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SPC 조성물 믹싱 방법.
KR1020040083264A 2004-10-18 2004-10-18 Mspc 조성물 믹싱 방법 KR100640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3264A KR100640269B1 (ko) 2004-10-18 2004-10-18 Mspc 조성물 믹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3264A KR100640269B1 (ko) 2004-10-18 2004-10-18 Mspc 조성물 믹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4122A KR20060034122A (ko) 2006-04-21
KR100640269B1 true KR100640269B1 (ko) 2006-11-01

Family

ID=37143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3264A KR100640269B1 (ko) 2004-10-18 2004-10-18 Mspc 조성물 믹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02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8905B1 (ko) * 2005-12-29 2007-07-12 (주)서우 유황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토목구조물의제조방법
JP5286617B2 (ja) * 2008-10-15 2013-09-11 ハンミ イーアンドシ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改質硫黄結合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と、これを含有する水硬性改質硫黄資材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または可燃性改質硫黄資材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4827575B (zh) * 2015-05-12 2017-01-25 广西大学 一种混凝土骨料二维随机投放的双向游走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4007227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4122A (ko) 2006-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51469C2 (ru)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бетонной смеси и технологическая линия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KR100907245B1 (ko) 이동식 배치 플랜트
KR101128050B1 (ko) 이동식 콘크리트 배치 플랜트
KR101604098B1 (ko) 무기바인더 중자 제조장치
WO2006121166A1 (ja) 改質硫黄固化体製造システム
CN209491971U (zh) 一种混凝土均匀配料装置
KR102033041B1 (ko) 이동식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포장도로의 보수 방법
KR100640269B1 (ko) Mspc 조성물 믹싱 방법
US3305138A (en) Apparatus for storing and distributing heated asphalt mix
US2548340A (en) Apparatus for de-airing and delivering plaster
CN206926070U (zh) 一种预制件生产线
CN209901100U (zh) 一种自动配液装置
CN211279169U (zh) 一种混凝土制造设备
KR100297595B1 (ko) 상온유화아스팔트혼합물의제조장치
CN210356795U (zh) 一种集计量、投入、搅拌为一体的环氧树脂配料装置
KR200372887Y1 (ko) Mspc 조성물 이송장치
CN109833819A (zh) 自动化定量混料设备
KR100640271B1 (ko) Mspc 조성물 이송장치
US400461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and packaging mastic coating material
CN106272940A (zh) 一种预制件生产线
US1966647A (en) Machine for mixing paving material
CN111923242A (zh) 再生混凝土制造设备
KR200377528Y1 (ko) Mspc 조성물 타설기
CN108487027A (zh) 一种带冲击钻的交通道路养护用施工装置
CN219051003U (zh) 一种节能环保沥青混合料配比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