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8905B1 - 유황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토목구조물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황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토목구조물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8905B1
KR100738905B1 KR20050133083A KR20050133083A KR100738905B1 KR 100738905 B1 KR100738905 B1 KR 100738905B1 KR 20050133083 A KR20050133083 A KR 20050133083A KR 20050133083 A KR20050133083 A KR 20050133083A KR 100738905 B1 KR100738905 B1 KR 100738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lfur
mixing
concrete
weight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0133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5317A (ko
Inventor
서동혁
Original Assignee
(주)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서우 filed Critical (주)서우
Priority to KR20050133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8905B1/ko
Publication of KR20060005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53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8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8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7/00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pparatus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for mixing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Discharging the mixture
    • B28C7/04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047Zeoli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06Combustion residues, e.g. purification products of smoke, fumes or exhaust gases
    • C04B18/08Flue dust, i.e. fly ash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4Waste materials; Refuse from metallurgical processes
    • C04B18/141Slag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36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sulfur, sulfides or seleniu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황 콘크리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유황 콘크리트는 옹벽블록이나 개·관수로관 및 호안블록, 인공해림초, 수중투여물등과 같이 일정강도를 가진 콘크리트 토목용 구조 재료 등에 다양하게 쓰일 수 있고, 이에 사용되는 유황 콘크리트의 정확한 배합을 위하여 강화재인 동슬래그(Copper-slag)에 제올라이트(zeolite)를 혼합하여 이를 일정한 온도로 예열하는 혼합,예열공정(S1)과, 믹싱기를 이용하여 예열된 혼합물과 충진재인 플라이애시(fly-ash)를 혼합, 믹싱하되, 동시에 가열시키는 믹싱,가열공정(S2), 상기 혼합된 구성물들을 회전시키면서, 유황시멘트(S.P.C)를 투입하되 회전상태를 계속 유지하는 회전공정(S3)의 순으로 순차적으로 진행되면서 유황 콘크리트 제조방법이 완성되며. 이는 자연냉각을 통해 경화된다.
기존의 석회콘크리트와 달리 물이 첨가되지 않을뿐더러, 비중이 높고, 성형이 쉬우며, 노후화되어 폐기처분을 할 경우 재활용이 쉬어 환경 친화적이면서, 기존의 콘크리트를 대체할 수 있는 수단이라고 말할 수 있다.
플라이애시(fly-ash), 동슬래그(Copper-slag), 몰드, 유황 시멘트(S.P.C)(Sulfur Polymer Cement), 제올라이트(zeolite)

Description

유황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토목구조물의 제조방법 {The concrete manufacturing method which uses the sulfu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engineering works infrastructure which uses the concrete}
도 1은 본 발명 따른 유황 콘크리트 제조의 생산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마사토 및 황토분말을 추가 투입하여
제조되는 유황 콘크리트 제조의 생산 공정도
도 3은 본 발명에 일실시 예에 따른 토목용 구조 재료의 생산 공정도
본 발명은 유황 콘크리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옹벽블록이나 개·관수로관 및 호안블록, 인공해림초, 수중투여물등과 같이 일정강도를 가진 토목용 구조 재료 등에 다양하게 쓰일 수 있고, 이에 사용되는 유황 콘크리트의 정확한 배합을 위하여 강화재인 동슬래그(Copper-slag)에 제올라이트(zeolite)를 혼합하고 이를 일정한 온도로 예열하고, 충진재인 플라이애시(fly-ash)를 예열된 상기 혼합물 과 혼합, 가열과정을 동시에 진행하면서 상기 혼합된 구성들을 회전시키면서 유황시멘트(S.P.C)를 투입하고 자연냉각을 통해 경화되는 과정으로 진행되는 것이 특징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는 시멘트가 물과 반응하여 굳어지는 수화반응을 이용하여 모래·자갈을 시멘트풀(시멘트를 물로 개어 풀처럼 만든 것)로 둘러싸서 다진 것으로서, 로마시대에 화산회와 석회석을 써서 만든 것이 시초라고 하나, 일반적으로는 19세기 초에 포틀랜드 시멘트가 발명된 후 1867년 프랑스에서 철망으로 보강된 콘크리트가 만들어진 것이 최초이다. 그 후 독일을 중심으로 철근콘크리트의 개발이 계속되어 근년에는 댐이나 도로포장·교량 등의 토목공사나 개·관수로관나 호안블록, 인공해림초, 수중투여물등과 같은 일정강도를 가진 토목용 구조 재료의 중심이 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석회콘크리트의 경우 그 강도유지를 위하여 다량의 시멘트를 첨가하여 제작됨으로써, 이들을 시공한 후에는 이들로부터 발생하는 시멘트의 독성(라돈,유해중금속)들이 밖으로 배출되고, 이러한 유해 성분들은 인류건강에 해를 끼치는 등 각종 환경 오염을 일으키게 되고, 또 이들 콘크리트 레미콘 제품은 습기와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발생시키고 있으며, 환경을 고려하지 않은 난개발과 무분별한 토목시공으로 발생하는 각종폐기물은 자연환경 파괴가 일어나게 하는 주원인이었다.
그래서 이러한 종래의 석회콘크리트의 제반문제를 조금이나마 해결할 수 있는 유황시멘트(S.P.C)라는 것이 있는데 이는 Sulfur Polymer Cement의 약자로써 산 업 부산물로서의 유황을 화학기질재 특성인 폴리머 반응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열을 통하여 황이 용융되고 이에 따른 황의 점성을 이용한 재료이고, 종래의 석회콘크리트처럼 시멘트와 물이 반응하여 경화되는 것이 아니라 가열을 통한 용융과 자연 냉각을 통한 경화로 이루어지는 원리이며, 고강도, 속경성 및 화학저항성을 갖는 신개념의 건설재료이면서, 친환경적이며, 재료의 소비량이 적어 건축폐기물이 적게 나오고, 가벼우며, 내구성이 탁월하며, 노후화되어 폐기처분을 할 경우 재활용이 쉬어 환경 친화적이다.
또한, 동슬레그라 하여 동(구리)제련에 필요한 황동석, 휘동석, 적동석 등과 같은 광석들이 정광 용융후 마트(matte)용해후나 부분배소후 용융상 용해로부터, 또는 배소반응후 동 직접용융시, 슬래그나 슬래그 선광후의 동제련공정 중에 발생하는 일종의 산업부산물로써, 화학적 조성은 구리(Cu)0.3∼3.0%, 납(Pb)0.2∼4.8%, 아연(Zn)0.1∼11.0%, 철(Fe)32.1∼44.0%, 유황(S) 0.2∼2%, 산화칼슘(CaO)나 산화마그네슘(MgO)0.1∼7.4%, 이산화규소(SiO2)22.8∼37.5%, 산화알루미늄(Al2O3)0.1∼8%, 산화철(Fe3O4)3∼6%로 이루어져 있으며 비중이 클 뿐 아니라 강도 또한 매우 높아 일반적으로 토목공사의 기초로 쓰인다.
이러한 종래 석회콘크리트 제조 기술이 아닌 다른 차원의 콘크리트 제조방법을 만들고자 유황 콘크리트의 제조방법을 제안하고자 하며, 이는 강화재인 동슬래 그와 제올라이트를 혼합하고 혼합된 혼합물에 충진제인 플라이애시를 추가 투입하고 혼합하며 마지막으로 일정량의 유황시멘트(S.P.C)을 추가하여 혼합하되 잘 혼합될 수 있도록 일정시간 믹싱하며, 이러한 믹싱과정과 동시에 일정온도의 열을 가하며, 이 열을 통하여 유황이 폴리머 반응을 일어나고 이렇게 가열된 구성물은 자연 냉각을 통해 경화되는 과정으로 제조방법이 완성되며, 이렇게 제작된 본 발명은 기존의 일반레미콘 문제점이었던 시멘트에서 배출되었던 독성(라돈,유해중금속) 등은 성분들은 인류건강에 해를 끼치는 각종 환경 오염을 어느 정도 해소할 수 있으며, 환경을 고려하지 않은 난개발과 무분별한 토목시공으로 발생하는 자연환경 파괴현상을 줄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개·관수로관이나 호안블록, 옹벽용 블록, 소파블록, 수중에 투여되는 인공해림초 등의 토목구조물에 다양하게 두루 적용할 수 있으며 특히 수중투여물과 같이 물과 관련된 토목구조물에 이용될 경우 환경 친화적인 면까지 얻을 수 있어 새로운 재료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유황 콘크리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유황 콘크리트는 옹벽블록이나 개·관수로관 및 호안블록, 인공해림초, 수중투여물등과 같이 일정강도를 가진 콘크리트 토목용 구조 재료 등에 다양하게 쓰일 수 있고, 이에 사용되는 유황 콘크리트의 정확한 배합을 위하여 강화재인 동슬래그에 제올라이트를 혼합하고 이를 일정한 온도로 예열하는 혼합,예열공정(S1)과, 믹싱기를 이용하여 예열된 혼합 물과 충진재인 플라이애시를 혼합, 믹싱하되, 동시에 가열시키는 믹싱,가열공정(S2), 상기 혼합된 구성물들을 회전시키면서, 유황시멘트(S.P.C)를 투입하되 회전상태를 계속 유지하는 회전공정(S3),의 순으로 순차적으로 진행되면서 유황 콘크리트 제조방법이 완성되며. 이는 자연냉각을 통해 경화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유황 콘크리트 제조방법에 대해 도 1을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보면 우선 정확한 중량배합비는 동슬래그 45~65중량%와 제올라이트 3~10중량%를 혼합하면서, 이를 120℃의 온도로 계속 예열시키는 혼합예열공정(S1)과, 이러한 혼합물에 플라이애시 2~5%를 추가투입하여 혼합하되, 믹싱용 장비를 이용하여 혼합하면서 믹싱하며 이렇게 믹싱하는 과정에서 120~150℃로 계속 가열하는 믹싱,가열과정(S2)로 진행되며, 상기 구성물들이 재질의 특성상 모두 분말형태이기 때문에 적어도 5분 이상의 충분한 믹싱이 필요하다.
또한, 믹싱,가열과정(S2)이 끝나면, 중속,저속으로 구동되는 회전체를 이용하여 상기 구성물들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혼합물에 유황시멘트(S.P.C) 30~40중량%을 투입하고 일정시간 회전상태를 유지하는 회전공정(S3)의 과정으로 본 제조발명이 이루어지며, 최종 투입된 유황시멘트(S.P.C)는 가열된 구성물들의 열로 인해 폴리머 반응이 일어나며 회전과정이 끝난 뒤 용융된 구성물들은 자연냉각으로 경화된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로써 상기 언급한 중량배합비에 따라 전체중량 2000Kg을 기준으로 각각의 실제중량에 따라 제작됨을 구체화시킨 것으로써 동슬래그 900Kg과 제올라이트 200Kg를 혼합하면서, 이를 120℃의 온도로 계속 예열시키는 혼합예열공정(S1)과, 이러한 혼합물에 플라이애시 100Kg를 추가투입하여 혼합하되, 믹싱용 장비를 이용하여 혼합하면서 믹싱하며 이렇게 믹싱하는 과정에서 120~150℃로 계속 가열하는 믹싱,가열과정(S2)로 진행되며, 상기 구성물들이 재질의 특성상 모두 분말형태이기 때문에 적어도 5분 이상의 충분한 믹싱이 필요하다.
또한, 믹싱,가열과정(S2)이 끝나면, 중속,저속으로 구동되는 회전체를 이용하여 상기 구성물들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혼합물에 유황시멘트(S.P.C) 800Kg을 투입하고 일정시간 회전상태를 유지하는 회전공정(S3)의 과정으로 본 제조발명이 이루어지며, 최종 투입된 유황시멘트(S.P.C)는 가열된 구성물들의 열로 인해 폴리머 반응이 일어나며 회전과정이 끝난 뒤 용융된 구성물들은 자연냉각으로 경화된다.
아래의 표 1은 중량배합비에 따른 구체적인 중량을 나타낸 표이다.
표 1
구 분 실시예 1 비 고
중 량 (Kg) 배 합 비 (%)
동슬래그 900 45
제올라이트 200 10
플라이애시 100 5
유황시멘트(S.P.C) 800 40
2000 100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로써 상기 언급한 중량배합비에 따라 전체중량 2000Kg을 기준으로 각각의 실제중량에 따라 제작됨을 구체화시킨 것으로써 동슬래그 1300Kg과 제올라이트 60Kg를 혼합하면서, 이를 120℃의 온도로 계속 예열시키는 혼합예열공정(S1)과, 이러한 혼합물에 플라이애시 40Kg를 추가투입하여 혼합하되, 믹싱용 장비를 이용하여 혼합하면서 믹싱하며 이렇게 믹싱하는 과정에서 120~150℃로 계속 가열하는 믹싱,가열과정(S2)로 진행되며, 상기 구성물들이 재질의 특성상 모두 분말형태이기 때문에 적어도 5분 이상의 충분한 믹싱이 필요하다.
또한, 믹싱,가열과정(S2)이 끝나면, 중속,저속으로 구동되는 회전체를 이용하여 상기 구성물들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혼합물에 유황시멘트(S.P.C) 600Kg을 투입하고 일정시간 회전상태를 유지하는 회전공정(S3)의 과정으로 본 제조발명이 이루어지며, 최종 투입된 유황시멘트(S.P.C)는 가열된 구성물들의 열로 인해 폴리머 반응이 일어나며 회전과정이 끝난 뒤 용융된 구성물들은 자연냉각으로 경화된다.
아래의 표 2는 중량배합비에 따른 다른 예로써 구체적인 중량을 나타낸 표이다.
표 2
구 분 실시예 2 비 고
중 량 (Kg) 배 합 비 (%)
동슬래그 1300 65
제올라이트 60 3
플라이애시 40 2
유황시멘트(S.P.C) 600 30
2000 100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써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구성물에 마사토 및 황토분말을 첨가하되, 마사토 95중량%와 황토분말 5중량%의 비율로 혼합된 모토혼합물를 이용하는 것으로써, 이러한 모토혼합물 25~60중량%를 구비하고 이를 120℃의 온도로 계속 예열시키면서 동슬래그 5~15중량%와 제올라이트 3~10중량%를 추가하여 혼합하는 혼합예열공정(S1')과, 이러한 모토혼합물에 플라이애시 2~5%를 추가투입하여 혼합하되, 믹싱용 장비를 이용하여 혼합하면서 믹싱하며 이렇게 믹싱하는 과정에서 120~150℃로 계속 가열하는 믹싱,가열공정(S2')과 중속,저속으로 구동되는 회전체를 이용하여 상기 구성물들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혼합물에 유황시멘트(S.P.C) 30~45중량%을 투입하고 일정시간 회전상태를 유지하는 회전공정(S3')의 과정으로 본 제조발명이 이루어지며, 최종 투입된 유황시멘트(S.P.C)는 가열된 구성물들의 열로 인해 폴리머 반응이 일어나며 회전과정이 끝난 뒤 용융된 구성물들은 자연냉각으로 경화된다.
아래의 표 3은 상기 마사토와 황토분말이 추가 투입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량배합비에 따른 구체적인 중량을 나타낸 표이다.
표 3
구 분 실시 3 실시 4 비 고
중 량 (Kg) 배합비 (%) 중 량 (Kg) 배합비 (%)
마사토 475 23.75 1140 57
황토분말 25 1.25 60 3
동슬래그 300 15 100 5
제올라이트 200 10 60 3
플라이애시 100 5 40 2
유황시멘트(S.P.C) 900 45 600 30
2000 100 2000 100
이러한 구성으로 제작된 본 발명을 이용하여 토목공사용 구조재료를 성형하는 방법으로써, 도 3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유황시멘트가 용융되어 경화되기 전의 유황 콘크리트를 구비하는 재료 준비공정(G1)과 가열기를 통해 몰드를 일정온도로 예열시키는 몰드예열공정(G2), 그리고 몰드에 상기 경화되기 전의 유황 콘크리트를 투입하여 일정시간 믹싱, 가열하는 믹싱·가열공정(G3), 가열된 각 구성들이 온도가 40℃까지 내려가면 유황시멘트는 일정경도로 경화되고 이때 몰드를 탈형시키면서 마무리하는 완성공정(G4)으로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유황 콘크리트 제조방법을 통하여 여러 종류의 토목공사용 구조재료에 적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모토에 유황시멘트를 첨가하여 이용하기 때문에 종래의 다량의 시멘트를 이용한 콘크리트의 제반문제였던 시멘트 독성배출 및 유해물질배출등의 반 환경적 문제해결 및 폐기시 재활용이 쉽다는 특징이 있으며 특히 물과 관련된 토목구조물에 이용할 경우 수질개선의 효과도 볼 수 있다.
아래의 표4 은 경동정보대학 하전환경 종합 기술연구소에 의뢰한 상기 본 발명의 수질검사성적에 관한 것으로서 시료 1은 마사토와 황토분말과 유황시멘트 및 제올라이트와 플라이애시를 혼합한 것이고, 시료 2은 본 발명인 동슬래그 와 유황시멘트 및 제올라이트와 플라이애시를 혼합한 것이며, 시료 3은 동슬레그와 황토분말, 마사토 및 제올라이트와 플라이애시와 유황시멘트를 혼합한 것이다.
표 4
검사항목 시료 1 시료 2 시료 3 비 고
산성도(pH) 6.67 6.98 6.61 전극법
화학적 산소요구량 크롬법 (CODcr) 24 0 6 Qvis cs-2000
크롬(Cr) nd nd nd ICP
철(Fe) nd nd nd "
아연(Zn) 0.065 nd nd "
구리(Cu) nd nd nd "
카드늄(Cd) nd nd nd "
비소(As) nd nd nd "
납(Pb) nd nd nd "
망간(Mn) 4.632 nd 4.449 "
알루미늄(Al) 1.033 nd 0.916 "
이온화크롬(Cr6+) nd nd nd Qvis cs-2000
이온화시안(CN-) nd nd nd "
총질소량(T-N) 2.9 1.6 2.2 "
총인량(T-P) 0.13 0.11 0.08 "
※ nd -> 미검출 (not determined)
이러한 종래의 석회콘크리트 제조 기술이 아닌 다른 차원의 콘크리트 제조방법을 만들고자 유황 콘크리트의 제조방법을 제안하고자 하며, 이는 강화재인 동슬래그에 제올라이트를 혼합하고 혼합된 혼합물에 충진제인 플라이애시를 추가 투입하고 혼합하며 마지막으로 일정량의 유황시멘트(S.P.C)을 추가하여 혼합하되 잘 혼합될 수 있도록 일정시간 믹싱하며, 이러한 믹싱과정과 동시에 일정온도의 열을 가하며, 이 열을 통하여 폴리머 반응을 일어나고 이렇게 가열된 구성물은 자연 냉각을 통해 경화되는 과정으로 제조방법이 완성되며, 이렇게 제작된 본 발명은 기존의 일반레미콘 문제점이었던 시멘트에서 배출되었던 독성(라돈은 유해중금속)등은 성분들은 인류건강에 해를 끼치는 각종 환경 오염을 어느 정도 해소화 시킬 수 있으며, 환경을 고려하지 않은 난개발과 무분별한 토목시공으로 발생하는 자연환경 파괴현상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개·관수로관이나 호안블록, 옹벽용 블록, 소파블록, 수중에 투여되는 인공해림초 등의 토목구조물에 다양하게 두루 적용할 수 있으며 특히 수중투여물과 같이 물과 관련된 토목구조물에 이용될 경우 환경 친화적인 면까지 얻을 수 있어 새로운 재료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통상의 유황토 콘크리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1공정으로서 황토분말 5중량% 와 마사토 95중량%를 혼합한 모토혼합물를 25~60중량%을 구비하고 이를 120℃의 온도로 계속 예열시키면서 동슬래그 5~15중량%와 제올라이트 3~10중량%를 추가하여 혼합하는 혼합예열공정(S1')과,
    이러한 모토혼합물에 플라이애시 2~5중량%를 추가투입하여 혼합하면서, 120~150℃로 계속 가열하는 믹싱,가열공정(S2')과,
    회전체를 이용하여 상기 구성물들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혼합물에 유황시멘트(S.P.C) 30~45중량%을 투입하고 내부온도가 80℃의 온도로 내려갈 때까지 회전상태를 유지하는 회전공정(S3')을 거치면서,
    최종 투입된 유황시멘트(S.P.C)는 가열된 구성물들의 열로 인해 폴리머 반응이 일어나며 회전과정이 끝난 뒤 용융되어 전체 100중량%의 구성물이 되도록 제작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황 콘크리트 제조 방법.
  5. 상기 4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작된 유황 콘크리트를 구비하는 투입재료 준비공정(G1)과 몰드 가열시키는 몰드예열공정(G2), 그리고 몰드에 상기 유황 콘크리트를투입하여 일정시간 믹싱, 가열하는 믹싱·가열공정(G3), 가열된 각 구성물들의 온도가 40℃까지 내려가면 유황시멘트는 일정경도로 경화되고 이때 몰드를 탈형시키면서 마무리하는 완성공정(G4)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구조물 제조 방법.
KR20050133083A 2005-12-29 2005-12-29 유황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토목구조물의제조방법 KR100738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133083A KR100738905B1 (ko) 2005-12-29 2005-12-29 유황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토목구조물의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133083A KR100738905B1 (ko) 2005-12-29 2005-12-29 유황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토목구조물의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5317A KR20060005317A (ko) 2006-01-17
KR100738905B1 true KR100738905B1 (ko) 2007-07-12

Family

ID=37117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133083A KR100738905B1 (ko) 2005-12-29 2005-12-29 유황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토목구조물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89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56394A1 (en) 2015-04-03 2016-10-06 Metallo Chimique Improved slag from non-ferrous metal produc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1805B1 (ko) * 2006-02-27 2007-06-22 주식회사 대건산업 내부식성 수로관 및 이 관의 성형방법
KR100759391B1 (ko) * 2006-12-20 2007-09-19 주식회사 삼성산업 다공성 유황콘크리트 조성물과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인공어초
KR101154857B1 (ko) * 2010-04-26 2012-06-18 (주)서우 유황 폴리머 시멘트와 아스팔트가 포함되는 도로 포장재 및 그 도로 포장재의 제조 방법
KR101040547B1 (ko) * 2010-11-09 2011-06-22 주식회사 도화엔지니어링 부생황과 고로슬래그, 폐콘크리트골재 및 첨가재를 이용하는 공원, 관광지, 체육시설, 단지, 도로, 하천, 항만, 철도용 건설자재의 제조방법
KR101592162B1 (ko) * 2013-12-17 2016-02-24 남태우 유황 콘크리트 조성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00373A (en) * 1982-03-11 1986-07-15 Gha Lock Joint, Inc. Concrete pipe machine
JPH07290024A (ja) * 1994-04-27 1995-11-07 Tsutomu Moriya 有害重金属含有廃棄物の再利用による土木建築用材料
JP2001030213A (ja) * 1999-07-23 2001-02-06 Taiheiyo Cement Corp 硫黄組成物成形品の製造方法
US6228905B1 (en) * 1998-10-15 2001-05-08 Cominco Ltd. Drop forming method and sulphur polymer concrete process
KR20040072278A (ko) * 2003-02-10 2004-08-18 에스케이 주식회사 유황폴리머 콘크리트관 및 그 제조 방법
KR20060034122A (ko) * 2004-10-18 2006-04-21 주식회사 삼성산업 Mspc 조성물 믹싱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00373A (en) * 1982-03-11 1986-07-15 Gha Lock Joint, Inc. Concrete pipe machine
JPH07290024A (ja) * 1994-04-27 1995-11-07 Tsutomu Moriya 有害重金属含有廃棄物の再利用による土木建築用材料
US6228905B1 (en) * 1998-10-15 2001-05-08 Cominco Ltd. Drop forming method and sulphur polymer concrete process
JP2001030213A (ja) * 1999-07-23 2001-02-06 Taiheiyo Cement Corp 硫黄組成物成形品の製造方法
KR20040072278A (ko) * 2003-02-10 2004-08-18 에스케이 주식회사 유황폴리머 콘크리트관 및 그 제조 방법
KR20060034122A (ko) * 2004-10-18 2006-04-21 주식회사 삼성산업 Mspc 조성물 믹싱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56394A1 (en) 2015-04-03 2016-10-06 Metallo Chimique Improved slag from non-ferrous metal production
EP3277852B1 (en) 2015-04-03 2021-04-07 Metallo Belgium Improved slag from non-ferrous metal produ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5317A (ko) 2006-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8905B1 (ko) 유황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토목구조물의제조방법
KR100592781B1 (ko) 바텀애쉬를 사용한 투수성 콘크리트 조성물
CN101812888B (zh) 一种含污泥焚烧灰渣的混凝土砖
US9346713B2 (en) Use of a cement accelerator and electric arc furnace dust in cement
Tay et al. Utilization of municipal wastewater sludge as building and construction materials
EP1561736B1 (en) Method for preparing a building material
CN112047682A (zh) 一种重金属固化稳定化药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242568B1 (ko) 산업용 부산물인 바텀애쉬와 인산석고를 재활용하여 육상 또는 해상용으로 사용되는 블록 조성물
KR20050105153A (ko) 환경친화적이며, 속경성 및 고강도 특성을 가지는 흙포장용 조성물
KR100790373B1 (ko) 토양 개량 고화제
KR20060029267A (ko) 하수 슬러지와 유황 시멘트가 포함된 유황토 콘크리트 및이를 이용한 유황토 콘크리트 제품의 제조 방법
KR101725519B1 (ko) 이산화탄소 흡수효과가 있는 상온 경화형 재활용 아스팔트 혼합물 제조용 무시멘트계 첨가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069249B1 (ko) 시멘트를 첨가하지 않는 비소성 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
JP5474649B2 (ja) 水硬性組成物
KR101745871B1 (ko) 고강도 원심력 철근 콘크리트관의 제조방법
JP2010202462A (ja) セメント組成物及びセメント質硬化体
KR100913268B1 (ko) 연약지반 보강용 고화재
KR20230094434A (ko) 유동성 채움재
KR101333051B1 (ko) 유황 폴리머 바인더(spb)콘크리트 성형물 제조방법
KR101165395B1 (ko) 냉연 및 열연 슬러지를 이용한 인공경량골재의 제조방법
KR20160148736A (ko) 폐고무분말을 이용한 경량 유황콘크리트 및 고강도 경량 유황콘크리트
Sasikumar et al. Strength Characteristics of Bricks Using Composite Materials
KR102473751B1 (ko) 하수슬러지 중의 유기물 함유 파우더를 이용한 모르타르용 조성물
KR102621808B1 (ko) 소각재를 이용하여 시멘트를 혼합한 물질로 제조된 보강토블럭을 포함한 토목건축자재
KR20060028733A (ko) 상수 슬러지와 유황 시멘트가 포함된 유황토 콘크리트 및이를 이용한 유황토 콘크리드 제품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