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2251B1 - 밀폐형 보일러의 시운전에 따른 자동 물보급 제어장치 및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밀폐형 보일러의 시운전에 따른 자동 물보급 제어장치 및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2251B1
KR100682251B1 KR1020060036414A KR20060036414A KR100682251B1 KR 100682251 B1 KR100682251 B1 KR 100682251B1 KR 1020060036414 A KR1020060036414 A KR 1020060036414A KR 20060036414 A KR20060036414 A KR 20060036414A KR 100682251 B1 KR100682251 B1 KR 100682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evel sensor
predetermined time
turning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6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민
이진우
박대우
권기출
이황의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36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22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2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22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6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the combination of central heating and domestic hot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35Three-way-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8Level sensors, e.g. water level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폐형 보일러의 시운전에 따른 자동 물보급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 같은 본 발명은, 밀폐형 보일러의 시운전시 배관내에 순환수가 있는지를 저수위센서로 검지하여 오프로 검지되면 보급수 전자변을 제어하여 물보급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저수위센서가 일정시간 이상 온으로 검지되면 일정시간동안 순환펌프를 가동하여 배관내의 공기를 뺄 수 있도록 하면서, 온수측과 난방측의 시운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밀폐형 보일러의 자동 물보급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밀폐형 보일러, 저수위센서, 보급수 전자변, 순환펌프, 시운전

Description

밀폐형 보일러의 시운전에 따른 자동 물보급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Device of Controlling Automatic Water Supplying according to Test Working of Closed Type Boiler and Method of Contolling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보일러의 시운전에 따른 자동 물보급 제어장치에 대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보일러의 시운전에 따른 자동 물보급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전원공급부 21; 저수위센서
51; 삼방변 구동부 52; 펌프구동부
60; 마이컴 70; 전자변 구동부
80; 보급수 전자변
본 발명은 밀폐형 보일러의 자동 물보급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밀폐형 보일러의 설치 후 시운전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 배관의 저수위센서와 보급수 전자변으로 자동 물보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밀폐형 보일러의 시운전에 따른 자동 물보급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개방형 보일러의 시운전은 배관의 저수위센서와 만수위센서를 검지하여, 저수위센서가 오프로 검지되면 자동으로 보급수 전자변을 온하여 만수위센서가 온으로 검지될때까지 물보급을 실시하고, 순환펌프를 구동시켜 배관내 순환수를 순환시켜 배관내의 공기를 빼며, 저수위센서가 오프로 검지되면 순환펌프를 오프한 후 다시 보급수 전자변을 온하는 것으로 제어동작을 수행하여 시운전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밀폐형 보일러는 보급수 전자변이 없이 수동밸브를 조작하여 물보충이 되고, 또한 저수위센서만 있고 만수위를 검지하는 수단이 없는 관계로, 자동 물보급이 어려웠고, 이에따라 저수위센서가 온으로 검지되는 경우에 순환펌프만 가동하여 난방측과 온수측의 공기빼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거나, 또는 시운전이 번거롭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밀폐형 보일러의 시운전시 배관내에 순환수가 있는지를 저수위센서로 검지하 여 오프로 검지되면 보급수 전자변을 제어하여 물보급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저수위센서가 일정시간 이상 온으로 검지되면 일정시간동안 순환펌프를 가동하여 배관내의 공기를 뺄 수 있도록 하는 밀폐형 보일러의 자동 물보급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 밀폐형 보일러의 자동 물보급 제어장치는, 전원공급부, 감지부, 조작입력부, 저장부, 구동부, 그리고 마이컴을 포함하는 밀폐형 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에는 마이컴의 제어에 따라 구동하는 전자변 구동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전자변 구동부에는 배관으로 물보급을 위해 상기 전자변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온 동작하는 보급수 전자변을 연결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밀폐형 보일러의 자동 물보급 제어장치에 의해 구현되는 자동 물보급 제어방법은, 전원공급으로 시운전 작동신호가 입력시 온수측 또는 난방측으로 삼방변을 전환시키는 제 1 단계; 상기 온수측으로 전환시 저수위센서의 오프 검지시간에 따라 보급수 전자변과 순환펌프의 온/오프를 제어하여 자동 물보급이 이루어지도록 한 후 온수측 시운전의 에러 발생여부를 체크하는 제 2 단계; 상기 난방측으로 전환시 저수위센서의 오프 검지시간에 따라 보급수 전자변과 순환펌프의 온/오프를 제어하여 자동 물보급이 이루어지도록 한 후 난방측 시운전의 에러 발생여부를 체크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온수측 또는 난방측에서 시운전의 에러가 발 생되지 않으면 가스(gas) 퍼지를 실행한 후 순환펌프를 오프시켜 시운전을 종료하는 제 4 단계; 로 진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제 2 단계는, 저수위센서의 온 검지가 일정시간동안 이루어지는가를 검지하는 단계; 상기 온 검지가 일정시간동안 이루어지면 보급수 전자변을 오프하고 순환펌프를 일정시간동안 온시켜 배관내의 공기빼기를 반복한 후 온수측 시운전을 종료하는 단계; 상기 온 검지가 일정시간동안 이루어지지 않으면 순환펌프를 오프시키고 보급수 전자변을 온시켜 자동 물보급을 진행하는 단계; 상기 자동 물보급상태에서 저수위센서의 오프 검지시간이 설정된 온수측 시운전 에러검지시간을 경과하였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 설정된 온수측 시운전 에러검지시간을 경과하면 온수측 시운전 에러로 판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진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제 3 단계는, 저수위센서의 온 검지가 일정시간동안 이루어지는가를 검지하는 단계; 상기 온 검지가 일정시간동안 이루어지면 보급수 전자변을 오프하고 순환펌프를 일정시간동안 온시켜 배관내의 공기빼기를 반복한 후 난방측 시운전을 종료하는 단계; 상기 온 검지가 일정시간동안 이루어지지 않으면 순환펌프를 오프시키고 보급수 전자변을 온시켜 자동 물보급을 진행하는 단계; 상기 자동 물보급상태에서 저수위센서의 오프 검지시간이 설정된 난방측 시운전 에러검지시간을 경과하였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 설정된 난방측 시운전 에러검지시간을 경과하면 난방측 시운전 에러로 판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진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보급수 전자변의 전자변 구동부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보일러의 자동 물보급 제어장치에 대한 블럭도 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보일러의 자동 물보급 제어장치는, 전원공급부(10), 감지부(20), 조작입력부(30), 저장부(40), 구동부(50), 마이컴(60), 그리고 전자변 구동부(70)와 보급수 전자변(80)을 포함한다.
상기 감지부(20)는 저수위센서(21), 온도센서(22), 화염센서(23)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50)는 삼방변 구동부(51), 펌프 구동부(52), 점화기 구동부(53), 가스밸브 구동부(54), 팬 구동부(55)에, 상기 전자변 구동부(70)를 더 포함한 것이다.
상기 전자변 구동부(70)는 마이컴(60)의 제어에 따라 구동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보급수 전자변(80)은 상기 전자변 구동부(70)의 구동에 따라 온 동작하여 자동 물보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작용을 첨부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원공급부(10)에 의해 전원공급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시운전 작동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마이컴(60)은 삼방변 구동부(51)를 제어하여, 보일러의 삼방변을 온수측 또는 난방측으로 전환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삼방변이 온수측으로 전환된 경우, 상기 마이컴(60)은 감지부(20)에 포함된 저수위센서(21)의 오프 검지시간에 따라 구동부(50)에 포함되는 전자변 구동부(70)와 펌프구동부(52)를 제어하여 보급수 전자변(80)과 순환펌프(미도시)의 온/오프를 제어하면서 자동 물보급이 이루어지도록 한 후 온수측 시운전의 에러 발생여부를 체크한다.
즉, 상기 저수위센서(21)의 온 검지가 일정시간동안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마이컴(60)은 구동부(50)내의 전자변 구동부(70)를 통해 보급수 전자변(80)을 오프시키는 한편, 펌프구동부(52)를 통해 순환펌프를 일정시간동안 온시켜 배관내의 공기빼기를 반복하면서 온수측 시운전을 종료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저수위센서(21)의 온 검지가 일정시간동안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상기 마이컴(60)은 구동부(50)내의 펌프구동부(52)를 통해 순환펌프를 오프시키는 한편, 전자변 구동부(70)를 통해 보급수 전자변(80)을 온시켜 배관에서의 자동 물보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자동 물보급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상기 저수위센서(21)의 오프 검지시간이 설정된 온수측 시운전 에러검지시간을 경과하는 경우, 상기 마이컴(60)은 온수측의 시운전 에러가 발생하였음을 판정하지만, 상기 저수위센서(21)의 오프 검지시간이 설정된 온수측 시운전 에러검지시간을 경과하지 않을 경우에는 온수측 시운전의 초기단계를 반복하게 된다.
한편, 상기의 온수측 시운전이 종료됨과 동시에 삼방변이 난방측으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마이컴(60)은 감지부(20)에 포함된 저수위센서(21)의 오프 검지시간에 따라 구동부(50)에 포함되는 전자변 구동부(70)와 펌프구동부(52)를 제어하여 보급수 전자변(80)과 순환펌프(미도시)의 온/오프를 제어하면서 자동 물보급이 이루어지도록 한 후 난방측 시운전의 에러 발생여부를 체크하게 된다.
즉, 상기 저수위센서(21)의 온 검지가 일정시간동안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마이컴(60)은 구동부(50)내의 전자변 구동부(70)를 통해 보급수 전자변(80)을 오프시키는 한편, 펌프구동부(52)를 통해 순환펌프를 일정시간동안 온시켜 배관내의 공기빼기를 반복하면서 난방측 시운전을 종료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저수위센서(21)의 온 검지가 일정시간동안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상기 마이컴(60)은 구동부(50)내의 펌프구동부(52)를 통해 순환펌프를 오프시키는 한편, 전자변 구동부(70)를 통해 보급수 전자변(80)을 온시켜 배관에서의 자동 물보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자동 물보급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상기 저수위센서(21)의 오프 검지시간이 설정된 난방측 시운전 에러검지시간을 경과하는 경우, 상기 마이컴(60)은 난방측의 시운전 에러가 발생하였음을 판정하지만, 상기 저수위센서(21)의 오프 검지시간이 설정된 난방측 시운전 에러검지시간을 경과하지 않을 경우에는 난방측 시운전의 초기단계를 반복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온수측과 난방측의 시운전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마이컴(60)은 상기의 시운전 에러를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하는 에러 표시 또는 경보음 출력을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보급수 전자변(80)의 자동 온 동작이 불량인 경우, 상기 보급수 전자변(80)의 온 동작을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의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온수측과 난방측의 시운전에 따른 자동 물보급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밀폐형 보일러의 시운전시 배관내에 순환수가 있는지를 저수위센서로 검지하여 오프로 검지되면 보급수 전자변을 제어하여 물보급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저수위센서가 일정시간 이상 온으로 검지되면 일정시간동안 순환펌프를 가동하여 배관내의 공기를 뺄 수 있도록 하면서, 온수측과 난방측의 시운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Claims (5)

  1. 전원공급부, 감지부, 조작입력부, 저장부, 구동부, 그리고 마이컴을 포함하는 밀폐형 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에는 마이컴의 제어에 따라 구동하는 전자변 구동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전자변 구동부에는 배관으로 물보급을 위해 상기 전자변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온 동작하는 보급수 전자변을 연결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보일러의 시운전에 따른 자동 물보급 제어장치.
  2. 전원공급으로 시운전 작동신호가 입력시 온수측 또는 난방측으로 삼방변을 전환시키는 제 1 단계;
    상기 온수측으로 전환시 저수위센서의 오프 검지시간에 따라 보급수 전자변과 순환펌프의 온/오프를 제어하여 자동 물보급이 이루어지도록 한 후 온수측 시운전의 에러 발생여부를 체크하는 제 2 단계;
    상기 난방측으로 전환시 저수위센서의 오프 검지시간에 따라 보급수 전자변과 순환펌프의 온/오프를 제어하여 자동 물보급이 이루어지도록 한 후 난방측 시운전의 에러 발생여부를 체크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온수측 또는 난방측에서 시운전의 에러가 발생되지 않으면 가스 퍼지를 실행한 후 순환펌프를 오프시켜 시운전을 종료하는 제 4 단계; 로 진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보일러의 시운전에 따른 자동 물보급 제어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저수위센서의 온 검지가 일정시간동안 이루어지는가를 검지하는 단계;
    상기 온 검지가 일정시간동안 이루어지면 보급수 전자변을 오프하고 순환펌프를 일정시간동안 온시켜 배관내의 공기빼기를 반복한 후 온수측 시운전을 종료하는 단계;
    상기 온 검지가 일정시간동안 이루어지지 않으면 순환펌프를 오프시키고 보급수 전자변을 온시켜 자동 물보급을 진행하는 단계;
    상기 자동 물보급상태에서 저수위센서의 오프 검지시간이 설정된 온수측 시운전 에러검지시간을 경과하였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 설정된 온수측 시운전 에러검지시간을 경과하면 온수측 시운전 에러로 판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진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보일러의 시운전에 따른 자동 물보급 제어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저수위센서의 온 검지가 일정시간동안 이루어지는가를 검지하는 단계;
    상기 온 검지가 일정시간동안 이루어지면 보급수 전자변을 오프하고 순환펌프를 일정시간동안 온시켜 배관내의 공기빼기를 반복한 후 난방측 시운전을 종료하는 단계;
    상기 온 검지가 일정시간동안 이루어지지 않으면 순환펌프를 오프시키고 보급수 전자변을 온시켜 자동 물보급을 진행하는 단계;
    상기 자동 물보급상태에서 저수위센서의 오프 검지시간이 설정된 난방측 시운전 에러검지시간을 경과하였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 설정된 난방측 시운전 에러검지시간을 경과하면 난방측 시운전 에러로 판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진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보일러의 시운전에 따른 자동 물보급 제어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급수 전자변의 전자변 구동부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보일러의 시운전에 따른 자동 물보급 제어방법.
KR1020060036414A 2006-04-21 2006-04-21 밀폐형 보일러의 시운전에 따른 자동 물보급 제어장치 및그 제어방법 KR1006822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6414A KR100682251B1 (ko) 2006-04-21 2006-04-21 밀폐형 보일러의 시운전에 따른 자동 물보급 제어장치 및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6414A KR100682251B1 (ko) 2006-04-21 2006-04-21 밀폐형 보일러의 시운전에 따른 자동 물보급 제어장치 및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2251B1 true KR100682251B1 (ko) 2007-02-15

Family

ID=38106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6414A KR100682251B1 (ko) 2006-04-21 2006-04-21 밀폐형 보일러의 시운전에 따른 자동 물보급 제어장치 및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225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3696B1 (ko) * 1995-08-28 1999-02-18 배순훈 자동보충수 밸브 제어 방법
KR200188229Y1 (ko) 2000-02-09 2000-07-15 주식회사롯데기공 가스보일러의 시운전장치
KR100291489B1 (ko) 1998-12-31 2001-06-01 김우련 가스보일러의 시운전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3696B1 (ko) * 1995-08-28 1999-02-18 배순훈 자동보충수 밸브 제어 방법
KR100291489B1 (ko) 1998-12-31 2001-06-01 김우련 가스보일러의 시운전방법 및 장치
KR200188229Y1 (ko) 2000-02-09 2000-07-15 주식회사롯데기공 가스보일러의 시운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74258B2 (ja) 給湯・追焚装置及びその不用水管理方法
KR102440551B1 (ko) 온수공급장치 및 온수공급장치의 폐열 활용 방법
KR100682251B1 (ko) 밀폐형 보일러의 시운전에 따른 자동 물보급 제어장치 및그 제어방법
JP5821002B2 (ja) 給湯システム
JP4539692B2 (ja) 貯湯式給湯機
KR100742942B1 (ko) 보일러의 자동 시운전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0601575B1 (ko) 밀폐형 보일러의 시운전 대기시간 제어 방법 및 장치
JP4843457B2 (ja) ヒートポンプ式給湯機
KR20140037565A (ko) 가스보일러 및 그의 시운전방법
JP4414295B2 (ja) 熱交換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JP6523146B2 (ja) 浴室暖房機
JP2005337544A (ja) 熱源装置及びそのドレン排出制御方法
KR101691130B1 (ko) 대기 차단형 물탱크를 갖는 보일러의 시운전방법
JP5612994B2 (ja) 給湯風呂装置
JP2010048477A (ja) 貯湯式給湯装置
JP2003222344A (ja) 温水暖房システム
JP5128427B2 (ja) 風呂設備の運転方法及び風呂設備
KR100614583B1 (ko) 온도와 수위검지에 따라 운전제어가 가능한 보일러 및 그방법
KR101039932B1 (ko) 온수사용 검출을 이용한 보일러의 응급운전방법
KR101367831B1 (ko) 가스보일러 운전방법
JP5594277B2 (ja) 温水床暖房装置および温水床暖房装置の配管接続判定方法
KR101010921B1 (ko) 온수사용과 외기온도검출을 이용한 보일러의 응급운전방법
JP2011052923A (ja) ミストサウナ機能付き浴室暖房装置
KR100721242B1 (ko) 외부 접점을 이용한 보일러 구동 제어 방법 및 장치
JP2010091207A (ja) 風呂自動機能付き給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