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1242B1 - 외부 접점을 이용한 보일러 구동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외부 접점을 이용한 보일러 구동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1242B1
KR100721242B1 KR1020060009753A KR20060009753A KR100721242B1 KR 100721242 B1 KR100721242 B1 KR 100721242B1 KR 1020060009753 A KR1020060009753 A KR 1020060009753A KR 20060009753 A KR20060009753 A KR 20060009753A KR 100721242 B1 KR100721242 B1 KR 100721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iler
control
external
contact
control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9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용수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9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12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1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1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24H9/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using fl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2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with a time programme acting through electrical means, e.g. using time-delay relays
    • F23N5/203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with a time programme acting through electrical means, e.g. using time-delay relays using electron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6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the combination of central heating and domestic hot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모콘으로 제어와이어가 연결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리모콘에 제어와이어가 연결되면 보일러의 구동 제어방식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와이어에 연결된 외부제어기의 온/오프 동작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와이어에 연결된 외부제어기의 동작과 상기 보일러의 구동 제어방식에 대응하여 상기 보일러의 연소동작을 제어하는 단계와,로 이루어진 외부 접점을 이용한 보일러 구동 제어 방법과 그에 따른 보일러 구동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리모콘의 일측에 연결된 제어와이어에 온오프 동작을 하는 외부제어기를 연결한 후 이 외부제어기에 의해 상기 보일러의 가동 여부를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보일러실까지 이동하지 않고서도, 상기 보일러의 가동 여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사용상의 편리성이 개선되어 보일러의 상품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보일러, 리모콘, 제어와이어, 접점, 제어기

Description

외부 접점을 이용한 보일러 구동 제어 방법 및 장치 {Boiler Drive Control Method and System using Outside Contact Point}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외부 접점을 이용한 보일러 구동 제어 방법의 흐름도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의한 외부 접점을 이용한 보일러 구동 제어 방법의 상세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외부 접점을 이용한 보일러 구동 제어 장치의 블록도
도 4는 도 3의 리모콘에 대한 상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어와이어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보일러 20 : 밸브
30 : 제어장치 40 : 리모콘
41 : 제어와이어 연결감지부 42 : 외부제어신호 입력부
43 : 접점 확인부 44 : 데이터 처리부
45 : 디스플레이 50 : 제어기
본 발명은 외부 접점을 이용한 보일러 구동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리모콘과 연결된 제어와이어에 외부제어기를 연결한 후 이 외부제어기에 의해 상기 보일러의 가동 여부를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보일러실까지 이동하지 않고서도 보일러의 가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일러(Boiler)라 함은 난방시설 등에 더운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물을 끓이는 시설을 말하며, 주택용 보일러의 경우 실내의 바닥 등에 설치된 배관에 더운물을 공급하여 난방을 하거나 급수관을 통해 온수를 공급하는 데에 사용되고 있다.
최근 들어 하나의 보일러를 이용하여 여러 개의 방에 대한 난방 및 온수공급을 실시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는 데, 이와 같은 보일러는 통상 하나의 메인리모콘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리모콘으로 구성된 멀티리모콘으로 제어하고 있다.
즉, 상기 메인리모콘은 난방여부와 난방온도 등의 다양한 기능의 설정과 그에 따른 결과의 표시가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그 밖의 부엌이나 타 방 등에 설치되는 서브리모콘들은 해당 실내공간의 난방에 대한 조작 및 설정과 그에 따른 결과의 표시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메인 리모콘을 통해 실내전체에 대한 난방여부와 난방온도 등을 제어하고, 또 각 방의 서브 리모콘을 통해서는 해당 실내의 난방여부와 난방온도 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최근에는 에너지의 효율적인 사용이 강조되고 있는 바, 모든 실내공간을 지속적으로 난방하게 되면 에너지의 낭비가 많아지게 되기 때문에 사용되지 않는 공간에 대해서는 일정시간동안 난방을 차단하거나 난방온도를 낮춰줌으로써 에너지를 절약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난방 제어는 기본적으로 보일러가 가동되는 상태에서 상기 보일러로부터 온수를 공급받는 배관에 설치된 밸브를 개폐하여 제어하는 것으로, 추가적인 외부제어기를 연결하여 보일러의 가동을 제어할 경우 사용자가 보일러가 설치된 보일러실로 이동하여 상기 보일러를 온오프(ON/OFF)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한편 보일러의 가동을 제어하는 별도의 외부제어기를 방에 설치하여 보일러가 설치된 보일러실까지 이동하지 않고서도 보일러의 가동을 제어하도록 할 수는 있으나 이와 같은 경우에는 보일러로부터 제어기까지 별도의 배선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미관이 저하되고 설치에 많은 어려움이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이 리모콘의 일측에 보일러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와이어를 연결하고, 이 제어와이어에 온오프 동작을 하는 외부제어기를 연결한 후 이 외부제어기에 의해 보일러의 가동을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보일러실까지 이동하지 않고서도 상기 보일러의 가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외부 접점을 이용한 보일러 구동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상의 편리성이 개선하여 보일러의 상품성이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외부 접점을 이용한 보일러 구동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외부 접점을 이용한 보일러 구동 제어 방법은 리모콘으로 외부제어기와 연결된 제어와이어가 연결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리모콘에 제어와이어가 연결되면 보일러의 구동 제어방식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와이어에 연결된 외부제어기의 온/오프 동작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와이어에 연결된 외부제어기의 동작과 상기 보일러의 구동 제어방식에 대응하여 상기 보일러의 연소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외부 접점을 이용한 보일러 구동 제어 장치는 난방을 위한 난방수 및 온수의 공급을 위하여 구동되는 보일러와, 상기 보일러로부터 난방수 및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배관에 설치된 밸브와, 난방 및 온수의 공급에 따른 데이터를 전송받아 상기 보일러 및 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와, 상기 제어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각 방의 난방여부와 난방온도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리모콘으로 구성됨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은 외부제어기가 연결된 제어와이어의 연결여부를 감지하고 제어와이어가 연결되면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와이어 연결감지부와, 상기 제어와이어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외부제어신호입력부와, 상기 보일러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접점을 확인하는 접점확인부와, 상기 제어와이어 연결감지부와 외부제어신호 입력부 및 접점확인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보일러의 동작을 제어하는 데이터처리부 및 상기 데이터처리부에서 처리된 결과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외부제어기는 보일러와 별도로 제작된 각방제어기나 24시간 타이머 등을 말하며, 본 발명은 이러한 외부제어기와 보일러를 연결하여 보다 간편하게 보일러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외부 접점을 이용한 보일러 구동 제어 방법의 흐름도로서, 리모콘의 내부에 구성된 제어유닛은 상기 리모콘의 일측에 설치된 제어와이어로 외부제어기가 연결되는지를 지속적으로 확인(S101)하게 된다.
즉, 상기 제어와이어에 상기 외부제어기가 연결되면, 상기 리모콘의 내부에 구성된 제어유닛이 이를 감지하고, 상기 리모콘에 의한 보일러 제어방식에서 외부의 제어기에 의한 보일러 제어방식으로 전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리모콘에 제어와이어가 연결되면 상기 제어유닛은 보일러의 구동 제어방식을 확인(S102)하게 되며, 상기 보일러의 구동 제어방식은 A접점 방식과 B접점 방식으로 구분된다.
상기 A접점 방식은 상기 보일러의 가동을 제어하는 스위칭회로가 온일 경우 상기 보일러를 작동시키는 방식이고, 상기 B접점 방식은 상기 보일러의 가동을 제 어하는 스위칭회로가 오프일 경우 상기 보일러를 작동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A접점 및 B접점과 그에 따른 온오프신호의 매칭은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제어와이어에 연결된 외부제어기의 온/오프 동작을 확인(S103)한 후 상기 제어와이어에 연결된 제어와이어의 동작과 상기 보일러의 구동 제어방식에 대응하여 상기 보일러의 연소동작을 제어(S104)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외부 접점을 이용한 보일러의 구동 제어 방법에 대하여 도 2a 내지 도2c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리모콘에 의해 상기 보일러가 운전(S201)되는 상태일 경우에는 상기 리모콘에 설치된 출력장치에 실내온도가 표시(S202)된다.
상기 출력장치는 하나 이상의 세븐세그먼트 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로 구성되며,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리모콘에 설치된 제어와이어로 외부제어기가 연결되면(S203) 상기 출력장치에는 상기 제어와이어로 상기 외부제어기가 연결되었음이 표시(S205)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외부제어기의 연결을 표시하는 방법은 상기 출력장치의 종류 및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부제어기가 연결되면 상기 보일러에 구성된 딥(DIP) 스위치의 접점상태를 확인(S206)하게 된다.
상기 딥(DIP) 스위치의 접점상태가 A접점일 경우 일정시간동안 제어신호의 입력을 확인(S207)하며, 이러한 제어신호 대기시간은 제어신호의 오입력을 방지하 기 위함이다.
상기 외부제어기는 각방제어기, 24시간 타이머, 온오프 스위칭 장치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외부제어기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온 또는 오프 신호이므로 하기에서는 제어와이어의 열림(Open;오프) 및 닫힘(Close;온)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A접점 방식에서 상기 제어와이어가 닫힘 상태가 되면(S208), 상기 보일러의 연소동작을 지시(S209)하게 되며, 상기 제어와이어의 닫힘 상태가 열림 상태로 변경(S210)될 때까지, 상기 보일러의 연소동작을 지시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에 의해 온수가 선택(S211)되면, 온수 처리 루틴을 수행(S212)하고, 전원이 오프(S213)되면, 전원 오프 루틴을 수행(S214)하게 된다.
만약 상기 딥(DIP) 스위치의 접점상태가 B접점일 경우, 일정시간동안 제어신호의 입력을 확인(S216)하며, 상기 제어와이어가 열림 상태가 되면(S217) 상기 보일러의 연소동작을 지시(S218)하게 되고, 상기 제어와이어의 열림 상태가 닫힘 상태로 변경(S219)될 때까지 상기 보일러의 연소동작을 지시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에 의해 온수가 선택(S220)되면 온수 처리 루틴을 수행(S221)하고, 전원이 오프(S222)되면 전원 오프 루틴을 수행(S223)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온수 처리 루틴 및 전원 오프 루틴은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므로 특정한 것에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외부 접점을 이용한 보일러 구동 제어 장치의 블록도로서, 난방을 위한 난방수 및 온수의 공급하는 보일러(10)와, 각방으로 공급되는 난방수를 제어하는 밸브(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30)와, 상기 제어장치 (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난방온도를 조절하는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리모콘(40) 및 상기 보일러(10)의 가동여부를 제어하는 제어기(50)로 구성됨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보일러(10)는 난방을 위한 난방수 및 온수의 공급을 위한 것으로, 연료를 공급받아 연소시켜 급수되는 물을 가열하고 이를 난방수 및 온수로 사용하도록 되어 있으며, 최근에는 연료의 소비를 줄이기 위하여 콘덴싱보일러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상기 보일러(10)는 구동시 발생되는 소음으로 인해, 별도의 설치공간을 마련하여 설치 가동하고 있다.
상기 보일러(10)에는 실내 난방여부 및 난방온도와 더불어 온수의 공급여부 및 온수온도의 조절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추가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밸브(20)는 보일러(10)와 각방의 난방배관(도시하지 않음)사이에 설치되어 난방수의 공급 여부에 따라 개폐동작을 하는 것이다.
상기 제어장치(30)는 각방온도조절장치(40)로부터 설정 입력되는 난방여부 및 난방온도에 따라 상기 밸브(20)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 리모콘(40)은 제어장치(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해당 방에 설치되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해당 방에 대한 난방여부와 난방온도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으로, 제어와이어 연결감지부(41)와, 외부제어신호입력부(42)와, 접점확인부(43)와, 데이터처리부(44) 및 디스플레이(45)로 구성된다.
상기 리모콘(40)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46), 실내온도 또는 계절에 따라 보일러의 동작을 설정하는 보일러 동작 설정부(47), 난방과 온수의 사용을 제어하는 난방/온수 전환 스위치(48), 상기 보일러(10)의 가동 여부를 표시하는 보일러 가동 표시부(49)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어와이어 연결감지부(41)는 제어와이어의 연결여부를 감지하고, 제어와이어가 연결되면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것이고, 상기 외부제어신호입력부(42)는 제어와이어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것이며, 상기 접점확인부(43)는 보일러(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접점을 확인하는 것이다.
상기 데이터처리부(44)는 상기 제어와이어 연결감지부(41)와 외부제어신호입력부(42) 및 접점확인부(43)에서 출력된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도2a 내지 도2c의 순서도에 따라 상기 보일러(1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며, 상기 디스플레이(45)는 상기 데이터처리부(44)에서 처리된 결과를 출력하는 것이다.
상기 제어기(50)는 24시간 타이머 또는 온오프 스위칭 장치 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기(50)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온/오프 신호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외부 접점을 이용한 보일러 구동 제어 장치의 동작을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리모콘(40)에 의해 상기 보일러(10)가 작동되는 상태일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처리부(44)는 상기 리모콘(40)의 보일러 가동 표시부(49)에 보일러의 가동여부를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리모콘(40)의 디스플레이(45)에 실내온도가 표시된다.
상기 리모콘(40)에 설치된 제어와이어로 제어기(50)가 연결되면 상기 제어와이어 연결감지부(41)는 상기 제어기(50)가 연결되었음을 상기 데이터처리부(44)로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처리부(44)는 상기 디스플레이(45)를 통해 상기 제어와이어로 상기 제어기(50)가 연결되었음이 표시된다.
이와 같이 제어기(50)가 연결되면 상기 데이터처리부(44)는 상기 접점확인부(43)를 통해 상기 보일러(10)에 구성된 딥 스위치(도시하지 않음)의 접점상태를 확인하게 된다.
상기 딥 스위치의 접점상태가 A접점일 경우 상기 데이터처리부(44)는 상기 외부제어신호입력부(42)를 통해 제어신호의 입력을 확인한다.
딥(DIP) 스위치의 접점상태가 A접점 방식일 경우 상기 외부제어신호입력부(42)로 온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데이터처리부(44)는 상기 보일러(10)의 연소동작을 지시함과 동시에 상기 보일러(10)의 동작상태를 상기 디스플레이(45)에 출력하게 된다.
사용자가 상기 난방/온수 전환 스위치(48)를 통해 온수를 사용하게 되면 상기 데이터처리부(44)는 상기 디스플레이(45)에 온수사용중임을 출력하게 된다.
만약 상기 접점확인부(43)에서 확인된 접점이 B접점일 경우, 상기 외부제어신호입력부(42)의 입력이 오프신호 일 때에 상기 보일러(10)를 가동시키게 됨은 당연하다.
상기 본 발명은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기본 개념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리모콘의 일측에 연결된 제어와이어에 온오프 동작을 하는 외부제어기를 연결한 후 상기 외부제어기에 의해 상기 보일러의 가동 여부를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보일러실까지 이동하지 않고서도 상기 보일러의 가동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외부에서 보일러의 가동을 제어하기 위해 보일러의 내부에 구성된 기판(PCB)에 추가적인 기능을 부여하지 않아도 되며, 상기 보일러의 가동을 제어하기 위해 별도의 배선을 설치하지 않고 이미 구성된 리모콘을 이용하여 제어가 가능함으로써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사용상의 편리성이 개선되어 보일러의 상품성이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리모콘으로 외부제어기와 연결된 제어와이어가 연결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S101);
    상기 리모콘에 제어와이어가 연결되면 보일러의 구동 제어방식을 확인하는 단계(S102);
    상기 제어와이어에 연결된 외부제어기의 온/오프 동작을 확인하는 단계(S103);
    상기 제어와이어에 연결된 외부제어기의 동작과 상기 보일러의 구동 제어방식에 대응하여 상기 보일러의 연소동작을 제어하는 단계(S10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접점을 이용한 보일러 구동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일러의 구동 제어방식은 온일 경우 상기 보일러를 작동시키는 A접점 방식과 오프일 경우 상기 보일러를 작동시키는 B접점 방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접점을 이용한 보일러 구동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와이어의 동작과 상기 보일러의 구동 제어방식에 대응하여 상기 보일러의 연소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보일러의 구동 제어방식이 A접점일 경우 상기 외부제어기로부터 온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보일러를 작동시키고, 상기 보일러의 구동 제어방식이 B접점일 경우 상기 외부제어기로부터 오프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보일러를 작동시키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접점을 이용한 보일러 구동 제어 방법.
  4. 난방을 위한 난방수 및 온수의 공급을 위하여 구동되는 보일러(10);
    상기 보일러(10)로부터 난방수 및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배관에 설치된 밸브(20);
    난방 및 온수의 공급에 따른 데이터를 전송받아 상기 보일러(10) 및 밸브(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30);
    상기 제어장치(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각 방의 난방여부와 난방온도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리모콘(40);으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40)은,
    외부제어기와 연결된 제어와이어의 연결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와이어가 연결되면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와이어 연결감지부(41);
    상기 제어와이어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외부제어신호입력부(42);
    상기 보일러(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접점을 확인하는 접점확인부(43);
    상기 제어와이어 연결감지부(41)와 외부제어신호입력부(42) 및 접점확인부(43)에서 출력된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보일러(10)의 동작을 제어하는 데이터처리부(44);
    상기 데이터처리부(44)에서 처리된 결과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45);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접점을 이용한 보일러 구동 제어 장치.
KR1020060009753A 2006-02-01 2006-02-01 외부 접점을 이용한 보일러 구동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0721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9753A KR100721242B1 (ko) 2006-02-01 2006-02-01 외부 접점을 이용한 보일러 구동 제어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9753A KR100721242B1 (ko) 2006-02-01 2006-02-01 외부 접점을 이용한 보일러 구동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1242B1 true KR100721242B1 (ko) 2007-05-23

Family

ID=38278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9753A KR100721242B1 (ko) 2006-02-01 2006-02-01 외부 접점을 이용한 보일러 구동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12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9629B1 (ko) 2015-10-30 2016-10-27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구형 보일러 호환 모듈의 온도 설정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2139Y1 (ko) 2003-12-03 2004-02-14 대성산업 주식회사 무선 각방 제어 난방시스템
KR20060000629A (ko) * 2004-06-29 2006-01-06 주식회사 롯데기공 무선리모콘을 이용한 보일러의 제어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2139Y1 (ko) 2003-12-03 2004-02-14 대성산업 주식회사 무선 각방 제어 난방시스템
KR20060000629A (ko) * 2004-06-29 2006-01-06 주식회사 롯데기공 무선리모콘을 이용한 보일러의 제어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9629B1 (ko) 2015-10-30 2016-10-27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구형 보일러 호환 모듈의 온도 설정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1094847A3 (en) Distributed appliance control system having fault isolation
JP4880386B2 (ja) 給湯設備
KR100721242B1 (ko) 외부 접점을 이용한 보일러 구동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039911B1 (ko) 각방 제어 시스템에서 전동식 난방밸브의 온/오프 및 유랑 다단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742942B1 (ko) 보일러의 자동 시운전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0395303Y1 (ko) 냉/난방 장치 무인 제어시스템
KR20110069952A (ko) 각방제어 시스템의 중앙 룸콘 제어장치
JP4873548B2 (ja) 給湯システム
KR100611899B1 (ko) 각방온도 제어시스템의 난방수 온도 제어 방법 및 장치
CN206026021U (zh) 一种智能型的电加热蒸箱控制系统
KR100669653B1 (ko) 각방 난방장치의 통합 제어 방법 및 시스템
JP2001304681A (ja) 温水機器の凍結防止装置
KR100604601B1 (ko) 온도조절장치를 이용한 보일러의 시간별 난방온도 제어방법 및 시스템
CN108679849A (zh) 家用燃气热水器和太阳能热水器全自动进出水系统
KR200238978Y1 (ko) 심야전기와 등유 또는 가스를 겸용하는 난방보일러
KR950003694Y1 (ko) 파워라인 콘트롤을 이용한 온도 조절장치
JP2004177044A (ja) 給湯システム
KR20050111475A (ko) 인체 감지를 통한 에너지 절약방법 및 그 장치
KR100357027B1 (ko) 보일러의 보조운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687788B1 (ko) 냉온정수기
KR101029216B1 (ko) 응답신호와 시간제어를 이용한 열원연동 각방 제어방법
JP2006214636A (ja) 給湯システム
KR100682251B1 (ko) 밀폐형 보일러의 시운전에 따른 자동 물보급 제어장치 및그 제어방법
KR200429573Y1 (ko) 환기장치용 전동댐퍼의 전원공급장치
JP2004020008A (ja) 温水床暖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