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1057B1 - 차량용 고전압케이블 - Google Patents

차량용 고전압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1057B1
KR100681057B1 KR1020050105515A KR20050105515A KR100681057B1 KR 100681057 B1 KR100681057 B1 KR 100681057B1 KR 1020050105515 A KR1020050105515 A KR 1020050105515A KR 20050105515 A KR20050105515 A KR 20050105515A KR 100681057 B1 KR100681057 B1 KR 100681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 body
jig
high voltage
voltage cab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5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용욱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5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1057B1/ko
Priority to US11/298,647 priority patent/US7268297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1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10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9/00Power cables
    • H01B9/02Power cables with screens or conductive layers, e.g. for avoiding large potential gradi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spring force increased by screw, cam, wedge, or other fasten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18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wear, mechanical force or pressure; Sheaths; Armou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18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wear, mechanical force or pressure; Sheaths; Armouring
    • H01B7/24Devices affording localised protection against mechanical force or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5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cam, wedge, cone or ball also combined with a screw
    • H01R4/5083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cam, wedge, cone or ball also combined with a screw using a wed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Bases or cases for heavy duty; Bases or cases for high voltage with means for preventing corona or ar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고전압케이블의 편조부가 결합되는 실드바디부와 홀더부의 구조를 변경하고, 상기 실드바디부와 편조부 및 홀더부의 고착력이 유지되도록 결합시켜 상기 차량용 고전압케이블이 차량에 설치되어 사용될 때 차량에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편조체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편조체의 단선을 방지함으로써 차폐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실드바디부에 결합된 편조체와 홀더부를 제 1,2지그를 이용하여 간단히 결합시킬 수 있는 차량용 고전압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고전압케이블, 편조부, 실드바디부, 홀더부

Description

차량용 고전압케이블{Vehicle High Voltage Cabl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고전압케이블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고전압케이블의 실드바디부와 편조부 및 홀더부가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편조부 10 : 실드바디부
12 : 제 1마모방지부 14 : 연장부
20 : 제 1지그 22 : 요입부
30 : 홀더부 32 : 제 2마모방지부
40 : 제 2지그 42 : 가압부재
본 발명은 실드바디부와 편조부 및 홀더부의 고착력이 유지되도록 결합시켜 상기 차량용 고전압케이블이 차량에 설치되어 사용될 때 차량에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편조체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편조체의 단선을 방지함으로써 차폐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할 수 있는 차량용 고전압케이블에 관한 것이 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설치되는 고압케이블은 전자파나 전기적 노이즈를 차단하기 위해 내피에 의해 절연피복된 심선의 외측을 편조부에 의해 덮고, 그 외측을 심선피복(Sheath)에 의해 절연피복을 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종래에는 상기한 차량용 고전압케이블에 구비되는 편조체가 실드셀과 편조홀더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데, 상기 편조체가 실드셀과 편조홀더의 단부와 면접촉된 상태에서 차량 주행에 따른 자체 진동에 의해 상기 편조체가 간섭이 발생되고 상기 간섭에 의해 마모가 발생되어 상기 편조체가 쉽게 단선되거나 차폐 성능이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되었다.
또한, 상기 편조체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실드셀과 편조홀더 사이에 압접시킬 때 접힘 구간이 발생되어 미 압접된 영역으로 차량 진동에 의한 인장력이 발생하여 상기 편조체가 이탈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실드바디부와 편조부 및 홀더부의 고착력이 유지되도록 결합시켜 차량용 고전압케이블이 차량에 설치되어 사용할 때 차량에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편조체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실드바디부에 결합된 편조체와 홀더부를 제 1,2지그를 이용하여 간단히 결합시킬 수 있는 차량용 고전압케이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용 고전압케이블에 형성된 편 조부가 결합되도록 내부가 관통 형성된 실드바디부가 구비된다.
상기 실드바디부의 전방 내측으로 삽입되되 상기 실드바디부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결합하고, 상하면에 내측으로 요입된 요입부가 구비된 제 1지그가 구비된다. 상기 실드바디부의 외주면에 차량용 고전압케이블의 편조부가 위치되고, 상기 편조부의 외측으로 결합 가능하도록 내부가 관통 형성된 홀더부가 구비된다.
상기 홀더부의 외주면에 결합되며 상기 실드바디부와 편조부 및 홀더부가 밀착되게 결합된 후에 상기 실드바디부와 편조부 및 홀더부의 고착력이 유지되도록 상기 제 1지그의 요입부를 향해 가압하는 가압부재가 구비된 제 2지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전압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면, 차량용 고전압케이블에 형성된 편조부(2)가 결합되도록 내부가 관통 형성된 실드바디부(10)가 구비된다.
상기 실드바디부(10)는 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되되 길이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편조부(2)의 마모를 방지하도록 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된 제 1마모방지부(12)가 구비된 연장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1마모방지부(12)는 연장부(14)의 내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상기 실드바디부(10)의 전방 내측으로 삽입되되 상기 실드바디부(10)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결합하고, 상하면에 내측으로 요입된 요입부(22)가 구비된 제 1지그 (20)가 구비된다.
상기 제 1지그(20)는 실드바디부(10)의 내측으로 결합된 후에 상기 실드바디부(10)의 상측으로 분리되어 밀착되는 제 1상부지그(20a)와, 상기 실드바디부(10)의 하측으로 분리되어 밀착되는 제 1하부지그(2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1지그(20)는 상기 실드바디부(10)의 내측으로 삽입시에 상기 실드바디부(10)의 외측에 면접촉되는 단턱부(24)가 구비된다. 상기 제 1지그(20)의 요입부(22)는 상하면에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된다.
상기 실드바디부(10)의 외주면에 차량용 고전압케이블의 편조부(2)가 위치되고, 상기 편조부(2)의 외측으로 결합 가능하도록 내부가 관통 형성된 홀더부(30)가 구비된다.
상기 홀더부(30)는 개구된 전후방의 양단부가 외측으로 절곡된 제 2마모방지부(32)가 형성된다.
상기 제 2마모방지부(32)는 홀더부(30)의 외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 1마모방지부(12)와 제 2마모방지부(32)가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이유는 상기 제 1,2마모방지부(12,32)와 면접촉되는 편조부(2)의 간섭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해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홀더부(30)의 외주면에 결합되며 상기 실드바디부(10)와 편조부(2) 및 홀더부(30)가 밀착되게 결합된 후에 상기 실드바디부(10)와 편조부(2) 및 홀더부(30)의 고착력이 유지되도록 상기 제 1지그(20)의 요입부(22)를 향해 가압하는 가압부재(42)가 구비된 제 2지그(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1,2지그(20,40)는 상기 실드바디부(10)와 편조부(2) 및 홀더부(30)를 밀착되게 결합시키기 위해 필요한 구성요소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고전압케이블의 결합되는 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 2a를 참조하면, 제 1지그(20)를 이용하여 실드바디부(10)의 전방으로 부터 결합시켜 내주면에 밀착되게 위치시킨다.
상기 제 1지그(20)는 실드바디부(10)의 내측으로 결합된 후에 상기 실드바디부(10)의 상하측으로 각각 분리되어 제 1상부지그(20a)와 제 1하부지그(20b)가 밀착되어 위치한 상태에서 별도로 구비된 삽입부재(4)를 상기 제 1상부지그(20a)와 제 1하부지그(20b) 사이에 생성된 공간 사이에 설치하여 상기 제 1상부지그(20a)와 제 1하부지그(20b)가 상기 실드바디부(10)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설치한다.
본 발명에서는 삽입부재(4)를 이용하여 상기 제 1상부지그(20a)와 제 1하부지그(20b) 사이에 생성된 공간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상기 제 1상부지그(20a)와 제 1하부지그(20b) 상에 별도로 설치되어 제 1상,하부지그(20a)(20b)가 상기 실드바디부(10)의 내측에 밀착될 수있는 모터 및 기어장치의 조합으로도 변경 가능하다.
상기 제 1지그(20)에는 단턱부(24)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제 1지그(20)가 실드바디부(10)의 내측으로 삽입될 때 적정 길이로 삽입 되도록 한다.
상기 제 1지그(20)가 상기 실드바디부(10)의 내측에 밀착된 후에 실드바디부(10)의 외측에 편조부(2)의 내측면이 연장부(14)의 외측에 접히는 구간 없이 밀착 되어 위치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홀더부(30)를 편조부(2)를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실드바디부(10)의 후단부상에 위치시킨다.
상기 홀더부(30)의 외측면에는 제 2지그(40)를 위치시켜 상기 실드바디부(10)와 편조부(2) 및 홀더부(30)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첨부된 도 2b를 참조하면, 도 2a의 상태로 실드바디부(10)와 편조부(2) 및 홀더부(30)를 위치시킨후에 상기 홀더부(30)를 상기 실드바디부(10)의 전방으로 위치 이동 시키면 상기 실드바디부(10)와 편조부(2) 및 홀더부(30)의 전면이 밀착된 상태로 위치된다.
첨부된 도 2c를 참조하면, 도 2b의 상태에서 작업자는 홀더부(30)에 구비된 가압부재(42)를 각각 가압시켜 누르게 되면 상기 제 1지그(20)에 형성된 요입부(22)의 내측으로 상기 실드바디부(10)와 편조부(2) 및 홀더부(30)의 일부분이 요입부(22)의 내측으로 고착되어 상기 실드바디부(10)와 편조부(2) 및 홀더부(30)가 서로 분리되지 않고 고정된다.
상기 제 1지그(20)의 요입부(22)는 상하면상에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된 구조로 사용가능하다.
첨부된 도 2d를 참조하면, 도 2c의 상태에서 상기 제 2지그(40)(도 1참조)에 구비된 가압부재(42)(도 1참조)가 원위치 한 후에 제 1상부지그(20a)와 제 1하부지그(20b) 사이에 설치된 삽입부재(4)를 외측으로 빼낸 상태에서, 상기 제 2지그(40)와 제 1지그(20)를 화살표 방향으로 각각 분리시키면 설치가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실제 차량에 장착하여 사용하게 되면 상기 차량에 설치된 엔진(미도시)이 작동되면서 발생되는 진동이 상기 차량용 고전압케이블에 전달되어 편조부(2)가 일정 방향으로 주기를 가지며 진동되는 현상이 발생해도 상기 실드바디부(10)의 제 1마모방지부(12)와 홀더부(30)의 제 2마모방지부(32)가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편조부(2)가 진동에 의해 지속적으로 흔들려도 상기 편조부(2)의 마모가 발생되지 않게된다.
그리고, 상기 편조부(2)의 단선에 의한 전자파의 차폐 성능이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게된다.
또한,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드바디부(10)와 편조부(2) 및 홀더부(30)가 밀착되게 결합 설치되어 상기 편조부(2)가 접히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된다.
한편, 본 발명은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고전압케이블은 실드바디부와 편조부 및 홀더부가 상호간에 밀착되게 결합되며, 상기 실드바디부와 홀더부에 제 1,2마모방지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편조부의 마모에 의한 단선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실드바디부와 편조부 및 홀더부가 상호간에 밀착되게 결합되고, 요입부에 의해 고착력이 향상되어 차량 진동에 의한 편조체의 이탈을 방지하는 효 과가 있다.

Claims (8)

  1. 차량용 고전압케이블에 형성된 편조부가 결합되도록 내부가 관통 형성된 실드바디부;
    상기 실드바디부의 전방 내측으로 삽입되되 상기 실드바디부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결합하고, 상하면에 내측으로 요입된 요입부가 구비된 제 1지그;
    상기 실드바디부의 외주면에 차량용 고전압케이블의 편조부가 위치되고, 상기 편조부의 외측으로 결합 가능하도록 내부가 관통 형성된 홀더부; 및
    상기 홀더부의 외주면에 결합되며 상기 실드바디부와 편조부 및 홀더부가 밀착되게 결합된 후에 상기 실드바디부와 편조부 및 홀더부의 고착력이 유지되도록 상기 제 1지그의 요입부를 향해 가압하는 가압부재가 구비된 제 2지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전압케이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드바디부는 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되되 길이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편조부의 마모를 방지하도록 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된 제 1마모방지부가 구비된 연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전압케이블.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마모방지부는 연장부의 내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전압케이블.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지그는 실드바디부의 내측으로 결합된 후에 상기 실드바디부의 상측으로 분리되어 밀착되는 제 1상부지그, 상기 실드바디부의 하측으로 분리되어 밀착되는 제 1하부지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전압케이블.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지그는 상기 실드바디부의 내측으로 삽입시에 상기 실드바디부의 외측에 면접촉되는 단턱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전압케이블.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지그의 요입부는 상하면에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전압케이블.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개구된 전후방의 양단부가 외측으로 절곡된 제 2마모방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전압케이블.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마모방지부는 홀더부의 외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전압케이블.
KR1020050105515A 2005-11-04 2005-11-04 차량용 고전압케이블 KR1006810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5515A KR100681057B1 (ko) 2005-11-04 2005-11-04 차량용 고전압케이블
US11/298,647 US7268297B2 (en) 2005-11-04 2005-12-08 High voltage cable for a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5515A KR100681057B1 (ko) 2005-11-04 2005-11-04 차량용 고전압케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1057B1 true KR100681057B1 (ko) 2007-02-08

Family

ID=38002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5515A KR100681057B1 (ko) 2005-11-04 2005-11-04 차량용 고전압케이블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268297B2 (ko)
KR (1) KR1006810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34034B2 (ja) 2013-02-20 2017-11-22 矢崎総業株式会社 シールドコネクタ構造
DE102019108886A1 (de) * 2019-04-04 2020-10-08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Vorkonfektioniertes elektrisches Kabel, Steckverbinderanordnung, sowi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Konfektionierung eines elektrischen Kabel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0101A (ja) 1997-03-21 1998-10-09 Sumitomo Electric Ind Ltd ケーブル接続部
JP2001160448A (ja) 1999-12-02 2001-06-12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2001185316A (ja) 1999-12-24 2001-07-06 Nissan Motor Co Ltd 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導通検査方法
KR20050057269A (ko) * 2002-09-25 2005-06-16 료세이덴소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01528A (en) * 1957-12-24 1959-08-25 Burndy Corp Wire connector
US3150231A (en) * 1961-10-10 1964-09-22 Bendix Corp End structure for plural cable connection
US4583811A (en) * 1983-03-29 1986-04-22 Raychem Corporation Mechanical coupling assembly for a coaxial cable and method of using same
JP3211587B2 (ja) 1994-09-27 2001-09-25 住友電装株式会社 シールド電線のアース構造
JP3790416B2 (ja) * 2000-11-06 2006-06-28 矢崎総業株式会社 シールド電線の加工方法と加工装置
JP3713528B2 (ja) 2001-12-26 2005-11-09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機器取付け用ワイヤーハーネス
JP2004172476A (ja) 2002-11-21 2004-06-17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シールド機能を備えた導電路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0101A (ja) 1997-03-21 1998-10-09 Sumitomo Electric Ind Ltd ケーブル接続部
JP2001160448A (ja) 1999-12-02 2001-06-12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2001185316A (ja) 1999-12-24 2001-07-06 Nissan Motor Co Ltd 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導通検査方法
KR20050057269A (ko) * 2002-09-25 2005-06-16 료세이덴소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102185A1 (en) 2007-05-10
US7268297B2 (en) 2007-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72893B1 (en) Connector
JP5120036B2 (ja) コネクタ
KR102533294B1 (ko) 고전압 커넥터
CN102576962B (zh) 屏蔽连接器
CN102859802B (zh) 连接器
JP5269519B2 (ja) ワイヤハーネス製造方法
US20080113559A1 (en) Shield end processing structure
JP4935610B2 (ja) コネクタ
US20120028500A1 (en) Shield Cover For Braided Wire Shield
US20100045106A1 (en) Wiring harness
JP5638898B2 (ja) ワイヤハーネス配索構造及びシールドカバー
JP2005080449A (ja) プロテクタ
JP2013162724A (ja) シールドシェルへのシールド用筒状編組部材の固定方法
CN103636080A (zh) 屏蔽电缆固定结构
CN102326302B (zh) 夹式弹性接触件和具有该接触件的屏蔽连接器壳体组件
JP2012033349A (ja) 油冷機器用ハーネス
WO2015099183A1 (ja) リアホルダ
KR100681057B1 (ko) 차량용 고전압케이블
JP6334359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の固定構造
JP5995105B2 (ja) コネクタ
US11201432B2 (en) Connector
CN109703486B (zh) 线束及其制造方法
JP6700608B2 (ja) 保護管及びハーネス
JP2004319196A (ja) シールド接続構造
WO2017047468A1 (ja) シールド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