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0274B1 - 개방형 지붕 - Google Patents

개방형 지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0274B1
KR100680274B1 KR1020060014125A KR20060014125A KR100680274B1 KR 100680274 B1 KR100680274 B1 KR 100680274B1 KR 1020060014125 A KR1020060014125 A KR 1020060014125A KR 20060014125 A KR20060014125 A KR 20060014125A KR 100680274 B1 KR100680274 B1 KR 1006802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roof
closing
fixed
arc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4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수영
Original Assignee
신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수영 filed Critical 신수영
Priority to KR1020060014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02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0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0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16Roof structures with movable roof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16Roof structures with movable roof parts
    • E04B7/163Roof structures with movable roof parts characterised by a pivoting movement of the movable roof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방형 지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건물과 건물사이의 이동통로 상부에 돔형으로 설치되는 지붕(arcade)의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 개폐지붕을 설치하고 그 개폐지붕은 개방범위를 최대로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 그 개방구멍에 의해 환기기능이 좋고 지붕인근의 건물에 사다리차도 사용할수 있게 하여 소방구난기능이나 이삿짐운반도 가능하도록 한 개방형 지붕에 관한 것이다.
즉, 소정간격으로 설치되는 기둥(14)상부에 종,횡으로 배치된 고정후레임(16)에 돔형태의 지붕(A)이 설치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지붕(A)의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 설치되는 고정지붕(10) 및 개폐지붕(20)과,
상기 고정지붕(10)은 소폭으로 구비되어 고정후레임(16)의 상부중앙에 수직의 받침후레임(12)으로 일정간격을 갖는 상태로 고정설치하는 구성과,
상기 개폐지붕(20)은 고정지붕(10)의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개폐기능을 갖되 2개로 분할된 분할판재(24)를 경첩(24a)으로 서로 연결하여 펼치거나 접을 수 있게 한 절첩식 구성으로 되어 개폐수단에 의해 개구부(20a)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지붕이다.
고정지붕, 개폐지붕, 개구부, 분할판재, 이동롤러, 작동축봉

Description

개방형 지붕{open type arcade}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개폐지붕의 일부 개방상태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개폐지붕의 개방폭을 넓힌 상태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측면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지붕 10 : 고정지붕
12 : 받침후레임 14 : 기둥
16 : 고정후레임 18 : 가이드레일
20 : 개폐지붕 20a : 개구부
22 : 빗물유입방지턱 24 : 분할판재
24a : 경첩 26 : 고정축부
26a : 안내로울 28 : 이동롤러
30 : 작동축봉 32 : 작동와이어
본 발명은 개방형 지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건물과 건물사이의 이동통로 상부에 돔형으로 설치되는 지붕(arcade)의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 개폐지붕을 설치하고 그 개폐지붕은 개방범위를 최대로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 그 개방구멍에 의해 환기기능이 좋고 지붕인근의 건물에 사다리차도 사용할수 있게 하여 소방구난기능이나 이삿짐운반도 가능하도록 한 개방형 지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과 건물사이의 이동통로 상부에 아케이드(arcade)로도 불리워지고 있는 돔(dome)형태의 지붕을 설치하여 비와 눈을 피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이러한 지붕은 이동통로의 상부를 막는 형태이므로 통로에서 발생하는 먼지는 이동통로의 출입구로만 환기되어지기 때문에 환기상태가 좋지 않을 뿐만 여름에는 지붕(아케이드)에 의해 온실효과를 가져오는 등의 단점과 함께 건물이나 지붕의 화재발생시에는 사다리차 등을 사용할 수 없으므로 화재진압을 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를 감안하여 지붕을 개방할 수 있도록 한 개방형 지붕이 특허제10-0378265호 및 등록실용제20-0369250호로 제안되어 환기기능 등을 갖도록 할수 있게 되었으나 지붕의 길이방향으로 고정지붕과 개폐지붕이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지붕의 길이방향일부만이 개방되는 형태이기 때문에 이동통로의 전체부분을 환기시키는 환기효 과도 떨어지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지붕인근의 건물에 사다리차를 사용할 수 없으므로 소방구방구난이나 이삿짐운반도 할수 없는 등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동통로 상부의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 고정지붕과 개폐지붕을 설치하되 지붕의 상부중앙에 소폭의 고정지붕이 설치되고 고정지붕의 양측에 개폐지붕이 설치되어 개폐지붕은 지붕의 상부양측을 전면개방할수 있는 구성으로 환기효율성도 높이고 인근건물에 사다리차를 사용할 수 있는 개방공간도 확보하여 소방구난기능이나 이삿짐운반 등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개방형 지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개방형 지붕은 건물사이에 소정간격으로 설치되는 기둥(14)상부의 종,횡으로 배치된 고정후레임(16)에 돔형태의 지붕(A)을 설치하되 지붕(A)의 길이방향전체에 걸쳐 고정지붕(10)과 개폐지붕(2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지붕(10)은 소폭으로 구비되어 고정후레임(16)의 상부중앙에 수직의 받침후레임(12)으로 일정간격을 갖는 상태로 고정설치된다.
상기 개폐지붕(20)은 고정지붕(10)의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개폐기능을 갖되 개폐지붕(20)은 2개로 분할된 분할판재(24)를 경첩(24a)으로 서로 연결하여 펼치거나 접을 수 있게 한 절첩식 구성으로 되어 개폐수단에 의해 개구부(20a)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개폐지붕(20)의 개폐수단은 개폐지붕(20) 측부하단은 고정축부(26)에 고정설치되고 개폐지붕(20) 측부상단은 이동롤러(28)가 설치되어 횡으로 배치된 고정후레임(16)과 동일선상에 배치된 가이드레일(18)을 따라 이동되게하며 고정후레임(16)상부중앙에 모터등의 동력전달장치에 의해 회동되는 작동축봉(30)이 설치되고 그 작동축봉(30)에 의해 작동와이어(32)를 회전시키되 작동와이어(32)는 고정축부(26)의 안내로울(26a)을 거쳐 이동롤러(28)와 연결고정시킨 구성으로 작동축봉(30)의 정역회전에 따라 이동롤러(28)가 가이드레일(18)을 따라 이동하여 개폐지붕(20)을 개방하거나 차단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작동축봉(30)을 따라 회전하는 작동와이어(32)는 좌측의 개폐지붕(20)과 우측의 개폐지붕(20)에 각각 구비되어 개폐되게 하되 좌,우측의 작동와이어(32)는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되게 연결하여 동시에 일치된 개폐상태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 상기 개폐지붕(20)은 펼쳤을때 상단부가 고정지붕(10)하부로 내입되게 함과 아울러 빗물유입방지턱(22)을 형성하여 빗물유입을 차단케 하고, 경첩(24a)으로 연결된 분할판재(24)부분도 일부 겹쳐지게 하여 빗물유입을 차단케 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의 개방형 지붕을 이동통로상부의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 고정지붕(10)과 개폐지붕(20)이 설치되어지되 고정지붕(10)은 고정지붕(10)의 상부중앙에 소폭으로 설치되고 그 고정지붕(10)의 좌,우양측에 개폐지붕(20)이 설치되어 개폐지붕(20)에 의해 지붕(A)의 개구부(20a)를 최대한 확보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즉, 개폐지붕(20)은 2개로 분할된 분할판재(24)를 경첩(24a)으로 연결한 구성으로 되어 눈이나 비등의 유입을 차단할 때에는 도1과 같이 개폐지붕(20)의 분할판재(24)를 완전히 펼친 상태로 놓여지게 하여 빗물유입방지턱(22)상부의 좁은 간극부에 의해 환기기능을 갖게 된다.
그리고 평상시의 화창한 날씨등에는 지붕(A)내부의 이동통로에 충분한 환기를 보다 신속하게 수행하고자 할때에는 개폐지붕(20)을 개방하여 쾌적한 환경을 만들되 도 2와 같이 개폐지붕(20)상단부의 이동롤러(28)를 가이드레일(18)을 따라 이동시켜 개구부(20a)를 개방하고 그 개구부(20a)의 개방폭은 이동롤러(28)의 이동거리에 비례하여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지붕(A)내의 이동통로에 햇빛을 유입시키고자하거나 지붕(A)의 개구부(20a)를 3,4층 정도되는 건물에 사다리차를 사용하여 소방구난기능이나 이삿짐운반등을 하고자 할 때에는 도3과 같이 개폐지붕(20)상단부의 이동롤러(28)를 최대한 하강시켜 양측분할판재(24)가 서로 맞닿는 형태로 접혀지게 하면 고정지붕(10)의 좌,우 양측에 넓은 폭의 개구부(20a)가 형성되므로 이동통로에 많은 량의 햇빛을 유입시킬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사다리차도 사용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이는 지붕(A)의 길이방향 양측을 전체에 걸쳐 개방할 수 있고 그 개방폭도 최대한 확보할 수 있게 되므로 이동통로에 많은 량의 햇빛을 골고루 유입시킬 수 있고 사다리차가 사 용되지 못하는 사각지대도 최대한 줄 일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건물과 건물사이의 이동통로상부에 설치되는 지붕은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 개폐지붕이 설치되어 소폭의 고정지붕 좌우 양측에서 개폐폭을 임의조절할수 있으면서 그 개방폭을 최대한 확보하여 환기기능뿐만 아니라 인근건물에 사다리차를 사용하여 사각지대를 최소화하면서 소방구난기능이나 이삿짐운반등도 할수 있는 개방형 지붕을 제공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소정간격으로 설치되는 기둥(14)상부에 종,횡으로 배치된 고정후레임(16)에 돔형태의 지붕(A)이 설치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지붕(A)의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 설치되는 고정지붕(10) 및 개폐지붕(20)과,
    상기 고정지붕(10)은 소폭으로 구비되어 고정후레임(16)의 상부중앙에 수직의 받침후레임(12)으로 일정간격을 갖는 상태로 고정설치하는 구성과,
    상기 개폐지붕(20)은 고정지붕(10)의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개폐기능을 갖되 2개로 분할된 분할판재(24)를 경첩(24a)으로 서로 연결하여 펼치거나 접을 수 있게 한 절첩식 구성으로 되어 개폐수단에 의해 개구부(20a)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지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지붕(20)의 개폐수단은 개폐지붕(20)의 측부하단은 고정축부(26)에 고정설치되고 개폐지붕(20)측부상단은 이동롤러(28)가 설치되어 가이드레일(18)을 따라 이동되게 하며 고정후레임(16)의 상부중앙에 작동축봉(30)이 설치되어 작동와이어(32)를 회전시키되 작동와이어(32)는 고정축부(26)의 안내로울(26a)을 거쳐 이동롤러(28)와 연결고정시킨 구성으로 작동축봉(30)의 정역회전에 따라 이동롤러(28)가 이동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지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축봉(30)을 따라 회전하는 작동와이어(32)는 좌측의 개폐지붕(20)과 우측의 개폐지붕(20)에 각각 구비되어 개폐되게 하되 좌,우측의 작동와이어(32)는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되게 연결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지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지붕(2)의 상단부는 고정지붕(10)하부로 내입되게 구성하고 빗물유입방지턱(22)을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지붕
KR1020060014125A 2006-02-14 2006-02-14 개방형 지붕 KR100680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4125A KR100680274B1 (ko) 2006-02-14 2006-02-14 개방형 지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4125A KR100680274B1 (ko) 2006-02-14 2006-02-14 개방형 지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4113U Division KR200420910Y1 (ko) 2006-02-14 2006-02-14 개방형 지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0274B1 true KR100680274B1 (ko) 2007-02-08

Family

ID=38105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4125A KR100680274B1 (ko) 2006-02-14 2006-02-14 개방형 지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02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5954B1 (ko) 2008-08-12 2008-12-26 송형근 체육 시설물의 지붕개폐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5954B1 (ko) 2008-08-12 2008-12-26 송형근 체육 시설물의 지붕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5105732A (ja) 換気機能付きカーテンウォール、およびこれを備えた建物
CN204002459U (zh) 卷帘门
KR100604215B1 (ko) 돔형 지붕의 개폐구조를 갖는 건물 간 막구조물
KR200443808Y1 (ko) 개폐형 아케이드
KR200420910Y1 (ko) 개방형 지붕
KR100680274B1 (ko) 개방형 지붕
JP4135944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
JP2012528258A (ja) 外壁システムおよび既存の建物への本発明の外壁システムの設置方法
US6843023B2 (en) Dual casement window structure
CN101592008B (zh) 建筑外门窗遮阳一体化系统的门窗边框
KR101300927B1 (ko) 건물 창문의 상하 이동 개폐 장치 및 개폐 방법
KR100778826B1 (ko) 아케이드 구조물
JPH0115678B2 (ko)
JP4325806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
CN208748985U (zh) 一种钢结构厂房中手动开启式天窗
KR20110013883A (ko) 다기능 창호 조립체
KR20200082596A (ko) 친환경 녹색건축 창호시스템
CN205036232U (zh) 一种折叠窗
CN206647026U (zh) 紧凑型一体化遮阳内外窗
JP3094672U (ja) ベランダの覆い装置
US1684641A (en) Skylight
CN211174112U (zh) 一种矿山机操作室
KR100616150B1 (ko) 개방형 지붕
JP2005105527A (ja) 住宅の換気装置、及び換気用の通気口を備えた開口部枠
JP6636762B2 (ja) 日射熱制御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