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0163B1 - 시계 학습교구 및 그것을 이용한 단계별 시계교육방법 - Google Patents

시계 학습교구 및 그것을 이용한 단계별 시계교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0163B1
KR100680163B1 KR1020060049718A KR20060049718A KR100680163B1 KR 100680163 B1 KR100680163 B1 KR 100680163B1 KR 1020060049718 A KR1020060049718 A KR 1020060049718A KR 20060049718 A KR20060049718 A KR 20060049718A KR 100680163 B1 KR100680163 B1 KR 1006801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ck
learning
character
traveler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9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화연
Original Assignee
윤화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화연 filed Critical 윤화연
Priority to KR1020060049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01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0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01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12Clock-read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계 학습교구 및 그것을 이용한 단계별 시계교육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시계를 처음 배우는 학습자가 스스로 흥미를 갖고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시계 그림판의 12등분된 각 영역의 경계에 해당 지점의 시간 또는 분을 나타내는 숫자가 표기되고 상기 시계 그림판 상의 어느 한 지점을 지시하는 제1여행자 캐릭터 또는 제2여행자 캐릭터가 표기된, 다수의 제1레벨 시계학습부재; 상기 시계 그림판의 12등분된 각 영역의 경계에 해당 지점의 시간과 분을 나타내는 숫자가 각각 표기되고 상기 시계 그림판 상의 어느 한 지점을 각각 지시하는 제1여행자 캐릭터와 제2여행자 캐릭터가 표기된, 다수의 제2레벨 시계학습부재; 상기 시계 그림판의 12등분된 각 영역의 경계에 해당 지점의 시간을 나타내는 숫자가 표기되고 상기 시계 그림판 상의 어느 한 지점을 각각 지시하는 시침과 분침이 표기된, 다수의 제3레벨 시계학습부재;로 구성된 시계학습교구를 이용한 시계교육방법을 제공한다.
시계, 학습교구, 학습부재, 시간, 분, 일, 주간, 월, 연

Description

시계 학습교구 및 그것을 이용한 단계별 시계교육방법{METHOD FOR STEPED LEARNING TIME EDUCATION AND TIME LEARNING THINGS THEREOF}
도 1의 (a) 내지 (d)는 본 발명에 의한 시계학습교구에서 시간의 기본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시계 그림판 상에 여행자 캐릭터가 표기된 제1레벨 시계학습부재의 한 예시도
도 2의 (a) 내지 (d)는 본 발명에 의한 시계학습교구에서 제1레벨 시계학습부재의 다른 예시도
도 3의 (a) 내지 (d)는 본 발명에 의한 시계학습교구에서 제2레벨 시계학습부재의 한 예시도
도 4의 (a) 내지 (d)는 본 발명에 의한 시계학습교구에서 제3레벨 시계학습부재의 한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4 : 초기레벨 시계학습부재 15,16 : 여행자 캐릭터
21-24 : 제1레벨 시계학습부재 31-34 : 제2레벨 시계학습부재
41-44 : 제3레벨 시계학습부재
본 발명은 시계나 시간에 대한 개념을 처음 배우는 초보 학습자에게 시계 보는 방법과 시간 및 분의 개념을 쉽고 흥미롭게 가르칠 수 있는 시계 학습교구 및 그것을 이용한 단계별 시계교육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초보 학습자가 시간 여행자가 되어 시계 그림판 상의 한 지점에서부터 다음 지점으로 직접 이동하는 방식으로 시간의 개념에 대한 이해와 시계보는 방법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계 그림판 상에서 시간과 분의 개념 및 흐름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여 쉽고 흥미롭게 시계 학습을 실시할 수 있는 시계 학습교구 및 그것을 이용한 단계별 시계교육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습교구는 각종 사물의 그림이나 도형 등을 시각을 통하여 자연스럽게 익히도록 하거나, 이들 그림이나 도형에 문자를 표기하여 사물의 이름을 암기하도록 하여 학습효과를 향상시키는 도구로서, 유아의 심신 발달과 아울러 능동적인 사고발달 및 탐구력을 향상시켜 학습준비도를 높이는데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학습교구 중에서 특히, 시계 학습을 위한 초보학습자용 시계 학습교구는 시계 그림판을 단순히 시침과 분침으로 나누어 분침이 시계판을 한바퀴 돌면 60분 즉 1시간임을 인식시키고 시침이 큰 눈금으로 1칸 이동하면 1시간임을 인식시키는 방식으로 시간의 개념을 이해시키는 시계학습방식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은 시계를 처음 학습하게 되는 초보학습자가 시간이나 분, 초에 대한 개념을 정확히 이해하지 못한 상태이므로 시계보는 방법 및 시간의 개념을 학습하는데에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계를 처음 배우게 되는 초보 학습자들의 인지발달에 필요한 시간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도록 단계별로 구분된 다수 개의 시계 학습교구를 형성하여, 시계 그림판 상에서 시간과 분, 초에 대한 개념 이해 및 시계의 원리를 쉽게 파악하여 시게 보는 방법을 흥미롭게 학습할 수 있도록 한 시계 학습교구 및 그것을 이용한 단계별 시계교육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시와 분이 눈금으로 구분되어 표기된 시계 그림판을 학습 교구로 사용하는 시계학습교구에 있어서, 상기 시계 그림판의 12등분된 각 영역의 경계에 해당 지점의 시간 또는 분을 나타내는 숫자가 표기되고 상기 시계 그림판 상의 어느 한 지점을 지시하는 제1여행자 캐릭터 또는 제2여행자 캐릭터가 표기된, 다수의 제1레벨 시계학습부재; 상기 시계 그림판의 12등분된 각 영역의 경계에 해당 지점의 시간과 분을 나타내는 숫자가 각각 표기되고 상기 시계 그림판 상의 어느 한 지점을 각각 지시하는 제1여행자 캐릭터와 제2여행자 캐릭터가 표기된, 다수의 제2레벨 시계학습부재; 상기 시계 그림판의 12등분된 각 영역의 경계에 해당 지점의 시간을 나타내는 숫자가 표기되고 상기 시계 그림판 상의 어느 한 지점을 각각 지시하는 시침과 분침이 표기된, 다수의 제3레벨 시계학습부재;로 구성된 시계학습교구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시와 분이 눈금으로 구분되어 표기된 시계 그림판을 학습 교구로 사용하는 시계학습방법에 있어서, (a) 시계 그림판의 12등분된 각 영역의 경계에 해당 지점의 시간 또는 분을 나타내는 숫자가 표기되고 상기 시계 그림판 상의 어느 한 지점을 지시하는 제1여행자 캐릭터 또는 제2여행자 캐릭터가 표기된, 다수의 제1레벨 시계학습부재를 이용하여 시간 흐름을 학습자에게 이해시키기 위한 제 1레벨의 교육을 실시하는 제 1단계; (b) 시계 그림판의 12등분된 각 영역의 경계에 해당 지점의 시간과 분을 나타내는 숫자가 각각 표기되고 상기 시계 그림판 상의 어느 한 지점을 각각 지시하는 제1여행자 캐릭터와 제2여행자 캐릭터가 표기된, 다수의 제2레벨 시계학습부재를 이용하여 매 시간당 분의 흐름을 이해시키기 위한 제 2레벨의 교육을 실시하는 제 2단계; (c) 시계 그림판의 12등분된 각 영역의 경계에 해당 지점의 시간을 나타내는 숫자가 표기되고 상기 시계 그림판 상의 어느 한 지점을 각각 지시하는 제1여행자 캐릭터와 제2여행자 캐릭터가 표기된, 다수의 제3레벨 시계학습부재를 이용하여 시간과 분에 대한 흐름을 이해시키기 위한 제 3레벨의 교육을 실시하는 제3단계로 이루어지는 시계학습교구를 이용한 단계별 시계교육방법이다.
상기 제1레벨 시계학습부재는, 상기 여행자 캐릭터가 현재 지시하고 있는 시간 또는 분의 숫자를 들고 있거나 해당 시간 또는 분의 숫자 모양 과자를 먹는 상태로 상기 각 여행자 캐릭터가 표기됨으로써 초보 학습자들에 의한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을 것이며, 상기 제2레벨 시계학습부재는, 상기 시간을 나타내는 숫자가 표기된 영역의 외곽에 해당 지점의 분을 나타내는 숫자가 함께 표기될 수 있으며, 제1여행자 캐릭터와 제2여행자 캐릭터가 다른 색깔 또는 모양 또는 크기 중의 하나 이상으로 구분 표기되어 초보 학습자에게 쉽게 구별될 수 있도록 하여 학습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시계 학습교구 및 그것을 이용한 단계별 시계학습방법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의 (a) 내지 (d)는 본 발명에 의한 시계학습교구에서 시간의 기본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시계 그림판 상에 여행자 캐릭터가 표기된 제1레벨 시계학습부재의 한 예시도로서, 시계 그림판이 4등분되고, 각 4등분된 영역의 경계에 해당 지점의 시간을 나타내는 숫자, 즉, 3,6,9,12의 숫자가 각각 표기되고 상기 시계 그림판 상의 어느 한 지점을 지시하는 제1여행자 캐릭터(15)가 표기된, 다수의 제1레벨 시계학습부재(11-14)이다. 이러한 구성의 제 1레벨 시계학습부재는 시간의 기본개념을 학습자에게 이해시키기 위한 우선적으로 실시하는 초기레벨의 교육용 시계학습부재이다.
도 2의 (a) 내지 (d)는 본 발명에 의한 시계학습교구에서 제1레벨 시계학습부재의 다른 예시도로서, 시계 그림판이 12등분되고, 각 12등분된 각 영역의 경계에 해당 지점의 시간을 나타내는 숫자, 즉 1 내지 12까지의 숫자가 각각 표기되고 상기 시계 그림판 상의 어느 한 지점을 지시하는 제1여행자 캐릭터(15)가 표기된, 다수의 제1레벨 시계학습부재(21-24)이다. 상기 제1레벨 시계학습부재(21-24)는 상기 제1여행자 캐릭터(15)가 현재 지시하고 있는 시간의 숫자 모양 과자를 먹는 상태로 예시되어 있으나, 이것은 상기 제1여행자 캐릭터(15)가 현재 지시하고 있는 시간의 숫자를 들고 있는 형태로도 표기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레벨 시계학습부재(21-24)는 도면에는 예시되어 있지 않으나, 시계그림판이 60등분되어 제시되고 60등분된 영역의 각 경계에는 상부로부터 시계방향으로 1 내지 60분까지 5분 간격의 분을 나타내는 숫자가 표기되고, 시계 그림판 상의 어느 한 지점을 지시하는 제2여행자 캐릭터가 표기되어 구성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제2여행자 캐릭터는 현재 지시하고 있는 분의 숫자 모양 과자를 먹는 상태로 표기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의 (a) 내지 (d)는 본 발명에 의한 시계학습교구에서 제2레벨 시계학습부재의 한 예시도로서, 시계 그림판이 12등분되고, 각 12등분된 각 영역의 경계에 해당 지점의 시간과 분을 나타내는 숫자, 즉 1 내지 12기까지의 시간을 나타내는 숫자와 1 내지 60분까지 5분 간격의 분을 나타내는 숫자가 각각 표기되고 상기 시계 그림판 상의 어느 한 지점을 각각 지시하는 제1여행자 캐릭터(15)와 제2여행자 캐릭터(16)가 표기된, 다수의 제2레벨 시계학습부재(31-34)이다. 여기서 상기 제2레벨 시계학습부재(31-34)는 상기 시간을 나타내는 1 내지 12까지의 숫자가 표기된 영역의 외곽에 해당 지점의 분을 나타내는 1 내지 60분까지의 숫자가 함께 표기된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예시는 필요에 따라 그 구성이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제2레벨 시계학습부재(31-34)는, 제1여행자 캐릭터(15)와 제2여행자 캐릭터(16)가 다른 색깔 또는 모양 또는 크기 중의 어느 하나 이상으로 각각 다르게 구분되어 표기될 수도 있게 된다. 도면에서는 제 1여행자 캐릭터(15)는 시간을 지시하는 캐릭터이며, 제 2여행자 캐릭터(16)는 분을 지시하는 캐릭터로서 상기 제1여행자 캐릭터(15)보다 그 길이가 길게 표시된 상태가 예시되어 있다. 이 러한 두 캐릭터는 물론 색깔이나 모양도 필요에 따라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의 (a) 내지 (d)는 본 발명에 의한 시계학습교구에서 제3레벨 시계학습부재의 한 예시도로서, 시계 그림판이 12등분되고 각 12등분된 각 영역의 경계에 해당 지점의 시간을 나타내는 숫자가 표기되고 상기 시계 그림판 상의 어느 한 지점을 각각 지시하는 제1여행자 캐릭터(15)와 제2여행자 캐릭터(16)가 표기된, 다수의 제3레벨 시계학습부재(41-44)이다.
상기 도 1,2 및 도 4의 (a) 내지 (d)에 예시된 각 시계 그림판은 시간에 대한 눈금만 표시되어 있고 각각의 분에 대한 눈금이 표기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각 시계 그림판은 도 3의 (a) 내지 (d)에 예시된 바와 같이 분에 대한 눈금을 상세히 표시하고 있는 시계그림판으로 대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학습부재를 이용한 학습과정 및 그 학습에 따른 작용효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의 (a) 내지 (d)에 예시된 바와 같이, 시계에서 시간의 기본 개념을 학습할 수 있도록, 초기레벨 시계학습부재(11-14)에는 시계그림판이 4등분되어 제시되고, 상기 이와 같이 4등분된 영역의 각 경계에는 상부로부터 시계방향으로 12시, 3시, 6시, 9시의 시간 표시를 위한 숫자가 표기된다. 이들 초기레벨 시계학습부재(11-14)에 있어서, 시계 그림판 중앙에는 시계 여행자를 나타내는 어린이 모습의 제 1여행자 캐릭터(15)가 표기되며, 상기 제1여행자 캐릭터(15)는 시계 그림판에서 시간을 표시하는 숫자들이 표기된 부분의 어느 한 지점을 지시하도록 표기 된다. 이와 같은 초기레벨 시계학습부재(11-14)를 이용하여 초보 학습자로 하여금 12시, 3시, 6시, 9시의 기준과 규칙을 익히도록 학습시킨다.
이후 도 2의 (a) 내지 (d)에 예시된 바와 같이, 시계에서 1 내지 12시까지의 모든 시간에 대한 흐름을 학습할 수 있도록, 제1레벨 시계학습부재(21-24)에는 시계그림판이 12등분되어 제시되고, 12등분된 영역의 각 경계에는 상부로부터 시계방향으로 1 내지 12시까지의 시간을 나타내는 숫자가 표기된다. 이러한 제1레벨 시계학습부재(21-24)는 상기 제1여행자 캐릭터(15)가 현재 지시하고 있는 시간의 숫자 모양 과자를 먹는 상태로 표기함으로써, 초보 학습자들에 의한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1레벨 시계학습부재(21-24)는 시계에서 1 내지 60분까지의 모든 분에 대한 흐름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시계그림판이 60등분되어 제시되고 60등분된 영역의 각 경계에는 상부로부터 시계방향으로 1 내지 60분까지 5분 간격의 분을 나타내는 숫자가 표기되는 또 다른 학습부재(도면에는 예시되지 않음)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시계학습부재의 시계 그림판 중앙에는 상기 제1여행자 캐릭터(15)를 대신해서 제2여행자 캐릭터(16 : 도 3참조)가 표기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제2여행자 캐릭터(16)는 현재 지시하고 있는 분의 숫자 모양 과자를 먹는 상태로 표기함으로써, 초보 학습자들에 의한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제1레벨 시계학습부재(21-24)를 이용하게 되면, 예컨대, 12시에서 3시까지 가는 거리가 너무 멀어서 제1여행자 캐릭터(15)의 배가 고프므로 과자를 주는 곳을 추가하여 더 자주 과자를 준다고 초보 학습자에게 설명할 수 있을 것 이다.
이후, 상기와 같이 시계여행자가 12시 정각에 과자를 받아서 먹으면서 다음 도착지로 출발하고, 1시에 도착하면 12시 과자 중 남은 과자는 모두 버리고 새로운 도착지의 1시 과자를 받아서 먹으면서 다음 도착지를 향해서 간다고 하는 방식으로 시계 그림판 상에서 시간의 흐름에 대한 원리를 학습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도 2의 (a) 내지 (d)에 예시된 바를 이용하게 되면, 시계를 학습하는 초보학습자는 상기와 같이 시간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을 학습함으로써 처음에는 3시, 6시, 9시, 12시, 그리고 더 나아가서 1시, 2시, 4시, 5시, 7시 8시, 10시, 11시 등을 더 세부적으로 학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1 내지 12시까지의 모든 시간에 대한 학습을 실시한 이후에 분을 학습시켜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먼저 도 3의 (a) 내지 (d)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2레벨 시계학습부재(31-34)에는 시계그림판이 12등분되어 제시되고, 상기와 같이 12등분된 영역의 각 경계에 상부 정중앙 위치에서부터 시계방향으로 1 내지 12시의 시간 표시를 위한 숫자와, 1 내지 60분까지 5분 간격의 분을 나타내는 숫자가 각각 표기되고 상기 시계 그림판 상의 어느 한 지점을 각각 지시하는 제1여행자 캐릭터(15)와 제2여행자 캐릭터(16)가 표기된다.
상기 제2레벨 시계학습부재(31-34)를 이용하게 되면, 시계 그림판에서 작은 바늘(시침)을 의미하는 제 1여행자 캐릭터(15), 큰 바늘(분침)을 의미하는 제2여행자 캐릭터(16)를 학습시키고, 이러한 제1여행자 캐릭터(15)와 제2여행자 캐릭터(16)는 시계나라를 각각 여행하는 난장이와 키다리로 설정하고, 난장이와 키다리 가 시계 그림판 상에서 달리기 시합을 한다고 설정하여 시간과 분을 학습시킬 수 있을 것이다. 즉, 난장이와 키다리가 누가 더 빠른지 알기 위해 12시 위치에서부터 달리기 시합을 하면 난장이가 땀을 뻘뻘 흘리면서 달려서 1시에 도착하면 키다리는 벌써 한 바퀴를 돌아서 도착지(12시)에 도착해 있고, 다시 난장이가 억울해서 키다리의 출발점(12시)보다 더 앞서 있는 1시부터 다시 출발해서 2시에 도착해도 키다리는 벌써 12시의 도착지점에 도착해 있고, 이런 단계를 반복한 결과 난장이는 다리가 짧고 키다리는 다리가 길어서 난장이가 한번 갈 때 키다리는 한바퀴를 간다는 것을 설명하는 것으로 분침과 시침에 대한 기본 개념을 학습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은 방식의 학습을 실시한 이후에 마지막으로 도 4의 (a) 내지 (d)에 예시된 바와 같이, 12등분된 시계 그림판에 제1여행자 캐릭터(15)와 제2여행자 캐릭터(16)가 표기된 제3레벨 시계학습부재(41-44)를 이용하여 시간 및 분을 학습한 후 하루 24시간의 개념을 학습시킨다. 즉 시계가 똑같이 8 시를 가르쳐도 아침 8시도 있고 저녁 8시도 있다는 개념을 학습시킨다. 이와 같은 학습은 초보 학습자가 아침에 왔을 때 그리고 시간이 지나서 다시 저녁의 동일한 시간을 시계가 나타날 때를 반복하여 학습시켜서 시계를 볼 줄 알고, 시간과 분을 이해하며, 하루 더 나아가서 주간 및 월 그리고 계절 및 1 년을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시계학습방법 및 학습구는 초보학습자가 시계여행을 할 때 아이들이 좋아하는 과자와 관련하여 여행시 과자를 먹으면서 다음의 도착지로 간다는 개 념에 의해 시간을 학습하고, 더 나아가서 난쟁이와 키다리의 달리기 게임에 의해 시간과 분을 학습하는 방식에 의해 초보학습자가 흥미를 갖고 시간과 분의 개념을 확실히 학습하여 시계를 매우 간단히 학습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한다.

Claims (7)

  1. 시와 분이 눈금으로 구분되어 표기된 시계 그림판을 학습 교구로 사용하는 시계학습교구에 있어서,
    상기 시계 그림판의 12등분된 각 영역의 경계에 해당 지점의 시간 또는 분을 나타내는 숫자가 표기되고 상기 시계 그림판 상의 어느 한 지점을 지시하는 제1여행자 캐릭터 또는 제2여행자 캐릭터가 표기된, 다수의 제1레벨 시계학습부재;
    상기 시계 그림판의 12등분된 각 영역의 경계에 해당 지점의 시간과 분을 나타내는 숫자가 각각 표기되고 상기 시계 그림판 상의 어느 한 지점을 각각 지시하는 제1여행자 캐릭터와 제2여행자 캐릭터가 표기된, 다수의 제2레벨 시계학습부재;
    상기 시계 그림판의 12등분된 각 영역의 경계에 해당 지점의 시간을 나타내는 숫자가 표기되고 상기 시계 그림판 상의 어느 한 지점을 각각 지시하는 시침과 분침이 표기된, 다수의 제3레벨 시계학습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학습교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벨 시계학습부재는,
    상기 시계 그림판의 4등분된 각 영역의 경계에 해당 지점의 시간을 나타내는 숫자가 표기되고 상기 시계 그림판 상의 어느 한 지점을 지시하는 제1여행자 캐릭터가 표기된, 다수의 초기레벨 시계학습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게학습교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벨 시계학습부재는,
    상기 여행자 캐릭터가 현재 지시하고 있는 시간 또는 분의 숫자를 들고 있거나 해당 시간 또는 분의 숫자 모양 과자를 먹는 상태로 상기 각 행자 캐릭터가 표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학습교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레벨 시계학습부재는,
    상기 시간을 나타내는 숫자가 표기된 영역의 외곽에 해당 지점의 분을 나타내는 숫자가 함께 표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학습교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레벨 시계학습부재는,
    제1여행자 캐릭터와 제2여행자 캐릭터가 다른 색깔 또는 모양 또는 크기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분되어 표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학습교구.
  6. 삭제
  7. 삭제
KR1020060049718A 2006-06-02 2006-06-02 시계 학습교구 및 그것을 이용한 단계별 시계교육방법 KR1006801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9718A KR100680163B1 (ko) 2006-06-02 2006-06-02 시계 학습교구 및 그것을 이용한 단계별 시계교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9718A KR100680163B1 (ko) 2006-06-02 2006-06-02 시계 학습교구 및 그것을 이용한 단계별 시계교육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0163B1 true KR100680163B1 (ko) 2007-02-09

Family

ID=38105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9718A KR100680163B1 (ko) 2006-06-02 2006-06-02 시계 학습교구 및 그것을 이용한 단계별 시계교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01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044Y1 (ko) 2011-08-29 2013-01-30 황재숙 시계 학습 교구
US9471039B2 (en) 2012-06-26 2016-10-18 Tae Hyun Kim Watch having gears for observa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044Y1 (ko) 2011-08-29 2013-01-30 황재숙 시계 학습 교구
US9471039B2 (en) 2012-06-26 2016-10-18 Tae Hyun Kim Watch having gears for observ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29497A (en) Apparatus for teaching the addition and subtraction of whole numbers through the use of objects
US3302310A (en) Teaching device
US8398080B2 (en) Apparatus useful as a toy, puzzle or as an educational device
US3813471A (en) Spell and learn educational toy
KR100680163B1 (ko) 시계 학습교구 및 그것을 이용한 단계별 시계교육방법
KR101153247B1 (ko) 한자학습교재
JP6413133B1 (ja) 音価とリズムの教材
KR102396657B1 (ko) 카드식 수학 교구 유닛
US20030208918A1 (en) Teaching aid for teaching addition and subtraction
US20220044592A1 (en) Scripor alphabet - method for representing colors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blind people
KR20090006130U (ko) 영어학습용 교구
KR200411235Y1 (ko) 시계 학습교구
US9836981B2 (en) Puzzle teaching system
KR200260799Y1 (ko) 유아 수학 교육용 교구
KR200266958Y1 (ko) 문자 교습구
Kirkwood Integrating an interdisciplinary unit in middle school: a school-university partnership
KR200424041Y1 (ko) 시계 학습교구
KR100477117B1 (ko) 구구법 교구
Lantz et al. The effectiveness of Mathematical manipulatives in one-on-one intervention for third and fourth grade students
JP3166872U (ja) 学習用カード
JP3139060U (ja) 算数学習用カードおよび算数学習用カード集合体
JP2022079885A (ja) 地理学習システム
Joo A Summer of Discovery at Filipino Cultural School
Jacobs Another Look at the Three R's
KR200291748Y1 (ko) 수학풀이 교육용 학습교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