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9509B1 - 송전선 인장변형 길이 조정기능을 가진 송전선 장력 유지조립체 - Google Patents

송전선 인장변형 길이 조정기능을 가진 송전선 장력 유지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9509B1
KR100679509B1 KR1020060073915A KR20060073915A KR100679509B1 KR 100679509 B1 KR100679509 B1 KR 100679509B1 KR 1020060073915 A KR1020060073915 A KR 1020060073915A KR 20060073915 A KR20060073915 A KR 20060073915A KR 100679509 B1 KR100679509 B1 KR 100679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membrane
transmission line
tension
power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3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기홍
Original Assignee
(주) 청화종합감리공단 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청화종합감리공단 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 청화종합감리공단 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60073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95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9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95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covered by H02G
    • H02G2200/30Tools for installing cables comprising a spirit level

Landscapes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전선 인장변형 길이 조정기능을 가지며, 송전선의 장력을 유지해주고, 손상된 부재만을 교체해서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송전선 인장변형 길이 조정기능을 가진 송전선 장력 유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송전선로의 내장 애자 장치(1000) 사이에 형성되며, 송전선 자체 하중에 의한 처짐으로 인한 인장변형을 조정해 주도록 형성되며, 원통형의 드럼으로 형성되는 바깥 드럼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바깥 드럼부(200)의 안쪽에 형성되는 원통형의 드럼으로 형성되되 상기 바깥 드럼부(200)에 대하여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안쪽 드럼부(300)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드럼부(100), 상기 바깥 드럼부(200) 마구리면에 형성된 원형 홈과 상기 안쪽 드럼부(300) 마구리면에 형성된 원형 홈에 끼워 고정시켜 주어서 상기 안쪽 드럼부(300)가 상기 바깥 드럼부(200)에 대해 고정된 위치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두 번 절곡 되어 형성되는 선형부재로 길이방향으로 볼 때 알파벳 "C"자형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드럼 고정부(900), 그 내부에 복수 개의 선형부재를 포함하는 막형 부재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막형부재는 안쪽 드럼부(300)에 감겨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바깥 드럼부(200)를 관통하여 상기 바깥 드럼부(200) 좌우 양쪽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드럼막부(800), 송전선의 장력을 유지해주도록 형성되며, 원통형의 몸체인 장력유지부 몸체부(510)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그 한쪽 단부는 상기 드럼막부(800)의 단부와 연결되고, 다른 쪽 단부는 상기 내장 애자 장치(1000)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장력유지부(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송전선 인장변형 길이 조정기능을 가진 송전선 장력 유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송전선.

Description

송전선 인장변형 길이 조정기능을 가진 송전선 장력 유지 조립체{Power line tensile force sustenance assembly with the adjustment function of tensile deformation length for a power line}
도 1은 본 발명 송전선 인장변형 길이 조정기능을 가진 송전선 장력 유지 조립체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송전선 인장변형 길이 조정기능을 가진 송전선 장력 유지 조립체의 구성요소인 드럼부(100), 드럼 고정부(900), 드럼막부(80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송전선 인장변형 길이 조정기능을 가진 송전선 장력 유지 조립체의 구성요소인 안쪽 드럼부(300), 드럼막부(80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본 발명 송전선 인장변형 길이 조정기능을 가진 송전선 장력 유지 조립체의 구성요소인 장력유지부(50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드럼부 200 : 바깥 드럼부
210 : 바깥 드럼 몸체부 280 : 바깥 드럼 고정홈부
290 : 손잡이부
300 : 안쪽 드럼부 310 : 안쪽 드럼 몸체부
312 : 드럼막 출입 개구부 360 : 드럼막 고정부
370 : 육각 렌치 삽입부 380 : 안쪽 드럼 홈부
500 : 장력유지부 510 : 장력유지부 몸체부
520 : 마구리판 550 : 내부 이동판
560 : 탄성체 570 : 드럼부 연결부
580 : 애자 연결부
800 : 드럼막부 810 : 드럼 막
820 : 막 단부봉 850 : 장력 유지부 연결부
860 : 드럼막내 선형부재부 900 : 드럼 고정부
1000 : 내장 애자 장치
본 발명은 송전선 인장변형 길이 조정기능을 가진 송전선 장력 유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송전선로의 내장 애자 장치(1000) 사이에 형성되며, 송전선 자체 하중에 의한 처짐으로 인한 인장변형을 조정해 주도록 형성되며, 원통형의 드럼으로 형성되는 바깥 드럼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바깥 드럼부(200)의 안쪽에 형성되는 원통형의 드럼으로 형성되되 상기 바깥 드럼부(200)에 대하여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안쪽 드럼부(300)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드럼부(100), 상기 바깥 드럼부(200) 마구리면에 형성된 원형 홈과 상기 안쪽 드럼부(300) 마구리면에 형성된 원형 홈에 끼워 고정시켜 주어서 상기 안쪽 드럼부(300)가 상기 바깥 드럼부(200)에 대해 고정된 위치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두 번 절곡 되어 형성되는 선형부재로 길이방향으로 볼 때 알파벳 "C"자형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드럼 고정부(900), 그 내부에 복수 개의 선형부재를 포함하는 막형 부재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막형부재는 안쪽 드럼부(300)에 감겨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바깥 드럼부(200)를 관통하여 상기 바깥 드럼부(200) 좌우 양쪽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드럼막부(800), 송전선의 장력을 유지해주도록 형성되며, 원통형의 몸체인 장력유지부 몸체부(510)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그 한쪽 단부는 상기 드럼막부(800)의 단부와 연결되고, 다른 쪽 단부는 상기 내장 애자 장치(1000)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장력유지부(500)를 포함하며,
본 발명은 송전선 인장변형 길이 조정기능을 가지며, 송전선의 장력을 유지해주고, 손상된 부재만을 교체해서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송전선 인장변형 길이 조정기능을 가진 송전선 장력 유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송전선로는 지면으로 부터 수직한 수직부재인 송전탑에 선형부재인 송전선이 걸쳐진 구조로 지면으로 부터 상기 송전선을 격리시키기 위한 구조이다.
오랜 기간이 지나면, 송전선의 자중에 의한 처짐에 의해 인장력이 작용하여 길이가 늘어나 인장변형된 송전선이 생긴다.
만약 송전선 인장변형 길이 조정기능을 가진 장치가 있다면 바람직하겠다.
또한 순간적으로 풍력이나 지진력에 의해 송전선로들이 흔들리게 될 경우에 는 장력이 유지되기 힘들어서 송전선로가 파손될 수 있다.
만약 송전선의 장력을 유지해주는 장치가 있다면 바람직하겠다.
또한, 만약 손상된 부재만을 교체해서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치가 있다면 바람직하겠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송전선 인장변형 길이 조정기능을 가진 송전선 장력 유지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송전선의 장력을 유지해주는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손상된 부재만을 교체해서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송전선 인장변형 길이 조정기능을 가진 송전선 장력 유지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송전선 인장변형 길이 조정기능을 가진 송전선 장력 유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드럼부(100), 드럼 고정부(900), 드럼막부(800), 장력유지부(5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송전선로의 내장 애자 장치(1000) 사이에 형성되며, 송전선 자체 하중에 의한 처짐으로 인한 인장변형을 조정해 주도록 형성되며, 원통형의 드럼으로 형성되는 바깥 드럼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바깥 드럼부(200)의 안쪽에 형성되는 원통형의 드럼으로 형성되되 상기 바깥 드럼부(200)에 대하여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안쪽 드럼부(300)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드럼부(100), 상기 바깥 드럼부(200) 마구리면에 형성된 원형 홈과 상기 안쪽 드럼부(300) 마구리면에 형성된 원형 홈에 끼워 고정시켜 주어서 상기 안쪽 드럼부(300)가 상기 바깥 드럼부(200)에 대해 고정된 위치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두 번 절곡 되어 형성되는 선형부재로 길이방향으로 볼 때 알파벳 "C"자형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드럼 고정부(900), 그 내부에 복수 개의 선형부재를 포함하는 막형 부재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막형부재는 안쪽 드럼부(300)에 감겨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바깥 드럼부(200)를 관통하여 상기 바깥 드럼부(200) 좌우 양쪽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드럼막부(800), 송전선의 장력을 유지해주도록 형성되며, 원통형의 몸체인 장력유지부 몸체부(510)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그 한쪽 단부는 상기 드럼막부(800)의 단부와 연결되고, 다른 쪽 단부는 상기 내장 애자 장치(1000)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장력유지부(500)를 포함한다.
첨부한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도는 본 발명 송전선 인장변형 길이 조정기능을 가진 송전선 장력 유지 조립체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제 2도는 본 발명 송전선 인장변형 길이 조정기능을 가진 송전선 장력 유지 조립체의 구성요소인 드럼부(100), 드럼 고정부(900), 드럼막부(80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제 3도는 본 발명 송전선 인장변형 길이 조정기능을 가진 송전선 장력 유지 조립체의 구성요소인 안쪽 드럼부(300), 드럼막부(80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제 4도는 본 발명 본 발명 송전선 인장변형 길이 조정기능을 가진 송전선 장 력 유지 조립체의 구성요소인 장력유지부(50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송전선로의 내장 애자 장치(1000) 사이에 형성되며, 송전선 자체 하중에 의한 처짐으로 인한 인장변형을 조정해 주도록 형성되며, 원통형의 드럼으로 형성되는 바깥 드럼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바깥 드럼부(200)의 안쪽에 형성되는 원통형의 드럼으로 형성되되 상기 바깥 드럼부(200)에 대하여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안쪽 드럼부(300)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드럼부(100), 상기 바깥 드럼부(200) 마구리면에 형성된 원형 홈과 상기 안쪽 드럼부(300) 마구리면에 형성된 원형 홈에 끼워 고정시켜 주어서 상기 안쪽 드럼부(300)가 상기 바깥 드럼부(200)에 대해 고정된 위치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두 번 절곡 되어 형성되는 선형부재로 길이방향으로 볼 때 알파벳 "C"자형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드럼 고정부(900), 그 내부에 복수 개의 선형부재를 포함하는 막형 부재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막형부재는 안쪽 드럼부(300)에 감겨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바깥 드럼부(200)를 관통하여 상기 바깥 드럼부(200) 좌우 양쪽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드럼막부(800), 송전선의 장력을 유지해주도록 형성되며, 원통형의 몸체인 장력유지부 몸체부(510)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그 한쪽 단부는 상기 드럼막부(800)의 단부와 연결되고, 다른 쪽 단부는 상기 내장 애자 장치(1000)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장력유지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바깥 드럼부(200)에 대하여 상기 안쪽 드럼부(300)는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형성되는데, 이 방향은 상기 드럼막부(800)가 상기 드럼부(100) 안으로 감겨지는 방향이다. 이를 위해 상기 안쪽 드럼부(300) 내부에 맞물림 기어가 형성 될 수 있고 일방향 라체트치, 라체트폴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드럼부(100)의 상기 안쪽 드럼부(300)는 원통형 부재로 형성되되 상기 드럼막부(800)의 막형부재가 감겨지는 몸체인 안쪽 드럼 몸체부(310)에 상기 드럼막부(800)의 두 개의 막형부재를 고정시켜 주도록 형성되는 두 개의 드럼막 고정부(360), 상기 안쪽 드럼 몸체부(310)의 마구리면의 중앙부위가 돌출된 부위에 형성되며 상기 안쪽 드럼부(300)를 회전시키기 위한 육각 렌치가 삽입되도록 육각형홈으로 형성되는 육각 렌치 삽입부(370), 상기 육각 렌치 삽입부(370) 주위로 상기 드럼 고정부(900)를 꼽아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원형 홈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안쪽 드럼 홈부(38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드럼부(100)의 상기 바깥 드럼부(200)는 속이 빈 원통형 부재로 형성되되 상기 바깥 드럼부(200)의 몸체인 바깥 드럼 몸체부(210)의 부위 중 원통의 부재의 높이 방향으로 기다랗게 관통구가 형성되어 상기 드럼막부(800)의 막형부재가 출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드럼막 출입 개구부(312), 상기 바깥 드럼 몸체부(210) 마구리면에 형성되며, 상기 드럼 고정부(900)를 꼽아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원형 홈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바깥 드럼 고정홈부(280), 상기 드럼부(100)를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 부재로 형성되되 상기 바깥 드럼 몸체부(210) 표면에 형성되는 손잡이부(29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드럼막부(800)는 막형 부재로 형성되며, 그 한쪽 단부는 상기 안쪽 드럼부(300)에 고정되되 상기 안쪽 드럼부(300)에서 두 개가 서로 마주보고 있도록 감겨 형성되는 두 개의 드럼 막(810), 상기 드럼 막(810)의 다른 쪽 단부로 형성되 며, 봉형 부재로 형성되는 막 단부봉(820), 선형 부재로 형성되며, 그 한쪽 단부는 상기 안쪽 드럼부(300)에 고정되되 상기 두 개의 드럼 막(810) 내부를 거쳐 상기 막 단부봉(820)을 관통하여 드럼 막(810) 밖으로 연장되어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그 다른 쪽 단부는 상기 장력유지부(500)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장력 유지부 연결부(850)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복수 개의 드럼막내 선형부재부(86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드럼부(100), 상기 드럼막부(800)는 오랜 기간에 걸친 송전선의 자중에 의한 처짐에 의해 인장력이 작용하여 길이가 늘어나 인장변형된 송전선을 어느 정도 당겨 줄 수 있으므로, 송전선 인장변형 길이 조정기능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송전선 인장변형 길이 조정기능을 가진 송전선 장력 유지 조립체를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상기 내용 중 송전선을 어느 정도 당겨 주는 방법은 상기 드럼부(100)내부로 상기 드럼막부(800)를 감아 주는 방식으로 상기 송전선을 당겨주게 된다.
상기 드럼부(100) 내부로 상기 드럼막부(800)를 감아 주는 방법은, 상기 드럼 고정부(900)를 분리해 내는 제 1단계, 육각 렌치를 상기 육각 렌치 삽입부(370)에 삽입하고 상기 드럼막부(800)를 감아주는 제 2단계, 상기 드럼 고정부(900)를 다시 고정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장력유지부(500)는 상기 장력유지부(500)의 원통형의 몸체인 장력유지부 몸체부(510)의 내부에서 움직이게 되는 두 개의 원형 판형부재로 형성되되 상기 두 개의 원형 판형부재 사이에는 복수 개의 탄성체(560)가 상기 두 개의 원형 판형 부재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상기 두 개의 원형 판형부재인 내부 이동판(550), 선형부재로 형성되며, 한 쪽 단부는 두 개의 상기 내부 이동판(550) 중 상기 내장 애자 장치(1000) 쪽의 상기 내부 이동판(550)과 결합되도록 형성되며, 다른 쪽 단부는 상기 장력유지부 몸체부(510)의 마구리면인 마구리판(520)을 관통하여 상기 내장 애자 장치(1000)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애자 연결부(580), 선형부재로 형성되며, 한 쪽 단부는 두 개의 상기 내부 이동판(550) 중 상기 드럼부(100) 쪽의 상기 내부 이동판(550)과 결합되도록 형성되며, 다른 쪽 단부는 상기 장력유지부 몸체부(510)의 마구리면인 마구리판(520)을 관통하여 상기 드럼부(100)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드럼부 연결부(57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용과 같이 상기 장력유지부(500)는 순간적으로 풍력이나 지진력에 의해 송전선로들이 흔들리게 될 경우, 상기 탄성체(560)의 작용으로 장력을 유지해 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송전선의 장력을 유지해주는 조립체를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상기 탄성체(560)는 용수철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체도 오랜 시간이 지나면 소성변형이 되어 탄성력을 잃을 수 있으며, 상기 드럼부(100), 상기 드럼막부(800)도 손상될 수 있다.
본 발명 송전선 인장변형 길이 조정기능을 가진 송전선 장력 유지 조립체는 조립체를 분해하거나 조립할 수 있으므로, 손상된 부재만을 교체해서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손상된 부재만을 교체해서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송전선 인장변형 길이 조정기능을 가진 송전선 장력 유지 조립체를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본 발명으로 송전선 인장변형 길이 조정기능을 가진 송전선 장력 유지 조립체를 제공하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으로 송전선의 장력을 유지해주는 조립체를 제공하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으로 손상된 부재만을 교체해서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송전선 인장변형 길이 조정기능을 가진 송전선 장력 유지 조립체를 제공하게 되었다.

Claims (5)

  1. 송전선로의 내장 애자 장치(1000) 사이에 형성되며, 송전선 자체 하중에 의한 처짐으로 인한 인장변형을 조정해 주도록 형성되며, 원통형의 드럼으로 형성되는 바깥 드럼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바깥 드럼부(200)의 안쪽에 형성되는 원통형의 드럼으로 형성되되 상기 바깥 드럼부(200)에 대하여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안쪽 드럼부(300)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드럼부(100);
    상기 바깥 드럼부(200) 마구리면에 형성된 원형 홈과 상기 안쪽 드럼부(300) 마구리면에 형성된 원형 홈에 끼워 고정시켜 주어서 상기 안쪽 드럼부(300)가 상기 바깥 드럼부(200)에 대해 고정된 위치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두 번 절곡 되어 형성되는 선형부재로 길이방향으로 볼 때 알파벳 "C"자형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드럼 고정부(900);
    그 내부에 복수 개의 선형부재를 포함하는 막형 부재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막형부재는 안쪽 드럼부(300)에 감겨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바깥 드럼부(200)를 관통하여 상기 바깥 드럼부(200) 좌우 양쪽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드럼막부(800);
    송전선의 장력을 유지해주도록 형성되며, 원통형의 몸체인 장력유지부 몸체부(510)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그 한쪽 단부는 상기 드럼막부(800)의 단부와 연결되고, 다른 쪽 단부는 상기 내장 애자 장치(1000)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장력유지부(5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송전선 인장변형 길이 조정기능을 가진 송전선 장력 유지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부(100)의 상기 안쪽 드럼부(300)는
    원통형 부재로 형성되되 상기 드럼막부(800)의 막형부재가 감겨지는 몸체인 안쪽 드럼 몸체부(310)에 상기 드럼막부(800)의 두 개의 막형부재를 고정시켜 주도록 형성되는 두 개의 드럼막 고정부(360);
    상기 안쪽 드럼 몸체부(310)의 마구리면의 중앙부위가 돌출된 부위에 형성되며 상기 안쪽 드럼부(300)를 회전시키기 위한 육각 렌치가 삽입되도록 육각형홈으로 형성되는 육각 렌치 삽입부(370);
    상기 육각 렌치 삽입부(370) 주위로 상기 드럼 고정부(900)를 꼽아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원형 홈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안쪽 드럼 홈부(380);
    를 포함하는 안쪽 드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 인장변형 길이 조정기능을 가진 송전선 장력 유지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부(100)의 상기 바깥 드럼부(200)는
    속이 빈 원통형 부재로 형성되되 상기 바깥 드럼부(200)의 몸체인 바깥 드럼 몸체부(210)의 부위 중 원통의 부재의 높이 방향으로 기다랗게 관통구가 형성되어 상기 드럼막부(800)의 막형부재가 출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드럼막 출입 개구부(312);
    상기 바깥 드럼 몸체부(210) 마구리면에 형성되며, 상기 드럼 고정부(900)를 꼽아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원형 홈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바깥 드럼 고정홈부(280);
    상기 드럼부(100)를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 부재로 형성되되 상기 바깥 드럼 몸체부(210) 표면에 형성되는 손잡이부(290);
    를 포함하는 바깥 드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 인장변형 길이 조정기능을 가진 송전선 장력 유지 조립체.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막부(800)는
    막형 부재로 형성되며, 그 한쪽 단부는 상기 안쪽 드럼부(300)에 고정되되 상기 안쪽 드럼부(300)에서 두 개가 서로 마주보고 있도록 감겨 형성되는 두 개의 드럼 막(810);
    상기 드럼 막(810)의 다른 쪽 단부로 형성되며, 봉형 부재로 형성되는 막 단부봉(820);
    선형 부재로 형성되며, 그 한쪽 단부는 상기 안쪽 드럼부(300)에 고정되되 상기 두 개의 드럼 막(810) 내부를 거쳐 상기 막 단부봉(820)을 관통하여 드럼 막(810) 밖으로 연장되어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그 다른 쪽 단부는 상기 장력유지부(500)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장력 유지부 연결부(850)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복수 개의 드럼막내 선형부재부(860);
    를 포함하는 드럼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 인장변형 길이 조정기능 을 가진 송전선 장력 유지 조립체.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유지부(500)는
    상기 장력유지부(500)의 원통형의 몸체인 장력유지부 몸체부(510)의 내부에서 움직이게 되는 두 개의 원형 판형부재로 형성되되 상기 두 개의 원형 판형부재 사이에는 복수 개의 탄성체(560)가 상기 두 개의 원형 판형부재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상기 두 개의 원형 판형부재인 내부 이동판(550);
    선형부재로 형성되며, 한 쪽 단부는 두 개의 상기 내부 이동판(550) 중 상기 내장 애자 장치(1000) 쪽의 상기 내부 이동판(550)과 결합되도록 형성되며, 다른 쪽 단부는 상기 장력유지부 몸체부(510)의 마구리면인 마구리판(520)을 관통하여 상기 내장 애자 장치(1000)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애자 연결부(580);
    선형부재로 형성되며, 한 쪽 단부는 두 개의 상기 내부 이동판(550) 중 상기 드럼부(100) 쪽의 상기 내부 이동판(550)과 결합되도록 형성되며, 다른 쪽 단부는 상기 장력유지부 몸체부(510)의 마구리면인 마구리판(520)을 관통하여 상기 드럼부(100)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드럼부 연결부(570);
    를 포함하는 장력유지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 인장변형 길이 조정기능을 가진 송전선 장력 유지 조립체.
KR1020060073915A 2006-08-04 2006-08-04 송전선 인장변형 길이 조정기능을 가진 송전선 장력 유지조립체 KR1006795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3915A KR100679509B1 (ko) 2006-08-04 2006-08-04 송전선 인장변형 길이 조정기능을 가진 송전선 장력 유지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3915A KR100679509B1 (ko) 2006-08-04 2006-08-04 송전선 인장변형 길이 조정기능을 가진 송전선 장력 유지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9509B1 true KR100679509B1 (ko) 2007-02-06

Family

ID=38105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3915A KR100679509B1 (ko) 2006-08-04 2006-08-04 송전선 인장변형 길이 조정기능을 가진 송전선 장력 유지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950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0526B1 (ko) 2009-08-07 2009-12-09 주식회사 진화기술공사 송전 철탑용 선로 장력유지장치
KR100931366B1 (ko) 2009-09-14 2009-12-11 김기문 가공전선의 인출 고정식 특고압 송전선로
KR100932209B1 (ko) 2009-09-11 2009-12-16 이삼종 가공송전선의 길이변화에 따른 장력조절 완철
KR101943372B1 (ko) * 2018-09-07 2019-04-17 주식회사 무영씨엠건축사사무소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차단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7938Y1 (ko) * 1986-11-07 1989-11-10 동양정밀공업주식회사 케이블 이완을 위한 보정장치
KR19980033616U (ko) * 1996-12-09 1998-09-05 김종진 이동설비용 릴 케이블(Reel Cable)의 과다 장력 방지장치
KR20000053151A (ko) * 1996-11-08 2000-08-25 피스테레 에세.알.엘. 인장력을 받는 케이블의 길이변화를 실질적으로 일정한 장력으로 보상하는 장치
KR20040071435A (ko) * 2003-02-06 2004-08-12 (주)케이돔엔지니어링 구조용 케이블의 유지보수와 신설을 겸한 장력 측정 및조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7938Y1 (ko) * 1986-11-07 1989-11-10 동양정밀공업주식회사 케이블 이완을 위한 보정장치
KR20000053151A (ko) * 1996-11-08 2000-08-25 피스테레 에세.알.엘. 인장력을 받는 케이블의 길이변화를 실질적으로 일정한 장력으로 보상하는 장치
KR19980033616U (ko) * 1996-12-09 1998-09-05 김종진 이동설비용 릴 케이블(Reel Cable)의 과다 장력 방지장치
KR20040071435A (ko) * 2003-02-06 2004-08-12 (주)케이돔엔지니어링 구조용 케이블의 유지보수와 신설을 겸한 장력 측정 및조정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0526B1 (ko) 2009-08-07 2009-12-09 주식회사 진화기술공사 송전 철탑용 선로 장력유지장치
KR100932209B1 (ko) 2009-09-11 2009-12-16 이삼종 가공송전선의 길이변화에 따른 장력조절 완철
KR100931366B1 (ko) 2009-09-14 2009-12-11 김기문 가공전선의 인출 고정식 특고압 송전선로
KR101943372B1 (ko) * 2018-09-07 2019-04-17 주식회사 무영씨엠건축사사무소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차단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9509B1 (ko) 송전선 인장변형 길이 조정기능을 가진 송전선 장력 유지조립체
US20070017689A1 (en) Cable connector
HK1052958A1 (en) High tensile bolt connection structure, method of fixing nut for the structure, torsia high tensile bolt, and connection method using the torsia high tension bolt
DE102011083028A1 (de) Baugruppe zur Montage eines Dehnungsmesselements auf einem Messobjekt
DE102015004183A1 (de) Montagestab
EP1745825A1 (de) Multifunktionales Übungsgerät
WO2015014516A1 (de) Pressengestell
US9382757B1 (en) Blind pull
CA2581742A1 (en) Net guide for wire screen and wire screen apparatus having the same
DE102006021555B4 (de) Vorrichtung zum Abhängen eines elektrischen Gerätes
DE19752428B4 (de) Rollensprosse eines Kabelbetts
WO2002017455A1 (de) Vorrichtung zur führung eines bedingt auf schub belastbaren elementes
EP2649902A2 (de) Teleskophalter mit Klemmeinrichtung
DE202021100253U1 (de) Slackline-Vorrichtung
EP1886856A8 (en) Sun shade apparatus
DE60116750T2 (de) Werkzeug zur verwendung als mittel zum greifen eines oder mehrerer objekte
EP2198100B1 (en) A post and a structure comprising a post
DE102016225416A1 (de) Verfahren zum Installieren eines Spannelements in einem Ankerblock, Halterung, insbesondere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und Kombination einer Halterung mit einem Spannelement
DE102017124816B4 (de) Halterung für Anzeigevorrichtung
AT509685B1 (de) Glasaufnahmeprofil mit sicherungselement
US1097590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racing a load
US20220065036A1 (en) A pull across roll up screen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y
EP1260718B1 (de) Bauelement
CN217957559U (zh) 一种电气导轨安装结构
CN210639810U (zh) 一种便携式户外教学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