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1366B1 - 가공전선의 인출 고정식 특고압 송전선로 - Google Patents

가공전선의 인출 고정식 특고압 송전선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1366B1
KR100931366B1 KR1020090086612A KR20090086612A KR100931366B1 KR 100931366 B1 KR100931366 B1 KR 100931366B1 KR 1020090086612 A KR1020090086612 A KR 1020090086612A KR 20090086612 A KR20090086612 A KR 20090086612A KR 100931366 B1 KR100931366 B1 KR 1009313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ixed
rotation
screw shaf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6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문
Original Assignee
김기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문 filed Critical 김기문
Priority to KR1020090086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13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1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1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공전선의 인출 고정식 특고압 송전선로에 관한 것으로, 사각 파이프형상으로 구성되어 전신주의 상부 측면에 고정되는 지지프레임과, 지지프레임에 상하방향으로 결합된 지지축과, 지지축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브라켓과, 걸림부를 구비하여 브라켓의 결합공의 둘레부에 걸리도록 연결된 연결로드와, 연결로드에 고정되는 애자본체와, 애자본체의 선단에 연결되는 가공전선을 포함하는 가공전선의 인출 고정식 특고압 송전선로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에 내설되어, 가공전선의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연결로드를 일방향으로 탄발지지하는 용수철이 포함되며, 또한, 지지프레임은 전신주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과, 고정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일측에 지지축이 구비되는 회동프레임으로 구성되고, 고정프레임과 회동프레임에 연결되어 회전에 의해 회동프레임을 전후진시키는 나사축과; 나사축에 연결되며, 입력축에는 스프로켓이 구비된 감속기와; 전신주의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회전축에는 스프로켓이 구비된 핸들과; 감속기와 핸들의 스프로켓을 연결하는 체인과; 나사축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회동프레임이 회동시 나사축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와; 이탈방지부에 설치되어, 회동프레임의 접촉을 감지하는 접촉감지부와; 접촉감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감지 신호에 따라 동작하고, 전원장치가 구비된 경고등을 더 포함하여, 핸들의 회전에 따라 회동프레임을 회동시킴으로써 가공전선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이탈방지부 및 경고등이 더 구비됨으로써, 작업자가 가공전선의 장력을 조절할 때 회동프레임이 나사축으로부터 이탈되는 일 없이 안전하게 가공전선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또한, 핸들이 전신주의 하측에 구비되므로, 작업자가 전신주를 올라가지 않고 지상에서 가공전선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송전선로, 가공 전선, 애자, 장력조절

Description

가공전선의 인출 고정식 특고압 송전선로{POWER TRANSMISSION CABLE LINE}
본 발명은 계절의 변화 또는 기타 이유로 가공전선의 길이가 변화되면 가공전선의 장력을 조절하여, 가공전선이 바람 등에 의해 유동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새로운 구조의 가공전선의 인출 고정식 특고압 송전선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공전선의 인출 고정식 특고압 송전선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 파이프형상으로 구성되어 전신주(1)의 상부 측면에 고정되는 지지프레임(10)과, 지지프레임(10)에 상하방향으로 결합된 지지축(20)과, 지지축(2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브라켓(30)과, 브라켓(30)에 연결된 연결로드(40)와, 연결로드(40)에 고정되는 애자본체(2)와, 애자본체(2)의 선단에 연결되는 가공전선(3)을 포함한다.
상기 브라켓(30)은 금속판을 절곡하여 후방으로 연장된 상하부 연장판(31)을 갖도록 구성된 것으로, 전면 중앙부에는 연결로드(40)가 삽입되는 결합공(32)이 형성되며, 상하부 연장판(31)이 지지축(20)에 의해 지지프레임(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연결로드(40)는 결합공(32)의 둘레부에 걸리는 걸림부(41)가 후단부에 형성된 것으로, 브라켓(30)의 결합공(32)을 후방에서 전방으로 관통하도록 결합되며, 그 선단부에 애자본체(2)가 결합되어, 애자본체(2)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결합공(32)은 충분히 넓게 형성되어, 연결로드(40)가 상하 및 수평방향으로 회동 됨으로써, 바람 등에 의해 가공전선(3)이 요동칠 때, 연결로드(40)와 애자본체(2)가 가공전선(3)에 추종하여 회동 됨으로써,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송전선로는 가공전선(3)이 적절히 팽팽해지도록 가공전선(3)의 양단을 적절한 장력으로 당겨지도록 설치되는데, 계절의 변화 또는 기타 이유로 가공전선(3)의 길이가 늘어나서 규정이상 하측으로 처지게 되거나, 또는 가공전선의 길이가 줄어들어 가공전선이 너무 팽팽하게 연결되는 경우가 발생되었다. 이에 따라 가공전선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장비가 구비된 송전선로가 개발되었다.
그런데, 가공전선의 장력을 조절하는 경우, 작업자의 실수로 인해 가공전선(3)이 전신주(1)로부터 이탈될 수 있는 위험성이 발생되었다.
또한, 작업자가 직접 전신주(1)에 올라가서 가공전선(3)의 장력을 조절해야하는 번거로운 문제점도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공전선의 장력을 조절할 때 작업자의 실수로 인해서 가공전선이 전신주로부터 이탈되는 일 없이, 안전하게 가공전선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고, 또한, 작업자가 전신주에 직접 오르지 않고도 가공전선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가공전선의 인출 고정식 특고압 송전선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각 파이프형상으로 구성되어 전신주의 상부 측면에 고정되는 지지프레임과, 지지프레임에 상하방향으로 결합된 지지축과, 지지축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브라켓과, 걸림부를 구비하여 브라켓의 결합공의 둘레부에 걸리도록 연결된 연결로드와, 연결로드에 고정되는 애자본체와, 애자본체의 선단에 연결되는 가공전선을 포함하는 가공전선의 인출 고정식 특고압 송전선로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에 내설되어, 가공전선의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연결로드를 일방향으로 탄발지지하는 용수철이 포함되고,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은 전신주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과, 고정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일측에 지지축이 구비되는 회동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프레임과 회동프레임에 연결되어 회전에 의해 회동프레임을 전후진 시키는 나사축과;
상기 나사축에 연결되며, 입력축에는 스프로켓이 구비된 감속기와;
상기 전신주의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회전축에는 스프로켓이 구비된 핸들과;
상기 감속기와 핸들의 스프로켓을 연결하는 체인과;
상기 나사축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회동프레임이 회동시 나사축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와;
상기 이탈방지부에 설치되어, 회동프레임의 접촉을 감지하는 접촉감지부와;
상기 접촉감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감지 신호에 따라 동작하고, 전원장치가 구비된 경고등을 더 포함하여, 상기 핸들의 회전에 따라 회동프레임을 회동시킴으로써 가공전선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탈방지부 및 경고등이 더 구비됨으로써, 작업자가 가공전선의 장력을 조절할 때 회동프레임이 나사축으로부터 이탈되는 일 없이 안전하게 가공전선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연결로드의 걸림부가 용수철을 이용하여 브라켓에 대하여 탄력 지지됨으로써, 연결로드에 고정된 애자본체 및 가공전선에 가해지는 장력을 일차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전신주에 구비된 핸들의 회전에 따라, 감속기에 의해 나사축이 회전되어 회동프레임을 전후진시킴으로써, 회동프레임에 연결된 브라켓과 연결로드 를 밀거나 당겨, 연결로드에 고정된 애자본체 및 가공전선에 가해지는 장력을 이차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가공전선의 고정형 현수애자는, 가공전선이 항상 적절한 장력으로 당겨지도록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핸들은 전신주의 하측에 구비되므로, 작업자가 전신주를 올라가지 않고 지상에서 가공전선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공전선의 인출 고정식 특고압 송전선로는, 사각 파이프형상으로 구성되어 전신주(1)의 상부 측면에 고정되는 지지프레임(10)과, 지지프레임(10)에 상하방향으로 결합된 지지축(20)과, 지지축(2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브라켓(bracket)(30)과, 걸림부(41)를 구비하여 브라켓(30)의 결합공(32)의 둘레부에 걸리도록 연결된 연결로드(40)와, 연결로드(40)에 고정되는 애자본체(2)와, 애자본체(2)의 선단에 연결되는 가공전선(3)을 포함하는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브라켓(30)에 내설되어, 가공전선(3)의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연결로드(40)를 일방향으로 탄발지지하는 용수철(45)이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용수철(45)은 브라켓(30)의 결합공(32)의 둘레부와 걸림부(41) 사이의 연결로드(40)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연결로드(40)에 연결된 애자본체(2) 및 애자본체(2)에 연결된 가공전선(3)은 용수철(45)에 의해 탄발지지되 는 만큼의 힘으로 당겨지므로, 일차적으로 가공전선(3)의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 때, 용수철의 탄력은 사용되는 가공전선의 장력을 고려하여 설정되어야 한다.
한편, 상기 지지프레임(10)은 전신주(1)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11)과, 고정프레임(11)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일측에 지지축(20)이 구비되는 회동프레임(12)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프레임(11)은 고정기구에 의해 전신주(1)의 상단 측면에 고정되며 전면에는 회동프레임(12)이 힌지결합되는 지지부(11a)가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다. 회동프레임(12)은 기단부가 지지부(11a)의 선단에 상하방향의 회전축(12a)에 의해 힌지결합되는 것으로, 지지부(11a)의 양측에 각각 힌지결합되어, 지지프레임(10)의 전체 형상이 H자 형상으로 구성된다. 또한, 회동프레임(12)의 상면에는 지지블록(13)이 상하방향의 회전축(13a)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고정프레임(11)과 회동프레임(12)에 연결되어 회전에 의해 회동프레임(12)을 전후진시키는 나사축(50)과; 나사축(50)에 연결된 감속기(60)와; 전신주(1)의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핸들(70)과; 감속기(60)와 핸들(70)을 상호 연결하는 체인(80)이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나사축(50)은 선단부가 지지블록(13)을 관통하도록 나사결합되며 후단부는 고정프레임(11)에 고정된 감속기(60)의 출력축(62)에 연결되어, 나사축(50)이 회전되면 나사축(50)과 지지블록(13)의 나사작용에 의해 회동프레임(12) 이 밀거나 당겨져 회동되도록 한다.
상기 감속기(60)는 회전축(60a)에 의해 고정프레임(11)의 상면에 좌우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장착된 것으로, 출력축(62)은 나사축(50)의 후단에 연결되며, 입력축(61)에는 체인(80)이 결합되는 스프로켓(sprocket)(61a)이 구비된다.
상기 핸들(70)은 전신주(1)의 하측에 구비된 브라켓(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작업자가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된 것으로, 브라켓(4)에 결합된 회전축(71)에는 스프로켓(72)이 구비된다.
상기 체인(80)은 감속기(60)와 핸들(70)에 구비된 스프로켓(61a,72)에 결합되어, 핸들(70)을 회전시키면 감속기(60)의 입력축(61)이 회전되도록 한다.
따라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상기 핸들(70)을 회전시키면, 감속기(60)의 입력축(61)이 회전되며, 이에 따라 감속기(60)의 출력축(62)에 연결된 나사축(50)이 회전되면서 회동프레임(12)을 회동전후진시키며, 이에 따라, 회동프레임(12)에 연결된 브라켓(30)과 연결로드(40) 및 애자본체(2)가 전후진되어 애자본체(2)에 연결된 가공전선(3)에 가해지는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회동프레임(12)이 회동시 나사축(5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나사축(50)의 선단부에는 고정설치되는 이탈방지부(55)와; 이탈방지부(55)에 설치되어 회동프레임(12)의 접촉을 감지하는 접촉감지부(57)와; 접촉감지부(5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감지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경고등(59)이 더 구비된다. 이 때, 경고등(59)은 전원장치(미도시)가 구비되어 있다.
일실시예로써, 상기 접촉감지부(57)는 스위치일 수 있으며, 스위치가 회동프레임(12)의 상면에 설치된 지지블록(13)과 접촉되면, 스위치와 경고등(59)과 전원장치(미도시)간에 폐회로가 형성되어 경고등(59)이 켜지게 된다. 반대로 접촉이 떨어지면 개회로가 형성되어 경고등(59)은 꺼진다.
상기 경고등(59)은 작업자가 잘 보일수 있는 곳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례로써 경광등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가공전선의 인출 고정식 특고압 송전선로는, 이탈방지부(55) 및 경고등(59)이 더 구비됨으로써, 작업자가 가공전선(3)의 장력을 조절할 때 회동프레임(12)이 나사축(50)으로부터 이탈되는 일 없이 안전하게 가공전선(3)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연결로드(40)에 구비된 용수철(45)에 의해 일차적으로 가공전선의 장력을 유지시킬 수 있으며, 또한, 이차적으로 가공전선(3)이 과도하게 처치거나 불필요하게 당겨진 경우에는, 작업자가 직접 전신주에 오르지 않고, 전신주(1)에 구비된 핸들(70)을 회전시켜 회동프레임(12)을 회동 전후진 시킴으로써, 가공전선(3)에 가해지는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가공전선(3)이 과도하게 처지거나, 과도하게 당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핸들(70)은 전신주(1)의 하측에 장착되므로, 작업자가 가공전선(3)에 가해지는 장력을 조절하기 위해 전신주(1)의 상측까지 올라갈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감속기(60)와 핸들(70)은 비틀림이 가능한 체인(80)에 의해 연결되므로, 회동프레임(12)의 회동에 의해 감속기(60)의 방향이 변화되면 체인(80)이 적절히 비틀리면서 변화량을 수용하여, 감속기(60)의 방향이 변화됨에 따라 핸들(70)과 감속기(60)의 연결에 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송전선로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종래의 송전선로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를 도시한 배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Claims (1)

  1. 사각 파이프형상으로 구성되어 전신주(1)의 상부 측면에 고정되는 지지프레임(10)과, 지지프레임(10)에 상하방향으로 결합된 지지축(20)과, 지지축(2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브라켓(30)과, 걸림부(41)를 구비하여 브라켓(30)의 결합공(32)의 둘레부에 걸리도록 연결된 연결로드(40)와, 연결로드(40)에 고정되는 애자본체(2)와, 애자본체(2)의 선단에 연결되는 가공전선(3)을 포함하는 가공전선의 인출 고정식 특고압 송전선로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30)에 내설되어, 가공전선(3)의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연결로드(40)를 일방향으로 탄발지지하는 용수철(45)이 포함되고,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10)은 전신주(1)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11)과, 고정프레임(11)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일측에 지지축(20)이 구비되는 회동프레임(12)으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프레임(11)과 회동프레임(12)에 연결되어 회전에 의해 회동프레임(12)을 전후진시키는 나사축(50)과;
    상기 나사축(50)에 연결되며, 입력축(61)에는 스프로켓(61a)이 구비된 감속기(60)와;
    상기 전신주(1)의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회전축(71)에는 스프로켓(72)이 구비된 핸들(70)과;
    상기 감속기(60)와 핸들(70)의 스프로켓(61a,72)을 연결하는 체인(80)과;
    상기 나사축(50)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회동프레임(12)이 회동시 나사축(5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55)와;
    상기 이탈방지부(55)에 설치되어, 회동프레임(12)의 접촉을 감지하는 접촉감지부(57)와;
    상기 접촉감지부(5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감지 신호에 따라 동작하고, 전원장치가 구비된 경고등(59)을 더 포함하여, 상기 핸들(70)의 회전에 따라 회동프레임(12)을 회동시킴으로써 가공전선(3)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전선의 인출 고정식 특고압 송전선로.
KR1020090086612A 2009-09-14 2009-09-14 가공전선의 인출 고정식 특고압 송전선로 KR100931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6612A KR100931366B1 (ko) 2009-09-14 2009-09-14 가공전선의 인출 고정식 특고압 송전선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6612A KR100931366B1 (ko) 2009-09-14 2009-09-14 가공전선의 인출 고정식 특고압 송전선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1366B1 true KR100931366B1 (ko) 2009-12-11

Family

ID=41684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6612A KR100931366B1 (ko) 2009-09-14 2009-09-14 가공전선의 인출 고정식 특고압 송전선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136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61298A (zh) * 2011-06-13 2012-02-22 四川省电力公司西昌电业局 水平导线边相固定件
CN102361297A (zh) * 2011-06-13 2012-02-22 四川省电力公司西昌电业局 水平导线中相固定件
KR101757912B1 (ko) * 2016-02-15 2017-07-14 은세기술 주식회사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이 용이한 전신주 구조
KR102031863B1 (ko) * 2019-06-13 2019-10-15 금정엔지니어링(주) 건축물에 구비되는 합선방지용 전선 트레이
KR102031856B1 (ko) * 2019-06-14 2019-10-15 주식회사 유원감리 지중배전라인 안정적 연결용 접속장치
CN111633601A (zh) * 2020-06-11 2020-09-08 姚超 一种架空线路电力工程电力配件安装施工方法
CN111799714A (zh) * 2020-08-04 2020-10-20 邢立强 电气工程用防电缆滑落的可调节式电缆固定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3024B1 (ko) 2005-01-07 2005-07-22 주식회사 진광건설 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송전 철탑용 선로 장력 유지장치
KR100679509B1 (ko) 2006-08-04 2007-02-06 (주) 청화종합감리공단 건축사사무소 송전선 인장변형 길이 조정기능을 가진 송전선 장력 유지조립체
KR20090079017A (ko) * 2008-01-16 2009-07-21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송전선로의 장력 센서용 철탑부착 금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3024B1 (ko) 2005-01-07 2005-07-22 주식회사 진광건설 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송전 철탑용 선로 장력 유지장치
KR100679509B1 (ko) 2006-08-04 2007-02-06 (주) 청화종합감리공단 건축사사무소 송전선 인장변형 길이 조정기능을 가진 송전선 장력 유지조립체
KR20090079017A (ko) * 2008-01-16 2009-07-21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송전선로의 장력 센서용 철탑부착 금구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61298A (zh) * 2011-06-13 2012-02-22 四川省电力公司西昌电业局 水平导线边相固定件
CN102361297A (zh) * 2011-06-13 2012-02-22 四川省电力公司西昌电业局 水平导线中相固定件
KR101757912B1 (ko) * 2016-02-15 2017-07-14 은세기술 주식회사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이 용이한 전신주 구조
KR102031863B1 (ko) * 2019-06-13 2019-10-15 금정엔지니어링(주) 건축물에 구비되는 합선방지용 전선 트레이
KR102031856B1 (ko) * 2019-06-14 2019-10-15 주식회사 유원감리 지중배전라인 안정적 연결용 접속장치
CN111633601A (zh) * 2020-06-11 2020-09-08 姚超 一种架空线路电力工程电力配件安装施工方法
CN111799714A (zh) * 2020-08-04 2020-10-20 邢立强 电气工程用防电缆滑落的可调节式电缆固定装置
CN111799714B (zh) * 2020-08-04 2021-08-03 邢立强 电气工程用防电缆滑落的可调节式电缆固定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1366B1 (ko) 가공전선의 인출 고정식 특고압 송전선로
US5199129A (en) Torque monitoring system for rotary drain and sewer cleaning apparatus
US6149096A (en) Reel
KR102183974B1 (ko) 가공배전라인 지지고정용 지지장치
US3941198A (en) Detachable power unit for a golf bag cart
NZ581937A (en) Robotic arm including electrically insulated support posts and rotation devices
US5901651A (en) Self-powered trolley for stringing lines between utility poles
CN210530462U (zh) 电线杆横担
CA2242811A1 (en) Adjustable ice fishing tip-up
KR20130004070A (ko) 카운터 케이스 취부 구조
WO2003072199A3 (en) Personal descent apparatus
KR100932209B1 (ko) 가공송전선의 길이변화에 따른 장력조절 완철
KR100949171B1 (ko) 가공송전선의 고정형 현수애자
US20070075119A1 (en) Solder feeder
CN107706689B (zh) 一种用于无拉线杆的专用接地装置
CN210296666U (zh) 一种带智能状态显示接地线
US2560905A (en) Fishing appliance
US6409154B1 (en) Fish tape feed mechanism
CN109297527A (zh) 一种电缆故障检测装置
CN111009769B (zh) 一种工地用防止插头脱落的插座保护盒
KR100960154B1 (ko) 송전용 가공전선 지지철탑
CN208738633U (zh) 一种射频电缆组件配电柜
KR200256439Y1 (ko) 와이어 공급장치
CN110560606A (zh) 一种铁丝缠绕器
US2897622A (en) Fishing ri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