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7912B1 -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이 용이한 전신주 구조 - Google Patents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이 용이한 전신주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7912B1
KR101757912B1 KR1020160017016A KR20160017016A KR101757912B1 KR 101757912 B1 KR101757912 B1 KR 101757912B1 KR 1020160017016 A KR1020160017016 A KR 1020160017016A KR 20160017016 A KR20160017016 A KR 20160017016A KR 101757912 B1 KR101757912 B1 KR 101757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insulator
fixing
adjust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7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수
Original Assignee
은세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은세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은세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17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79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7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79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Landscapes

  • Insul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이 용이한 전신주 구조에 관한 것으로, 위치조절용 수평지지대와 상하측 수평지지대와 수직지지대 및 위치조절수단을 구비하여 복수개의 애자조립체를 일괄적으로 설치할 수 있어 분기상용전압배전선의 설치 작업이 간편, 용이하게 됨과 아울러, 상하측 방향조절용 애자지지대와 상하측 방향조절수단을 구비하여 골목 양측에 위치하는 소규모 수용가에 대한 인입배전선의 배전방향을 조절할 수 있어 인입배전선의 배전방향성과 배전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이 용이한 전신주 구조{Electric pole adjusting position of electric power distribution line easily}
본 발명은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이 용이한 전신주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복수개의 애자를 일괄적으로 설치할 수 있어 분기상용전압배전선의 설치 작업이 간편, 용이하게 됨과 아울러, 골목 양측에 위치하는 소규모 수용가에 대한 인입배전선의 배전방향을 조절할 수 있어 인입배전선의 배전방향성과 배전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이 용이한 전신주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에서 발전된 10~20kV의 전기는 발전소에 근접한 송전용 변전소에서 154kV, 345kV, 765kV의 초고압으로 승압되어 1차 송전선로를 통해 1차 변전소로 송전되며, 1차 변전소에서 77kV 또는 154kV의 고압으로 강압되어 2차 송전선로를 통해 2차 변전소로 송전되고, 2차 변전소에서 22kV 또는 33kV의 특고압으로 강압되어 특고압 배전선로를 통해 최종 변전소(변압기)로 배전되며, 최종 변전소 또는 변압기(주상변압기 또는 지상변압기)를 통해 130V 또는 380V의 상용전압으로 강압되어 상용전압배전선로를 통해 전력수용가에 배전된다.
1차 및 2차 송전선로는 1차 송전선이 철탑에 현수애자로 절연지지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특고압 배전선로와 상용전압배전선로는 지상에 세워진 전신주에 완철과 애자로 절연지지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용전압을 배전하는 가공배전선로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신주(10)와, 상기 전신주(10)에 고정되는 완철(20)과, 상기 완철(20)에 애자(30)를 통하여 절연상태로 지지되며 점프선(41)에 의하여 연결되는 상용전압배전선(40)을 포함한다.
이러한 가공배전선로는 단독주택과 같이 소규모 전력수용가가 밀집한 지역에서는 상용전압배전선(40)으로부터 분기상용전압배전선(50)을 분기하여 이 분기상용전압배전선(50)에 인입선(도시생략)을 연결하여 상용전기를 전력수용가에 공급하도록 하고 있다. 분기상용전압배전선(50)은 분기전선(51)에 의하여 상용전압배전선(40)에 연결된다.
상기 분기상용전압배전선(50)은 전신주(10)에 고정되는 분기애자(60)에 의하여 지지 및 결속된다.
상기 분기애자(60)는 양단에 결합편(62)이 절곡형성되어 전신주(1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한 쌍의 하프밴드(61)와, 상기 절곡편(62)을 관통하는 조임볼트(62a)와 상기 조임볼트(62a)의 관통돌출단부에 체결되는 조임너트(62b)와, 상기 한 쌍의 하프밴드(61) 중 어느 한 쪽에 결합볼트(63a)와 결합너트(63b)로 결합되는 ‘ㄷ’자형 애자고정구(63)와, 상기 애자고정구(63)에 볼트(64a)와 너트(64b)로 결합되는 애자(6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서는 분기상용전압배전선(50)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만큼의 분기애자(60)를 개별적으로 전신주(10)에 설치하여야 하므로 배전케이블 설치 작업이 매우 번거롭게 될 뿐만 아니라 분기상용전압배전선(50)의 설치 상태가 매우 복잡하게 되어 도시 미관을 해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서는 분기애자(60)가 전신주(10)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분기상용전압배전선(50)의 배전방향성이 불량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배전케이블 애자를 일괄적으로 설치할 수 있어 배전케이블의 설치 작업이 간편, 용이하게 되며, 배전케이블의 배전방향성이 양호하고, 도시 미관을 해치지 않게 되는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따른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52421호(2014.01.10. 등록)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이하, '선행기술'이라 함)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전신주에 고정되는 중앙측 고정밴드, 중앙측 고정밴드에 후단부가 결합되어 전신주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길이조절 가능한 위치조절용 수평지지대, 중앙측 고정밴드에서 상하로 이격되어 전신주에 고정되는 상하측 고정밴드, 상하측 고정밴드에 후단부가 결합되어 전신주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길이조절 가능한 상하측 수평지지대, 위치조절용 수평지지대와 상하측 수평지지대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직지지대, 수직지지대에 고정되어 배전케이블을 지지하는 배전케이블 애자 조립체, 위치조절용 수평지지대의 길이를 조절하여 전신주에 대한 수직지지대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수단 및 상하측 수평지지대를 길이조절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구비하여, 수평지지대와 복수 개의 배전케이블 애자를 일괄 설치하고 배전케이블의 설치 작업이 간편 용이하며, 위치조절수단에 의하여 전신주에 대한 배전케이블의 위치를 조절하고 고정수단에 의하여 위치조절된 상태로 고정하여 많은 수의 배전케이블을 설치하여도 배전케이블의 배전방향성이 양호하고, 가지런하게 설치되어 도시 미관을 해치지 않도록 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전신주는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고 전신주의 상단에는 특고압 배전선이 설치되고, 그 하부에는 상용전압배전선이 설치되는바, 전신주에 고정되는 좌우 한 쌍의 완철에는 통상 4개 선로의 상용전압배전선이 설치되므로 전력수용가 밀집지역의 경우 추가적으로 분기상용전압배전선의 설치가 요구된다.
상기 선행기술의 배전케이블은 추가적인 분기상용전압배전선에 상당하는 것으로서, 도로변에 설치된 복수개의 전신주에 애자 조립체를 통하여 절연상태로 지지하여 도로변을 따라 배선하는 경우에 적합한 것이다.
한편,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독주택 등 소규모 전력수용가(UL, UR)가 밀집되어 있는 지역에서는 도로(R)에 교차하는 골목(SS) 양측에 소규모 전력수용가(UL, UR)가 위치하게 되는데 이 경우 도로변에 설치된 전신주(10)에 인입배전선(70)의 일단을 애자 조립체(I)를 통하여 고정하고 인입배전선(70)의 타단을 소규모 전력수용가(UL, UR)의 애자 조립체(I)에 지지하여 옥내배선(미도시)에 연결하게 된다.
이 경우 전신주를 기준으로 할 때 골목(SS)의 좌측에 위치하는 소규모 전력수용가(UL)에 대하여는 인입배전선(70)의 배전방향이 좌측으로 경사지게 되고, 골목의 우측에 위치하는 소규모 전력수용가(UR)에 대하여는 인입배전선의 배전방향이 우측으로 경사지게 되는데, 인입배전선(70)과 애자 조립체(I)를 고정하는 애자고정볼트(B)는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것이 구조강도상 유리할 것이나, 선행기술은 애자 조립체(I)가 인입배전선(70)의 배전방향과 무관하게 모두 수직지대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인입배전선(70)의 배전방향성과 배전안정성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애자조립체에 지지되는 인입배전선의 배전방향에 따라 애자조립체의 방향을 조절함으로써 인입배전방향성 및 인입배전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52421호(2014.01.10. 등록)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개의 애자를 일괄적으로 설치할 수 있어 분기상용전압배전선의 설치 작업이 간편, 용이하게 됨과 아울러, 골목 양측에 위치하는 소규모 수용가에 대한 인입배전선의 배전방향을 조절할 수 있어 인입배전선의 배전방향성과 배전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이 용이한 전신주 구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전신주에 고정되는 중앙측 고정밴드와, 상기 중앙측 고정밴드에 후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전신주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길이조절 가능하게 구성되는 위치조절용 수평지지대와, 상기 중앙측 고정밴드에서 상하로 이격되어 상기 전신주에 고정되는 상하측 고정밴드와, 상기 상하측 고정밴드에 후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전신주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길이조절 가능하게 구성되는 상하측 수평지지대와, 상기 위치조절용 수평지지대와 상하측 수평지지대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직지지대와, 상기 위치조절용 수평지지대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전신주에 대한 수직지지대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수단과, 상기 상하측 수평지지대를 길이조절된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수단과, 상기 수직지지대의 상반부에 수평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상측 방향조절용 애자지지대와, 상기 수직지지대의 하반부에 수평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하측 방향조절용 애자지지대와, 상기 상측 방향조절용 애자지지대에 고정되어 분기상용전압배전선 또는 인입배전선을 지지하는 상측 애자조립체와, 상기 하측 방향조절용 애자지지대에 고정되어 분기상용전압배전선 또는 인입배전선을 지지하는 하측 애자조립체와, 상기 상측 방향조절용 애자지지대의 방향을 조절하는 상측 방향조절수단과, 상기 하측 방향조절용 애자지지대의 방향을 조절하는 하측 방향조절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중앙측 고정밴드는 상기 전신주의 좌우측 외주면에 밀착되며 후단부에 결합편이 절곡 형성되고 선단부에 경첩형 연결편이 형성된 하프밴드와, 상기 결합편을 관통하는 조임볼트 및, 상기 조임볼트에 체결되는 조임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조절용 수평지지대는 후단부 양측에 상기 경첩형 연결편에 대응하는 경첩형 연결편이 형성되는 위치조절용 고정수평지지대와, 상기 위치조절용 고정수평지지대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위치조절용 가동수평지지대와, 상기 경첩형 연결편을 관통하는 연결볼트와, 상기 연결볼트의 돌출단부에 체결되는 연결너트를 포함하며,
상기 상하측 고정밴드는 상기 전신주의 좌우측 외주면에 밀착되며 후단부에 결합편이 절곡 형성되고 선단부에 경첩형 연결편이 형성된 하프밴드와, 상기 결합편을 관통하는 조임볼트 및, 상기 조임볼트의 돌출단부에 체결되는 조임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상하측 수평지지대는 후단부 양측에 상기 경첩형 연결편에 대응하는 경첩형 연결편이 형성되는 상하측 고정수평지지대와, 상기 상하측 고정수평지지대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하측 가동수평지지대와, 상기 경첩형 연결편을 관통하는 연결볼트 및, 상기 연결볼트의 돌출단부에 체결되는 연결너트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조절수단은 상기 위치조절용 가동수평지지대의 선단부 내부에 고정되는 축받이와, 상기 축받이에 정위치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조절용 스크루와, 상기 위치조절용 고정수평지지대의 선단부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조절용 스크루에 나사결합되는 조절용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상하측 가동수평지지대에 천공된 볼트공과, 상기 상하측 고정수평지지대에 형성된 장공과, 상기 볼트공과 장공에 관통되는 고정볼트와, 상기 고정볼트의 돌출단부에 체결되는 고정너트를 포함하며,
상기 상측 방향조절용 애자지지대는 상기 수직지지대의 상단에 결합되는 지지하우징과, 상기 수직지지대의 중간부에 결합되는 지지편과, 상기 지지하우징에 수평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동편과, 상기 지지편에 수평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동편 및, 상기 회동편의 선단부 사이에 결합되는 수직바를 포함하고,
상기 하측 애자지지대는 상기 수직지지대의 하단에 결합되는 지지하우징과, 상기 수직지지대의 중간부에 결합되는 지지편과, 상기 지지하우징에 수평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동편과, 상기 지지편에 수평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동편 및, 상기 회동편의 선단부 사이에 결합되는 수직바를 포함하며,
상기 회동편을 수평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하우징에는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회동편을 수평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편에는 지지축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회동편을 수평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하우징에는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회동편을 수평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편에는 지지축이 고정 설치되며,
상기 상측 애자조립체는 상기 수직바의 전면에 결합되는 'ㄷ'자형 애자고정구와, 상기 애자고정구와 수직지지대를 관통하는 고정볼트와, 상기 고정볼트의 돌출단부에 체결되는 고정너트와, 상기 애자고정구에 삽입되어 분기상용전압배전선 또는 인입배전선을 지지하는 애자와, 상기 애자고정구와 애자를 관통하는 고정볼트와, 상기 고정볼트의 돌출단부에 체결되는 고정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하측 애자조립체는 상기 수직바의 전면에 결합되는 'ㄷ'자형 애자고정구와, 상기 애자고정구와 수직지지대를 관통하는 고정볼트와, 상기 고정볼트의 돌출단부에 체결되는 고정너트와, 상기 애자고정구에 삽입되어 분기상용전압배전선 또는 인입배전선을 지지하는 애자와, 상기 애자고정구와 애자를 관통하는 고정볼트와, 상기 고정볼트의 돌출단부에 체결되는 고정너트를 포함하며,
상기 상측 방향조절수단은 상기 상측 방향조절용 애자지지대의 지지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웜기어와, 상기 지지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웜기어에 맞물리며 일단부에 공구결합부가 형성되는 웜과, 상기 지지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공구결합부에 결합되는 돌림공구가 출입하는 공구출입공을 포함하고,
상기 하측 방향조절수단은 상기 하측 방향조절용 애자지지대의 지지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웜기어와, 상기 지지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웜기어에 맞물리며 일단부에 공구결합부가 형성되는 웜과, 상기 지지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공구결합부에 결합되는 돌림공구가 출입하는 공구출입공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이 용이한 전신주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이 용이한 전신주 구조에 의하면 위치조절용 수평지지대와 상하측 수평지지대와 수직지지대 및 위치조절수단을 구비하여 복수개의 애자조립체를 일괄적으로 설치할 수 있어 분기상용전압배전선의 설치 작업이 간편, 용이하게 됨과 아울러, 상하측 방향조절용 애자지지대와 상하측 방향조절수단을 구비하여 골목 양측에 위치하는 소규모 수용가에 대한 인입배전선의 배전방향을 조절할 수 있어 인입배전선의 배전방향성과 배전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이 용이한 전신주 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사용배전선의 하부에 분기상용전압배전선을 추가 설치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부분 정면도,
도 4는 분기상용전압배전선의 위치를 조절하는 과정을 보인 측면도,
도 5는 분기상용전압배전선의 위치를 조절하는 과정을 보인 도 3의 A-A선 확대 단면도,
도 6은 분기상용전압배전선의 위치를 조절하는 과정을 보인 도 3의 B-B선 단면도,
도 7은 분기상용전압배전선의 위치를 조절하는 과정을 보인 도 3의 C-C선 단면도,
도 8은 인입배전선의 방향을 조절하는 과정을 보인 도 4의 D-D선 단면도,
도 9 내지 도 11은 인입배전선의 방향을 조절한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12는 종래 상용전압배전선과 분기상용전압배전선을 포함하는 배전선로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
도 13은 종래 인입배전선의 배선 예를 보인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이 용이한 전신주 구조를 첨부도면에 예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구성요소간의 통상적인 결합, 연결 방식은 용접 또는 나사결합방식을 채용할 수 있는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이 용이한 전신주 구조를 보인 것이다.
도 1 및 도 2에서 10은 전신주이고, 20은 전신주(10)에 좌우 한 쌍으로 고정 설치되는 완철이며, 30은 일단이 완철(20)에 고정되는 현수애자이고, 40은 현수애자(30)의 타단에 연결되며 점프선(41)에 의하여 연결되는 상용전압배전선이며, 50은 상용전압배전선(40)의 하부에 설치되는 분기상용전압배전선이고, 71, 72는 인입배전선이다.
상기 분기상용전압배전선(50)과 인입배전선(71, 72)는 상용전압배전선(40)에 분기접속전선(도시생략)에 의하여 분기접속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이 용이한 전신주 구조는 상기 상용전압배전선(40)의 하부에 분기상용전압배전선(50)을 추가적으로 설치하는 경우 또는 인입배전선(71, 72)을 설치하는 경우에 모두 적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이 용이한 전신주 구조는,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신주(10)에 고정되는 중앙측 고정밴드(100)와, 상기 중앙측 고정밴드(100)에 후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전신주(10)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길이조절 가능하게 구성되는 위치조절용 수평지지대(200)와, 상기 중앙측 고정밴드(100)에서 상하로 이격되어 상기 전신주(10)에 고정되는 상하측 고정밴드(300)와, 상기 상하측 고정밴드(300)에 후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전신주(10)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길이조절 가능하게 구성되는 상하측 수평지지대(400)와, 상기 위치조절용 수평지지대(200)와 상하측 수평지지대(400)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직지지대(500)와, 상기 위치조절용 수평지지대(200)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전신주(10)에 대한 수직지지대(500)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수단(600)과, 상기 상하측 수평지지대(400)를 길이조절된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수단(700)과, 상기 수직지지대(500)의 상반부에 수평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상측 방향조절용 애자지지대(800)와, 상기 수직지지대(500)의 하반부에 수평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하측 방향조절용 애자지지대(900)와, 상기 상측 방향조절용 애자지지대(800)에 고정되어 분기상용전압배전선(50) 또는 인입배전선(71)을 지지하는 상측 애자조립체(1010)와, 상기 하측 방향조절용 애자지지대(900)에 고정되어 분기상용전압배전선(50) 또는 인입배전선(72)을 지지하는 하측 애자조립체(1020)와, 상기 상측 방향조절용 애자지지대(800)의 방향을 조절하는 상측 방향조절수단(1100)과, 상기 하측 방향조절용 애자지지대(900)의 방향을 조절하는 하측 방향조절수단(1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중앙측 고정밴드(100)는 상기 전신주(10)의 좌우측 외주면에 밀착되며 후단부에 결합편(111)이 절곡 형성되고 선단부에 경첩형 연결편(112)이 형성된 하프밴드(110)와, 상기 결합편(111)을 관통하는 조임볼트(120) 및, 상기 조임볼트(120)에 체결되는 조임너트(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위치조절용 수평지지대(200)는 후단부 양측에 상기 경첩형 연결편(112)에 대응하는 경첩형 연결편(211)이 형성되는 위치조절용 고정수평지지대(210)와, 상기 위치조절용 고정수평지지대(210)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위치조절용 가동수평지지대(220)와, 상기 경첩형 연결편(112, 211)을 관통하는 연결볼트(230)와, 상기 연결볼트(230)의 돌출단부에 체결되는 연결너트(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위치조절용 고정수평지지대(210)와 위치조절용 가동수평지지대(220)는 사각파이프로 구성하며, 위치조절용 고정수평지지대(210)가 위치조절용 가동수평지지대(220)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상하측 고정밴드(300)는 상기 전신주(10)의 좌우측 외주면에 밀착되며 후단부에 결합편(311)이 절곡 형성되고 선단부에 경첩형 연결편(312)이 형성된 하프밴드(310)와, 상기 결합편(311)을 관통하는 조임볼트(320) 및, 상기 조임볼트(320)의 돌출단부에 체결되는 조임너트(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하측 수평지지대(400)는 후단부 양측에 상기 경첩형 연결편(312)에 대응하는 경첩형 연결편(411)이 형성되는 상하측 고정수평지지대(410)와, 상기 상하측 고정수평지지대(410)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하측 가동수평지지대(420)와, 상기 경첩형 연결편(312, 411)을 관통하는 연결볼트(430) 및, 상기 연결볼트(430)의 돌출단부에 체결되는 연결너트(4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하측 고정수평지지대(410)와 상하측 가동수평지지대(420)는 사각파이프로 구성하며, 상하측 고정수평지지대(410)가 상하측 가동수평지지대(420)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수직지지대(500)는 상기 위치조절용 가동수평지지대(220)의 선단부에 중간부가 고정 결합되며 상기 상하측 가동수평지지대(420)의 선단부에 상하단부가 고정 결합된다.
상기 위치조절용 가동수평지지대(220)와 상하측 가동수평지지대(420)의 선단부에 대한 상기 수직지지대(500)의 고정 결합은 용접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위치조절수단(600)은 상기 위치조절용 가동수평지지대(220)의 선단부 내부에 고정되는 축받이(610)와, 상기 축받이(610)에 정위치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조절용 스크루(620)와, 상기 위치조절용 고정수평지지대(210)의 선단부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조절용 스크루(620)에 나사결합되는 조절용 너트(6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축받이(610)는 상기 위치조절용 가동수평지지대(610)의 선단부 내부에 고정되는 축받이 하우징(611)과, 상기 축받이 하우징(611)의 내부에 삽입되어 실질적으로 조절용 스크루(620)를 지지하는 부시(612)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조절용 스크루(620)의 선단부에는 박스 스패너 등의 돌림공구(RT)가 결합되는 공구결합부(621)가 형성된다. 상기 공구결합부(621)는 도시예와 같이 정사각 단면으로 형성하거나 정육각 단면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수직지지대(500)에는 공구출입공(640)을 천공하여 이 공구출입공(640)을 통하여 삽입되는 돌림공구(RT)를 상기 조절용 스크루(620)가 공구결합부(621)에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공구출입공(640)에는 공구출입공(640)을 개폐함과 아울러 공구결합부(621)를 보호하기 위한 마감캡(650)이 끼워진다. 상기 마감캡(650)은 고무재질로 형성할 있다.
상기 고정수단(700)은 상기 상하측 가동수평지지대(420)에 천공된 볼트공(710)과, 상기 상하측 고정수평지지대(410)에 형성된 장공(720)과, 상기 볼트공(710)과 장공(720)에 관통되는 고정볼트(730)와, 상기 고정볼트(730)의 돌출단부에 체결되는 고정너트(7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측 방향조절용 애자지지대(800)는 상기 수직지지대(500)의 상단에 결합되는 지지하우징(810)과, 상기 수직지지대(500)의 중간부에 결합되는 지지편(820)과, 상기 지지하우징(810)에 수평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동편(830)과, 상기 지지편(820)에 수평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동편(840) 및, 상기 회동편(830, 840)의 선단부 사이에 결합되는 수직바(8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측 애자지지대(900)는 상기 수직지지대(500)의 하단에 결합되는 지지하우징(910)과, 상기 수직지지대(500)의 중간부에 결합되는 지지편(920)과, 상기 지지하우징(910)에 수평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동편(930)과, 상기 지지편(920)에 수평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동편(940) 및, 상기 회동편(930, 940)의 선단부 사이에 결합되는 수직바(9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하우징(810, 910)과 지지편(830, 840, 930, 940)은 상기 수직지지대(500)에 통상적인 용접 또는 나사결합 방식에 의하여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동편(830)을 수평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하우징(810)에는 회전축(860)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회동편(840)을 수평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편(820)에는 지지축(870)이 고정 설치된다.
상기 회동편(930)을 수평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하우징(910)에는 회전축(960)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회동편(940)을 수평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편(920)에는 지지축(970)이 고정 설치된다.
상기 지지하우징(810)은 상면이 개방되고 하면이 상기 수직지지대(500)의 상단에 결합되는 하우징본체(811)와, 상기 하우징본체(811)의 개방부를 개폐하는 덮개(812)로 구성하여 통상적인 볼트체결 방식(도시생략)에 의하여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지지하우징(910)은 상면이 개방되고 하면이 상기 수직지지대(500)의 하단에 결합되는 하우징본체(911)와, 상기 하우징본체(911)의 개방부를 개폐하는 덮개(912)로 구성하여 통상적인 볼트체결 방식(도시생략)에 의하여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상측 애자조립체(1010)는 상기 수직바(850)의 전면에 결합되는 'ㄷ'자형 애자고정구(1011)와, 상기 애자고정구(1011)와 수직지지대(500)를 관통하는 고정볼트(1012)와, 상기 고정볼트(1012)의 돌출단부에 체결되는 고정너트(1013)와, 상기 애자고정구(1011)에 삽입되어 분기상용전압배전선(50) 또는 인입배전선(71)을 지지하는 애자(1014)와, 상기 애자고정구(1011)와 애자(1014)를 관통하는 고정볼트(1015)와, 상기 고정볼트(1015)의 돌출단부에 체결되는 고정너트(10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측 애자조립체(1020)는 상기 수직바(950)의 전면에 결합되는 'ㄷ'자형 애자고정구(1021)와, 상기 애자고정구(1021)와 수직지지대(950)를 관통하는 고정볼트(1022)와, 상기 고정볼트(1022)의 돌출단부에 체결되는 고정너트(1023)와, 상기 애자고정구(1021)에 삽입되어 분기상용전압배전선(50) 또는 인입배전선(72)을 지지하는 애자(1024)와, 상기 애자고정구(1021)와 애자(1024)를 관통하는 고정볼트(1025)와, 상기 고정볼트(1025)의 돌출단부에 체결되는 고정너트(10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측 방향조절수단(1100)은 상기 상측 방향조절용 애자지지대(800)의 지지하우징(81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860)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웜기어(1110)와, 상기 지지하우징(81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웜기어(1110)에 맞물리며 일단부에 공구결합부(1130)가 형성되는 웜(1120)과, 상기 지지하우징(8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공구결합부(1130)에 결합되는 돌림공구(RT)가 출입하는 공구출입공(1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공구출입공(1140)에는 공구출입공(1140)을 개폐함과 아울러 공구결합부(1140)를 보호하기 위한 마감캡(1150)이 끼워진다. 상기 마감캡(1150)은 고무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측 방향조절수단(1200)은 상기 하측 방향조절용 애자지지대(800)의 지지하우징(81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960)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웜기어(1210)와, 상기 지지하우징(91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웜기어(1210)에 맞물리며 일단부에 공구결합부(1230)가 형성되는 웜(1220)과, 상기 지지하우징(9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공구결합부(1230)에 결합되는 돌림공구(RT)가 출입하는 공구출입공(12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공구출입공(1240)에는 공구출입공(1140)을 개폐함과 아울러 공구결합부(1240)를 보호하기 위한 마감캡(1250)이 끼워진다. 상기 마감캡(1250)은 고무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이 용이한 전신주 구조에 의하여 분기상용전압배전선(50)의 위치를 조절하는 과정과 인입배전선(71, 72)의 방향을 조절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분기상용전압배전선(50)의 위치를 조절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고정수단(700)을 구성하는 고정볼트(730)와 고정너트(740)를 이완시켜 상하측 고정수평지지대(410)와 상하측 가동수평지지대(420)가 상호 슬라이드 가능하게 한 상태에서, 마감캡(650)을 탈거하여 공구출입공(640)을 개방하고, 공구출입공(640)을 통해 돌림공구(RT)를 삽입하여 조절용 스크루(620)의 돌림공구 결합부(621)에 결합한 상태[도 5의 (a) 참조]에서 돌림공구(RT)를 돌리면 조절용 스크루(620)가 위치조절용 가공수평지지대(220)의 선단부 내부에 고정된 축받이(610)에 지지된 상태로 회전하게 되고, 위치조절용 고정수평지지대(210)의 선단부 내부에 고정된 조절용 너트(630)와 조절용 스크루(620)의 나사작용으로 위치조절용 가동수평지지대(220)가 위치조절용 고정수평지지대(210)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하여 위치조절용 수평지지대(200)의 길이가 조절된다[도 5의 (b) 참조].
이때 위치조절용 가동수평지지대(220)와 상하측 가동수평지지대(420)는 수직지지대(500)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하측 가동수평지지대(420)는 위치조절용 가동수평지지대(220)와 함께 이동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위치조절용 가동수평지지대(220)와 상하측 가동수평지지대(420) 및 수직지지대(500)가 함께 이동하게 된다[도 6의 (a)(b), 도 7의 (a)(b) 참조).
이에 따라 수직지지대(500)가 이동하면서 전신주(10)에 대한 수직지지대(500)의 위치가 조절되며, 수직지지대(500)에 결합되어 있는 상측 방향조절용 애자지지대(800)와 하측 방향조절용 애자지지대(900), 상측 방향조절용 애자지지대(800)에 고정되어 있는 상측 애자조립체(1010)와 하측 방향조절용 애자지지대(900)에 고정되어 있는 하측 애자조립체(1020)의 위치가 조절된다[도 6의 (a)(b), 도 7의 (a)(b) 참조).
따라서 상측 애자조립체(1010)와 하측 애자조립체(1020)에 지지되어 있는 분기상용전압배전선(50)의 위치가 조절된다.
분기상용전압배전선(50)의 위치조절이 완료되면, 돌림공구(RT)를 탈거하고, 이완되어 있던 고정볼트(730)와 고정너트(740)를 조임으로써 상하측 고정수평지지대(410)와 상하측 가동수평지지대(420)를 고정함으로써 위치조절용 가동수평지지대(220)와 상하측 가동수평지지대(420) 및 수직지지대(500)가 조절된 위치로 고정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수직지지대(500)에 결합된 상측 방향조절용 애자지지대(800)와 하측 방향조절용 애자지지대(900), 상측 애자조립체(1010)와 하측 애자조립체(1020) 및 분기상용전압배전선(50)이 위치조절된 상태로 고정된다.
또한 위치조절이 완료되면, 마감캡(650)을 공구출입공(640)에 삽입하여 공구출입공(640)을 폐쇄함과 아울러 공구결합부(621)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분기상용전압배전선(50)은 도 1의 우측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측 애자조립체(1010, 1020)의 애자(1014, 1024)에 한 바퀴 감은 상태에서 절연밴드 또는 절연테이프(T)를 감아서 고정하거나, 도 1의 좌측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애자(1014, 1024)와 애자고정구(1011, 1021) 사이를 통과하는 상태로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 인입배전선(71, 72)의 방향을 조절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마감캡(1150)을 탈거하여 공구출입공(1140)을 개방하고, 공구출입공(1140)을 통해 돌림공구(RT)를 삽입하여 웜(1120)의 돌림공구 결합부(1130)에 결합한 상태[도 8의 (a) 참조]에서 돌림공구(RT)를 돌리면 웜(1120)이 회전하게 되고, 이에 맞물려 있는 웜기어(1110)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웜기어(1110)는 회전축(860)에 고정 결합되어 있고 회전축(860)에는 상하측 회동편(840) 중 상측 회동편(840)에 고정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측 회동편(840)이 회동하게 되고, 상측 회동편(840)은 수직바(850)의 상단에 고정 결합되어 있고 수직바(850)의 하단에는 상하측 회동편(840) 중 하측 회동편(840)이 고정 결합되어 있으므로 수직바(850)와 회동편(840)이 함께 회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수직바(850)에 결합되어 있는 애자조립체(1010)가 회전축(860)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게 된다[도 8의 (a)의 1점쇄선 및 점선 표시 참조].
인입배전선(71)에 대한 방향조절이 완료되면, 돌림공구(RT)를 탈거하고, 마감캡(1150)을 공구출입공(1140)에 삽입하여 공구출입공(1140)을 폐쇄함과 아울러 돌림공구 결합부(1130)가 보호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상측 방향조절수단(1110)에 의하여 상측 방향조절용 애자지지대(800)를 회동시켜 수직바(850)에 결합되는 상측 애자조립체(1010)에 지지되는 인입배전선(71)에 대한 방향조절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였는바, 하측 방향조절수단(1110)에 의하여 하측 방향조절용 애자지지대(900)를 회동시켜 수직바(950)에 결합되는 하측 애자조립체(1020)에 지지되는 인입배전선(72)에 대한 방향조절 과정은 상술한 과정을 참조하여 이해할 수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도 9 내지 도 11은 상술한 방향조절 과정을 통하여 방향조절된 인입배전선(71, 72)을 예시한 것으로, 도 9는 인입배전선(71, 72)이 상용전압배전선(40)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설치되도록 조절된 상태를 보인 것이고, 도 10은 상측 인입배전선(71)이 상용전압배전선(40)에 대하여 좌측으로 45도 경사진 방향으로 설치되도록 조절되고 하측 인입배전선(72)이 상용전압배전선(40)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설치되도록 조절된 상태를 보인 것이며, 도 11은 상측 인입배전선(71)이 상용전압배전선(40)에 대하여 좌측으로 45도 경사진 방향으로 설치되도록 조절되고 하측 인입배전선(72)이 상용전압배전선(40)에 대하여 우측으로 45도 경사진 방향으로 설치되도록 조절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시예에서는 상기 인입배전선(71, 72)의 방향이 좌우로 각각 45도 경사진 상태인 예를 예시하였으나 골목의 양측에 위치하는 소규모 수용가의 위치에 따라서는 다양한 각도로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이 용이한 전신주 구조에 의하면, 위치조절용 수평지지대와 상하측 수평지지대와 수직지지대 및 위치조절수단을 구비하여 복수개의 애자조립체를 일괄적으로 설치할 수 있어 분기상용전압배전선의 설치 작업이 간편, 용이하게 됨과 아울러, 상하측 방향조절용 애자지지대와 상하측 방향조절수단을 구비하여 골목 양측에 위치하는 소규모 수용가에 대한 인입배전선의 배전방향을 조절할 수 있어 인입배전선의 배전방향성과 배전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그 일 예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전신주 20 : 완철
40 : 상용전압배전선 50 : 분기상용전압배전선
71, 72 : 인입배전선 100 : 중앙측 고정밴드
200 : 위치조절용 수평지지대 300 : 상하측 고정밴드
400 : 상하측 수평지지대 500 : 수직지지대
600 : 위치조절수단 700 : 고정수단
800 : 상측 방향조절용 애자지지대 900 : 하측 방향조절용 애자지지대
1010 : 상측 애자조립체 1020 : 하측 애자조립체
1100 : 상측 방향조절수단 1200 : 하측 방향조절수단

Claims (1)

  1. 전신주(10)에 고정되는 중앙측 고정밴드(100)와,
    상기 중앙측 고정밴드(100)에 후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전신주(10)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길이조절 가능하게 구성되는 위치조절용 수평지지대(200)와,
    상기 중앙측 고정밴드(100)에서 상하로 이격되어 상기 전신주(10)에 고정되는 상하측 고정밴드(300)와,
    상기 상하측 고정밴드(300)에 후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전신주(10)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길이조절 가능하게 구성되는 상하측 수평지지대(400)와,
    상기 위치조절용 수평지지대(200)와 상하측 수평지지대(400)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직지지대(500)와,
    상기 위치조절용 수평지지대(200)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전신주(10)에 대한 수직지지대(500)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수단(600)과,
    상기 상하측 수평지지대(400)를 길이조절된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수단(700)과,
    상기 수직지지대(500)의 상반부에 수평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상측 방향조절용 애자지지대(800)와,
    상기 수직지지대(500)의 하반부에 수평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하측 방향조절용 애자지지대(900)와,
    상기 상측 방향조절용 애자지지대(800)에 고정되어 분기상용배전선(50) 또는 인입배전선(71)을 지지하는 상측 애자조립체(1010)와,
    상기 하측 방향조절용 애자지지대(900)에 고정되어 분기상용배전선(50) 또는 인입배전선(72)을 지지하는 하측 애자조립체(1020)와,
    상기 상측 방향조절용 애자지지대(800)의 방향을 조절하는 상측 방향조절수단(1100)과,
    상기 하측 방향조절용 애자지지대(900)의 방향을 조절하는 하측 방향조절수단(1200)을 포함하며,
    상기 중앙측 고정밴드(100)는 상기 전신주(10)의 좌우측 외주면에 밀착되며 후단부에 결합편(111)이 절곡 형성되고 선단부에 경첩형 연결편(112)이 형성된 하프밴드(110)와, 상기 결합편(111)을 관통하는 조임볼트(120) 및, 상기 조임볼트(120)에 체결되는 조임너트(130)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조절용 수평지지대(200)는 후단부 양측에 상기 경첩형 연결편(112)에 대응하는 경첩형 연결편(211)이 형성되는 위치조절용 고정수평지지대(210)와, 상기 위치조절용 고정수평지지대(210)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위치조절용 가동수평지지대(220)와, 상기 경첩형 연결편(112, 211)을 관통하는 연결볼트(230)와, 상기 연결볼트(230)의 돌출단부에 체결되는 연결너트(240)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조절용 고정수평지지대(210)와 위치조절용 가동수평지지대(220)는 사각파이프로 구성하며, 위치조절용 고정수평지지대(210)가 위치조절용 가동수평지지대(220)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상하측 고정밴드(300)는 상기 전신주(10)의 좌우측 외주면에 밀착되며 후단부에 결합편(311)이 절곡 형성되고 선단부에 경첩형 연결편(312)이 형성된 하프밴드(310)와, 상기 결합편(311)을 관통하는 조임볼트(320) 및, 상기 조임볼트(320)의 돌출단부에 체결되는 조임너트(330)를 포함하며,
    상기 상하측 수평지지대(400)는 후단부 양측에 상기 경첩형 연결편(312)에 대응하는 경첩형 연결편(411)이 형성되는 상하측 고정수평지지대(410)와, 상기 상하측 고정수평지지대(410)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하측 가동수평지지대(420)와, 상기 경첩형 연결편(312, 411)을 관통하는 연결볼트(430) 및, 상기 연결볼트(430)의 돌출단부에 체결되는 연결너트(440)를 포함하고,
    상기 상하측 고정수평지지대(410)와 상하측 가동수평지지대(420)는 사각파이프로 구성하며, 상하측 고정수평지지대(410)가 상하측 가동수평지지대(420)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위치조절수단(600)은 상기 위치조절용 가동수평지지대(220)의 선단부 내부에 고정되는 축받이(610)와, 상기 축받이(610)에 정위치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조절용 스크루(620)와, 상기 위치조절용 고정수평지지대(210)의 선단부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조절용 스크루(620)에 나사결합되는 조절용 너트(630)를 포함하고,
    상기 축받이(610)는 상기 위치조절용 가동수평지지대(610)의 선단부 내부에 고정되는 축받이 하우징(611)과, 상기 축받이 하우징(611)의 내부에 삽입되어 실질적으로 조절용 스크루(620)를 지지하는 부시(612)로 구성되며,
    상기 조절용 스크루(620)의 선단부에는 박스 스패너 등의 돌림공구(RT)가 결합되는 공구결합부(621)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수단(700)은 상기 상하측 가동수평지지대(420)에 천공된 볼트공(710)과, 상기 상하측 고정수평지지대(410)에 형성된 장공(720)과, 상기 볼트공(710)과 장공(720)에 관통되는 고정볼트(730)와, 상기 고정볼트(730)의 돌출단부에 체결되는 고정너트(740)를 포함하며,
    상기 상측 방향조절용 애자지지대(800)는 상기 수직지지대(500)의 상단에 결합되는 지지하우징(810)과, 상기 수직지지대(500)의 중간부에 결합되는 지지편(820)과, 상기 지지하우징(810)에 수평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동편(830)과, 상기 지지편(820)에 수평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동편(840) 및, 상기 회동편(830, 840)의 선단부 사이에 결합되는 수직바(850)를 포함하고,
    상기 하측 애자지지대(900)는 상기 수직지지대(500)의 하단에 결합되는 지지하우징(910)과, 상기 수직지지대(500)의 중간부에 결합되는 지지편(920)과, 상기 지지하우징(910)에 수평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동편(930)과, 상기 지지편(920)에 수평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동편(940) 및, 상기 회동편(930, 940)의 선단부 사이에 결합되는 수직바(950)를 포함하며,
    상기 회동편(830)을 수평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하우징(810)에는 회전축(860)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회동편(840)을 수평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편(820)에는 지지축(870)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회동편(930)을 수평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하우징(910)에는 회전축(960)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회동편(940)을 수평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편(920)에는 지지축(970)이 고정 설치되며,
    상기 상측 애자조립체(1010)는 상기 수직바(850)의 전면에 결합되는 'ㄷ'자형 애자고정구(1011)와, 상기 애자고정구(1011)와 수직지지대(500)를 관통하는 고정볼트(1012)와, 상기 고정볼트(1012)의 돌출단부에 체결되는 고정너트(1013)와, 상기 애자고정구(1011)에 삽입되어 분기상용배전선(40) 또는 인입배전선(71)을 지지하는 애자(1014)와, 상기 애자고정구(1011)와 애자(1014)를 관통하는 고정볼트(1015)와, 상기 고정볼트(1015)의 돌출단부에 체결되는 고정너트(1016)를 포함하고,
    상기 하측 애자조립체(1020)는 상기 수직바(950)의 전면에 결합되는 'ㄷ'자형 애자고정구(1021)와, 상기 애자고정구(1021)와 수직지지대(950)를 관통하는 고정볼트(1022)와, 상기 고정볼트(1022)의 돌출단부에 체결되는 고정너트(1023)와, 상기 애자고정구(1021)에 삽입되어 분기상용배전선(40) 또는 인입배전선(72)을 지지하는 애자(1024)와, 상기 애자고정구(1021)와 애자(1024)를 관통하는 고정볼트(1025)와, 상기 고정볼트(1025)의 돌출단부에 체결되는 고정너트(1026)를 포함하며,
    상기 상측 방향조절수단(1100)은 상기 상측 방향조절용 애자지지대(800)의 지지하우징(81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860)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웜기어(1110)와, 상기 지지하우징(81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웜기어(1110)에 맞물리며 일단부에 공구결합부(1130)가 형성되는 웜(1120)과, 상기 지지하우징(8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공구결합부(1130)에 결합되는 돌림공구(RT)가 출입하는 공구출입공(1140)을 포함하고,
    상기 하측 방향조절수단(1200)은 상기 하측 방향조절용 애자지지대(800)의 지지하우징(81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960)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웜기어(1210)와, 상기 지지하우징(91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웜기어(1210)에 맞물리며 일단부에 공구결합부(1230)가 형성되는 웜(1220)과, 상기 지지하우징(9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공구결합부(1230)에 결합되는 돌림공구(RT)가 출입하는 공구출입공(124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이 용이한 전신주 구조.
KR1020160017016A 2016-02-15 2016-02-15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이 용이한 전신주 구조 KR1017579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7016A KR101757912B1 (ko) 2016-02-15 2016-02-15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이 용이한 전신주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7016A KR101757912B1 (ko) 2016-02-15 2016-02-15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이 용이한 전신주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7912B1 true KR101757912B1 (ko) 2017-07-14

Family

ID=59358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7016A KR101757912B1 (ko) 2016-02-15 2016-02-15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이 용이한 전신주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791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366B1 (ko) * 2009-09-14 2009-12-11 김기문 가공전선의 인출 고정식 특고압 송전선로
KR101352421B1 (ko) * 2013-09-25 2014-01-17 하봉구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366B1 (ko) * 2009-09-14 2009-12-11 김기문 가공전선의 인출 고정식 특고압 송전선로
KR101352421B1 (ko) * 2013-09-25 2014-01-17 하봉구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6616B1 (ko) 가공 배전선로의 인류애자 설치용 인류스트랍
KR101519549B1 (ko) 사용이 편리한 가공 배전선로 지지완금
KR200448709Y1 (ko) 고압케이블의 처짐 방지장치
US4894759A (en) Pre-wired unitary support assembly for floodlights
EP2609266A1 (en) Kit for mounting one or more appliances on a pole
KR101485160B1 (ko) 가공 배전선로의 배전반 지지완철
KR101352421B1 (ko)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
KR101757912B1 (ko)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이 용이한 전신주 구조
KR100519935B1 (ko) 배전용 전주 상부 지지대
US20150354243A1 (en) Kit for mounting one or more appliances on a pole
KR100709097B1 (ko) 배전용 전주의 케이블 지지장치
KR101522013B1 (ko) 가공 배전선로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한 전주
KR101767616B1 (ko) 각도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전신주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KR100922324B1 (ko) 고압선로의 처짐 방지장치
KR100843162B1 (ko) 전선케이블 경완금 연결장치
KR100788048B1 (ko) 송배전의 점퍼선 지지용 애자
WO2014111168A1 (en) Kit for mounting one or more appliances on a pole
KR101723379B1 (ko) 통신케이블 가설장치
KR102041464B1 (ko) 변전연결선로 고정장치
BR112014030223B1 (pt) Sistema de derivação para linhas de potência aéreas, e, método para operar a derivação de uma seção de uma linha elétrica possuindo uma extremidade aérea
CN208955523U (zh) 10kv一体化变台成套设备
KR100759850B1 (ko) 배전용 전주의 케이블 방향 가변장치
CN220401364U (zh) 一种组合线缆桥架连接结构
KR101036897B1 (ko) 라인포스트 애자의 점퍼선 보호장치
CN105546308A (zh) 安装支架以及摄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