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7572B1 -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7572B1
KR100677572B1 KR1020050028073A KR20050028073A KR100677572B1 KR 100677572 B1 KR100677572 B1 KR 100677572B1 KR 1020050028073 A KR1020050028073 A KR 1020050028073A KR 20050028073 A KR20050028073 A KR 20050028073A KR 100677572 B1 KR100677572 B1 KR 100677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r
image
donor
magnetic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8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5349A (ko
Inventor
나오노리 쿠로가와
마사히코 이타야
신규철
쯔토무 테라오카
쯔토무 사사키
안명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28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7572B1/ko
Priority to US11/297,354 priority patent/US7519318B2/en
Priority to CNA2006100738406A priority patent/CN1847992A/zh
Publication of KR20060105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5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7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75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1/00Preparing grain for milling or like processes
    • B02B1/02Dry treat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9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using magnetic brush
    • G03G15/0907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using magnetic brush with bias vol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1/00Preparing grain for milling or like processes
    • B02B1/04Wet treatment, e.g. washing, wetting, softening
    • B02B1/06Devices with rotary par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Develop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개시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화상수용체와, 자기력에 의하여 비자성 토너와 자성 캐리어의 자기 브러쉬를 형성하는 자기롤러와, 자기롤러로부터 토너를 공급받아 그 외주에 토너층을 형성하고 화상수용체와 대면되어 토너를 상기 정전잠상으로 현상시키는 복수의 도너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방법{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evelopment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도.
도 2는 자기 브러쉬를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종래의 현상과정에 의하여 현상 고스트가 발생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에 따른 현상과정을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현상바이어스와 토너 소비율과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제1도너롤러 2......제2도너롤러
3......자기롤러 4......교반기
5......트리머 6......하우징
10......화상수용체 21......대전기
22......노광기 23......전사기
24......클리닝 블레이드 25......정착기
30......바이어스 인가수단 V1......현상바이어스
V2......공급바이어스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성캐리어와 비자성토너를 사용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사진방식을 이용한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복합기 등의 화상형성장치의 현상방식으로는, 토너와 자성 캐리어를 사용하는 이성분 현상방식, 절연토너나 도전성토너를 사용하는 일성분 현상방식, 자성캐리어를 사용하여 비자성토너를 대전시키는 이성분 현상제를 사용하며 현상롤러 상에 대전된 토너 만을 부착시켜 정전잠상으로 비상시켜 정전잠상을 현상하는 하이브리드 현상방식 등이 있다.
이성분 현상방식은, 토너의 대전성이 우수하고 장수명화가 가능하며 동시에 균일한 베타화상을 구현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반면에, 현상장치가 크고 복잡하게 되며, 토너의 비산, 캐리어의 잠상에의 부착, 캐리어의 내구성 열화에 의한 화질의 열화 등의 결점이 있다.
일성분 현상방식은 현상장치가 콤팩트하고 도트 재현성에 뛰어나지만, 현상롤러와 대전롤러의 성능열화로 인하여 내구성이 낮고, 토너가 다 소모된 경우에는 현상장치 자체를 교환하여야 하기 때문에 소모품 가격이 비싸고, 선택현상이 발생하는 등의 결점을 가지고 있다. 선택현상이란 소정의 무게와 전하량을 가진 토너만이 현상롤러로부터 정전잠상으로 부착되는 것을 말하며, 선택현상이 지속되면 소정의 무게와 전하량 이하의 토너는 현상에 사용되지 못하므로 토너사용율이 저하된 다.
하이브리드 현상방식은, 도트 재현성이 뛰어나고 장수명화가 가능하며 고속의 화상형성이 가능한 방식으로서, 일본 특개평6-67546호, 특개평7-72733호(US5,420,375),특개평7-92804호 등에는 자기롤러, 도너롤러를 채용한 하이브리드방식 현상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자기롤러에 의하여 도너롤러에 토너를 공급한다. 도너롤러와 감광체 사이에는 전극이 설치된다. 전극과 도너롤러 사이에 직류와 교류가 혼합된 바이어스를 인가하여 전극 부근에 토너구름을 형성하여 감광체 상의 정점잠상을 현상시킨다.
도너롤러와 감광체와의 사이에 전극을 설치하는 방식의 경우에, 전기적으로 바이어스되어 장력이 걸린 전극선의 진동에 의한 불균일한 현상이나 먼지가 순간적으로 전극에 부착되어 도너롤러에 줄모양의 흔적을 생기게 하는 현상이 생긴다. 특개평 2000-250294호에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전극을 매립한 도너롤러를 이용하는 예가 개시되어 있다. 이 경우에도 매립된 전극에 AC와 DC를 중첩 한 바이어스를 공급하기 위한 브러쉬 전극이 필요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고 가격이 비싸진다. 또, 브러쉬 전극이 오염되거나 토너가 브러쉬 전극에 고착되면, 도너롤러와 전극과의 접촉이 불가능지는 문제가 있다. 또, 고농도의 화상패턴을 연속하여 현상하는 경우에, 도너롤러에 토너의 미세분말과 토너성분에 의한 오염물질이 부착되어 이른바 토너필름밍이 발생되어 도너롤러 상의 토너층이 불균일해지고, 화상농도에 얼룩이 생기는 등의 화상 불균일성이 발생하기 쉽다.
또, 하이브리드 현상방식은 현상 고스트의 발생가 발생하기 쉽다. 현상 고스 트는 현상된 화상이 이전 화상의 잔상이 남는 현상을 말한다. 자기롤러에 의하여 도너롤러 상으로 공급된 토너는 현상바이어스에 의하여 일부가 감광체로 현상된다. 다음 현상을 위하여 자기롤러는 도너롤러로 토너를 공급하여 이전 현상과정에서 소비된 토너를 보충한다. 이 때, 자기롤러로부터 도너롤러로 공급되는 토너의 양이 불충분하면, 이전 현상에서 소비된 토너를 효과적으로 보충할 수 없다. 그러면, 도너롤러 상의 토너층의 두께가 불균일하게 되어 현상 고스트가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현상 고스트의 발생을 방지하고, 연속 인쇄시에 있어서도 화상 불균일이 발생하지 않으며, 장기간 안정적인 화상품질을 얻을 수 있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화상수용체; 자기력에 의하여 비자성 토너와 자성 캐리어의 자기 브러쉬를 형성하는 자기롤러; 상기 자기롤러로부터 토너를 공급받아 그 외주에 토너층을 형성하고, 상기 화상수용체와 대면되어 상기 토너를 상기 정전잠상으로 현상시키는 복수의 도너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복수의 도너롤러의 표면이 상기 화상수용체와의 최근접지점을 통과할 때에 각 도너롤러에서의 토너 소비율은 70% 이하이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화상형성정치는 상기 복수의 도너롤러에 토너를 공급하 는 복수의 상기 자기롤러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복수의 도너롤러 중 적어도 하나는 그 직경이 다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현상방법은, 자기롤러에 의하여 형성된 자성 캐리어와 비자성 토너의 자기브러쉬로부터 토너를 공급하여 도너롤러에 토너층을 형성하고, 상기 도너롤러에 현상바이어스를 인가하여 화상수용체의 정전잠상을 현상시키는 하이브리드 방식 현상방법으로서, 복수의 상기 도너롤러에 토너층을 형성하고, 복수의 도너롤러로부터 상기 정전잠상으로 순차적으로 토너를 공급하여 현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현상바이어스의 전위와 상기 정전잠상의 화상부 및 비화상부의 전위는 현상과정에서 상기 각 도너롤러의 토너 소비율은 70% 이하가 되도록 조절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복수의 도너롤러와 상기 화상수용체의 원주속도비는 현상과정에서 상기 각 도너롤러의 토너 소비율은 70% 이하가 되도록 조절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를 간략히 도시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복수의 토너롤러를 채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을 보면, 화상수용체(10), 제1, 제2도너롤러(1)(2), 자기롤러(3), 교반기(4)가 개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수용체(10)로서 유기감광체를 채용한다. 화상수용체(10)로서 아모포스 실리콘 감광체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 다. 화상수용체(10)에 정전잠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대전기(21)와 노광기(22)가 구비된다. 대전기(21)로서는 코로나 방전기 또는 대전롤러가 채용될 수 있다. 노광기(22)로서는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LSU(laser scanning unit)이 채용될 수 있다. 또 화상수용체(10)로서 정전드럼(미도시)을 채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정전잠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노광기(22) 대신에 정전기록헤드(미도시)가 채용된다.
하우징(6)에는 비자성 토너와 자성 캐리어가 수용된다. 캐리어는 자성 분말형태의 것을 사용하는 것 이외는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교반기(4)는 캐리어와 토너를 교반시켜 토너를 마찰 대전시킨다. 토너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부대전 및 정대전 어느 쪽이라도 무반하다. 자기롤러(3)의 자기력에 의하여 캐리어는 자기롤러(3)의 외주에 부착되고 토너는 정전기력에 의하여 캐리어에 부착된다. 그러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롤러(3)의 외주에는 캐리어와 토너로 된 자기 브러쉬가 형성된다. 트리머(5)는 자기 브로쉬를 일정한 두께로 규제한다. 트리머(5)와 자기롤러(3) 사이의 간격은 0.3 ~ 1.5mm 정도가 바람직하다.
제1, 제2도너롤러(1)(2)는 화상수용체(10)와 자기롤러(3) 사이에는 위치된다. 도너롤러의 개수는 2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하다면 3개 이상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자기롤러(3)의 개수도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하다면 복수의 자기롤러(3)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제1, 제2도너롤러(1)(2)와 화상수용체(10) 사이의 간격(현상갭(G))은 150 ~ 400㎛ 정도, 바람직하게는 200 ~ 300㎛ 정도이다. 현상갭(G)이 150㎛ 보다 좁으면 화상바램의 원인이 되며, 400㎛ 보다 넓으면 토너를 화상수용체(10)로 이동시키기가 곤란하여 충분한 화상농도를 얻을 수 없으 며 선택현상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된다. 자기롤러(3)와 제1, 제2도너롤러(1)(2) 사이의 간격은 0.2 ~ 1.0 mm 정도이며, 바람직하게는 0.3∼0.4mm 정도이다. 제1, 제2도너롤러(1)(2)는 체적고유저항이 106Ω·cm3 이하인 도전성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레스강으로 된 슬리브형태, 또는 외주면에 상기의 체적고유저항을 갖는 도전성 수지가 피복된 슬리브형태이다. 제1, 제2도너롤러(1)(2)는 그 재질이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지만, 달라도 무방하다. 제1, 제2도너롤러(1)(2)의 직경은 동일하여도 달라도 무방하다. 직경이 서로 다른 복수의 도너롤러를 사용하면 화상수용체, 도너롤러, 자기롤러의 배치에 있어서의 자유도가 증가되는 잇점이 있다.
바이어스인가수단(30)은 제1, 제2도너롤러(1)(2), 자기롤러(3)에 현상바이어스(V1), 공급바이어스(V2)를 각각 인가한다. 공급바이어스(V2)는 토너를 자기롤러(3)로부터 제1, 제2도너롤러(1)(2)로 이동시키는 전계를 자기롤러(3)와 제1, 제2도너롤러(1)(2) 사이에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직류 또는 직류와 교류가 중첩된 바이어스가 채용될 수 있다. 공급바이어스(V2)에 의하여 도너롤러(1)의 외주에는 토너층이 형성된다. 현상바이어스(V1)는 도너롤러(1)의 외주에 형성된 토너층으로부터 토너를 분리하여 현상갭(G)을 가로질러 화상수용체(10)의 정전잠상으로 날아가게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현상바이어스(V1)로서는 직류와 교류가 중첩된 형태의 바이어스가 채용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대전기(21)는 감광체인 화상수용체(10)의 표면을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킨다. 노광기(22)는 화상정보에 대응되는 광을 화상수용체 (10) 광을 조사한다. 이에 의하여 화상수용체(10)의 표면에는 전위가 서로 다른 화상부와 비화상부로 된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자기롤러(3)에 인가되는 공급바이어스(V2)에 의하여 토너는 자기 브러쉬로부터 분리되어 제1, 제2도너롤러(1)(2)로 공급된다. 제1, 제2도너롤러(1)(2)의 외주에는 균일한 토너층이 형성된다. 제1, 제2도너롤러(1)(2)에 형성된 토너층이 현상갭(G)을 통과할 때에 정전잠상의 화상부와 대면되면, 현상바이어스(V1)에 의하여 토너가 제1, 제2도너롤러(1)(2) 상의 토너층으로부터 분리되어 화상부에 부착되어 정전잠상을 가시적인 토너화상으로 현상시킨다. 토너화상은 전사기(23)에 의하여 제공되는 전사전계에 의하여 기록매체(P)로 전사된다. 정착기(25)는 열과 압력에 의하여 토너화상을 기록매체에 정착시킨다. 클리닝 블레이드(25)는 화상수용체(10)의 표면에 잔류되는 토너를 제거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복수의 도너롤러(1)(2)를 채용함으로써 주어진 화상농도를 얻기 위하여 각 도너롤러(1)(2)에서 소비되는 토너의 양을 줄인다. 그리하여, 자기롤러(3)로부터 각 도너롤러(1)(2)로 공급되는 토너의 양이 상대적으로 충분한 양이 되도록 한다는데 그 특징이 있다. 이를 도 3과 도 4를 보면서 설명한다. 도 3은 하나의 도너롤러(1)를 채용한 경우를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두 개의 도너롤러(1)(2)를 채용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의 (a)을 보면, 도너롤러(1)의 표면에 형성된 토너층 중에서 화상수용체(10)의 화상부와 대면된 영역(Ai)은 현상바이어스에 의하여 화상수용체(10)로 현상되며, 비화상부와 대면된 영역(Ab)은 현상되지 않고 도너롤러(1)의 표면에 남는다. 이 때, 영역 Ai로부터 화상수용체(10)로 현상된 토너의 양을 Ma라 한다. 다음 현상 을 위하여 자기롤러(3)는 영역 Ai에 토너를 공급하게 된다. 자기롤러(3)로부터 도너롤러(1)로 공급되는 토너의 양이 Ma 보다 적다면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너롤러(1)의 표면에 형성되는 토너층의 두께는 불균일하게 되어 다음 번 현상과정에서 이전 현상의 잔상이 남는 현상고스트가 발생된다.
도 4의 (a)를 보면, 화상수용체(10)가 제1, 제2도너롤러(1)(2)와 차례로 대면된다. 토너는 제1, 제2도너롤러(1)(2)로부터 화상수용체(10)의 화상부로 현상된다. 이 때, 제1, 제2도너롤러(1)(2)로부터 화상수용체(10)로 현상된 토너의 양을 각각 Mb1, Mb2라 한다. 따라서, 균일한 토너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자기롤러(3)로부터 제1, 제2도너롤러(1)(2)로 공급되어야 하는 토너의 양은 각각 Mb1, Mb2가 된다. 도 3과 도 4의 경우에 화상수용체(10)에 현상된 토너화상의 농도가 동일하다면 Ma = Mb1 + Mb2이다. 따라서, Ma>Mb1이며, Ma>Mb2이다. 자기롤러(3)로부터 제1, 제2도너롤러(1)(2)로 공급되어야 하는 토너의 총량은 Ma이지만, 자기롤러(3)는 이를 나누어서 제1도너롤러(1)에 Mb1, 제2도너롤러(2)에 Mb2 만을 공급하면 된다. 따라서, 자기롤러(3)에 의하여 한 번에 공급될 수 있는 토너의 양이 Ma보다 작다 하더라도 이를 두 번에 나누어 공급하기 때문에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제2도너롤러(1)(2)에는 상대적으로 충분한 양의 토너가 공급되어 균일한 토너층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자기롤러(3)의 토너 공급량의 부족으로 인한 현상 고스트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도너롤러(1)(2)를 채용하면, 단속적으로 화상을 현상하는 경우는 물론이고 연속적으로 화상을 현상하는 경우에도 도너롤러(1)(2)에 균일한 두께의 토너층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현상 고스트를 방지할 수 있다. 특히 고농도의 화상을 연속적으로 현상하는 경우의 현상 고스트를 방지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며, 안정적인 화상품질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두 번에 걸쳐서 순차적으로 정전잠상을 현상하기 때문에 충분한 화상농도를 얻을 수 있다.
이제, 현상 고스트를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하여, 제1, 제2도너롤러(1)(2)의 표면이 화상수용체(10)와의 최근접지점, 즉 현상갭(G)을 통과할 때에 제1, 제2도너롤러(1)(2)에서 소비되는 토너의 비율(토너 소비율)에 관하여 검토하여 본다. 토너 소비율은 {(현상 전 도너롤러 상의 토너의 양 - 현상 후 도너롤러 상의 토너의 양)/현상 전 도너롤러 상의 토너의 양}×100(%) 이다. 토너의 양은 일 예로서 광학농도로 표시될 수 있다. 광학농도는 도너롤러(1)(2)의 표면에 광을 조사하여 그로부터 반사되는 광량을 검출하여 이를 수치화하여 표시한 것으로서, 토너의 양에 따라 반사되는 광량이 달라지므로 이를 이용하여 토너의 양을 알 수 있다. 광학농도를 이용하여 토너 소비율을 다시 쓰면,
토너 소비율= 100×(1- O.D.1/ O.D.2) (단위 : %)
O.D.1 : 현상 후의 도너롤러의 광학농도
O.D.2 : 현상 전의 도너롤러의 광학농도
가 된다. 실험에 의하면, 토너 소비율이 70% 이하일 때에 양호한 화상농도를 얻을 수 있으며 동시에 연속 현상시에도 현상 고스트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었다. 제1, 제2도너롤러(1)(2)의 표면에 형성된 토너층 중에서 현상갭(G)을 통과할 때에 비화상부와 대면된 부분은 토너소비율이 거의 0%에 가깝다. 따라서, 토너 소비율이 70% 이하라는 조건은 실질적으로 제1, 제2도너롤러(1)(2)의 표면에 형성된 토너층 중에서 현상갭(G)을 통과할 때에 화상부와 대면된 부분에 대하여 의미가 있다.
토너 소비율은 화상수용체(10)와 제1, 제2도너롤러(1)(2) 사이에 작용되는 전계와 관계가 있다. 이 전계는 화상부와 비화상부의 전위와 현상바이어스(V1)의 전위에 의하여 형성된다. 참고로 도 4에는 현상 바이어스와 토너 소비율과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현상바이어스(V1)의 전위와 화상부 및 비화상부의 전위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토너 소비율을 70% 이하가 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 때, 토너 소비율을 70% 이하로 조절하기 위한 현상바이어스(V1)와 화상부 및 비화상부의 전위는 제1, 제2도너롤러(1)(2) 사이의 간격 등 현상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도 5에 도시된 수치가 절대적인 값은 아니다.
토너의 소비율은 제1, 제2도너롤러(1)(2)와 화상수용체(10)의 원주속도비에 의하여 제어될 수도 있다. 원주속도비가 커지면 즉, 제1, 제2도너롤러(1)(2)의 원주속도가 빨라지면 토너 소비율은 줄어들고, 원주속도비가 작아지면 토너 소비율은 늘어난다.
<실시예>
화상수용체(10)로서 유기감광체를 사용하고, 제1, 제2도너롤러(1)(2)와 화상수용체(10) 사이의 간격(현상갭(G))을 약 250㎛으로 설정하였으며, 제1, 제2도너롤러(1)(2)와 화상수용체(10) 사이에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에서 사용된 와이어 전극은 설치하지 않았다. 화상수용체(10)의 대전전위(비화상부의 전위)를 -600V 노광부의 전위(화상부의 전위)를 -50V로 하였다. 제1, 제2도너롤러(1)(2)에 현상바이어스 (V1)로서, -300V의 직류바이어스에 진폭 300V 주파수 1kHz의 교류바이어스를 중첩하여 인가하였다. 자기롤러(3)에는 공급바이어스(V2)로서 -500V의 직류바이어스를 인가하였다. 이 경우에, 제1, 제2도너롤러(1)(2)의 토너 소비율은 함께 약50% 정도 였다. 또 연속적으로 자기롤러(3)부터 토너공급을 받아 형성된 제1, 제2도너롤러(1)(2)에 형성된 토너층의 두께는 균일하다는 것이 광학농도의 측정에 의해 확인되었다. 이 조건 하에서 현상된 화상은 충분한 화상농도를 가지며 연속 인쇄시에도 고스트가 없는 안정한 화질을 얻을 수 있었다.
<비교예>
비교예로서, 제2도너롤러(2)를 제외하고 위의 실시예와 동일한 조건으로 실험을 해 보았다. 상술한 실시예에 의하여 현상된 화상과 동일한 정도의 화상농도를 얻기 위하여는 제1도너롤러(1)에 인가하는 현상바이어스의 직류성분의 전위는 -500V, 자기롤러(3)에 인가하는 공급바이어스의 전위는 -700V가 필요했다. 이 때의 토너 소비율은 약90% 이었다. 연속적으로 자기롤러(3)로부터 토너공급을 받아서 제1도너롤러(1)에 형성된 토너층은 토너 공급량의 부족으로 인하여 불균일하다는 것이 광학농도의 측정에 의하여 확인되었다. 이 조건 하에서 얻어진 화상은 충분한 화상농도를 가지고 있었지만 연속 인쇄시에는 현상 고스트가 발생하였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단색의 화상형성장치 및 이를 위한 현상방법에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방법은 탠덤구성을 가지는 싱글패스방식 칼라화상형성장치, 하나의 화상수용체를 여러 번 현상하고 중간전사체에 순차적으로 전사하는 멀티패스방식 칼라화상형성장치에도 적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상장치에 의하면, 복수의 도너롤러를 채용함으로써 각 도너롤러에서의 토너 소비율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자기롤러에 의하여 복수의 도너롤러 상에 균일한 토너층을 형성할 수 있어 현상 고스트를 방지할 수 있다. 또, 토너 소비율을 70% 이하로 설정함으로써 연속 인쇄시에도 현상 고스트가 없는 안정적인 화상품질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 설명되고 도면에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의 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예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Claims (7)

  1.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화상수용체;
    자기력에 의하여 비자성 토너와 자성 캐리어의 자기 브러쉬를 형성하는 자기롤러;
    상기 자기롤러로부터 토너를 공급받아 그 외주에 토너층을 형성하고, 상기 화상수용체와 대면되어 상기 토너를 상기 정전잠상으로 현상시키는 복수의 도너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도너롤러의 표면이 상기 화상수용체와의 최근접지점을 통과할 때에 각 도너롤러에서의 토너 소비율은 7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도너롤러에 토너를 공급하는 복수의 상기 자기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도너롤러 중 적어도 하나는 그 직경이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5. 자기롤러에 의하여 형성된 자성 캐리어와 비자성 토너의 자기브러쉬로부터 토너를 공급하여 도너롤러에 토너층을 형성하고, 상기 도너롤러에 현상바이어스를 인가하여 화상수용체의 정전잠상을 현상시키는 하이브리드 방식 현상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도너롤러에 토너층을 형성하고, 복수의 도너롤러로부터 상기 정전잠상으로 순차적으로 토너를 공급하여 현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바이어스의 전위와 상기 정전잠상의 화상부 및 비화상부의 전위는 현상과정에서 상기 각 도너롤러의 토너 소비율은 70% 이하가 되도록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도너롤러와 상기 화상수용체의 원주속도비는 현상과정에서 상기 각 도너롤러의 토너 소비율은 70% 이하가 되도록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방법.
KR1020050028073A 2005-04-04 2005-04-04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방법 KR1006775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8073A KR100677572B1 (ko) 2005-04-04 2005-04-04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방법
US11/297,354 US7519318B2 (en) 2005-04-04 2005-12-09 Electrophotolith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and image developing method
CNA2006100738406A CN1847992A (zh) 2005-04-04 2006-03-31 电子照相成像装置和图像显影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8073A KR100677572B1 (ko) 2005-04-04 2005-04-04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5349A KR20060105349A (ko) 2006-10-11
KR100677572B1 true KR100677572B1 (ko) 2007-02-02

Family

ID=37077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8073A KR100677572B1 (ko) 2005-04-04 2005-04-04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519318B2 (ko)
KR (1) KR100677572B1 (ko)
CN (1) CN184799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54532B2 (ja) * 2007-01-30 2012-01-18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
WO2008116468A2 (en) 2007-03-26 2008-10-02 Dako Denmark A/S Mhc peptide complexes and uses thereof in infectious diseases
US10968269B1 (en) 2008-02-28 2021-04-06 Agilent Technologies, Inc. MHC multimers in borrelia diagnostics and disease
WO2010009735A2 (en) 2008-07-23 2010-01-28 Dako Denmark A/S Combinatorial analysis and repair
US10369204B2 (en) 2008-10-02 2019-08-06 Dako Denmark A/S Molecular vaccines for infectious disease
JP4661933B2 (ja) * 2008-10-08 2011-03-30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141569B2 (ja) * 2009-01-20 2013-02-13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9066695A (ja) * 2017-10-02 2019-04-25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8387B2 (ja) * 1977-01-07 1984-11-2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
US4131357A (en) * 1977-03-21 1978-12-26 Xerox Corporation Sequentially activated development system for an electrophotographic printer
US4442790A (en) * 1982-09-29 1984-04-17 Eastman Kodak Company Magnetic brush development apparatus
JP2751209B2 (ja) * 1988-06-17 1998-05-18 ミノルタ株式会社 現像装置
US4963937A (en) * 1989-03-17 1990-10-16 Xerox Corporation Development apparatus
US5010368A (en) 1990-02-20 1991-04-23 Xerox Corporation Magnetic transport roll for supplying toner or carrier and toner to a donor and magnetic developer roll respectively
US5621506A (en) * 1993-03-12 1997-04-15 Kabushiki Kaisha Toshiba Electrostatic recording apparatus providing an electric field adjacent a developer roller
US5630201A (en) * 1995-03-10 1997-05-13 Hitachi Koki Co., Ltd. Development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rolls rotated at particular speeds
DE19636783B4 (de) * 1995-09-12 2005-12-08 Fuji Xerox Co., Ltd. Elektrophotographisches Bilderzeugungsgerät
US5930569A (en) * 1998-08-03 1999-07-27 Xerox Corporation Developer rolls system with reduced edge image defects
JP2000181203A (ja) 1998-12-17 2000-06-30 Toshiba Corp 現像装置
JP2001290364A (ja) 2000-04-05 2001-10-19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US6733891B1 (en) * 2000-05-31 2004-05-11 Xerox Corporation Roll having glass coating
JP2003280284A (ja) 2002-03-20 2003-10-02 Ricoh Co Ltd 現像剤用キャリア及び現像剤並びに画像形成方法
US6965746B2 (en) * 2003-06-17 2005-11-15 Xerox Corporation Hybrid electrophotographic development with toner induction charged via AC induced conductivity
US7217444B2 (en) * 2004-06-29 2007-05-15 Xerox Corporation Process for electrostatic powder coating an article using triboelectrically charged powder with air jet assist
JP2006023513A (ja) * 2004-07-07 2006-01-26 Canon Inc 現像装置及び該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4642529B2 (ja) * 2005-03-31 2011-03-02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
US7502580B2 (en) * 2005-11-30 2009-03-10 Xerox Corporation Two component development system using ion or electron charged to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47992A (zh) 2006-10-18
US7519318B2 (en) 2009-04-14
KR20060105349A (ko) 2006-10-11
US20060222416A1 (en) 2006-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4146B1 (ko) 하이브리드방식 현상장치 및 현상방법
KR100677572B1 (ko)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방법
US20060222390A1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and developing method thereof
EP1372045A2 (en) Developing device using a developer carrier formed with groove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2008046172A (ja) 帯電システム及び画像形成装置
JP3599193B2 (ja)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現像方法
JP4382421B2 (ja)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現像方法及び装置
KR100708185B1 (ko) 하이브리드방식 현상장치 및 현상방법
JP3599192B2 (ja) 画像形成装置
JP4725952B2 (ja) 画像形成方法
US7013094B2 (en) Reload error compensation method
JP2003280357A (ja) 画像形成装置
KR100717045B1 (ko)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방법
JP2005099686A (ja) 現像装置
JP3599191B2 (ja) 現像装置における現像ロールのトナー回収方法
JP4794276B2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599189B2 (ja)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現像方法
JP2005055842A (ja) 画像形成方法及び装置
US6327451B1 (en) Development device for use with an electrophotographic image-forming device
US6816687B1 (en) Reload error compensation in color process control methods
KR100708160B1 (ko)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방법
KR100708153B1 (ko)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방법
JP4310152B2 (ja)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現像装置
JP2000098730A (ja) 画像形成装置
JP2005173378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