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6059B1 - 발광 다이오드 - Google Patents

발광 다이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6059B1
KR100676059B1 KR1020050010255A KR20050010255A KR100676059B1 KR 100676059 B1 KR100676059 B1 KR 100676059B1 KR 1020050010255 A KR1020050010255 A KR 1020050010255A KR 20050010255 A KR20050010255 A KR 20050010255A KR 100676059 B1 KR100676059 B1 KR 100676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ype semiconductor
layer
semiconductor layer
electrode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0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9970A (ko
Inventor
최원진
조인성
임원택
장영학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0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6059B1/ko
Publication of KR20060089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99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6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6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01F27/72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helices or sections of helices
    • B01F27/724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helices or sections of helices with a single helix closely surrounded by a c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01F27/7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paddles, blades or arms
    • B01F27/707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paddles, blades or arms the paddles co-operating, e.g. intermeshing, with elements on the receptacle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025/91Direction of flow or arrangement of feed and discharge openings
    • B01F2025/911Axial flow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ed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광 다이오드에 관한 것으로, P타입 반도체층과 P전극 사이에 P타입 반도체층보다 에너지 밴드 갭이 작은 물질로 이루어진 컨택층을 형성함으로써, P타입 반도체층과 P전극 사이의 베리어 높이를 낮출 수 있어, 전류 주입이 용이하고 컨택 저항(Contact resistance)을 감소시켜 소자를 저전력으로 구동시킬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컨택층, 에너지, 밴드갭, 전류

Description

발광 다이오드 { Light emitting diode }
도 1은 일반적인 발광 다이오드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발광 다이오드의 에너지 밴드 다이어그램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의 에너지 밴드 다이어그램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의 다른 컨택층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일부 단면도
도 6은 도 5의 컨택층이 발광 다이오드에 적용된 에너지 밴드 다이어그램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기판 110 : N타입 반도체층
120 : 활성층 130 : P타입 반도체층
140,141,142,143,144,145,146 : 컨택층
150 : P전극 160 : N전극
본 발명은 발광 다이오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P타입 반도체층과 P전극 사이에 P타입 반도체층보다 에너지 밴드 갭이 작은 물질로 이루어진 컨택층을 형성함으로써, P타입 반도체층과 P전극 사이의 베리어 높이를 낮출 수 있어, 전류 주입이 용이하고 컨택 저항(Contact resistance)을 감소시켜 소자를 저전력으로 구동시킬 수 있는 발광 다이오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질화갈륨(GaN)의 에피(Epi) 성장 기술과 프로세스의 비약적 발전으로 인해 높은 광출력을 가진 발광 다이오드는 현재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발광 다이오드는 높은 휘도와 신뢰도, 저 전력 소모, 그리고 장수명과 같은 많은 이점을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저전력 소모를 위한 다양한 방식의 발광 다이오드 구현이 이루어지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발광 다이오드의 단면도로서, 사파이어 기판(10) 상부에 N-GaN층(20), 활성층(30)과 P-GaN층(40)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P-GaN층(40)에서 N-GaN층(20)까지 메사(Mesa)식각되어 있고; 상기 메사 식각된 N-GaN층(20) 상부에 N전극(6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P-GaN층(40) 상부에 P전극(50)이 형성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발광 다이오드의 에너지 밴드 다이어그램으로서, P-GaN층에 P-전극이 컨택되면, 베리어(Barrier)가 높아 P전극에서 정공이 P-GaN층으로 원활하 게 주입되기 어렵다.
즉, 일반적인 발광 다이오드에서는 P-GaN층 상부에 P-전극이 형성되는데, P-전극과 P-GaN층은 컨택 저항이 높아서, 전력 소모가 큰 단점이 있다.
이렇게, P타입 반도체층과 P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오믹 컨택(Ohmic contact)으로 베리어 높이(Barrier height)가 결정되고, 이에 따라 컨택 저항(Contact resistance)이 결정되고, 이 컨택 저항은 소자의 전력 소모와 관련되어 진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P타입 반도체층과 P전극 사이에 P타입 반도체층보다 에너지 밴드 갭이 작은 물질로 이루어진 컨택층을 형성함으로써, P타입 반도체층과 P전극 사이의 베리어 높이를 낮출 수 있어, 전류 주입이 용이하고 컨택 저항(Contact resistance)을 감소시켜 소자를 저전력으로 구동시킬 수 있는 발광 다이오드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양태(樣態)는, 기판 상부에 N타입 반도체층, 활성층과 P타입 반도체층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P타입 반도체층에서 N타입 반도체층까지 메사(Mesa)식각되어 있고;
상기 P타입 반도체층 상부에 상기 P타입 반도체층보다 에너지 밴드갭이 작은 P타입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진 컨택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컨택층 상부에 P전극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메사 식각된 N타입 반도체층 상부에 N전극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발광 다이오드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다른 양태(樣態)는, 기판 상부에 N타입 반도체층, 활성층과 P타입 반도체층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P타입 반도체층에서 N타입 반도체층까지 메사(Mesa)식각되어 있고;
상기 P타입 반도체층 상부에 상기 P타입 반도체층보다 에너지 밴드갭이 작은 P타입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진 복수개 층들이 적층되어 이루어진 컨택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컨택층 상부에 P전극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메사 식각된 N타입 반도체층 상부에 N전극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발광 다이오드가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의 단면도로서, 기판(100) 상부에 N타입 반도체층(110), 활성층(120)과 P타입 반도체층(130)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P타입 반도체층(130)에서 N타입 반도체층(110)까지 메사(Mesa)식각되어 있고; 상기 P타입 반도체층(110) 상부에 상기 P타입 반도체층보다 에너지 밴드갭이 작은 P타입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진 컨택층(14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컨택층(140) 상부에 P전극(15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메사 식각된 N타입 반도체층(110) 상부에 N전극(160)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본 발명의 발광 다이오드는 P전극과 P타입 반도체층 사이에 P 타입 반도체층보다 밴드갭(Bandgap)이 작은 컨택층(Contact layer)이 형성되어 있어 컨택 저항(Contact resistance)를 줄여 전력 소모를 감소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반도체층이 GaN인 경우에, 상기 컨택층은 P타입 InxGa(1-x)N층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의 에너지 밴드 다이어그램으로서, 종래 기술과 같이, P-GaN층에 P-전극이 컨택되면 베리어(Barrier)가 높아 P전극에서 정공이 P-GaN층으로 원활하게 주입되기 어려운 것을 해결하는 것이다.
즉, P타입 InxGa(1-x)N층은 X가 '0'인 경우 P-GaN층이 되고, X값이 점차 증가할수록 에너지 밴드갭은 감소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X가 '1'인 InN은 에너지 밴드 갭이 1.9eV이고, P-GaN층의 에너지 밴드 갭은 3.5eV이므로, P타입 InxGa(1-x)N은 1.9eV보다 크고, 3.5eV보다 작은 에너지 밴드 갭을 갖는다.
그러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P전극과 P-GaN층 사이에 P타입 InxGa(1-x)N층이 형성되면, P-전극과 P타입 InxGa(1-x)N층의 컨택 베리어 높이(h2)는 도 2에 대비하여 낮아지게 되어 P-전극으로부터 주입되는 정공이 원활하게 P-GaN으로 이동할 수 있게된다.
이 때, 상기 P타입 InxGa(1-x)N층의 X값은, 0〈 X〈 1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P타입 InxGa(1-x)N층의 P타입 도펀트(Dopant)로는 Mg 또는 Zn 등 이 사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P타입 반도체층과 P전극 사이에 상기 P타입 반도체층보다 에너지 밴드갭이 작은 P타입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진 컨택층을 형성하여, 캐리어의 이동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소자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의 다른 컨택층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일부 단면도로서, P타입 반도체층(130) 상부에 상기 P타입 반도체층보다 에너지 밴드갭이 작은 P타입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컨택층(141,142,143,144,145,146)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개의 컨택층(141,142,143,144,145,146) 상부에 P전극(150)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반도체층이 GaN인 경우에, 상기 복수개의 컨택층 각각은 P타입 InxGa(1-x)N층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컨택층(141,142,143,144,145,146)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컨택층(141,142,143,144,145,146)은 P전극에서 P타입 반도체층으로 가까워질수록 에너지 밴드갭이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반도체층이 GaN이고, 상기 복수개의 컨택층 각각이 P타입 InxGa(1-x)N층인 경우, P전극에서 P-GaN층으로 가까워질수록 X값이 감소되도록 구성한다.
도 6은 도 5의 컨택층이 발광 다이오드에 적용된 에너지 밴드 다이어그램으 로서, P전극과 P-GaN층 사이에 복수개의 P타입 InxGa(1-x)N층이 형성되면, P-전극과 복수개의 P타입 InxGa(1-x)N층의 컨택 베리어 높이(h3)는 도 4와 거의 동일하게 되어, 종래 기술과 대비하면, 낮아지게 되므로 P-전극으로부터 주입되는 정공이 원활하게 P-GaN으로 이동할 수 있게된다.
또한, 도 4에서는 P타입 InxGa(1-x)N층이 P-GaN층과 컨택되면서 컨택 베리어(A)가 형성되는데, 도 6과 같이 P-GaN층으로 가까워질수록 에너지 밴드갭이 큰 복수개의 컨택층(141,142,143,144,145,146)이 P-GaN층과 컨택되므로, 복수개의 P타입 InxGa(1-x)N층은 점차적으로 에너지 밴드 갭이 P-GaN층과 가깝게 되어 완만한 경사의 에너지 밴드 다이어그램이 된다.
그러므로, 상기 복수개의 컨택층은 완만한 경사의 에너지 밴드 다이어그램을 만들기 때문에, P-전극에서 보다 많은 수의 캐리어들이 낮은 전위 장벽을 넘어서 P타입 반도체층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소자의 구동전력이 크게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P타입 반도체층과 P전극 사이에 P타입 반도체층보다 에너지 밴드 갭이 작은 물질로 이루어진 컨택층을 형성함으로써, P타입 반도체층과 P전극 사이의 베리어 높이를 낮출 수 있어, 전류 주입이 용이하고 컨택 저항(Contact resistance)을 감소시켜 소자를 저전력으로 구동시킬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10)

  1. 기판 상부에 N타입 반도체층, 활성층과 P타입 반도체층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P타입 반도체층에서 N타입 반도체층까지 메사(Mesa)식각되어 있고;
    상기 P타입 반도체층 상부에 상기 P타입 반도체층보다 에너지 밴드갭이 작은 P타입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지고, 1.9eV보다 크고, 3.5eV보다 작은 에너지 밴드 갭을 갖는 컨택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컨택층 상부에 P전극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메사 식각된 N타입 반도체층 상부에 N전극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발광 다이오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층은 GaN이고,
    상기 컨택층은 P타입 InxGa(1-x)N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
  3. 삭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P타입 InxGa(1-x)N층의 P타입 도펀트(Dopant)는,
    Mg 또는 Z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
  5. 기판 상부에 N타입 반도체층, 활성층과 P타입 반도체층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P타입 반도체층에서 N타입 반도체층까지 메사(Mesa)식각되어 있고;
    상기 P타입 반도체층 상부에 상기 P타입 반도체층보다 에너지 밴드갭이 작은 P타입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진 복수개층들이 적층되어 이루어진 컨택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컨택층 상부에 P전극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메사 식각된 N타입 반도체층 상부에 N전극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컨택층의 P타입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진 복수개층은,
    P전극에서 P타입 반도체층으로 가까워질수록 에너지 밴드갭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층의 P타입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진 복수개층 각각의 두께는 동일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
  7. 삭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층의 P타입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진 복수개층 각각은,
    1.9eV보다 크고, 3.5eV보다 작은 에너지 밴드 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층은 GaN이고,
    상기 컨택층의 P타입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진 복수개층 각각은 P타입 InxGa(1-x)N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층의 복수개의 P타입 InxGa(1-x)N층은,
    P전극에서 P-GaN층으로 가까워질수록 X값이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
KR1020050010255A 2005-02-03 2005-02-03 발광 다이오드 KR100676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0255A KR100676059B1 (ko) 2005-02-03 2005-02-03 발광 다이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0255A KR100676059B1 (ko) 2005-02-03 2005-02-03 발광 다이오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9970A KR20060089970A (ko) 2006-08-10
KR100676059B1 true KR100676059B1 (ko) 2007-01-29

Family

ID=37571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0255A KR100676059B1 (ko) 2005-02-03 2005-02-03 발광 다이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605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4945A (ko) * 1998-10-02 2000-05-06 조장연 더블클래딩-더블헤테로구조를 갖는 질화갈륨계 발광소자의 제작방법
KR20000074448A (ko) * 1999-05-21 2000-12-15 조장연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KR20020080345A (ko) * 1999-12-13 2002-10-23 니치아 카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발광소자
KR20030067733A (ko) * 2000-12-28 2003-08-14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반도체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및 반도체 장치 및 그제조 방법
KR20040029167A (ko) * 1998-03-12 2004-04-03 니치아 카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질화물 반도체 소자
KR20050121313A (ko) * 2004-06-22 2005-12-27 에피밸리 주식회사 낮은 접촉저항을 가지는 ⅲ-질화물반도체 발광소자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9167A (ko) * 1998-03-12 2004-04-03 니치아 카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질화물 반도체 소자
KR20000024945A (ko) * 1998-10-02 2000-05-06 조장연 더블클래딩-더블헤테로구조를 갖는 질화갈륨계 발광소자의 제작방법
KR20000074448A (ko) * 1999-05-21 2000-12-15 조장연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KR20020080345A (ko) * 1999-12-13 2002-10-23 니치아 카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발광소자
KR20030067733A (ko) * 2000-12-28 2003-08-14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반도체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및 반도체 장치 및 그제조 방법
KR20050121313A (ko) * 2004-06-22 2005-12-27 에피밸리 주식회사 낮은 접촉저항을 가지는 ⅲ-질화물반도체 발광소자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4002916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9970A (ko) 2006-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2191B1 (ko)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2005317843A (ja) GaN系半導体装置
KR20090002214A (ko)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649496B1 (ko)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및 제조방법
KR101881064B1 (ko)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294518B1 (ko)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 방법
CN103594579B (zh) 一种氮化物发光二极管的外延结构
KR20020079659A (ko) 질화갈륨계 반도체 엘이디 소자
KR100946034B1 (ko)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KR20040042311A (ko) 반도체 엘이디 소자
KR100676060B1 (ko) 발광 다이오드
KR100676059B1 (ko) 발광 다이오드
KR100288851B1 (ko) 델타도핑을 이용한 질화물계 발광소자의 제작방법
CN111326616A (zh) 一种半导体发光元件
KR20160027644A (ko) 발광소자 및 조명시스템
CN114284405B (zh) 发光二极管及其制备方法
KR101392218B1 (ko) 반도체 발광소자
CN217009212U (zh) Led芯片
KR20060089480A (ko) 다중층 구조를 내장한 발광 다이오드
KR101198357B1 (ko) 발광다이오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619415B1 (ko) 발광 다이오드
KR20080035889A (ko) 질화물계 반도체 발광다이오드
US20140054544A1 (en) Light emitting device
KR20060068856A (ko)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2354251B1 (ko) 발광소자 및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