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5253B1 - 휴대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5253B1
KR100675253B1 KR1020040028054A KR20040028054A KR100675253B1 KR 100675253 B1 KR100675253 B1 KR 100675253B1 KR 1020040028054 A KR1020040028054 A KR 1020040028054A KR 20040028054 A KR20040028054 A KR 20040028054A KR 100675253 B1 KR100675253 B1 KR 1006752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pect
horizontal direction
mounting
portable terminal
atta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8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2480A (ko
Inventor
히데오 카토오
Original Assignee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92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24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5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52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4Supports for the arms
    • A47C7/541Supports for the arms of adjustabl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622Receptacles, e.g. cup holders, storage containers
    • A47C7/624Receptacles, e.g. cup holders, storage containers located on side of seat, e.g. on armre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using combined folding and rotation mo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isplays For Variable Information Using Movable Means (AREA)
  • Handcart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보드조작부를 지니는 제1부재와, 그 제1부재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한 취부부재를 개재하여 상기 제1부재에 대해 함께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취부한 디스플레이부를 지니는 제2부재로 구성하고, 그 제2부재를 상기 취부부재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취부하는 것에 의해 상기 취부부재를 제1부재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2부재의 측면 또는 이면을 정면으로 향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 상기 취부부재를 제1부재에 대해 일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하거나,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하도록 취부하고, 그 취부부재에로 상기 제2부재를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취부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portab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휴대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휴대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취부부재의 슬라이드기구의 부분을 설명하는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5는 취부부재의 슬라이드기구의 부분을 설명하는 우측면도이다.
도 6은 취부부재의 슬라이드기구의 가압수단의 구조를 설명하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7은 제2부재의 회전수단의 구조를 설명하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1의 휴대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관한 휴대단말기의 다른 실시형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6은 도 10의 휴대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20: 제1부재 1a,10a: 키보드조작부
1b,20b: 마이크부 1c: 안테나
2,21: 제2부재 2a,21a: 디스플레이부
2b,21b: 스피커부 2c,21c: 카메라부
3,22: 취부부재 3a: 만곡부
4: 슬라이드기구 6: 가압수단
7: 힌지케이스 8: 볼베어링
9: 받침부 10: 스토퍼 수단
11: 압축스프링 12: 회전수단
13: 축 13a: 삽입관통공
13b: 플랜지부 13c: 변형취부부
13d: 소경부 13e: 변형부
13f: 암나사부 14: 와셔
15: 제1프릭션 와셔 16: 제2프릭션 와셔
18: 체결너트 19: 도선
본 발명은, 휴대전화기나 포켓컴퓨터용으로 적합한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기와 같은 휴대단말기에 있어서는, 키보드조작부나 마이크부를 설치한 제1부재와, 디스플레이부와 스피커부를 설치한 제2부재를 별개의 틀체에 설치하고, 그 틀체끼리 힌지장치를 개재하여 상대적으로 개폐가능하게 연결하거나, 틀체끼리 상대적으로 일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연결한 것이 공지되어 있고, 그러한 것으로서는 일본국 특개2003-46625호 공개특허 및 특개2003-65321호 공개특허공보에 개시된 것이 공지되어 있다.
전자의 공지문헌의 것은, 키보드조작부를 지니는 제1부재와, 디스플레이부를 지니는 제2부재가, 각각의 단부를 힌지장치를 개재하여 개폐가능하게 연결한 것이고, 후자의 공지문헌의 것은, 키보드조작부를 지니는 제1부재와, 디스플레이부를 지니는 제2부재가 슬라이드기구를 개재하여 서로 같은 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상술한 전자의 공지문헌의 것은, 키보드조작부를 지니는 제1부재와, 디스플레이부를 지니는 제2부재가, 각각의 단부를 힌지장치를 개재하여 개폐가능하게 연결한 것이고, 후자의 공지문헌의 것은, 키보드조작부를 지니는 제1부재와, 디스플레이부를 지니는 제2부재가 슬라이드기구를 개재하여 서로 같은 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어떤 공지문헌의 것도, 제2부재가 전개위치 또는 슬라이드위치에서 자세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지 아니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제2부재의 측면이나 이면에 카메라를 설치한 경우에, 제1부재를 그대로 그 카메라를 정면으로 향할 수 없기 때문에 조작성이 나쁘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특히, 후자의 공지문헌의 것은, 디스플레이부가 항상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화면에 상처가 나기 쉽다고 하는 문제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부재에 대해 제2부재가 중첩된 상태와,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창출할 수 있도록 양자를 연결하여 구성하는 휴대단말에 있어서, 제2부재를 제1부재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킨 후에 더욱 제2부재의 측면이나 이면을 정면으로 향하게 할 수 있도록 회전가능하게 한 휴대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키보드조작부를 지니는 제1부재와, 그 제1부재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한 취부부재를 개재하여 상기 제1부재에 대해 함께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취부한 디스플레이부를 지니는 제2부재로 구성하고, 그 제2부재를 상기 취부부재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취부하는 것에 의해 상기 취부부재를 제1부재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2부재의 측면 또는 이면을 정면으로 향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본 발명은, 상기 취부부재에로 제2부재를 회전가능하게 취부하는 수단을, 프릭션(friction)기구부 회전수단으로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취부부재를 제1부재에로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취부함에 있어, 일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취부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상기 취부부재를 제1부재에 대해 슬라이드가능하게 취부하는 수단을, 가압수단부 슬라이드기구로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취부부재를 제1부재에로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취부함에 있어,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취부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상기 취부부재를 제1부재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취부하는 수단을, 프릭션기구부 회전수단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은, 상기 회전수단의 축을 축방향으로 중공의 것으로 하고, 내부에 도선을 통과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제2부재에는, 그 표면에 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될 뿐만 아니라, 상기 제2부재의 측면 또는 이면에 카메라의 렌즈부를 설치시킨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휴대전화기에 실시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지만, 포켓컴퓨터, 기타 휴대단말에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9에서 도면부호 "1"의 것은, 키보드조작부(1a)와 마이크부(1b)와 안테나(1c)를 구비한 제1부재이고, 도면부호 "2"의 것은, 그 표면측에 디스플레이부(2a)와 스피커부(2b)를, 그 이면측에 예를 들면, CCD 카메라와 같은 카메라의 렌즈부(2c)를 구비한 제2부재이다. 또, 그 렌즈부(2c)는, 측면에 설치하여도 좋다. 제2부재(2)는, 취부부재(3)를 개재하여 제1부재(1)에 대해 일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취부됨과 동시에, 그 제2부재(2)는 취부부재(3)에 대해 후술하는 회전수단을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다.
취부부재(3)를 제1부재(1)에로 슬라이드가능하게 취부하는 슬라이드기구(4)의 구성은, 예를 들면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부재(1)를 구성하는 틀체의 양측부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5a,5a)을 설치하고, 그 가이드홈(5a,5a)에로 단면을 대략 C챤넬형상으로 형성한 취부부재(3)의 만곡부(3a,3a)를 삽입시키는 것에 의해 취부부재(3)와 제1부재(1)가 분리하지 않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취부부재(3)의 측에 취부한 가압수단(6)을 개재하여 덜거덕 거림이 없이 원만한 슬라이드동작을 하도록 한 것이다.
그 가압수단(6)은, 특히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취부부재(3)에 설치한 수납홈(3b)에 삽입,고정한 힌지케이스(7)의 일단에 볼베어링(8)을 회전가능하고도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취부하고, 그 볼베어링(8)은 수납홈(3b)에서 돌출하여 제1부재(1)의 상면에 압접하고 있다. 또, 제1부재(1)의 상면에 볼베어링(8)을 안내하는 가이드홈을 설치하여도 좋다. 더욱, 그 가압수단(6)을 취부하는 위치는, 도면의 것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볼베어링(8)은, 힌지케이스(7)내에 미끄럼운동가능하게 수납시킨 받침부(9)에 의해 지지되고 있고, 그 받침부(9)와 힌지케이스(7)의 후방에 취부한 스토퍼부재(10)와의 사이에 탄성적으로 설치한 압축스프링(11)에 의해 받침부(9)와 함께 힌지케이스(7)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다. 또, 그 볼베어링(8)은 힌지 기타의 것으로 대체하여도 좋다.
다음에 제2부재(2)를 취부부재(3)에로 회전가능하게 취부하는 회전수단(12)은,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릭션기구(A)가 부착된 것이다. 그 프릭션기구(A)는, 플랜지부(13b)와 변형취부부(13c)와 소경부(13d)와 변형부(13e)와 암나사부(13f)로 구성되고, 중심축방향으로 삽입관통공(13a)을 설치한 중공의 축(13)과, 그 축(13)의 변형취부부(13c)를 제2부재(2)의 틀체측에 설치한 변형취부공(2e)에 삽입, 결합시킴과 동시에 축(13)을 그 중심부 축방향으로 설치한 삽입관통공(14a)으로 삽입,관통시켜서 제1부재(1)와 제2부재(2)사이에 개재시킨 와셔(14)와, 축(13)의 소경부(13d)를 취부부재(3) 측으로 설치한 취부공(3c)으로 삽입,관통시킴과 동시에 동일하게 소경부(13d)를 그 중심축방향으로 설치한 삽입관통공(15a,16a)으로 삽입,관통시켜 설치한 제1프릭션와셔(15) 및 제2프릭션와셔(16)와, 그 중심부 축방향으로 설치한 변형삽입관통공(17a)으로 축(13)의 변형부(13c)를 삽입관통시켜 결합시켜 설치한 평와셔(17)와, 더욱, 암나사부(13f)에 나사체결시켜 설치한 체결너트(18)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 제1프릭션와셔(15)는 걸림편(15b)을 취부부재(3) 측에 설치한 계지홈(3e)에 걸려 멈추게 하는 것에 의해 제2부재(2)에 회전이 구속되며, 제2프릭션와셔(16)는 평와셔(17)의 측에 설치한 계지홈(17b)에 걸림편(16b)을 결합시켜 축(13)에 회전이 구속되어 있다. 그리고, 축(13)의 삽입관통공(13a)내에는 제1부재(1)와 제2부재(2)를 전기적으로 또는 광학적으로 접속시키는 도선(19)이 삽입관통되고 있다.
따라서, 휴대전화기의 미사용시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취부부재(3)는 제1부재(1)의 상면 손앞 측에 위치하고, 제2부재(2)는 제1부재(1)의 상면에 중첩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제1부재(1)를 한 손으로 잡고, 그 손의 엄지 또는 다른 한 손으로 취부부재(3)를 누르면, 취부부재(3)가 슬라이드기구(4)를 개재하여 전방으로 슬라이드하고, 제1부재(1)의 키보드조작부(1a)와 마이크부(1b)가 노출하여 도 2와 같이 되며, 사용대기상태로 된다.
도 2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제2부재(2)를 취부부재(3)에 대해 비틀면, 회전수단(12)을 개재하여 제2부재(2)가 취부부재(3)에 대해 회전하고, 도 3에 도시한 바 와 같이 제2부재(2)는 90도 회전하거나, 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180도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제2부재(2)의 취부부재(3)에 대한 회전은, 90도에서 클리크 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180도에서 스토퍼수단으로 정지시키게 되는 것이지만, 그 클리크 정지수단이나 스토퍼수단은, 회전수단(12)에 설치한 공지수단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특히, 스토퍼수단은, 제2부재(2)와 취부부재(3)의 각각의 연결단 측에 돌출부를 형성시키는 것에 의해 구성하여도 좋다.
회전조작은, 특히 축(13)의 삽입관통공(13a)의 가운데에 도선(19)을 통과시키고 있는 경우에는 동일방향으로 회전시켜 가는 것이 아니라, 180도 회전시키면, 역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원 위치로 복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부재(2)의 측면에도 카메라를 취부한 경우에는 도 3과 같이, 제2부재(2)를 취부부재(3)에 대해 90도 회전시킨 때에 카메라를 정면으로 향하게 할 수 있고, 카메라를 제2부재(2)의 이면에 취부한 경우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부재(2)를 취부부재에 대해 180도 회전시킨 때에 카메라부(2c)가 정면을 향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제2부재(2)를 취부부재(3)에 대해 180도 회전시킨 도 8의 상태에서 취부부재(3)를 제1부재(1)에 대해 손앞측으로 슬라이드시켜 도 9와 같이 원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2a)에서 표면측으로 노출하지 아니하므로, 그 표면을 보호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0 내지 도 16은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이고, 제1부재(20)가 키보드 조작부(20a)와 마이크부(20b)를 지니며, 제2부재(21)가 디스플레이부(21a)와 스피커부(21b)를 지니는 것, 및 그 제2부재(21)가 취부부재(22)를 개재하여 제2부재(21)에 취부되고 있고, 제2부재(21)가 취부부재(22)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는 점은, 앞의 실시형태의 것과 같다.
그렇지만, 취부부재(22)가 제1부재(20)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는 점에서 앞의 실시형태의 것과 다른 것이다.
취부부재(22)를 제1부재(20)에 대해 또, 제2부재(21)를 취부부재(22)에 대해 함께 회전가능하게 구성하는 회전수단은, 앞의 실시형태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슬라이드기구와 회전수단은 일예이고, 그것에 한정됨이 없이, 기타의 다양한 공지 구성의 것이 대체될 수 있다.
그 제2실시형태에서는 휴대전화기의 미사용시에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취부부재(22)는 제1부재(20)의 상면 선단측에 위치하고, 제2부재(21)는 제1부재(20)의 상면에 중첩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제1부재(20)를 한 손에 쥐고, 그 손의 엄지 또는 다른 한 손으로 제2부재(21)를 좌측으로 누르면, 취부부재(22)가 도시생략의 회전수단을 개재하여 우측방향으로 수평 회전하고, 제1부재(20)의 키보드조작부(20a)와 마이크부(20b)가 노출하여 도 11 또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부재(21)가 제1부재(20)에 대해 90도 또는 180도 회전한 상태로 되고, 사용대기로 된다.
이 상태에서 제2부재(21)를 취부부재(22)에 대해 비틀면, 도시생략의 회전수단을 개재하여 제2부재(21)가 취부부재(22)에 대해 회전하여, 도 13과 같이 90도 회전하거나 또는 도 14와 같이 180도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제2부재(21)의 취부부재(22)에 대한 회전은, 90도 클리크 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180도에서 스토퍼수단으로 정지시키게 되는 것이지만, 그 클리크정지수단이나 스토퍼수단은 회전수단에 설치한 공지의 수단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스토퍼수단은 제2부재(21)와 취부부재(22)의 각각의 연결단 측에 돌출부를 형성시키는 것에 의해 구성하여도 좋다.
회전조작은, 도 6에서와 같이 축(13)의 삽입관통공(13a) 속에 도선(19)이 통과하고 있는 경우에는 동일방향으로 회전시켜 가는 것이 아니라, 180도 회전시키면, 역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원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부재(21)의 측면에도 카메라를 취부한 경우에는 도 13에서와 같이 제2부재(21)를 취부부재(22)에 대해 90도 회전시킨 때에 카메라가 정면을 향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카메라를 제2부재(21)의 이면에 취부한 경우에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부재(21)를 취부부재(22)에 대해 180도 회전시킨 때에 카메라부(21c)가 정면을 향하게 할 수 있다.
또, 제2부재(21)를 취부부재(22)에 대해 180도 회전시킨 도 14의 상태에서 취부부재(22)를 제1부재(20)에 대해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도 15로부터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구성과 작용에 의하면, 제1부재에 대해 제2부재가 중첩된 상태와,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창출 할 수 있도록 양자를 연결하여 구성하는 휴대단말에 있어서, 제2부재를 제1부재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킨 후에 더욱 제2부재의 측면이나 이면을 정면으로 향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휴대단말기는, 그 휴대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제1부재의 중량을 제2부재의 중량보다 무겁게 하여, 조작성이 양호하게 할 수 있으며, 더욱 제2부재의 이면 또는 측면에 설치한 카메라를 키보드부의 조작위치의 정면을 향하게 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지닌다. 또, 제2부재에 설치한 디스플레이부를 불사용시에 표면특으로 노출시키지 아니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디스플레이부의 손상을 가급적 방지시킬 수 있다고 하는 등의 효과를 지닌다.

Claims (8)

  1. 키보드조작부를 지니는 제1부재와, 그 제1부재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한 취부부재를 개재하여 상기 제1부재에 대해 함께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취부한 디스플레이부를 지니는 제2부재로 구성하고, 그 제2부재를 상기 취부부재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취부하는 것에 의해 상기 취부부재를 제1부재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2부재의 측면 또는 이면을 정면으로 향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취부부재에로 제2부재를 회전가능하게 취부하는 수단이, 프릭션기구부 회전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취부부재를 제1부재에로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취부함에 있어, 일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취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취부부재를 제1부재에 대해 슬라이드가능하게 취부하는 수단이, 가압수단부 슬라이드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취부부재를 제1부재에로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취부함에 있어,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취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취부부재를 제1부재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취부하는 수단이, 프릭션기구부 회전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7. 제 2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의 축을 축방향으로 중공의 것으로 하고, 내부에 도선을 통과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재에는, 그 표면에 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되고, 그 제2부재의 측면 또는 이면에 카메라의 렌즈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KR1020040028054A 2003-04-23 2004-04-23 휴대단말기 KR1006752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18918A JP2004328279A (ja) 2003-04-23 2003-04-23 携帯端末機
JPJP-P-2003-00118918 2003-04-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2480A KR20040092480A (ko) 2004-11-03
KR100675253B1 true KR100675253B1 (ko) 2007-01-26

Family

ID=33498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8054A KR100675253B1 (ko) 2003-04-23 2004-04-23 휴대단말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187957B2 (ko)
JP (1) JP2004328279A (ko)
KR (1) KR100675253B1 (ko)
CN (1) CN1303801C (ko)
TW (1) TWI26421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48927B2 (en) * 2001-07-10 2013-10-01 Xatra Fund Mx, Llc Biometric registration for facilitating an RF transaction
US7505582B2 (en) * 2003-12-31 2009-03-17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Hinge mechanism having multiple axes of rotation for positioning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0640380B1 (ko) * 2004-03-12 2006-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스윙 타입 휴대용 단말기
US20050277453A1 (en) * 2004-06-09 2005-12-15 Kim Chong T Mobile phone having mirror and light
US20060009255A1 (en) * 2004-06-29 2006-01-12 Nokia Corporation Mobile terminal concept with a slide and twist mechanism
KR100653893B1 (ko) * 2004-07-21 2006-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카메라모드 제어방법
CN101049001A (zh) * 2004-10-25 2007-10-03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移动电话装置
TWI255682B (en) * 2004-11-19 2006-05-21 Benq Corp Sliding-type electronic device with a semi-automatic opening mechanism
KR100672513B1 (ko) * 2004-11-19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바 타입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의 작동 방법
EP1835705A3 (en) * 2004-12-21 2008-01-23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odule with input devices for a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KR100703509B1 (ko) * 2005-01-11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게임 겸용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
KR100710067B1 (ko) * 2005-03-31 2007-04-23 주식회사 팬택 양방향으로 스윙 및 회전하는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0766610B1 (ko) * 2005-04-07 2007-10-11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슬라이딩 및 피봇팅이 가능한 휴대용 무선 단말기
US7460893B2 (en) * 2005-05-17 2008-12-02 Nokia Corporation Display changing i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144414B1 (ko) * 2005-05-27 2012-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TW200644566A (en) * 2005-06-02 2006-12-16 Benq Corp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0678200B1 (ko) * 2005-06-30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겸용 폴딩 타입 휴대 장치
KR100678135B1 (ko) * 2005-09-06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US20090048002A1 (en) * 2005-09-14 2009-02-1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ortable terminal
US20070146977A1 (en) * 2005-12-23 2007-06-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Sliding and folding type portable terminal
JP2007267004A (ja) * 2006-03-28 2007-10-11 Canon Inc 撮像装置
KR100842527B1 (ko) * 2006-04-17 2008-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761480B1 (ko) * 2006-05-26 2007-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전자기기 및 카메라
JP4802077B2 (ja) * 2006-09-29 2011-10-2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携帯機器
TWM312852U (en) * 2006-11-07 2007-05-21 Altek Corp Digital image capturing device with a slidable LCD
US7374424B1 (en) * 2006-12-14 2008-05-20 Nokia Corporation Hinge with optical signal conduit and electrical connection
US7970444B2 (en) * 2007-02-28 2011-06-28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Pivoting mobile terminal
JP5263154B2 (ja) * 2007-05-30 2013-08-14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型電子機器
JP2009111798A (ja) * 2007-10-31 2009-05-21 Kyocera Corp 小型電子機器
US8154520B2 (en) * 2008-03-31 2012-04-10 Research In Motion Limited Handheld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transitionable between compact and expanded configurations
US8180410B2 (en) * 2008-06-06 2012-05-15 Sandisk Technologies Inc. Housing and clip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s device
JP5058916B2 (ja) * 2008-08-18 2012-10-24 旭化成イーマテリアルズ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光接続方法
US20100124944A1 (en) * 2008-11-16 2010-05-20 Inno Design, Inc.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with slidable and pivotable screen
TW201104330A (en) * 2009-07-24 2011-02-01 Asia Optical Co Inc Photography apparatus capable of simultaneously protecting the lens set and the display
JP5623727B2 (ja) * 2009-10-21 2014-11-12 日本電気株式会社 端末装置
CN102131354A (zh) * 2010-01-20 2011-07-20 和硕联合科技股份有限公司 手持式电子装置
FR2965438B1 (fr) * 2010-09-23 2013-07-05 Sagem Wireless Terminal mobile comprenant un boitier comportant deux parties mobiles l'une par rapport a l'autre
US20160041589A1 (en) * 2014-08-05 2016-02-11 Microsoft Corporation Progressive hinge
US20190260863A1 (en) * 2016-08-30 2019-08-22 Xleap, Inc.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CN111432048B (zh) * 2019-01-09 2023-10-24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可隐藏镜头模组的电子装置
CN209517211U (zh) * 2019-02-21 2019-10-18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装置
CN111712070B (zh) * 2020-06-18 2022-03-1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00200B2 (ja) * 1995-06-05 2005-09-28 ソニー株式会社 携帯用電話装置
JP3546784B2 (ja) * 1999-12-14 2004-07-28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端末
JP4387546B2 (ja) * 2000-03-22 2009-12-16 株式会社リコー カメラ、画像入力装置、携帯端末装置およびカメラの形態変更方法
JP4385490B2 (ja) * 2000-05-12 2009-12-16 ソニー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US6640113B1 (en) * 2000-09-08 2003-10-28 Mobigence, Inc. Touch sensitive display integrated with a handheld radiotelephone
JP2003008695A (ja) * 2001-06-25 2003-01-10 Pioneer Electronic Corp 携帯情報端末機
JP2003031968A (ja) * 2001-07-11 2003-01-31 Kyocera Corp 電子端末装置
US6985579B2 (en) * 2001-09-26 2006-01-10 Siemens Communications, Inc.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n output unit positionable and rotatable with respect to an input unit
JP2003174495A (ja) * 2001-09-28 2003-06-20 Nec Corp 折り畳み式携帯情報端末
US7773957B2 (en) * 2002-07-22 2010-08-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rotational display unit
US6839576B2 (en) * 2002-12-30 2005-01-04 Motorola, Inc. Multiple axis hinge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2480A (ko) 2004-11-03
TW200425702A (en) 2004-11-16
TWI264214B (en) 2006-10-11
US7187957B2 (en) 2007-03-06
CN1543170A (zh) 2004-11-03
CN1303801C (zh) 2007-03-07
US20060135228A1 (en) 2006-06-22
JP2004328279A (ja) 2004-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5253B1 (ko) 휴대단말기
US7632025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rotatable camera
EP1638295B1 (en) Portable apparatus with slidable housing parts and a rotatable housing part
AU2019310549B2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and flexible display device thereof
JP5073563B2 (ja) 筐体相互の連結ユニット及び携帯端末
US7450841B2 (en) Camera rotating apparatus of portable terminal
US7650671B2 (en) Slide hinge module and slide type equipment utilizing the same
JP4405490B2 (ja) 移動通信端末機
US7435018B2 (en) Hidden image capturing device
US7672118B2 (en) Electronic apparatus
US20070058328A1 (en) Slide mechanism for a slide-type portable terminal device
KR20080076765A (ko) 휴대 단말 장치
US7520436B2 (en) Slide module for slide type portable terminal and cover apparatus for external type card mounted thereto
KR20200093015A (ko) 이동 단말기
US7334294B2 (en) Hinge and fold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hinge
US20050124395A1 (en)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20100048263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220075426A1 (en) Foldable multimedia terminal
US20080066262A1 (en) Hinge and foldable electronics device using the hinge
KR10072486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팩 장착 장치
US6359773B1 (en) Portable data processing device
JP5360891B2 (ja) アンテナ取付構造及び携帯機器
KR20070118404A (ko) 네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CN116405581A (zh) 电子设备
KR100651513B1 (ko) 휴대 단말기의 락킹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