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5155B1 - 이동통신 시스템의 자동 재발신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의 자동 재발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5155B1
KR100675155B1 KR1020040096127A KR20040096127A KR100675155B1 KR 100675155 B1 KR100675155 B1 KR 100675155B1 KR 1020040096127 A KR1020040096127 A KR 1020040096127A KR 20040096127 A KR20040096127 A KR 20040096127A KR 100675155 B1 KR100675155 B1 KR 100675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dial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call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6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7073A (ko
Inventor
홍광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6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5155B1/ko
Priority to CNB2005101156253A priority patent/CN100559818C/zh
Publication of KR20060057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70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5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5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8Management of setup rejection or fail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래픽 초기 상태에서 발생할 수 있는 호 연결 실패에 대해서 사용자의 간섭 없이 이동통신 단말기 자체에서 자동으로 재발신 하도록 된 이동통신 시스템의 자동 재발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기지국으로부터 채널 할당을 받지 못한 경우에는 초기화 상태로 간 후 재발신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기지국 널 트래픽 신호를 검출하지 못한 경우와, 역방향 트래픽 채널에 프리엠블을 전송하여 기지국으로부터 기준 내에 기지국 수신확인신호(ACK)를 받지 못한 경우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기지국은 서비스 협상을 진행하고 서비스 협상이 실패하거나 신호를 잃어 버려 연결이 끊긴 경우에는 초기화 상태로 간 후 재발신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협상이 성공한 경우에는 링백톤이 울리고 있는 상태에서 페이딩(Fading)으로 전화가 끊어진 경우에는 가동한 타이머1이 미리 저장된 초기 설정값1 보다 큰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결과 타이머1이 설정값1 보다 큰 경우에는 타이머1을 리셋하고 호를 종료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결과 타이머1이 설정값1 보다 작은 경우에는 타이머1을 리셋하고 초기화 상태로 간 후 재발신하는 단계 및 상대편이 수화기를 들어 전화를 받으면 통화가 시작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동통신, 단말기, 시스템, 재발신, 패이딩, 억세스, 역방향, 링백톤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의 자동 재발신 방법{A METHOD OF AUTOMATIC REDIALING OF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발신호의 기본 콜 플로우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재발신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채널할당시에 전화가 끊긴 재발신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채널할당 이외에 전화가 끊긴 재발신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이동통신 단말기(MS : Mobile Station)
20 : 기지국(BS : Base Station)
30 : 사용자(LAND)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자동 재발신 기능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트래픽 초기 상태에서 발생할 수 있는 호 연결 실패에 대해서 사용자의 간섭 없이 이동통신 단말기 자체에서 자동으로 재발신 함으로써, 끊어진 호에 대해서 사용자가 동일한 번호로 전화를 다시 거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된 이동통신 시스템의 자동 재발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통신기술이 급속도로 발전되면서 개인이 임의의 장소에서 또는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하면서 다른 사람과 통신을 행할 수 있도록 된 이동통신시스템이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종래에 제공되는 단순한 통화기능에서 벗어나 다양한 부가서비스 기능이 추가되어 제공되고 있다.
한편,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다양한 부가서비스 기능 중에 재발신 기능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역방향 억세스가 실패하게 되면, 이동통신 단말기가 재발신을 시도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방법은 역방향 억세스가 실패하게 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재발신을 할 것인지 묻거나 혹은 재발신 기능이 설정된 경우에는 자동 재발신하도록 된 것으로, 기존의 재발신 관련된 기술들은 재발신 시도의 간격과 횟수를 적절하게 설정하여 재발신 시도의 성공률을 높이는 방법에 대한 것이었다.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발신호의 기본 콜 플로우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로서, 상세한 콜 플로우는 통신 시스템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이 임의의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하면서 전화통화를 행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MS, 10)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와 무선 연결되고, 무선망과 유선망을 통해 연결되는 이동통신 단말기(10) 및 유선 단말기들과 네트웍을 형성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인 기지국(BS, 20)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와 기지국(20)을 통해 네트웍 형성되고, 전화 받을 상대편으로 육상전화 혹은 무선전화기인 사용자(Land, 30)로 구성된다.
일반적인, 발신호의 과정은 사용자가 전화를 건 후(S100), 역방향 억세스 채널로 발신 메시지가 전송되면(S101), 상기 기지국(20)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발신 신호를 검출하여 순방향에서 널 트래픽(Null Traffic)을 보내고(S102), 이동통신 단말기(10)가 이용할 채널을 할당하게 된다(S103).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순방향 트래픽 채널(F-TCH: Forward Traffic Channel)을 검출하게 되면 할당 받은 역방향 트래픽 채널(R-TCH: Reverse Traffic Channel)로 프리앰블(Preamble)을 전송하고(S104), 상기 기지국(20)은 프리앰블을 검출하여(S105) 수신확인신호(ACK Order)를 이동통신 단말기(10)로 보내게 된다(S106).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는 할당 받은 역방향 채널로 널 트래픽을 보내고(S107) 이후 서비스 협상이 이동통신 단말기(10)와 기지국(20)간에 이루어지게 된다(S108). 상기 서비스 협상이 성공하게 되면 기지국(20)은 상대편 사용자(Land, 30)에게 링(Ring)을 울려 전화 왔음을 알리면서(S109) 전화를 건 상대측으로 링 백톤(Ring BACK Tone)을 보내게 된다(S110).
상기 사용자(30)가 전화를 받게 되면(S110) 기지국(20)은 이동통신 단말기 (10)에세 링 백톤을 끊고(S112) 통화를 연결시키게 된다(S113). 여기서, 상기 단계 중에 이동통신 단말기(10)와 사용자(30)가 통화를 시작하게 되는 상기 S113 단계 이전까지의 여러 단계 중에 어느 하나의 절차라도 실패하게 되면 통화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종래의 재발신 기술은 이동통신 단말기(10)가 송신한 발신 메시지에 대해서 기지국(20)의 응답이 없는 경우, 기지국(20)의 채널할당 메시지가 없거나, 혹은 기지국(20)이 송신한 채널할당 메시지를 이동통신 단말기(10)가 받지 못하거나, 또는 채널할당 받기 이전까지 순방향 신호를 잃어 버려서 끊긴 경우에 접속실패로 판단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재발신되는 것이다. 즉, 억세스 상태에서 기지국(20) 신호를 잃어버린 경우나, 역방향 억세스 채널로의 호발신 시도가 실패하여 채널 할당을 받지 못한 경우에 재발신을 적용하게 된다.
상기 재발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S103 단계 까지 실패하는 경우에는 재발신이 시도 될 수 있었으나, 기지국(20)으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10)가 이용할 채널을 할당 받은 후에 최종적으로 S113 단계가 실행될 때 까지 발생할 수 있는 호 실패에 대해서는 재발신이 동작되지 않았다.
종래 방법에서는 만약 채널 할당 이후에 발생하는 호 끊어짐의 경우는 보통 콜 로스트(Call Lost) 상황이 발생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리고 호 처리를 종료하고 초기단계(Mobile Station Initialization)로 다시 이동하여 사용자가 계속적으로 통화 시도를 원할 경우에는 다시 다이얼링을 하는 재발신 과정으로 돌아가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방법에 따르면 채널 할당 받은 이후의 호 연결 과정이 진행 되는 동안에 무선 환경이 페이딩(Fading) 등으로 열악해져서 호 끊김이 발생하거나 호처리 단계의 진행이 안되었을 때는 재발신되지 않는다. 이는 이동통신 단말기(10) 사용자의 통화하고자 하는 욕구를 완전히 만족시키지 못한 상태에서 단지 역방향 억세스 채널로의 접속만 성공하여 재발신을 하지 않는 것에 해당하게 된다. 상기 S103 단계 이후의 과정에서 호연결이 실패한 것은 이동통신 단말기(10)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호 연결 시도의 실패일 뿐이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 사용자에게는 상기 S113 단계가 진행되어 통화하기 이전까지는 어떤 단계에서 호연결이 실패하든지에 상관없이 호연결이 실패한 것임으로 다시 사용자가 전화를 걸 가능성이 높고 이동통신 단말기(10) 사용자가 재발신을 하기 위해서는 다시 다이얼링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와 기지국 간에 호연결 절차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트래픽 채널을 할당 받은 후에 최종 통화가 될 때까지 나타날 수 있는 호 연결 실패에 대해 재발신을 판단하여 자동으로 재발신 함으로써, 끊어진 호에 대해서 사용자가 동일한 번호로 전화를 다시 거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된 이동통신 시스템의 자동 재발신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발명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자동 재발신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연결 과정 중의 자동 재발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연결 과정 중의 호 끊김이 발생하는 경우 기지국으로부터 채널을 할당 받았는지 판단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채널을 할당 받지 못한 상태에서 호 끊김이 발생한 경우 현재의 기지국 신호를 잡은 상태에서 아이들 상태로 전환하여 재발신을 수행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채널을 할당 받은 상태에서 호 끊김이 발생한 경우 초기화를 수행한 후 기지국 신호를 스캔하여 재발신을 수행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단계는, 재발신이 필요함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하고 아이들(idle) 상태로 전환한 후 현재 기지국 신호를 잡은 상태에서 자동 재발신 진행 여부를 판단하는 제 20 단계와; 상기 제 20 단계의 판단 결과 재발신을 진행할 경우에는 재발신 시도를 하고 있음을 사용자에게 알리고 재발신을 시도하는 제 21 단계와; 상기 제 21 단계에서 상기 재발신을 시도하게 되면 재발신이 성공하였는지 판단하여 성공한 경우에는 재발신 관련 파라미터를 초기화하고 통화를 실행하는 제 22 단계와; 상기 제 22 단계에서 상기 재발신이 실패한 경우에는 재발신 시도 횟수를 증가시키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에 따라 초기화하여 재발신하는 제 23 단계와; 상기 제 20 단계에서 상기 재발신이 가능하지 않으면 재발신 관련 파라미터를 초기화하고 사용자에게 콜 패일(Call Fail)임을 알리고 아이들(idle) 상태로 대기하는 제 24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채널을 할당 받은 후 순방향 트래픽 채널에서 기지국 널 트래픽 신호를 검출하지 못한 경우 와; 상기 널 트래픽 신호를 검출한 후 이동통신 단말기가 역방향 트래픽 채널에 프리엠블을 전송하여 기지국으로부터 기준 내에 기지국 수신확인신호(ACK)를 받지 못한 경우와; 상기 기지국 수신확인신호(ACK)를 수신한 후 이동통신 단말기와 기지국 사이의 서비스 협상이 실패하거나 신호를 잃은 경우와; 상기 서비스 협상이 성공한 후 링백톤이 울리는 상태에서 호 끊김이 발생한 경우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조건 중 서비스 협상이 성공한 후 링백톤이 울리는 상태 이외의 상태에서의 호 끊김이 발생된 경우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호 끊김에 의한 재발신이 필요함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하고, 재발신 접수 타이머2를 가동시키며, 재발신 대기 중임을 사용자에게 알힌 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기지국 신호를 다시 획득하는 제 30 단계와; 상기 제 30 단계 이후 자동 재발신 진행 여부를 판단하는 제 31 단계와; 상기 제 31 단계의 판단 결과 자동 재발신을 진행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재발신 시도를 사용자에게 알리고 재발신을 시도하며, 재발신 횟수를 카운트하기 위해 타이머2를 리셋시키는 제 32 단계와; 상기 제32 단계 이후 상기 재발신이 성공하였는지 판단하여 성공한 경우에는 재발신 관련 파라미터를 초기화하고 통화를 실행하는 제 33 단계와; 상기 제 33 단계 이후 상기 재발신이 실패한 경우에는 재발신 시도 횟수를 증가시키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에 따라 아이들 상태에서의 재발신 또는 초기화 후 기지국 신호 스캔을 수행한 후의 재발신을 수행하는 제 34 단계와; 상기 제 31 단계에서, 상기 재발신이 가능하지 않으면 재발신 관련 파라미터를 초기화하고 사용자에게 콜 패일(Call Fail)임을 알리고 아이들(idle) 상태로 대기하는 제 35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달리 상기 서비스 협상이 성공한 후 링백톤이 울리는 상태에서 호 끊김이 발생한 경우 상기 제 3 단계는, 타이머1를 구동하는 제 40 단계와; 상기 제 40 단계 이후 무선 페이딩으로 신호를 잃어버려 전화가 끊긴 경우 상기 타이머1의 시간이 기 지정된 초기 설정값1 보다 큰지를 판단하는 제 41 단계와; 상기 제 41 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타이머1의 시간이 초기 설정값1 보다 큰 경우 상기 타이머1을 리셋하고 호를 종료하는 제 42 단계와; 상기 제 41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타이머1이 시간이 상기 초기 설정값1 보다 작은 경우 상기 타이머1을 리셋하고 초기화 상태로 간 후 재발신하는 제 43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본원발명에서 상기 제 20 단계 및 상기 제 31 단계에서 상기 자동 재발신 진행 조건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재발신 기능이 온(ON)으로 설정되고, 상기 기지국 신호를 획득한 후 재발신 기능의 설정이 계속 활성화 되어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재발신이 취소되지 않았고, 기설정된 재발신 횟수를 초과하지 않은 조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31 단계에서는, 재발신 기능이 온(ON)으로 설정되었는지, 재발신이 필요한지를 확인하는 조건은 재발신 시도가 대기함을 사용자에게 알린 이후에는 언제라도 사용자가 취소 명령을 내리면 이동통신 단말기(10) 메모리에 저장된 재발신 시도대기는 취소하는 조건과, 기지국 신호를 획득한 후에는 재발신 기능의 설정이 계속 활성화 되었는지 확인하는 조건과, 재발신 시도 횟수를 넘지 않았는지 확인하는 조건 및 재발신 시도가 접수된 후 시간이 너무 오래 되지 않았는지 확인하는 조건 중에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삭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재발신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채널할당시에 전화가 끊긴 재발신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채널할당 이외에 전화가 끊긴 재발신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여기서, 도 2와 도 3 및 도 4에서 도 1에 도시된 부분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는 일반적인 재발신 호처리 기능에 더하여 아래와 같은 재발신 요구 사건이 발생할 경우에 대해서도 재발신을 고려하는 알고리즘이 추가 된다.
이벤트1은 채널 할당을 받은 후 기지국이 보낸 F-FCH의 널 트래픽 획득이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 정해진 기준 안에 성공하지 못하여(S104 실패)호가 실패하거나 무선 페이딩(Fading) 등으로 인한 호 끊어짐이 있는 경우 이를 검출한다.
이벤트2는 이동통신 단말기(10)가 할당 받은 역방향 트래픽 채널로 보낸 역방향 프리앰블을 기지국이 수신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 수신확인신호(ACK order)를 송신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가 이를 수신하는 과정에서(S106) 수신이 일정한 기준 안에서 실패하거나 무선 페이딩 등으로 인한 호 끊어짐 발생시 이를 검출하게 된다. 이후 초기화 단계를 거쳐 기지국 신호를 획득하고 재발신 과정으로 간다.
이벤트3은 이동통신 단말기(10)가 기지국과의 서비스 협상과정에서(S108) 현상이 실폐하거나 무선 페이딩 등으로 인한 호 끊어짐이 발생한 경우 이를 검출하게 된다. 이후 초기화 단계를 거쳐 기지국 신호를 획득하고 재발신 과정으로 간다.
이벤트4는 이동통신 단말기(10)가 링백톤을 받고 상대방이 전화를 들어 응답하지 않은 상태에서 기다리는 동안 이동통신 단말기(10) 사용자나, 상대방이나, 기지국이 끊지 않은 상태에서 전화 연결이 무선 페이딩 등의 영향으로 끊어진 경우가 있는지 모니터링하여 검출하게 된다. 이후 초기화 단계를 거쳐 기지국 신호를 획득하고 재발신 과정으로 간다.
이벤트1인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상태가 엑세스 스테이트(access state)임으로 현재 기지국 신호를 계속 잡고 재발신 과정을 진행하게 된다.
이벤트2 ~ 이벤트4인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상태가 액세스 상태에서 할당받은 채널 할당을 받아 할당 받은 채널을 이용하여 트래픽 상태로 상태 전이가 일어난 상태에서 호 연결이 실패한 경우이다. 이벤트2~4와 같은 경우가 발생되면 이동통신 단말기(10)는 호처리 규약(IS-2000 경우)에 따라 초기화 상태의 첫 번째 부상태(sub-state)인 시스템 디터미네이션(determination) 상태부터 시작하여 초기화 상태를 마치고 기지국을 획득하게 된다. 초기화 후에 이동통신 단말기(10)가 기지국을 획득하였고 자동 재발신 기능이 설정 되었으면 자동 재발신 기능에 따 라 재발신을 시도하게 된다. 재발신은 이전 호와 동일한 번호로 전화를 걸 수도 있고 미리 지정해 둔 다른 번호로 전화를 걸 수도 있다. 재발신 횟수나 시간, 재발신 시도의 시간 간격을 미리 사용자가 지정해 둘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래픽 상태에서의 통화 연결 실패를 검출하는 내용을 포함하여 재발신을 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로서, 도 2는 동기식 이동통신 시스템의 한 예이고 각 이동통신 시스템의 방식에 따라 그 내용이 조금씩 달라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다이얼링 하면 이를 검출하여, 역방향 억세스 채널로 발신 메시지를 전송하고(S200), 기준안에 기지국으로부터 채널 할당을 받았는지 확인하고(S201) 채널 할당을 받지 못한 경우에는 초기화 상태로 간 후 재발신하게 된다(A 단계).
상기 채널 할당을 받은 경우에는 기지국으로부터 채널 할당을 받은 후 할당 받은 순방향 트래픽 채널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0)가 기지국 널 트래픽 신호를 검출하지 못하면(S202) 초기화 상태로 간 후 재발신하게 된다(B 단계).
상기 널 트래픽 신호를 검출한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순방향 트래픽을 검출하고 할당 받은 역방향 트래픽채널에 프리엠블을 전송하여(S203) 기지국으로부터 기준내에 기지국 수신확인신호(ACK)를 받지 못하게 되면(S204) 초기화 상태로 간 후 재발신하게 된다(B 단계).
상기 기지국 수신확인신호(ACK)를 받은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기(10)와 기지국은 서비스 협상을 진행하고(S205) 서비스 협상이 실패하거나 신호를 잃어 버려 연결이 끊기면(S206) 초기화 상태로 간 후 재발신하게 된다(B 단계).
상기 서비스 협상이 성공하게 되면, 상대방에게 전화가 울리고 전화건 사용자에게 링백톤이 울리게 된다(S207). 여기서, 상기 링백톤이 울리면 도시되지 않은 타이머1을 가동하고(S208), 타이머1은 충분히 링이 울린 후에 전화가 전화 건 이동통신 단말기 쪽(10)이나 받을 쪽 사용자(30)가 전화를 끊지 않고 다른 이유에서 끊어진 경우에는 사용자의 설정(설정값1)에 따라서는 재발신하지 않도록 할 수 있도록 판단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10) 내부에 구비된 타이머이다.
상기 계속해서 링백톤이 울리는 상태에서 무선 페이딩으로 신호를 잃어버려 전화가 끊겼는지 모니터링하고(S209), 전화를 건쪽이나 받을 쪽에서 끊지 않고 페이딩으로 끊어진 경우에는 가동한 타이머1이 미리 저장된 초기 설정값1(threshold1) 보다 큰지 확인하게 된다(S210). 여기서, 설정값1은 사용자가 미리 설정 가능하거나, 혹은 이동통신 단말기(10) 개발자가 적절한 값을 설정해 놓을 수 있다.
상기 확인결과 타이머1이 설정값1 보다 큰 경우에는 타이머1을 리셋하고(S211) 링백톤이 많이 울렸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상태가 전화를 받지 않은 상태임으로 전화 연결의 확률이 적고 전화를 건 사람이 다시 재발신을 원치 않을 가능성이 커서 호를 종료하게 된다(S212). 여기서, 상기 타이머1은 이동통신 단말기(10)가 재발송을 하지 않게 동작할 수 있도록 도입된 타이머이다.
상기 계속해서 링백톤이 울리는 상태에서 무선 페이딩으로 신호를 잃어버려 전화가 끊겼는지 모니터링하는 S209 단계에서, 모니터링 결과 전화가 끊어지지 않 은 경우에는 상대편이 수화기를 들어 전화를 받으면 통화를 시작하게 된다(S213).
상기 확인결과 타이머1이 설정값1 보다 작은 경우에는 타이머1을 리셋하고(S214) 재발신을 위한 B 단계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도 2에 도시된 S200 ~ S215 동안에 순방향 신호를 잃어버린 경우에도 초기화 과정을 거쳐 재발신이 이루워 진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콜 연결 실패한 단계 S202, S204, S206, S211 경우와 발신을 위한 호 시도(S200)부터 호 성공(S215) 과정 동안에 이동통신 단말기(10)가 기지국 신호를 이동통신 단말기(10)에 놓쳐 콜 연결이 실패한 경우에 대해서 재발신이 필요함을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메모리에 저장하게 된다(S220).
상기 S202 ~ S211 단계의 경우는 재발신 접수 타이머2를 가동시켜(S221) 재발신 대기중임을 사용자에게 알리고(S222) 이동통신 단말기(10)가 기지국 신호를 다시 획득하여 실제 재발신이 시도되기 까지 시간이 너무 오래 지연될 경우에는 재발신 요구를 해제할 수 있게 한다.
상기 S202, S204, S206, S211 단계에 의해서 검출된 호 연결 실패는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상태가 트래픽 상태에서 발생하였기 때문에 동기식 CDMA 일 경우는 IS-2000 스펙에 의거하여 초기화 과정을 거쳐(S223) 기지국 신호를 잡게 된다(S224).
상기 기지국 신호를 획득한 상태에서 자동 재발신 기능이 실행되었는지 다수의 조건을 통해 확인하게 된다(S225). 여기서, 초기 호 접속 시도 실패에 따른 재발신 필요 사항을 메모리에 저장하고 재발신 시도가 대기함을 사용자에게 알린 이 후에는 언제라도 사용자가 취소 명령을 내리면 이동통신 단말기(10) 메모리에 저장된 재발신 시도대기는 취소하는 두 번째 조건과, 기지국 신호를 획득한 후에는 재발신 기능의 설정이 계속 활성화 되었는지 확인하는 첫 번째 조건과 세 번째 조건( 재발신기능 사용자 설정 ON and Req_Redial=True), 재발신 시도가 접수된 후 시간이 너무 오래 되지 않았는지 확인하는 다섯째 조건(Timer2<Th2), 재발신 시도 횟수를 넘지 않았는지 확인하는 넷째 조건(<M)으로, 상기 넷째 조건의 M은 최대 재발신 시도 가능 횟수로 미리 사용자가 입력 혹은 이동통신 단말기(10) 개발자가 저장한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재발신을 진행할 경우에는 재발신 시도를 하고 있음을 사용자에게 알리고(S226) 재발신을 시도하게 된다(S227). 여기서, 재발신 횟수를 카운트하기 위해 타이머2를 리셋시키게 된다(S228).
상기 재발신을 시도하게 되면 재발신이 성공하였는지 판단하여(S229) 성공한 경우에는 재발신 관련 파라미터를 초기화(S230)하고 통화를 실행하게 된다(S231). 상기 재발신이 실패한 경우에는 재발신 시도 횟수를 증가시키고(S322)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상태에 따라 A 및 B 단계를 다시 수행하게 된다.
상기 재발신이 가능한지 확인하는 단계(S225)에서 재발신 가능하지 않으면 재발신 관련 파라미터를 초기화하고(S233) 사용자에게 콜 패일(Call Fail)임을 알리고(S234) 아이들(idle) 상태에서 대기하게 된다(S235).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준안에 기지국으로부터 채널 할당을 받았는지 확인하는 S201 단계에서 채널 할당을 받지 못한 경우에는 재발신이 필요함을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메모리에 저장하고(S240), 액세스 상태에서의 접속실패 이기 때문에 초기상태를 거치지 않고 이동통신 단말기(10)가 아이들(idle) 상태로 가서(S241)현재 기지국 신호를 잡은 상태에서 재발신 기능이 온(ON)으로 설정되었는지 또 재발신이 필요한지를 확인하게 된다(S242). 여기서, 초기 호 접속 시도 실패에 따른 재발신 필요 사항을 메모리에 저장하고 재발신 시도가 대기함을 사용자에게 알린 이후에는 언제라도 사용자가 취소 명령을 내리면 이동통신 단말기(10) 메모리에 저장된 재발신 시도대기는 취소하는 두 번째 조건과, 기지국 신호를 획득한 후에는 재발신 기능의 설정이 계속 활성화 되었는지 확인하는 첫 번째 조건과 세 번째 조건( 재발신기능 사용자 설정 ON and Req_Redial=True), 재발신 시도 횟수를 넘지 않았는지 확인하는 넷째 조건(<M)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재발신을 진행할 경우에는 재발신 시도를 하고 있음을 사용자에게 알리고(S243) 재발신을 시도하게 된다(S244). 상기 재발신을 시도하게 되면 재발신이 성공하였는지 판단하여(S245) 성공한 경우에는 재발신 관련 파라미터를 초기화(S246)하고 통화를 실행하게 된다(S247).
상기 재발신이 실패한 경우에는 재발신 시도 횟수를 증가시키고(S248)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상태에 따라 (A)or(B)를 다시 수행하게 된다.
상기 재발신이 가능한지 확인하는 단계(S242)에서 재발신 가능하지 않으면 재발신 관련 파라미터를 초기화하고(S249) 사용자에게 콜 패일(Call Fail)임을 알리고(S250) 아이들(idle) 상태에서 대기하게 된다(S251).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10)와 기지국 간에 호연결 절 차를 진행하는 도중에 전화가 끊겼을 때, 호 연결실패의 원인을 어느 정도 알 수 있는 것을 이용하는 것으로, 1) 트래픽 상태에서의 호접속 실패까지 고려하여 재발신 하도록 하는 것은 기존의 재발신 알고리즘이 초기 억세스의 실패만을 고려한 반면에 본 발명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상태가 트래픽 상태로 진입한 후에 발생하는 콜 끊김도 경우에 따라서는 재 발신이 가능하도록 된 것이다. 예를 들면, 링백톤이 잠깐 동안만 들린 상태에서 전화를 건 쪽이나 받은 쪽이나 기지국에서 명시적으로 연결을 끊은 것이 아니고 무선 구간의 패이딩(Fading)과 같은 이유로 연결이 끊어진 경우 재발신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런 경우에는 전화를 건 쪽이나 받을 쪽의 호 연결의 의지가 중단되었다고 볼 수 없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10) 사용자의 통화하고자 하는 목적 달성을 위해서 이동통신 단말기(10)가 자동 재발신하게 된다.
2) 타이머1은 링백톤이 들린 후에 너무 많은 시간이 자난 후 연결이 페이딩과 같은 이유로 끊어진 경우에는 전화 받을 쪽이 전화를 받을 의사가 없거나 받지 못하는 상황일 가능성이 높아 사용자가 재발신을 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이런 경우에는 타이머1를 이동통신 단말기(10)에 구비하여 충분히 전화 받을 의사가 없음을 안 상태에서 전화가 끊겼을 때는 재발신을 시도하지 않게 할 수 있다.
3) 타이머2는 재발신 요구가 대기하고 있는 가운데 이동통신 단말기(10)가 초기화 과정을 수행하고 기지국 신호를 획득하여 실제로 제발신 할 때까지 너무 오랜 시간이 지날 경우 전화를 거는 사람이 재발신 시도 중임을 잊을 수도 있다. 이런 경우 타이머2를 이동통신 단말기(10)에 구비하여 재발신 시도가 입력된 후 실제 재송신 할 때까지 너무 오래 시간이 지연된 경우는 재발신이 자동으로 취소될 수 있게 된다.
4) 재발신 시 동일번호 혹은 다른 번호로 전화 가능은 재발신 시도시에 이전에 전화 연결을 시도했던 동일한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거나 사용자가 미리 설정해 놓은 다른 번호로 전화를 걸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와 기지국 간에 호연결 절차를 진행하는 도중에 전화가 끊겼을 때, 호 연결실패의 원인을 어느 정도 알 수 있는 것을 이용하여 트래픽 채널을 할당받은 후에 최종 통화가 될 때까지 나타날 수 있는 호 연결 실패에 대해서 재발신이 필요함을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라 재발신 시도함으로써, 사용자의 간섭 없이 자동으로 재발신하여 통화 성공률을 높이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용의 불편함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된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연결 과정 중의 자동 재발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연결 과정 중의 호 끊김이 발생하는 경우 기지국으로부터 채널을 할당 받았는지 판단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채널을 할당 받지 못한 상태에서 호 끊김이 발생한 경우 현재의 기지국 신호를 잡은 상태에서 아이들 상태로 전환하여 재발신을 수행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채널을 할당 받은 상태에서 호 끊김이 발생한 경우 초기화를 수행한 후 기지국 신호를 스캔하여 재발신을 수행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자동 재발신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재발신이 필요함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하고 아이들(idle) 상태로 전환한 후 현재 기지국 신호를 잡은 상태에서 자동 재발신 진행 여부를 판단하는 제 20 단계와;
    상기 제 20 단계의 판단결과 자동 재발신을 진행할 경우에는 재발신 시도를 하고 있음을 사용자에게 알리고 재발신을 시도하는 제 21 단계와;
    상기 제 21 단계에서 상기 재발신을 시도하게 되면 재발신이 성공하였는지 판단하여 성공한 경우에는 재발신 관련 파라미터를 초기화하고 통화를 실행하는 제 22 단계와;
    상기 제 22 단계에서 상기 재발신이 실패한 경우에는 재발신 시도 횟수를 증가시키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에 따라 초기화하여 재발신하는 제 23 단계와;
    상기 제 20 단계에서 상기 재발신이 가능하지 않으면 재발신 관련 파라미터를 초기화하고 사용자에게 콜 패일(Call Fail)임을 알리고 아이들(idle) 상태로 대기하는 제 24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자동 재발신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0 단계에서 상기 자동 재발신 진행 조건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재발신 기능이 온(ON)으로 설정되고, 상기 기지국 신호를 획득한 후 재발신 기능의 설정이 계속 활성화 되어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재발신이 취소되지 않았고, 기설정된 재발신 횟수를 초과하지 않은 조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자동 재발신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채널을 할당 받은 후 순방향 트래픽 채널에서 기지국 널 트래픽 신호를 검출하지 못한 경우와;
    상기 널 트래픽 신호를 검출한 후 이동통신 단말기가 역방향 트래픽 채널에 프리엠블을 전송하여 기지국으로부터 기준 내에 기지국 수신확인신호(ACK)를 받지 못한 경우와;
    상기 기지국 수신확인신호(ACK)를 수신한 후 이동통신 단말기와 기지국 사이의 서비스 협상이 실패하거나 신호를 잃은 경우와;
    상기 서비스 협상이 성공한 후 링백톤이 울리는 상태에서 호 끊김이 발생한 경우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자동 재발신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호 끊김에 의한 재발신이 필요함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하고, 재발신 접수 타이머2를 가동시키며, 재발신 대기 중임을 사용자에게 알힌 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기지국 신호를 다시 획득하는 제 30 단계와;
    상기 제 30 단계 이후 자동 재발신 진행 여부를 판단하는 제 31 단계와;
    상기 제 31 단계의 판단 결과 자동 재발신을 진행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재발신 시도를 사용자에게 알리고 재발신을 시도하며, 재발신 횟수를 카운트하기 위해 타이머2를 리셋시키는 제 32 단계와;
    상기 제32 단계 이후 상기 재발신이 성공하였는지 판단하여 성공한 경우에는 재발신 관련 파라미터를 초기화하고 통화를 실행하는 제 33 단계와;
    상기 제 33 단계 이후 상기 재발신이 실패한 경우에는 재발신 시도 횟수를 증가시키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에 따라 아이들 상태에서의 재발신 또는 초기화 후 기지국 신호 스캔을 수행한 후의 재발신을 수행하는 제 34 단계와;
    상기 제 31 단계에서 상기 재발신이 가능하지 않으면 재발신 관련 파라미터를 초기화하고 사용자에게 콜 패일(Call Fail)임을 알리고 아이들(idle) 상태로 대기하는 제 35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자동 재발신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협상이 성공한 후 링백톤이 울리는 상태에서 호 끊김이 발생한 경우 상기 제 3 단계는,
    타이머1를 구동하는 제 40 단계와;
    상기 제 40 단계 이후 무선 페이딩으로 신호를 잃어버려 전화가 끊긴 경우 상기 타이머1의 시간이 기 지정된 초기 설정값1 보다 큰지를 판단하는 제 41 단계와;
    상기 제 41 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타이머1의 시간이 초기 설정값1 보다 큰 경우 상기 타이머1을 리셋하고 호를 종료하는 제 42 단계와;
    상기 제 41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타이머1이 시간이 상기 초기 설정값1 보다 작은 경우 상기 타이머1을 리셋하고 초기화 상태로 간 후 재발신하는 제 43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자동 재발신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1 단계에서 상기 자동 재발신 진행 조건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재발신 기능이 온(ON)으로 설정되고, 상기 기지국 신호를 획득한 후 재발신 기능의 설정이 계속 활성화 되어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재발신이 취소되지 않았고, 기설정된 재발신 횟수를 초과하지 않은 조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자동 재발신 방법.
KR1020040096127A 2004-11-23 2004-11-23 이동통신 시스템의 자동 재발신 방법 KR100675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6127A KR100675155B1 (ko) 2004-11-23 2004-11-23 이동통신 시스템의 자동 재발신 방법
CNB2005101156253A CN100559818C (zh) 2004-11-23 2005-11-08 一种移动通信系统的自动重拨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6127A KR100675155B1 (ko) 2004-11-23 2004-11-23 이동통신 시스템의 자동 재발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7073A KR20060057073A (ko) 2006-05-26
KR100675155B1 true KR100675155B1 (ko) 2007-01-29

Family

ID=36770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6127A KR100675155B1 (ko) 2004-11-23 2004-11-23 이동통신 시스템의 자동 재발신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75155B1 (ko)
CN (1) CN100559818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754B1 (ko) * 2007-04-19 2008-11-0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와이브로 시스템에서의 초기 호 접속 방법 및 시스템
US8509852B2 (en) * 2010-12-15 2013-08-13 Lenovo (Singapore) Pte. Ltd. Cellular communication auto redial for dropped call
CN104080065B (zh) * 2013-03-25 2017-12-2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呼叫自动重拨的方法及装置
US8942685B2 (en) * 2013-06-10 2015-01-27 Lenovo (Singapore) Pte. Ltd. Callback options via wireless device
CN106131328B (zh) * 2016-06-30 2019-08-02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通话控制方法、通话控制装置和终端
CN107547757A (zh) * 2017-07-19 2018-01-05 合肥盛东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化语音外呼管理系统和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049A (ja) * 1994-06-30 1996-01-19 Toshiba Corp 自動再呼方式
KR20000067754A (ko) * 1999-04-20 2000-11-25 윤종용 코드분할 다중접속 시스템의 단말기에서 단절된 호 복원 방법및 그 통보 방법
JP2002044732A (ja) 2000-07-27 2002-02-08 Sharp Corp 無線通信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049A (ja) * 1994-06-30 1996-01-19 Toshiba Corp 自動再呼方式
KR20000067754A (ko) * 1999-04-20 2000-11-25 윤종용 코드분할 다중접속 시스템의 단말기에서 단절된 호 복원 방법및 그 통보 방법
JP2002044732A (ja) 2000-07-27 2002-02-08 Sharp Corp 無線通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80340A (zh) 2006-05-31
CN100559818C (zh) 2009-11-11
KR20060057073A (ko) 2006-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94156A (en) Cellular communications system having enhanced priority access and channel assignment functions
US6804509B1 (en) Method and system for notifying a caller that a cellular phone destination is available
US20020090947A1 (en) Automatic reconnect of dropped calls
US6148190A (en) System and method of handling emergency calls in a radio telecommunications network in the presence of cloned mobile stations
US8755502B1 (en) Call contention mediation after dropped call
US20110070862A1 (en) Method of Handling Paging and Related Communication Device
CN1209901C (zh) 处理电话呼叫的方法和电话系统
KR100675155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자동 재발신 방법
US553981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forming active subscriber of disconnection of held subscriber in call-waiting service
JPH01264321A (ja) 移動通信接続方式
US6219525B1 (en) Access network system capable of reducing call loss probability
JP4183113B2 (ja) 電話発信者に宛先の交信可能を告知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AU771767B2 (en)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control system and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control method
JP3197752B2 (ja) 自動再呼方式
JP7238591B2 (ja) 緊急通報装置
JP7251302B2 (ja) 緊急通報装置
JP2001045554A (ja) 無線加入者システム、無線加入者システムの回線接続制御装置及び記録媒体
JP3233216B2 (ja) Wllシステムの発信加入者番号表示サービス付加入者端末の着信呼処理方法とその装置
JP3705124B2 (ja) 端末装置
AU1697299A (en) A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answering and recording of messages in a telephone system
KR100250489B1 (ko) 무선 가입자 선로 장치에서 착신 호 설정 중의 호 시도에대한 예외 처리 방법
KR20060045103A (ko) 통신 단말기의 통신 설정 방법
JP2514018B2 (ja) 移動無線回線接続方式
JPH08168072A (ja) 圏内復帰通知装置
JP2002368864A (ja) 携帯電話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