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0489B1 - 무선 가입자 선로 장치에서 착신 호 설정 중의 호 시도에대한 예외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가입자 선로 장치에서 착신 호 설정 중의 호 시도에대한 예외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0489B1
KR100250489B1 KR1019970065694A KR19970065694A KR100250489B1 KR 100250489 B1 KR100250489 B1 KR 100250489B1 KR 1019970065694 A KR1019970065694 A KR 1019970065694A KR 19970065694 A KR19970065694 A KR 19970065694A KR 100250489 B1 KR100250489 B1 KR 100250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ed
hook
call
subscriber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5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7337A (ko
Inventor
권혜연
조권도
김선영
Original Assignee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정선종
Priority to KR1019970065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0489B1/ko
Publication of KR19990047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73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0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0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with variable loudness of the ringing tone, e.g. variable envelope or amplitude of ring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3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regulatory allocation polic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4WLL [Wireless Local Loop]; RLL [Radio Local Lo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가입자 선로 장치에서 착신 호 설정 중의 호 시도에 대한 예외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무선 가입자 선로 장치에서는 가입자의 호 요청 또는 망으로부터의 호 연결 요청에 대해 무선 자원의 할당이 요청되고, 할당된 무선 자원에서의 호 설정 절차가 완료된 뒤에 비로소 다이얼링 또는 착신 호에 대한 응답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일정 시간의 지연이 생기게 되고, 가입자의 불규칙한 다이얼링 관습과 다이얼링 오류에 대해 효과적인 지원이 요구된다. 특히 망으로부터의 착신 호는 무선 가입자 장치가 가입자가 알지 못하는 사이에 무선 자원의 할당을 요청하게 되므로써 자원의 할당 및 설정이 진행되는 도중에 가입자가 호를 시작하기 위하여 수화기를 드는 경우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이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필요성이 생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미 설정 중인 착신 호를 유지시키고 가입자의 새로운 호의 시작을 보류시키므로써 이미 설정된 자원의 낭비를 없애고 채널 설정에 참여한 각 서브시스템을 계속 이용함으로써 통화로 점유 비용을 절감시키며 과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무선 가입자 선로 장치에서 착신 호 설정 중의 호 시도에 대한 예외 처리 방법이 제시된다.

Description

무선 가입자 선로 장치에서 착신 호 설정 중의 호 시도에 대한 예외 처리 방법
본 발명은 무선 가입자 선로 장치(Wireless Local Loop ;이하 WLL이라 함)에서 착신 호 설정 중의 호 시도에 대한 예외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WLL으로부터 가입자 장치로의 호가 요청된 상태에서 가입자 장치가 무선 자원의 할당을 요청하고 이에 대한 망의 처리가 지속되는 순간 가입자로부터 호가 시도될 때 착신 호에 대한 채널 설정을 계속 유지시켜주므로써 이미 확보된 무선 자원을 유지하기 위한 WLL에서 착신 호 설정 중의 호 시도에 대한 예외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WLL은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공중 교환 전화망에서의 유선 전화기를 무선 가입자 장치에 연결시켜 망까지의 일정 구간을 유선 대신 무선 채널로 대치하여, 전화망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산간 또는 섬 지역에 전화망을 설치하는 부가 비용을 줄이고 이를 무선 채널로 대치시키므로써 전화 설치를 간편하게 하고 전화망 설치에 따른 부가 시설의 감소 등의 효과를 얻기 위한 방안이다.
일반적으로 공중 교환 전화망을 이용한 유선에서의 호의 연결은 가입자의 훅 온 또는 훅 오프(Hook On/Off)에 의한 호의 요청 또는 수락에 대한 모든 것이 망에서 관리되고, 훅 오프와 동시에 다이얼링 또는 음성 전달이 진행됨으로써 지연을 초래하지 않는다. 그러나 WLL에서는 가입자의 호 요청 또는 망으로부터의 호 연결 요청에 대해 무선 자원의 할당이 요청되고, 할당된 무선 자원에서의 호 설정 절차가 완료된 뒤에 비로소 다이얼링 또는 착호에 대한 응답이 가능해짐으로 일정 시간의 지연이 생기게 되고, 가입자의 불규칙한 다이얼링 관습과 다이얼링 오류에 대해 효과적인 지원이 요구된다. 특히, 망으로부터의 착신 호는 가입자가 알지 못하는 사이에 무선 가입자 장치가 무선 자원의 할당을 요청하므로써 자원의 할당 및 설정이 진행되는 도중에 가입자가 호를 시작하기 위하여 수화기를 드는 경우가 발생하여 WLL의 각 서브시스템에서의 처리가 동기를 잃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미 설정되었거나 설정 중인 착신 호에 대해 가입자의 새로운 호의 시도를 보류시키고 호를 계속 유지시키므로써 이미 착신 호에 의해 설정된 무선 자원을 해제하므로써 발생하는 자원의 낭비를 없애고 채널 설정에 참여한 각 서브시스템을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는 WLL에서 착신 호 설정 중의 호 시도에 대한 예외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WLL에서 착신 호 설정 중의 호 시도에 대한 예외 처리 방법은 대기 상태 동안 무선 가입자 장치가 기지국으로부터 호 요구가 수신되었는지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망으로부터의 호 요구가 수신되었는지를 검사한 결과 망으로부터의 호 요구가 없는 경우에는 대기 상태를 계속하는 단계와, 상기 망으로부터의 호 요구가 수신되었는지를 검사한 결과 망으로부터 호 요구를 수신한 경우에는 무선 가입자 장치가 기지국으로 채널 할당을 요청하고 훅 호프 플래그를 폴스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채널 할당 요구 응답이 수신되고 채널이 할당되었는지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채널 할당 요구 응답이 수신되고 채널이 할당되었는지를 검사한 결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채널 할당 요구 응답이 수신되고 채널이 할당되지 않은 경우에는 가입자로부터의 훅 오프가 수신되었는지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가입자로부터 훅 오프가 수신되었는지를 검사한 결과 가입자로부터 훅 오프가 수신된 경우에는 훅 오프 플래그를 트루(true)로 설정한 후 기지국으로부터의 채널 할당 요구 응답이 수신되고 채널이 할당되었는지를 검사하는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와, 상기 가입자로부터 훅 오프가 수신되었는지를 검사한 결과 가입자로부터 훅 오프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훅 오프 플래그를 재설정하지 않고 기지국으로부터의 채널 할당 요구 응답이 수신되고 채널이 할당되었는지를 검사하는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채널 할당 요구 응답이 수신되고 채널이 할당되었는지를 검사한 결과 기지국으로부터의 채널 할당 요구 응답이 수신되고 채널이 할당된 경우에는 기지국으로부터의 호 설정 요구가 수신되었는지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호 설정 요구가 수신되었는지를 검사한 결과 기지국으로부터의 호 설정 요구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가입자로부터 훅 오프가 수신되었는지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가입자로부터 훅 오프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한 결과 가입자로부터 훅 오프가 수신된 경우에는 훅 오프 플래그를 트루로 설정한 후 기지국으로부터 호 설정 요구가 수신되었는지 검사하는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와, 상기 가입자로부터 훅 오프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한 결과 가입자로부터 훅 오프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훅 오프 플래그를 재설정하지 않고 기지국으로부터 호 설정 요구가 수신되었는지 검사하는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호 설정 요구가 수신되었는지를 검사한 결과 기지국으로부터 호 설정 요구가 수신된 경우에는 훅 오프 플래그가 트루인지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훅 오프 플래그가 트루인지를 검사한 결과 훅 오프 플래그가 트루인 경우에는 수화기를 든 상태로 기지국으로 호 설정 응답을 송신한 후 통화를 진행하는 단계와, 상기 훅 오프 플래그가 트루인지를 검사한 결과 훅 오프 플래그가 트루가 아닌 폴스인 경우에는 고정 단말 전화기에게 링을 울리도록 하여 가입자가 전화를 받도록 하는 단계와, 가입자로부터 훅 오프가 수신되었는지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가입자로부터 훅 오프가 수신되었는지를 검사한 결과 가입자로부터 훅 오프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고정 단말 전화기에 링을 울리도록 하는 단계(311)로 진행하는 단계와, 상기 가입자로부터 훅 오프가 수신되었는지를 검사한 결과 가입자로부터 훅 오프가 수신된 경우에는 기지국으로 호 설정 응답을 송신한 후 통화를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무선 가입자 선로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망으로부터의 착신 호에 대한 호의 설정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착신 호 설정 중의 호 시도에 대한 예외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섦여>
11 : 가입자 12 : 무선 가입자 선로 장치
110, 21 : 고정 단말 전화기 120, 22 : 무선 가입자 장치
130 : 무선 인터페이스 140, 23 : 기지국
150, 24 : 교환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무선 가입자 선로 장치의 구성도이다.
가입자(11)는 무선 가입자 장치(120)에 여러 대의 고정 단말 전화기(110)를 연결하고 무선 인터페이스(130)로 기지국(140)에 접근하게된다. 이때의 WLL(12)은 무선 가입자 장치와 무선 자원을 관리하는 기지국(140) 그리고 교환기(160)와의 중계를 담당하는 제어국(150)을 포함한다. 가입자(11) 입장에서의 호의 시도 및 응답은 일반 유선 망에서와 동일하며 무선 인터페이스(130)의 처리 및 호의 설정은 무선 가입자 장치(120)가 처리하게 된다. 이때 가입자(11)의 호 시도 또는 망으로부터의 호 연결 요청이 발생시 무선 가입자 장치(120)는 무선 자원에 대한 할당을 WLL(12)에 요청하게 되고, 무선 자원이 할당된 뒤에 비로소 다이얼링이 가능하거나 착호에 대한 호의 응답이 가능해진다. 또는 호를 해제하는 시점에서도 무선 자원 해제에 대한 절차가 필요하므로써 일정 시간의 설정 또는 해제 지연이 요구된다. 그러나 공중 교환 전화망을 이용한 유선에서의 호 연결은 가입자의 훅 온 또는 훅 오프(Hook On/Off)에 의한 호의 시도 또는 응답에 대한 모든 것이 망에서 관리되고, 훅 오프와 동시에 다이얼링 또는 음성 전달이 진행됨으로써 링크 설정에 대한 지연을 초래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들 간의 차이를 인식하지 못한 가입자의 불규칙한 다이얼링 습관에 의해 무선가입자 장치(120) 또는 WLL(12)의 각 서브시스템에서의 처리가 동기를 잃을 가능성이 많아진다.
특히, 망으로부터의 착신 호는 무선 가입자 장치(120)가 가입자(11)가 인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무선 자원의 할당을 요청하고, 무선 자원이 할당된 후에 벨을 울림으로써 가입자가 호의 수신을 알게 된다.
도 2는 망으로부터의 착신 호에 대한 호의 설정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고정 단말 전화기(21)와 무선 가입자 장치(22)를 갖고 있는 가입자와 기지국(23)과 중계국(24)을 갖는 무선 가입자 선로 장치 및 일반 전화 교환망의 교환기(25)로 구성되어 있다.
교환기로 가입자와의 호 요구(200)가 들어오면 교환기는 제어국에 이를 알리고 제어국은 가입자의 무선 가입자 장치(22)를 호출(201)한다. 호출된 무선 가입자 장치(22)는 가입자가 알지 못하는 사이에 망으로 착신 호를 위한 채널 할당을 요청한다(202). 기지국(23)은 중계국(24)에 채널을 요구하고(203) 무선 가입자 장치(22)로 요청된 채널 할당 요청 메세지에 즉시 응답(204)한다. 중계국(24)이 채널을 할당하면(205) 기지국(23)은 무선 가입자 장치(22)에 채널을 할당하여(206) 통화 채널과 신호 채널을 설정하도록 하고(207) 곧이어 설정된 신호 채널(207)을 통해 호 설정을 요구한다(208). 호 설정을 요구받은 무선 가입자 장치(22)는 고정 단말 전화기(21)에 링을 울릴 것을 요청하고(209) 링 소리를 들은 가입자는 수화기를 들음으로서 고정단말전화기(21)가 훅 오프(210) 하도록 한다. 고정 단말 전화기(21)로부터 훅 오프(210) 신호를 받은 무선 가입자 장치(22)는 기지국(23)으로 호가 설정되었음을 알린다(211). 이후 기지국(23)이 중계국(24)으로 호를 설정(212)하고 교환기(24)가 호를 연결(213)하므로써 가입자는 발신자와의 통화(214)가 가능하게 된다.
이때 무선 가입자 장치(22)와 교환기 사이의 착신 호 설정 지연시간(A)에 이를 인식하지 못하는 가입자로부터 호 시도가 있게되면 무선 가입자 장치(22)와 제어국은 다시 발신 호 설정을 위한 채널 할당 절차를 요구하게 된다. 이러한 요구로 인하여 이미 할당되었거나 할당되려고 하는 채널을 다시 해제하고 초기상태로 복구해야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이미 점유되어있는 발신자와의 통화로를 해제해야하므로 과금이 어렵고 통화로 설정 비용이 손실되는 문제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착신 호 설정 중의 호 시도에 대한 예외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무선 가입자 장치는 착신호 설정 지연 시간(도 2의 A)에서의 가입자의 호 시도가 발생하면 발신 호를 위한 채널 할당 절차를 요구하지 않고 이미 할당되었거나 할당된 채널에 대한 착신호의 설정으로 바로 연결시켜주므로써, 가입자가 착신 호에 바로 응답하도록 하였다.
무선 가입자 장치는 대기상태(301)에 있는 동안 망으로부터 호 요구가 수신되었는지를 검사(302)하여 망으로부터의 호 요구가 없는 경우에는 대기 상태를 계속하고, 만일 호 요구를 수신하면, 기지국으로 채널 할당을 요청하고 훅 호프 플래그(flag)를 폴스(false)로 설정(303)한다. 이후 기지국으로부터의 채널 할당 요구 응답이 수신되고, 제어국으로부터 채널이 할당되었는지를 검사한다(304). 이때 기지국으로부터의 채널 할당 요청 응답이 수신되지 않고, 아직 채널이 할당되지 않은 동안에는 가입자로부터의 훅 오프가 수신되었는지를 검사한다(305). 검사 결과 가입자로부터 훅 오프가 수신된 경우에는 훅 오프 플래그를 트루로 설정(306)한 후 단계(304)로 진행하고, 가입자로부터 훅 오프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계속 단계(304)를 검사한다. 기지국으로부터의 채널 할당 요구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고 제어국이 채널을 할당하면 통화채널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의 호 설정 요구가 수신되었는지를 검사한다(307). 검사 결과무선 가입자 선로 장치으로부터의 호 설정 요구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다시 가입자로부터 훅 오프가 수신되었는지를 검사(308)하여 가입자로부터 훅 오프가 수신된 경우에는 훅 오프 플래그를 트루로 설정(309)한 후 게속 호 설정 요구가 수신되었는지 검사하는 단계(307)로 진행하고 훅 오프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계속 단계(307)를 진행한다. 이후, 기지국으로부터의 호 설정 요구를 수신하면 훅 오프 플래그가 트루인지를 검사(310)한다. 이때 검사 결과 훅 오프 플래그가 트루인 경우에는 수화기를 든 상태로 기지국으로 호 설정 응답을 송신(312)한 후 통화를 진행한다. 그러나 훅 오프 플래그가 폴스이면 고정 단말 전화기에게 링을 울리도록 하여(311) 가입자가 전화를 받도록 알리고, 가입자로부터 훅 오프가 수신되었는지를 검사한다(313). 검사 결과 가입자로부터 훅 오프를 수신한 경우에는 무선 가입자 선로 장치으로 호 설정 응답을 송신한 뒤(312) 통화를 진행하고 훅 오프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는 고정 단말 전화기에 링을 울리도록 하는 단계(311)를 계속한다.
만약, 훅 오프 플래그가 트루인지를 검사(310)하기 전에 훅 오프 상태에서 다시 훅 온의 상태, 즉 가입자가 수화기를 내린 상태로 가면 훅 오프 플래그는 폴스 상태로 설정되어 고정 단말 전화기에게 링을 울리도록 하여 가입자가 전화를 받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미 설정되었거나 설정 중인 착신 호에 대해 가입자의 새로운 호의 시도를 보류시키고 호를 계속 유지시키므로써 이미 착신 호에 의해 설정된 무선 자원을 해제하므로서 발생하는 자원의 낭비를 없애고, 채널 설정에 참여한 각 서브시스템을 계속 이용하므로써 통화로 점유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과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대기 상태 동안 무선 가입자 장치가 기지국으로부터 호 요구가 수신되었는지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망으로부터의 호 요구가 수신되었는지를 검사한 결과 망으로부터의 호 요구가 없는 경우에는 대기 상태를 계속하는 단계와,
    상기 망으로부터의 호 요구가 수신되었는지를 검사한 결과 망으로부터 호 요구를 수신한 경우에는 무선 가입자 장치가 기지국으로 채널 할당을 요청하고 훅 호프 플래그를 폴스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채널 할당 요구 응답이 수신되고 채널이 할당되었는지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채널 할당 요구 응답이 수신되고 채널이 할당되었는지를 검사한 결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채널 할당 요구 응답이 수신되고 채널이 할당되지 않은 경우에는 가입자로부터의 훅 오프가 수신되었는지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가입자로부터 훅 오프가 수신되었는지를 검사한 결과 가입자로부터 훅 오프가 수신된 경우에는 훅 오프 플래그를 트루(true)로 설정한 후 기지국으로부터의 채널 할당 요구 응답이 수신되고 채널이 할당되었는지를 검사하는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와,
    상기 가입자로부터 훅 오프가 수신되었는지를 검사한 결과 가입자로부터 훅 오프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훅 오프 플래그를 재설정하지 않고 기지국으로부터의 채널 할당 요구 응답이 수신되고 채널이 할당되었는지를 검사하는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채널 할당 요구 응답이 수신되고 채널이 할당되었는지를 검사한 결과 기지국으로부터의 채널 할당 요구 응답이 수신되고 채널이 할당된 경우에는 기지국으로부터의 호 설정 요구가 수신되었는지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호 설정 요구가 수신되었는지를 검사한 결과 기지국으로부터의 호 설정 요구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가입자로부터 훅 오프가 수신되었는지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가입자로부터 훅 오프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한 결과 가입자로부터 훅 오프가 수신된 경우에는 훅 오프 플래그를 트루로 설정한 후 기지국으로부터 호 설정 요구가 수신되었는지 검사하는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와,
    상기 가입자로부터 훅 오프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한 결과 가입자로부터 훅 오프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훅 오프 플래그를 재설정하지 않고 기지국으로부터 호 설정 요구가 수신되었는지 검사하는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호 설정 요구가 수신되었는지를 검사한 결과 기지국으로부터 호 설정 요구가 수신된 경우에는 훅 오프 플래그가 트루인지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훅 오프 플래그가 트루인지를 검사한 결과 훅 오프 플래그가 트루인 경우에는 수화기를 든 상태로 기지국으로 호 설정 응답을 송신한 후 통화를 진행하는 단계와,
    상기 훅 오프 플래그가 트루인지를 검사한 결과 훅 오프 플래그가 트루가 아닌 폴스인 경우에는 고정 단말 전화기에게 링을 울리도록 하여 가입자가 전화를 받도록 하는 단계와,
    가입자로부터 훅 오프가 수신되었는지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가입자로부터 훅 오프가 수신되었는지를 검사한 결과 가입자로부터 훅 오프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고정 단말 전화기에 링을 울리도록 하는 단계(311)로 진행하는 단계와,
    상기 가입자로부터 훅 오프가 수신되었는지를 검사한 결과 가입자로부터 훅 오프가 수신된 경우에는 기지국으로 호 설정 응답을 송신한 후 통화를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가입자 선로 장치에서 착신 호 설정 중의 호 시도에 대한 예외 처리 방법.
KR1019970065694A 1997-12-03 1997-12-03 무선 가입자 선로 장치에서 착신 호 설정 중의 호 시도에대한 예외 처리 방법 KR100250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5694A KR100250489B1 (ko) 1997-12-03 1997-12-03 무선 가입자 선로 장치에서 착신 호 설정 중의 호 시도에대한 예외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5694A KR100250489B1 (ko) 1997-12-03 1997-12-03 무선 가입자 선로 장치에서 착신 호 설정 중의 호 시도에대한 예외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7337A KR19990047337A (ko) 1999-07-05
KR100250489B1 true KR100250489B1 (ko) 2000-04-01

Family

ID=19526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5694A KR100250489B1 (ko) 1997-12-03 1997-12-03 무선 가입자 선로 장치에서 착신 호 설정 중의 호 시도에대한 예외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048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7337A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022897A (ja) Wllシステムにおける呼処理方法、加入者装置およびアクセス制御装置
JPH057246A (ja) キヤンプオンサービス通信方式
JP2996730B2 (ja) 通話の衝突を処理する方法
KR100250489B1 (ko) 무선 가입자 선로 장치에서 착신 호 설정 중의 호 시도에대한 예외 처리 방법
US6658255B1 (en) Enhanced wireless radio channel utilization
KR0135206B1 (ko) 교환기 시스템의 유무선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9990086215A (ko)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다중 호출음 서비스방법
JPH05236123A (ja) 呼び返し交換方式
KR20020012987A (ko) 유무선 복합 사설망의 호 다중착신방법
JP3055517B2 (ja) 無線装置の緊急連絡システム
JPH02280425A (ja) 加入者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着信転送方式
JP2531347B2 (ja) 携帯型移動端末機を用いる移動通信システム
KR100249861B1 (ko) 씨디엠에이 무선 로컬 루프 시스템용 무선 채널의 고효율성을위한 호 설정방법
JP2894281B2 (ja) ページング着呼方法
KR100222658B1 (ko) 무선통신망에서 순방향 제어채널을 이용한 발신자 전화번호 송수신 방법
KR100208964B1 (ko) 국설 전전자교환기에서의 호예약처리방법
KR19980061505A (ko) 상대방 통화해제 후 사용자와 상대방을 자동으로 연결해주는 서비스가 부가된 교환기
KR100315694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 우선 발신 대기호 유지 시스템 및 방법
KR19980061510A (ko) 상대방 통화해제 후 사용자의 메세지를 자동전송해주는 서비스가 부가된 교환기
KR100299042B1 (ko) 사설교환기에서 아날로그 트렁크를 이용한 네트워킹 시 호 전환방법
KR100300547B1 (ko) WLL(WirelessLocalLoop)시스템에서착신벨이울리는시점을변경하여무선자원을절약하는방법
JPH0234045A (ja) 加入者集線通信システム
KR19980043425A (ko) 이동통신기기의 메세지 대기 통보 방법
JP2001103157A (ja) 多方向多重通信システム
KR19990016005A (ko) 교환시스템의 국선호 착신 서비스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0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