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4540B1 - 무선 접속 확립 방법 및 그 시스템 및 그것에 이용되는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 - Google Patents

무선 접속 확립 방법 및 그 시스템 및 그것에 이용되는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4540B1
KR100674540B1 KR1020040103475A KR20040103475A KR100674540B1 KR 100674540 B1 KR100674540 B1 KR 100674540B1 KR 1020040103475 A KR1020040103475 A KR 1020040103475A KR 20040103475 A KR20040103475 A KR 20040103475A KR 100674540 B1 KR100674540 B1 KR 1006745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wireless device
control terminal
device control
transmission form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3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6884A (ko
Inventor
이나가끼후미유끼
Original Assignee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56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68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4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45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무선 장치 간에 멀티미디어 정보의 송수신을 하는 경우에 필요해지는 접속 확립 시에, 보안성을 고려하고 또한 전송 형식을 결정 가능하게 한 무선 접속 확립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는 접속을 희망하는 무선 장치의 인증을 위해 인증 서버에 대하여 인증을 요구하고, 인증 서버에서 인증 처리를 행한다. 무선 장치가 적합하게 인증되면, 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는 무선 장치의 각 전송 형식을 정보 관리 서버로부터 취득하고, 이들 무선 장치에 공통의 무선 전송 형식을 결정한다. 결정된 무선 전송 형식을 무선 장치에 송신하여 무선 장치에서는 이 무선 전송 형식에 의해 무선 장치 간의 무선 접속을 확립한다.
인증 서버, 무선 장치, 네트워크, 멀티미디어 정보, 제어 단말기

Description

무선 접속 확립 방법 및 그 시스템 및 그것에 이용되는 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WIRELESS CONNECTION ESTABLISHMENT METHOD, ITS SYSTEM AND RADIO DEVICE CONTROL TERMINAL USED IN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무선 장치의 기능 블록도.
도 3은 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의 기능 블록도.
도 4는 무선 장치 정보 관리 서버의 기능 블록도.
도 5는 무선 장치 인증 서버의 기능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동작 시퀀스도.
도 7은 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무선 장치(1a)의 인증 결과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무선 장치(1a, 1b)의 인증 결과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무선 장치의 무선 전송 형식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무선 장치(1a, 1b)의 장치 정보를 이용하여, 무선 접속 결정 화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의 다른 기능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 1b : 무선 장치
2 : 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
3a, 3b : 무선 장치 정보 관리 서버
4a, 4b : 무선 장치 인증 서버
10, 20, 30 : 기억부
12, 22 : 제어부
13, 14, 24, 25 : 무선 통신부
21 : 표시부
26 : 입력부
31, 41 : 통신부
23 : 전송 형식 결정부
40 : 인증부
100 : 서비스 영역
200 : 네트워크
본 발명은 무선 접속 확립 방법 및 그 시스템 및 그것에 이용하는 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 및 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통신 기능 을 갖는 음향 기기나 영상 기기 등 서로 간에 음성 정보나 영상 정보 등의 멀티미디어 정보를 교환할 때에 필요해지는 무선 접속 확립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음성 정보나 영상 정보 등의 멀티미디어 정보의 전송을,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음향·영상 기기 서로 간에 행하기 위해서는, 이들 음향·영상 기기 간에, 무선 접속 확립이 필요해진다. 이러한 무선 접속 확립을 행하기 위한 일례로서, 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를 통하여, 음향·영상 기기인 무선 장치 간에 접속(connection)을 확립하는 방법이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개 2001-345817호 공보 참조).
이 무선 접속 확립 방법에서는, 무선 접속의 확립을 요구하는 복수의 무선 장치가 존재하고, 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가 각 무선 장치에 설정된 식별자를 판독하고, 이 판독한 식별자를 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가 무선 장치로 송신하여, 무선 장치 간에, 무선 확립에 필요한 정보를 서로 교환하게 된다. 따라서, 복수의 무선 장치 간에 접속 확립을 행한다는 것이다.
상술한 종래 기술에서는, 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를 통하여, 무선 접속 확립을 요구하는 복수의 무선 장치 서로 간에, 각 무선 장치에 설정된 식별자를 교환하게 되고, 이에 따라 무선 접속을 확립하도록 되기 위해서는, 각 무선 장치에 설정된 식별자는 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로 판독하는 것이 가능하며, 따라서 다른 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에 의해 식별자가 판독되게 되어, 의도하지 않은 무선 장치와의 식별자 교환에 의해 무선 접속이 확립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것은 보안성 (security)의 관점에서 문제가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무선 접속 확립 시에, 이용자에게 PIN(Personal Identifier Number) 코드의 입력을 필요로 하는 등, 사용자에게 있어서는 번잡하게 된다.
또한, 무선 장치가 대응하는 전송 형식은 복수 존재하는 경우가 있다. 그 경우, 무선 장치 간의 접속 확립 시에는, 무선 장치 간에, 영상이나 음성 정보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정보를 어떤 전송 형식으로 전송할지의 설정을 행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서는 전송 형식의 결정 기능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되어 있지 않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무선 장치 간에 멀티미디어 정보를 주고 받는 경우에 필요해지는 접속 확립에 있어서, 보안성을 고려하고 또한 전송 형식을 결정 가능하게 한 무선 접속 확립 방법 및 그 시스템 및 그것에 이용하는 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 및 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접속 확립 방법은, 복수의 무선 장치 서로 간에 무선 통신에 의해 정보의 송수신을 행할 때의 무선 접속 확립의 제어를 하는 무선 접속 확립 방법으로서, 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에서, 상기 무선 장치의 각 ID 번호를 취득하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인증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인증 서버에서, 상기 ID 번호 각각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장치 각각의 인증 처리를 행하고, 인증 결과를 상기 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에서, 상기 인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ID 번호를 상기 통신망을 통하여 정보 관리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정보 관리 서버에서, 상기 무선 장치의 각 무선 전송 형식을 미리 기억한 기억부로부터, 상기 각 ID 번호에 기초하여 판독하여 상기 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에서, 상기 각 무선 전송 형식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장치 서로 간의 무선 전송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접속 확립 시스템은, 복수의 무선 장치 서로 간에 무선 통신에 의해 정보의 송수신을 행할 때의 무선 접속 확립의 제어를 하는 무선 접속 확립 시스템으로서, 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에 의해 상기 무선 장치로부터 취득된 각 ID 번호를, 통신망을 통하여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수신된 상기 ID 번호 각각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장치 각각의 인증 처리를 행하고, 인증 결과를 상기 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로 송신하는 수단을 갖는 인증 서버와, 상기 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에서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얻어진 상기 인증 결과에 기초하여 송신된 상기 ID 번호를, 상기 통신망을 통하여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무선 장치의 각 무선 전송 형식을 미리 기억한 기억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각 ID 번호에 기초하여 판독하여 상기 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로 송신하는 수단을 갖는 정보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는 상기 각 무선 전송 형식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장치 서로 간의 무선 전송 방식을 결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는, 복수의 무선 장치 서로 간에 무선 통신에 의해 정보의 송수신을 행할 때의 무선 접속 확립의 제어를 하는 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로서, 상기 무선 장치로부터 각 ID 번호를 취득하여 통신망을 통하여 인증 서버로 송신함과 함께,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인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ID 번호를, 상기 통신망을 통하여 정보 관리 서버로 송신하는 수단과, 상기 정보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무선 장치의 각 무선 전송 형식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장치 서로 간의 무선 전송 방식을 결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은, 복수의 무선 장치 서로 간에 무선 통신에 의해 정보의 송수신을 행할 때의 무선 접속 확립의 제어를 하는 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의 동작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무선 장치로부터 각 ID 번호를 취득하여 통신망을 통하여 인증 서버로 송신함과 함께,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인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ID 번호를, 상기 통신망을 통하여 정보 관리 서버로 송신하는 처리와, 상기 정보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무선 장치의 각 무선 전송 형식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장치 서로 간의 무선 전송 방식을 결정하는 처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는, 접속을 요청하는 무선 장치의 인증을 위해 인증 서버에 대하여 인증을 요구하고, 인증 서버로 인증 처리를 행한다. 무선 장치가 적합하게 인증되면, 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는 무선 장치의 각 전송 형식을 정보 관리 서버로부터 취득하여, 이들 무선 장치에 공통인 무선 전송 형식을 결정한다. 결정한 무선 전송 형식을 무선 장치로 송신하여 무선 장치에서는, 이 무선 전송 형식에 의해 무선 장치 간의 무선 접속을 확립한다. 이에 의해, 보안성이 높은 시스템 구축을 할 수 있고, 또한 최적의 무선 전송 방식이 자동적으로 결정된다.
<실시예>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시스템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복수의 무선 장치(1a, 1b)는 음성 정보나 영상 정보 등의 멀티미디어 정보를 서로 무선 통신 기능에 의해 송수신할 수 있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이러한 무선 장치는 음성 정보 기기나 영상 정보 기기이고,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가정 등에 존재하는 소위 오디오/비디오 기기인 것으로 한다.
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2)는 무선 접속 가능한 범위인 서비스 영역(100) 내에 존재하는 무선 장치의 제어를 행하는 단말기로서, 이들 무선 장치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고, 또한 통신망(네트워크)(200)에도 접속 가능한 기능을 갖고 있다. 무선 장치의 접속 확립을 위한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서버로서, 무선 장치(1a)용 정보 관리 서버(3a)와, 무선 장치(1b)용 정보 관리 서버(3b)가, 네트워크(200)에 접속되어 있고, 또한 인증을 위한 서버로서, 무선 장치(1a)용 인증 서버(4a)와, 무선 장치(1b)용 인증 서버(4b)가, 네트워크(200)에 접속되어 있다.
무선 장치(1a, 1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계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모두 동일 구성이고, 그 구성예를 도 2에 도시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 장치는 해당 무선 장치 자신에게 할당된 ID 번호와 무선 전송 형식을 유지하는 기억부(10)를 갖고 있고, 무선 장치 ID 번호로서는, 본 예에서는 RFID 태그(무선 식별 태그)를 이용할 수 있고, 그 경우에는 그 ID(11)를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무선 장치는 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2)와 무선 접속 가능한 무선 통신부(13)를 갖고 있고, RFID 태그의 경우에는, RF부 및 루프 안테나로 이루어진다. 또한, 무선 장치는 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2)로부터 송신된 전송 형식으로 다른 무선 장치와 무선 접속 가능한 무선 통신부(14)와 이들 각 부(10, 13, 14) 등을 제어하는 제어부(12)를 갖고 있다.
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2)는 무선 장치(1a, 1b)와 무선 접속 가능한 범위의 서비스 영역(100)을 갖고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2)는 이들 무선 장치와 무선 접속 가능한 무선 통신부(25)를 갖고 있다. 무선 장치에 RFID 태그가 이용되는 경우에, 이 무선 통신부(25)는 RFID 태그의 리더/라이터(reader/writer) 기능으로 된다. 또한, 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2)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무선 장치 정보 관리 서버(3a, 3b)나 무선 장치 인증 서버(4a, 4b)에 접속하는 무선 통신부(24)를 갖는다.
또한, 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2)는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20)와 이용자에 대하여 정보의 표시를 행하는 표시부(21)와 무선 장치 간에 무선 접속을 확립하기 위해서 필요한 전송 형식을 결정하는 전송 형식 결정부(23)를 갖는다. 또한, 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2)는 무선 장치 고유의 ID(11)에 기초하여, 접속할 무선 장치 정보 관리 서버(3a, 3b)와 무선 장치 인증 서버(4a, 4b)를 결정함과 함께, 단말기(2)의 각 부를 제어하는 제어부(22)도 갖는다.
이 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2)로서, 예를 들면 휴대 전화기가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통신부(24)는 통상의 이동 통신 기능부이고, 따라서 네트워크(200)는 이동 통신망을 포함하는 공중 통신망으로 된다. 또한, 무선 통신부(25)는 RFID 태그의 리더/라이터 기능에 의해 구성되고, 휴대 전화기 내부에 이 리더/라이터 기능을 부가하는 것은 용이하다.
무선 장치 정보 관리 서버(3a, 3b)는 모두 동일 구성이다. 도 4는 무선 장치 정보 관리 서버의 기능 블록도를 도시한다. 무선 장치 정보 관리 서버는 무선 장치의 전송 형식을 유지하는 기억부(30)와 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2)와 접속하는 통신부(31)를 갖는다. 무선 장치 인증 서버(4a, 4b)는 모두 동일 구성이다. 도 5는 무선 장치 인증 서버의 기능 블록도를 도시한다. 무선 장치 인증 서버는 무선 장치의 인증을 행하는 인증부(40)와 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2)와 접속하는 통신부(41)를 갖고 있다.
다음으로, 도 1에 도시한 무선 장치(1a, 1b) 간의 접속 확립의 동작 시퀀스의 예를 도 6에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2)가 서비스 영역(100)내를 스캔(scan)한다(단계 600). 서비스 영역(100)내에 존재하는 무선 장치(1a)는 기억부(10)내에 보존되어 있는 ID(11)(ID 번호)를 판독한다(단계 601). 무선 장치(1a)로부터 판독된 ID 번호인 ID(11)는 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2)로 송신된다(단계 602). 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2)는, 무선 장치(1a)의 ID 번호를 기초로, 접속할 무선 장치 인증 서버(4a)(무선 장치(1a)용)를 결정한다(단계 603). 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2)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무선 장치 인증 서버(4a)에 무 선 장치(1a)의 ID 번호를 송신하고, 무선 장치(1a)의 인증 처리를 요구한다(단계 604).
무선 장치 인증 서버(4a)는 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2)로부터 송신된 무선 장치(1a)의 ID 번호를 기초로 무선 장치(1a)의 인증 처리를 행한다(단계 605). 무선 장치 인증 서버(4a)의 인증 처리 결과는 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2)로 회신된다(단계 606). 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2)는 회신된 무선 장치(1a)의 인증 결과를 표시부(21)에 표시한다(단계 607). 이 경우의 인증 결과의 표시예를 도 7에 도시한다.
다음으로, 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2)가 서비스 영역(100) 내를 스캔한다(단계 608). 서비스 영역(100)내에 존재하는 무선 장치(1b)는 기억부(10) 내에 보존되어 있는 ID 번호를 판독한다(단계 609). 무선 장치(1b)로부터 판독된 ID 번호는 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2)로 송신된다(단계 610). 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2)는 무선 장치(1b)의 ID 번호를 기초로 접속할 무선 장치 인증 서버(4b)를 결정한다(단계 611). 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2)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무선 장치 인증 서버(4b)에 무선 장치(1b)의 ID 번호를 송신하고, 무선 장치(1b)의 인증 처리를 요구한다(단계 612).
무선 장치 인증 서버(4b)는 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2)로부터 송신된 무선 장치(1b)의 ID 번호를 기초로, 무선 장치(1b)의 인증 처리를 행한다(단계 613). 무선 장치 서버(1b)의 인증 처리 결과는 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2)로 회신된다(단계 614). 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2)는 회신된 무선 장치(1b)의 인증 결과를 표시부(21)에 표시한다(단계 615). 이 경우의 인증 결과의 표시예를 도 8에 도시한다. 또, 상술한 무선 장치(1a)에 대한 처리 단계(600~607)과 무선 장치(1b)에 대한 처리 단계(608∼615)는 독립적으로 행하고 있지만, 병행하여 행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2)는 무선 장치(1a)의 ID 번호를 기초로 제어부(22)에 의해 접속할 무선 장치(1a)용 정보 관리 서버(3a)를 특정한다. 다음에, 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2)는 정보 관리 서버(3a)에 접속하여 무선 장치(1a)의 전송 형식을 요구한다(단계 616). 무선 장치(1a)용 정보 관리 서버(3a)는 기억부(30)로부터 무선 장치(1a)의 전송 형식을 판독한다(단계 617). 이 기억부(30) 내에 기억되어 있는 무선 장치(1a)의 무선 전송 형식의 예를 도 9에 도시한다. 무선 장치(1a)용 정보 관리 서버(3a)는 무선 장치(1a)의 전송 형식을 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2)에 회답한다(단계 618).
다음으로, 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2)는 무선 장치(1b)의 ID 번호를 기초로, 제어부(22)에 의해 접속할 무선 장치(1b)용 정보 관리 서버(3b)를 특정한다. 다음에, 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2)는 정보 관리 서버(3b)에 접속하여, 무선 장치(1b)의 전송 형식을 요구한다(단계 619). 무선 장치(1b)용 정보 관리 서버(3b)는 기억부(30)로부터 무선 장치(1b)의 전송 형식을 판독한다(단계 620). 무선 장치(1b)용 정보 관리 서버(3b)는 무선 장치(1b)의 전송 형식을 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2)에 회답한다(단계 621).
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2)는 무선 접속을 행하는 모든 무선 장치의 전송 형식을 입수하고 전송 형식 결정부(23)에 의해, 무선 장치(1a, 1b) 간에 실행 가능한 가장 데이터 전송 레이트가 높은 무선 전송 형식을 결정한다(단계 622). 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2)는 이 결정한 무선 전송 형식을 표시부(21)에 의해 이용자에게 통지한다(단계 623). 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2)의 무선 전송 형식 결정의 표시예를 도 10에 도시한다.
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2)는 결정한 무선 전송 형식을 무선 장치(1a)에 송신한다(단계 624). 무선 장치(1a)는 송신된 무선 전송 형식을 기억부(10)에 보존한다. 이러한 무선 전송 형식을 이용하여, 제어부(12)는 무선 통신부(14)를 제어한다(단계 625). 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2)는 결정한 무선 전송 형식을 무선 장치(1b)에 송신한다(단계 626). 무선 장치(1b)는 송신된 무선 전송 형식을 기억부(10)에 보존한다. 이러한 무선 전송 형식을 이용하여, 제어부(12)는 무선 통신부(14)를 제어한다(단계 627).
무선 접속 확립을 희망하는 각 무선 장치(1a, 1b)가 무선 전송 형식의 설정을 끝내면, 무선 장치(1a)와 무선 장치(1b) 간에 무선 접속이 확립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단계 628).
이와 같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2)가 서비스 영역(100) 내의 무선 장치(1a 또는 1b)를 스캔하고, 무선 장치 ID 번호를 판독한다. 다음에, 이들 ID 번호를 기초로, 제어부(22)가 자동적으로 무선 장치 인증 서버(4a, 4b)에 접속하여 인증을 취득하게 된다. 따라서, 무선 장치(1a, 1b)의 인증을 행하는 경우에, 이용자의 수고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무선 장치 인증 서버(4)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클라이언트 인증등 보다 높은 보안성의 인증 시스템의 구축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2)는 무선 장치(1a, 1b) ID 번호를 기초로, 무선 장치 정보 관리 서버(3)로 자동적으로 접속하여, 무선 장치(1a, 1b) 간에 접속 확립에 필요해지는 압축 방식이나 전송 레이트 등의 전송 형식을 취득하여, 전송 형식의 결정을 행하는 전송 형식 결정부를 갖고 있기 때문에, 무선 장치 간의 접속 확립 시에 최적의 데이터 전송 형식의 선택을 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무선 장치 정보 관리 서버(3)와 무선 장치 인증 서버(4)는 별도의 독립된 서버로서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이 2개의 서버는 통합된 방식으로 무선 장치 정보를 제어하는 단일의 서버로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무선 장치에 제공되는 모든 서버는 단일 서버로 통합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 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2)의 기능 블록도로, 도 3과 동등 부분은 동일 부호에 의해 나타내고 있다. 본 예에서는, 도 3의 구성 외에, 입력부(26)가 추가되어 있고, 그 외에는 앞의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이 입력부(26)는 표시부(21)의 표시 내용에 기초하여, 이용자가 무선 전송 형식의 결정을 위한 입력을 행하는 것에 이용된다. 따라서, 무선 장치 간의 접속 확립 시에, 이용자가 임의로 데이터 전송 형식의 선택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더 구체적으로, 도 6의 동작 시퀀스도를 참조하면, 단계(600∼621)까지 자동적으로 처리가 행해지고, 그 후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은 표시 내용에 기초하여, 이용자가 양 무선 장치 간에 공통되는 무선 전송 형식 중에서, 희망하는 무선 전송 형식을, 입력부(26)를 이용하여 선택하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본 구성에서, 미리 무선 전송 형식 결정의 룰을 입력부(26)로부터 전송 형식 결정부(23)에 설정해둠으로써, 전송 형식 결정부(23)가 무선 전송 형식을 결정할 때에, 이 룰에 따른 결정을 자동적으로 행하여, 이용자의 수고를 줄이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2)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 전화기 등의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는 경우에, 무선 장치(1a, 1b)를 그 서비스 영역(100) 내에 동시에 넣는 대신에, 개별로 서비스 영역(100) 내에 넣어, 그 각각에 무선 전송 형식을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
도 6에 도시한 동작 시퀀스에 대해서는, 각 장치에서 미리 동작 수순을 프로그램으로서 기록 매체에 저장해두고, 이것을 컴퓨터(CPU: 제어부)에 의해 판독하여 실행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효과는, 음성이나 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정보를 교환하는 무선 장치 간의 접속 확립에 대한 수고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그 이유는, 무선 장치의 ID 번호를 기초로, 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가 자동적으로 무선 장치의 인증과 무선 장치의 전송 형식의 입수를 행하여, 접속 확립을 요청하는 복수의 무선 장치의 전송 형식으로부터, 최적의 무선 전송 형식의 결정을 행함으로써, 이용자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효과는, 음성이나 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정보를 교환하 는 무선 장치 간의 접속 확립 시에, 보안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이유는, 무선 장치 인증 서버를 구비함으로써, 무선 장치 간에 클라이언트 인증 등의 높은 보안성의 시스템 구축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Claims (13)

  1. 복수의 무선 장치간에 무선 통신에 의해 정보의 송수신(send and receive)을 행하기 위한 무선 접속 확립의 제어를 위한 무선 접속 확립 방법에 있어서,
    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에서, 상기 무선 장치의 각 ID 번호를 취득하고, 통신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ID 번호를 인증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인증 서버에서, 상기 ID 번호 각각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장치 각각에 대한 인증 처리를 행하고, 인증 결과를 상기 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에서, 상기 인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ID 번호를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정보 관리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정보 관리 서버에서, 상기 무선 장치의 각 무선 전송 형식을 미리 기억한 기억부로부터, 상기 각 ID 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장치의 각 무선 전송 형식을 판독하고, 상기 각 무선 전송 형식을 상기 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에서, 상기 각 무선 전송 형식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장치간에 이용되는 무선 전송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접속 확립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에서, 상기 정보 관리 서버로부터 송신된 상기 각 무선 전송 형식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접속 확립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송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는 미리 정해진 룰(rule)에 따라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접속 확립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송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는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지시에 응답하여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접속 확립 방법.
  5. 복수의 무선 장치간에 무선 통신에 의해 정보의 송수신을 행하기 위한 무선 접속 확립을 제어하기 위한 무선 접속 확립 시스템에 있어서,
    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에 의해 상기 무선 장치로부터 취득된 각 ID 번호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수신된 상기 ID 번호 각각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장치 각각의 인증 처리를 행하고, 인증 결과를 상기 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로 송신하는 수단을 갖는 인증 서버와,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얻어진 상기 인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ID 번호를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무선 장치의 각 무선 전송 형식을 미리 기억한 기억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각 ID 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장치의 각 무선 전송 형식을 판독하고, 각 무선 전송 형식을 상기 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로 송신하는 수단을 갖는 정보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는 상기 각 무선 전송 형식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장치간에 이용되는 무선 전송 방식을 결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접속 확립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는 상기 정보 관리 서버로부터 송신된 상기 각 무선 전송 형식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접속 확립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송 방식을 결정하는 수단은 미리 정해진 룰에 따라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접속 확립 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송 방식을 결정하는 수단은 외부로부터 입력된 지시에 응답하여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접속 확립 시스템.
  9. 복수의 무선 장치간에 무선 통신에 의해 정보의 송수신을 행하기 위한 무선 접속 확립을 제어하는 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무선 장치로부터 각 ID 번호를 취득하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각 ID 번호를 인증 서버로 송신함과 함께,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수신한 인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ID 번호를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정보 관리 서버로 송신하는 수단과,
    상기 정보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무선 장치의 각 무선 전송 형식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장치간에 이용되는 무선 전송 방식을 결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관리 서버로부터 송신된 상기 각 무선 전송 형식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송 방식을 결정하는 수단은 미리 정해진 룰에 따라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송 방식을 결정하는 수단은 외부로부터 입력된 지시에 응답하여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
  13. 복수의 무선 장치간에 무선 통신에 의해 정보의 송수신을 행하기 위해 무선 접속 확립을 제어하는 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의 동작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무선 장치로부터 각 ID 번호를 취득하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각 ID 번호를 인증 서버로 송신함과 함께,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수신한 인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ID 번호를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정보 관리 서버로 송신하는 처리와,
    상기 정보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무선 장치의 각 무선 전송 형식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장치간에 이용되는 무선 전송 방식을 결정하는 처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1020040103475A 2003-12-10 2004-12-09 무선 접속 확립 방법 및 그 시스템 및 그것에 이용되는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 KR1006745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411133A JP3870946B2 (ja) 2003-12-10 2003-12-10 無線接続確立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並びにそれに用いる無線装置制御端末
JPJP-P-2003-00411133 2003-12-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6884A KR20050056884A (ko) 2005-06-16
KR100674540B1 true KR100674540B1 (ko) 2007-01-29

Family

ID=34650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3475A KR100674540B1 (ko) 2003-12-10 2004-12-09 무선 접속 확립 방법 및 그 시스템 및 그것에 이용되는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583954B2 (ko)
JP (1) JP3870946B2 (ko)
KR (1) KR1006745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0496B1 (ko) * 2006-03-07 2008-01-02 와이즈와이어즈(주) 인증키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를 위한 인증 방법,시스템 및 기록매체
JP2009272874A (ja) * 2008-05-07 2009-11-19 Sony Corp 通信装置、通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通信システム
FR2962571B1 (fr) * 2010-07-08 2012-08-17 Inside Contactless Procede d'execution d'une application securisee dans un dispositif nfc
JP5690206B2 (ja) * 2011-05-11 2015-03-25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無線端末および無線システム
CN113806264A (zh) * 2021-09-06 2021-12-17 联想(北京)有限公司 处理方法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48725B2 (ja) * 1997-04-04 2006-11-22 富士通株式会社 双方向通信システム
JP2001309440A (ja) 2000-04-18 2001-11-02 Sony Corp 携帯端末装置、サーバ装置、情報通信システム
JP3441422B2 (ja) * 2000-05-31 2003-09-02 株式会社東芝 無線機制御端末装置および無線システム
US20020042753A1 (en) * 2000-10-06 2002-04-11 Ortiz Luis M. Transaction broker method and system
JP2003047060A (ja) 2001-07-30 2003-02-14 Canon Inc 無線通信機能付携帯端末装置、無線通信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3150478A (ja) 2001-11-15 2003-05-23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コンテンツ提供方法及びその装置と、コンテンツ提供プログラ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PT1488653E (pt) * 2002-03-26 2010-12-31 Nokia Corp Aparelho, método e sistema de autenticação
JP2003296205A (ja) * 2002-04-04 2003-10-17 Hitachi Ltd ネットワーク構成機器特定方法及びその実施システム並びにその処理プログラム
JP2003304252A (ja) 2002-04-11 2003-10-24 Canon Inc 通信システム、認証装置、通信接続装置、ステーション認証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4019796B2 (ja) * 2002-05-31 2007-12-12 ソニー株式会社 コンテンツデータ提供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050144136A1 (en) * 2002-06-28 2005-06-30 Fujitsu Limited Content providing system and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US20040203355A1 (en) * 2002-07-03 2004-10-14 Light Jeffrey Ross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a mobile phone
US20040137921A1 (en) * 2002-11-08 2004-07-15 Vinod Valloppillil Asynchronous messaging based system for publishing and accessing content and accessing applications on a network with mobile devices
US7333479B2 (en) * 2003-06-30 2008-02-19 Nokia Corporation RFID system with packetized data storage in a mobile environment: methods, systems and program products
US20050014468A1 (en) * 2003-07-18 2005-01-20 Juha Salokannel Scalable bluetooth multi-mode radio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6884A (ko) 2005-06-16
US7583954B2 (en) 2009-09-01
JP2005175733A (ja) 2005-06-30
US20050130626A1 (en) 2005-06-16
JP3870946B2 (ja) 2007-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53108B1 (e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uthentication method and mobile terminal
US8245284B2 (en) Extensible network discovery
US7565107B2 (en) Communication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EP2988534A2 (en) Method of configuring wireless connection via near field communication function and image forming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KR101968512B1 (ko) Nfc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EP1738529B1 (en) A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US20150249923A1 (en) Communication control apparatus, system, and method therefor
US7529219B2 (en)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 wireless LAN communication
US8582471B2 (en) Wireless ad-hoc network configuration method and apparatus
US20060101280A1 (en) Authentication method and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EP1868323A1 (en) Connection parameter setting system, method thereof, access point, server, radio terminal, and parameter setting device
KR101638920B1 (ko) 스마트 카드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50114765A (ko) 근거리 무선 통신(nfc) 기능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nfc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방법
US8081616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KR20040054466A (ko) 광역 네트워크 시스템, 이 네트워크를 이용한 액세스 인증시스템, 액세스 포인트를 제공하는 접속장치, 접속장치에접속되는 단말기기 및 액세스 인증 방법
CN103609152A (zh) 向订户识别模块中预配置网络信息
JP2009239573A (ja) 無線通信仲介装置,無線通信仲介プログラム,avシステム
JP4777229B2 (ja) 通信システム、管理装置、管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当該制御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6166311A (ja) 無線通信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KR100674540B1 (ko) 무선 접속 확립 방법 및 그 시스템 및 그것에 이용되는무선 장치 제어 단말기
US9961485B2 (en) Communication device
US20090199300A1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figuring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US20220046414A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storing program for communication device
JP2012044395A (ja) 通信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暗号切替方法
KR102390887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기기 등록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