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4514B1 - 음향기기케이스용재료및이를이용한음향기기케이스 - Google Patents

음향기기케이스용재료및이를이용한음향기기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4514B1
KR100674514B1 KR1019970065257A KR19970065257A KR100674514B1 KR 100674514 B1 KR100674514 B1 KR 100674514B1 KR 1019970065257 A KR1019970065257 A KR 1019970065257A KR 19970065257 A KR19970065257 A KR 19970065257A KR 100674514 B1 KR100674514 B1 KR 1006745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filler
acoustic
powder material
acoust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5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3694A (ko
Inventor
구니히꼬 도꾸라
마사루 우류
마사유끼 가미떼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미사와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미사와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80063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36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4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45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1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incorporating only one transduc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7/00Compositions of lignin-containing materials
    • C08L97/02Lignocellulosic material, e.g. wood, straw or bagas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10T428/251Mic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10T428/253Cellulosic [e.g., wood, paper, cork, rayon,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10T428/254Polymeric or resinous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1Mica fla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82Particulate matter [e.g., sphere, flake, etc.]
    • Y10T428/2991Coa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82Particulate matter [e.g., sphere, flake, etc.]
    • Y10T428/2991Coated
    • Y10T428/2998Coated including synthetic resin or polym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로 충전재와 열경화성 또는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된 음향 기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충전재는 목재를 분쇄하여 얻어지는 목분과 같은 셀룰로오스계 분말 재료와, 셀룰로오스계 분말 재료보다 크기가 작으면서 경질은 분말 재료를 포함한다. 분말 재료는 예비 설정 압력 하에서 셀룰로오스계 분말 재료의 표면상에 고정 또는 고착된다.

Description

음향 기기 케이스용 재료 및 이를 이용한 음향 기기 케이스{MATERIAL FOR CASING FOR ACOUSTIC EQUIPMENT AND CASING FOR ACOUSTIC EQUIPMENT FABRICATED THEREFORM}
본 발명은 음향 기기 케이스용 재료 및 음향 기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셀룰로오스계 분말 재료가 함유된 음향 기기 케이스용 재료와 음향 기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전, 스테레오 시스템, 라디오 카세트 레코더 또는 헤드폰으로 대표되는 음향 기기에 있어서 음향 기기 음질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개발이 추진되고 있다. 스피커 또는 헤드폰 시스템과 같은 음향 기기의 음향 특성 중에서 특히 출력 음압, 왜곡 인자 또는 평탄성의 개선이 요망된다.
전술된 음향 기기에 있어서, 스피커 박스 또는 헤드폰 시스템용 하우징 등의 음향 기기의 다양한 물리적 성질이 전술한 음향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인자로 간주된다. 음향 기기가 구동되어 음파가 생성되면, 음향 기기의 케이스는 생성된 음파에 의해 공진된다. 음향 기기에 의해 출력된 가청음의 음질은 공진에 의해 저하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음향 기기 케이스로서 내부 손실이 적절히 큰 고강성 재료를 사용하여 출력 음압, 왜곡 인자 또는 평탄성을 개선한다. 이를 위해, 나왕 목판과 같은 나무 판자, 또는 미세한 나무 조각에 접착제를 코팅하여 판자로 형성된 파티클 보드(particle board)가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들 판으로 형성된 판재는 외관상의 자유도에 있어서 제한적이며, 따라서 용도에 있어서도 제한적이다. 소정의 형상을 갖도록 판재를 조립하는 공정이 요구되므로, 생산성이 저하될 수밖에 없다.
이와 같은 난점을 극복하기 위해, 열가소성 수지를 사출 성형함으로써 제조 되는 음향 기기 케이스가 공지되어 있다. 음향 기기 케이스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로는 폴리프로필렌(PP)에 무기성 충전재를 혼합하여서 된 복합 재료 또는 ABS 수지 등의 범용 플라스틱 재료를 들 수 있다. 무기성 충전재라 함은 운모(mica), 탈크(talc) 및 탄산칼슘 등으로 된 분말을 의미한다.
음향 기기 케이스는 무기성 충전재에 의해 케이스로서의 강성이 증가된다. 그러나, 무기성 충전재가 사용되면, 내부 손실이 증가되어 케이스가 갖는 장치의 출력 음질은 전술한 목재 케이스에 비해 열등하게 되어 버린다. PP 대신에 ABS 수지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내부 손실이 적게 되도록 공진이 음향 기기의 케이스에서 생성되므로, 장치의 출력음이 왜곡되게 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케이스가 음향 기기의 케이스로서 최적이라고 말할 수 없다.
한편, 음향 기기 케이스가 목재로 형성된 경우에는, 생성된 출력음의 음질은 양호하다. 음향 기기의 케이스용 재료로서, 목분 또는 곡식의 겉껍질 등의 셀룰로오스계 충전재와 수지의 혼합물이 목재의 사용에 의해 달성되는 음질과 견줄 만한 음질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된다. 셀룰로오스계 충전재는 페놀 등에 의해 표면 처리되어 수지에 비해 분산율을 향상시킨다. 그러나, 셀룰로오스계 충전재는 전술된 일반적인 무기성 충전재와 비교하여 충분한 윤활성을 갖지 못한다. 그러므로, 수지에 부가될 수 있는 셀룰로오스계 충전재의 양은 제한적이며, 결과적으로 음향 기기 케이스용 재료의 강성은 개선될 수 없게 된다.
스피커가 소정 수준의 신호로 구동되면, 셀룰로오스계 충전재가 함유된 음향 기기의 케이스는 스피커에 전달된 진동에 의해 공진된다. 결과적으로, 스피커의 재생 음압 주파수 특성이 안정적이지 않고 변동하게 된다. 이는 음향 기기의 케이스의 공진에 의해 왜곡이 증가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셀룰로오스계 충전재를 이용한 음향 기기 케이스를 사용하면, 케이스의 표면에는 셀룰로오스계 충전재의 섬유질 구조에 의해 보풀이 있게 된다. 이로써 케이스의 외관상에도 바람직하지 못할 뿐 아니라, 스피커의 출력 음질 면에서도 최적이라고 말할 수 없다.
셀룰로오스계 충전재를 이용한 음향 기기 케이스에 있어서, 셀룰로오스계 충전재가 내열성이 낮으므로 PP 또는 염화비닐(PVC)과 같은 융해 온도가 낮은 수지만이 사용될 수 있다. 즉, 음향 기기 케이스는 사용 가능한 수지 타입이 제한적이라는 단점을 갖는다.
셀룰로오스계 충전재가 수지와 혼합되어 성형되는 경우에, 리그닌(lignin:목질소) 또는 목초산이 생성되고, 결과적으로 셀룰로오스계 충전재를 함유한 케이스가 부식되게 된다.
예를 들어, US-PS 5,067,583에는 폴리머-충전 음성확성기(audio loudspeaker) 캐비넷이 개시되어 있는데, 비활성 충전재의 20% 내지 90%가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설폰계, 폴리비닐클로라이드계 등의 폴리머 내에 사용 및 매립된다. 이러한 특정한 공지된 확성기 캐비넷의 비활성 충전재는 칼슘카보네이트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음향 기기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표면에 셀룰로오스계 분말 재료보다 크기가 작으면서 경질인 분말 재료가 미리 설정된 압력하에서 고정된 셀룰로오스계 분말재료로 된 충전재와 열경화성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로 주로 구성된 출발 물질을 성형함으로써 얻어지는 음향 기기의 케이스가 제공된다.
이하 음향 기기의 케이스용 재료와 이 물질을 사용한 음향 기기 케이스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음향 기기의 케이스용 재료는 스피커 장치(1)와 같은 음향 기기 케이스로서 사용된다. 도1에 있어서, 스피커 유니트(2)를 둘러싸는 케이스(3)로 개략적으로 구성된다. 상기 스피커 유니트(2)는 진동판(4)과, 진동판(4)을 지지하는 댐퍼(5)와, 진동판(4)을 진동시키는 보이스 코일(6), 자석(7), 극 단편(8) 및 자기 회로판(9)을 포함한다. 이러한 스피커 장치(1)에서는, 신호원으로서 튜너 또는 디스크플레이어에 연결된 증폭기와 같은 외부 음향 기기로부터 공급된 신호에 상응하는 소정의 전류가 외부로부터 보이스 코일(6)로 공급되어, 자석(7)과, 극 단편(8) 및, 자기 회로판(9)에 의해 진동판(4)을 구동하게 된다.
전술된 스피커 장치(1)의 케이스(3)는 그 속에 둘러싸인 스피커 유니트(2)를 가지며, 스피커 유니트(2)의 진동판(4)을 외부에 노출시키는 틈새(3A)가 구비되어 형성된다. 케이스(3)는 상술한 음향 기기의 케이스용 재료로부터 성형된다.
상기 음향 기기의 케이스용 재료에 있어서, 셀룰로오스계 분말 재료는 주된 성분이 섬유질이니 재료이다. 셀룰로오스계 분말 재료로는 목분 및 곡식의 겉껍질을 들 수 있다.
목분은 출발 물질 목재를 분쇄하여 생성되며, 이 목분은 볼 밀(ball mill)에 의해 가공 처리된다. 가공된 목분은 출발 물질 목재를 분쇄함으로써 얻어지므로, 그 표면은 각진 부분, 돌출된 부분 또는 섬모상의 휘스커(whisker)를 나타낸다. 가공될 목분이 볼 밀에 의해 가공되어 분쇄되면, 상기한 여러 각진 부분, 돌출 부분 또는 섬모 형상 휘스커는 볼 밀의 볼에 의한 마찰에 의해 점차적으로 감소되어, 가공된 목분은 셀룰로오스계 분말 재료와 같이 높은 부피 비중을 갖도록 조절된다. 이들 목분은 부정형 외형상을 가지며 부분적으로 구형상 또는 거의 구형상인 입자이다. 셀룰로오스계 분말 재료로서의 목분의 입자 크기는 이어서 설명하게 될 음향 특성상의 가능한 개선과는 무관하다.
본 음향 기기용 재료에 있어서, 분말 재료는 전술된 셀룰로오스계 분말 재료보다 경질이면서 입자 크기가 작다. 분말 재료의 구체적인 예로는 산화티타늄, 운모 및 탄산칼슘과 같은 무기 재료가 포함된다.
이상의 형상으로 목분을 가공하기 위해, 혼합 용기 내에서 가공을 위해 목분을 분말 재료와 혼합하여 분말 재료가 목분 상에 소정의 충격을 가함으로써 가공되도록 할 수도 있다.
분말 재료는 전술된 셀룰로오스계 분말 재료의 표면에 부착된다. 분말 재료의 입자 크기가 셀룰로오스계 분말 재료 보다 작으므로, 분말 재료는 대체로 셀룰로오스계 입자 재료의 전체 표면 상에 부착된다. 셀룰로오스계 분말 재료는 분말 재료에 의해 목질소 또는 목초산이 내부로부터 가능한 최소로 배출되는 방식으로 도포된다.
셀룰로오스계 분말 재료의 표면에 부착되는 경우에, 상기 분말 재료는 셀룰로오스계 분말 재료에 대해 내열성 및 내화성을 갖는다. 즉, 셀룰로오스계 분말 재료의 표면을 차폐하는 분말 재료는 열 또는 화확 물질이 셀룰로오스계 분말 재료에 이르지 못하도록 한다.
셀룰로오스계 분말 재료의 표면에 부착되는 경우에, 분말 재료는 가압 외력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압력은 셀룰로오스계 분말 재료의 표면의 외측으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이고, 예컨대 기계적인 수단에 의한 것과 분쇄 시에 발생하는 압력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화는 화학 처리 또는 부착 등의 방법에 의하지 않으며, 표면 외측으로부터의 압력에 의해 박리되지 않을 정도로 고정되는 것을 의미한다.
셀룰로오스계 분말 재료의 표면 상에 분말 재료를 고정하기 위해, 셀룰로오스계 분말 재료 상에 외부 압력을 가할 수 있는 장치 등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셀룰로오스계 분말 재료를 생성하는 데 사용되는 분쇄용 볼 밀 또는 건식 볼 밀이 사용된다. 전술된 셀룰로오스계 분말 재료와 분말 재료를 상기 장치에 의해 함RP 혼합함으로써, 분말 재료는 셀룰로오스계 분말 재료에 부착되어 전술된 충전재를 생성하게 된다.
그러므로 생성된 충전재는 열가소성 또는 열경화성 수지와 혼합되어 음향 기기 케이스용 재료를 제공하게 된다.
열가소성 또는 열경화성 수지는 종래에 사용되었던 임의의 것도 가능하며 PP, ABS 및 PVC를 들 수 있다. 열가소성 또는 열경화성 수지는 충전재와 함께 혼합되어 음향 기기 케이스용 재료를 제공하게 된다.
음향 기기 케이스용 재료는 도1에 도시된 스피커 장치(1)의 케이스(3) 등의 음향 기기 케이스와 같은 소정의 최종 형상으로 예컨대 사출 성형 장치에 의해 성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음향 기기 케이스용 재료와 이로부터 제조된 음향 기기 케이스를 실제로 제조하여 그 특성을 평가하였다. 여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9를 제작하였고 비교를 위해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7도 함께 제작하였다.
[실시예 1]
음향 기기 케이스용 재료의 조제
실시예 1에서는, 음향 기기 케이스용 재료가 이하에서 설명될 바와 같이 생산되었다. 우선, 단편 재료(목재 단편)가 출발 물질 목재로서 사용되었으며 기계 적인 충격 미 분쇄에 의해 분쇄되었다. 기계적인 충격과 분쇄에 의해 생성된 분쇄 물질은 크기별로 분류하여 분쇄된 목재 미분이 150 메쉬(mesh) 이상이 되지 않도록 가공하였다.
다음으로, 가공을 위해 분쇄 목재 미분을 건식 볼 밀에 의해 분쇄하였다. 건식 볼 밀의 구체적인 분쇄 조건에는 세라믹으로 형성된 볼의 사용과, 90내지 120 ℃의 분쇄된 목분의 표면 온도 및, 80 ℃보다 높지 않은 밀의 몸체부의 온도가 포함된다.
분쇄 중에 볼과 접촉함으로써, 가공을 위해 분쇄된 목분을 기계적으로 분쇄, 마쇄 및 미분되어 표면 상의 각진 부분, 돌출 부분 또는 섬모상의 휘스커가 제거된다. 결과적으로, 분쇄된 목분을 전체적으로 둥근 형상으로 다듬질하여 가공함으로써 부피 밀도가 증가된 목분을 제공하게 된다. 생성된 목분은 입자 크기 별로 분류되며, 무기성 안료로 이루어진 분말 재료를 분류된 목분의 표면 상에 고정한다. 본 실시예 1에서는, 산화티타늄이 무기 재료로 사용되었다. 상기 고정을 위해, 목분과 산화 티타늄은 분쇄에 사용되는 건식 밀에 의해 함께 혼합된다. 이는 산화티타늄이 대체로 목분의 전체 표면을 도포하여 목분과 산화티타늄으로 충전재를 구성하게 된다.
ABS 수지(니뽕 고세이 고무 기부시끼 가이샤제, 상표명 ABS10)의 100 중량부에 상기 충전재 5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하여 실시예 1의 음향 기기 케이스용 재료를 생산한다.
음향 기기 케이스의 제조
실세예 1의 음향 기기 케이스용 재료를 사용하여, 실시예 1의 음향 기기 케이스의 샘플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의 음향 기기 케이스의 샘플로서, 그 폭은 10㎜이며, 두께는 1㎜이며 길이는 15㎜인 샘플 1을 성형하였다. 샘플 1을 성형하기 위해, 성형 압력과, 성형 온도, 노즐 부분의 온도, 전방부의 온도, 중앙부의 온도 및, 후방부의 온다가 각각 80 ㎏/㎠, 220 ℃, 210 ℃, 190 ℃ 및 180 ℃로 설정 되었다. 성형 후에, 샘플 1을 90 ℃에서 건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2의 음향 기기 케이스용 재료는 ABS 수지의 100 중량부에 충전재 10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되었다. 마찬가지로, 상기 재료를 실시예 2의 음향 기기 케이스용 재료로 사용하여, 실시예 2의 음향 기기 케이스의 샘플로서 샘플 2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3의 음향 기기 케이스용 재료는 ABS 수지의 100 중량부에 충전재의 20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되었다. 마찬가지로, 상기 재료를 실시예 3의 음향 기기 케이스용 재료로 사용하여, 실시예 3의 음향 기기 케이스용 재료로 사용하여, 실시예 3의 음향 기기 케이스의 샘플로서 샘플 3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4의 음향 기기 케이스용 재료는 폴리프로필렌 100에 상기 충전재 10의 비율로 상기 충전재와 폴리프로필렌(도꾸야마사제, 상표명 MS670)을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되었다.
실시예 4의 음향 기기 케이스용 재료를 사용하여, 실시예 4의 음향 기기 케이스 샘플로서 샘플 4를 제조하였다. 샘플 4는 성형 압력을 50 ㎏/㎠ 하고 성형 온도를 200 ℃로 설정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의 성형에 의해 제조되었다.
[실시예 5]
실시예 5의 음향 기기 케이스용 재료는 폴리프로필렌 100 중량부에 충전재 30 중량부의 혼합 비율로 폴리프로필렌과 상기 충전재를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4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되었다. 마찬가지로, 상기한 실시예 5의 음향 기기 케이스용 재료를 사용하여, 실시예 5의 음향 기기 케이스의 샘플로서 샘플 5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6의 음향 기기 케이스용 재료는 폴리프로필렌 100 중량부에 충전재 50 중량부의 혼합 비율로 폴리프로피렌과 상기 충전재를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되었다. 마찬가지로 사기한 실시예 6의 음향 기기 케이스용 재료를 사용하여, 실시예 6의 음향 기기 케이스의 샘플로서 샘플 6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실시예 7의 음향 기기 케이스용 재료는 운모를 무기성 안료로 사용하여 상기 충전재를 제조하고 폴리프로필렌 대 충전재의 혼합 비율을 폴리프로필렌 100 중량 부 대 충전재10 중량부로 하여 도꾸야마사제 상표명 MS670인 폴리프로필렌과 상기 충전재를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되었다.
[실시예 8]
실시예 8의 음향 기기 케이스용 재료는 폴리프로필렌의 100 중량부에 충전재의 30 중량부의 혼합 비율로 폴리프로필렌과 상기 충전재를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되었다. 마찬가지로, 상기한 실시예 8의 음향 기기 케이스용 재료를 사용하여, 실시예 8의 음향 기기 케이스의 샘플로서 샘플8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9]
실시예 9의 음향 기기 케이스용 재료는 폴리프로필렌의 100 중량부에 충전재 50 중량부의 혼합 비율로 프로필렌과 충전재를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과 도일한 방식으로 제조되었다. 마찬가지로, 상기한 실시예 9의 음향 기기 케이스용 재료를 사용하여, 실시예 9의 음향 기기 케이스의 샘플로서 샘플 9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비교예 1에서는, 니뽕 고세이 고무 가부시끼 가이샤제 ABS10의 상표명으로 생산되는 ABS 수지 자체만을 상술된 실시예에서의 충전재와 혼합하지 않고 사용하였다. 마찬가지로, 비교예1의 음향 기기 케이스용 재료를 사용하여, 비교예 1에 따른 음향 기기 케이스의 샘플로서 비교 샘플 1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비교예 2에서는, 도꾸야마사제 상표명 MS670의 폴리프로필렌 자체만을 상술된 실시예의 충전재와 혼합하지 않고 사용하였다. 마찬가지로, 비교예2의 음향 기기 케이스용 재료를 사용하여, 비교예 2에 따른 음향 기기의 케이스의 샘플로서 비교 샘플 2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비교예 3의 음향 기기 케이스용 재료는 무기성 안료를 대신하여 탄산칼슘을 충전재로서 사용하고 폴리프로필렌 100 중량부에 충전재 10 중량부의 비율로 도꾸야마사제 상표명 MS670의 폴리프로필렌과 충전재를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되었다. 마찬가지로, 비교예 3의 음향 기기 케이스용 재료를 사용하여, 비교예 3에 따른 음향 기기의 케이스 재료로서 비교 샘플 3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비교예 4의 음향 기기 케이스용 재료는 폴리프로필렌 100 중량부에 충전재 30 중량부의 혼합 비율로 폴리프로필렌과 탄산칼슘으로 이루어진 충전재를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3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되었다. 마찬가지로, 비교예 4의 음향 기기 케이스용 재료를 사용하여, 비교예 4의 음향 기기 케이스 샘플로서 비교 샘플 4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5]
비교예 5의 음향 기기 케이스용 재료는 폴리프로필렌의 100 중량부에 충전재의 50 중량부의 혼합 비율로 폴리프로필렌과 탄산칼슘으로 구성된 충전재를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3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되었다. 마찬가지로, 상기한 비교예 5의 음향 기기 케이스용 재료를 사용하여, 비교예 5의 음향 기기 케이스의 샘플로서 비교 샘플 5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6]
비교예 6의 음향 기기 케이스용 재료로서, 도꾸야마사제 상표명 LJ666의 상업 복합 재료인 폴리프로필렌이 사용되었다. 이 폴리프로필렌의 복합 재료에는 곡식의 겉껍질이 30%가 함유되어 있다. 이 재료를 비교예 6의 음향 기기 케이스용 재료로 사용하여, 비교 샘플 6이 음향 기기 케이스의 샘플로서 제조되었다. 비교예 6에서의 성형 온도는 200℃였다.
[실시예 7]
두께가 3㎜인 파티클 보드가 비교예 7의 음향 기기 케이스용 재료로서 사용되었다.
물리적 성질 평가 실험
물리적 성질에 대한 이하의 실험은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9와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7에서 수행되었다.
실시예와 비교예를 사용하여 제조된 샘플의 물리적 성질은 각 샘플의 종방향 일단을 캔틸레버식으로 고정시켜 공명 진동수를 찾아내도록, 각 샘플에 진동을 가지는 진동 리드법(vibration reed method)을 사용하여 측정된다. 이 진동 리드법을 사용하여, 탄성 역학 계수가 공명 진동수로부터 구해지고 내부 손실이 공명 진동수로부터 구해진다. 진동 리드법의 측정 결과가 표 1에 기재되었으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과 비교예 1에서의 충전재의 첨가량이 표 2에 기재되었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표 1과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의 음향 기기 케이스용 재료를 사용한 실시예의 탄성 역학 계수는 비교예의 음향 기기 케이스용 재료를 사용한 샘플보다 우수하다. 또한 수지의 타입에 무관하게 실시예에서 충전재의 첨가량이 증가하면서 탄성 역학 계수도 개선되었다. 더불어, 실시예의 샘플들은 음속에 있어서도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충전재는 형상 면에서 안정적이며 분산성 면에서도 뛰어나다.
마찬가지로, 실시예의 음향 기기 케이스용 재료를 사용한 샘플들은 비교예의 음향 기기 케이스용 재료를 사용한 샘플과 비교하여 tan δ값이 개선되었다. 이것으로부터 실시예의 샘플에서의 내부 손실이 보다 큼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교예3과의 비교에서 tan δ값은 탄산칼슘을 사용하는 것보다 무기성 안료를 사용하는 경우에 더 큼을 알 수 있다. 이는 탄산칼슘을 사용한 충전재의 내부 손실이 보다 낮은 것에 기인하며,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충전재가 목재 구조인 것에 기인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충전재는 내부 손실이 크다.
비교에 6의 음향 기기 케이스용 재료를 사용하여, 200℃에서 샘플이 생산되었다. 샘플은 탄흔과 표면 성질이 양호하지 못한 단점이 있었으며, 한편 분해 가스가 방출되었었다. 이와는 달리, 실시예에 따른 음향 기기 케이스용 재료로 성형된 샘플에는 황변 현상 또는 탄흔이 전혀 나타나지 않는다. 또한, 실시예의 음향 기기 케이스용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샘플은 양호한 표면 성질을 나타내었다. 이는 양질의 음향 기기 케이스가 성형 조건의 제한 없이도 제공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음향 특성 평가 실험
음향 기기의 음향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음향 기기가 본 발명에 따른 음향 기기 케이스를 사용하여 제조되었다.
여기서 사용된 음향 기기 케이스용 재료는 상기한 실험 실시예3에서 보여준 바와 같이 ABS 수지에 실시예 1에 사용된 충전재의 20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되었다. 도1에 도시된 스피커 장치(1)는 이와 같은 음향 기기 케이스용 재료를 사용하여 마련되었다. 스피커 장치(1)의 메인 스피커 몸체부의 직경은 16㎝이다.
비교를 위해, 유사한 스피커가 본 발명에 따른 충전재가 함유되지 않은 ABS수지를 사용하여 제조되었다.
각 스피커에 입력 신호로서 사인파가 입력되었으며 도1의 케이스(3)의 진동속도를 측정하였다. 이 때의 진동 속도는 레이저 도플러 진동계를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도2는 스피커의 진동 속도의 측정 결과를 보여준다.
도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향 기기 케이스로서의 스피커 장치의 케이스의 주파수 반응에 의한 이득 변동은 종래 장치에서의 스피커의 이득 변동보다 작다. 이것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음향 기기의 케이스가 내부 손실이 커서 음향 기기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적게 받음을 알 수 있다.
물리적 성질 및 음향 특성의 평가 테스트의 전술된 결과로부터 음향 기기의 음압 주파수 특성 또는 왜곡 인자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 기기 케이스용 재료 및 음향 기기 케이스의 사용에 의해 개선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에서의 ABS와 같은 수지뿐 아니라 용융점이 230℃이거나 그 이하인 임의의 수지도 사용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충전재가 합성 수지 재료의 5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되었다. 합성 수지 재료와 혼합되는 충전재의 비율은 충전재와 혼합되어 있는 합성 수지 재료가 금속 몰드 내로 사출 성형 시에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유동하는 것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상기 비율이 최대 5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 충전재와 혼합된 합성 수지 재료는 사출 성형 시에 금속 몰드 내로 유동할 수 없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충전재와 혼합된 합성 수지 재료가 몰드 내로 유동 불가능하기도 하다. 그러므로, 충전재의 비율은 50 중량부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전재의 혼합비가 5 중량부 보다 크지 않으면, 표1과 표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은 충전재를 혼합으로써 나타나는 특성을 개선시키는 효과는 실현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충전재의 혼합 비율은 5 중량부 미만이 아니 것이 바람직하다. 충전재와 혼합된 합성 수지 재료가 유동하도록 하면서 표1 또는 표2에 기재된 바람직한 특성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합성 수지 재료와 혼합되는 충전재의 비율이 5 내지 3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된 바와 같이, 내부 손실이 우수한 재료로써, 셀룰로오스계 분말 재료보다 경질이고 입경이 작은 분말 재료가 표면 상에 고착된 셀룰로오스계 분말 재료로 구성된 충전재와 혼합된 합성 수지 재료로 구성되어 있어서, 이러한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우수한 주파수 반응을 갖는 음향 기기 케이스를 제공 할 수 있는 재료가 제공 가능하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음향 기기 케이스를 이용한 스피커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스피커와 종래 스피커의 주파수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피커
2 : 스피커 본체
3 : 케이스

Claims (6)

  1. 주로 충전재와,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로 구성된 출발물질을 성형하여 얻어지는 음향기기 케이스이며,
    상기 충전재는 셀룰로오스계 분말재료를 포함하며, 상기 셀룰로오스계 분말재료는 그 보다 경질이고 입경이 작은 분말재료를 미리 설정된 압력 하에서 그 표면 상에 고착한 셀룰로오스계 분말재료인 음향기기용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계 분말재료가 목분을 포함하는 음향기기용 케이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재료가 무기재료인 음향기기용 케이스.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재료가 탄산칼슘, 산화티타늄 및 운모 중의 하나인 음향기기용 케이스.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가 50 중량부(parts by weight) 보다 높지 않은 비율로 상기 수지에 혼합되는 음향기기용 케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가 5 내지 30 중량부(parts by weight)의 비율로 상기 수지에 혼합되는 음향기기용 케이스.
KR1019970065257A 1996-12-02 1997-12-02 음향기기케이스용재료및이를이용한음향기기케이스 KR1006745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2200896A JP3799111B2 (ja) 1996-12-02 1996-12-02 音響機器筐体用材料及びこれを用いた音響機器筐体
JP96-322008 1996-12-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3694A KR19980063694A (ko) 1998-10-07
KR100674514B1 true KR100674514B1 (ko) 2007-08-16

Family

ID=18138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5257A KR100674514B1 (ko) 1996-12-02 1997-12-02 음향기기케이스용재료및이를이용한음향기기케이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686036B1 (ko)
EP (1) EP0845494B1 (ko)
JP (1) JP3799111B2 (ko)
KR (1) KR100674514B1 (ko)
CA (1) CA2223065C (ko)
DE (1) DE69705191T2 (ko)
TW (1) TW37428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51836B1 (en) * 1999-03-31 2006-12-1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peaker apparatus and sound reproduction apparatus
KR100433824B1 (ko) * 2001-09-03 2004-06-04 김정규 친 환경대응형 마이크로폰 시스템
JP2004186915A (ja) 2002-12-02 2004-07-02 Sony Corp 生分解性音響機器材料
JP3911633B2 (ja) * 2002-12-10 2007-05-09 オー・ジー株式会社 スピーカキャビネット
DE10301115B4 (de) * 2003-01-14 2005-03-10 Deutsch Zentr Luft & Raumfahrt Bauelement mit schallabsorbierenden Eigenschaften für eine Wandung,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Gehäuse für akustische Geräte
DE10309028B4 (de) * 2003-03-01 2005-06-30 Peter Kittel Verbundwerkstoff für Gehäuse oder Schallführungen für akustische Gerät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 Gehäuse oder Schallführungen
WO2006018880A1 (ja) * 2004-08-19 2006-02-23 Og Corporation スピーカ用振動板
US20080087492A1 (en) * 2006-10-12 2008-04-17 Cox David H Fire-resistant barrier
EP2453979B1 (en) * 2009-07-17 2019-07-24 Implantica Patent Ltd. A system for voice control of a medical implant
WO2014010138A1 (ja) * 2012-07-10 2014-01-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音響機器
GB2512869B (en) * 2013-04-09 2021-07-21 Upm Kymmene Corp A composite having acoustic properties, manufacturing the composite, a component comprising a composite, manufacturing the component and uses thereof
GB202108839D0 (en) * 2021-06-18 2021-08-04 Rega Res Limited Improved cabinet for loudspeaker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8663A (ko) * 1983-04-15 1984-12-17 이현우(외1) 육묘상자 및 화분제조용 수지조성물
US5067583A (en) * 1990-08-06 1991-11-26 Hathaway Dana B Polymer-filled audio loudspeaker cabinet
JPH0491599A (ja) * 1990-08-06 1992-03-25 Onkyo Corp スピーカ用ダストキャップ
EP0516513A2 (en) * 1991-05-23 1992-12-02 Misawa Homes Co. Ltd Wood mea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950000772A (ko) * 1993-06-14 1995-01-03 채오병 탄소섬유강화 탄소복합재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H07225453A (ja) * 1994-02-10 1995-08-22 Mitsubishi Paper Mills Ltd 感光材料用遮光容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6013A (ja) * 1974-07-03 1976-01-19 Morya Kk Supiikaabotsukusuzairyono seizohoho
JPS519013A (ja) 1974-07-12 1976-01-24 Fujikura Ltd Dodenyonanshitsuaruminiumugokin oyobi sonoseizohoho
JPH02155940A (ja) * 1988-12-08 1990-06-15 Kojima Press Co Ltd スピーカーボックス成形用樹脂組成物
JP2882666B2 (ja) * 1990-06-27 1999-04-12 株式会社クラレ スピーカボックス
WO1994020280A1 (fr) * 1993-03-05 1994-09-15 Misawa Homes Co., Ltd. Procede de fabrication d'un produit imitant le bois et produit ainsi fabriqu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8663A (ko) * 1983-04-15 1984-12-17 이현우(외1) 육묘상자 및 화분제조용 수지조성물
US5067583A (en) * 1990-08-06 1991-11-26 Hathaway Dana B Polymer-filled audio loudspeaker cabinet
JPH0491599A (ja) * 1990-08-06 1992-03-25 Onkyo Corp スピーカ用ダストキャップ
EP0516513A2 (en) * 1991-05-23 1992-12-02 Misawa Homes Co. Ltd Wood mea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950000772A (ko) * 1993-06-14 1995-01-03 채오병 탄소섬유강화 탄소복합재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H07225453A (ja) * 1994-02-10 1995-08-22 Mitsubishi Paper Mills Ltd 感光材料用遮光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3694A (ko) 1998-10-07
CA2223065C (en) 2007-08-07
JPH10164679A (ja) 1998-06-19
EP0845494A1 (en) 1998-06-03
EP0845494B1 (en) 2001-06-13
DE69705191T2 (de) 2002-01-31
US6686036B1 (en) 2004-02-03
CA2223065A1 (en) 1998-06-02
DE69705191D1 (de) 2001-07-19
JP3799111B2 (ja) 2006-07-19
TW374284B (en) 1999-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4514B1 (ko) 음향기기케이스용재료및이를이용한음향기기케이스
US8177021B1 (en) Diaphragm for speaker, frame for speaker, dust cap for speaker, speaker and apparatus using th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mponent for speaker
US506890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acoustical distortion
US481140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acoustical distortion
EP1450580B1 (en) Manufacturing methods of Speaker Diaphragms
WO2006018880A1 (ja) スピーカ用振動板
WO2011080898A1 (ja) スピーカ用振動板、スピーカ用ダストキャップおよびスピーカ用フレームおよびこれらを用いたスピーカならびにこのスピーカを用いた電子機器および装置
JP2008124962A (ja) スピーカ用抄紙振動板およびこれを用いたスピーカならびにこのスピーカを用いた電子機器および装置
JP4179037B2 (ja) 成形用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スピーカーユニット取付部材、ならびにそれらを用いたスピーカーシステム
JPS58139593A (ja) 音響機器用キヤビネツト
KR950004956B1 (ko) 스피커 진동판용 섬유질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스피커 진동판
US20130216088A1 (en) Acoustic molded article, speaker using same, and electronic equipment and mobile apparatus using speaker
JP3143759B2 (ja) スピーカボックス
US20230292050A1 (en) Loudspeaker diaphragm, loudspeaker, electronic device, movable bod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loudspeaker diaphragm
JP4793255B2 (ja) スピーカ用振動板およびこれを用いたスピーカならびにこのスピーカを用いた電子機器および装置
JP5548939B2 (ja) スピーカ用振動板およびこれを用いたスピーカならびにこのスピーカを用いた電子機器および装置
JP5548943B2 (ja) スピーカ用ダストキャップおよびこれを用いたスピーカならびにこのスピーカを用いた電子機器および装置
JP6268447B2 (ja) ヘッドフォン
JP2007312286A (ja) スピーカ振動板
JPS5825661Y2 (ja) スピ−カ−用グリル
JP2012227675A (ja) スピーカ用ダストキャップおよびこれを用いたスピーカならびにこのスピーカを用いた電子機器および装置
TWI322627B (en) Vibrating plate for speaker
JP2008160362A (ja) スピーカ用ダストキャップおよびこれを用いたスピーカならびにこのスピーカを用いた電子機器および装置
JPH0134439B2 (ko)
JPS63167597A (ja) スピ−カ用キヤビネツ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50429

Effective date: 2006092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