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4505B1 - 네비게이션 시스템 - Google Patents

네비게이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4505B1
KR100674505B1 KR1020040037405A KR20040037405A KR100674505B1 KR 100674505 B1 KR100674505 B1 KR 100674505B1 KR 1020040037405 A KR1020040037405 A KR 1020040037405A KR 20040037405 A KR20040037405 A KR 20040037405A KR 100674505 B1 KR100674505 B1 KR 100674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vigation system
shortcut
menus
menu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7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2353A (ko
Inventor
손후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Priority to KR1020040037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4505B1/ko
Publication of KR20050112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23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4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4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61L9/12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comprising a fa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2001/0672Picture frames employing magne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07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 G11B2020/00014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the compressed signal being an audio signal
    • G11B2020/00057MPEG-1 or MPEG-2 audio layer III [MP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Navig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하나 이상의 메뉴를 포함한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메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각각의 기능을 동작하도록 하는 입력부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소정의 기능이 직접적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단축메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상기 하나 이상의 단축메뉴가 링크하는 기능을 사용자가 직접 등록할 수 있도록 등록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사용자가 운전중에 소정의 기능을 선택하기 위해 입력 버튼을 수회 반복하지 않고도 단축메뉴에 의해 한번의 버튼 조작으로 상기 기능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어 차량 운전중 버튼 조작으로 인한 부주의로 인해 발생하는 사고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네비게이션 시스템, 단축메뉴

Description

네비게이션 시스템{Navigation system}
도 1은 일반적인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작동 원리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디스플레이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디스플레이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메뉴등록의 동작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0 : 네비게이션 시스템 110 : 디스플레이부
120 : 입력부 130 : 단축메뉴 입력부
본 발명은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가 상기 시스템의 소정의 기능을 동작하기 위해 화면의 여러 단계를 거치며 수회의 버튼동작을 반복할 필요 없이, 상기 소정의 기능이 1회의 버튼 동작만으로 직접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인공위성으로부터 송신된 전파를 감지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 및 속도 등을 판단하고, CD-ROM등의 기억 매체에 저장된 지도상에 상기 차량의 위치 등을 나타내어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고, 상기 차량의 운전자가 향하는 목적지까지 최단 경로 또는 최적의 경로를 판단하여 이를 표시해주는 차량 운행 보조장치이다.
상기 일반적인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도 1과 관련하여 설명하면, 다수개의 인공위성(1)은 각각 전파를 송신하며, 차량(2)에 탑재된 전파 감지부(3)는 상기 다수개의 인공위성(1)이 송신한 전파 중에서 적어도 4개 이상의 전파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파 감지부(3)는 일반적으로 GPS 안테나가 이용된다.
상기 전파 감지부(3)로부터 수신된 다수의 전파는 마이크로 프로세서(4)에 의해 연산되어 상기 차량(2)의 현재 위치 및 속도를 산출해낼 수 있으며, 상기 차량(2)이 진행할수록 순간의 위치 및 속도가 각각 다른값으로 산출된다.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4)에 의해 산출된 차량(2)의 현재 위치등은 저장 매체(미도시)에 저장된 전자지도상에 상기 위치가 표시되는 화면으로 출력부(5)에 디스플레이되며, 상기 출력부(5)는 일반적으로 액정 등의 디스플레이부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차량(2)의 위치는 주기적으로 감지되는 인공위성(1)의 전파에 의해 수시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차량(2)의 순간 변위를 상기 전자지도상에 연속적으로 출력함으로써 차량(2)의 이동경로를 판단할 수 있다.
도 2는 상기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전파 감지부(3)가 수신한 전파로부터 마이크로 프로세서(4)가 산출해낸 차량의 위치 등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디스플레이부(10)에는 시스템의 초기 동작을 위한 메인 메뉴화면 및 전자지도 외에 사용자의 사용 편의를 위하여 각종 화면의 일부분에 메뉴화면(11)이 출력된다.
그러나 종래의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경우 상기 메뉴화면(11)에 있어서, 일반적인 메뉴화면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전화면 또는 메뉴 등의 아이콘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에 따라, 운전자가 상기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각종 기능을 동작시키려 하는 경우에 이전화면 아이콘을 수회 반복하여 선택하여 초기 화면으로 돌아가거나, 또는 메뉴 아이콘을 선택하여 소정의 원하는 기능을 처음부터 재조작하여야 했다.
이에 따라, 운전자가 운전중에 소정의 기능을 동작하기 위해서 상기와 같이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작동 버튼을 반복하여 누름으로써 소비하는 시간동안 전방 시야를 확보하지 못함으로써 사고의 위험이 커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상기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소정의 기능이 직접적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단축메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운전중에 상기 기능을 선택하기 위해 입력 버튼을 수회 반복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고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메뉴를 포함한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메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각각의 기능을 동작하도록 하는 입력부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소정의 기능이 직접적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단축메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상기 하나 이상의 단축메뉴가 링크하는 기능을 사용자가 직접 등록할 수 있도록 등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도이다. 상기 네비게이션 시스템(100)은 전자 지도, 차량의 위치 및 상기 시스템을 동작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메뉴를 이미지화하여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110)와, 상기 메뉴를 선택하여 소정의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메뉴 입력부(120)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에 표시된 단축메뉴를 선택하여 소정의 기능이 직접적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단축메뉴 입력부(130)로 구성된다.
차량을 운행시키기 위하여 시동을 걸고 이에 의해 전원이 상기 네비게이션 시스템(100)으로 인가되어 상기 시스템이 동작하는 경우, 사용자는 먼저 상기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된 초기 메뉴화면을 통해서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동작을 메뉴 입력부(120)를 조작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먼저, 사용자가 가고자 하는 목적지를 입력시키기 위하여 상기 목적지를 검색하기 위해 목적지 설정 메뉴를 선택하고, 상기 목적지의 주소, 우편번호, 전화번호 또는 시설 등을 검색함으로써 상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목적지가 설정되면 상기 차량의 현재위치로부터 최적의 경로를 설정하여 이를 디스플레이부(110)에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차량의 위치 변화에 따라 화면을 갱신하여 연속적으로 출력하므로 차량의 진행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현재지 화면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10)에 출력된다.
또한, 상기 현재지 화면에는 상기 차량의 진행상태 및 기본적인 메뉴, 즉 화면을 이전단계로 돌아가게 하거나, 초기 메인메뉴가 나타나게 하는 메뉴 아이콘이 나타남과 아울러, 상기 네비게이션 시스템(100)에 기본적으로 구비되어 있는 소정의 기능들, 예를 들면 위성TV, 라디오, 음악감상 또는 운행과 관련된 제반 사항 등 운전자가 자주 사용하는 기능이 여러번 버튼을 조작할 필요없이 직접적으로 수행되어질 수 있도록 단축메뉴 아이콘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10)의 일측에 나타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한 메뉴 아이콘 및 단축메뉴 아이콘을 동작시키기 위하여 상기 각각의 아이콘을 선택하도록 하는 입력부(120)와 단축메뉴 입력부(130)가 부가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의 메뉴 선택의 편리성을 위해 상기 메뉴 아이콘 및 단축메뉴 아이콘의 근방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디스플레이부를 나타내는 도이다.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동작 상태를 사용자가 판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동작 상태에 따른 처리 결과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110)는 상기 시스템의 기본적인 차량 운행 상태의 표시 외에도, 사용자의 동작의 편의를 위해서 각종 메뉴가 아이콘의 형태로 표시되는데, 상기 일반적인 메뉴(121) 외에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기능을 아이콘의 형태로 표시한 단축메뉴(131)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10)의 일측에 표시된다.
또한, 도 3에서 단축메뉴 입력부의 A,B,C-Z 의 버튼은 각각 상기 디스플레이부(110)의 단축메뉴 A',B',C'-D'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상기 단축메뉴(131)는 상기 네비게이션 시스템이 포함하고 있는 기능의 개수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110)에서 표시할 수 있는 메뉴의 개수 등에 따라 복수개로 구성되어질 수 있으며, 표시가능한 단축메뉴의 수에 비해 상기 시스템이 기능이 많은 경우에는 단축메뉴를 스크롤바를 이용하여 업/다운 시키거나, 상기 단축메뉴를 페이지화 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1회의 조작만으로 상기 기능을 직접적으로 구현시키는 목적에 합치하 는 방안으로 상기 다수의 메뉴가 한 화면에 표시되기 어려운 경우, 이를 페이지화 하여 일정시간이 경과 후 자동적으로 다음 페이지의 단축메뉴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단축메뉴를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구현하여, 사용자가 상기 단축메뉴를 확인하고 이에 대응하는 단축메뉴버튼을 찾아서 작동시킬 필요가 없도록 할 수 있으므로, 운전자의 부주의를 유발할 수 있는 가능성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와 같은 단축메뉴는 현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화면의 종류에 대하여 각각 다른 메뉴가 설정되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가 목적지 설정 화면을 표시하고 있는 경우와, 차량 주행중 현재지 화면을 표시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에 구성된 단축메뉴를 각각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이는 목적지 설정 화면이 표시되어 지는 경우는 일반적으로 운전자가 정차중에 상기 목적지를 설정하는 경우이며, 현재지 화면은 운전자가 운행중에 표시되어 지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상기 사용자는 각각의 화면에 따라 자주 사용하는 기능이 다를 수 있기 때문이며,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 기능을 위해서는 운전자가 직접 단축메뉴를 등록할 수 있는 수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메뉴등록의 동작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사용자는 등록부(210)를 통하여 주로 사용하는 기능을 단축메뉴화 할 수 있 으며, 상기 등록부(210)는 일반적으로 버튼 등의 스위치 수단이 이용된다.
상기 등록부(210)로부터 단축메뉴에 관한 설정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220)에서는 상기 명령 신호를 받아들여 메뉴생성부(221)에서 단축메뉴 아이콘을 생성하고, 링크부(222)는 상기 단축메뉴 아이콘에 대응하여 소정의 기능이 동작하도록 링크를 걸어준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20)은 출력부(230)에서 상기 생성된 단축메뉴 아이콘이 출력될 수 있도록 출력신호를 송신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화면에 출력된 상기 단축메뉴 아이콘을 선택하여 이에 대응하는 기능이 직접적으로 동작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응용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상기 시스템의 소정의 기능이 직접적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단축메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운전중에 상기 기능을 선택하기 위해 입력 버튼을 수회 반복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자의 시스템 작동상에 있어서 편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버튼 조작중 발생할 수 있는 운전상의 부주의를 예방할 수 있으므 로 사고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하나 이상의 메뉴를 포함한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메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각각의 기능을 동작하도록 하는 입력부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소정의 기능이 직접적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단축메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상기 하나 이상의 단축메뉴가 링크하는 기능을 사용자가 직접 등록할 수 있도록 등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 하나 이상의 단축메뉴를 각각 선택하여 소정의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입력수단을 갖는 단축메뉴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단축메뉴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하는 화면의 종류에 따라 각각 다른 단축메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단축메뉴는 터치 스크린 방식으로 구현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단축메뉴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하는 화면의 종류에 따라 각각 다른 단축메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
  4. 삭제
  5. 삭제
KR1020040037405A 2004-05-25 2004-05-25 네비게이션 시스템 KR100674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7405A KR100674505B1 (ko) 2004-05-25 2004-05-25 네비게이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7405A KR100674505B1 (ko) 2004-05-25 2004-05-25 네비게이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2353A KR20050112353A (ko) 2005-11-30
KR100674505B1 true KR100674505B1 (ko) 2007-01-25

Family

ID=37287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7405A KR100674505B1 (ko) 2004-05-25 2004-05-25 네비게이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45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924B1 (ko) * 2006-07-12 2008-01-24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주변 시설 아이콘 표시 장치
KR100886392B1 (ko) * 2007-05-17 2009-03-10 (주)인터로드 차량용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0989386B1 (ko) * 2008-02-01 2010-10-25 에스케이마케팅앤컴퍼니 주식회사 네비게이션 단말기, 그의 검색방법 및 그 방법을 기록한기록 매체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2794A (ja) * 1993-03-26 1994-10-07 Casio Comput Co Ltd 地図情報システム
KR950011293B1 (ko) * 1992-09-09 1995-09-30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자동차 항법장치 및 방법
JPH08178677A (ja) 1994-12-22 1996-07-12 Alpine Electron Inc 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H1062185A (ja) 1996-08-21 1998-03-06 Kenwood Corp 車載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KR19990058344A (ko) * 1997-12-30 1999-07-15 오상수 메모리기능을 이용한 차량항법시스템의 경로탐색방법 및 그장치
KR20040023350A (ko) * 2002-09-11 2004-03-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텔레매틱스의 메뉴선택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47504Y1 (ko) 2004-01-28 2004-04-14 오창호 교통 정보 제공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1293B1 (ko) * 1992-09-09 1995-09-30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자동차 항법장치 및 방법
JPH06282794A (ja) * 1993-03-26 1994-10-07 Casio Comput Co Ltd 地図情報システム
JPH08178677A (ja) 1994-12-22 1996-07-12 Alpine Electron Inc 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H1062185A (ja) 1996-08-21 1998-03-06 Kenwood Corp 車載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KR19990058344A (ko) * 1997-12-30 1999-07-15 오상수 메모리기능을 이용한 차량항법시스템의 경로탐색방법 및 그장치
KR20040023350A (ko) * 2002-09-11 2004-03-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텔레매틱스의 메뉴선택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47504Y1 (ko) 2004-01-28 2004-04-14 오창호 교통 정보 제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2353A (ko) 2005-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02231B2 (ja) 操作システム
JP4642497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US20060256094A1 (en) In-vehicle display apparatus
US20070057926A1 (en) Touch panel input device
JP2007207186A (ja) 操作システム
JP4609242B2 (ja) 操作制御装置
JP2005234291A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
JP2006134184A (ja) 遠隔制御スイッチ
JP2006039745A (ja) タッチパネル式入力装置
JP2011093463A (ja) 車載機
JP4783075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H07270172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における地図表示装置
JP2007199980A (ja) 表示制御装置、地図表示装置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2081942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7322307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100674505B1 (ko) 네비게이션 시스템
KR100716337B1 (ko) 네비게이션 지도화면 터치영역 확대 표시 방법
EP1215562A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menu navigation on screen by using directional button
JP4897342B2 (ja) 車載地図表示装置
JP2001108475A (ja) 車両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US20190107934A1 (en) Display control device
JPH10197263A (ja) ナビゲーション表示装置
JP2005332190A (ja) 情報処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90102050A1 (en) Display control device
JP4262619B2 (ja)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