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3917B1 - 향상된 래치 성능을 구비하는 삼방향 누름 해제 버클 - Google Patents

향상된 래치 성능을 구비하는 삼방향 누름 해제 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3917B1
KR100673917B1 KR1020000038158A KR20000038158A KR100673917B1 KR 100673917 B1 KR100673917 B1 KR 100673917B1 KR 1020000038158 A KR1020000038158 A KR 1020000038158A KR 20000038158 A KR20000038158 A KR 20000038158A KR 100673917 B1 KR100673917 B1 KR 100673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leg
socket
buckle
le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8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7101A (ko
Inventor
조셉 앤셔
Original Assignee
조셉 앤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셉 앤셔 filed Critical 조셉 앤셔
Publication of KR20010087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71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3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3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03Safety buckles
    • A44B11/2546Details
    • A44B11/2549Fastening of other buckle elements to the main buckl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with push-button fastenings
    • A44B11/263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with push-button fastenings with a push-button acting perpendicularly to the main plane of the buck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471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 Y10T24/45524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including resiliently biased projection component or surface segment
    • Y10T24/45545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including resiliently biased projection component or surface segment forming total external surface of projection
    • Y10T24/45581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including resiliently biased projection component or surface segment forming total external surface of projection having inserted end formed by oppositely biased surface seg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082Resistor making
    • Y10T29/49087Resistor making with envelope or housing
    • Y10T29/49089Filling with powdered insulation

Landscapes

  • Buckles (AREA)

Abstract

삼방향 버클은 소켓 부재와 소켓 부재에 결합되는 한 쌍의 플러그 부재를 구비하고, 플러그 부재 상의 래치면은 플러그 부재들의 기부로부터 연장하는 탄력적으로 휠 수 있는 레그에 형성된다. 소켓 부재는 소켓 부재에 플러그 부재를 잠그기 위해 레그의 래치면을 결합시키는 정지 부재를 포함한다. 플러그 부재들은 소켓의 상부벽에 형성되는 플랩 또는 버튼이 존재함으로 인해 동시에 소켓으로부터 해제 할 수 있다. 버튼이 소켓 안으로 눌러질 때, 버튼은 레그 사이의 공간에 강제로 들어가게 되고, 유연한 레그를 외측으로 휘게 하는 한 쌍의 해제 부재, 즉 각 쌍의 레그에 대해 하나의 해제 부재를 포함한다. 레그에 외측으로 힘이 가해짐에 따라, 결국 레그의 래치면은 정지 부재를 이탈하고 플러그 부재들은 소켓으로부터 해제된다. 레그의 탄성적으로 휠 수 있는 특성은 각 플러그가 소켓으로부터 튕겨 나오게 하는 래치면의 지주로부터의 해제에 대해 완만한 힘을 제공할 것이다.

Description

향상된 래치 성능을 구비하는 삼방향 누름 해제 버클 {THREE-WAY PUSH RELEASE BUCKLE HAVING IMPROVED LATCHING CAPABILITY}
도 1은 플러그 부재가 소켓 부재에 결합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삼방향 버클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2-2선을 따른 버클의 단면도이다.
도 3은 플러그 부재들 중 하나가 소켓 부재와의 결합으로부터 해제된 도 1의 버클의 부분적으로 분해된 평면도이다.
도 4는 버클의 하부에서 버클의 상부를 향해 바라볼 때의 본 발명의 버클의 횡단면도이다. 플러그 부재들 중 하나가 소켓 부재와 결합되고 다른 플러그 부재는 소켓 부재와의 결합으로부터 해제되어 있다.
도 5는 버클의 하부에서 버클의 상부를 향해 바라볼 때의 본 발명의 버클의 횡단면도이다. 각 플러그 부재들은 소켓 부재와의 결합으로부터 해제된 다른 상태이다.
도 6은 버클의 상부에서 버클의 하부를 바라볼 때의 본 발명의 버클의 횡단면도이다. 플러그 부재들 중 하나는 소켓 부재에 결합되어 있고 다른 플러그 부재는 소켓 부재와의 결합으로부터 해제되어 있다.
도 7a는 도 5에 도시한 버클의 7B-7B 선을 따른 횡단면도이다. 단, 도 5와 는 달리 해제 버튼이 아래로 눌려지지 않았다고 가정한다.
도 7b는 도 5에 도시한 버클의 7B-7B 선을 따른 횡단면도이다.
도 8a는 도 5에 도시한 버클의 8B-8B 선을 따른 횡단면도이다. 단, 도 5와는 달리 해제 버튼이 아래로 눌려지지 않았다고 가정한다.
도 8b는 도 5에서 도시한 버클의 8B-8B 선을 따른 횡단면도이다.
도 9는 플러그 부재들 중 하나를 충분히 보여 주기 위해 소켓 부재의 일부가 잘려진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삼방향 버클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버클의 소켓 부재의 10-10선을 따른 횡단면도이다. 플러그 부재들은 소켓 부재와의 결합으로부터 해제되어 있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3 : 크로스 바 (cross bar)
4 : 소켓 부재
5 : 플러그 부재
6 : 스트랩 부착 바 (strap attachment bar)
10 : 내부 공동
16 : 안내 레그
18 : 보조 안내 바
20 : 정지 지주
21, 38 : 결합면
23 : 누름 버튼
24 : 판 스프링
31 : 잠금 레그
32,34 : 래치면
본 발명은 각기 다른 세 방향으로 끈이나 띠 등의 스트랩(strap)이 부착되는 버클에 관한 것으로서, 버클은 중앙에 위치한 버튼이나 플랩(flap)을 누름으로써 해제 또는 개방된다. 특히, 본 발명은 향상된 래치 성능을 구비하는 버클에 관한 것이다.
각기 다른 세 방향으로 스트랩을 부착하는 버클은 이미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본 출원인의 미국 특허 제5,659,931호는 중앙에 배치된 소켓 부재가 개방된 양쪽(반대편) 단부들을 통해서 한 쌍의 플러그 부재를 수용하는 세 부분 버클을 개시한다. 각 플러그 부재들은 스트랩을 부착하는 데 적합한 크로스 바(cross bar)를 구비한다. 또한 소켓 부재에는 상기 플러그 부재들에 의해 부착된 스트랩들에 수직인 방향으로 제3의 스트랩을 부착하기 위해 플러그 부재의 크로스 바에 수직인 방향으로 크로스 바가 형성된다. 버클의 세 부분들이 서로 결합될 때, 소켓 부재는 플러그 부재들의 일부를 수용하는 데 적합한 채널(channel)을 형성한다. 각 플러그 부재는 기부로부터 연장하는 설형부(tongue)를 구비한다. 설형부는 소켓 부재의 개방 단부를 통해 수용되는 데 적합하다. 각 설형부는 소켓에서 정지 부재와 결속하는 데 적합한 래치면(latching surface), 예를 들어, 정지 부재를 형성한다. 설형부는 탄력적으로 휠 수 있어서, 설형부가 소켓 부재의 내부로 활주함에 따라 설형부의 래치면은 소켓 내의 정지 부재에 찰칵 채워져서 버튼은 닫힘 위치로 잠기게 된다.
선행 기술의 세 부분 버클은 소켓 부재의 중심부에서 형성되는 버튼이나 플랩을 아래로 누름으로써 해제된다. 플랩은 탄력적으로 휠 수 있는 설형부 상에서 아래로 눌러져서 소켓의 정지 부재로부터 설형부의 래치면을 해제시키고, 소켓으로부터 플러그 부재를 해제시킨다. 각 플러그 부재에서 설형부와 평행한 양(반대쪽) 측부 상의 한 쌍의 레그(leg)는 소켓 안으로 삽입될 때 내측으로 구부러지고, 중앙의 누름 버튼이 눌러짐으로써 해제될 때 소켓으로부터 플러그 부재를 신속히 빠지기 때문에, 소켓으로부터의 플러그 부재들의 이탈이 촉진된다. 그러나, 레그는 소켓에서 플러그 부재를 걸거나 잠그는 데 어떠한 기능이나 상호 작용도 하지 않는다. 래치 기능은 오로지 소켓에서의 정지 부재와 설형부에 의해서만 이루어진다.
전술한 형태의 세 부분 버클은 스트랩이 상이한 세 방향으로 부착될 수 있게 되므로 유아용 시트 제품, 특히 유아용 높은 의자와 유모차용에 특히 적합하기 때문에 시장에서 상업적으로 큰 성공을 해 왔다. 또한, 중앙 버튼 해제 특성은 소켓으로부터의 두 플러그의 동시 해제를 가능하게 하고 소비자들은 이 특성을 각 부분들이 개별적으로 해제되어야만 하는 세 부분 버클보다 더 애호한다.
미국 특허 제5,709,014호는 유아용 시트에 사용될 수 있는 유사한 세 부분 동시 해제 버클을 개시하고 있다. 버클은 한 쌍의 플러그 부재를 포함하며 각각의 플러그 부재는 중앙에 위치한 소켓 부재의 양쪽 개방 단부들에 삽입되는 데 적합한 설형부를 구비한다. 각 설형부는 말단부에 래치면이 형성되고, 이 래치면은 소켓 내의 결합 부재와 결합되어 버클 부분들을 서로 잠그게 된다. 소켓 부재의 상부벽에 형성되는 중앙 배치 버튼 또는 플랩은 설형부 상에서 아래로 눌러지면, 설형의 래치면이 결합 부재로부터 해제되어 버클이 해제된다. 미국 특허 제5,659,931호의 경우처럼, 버클 부분을 함께 결합하는 기능은 오로지 소켓에서 설형부와 결합 부재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서만 실행된다.
전술한 형태의 삼방향 버클 형태가 유아용 시트, 특히 유아용 높은 의자에 적합하다고 해도, 사용과 관련하여 버클을 해제하는 데 다소 어렵다는 하나의 결점이 있다. 이러한 어려움은 래치 기구의 특성, 특히 이러한 기능을 이루기 위해 설형부가 사용되기 때문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설형부는 소켓 내의 정지 부재 또는 결합 부재 상에서 휠 수 있고 또 원위치로 되돌아갈 수 있도록 탄력적으로 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설형부는 상대적으로 긴 테두리 또는 면을 따라 플러그 부재의 기부에 부착되고 또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설형부의 특성은 그렇게 잘 휠 수 없다. 기부에 대한 상대적으로 긴 부착선으로 인한 설형부의 휨 또는 굽힘에 대한 비교적 큰 저항성은 소켓에서 결합 부재로부터 설형부의 래치면을 해제시키는 데 비교적 큰 힘이 들게 하기 때문에 버클의 해제를 더욱 어렵게 한다.
선행 기술의 삼방향 동시 해제 버클의 또 다른 결점은 설형부는 버클에 대해 최상의 래치 기구를 제공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5,709,014호에서, 설형부의 래치면은 설형부의 중심축을 통해서 정렬되지 않는다. 오히려, 래치면은 설형부의 기부로부터 상부로 돌출되고, 따라서 설형부의 중심축으로부터 이격하게 된다. 그러나, 부하 또는 힘이 버클에 가해질 때, 이 힘은 설형부의 중심축을 통해 미치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미국 특허 제5,079,014호의 래치 기구의 단점은 설형부의 래치면이 설형부의 중심축에 정렬되지 않기 때문에, 래치 기구는 설형부의 중심축을 통해 미치는 부하 또는 힘에 정렬되게 그리고 정반대로 작용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러한 오정렬은 본 출원인의 미국 특허 제5,794,316호에서 설명된 것처럼, 일반적으로 버클에 대한 래치력(latching strength)을 다소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각기 다른 세 방향으로 끈을 부착하되, 선행 기술의 삼방향 버클보다 쉽게 해제할 수 있는 버클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선행 기술에서 사용되는 설형부보다 더욱 잘 휠 수 있는(가요성이 있는) 래치 기구를 구비하는 삼방향 버클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래치 기능의 수행에 대해 설형부에 의존하지 않는 삼방향 버클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선행 기술의 삼방향 버클과 비교해서 향상된 래치 성능을 구비하는 삼방향 버클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그리고 다른 목적들은 소켓 부재, 소켓 부재와 결합될 수 있는 한 쌍의 플러그 부재를 구비하고, 플러그 부재 상의 래치면은 플러그 부재의 기부로부터 연장하는 탄력적으로 휠 수 있는 레그에 형성되는 삼방향 버클을 제공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래치면은 플러그 부재의 어떠한 설형부에도 형성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도, 각 플러그 부재는 플러그 부재의 기부로부터 돌출하는 한 쌍의 레그를 구비하고, 각 레그는 말단부 근처에 래치면을 형성한다. 소켓 부재는 플러그 부재들이 소켓 부재에 잠겨지도록 하기 위해 레그의 래치면과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주 또는 다른 정지 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도, 플러그 부재들 중 하나의 플러그 부재의 레그들과 결합하는 제1 지주와 다른 플러그 부재의 레그들과 결합하는 제2 지주가 있고, 각 지주는 중앙에 위치해서 양(반대) 측면 상에 레그를 수용한다. 각 쌍의 레그는 휨 없이는 각 지주의 반대 측면 상에 끼워지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서로 가깝게 위치한다. 이렇게 하여, 플러그 부재가 소켓으로 강제로 삽입됨에 따라, 휠 수 있는 레그는 플러그 부재가 소켓에 완전히 삽입될 때까지 지주의 주위에서 강제로 외측으로 휘게 되고, 그래서 레그의 래치면들은 지주를 넘어가고 탄력적으로 휠 수 있는 레그는 지주 주위의 원위치로 급속히 되돌아 갈 것이다.
플러그 부재들은 소켓의 상부벽에 형성되는 플랩 또는 누름 버튼의 존재로 인해 동시에 소켓으로부터 해제 가능하다. 버튼은 각 쌍의 레그에 대해 하나씩 한 쌍의 해제 부재를 포함하고, 해제 부재들은 소켓 내로 눌러짐에 따라 레그들 사이의 공간에 강제로 삽입되고 유연한 레그들을 외측으로 휘게 한다. 레그들이 외측으로 힘을 받음에 따라, 결국 래치면들은 지주를 넘어가고, 플러그 부재들은 소켓 으로부터 해제된다. 이러한 해제를 촉진하기 위해서, 각 지주와 각 쌍의 레그는 서로의 상부에서 활주 운동을 쉽게 할 수 있게 하는 상호 작용의 경사면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레그의 탄력적으로 휠 수 있는 특성은 지주로부터 래치면의 해제 시에 완만한 힘을 제공하여 소켓으로부터 각 플러그 부재들이 튕겨 나오게 할 것이다. 버튼 또는 플랩은 바람직하게도 판 스프링에 의해 소켓 부재의 하부벽에 결합되고, 판 스프링은 버튼이 아래로 눌려지게 하지만 그 후, 반복 사용을 위해 원래의 휴지 위치로 되돌아가게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각 플러그 부재의 레그들 상에 형성되는 래치면들은 V자 형상이고 지주 상의 대응하는 V자 형상의 결합면들과 결합하기에 적합하다. 이러한 배열은 각 레그의 상부, 하부 그리고 측부의 주위에서 보다 균일하게 분포되는 래치면 영역(즉, 레그들의 래치면과 지주의 결합면 사이의 결합 영역)을 제공한다. 이러한 각 레그의 상부, 하부 그리고 측부의 주위에서의 래치면 영역의 보다 균일한 분포는 래치면의 대체로 V자 형상과 지주의 결합면의 상보적인 V자 형상으로 인해 가능하고, 선행 기술보다 강력한 걸림(잠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삼방향 버클은 소켓에 플러그 부재들을 잠그는(거는) 데 있어서 탄력적으로 휠 수 있는 레그들에 의존하기 때문에, 선행 기술의 상대적으로 휘지 않는 설형부들과 비교해서, 본 발명은 선행 기술보다 더욱 용이한 버클의 해제 성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다른 목적들, 특성 및 장점들은 첨부 도면들과 연계해서 고려할 때,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해 후술하는 자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완전히 이 해될 것이다. 몇몇 도면에서 유사 참조 부호는 유사 또는 대응 부품을 지명한다.
도 1과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버클은 일반적으로 참조 부호 1로써 나타낸다. 버클(1)은 전형적으로 끈의 자유 단부들(도시하지 않음)을 연결하기 위해 특히 유아용 높은 의자 등과 같은 유아 시트용으로 사용된다. 버클(1)은 일반적으로 세 부분 즉, 암 소켓 부재(4) 그리고 한 쌍의 상보적인 수 플러그 부재들(5)을 포함한다.
버클(1)과 버클의 모든 구성 요소는 바람직하게도 플라스틱 또는 수지로 성형되나, 버클의 성형 또는 가공을 위해 업계 기술에서 공지된 어떠한 적합한 재료도 사용될 수도 있다.
소켓 부재(4)는 측벽들(14) 중 하나에서 단일의 스트랩 부착 바(6)와 함께 일체로 성형된다. 스트랩 부착 바(6)는 측벽(14)으로부터 이격되어서 스트랩을 수용하는 공간(7, 도 1 참조)을 형성한다. 스트랩(도시하지 않음)은 스트랩 부착 바(6)의 둘레에 매여지고 스트랩 자신에 재봉되어서 영구히 스트랩을 부착 바(6)에 고정시킨다. 각 플러그 부재(5)는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5,516,786호에서 설명된 것처럼, 스트랩이 조정 가능하도록 잘 알려진 방법으로 스트랩을 수용할 수 있는 기부의 단부 근처의 한 쌍의 크로스 바(2와 3; cross bar)와 일체로 성형된다. 스트랩들이 각 플러그 부재들과 소켓 부재에 부착될 때, 스트랩들은 상이한 세 방향을 향하며, 소켓 부재(4)의 부착 바(6)에 부착된 스트랩은 플러그 부재(5)의 크로스 바(2와 3)에 부착되는 스트랩들의 방향에 대체로 수직으로 부착된다는 걸 알 수 있을 것이다. 이 세 방향 구조로 인해 버클은 유아용 시트, 특히 높은 의자에 서의 사용에 특히 적합하게 된다. 그러나, 크로스 바의 수와 배열은 중요하지 않고 다른 적용예에 대해 조정될 수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소켓 부재에 부착되는 스트랩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소켓 부재(4) 상의 스트랩 부착 바(6)의 장소에 한 쌍의 크로스 바가 제공되거나, 만약 플러그 부재들(5)에 부착된 스트랩들의 조정성을 필요로 하지 않거나 원하지 않는다면, 플러그 부재들(5)에 오직 단일 크로스 바만이 제공될 수도 있다.
소켓 부재(4)는 바람직하게도 도 7A와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체로 직사각형 모양의 내부 공동(10)을 구비하는 대체로 편평한 직사각형의 관 모양의 횡단면 구조를 갖는다. 공동(10)은 상부벽(11)과, 그 반대편 하부벽(12)과, 상기 벽들의 측부 가장자리에서 상부벽(11)을 하부벽(12)에 연결시키는 한 쌍의 측벽들(13과 14) 사이의 영역 또는 공간으로 형성된다. 상부벽과 하부벽(11과 12)은 도 7A와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형적으로 측벽들(13과 14)보다 훨씬 넓어서 소켓 부재는 대체로 편평하거나 직사각형의 모양을 갖는다.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될 것이지만, 각 플러그 부재들(5)은 잠금 레그(31) 상에 형성되고 각 플러그 부재에 결합되는 래치면(32)에 의해 소켓 부재(4)의 공동(10) 안에 수용되고 해제 가능하게 잠긴다. 소켓 부재(4)는 측벽들(13과 14)과, 상부벽과 하부벽(11과 12)의 사이의 단부에 개구부(15)가 형성되고, 개구부(15)는 소켓 부재를 내부 공동(10)에 개방한다(도 3 참조). 소켓 부재(4)가 플러그 부재들을 소켓 부재에 결합시키기 위해 각 개구(15)는 플러그 부재들(5)의 일부를 수용하게 한다.
플러그 부재들(5)이 소켓 부재(4)의 공동(10) 안으로 삽입될 때 플러그 부재들(5)의 안내를 촉진시키기 위해서, 각 플러그 부재(5)에는 플러그 부재(5)의 기부(17)로부터 서로 대체로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한 한 쌍의 안내 레그들(16; 도 3 내지 도 6 참조)이 제공된다. 안내 레그들(16)은 소켓 부재(4)의 공동(10) 안으로 삽입될 때, 소켓 부재(4)의 측벽들(13과 14)의 내면과 바로 접촉할 정도로 서로로부터 이격된다. 이렇게 하여, 안내 레그들(16)과 측벽들(13과 14) 사이의 상호 작용은 플러그 부재(5)를 적절한 위치로 안내하고 소켓 부재(4)의 내부에 끼운다. 또한 안내 레그들(16)이 소켓 부재(4)와 결합될 때, 플러그 부재(5)의 측방향 운동은 소켓의 측벽들(13과 14)의 경계에 의해 제한되기 때문에, 안내 레그(16)는 플러그 부재(5)의 측방향 운동과 요동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게다가, 공동(10) 안으로의 플러그 부재(5)의 안내를 보다 더 촉진시키기 위해서, 각 플러그 부재(5)에는 기부(17)로부터 돌출하는 한 쌍의 보조 안내 바(18)가 마련될 수도 있다. 소켓 부재와 플러그 부재의 적절한 위치 선정을 위해서, 이 보조 안내 바(18)는 소켓 부재(4)의 상부벽과 하부벽(11과 12)의 내면 상에 형성되는 얕은 홈 또는 채널(도시하지 않음) 안으로 활주하는 데 적합해질 수도 있다. 게다가, 안내 레그(16)와 보조 안내 바(18)의 높이는, 플러그 부재가 소켓 부재(4)에 결합될 때의 플러그 부재(5)의 종방향 운동과 요동을 방지하기 위해 소켓 부재에 삽입될 때에 소켓 부재(4)의 상부벽과 하부벽(11과 12)에 바로 접촉할 수 있을 정도이어야 한다. 또한 플러그 부재가 소켓 부재(4)에 결합될 때의 플러그 부재(5)의 종방향 운동과 요동을 더욱 방지하기 위해 소켓 부재(4)의 상부벽과 하부벽(11과 12)의 안에 바로 꼭 맞게 끼워질 수 있도록 크기가 정해진 끼움 부재(19)가 각 플러그 부재(5)의 기부(17) 근처에 마련될 수 있다.
소켓 부재(4) 내에 플러그 부재(5)를 유지하고 잠그기 위해서, 소켓 부재의 두 개구부(15) 각각의 근처에서 상부벽과 하부벽(11과 12)의 내면 사이에서 연장하는 정지 지주(20; stopping post)가 제공된다. 두 개의 정지 지주(20) 각각에는 공동(10)의 내부를 향하여 대면하는 결합면(21)과 소켓 부재(4)의 개구부(15)와 대면하는 한 쌍의 경사면(22)들이 형성된다 (도 4 내지 도 6 참조). 도 4 내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면(22)들은 이 면들이 가장 근접해 있는 개구부(15)로부터 소켓 부재(4)의 공동(10)의 중앙을 향하는 방향으로 넓어지도록 각도를 이루고 있다 (즉, 공동(10)의 중앙으로부터 가장 근접한 개구부(15)를 향하는 방향으로 끝이 점점 가늘어진다).
누름 버튼(23)은 소켓 부재(4)의 상부벽(11)에서 잘려 있다. 누름 버튼(23)은 소켓 부재(4)의 하부벽(12)에 누름 버튼(23)을 부착시키는 한 쌍의 판 스프링(24) 또는 유사한 것(도 7A와 도 7B 참조)에 의해 소켓 부재(4)에 결합된다. 판 스프링(24)은 휠 수 있고(가요성이고), 누름 버튼(23)이 소켓 부재(4)의 내부 공동(10) 안으로 눌릴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판 스프링(24)의 형상 기억으로 인해 일단 누름 버튼(23)에 가해진 힘이 제거되면, 판 스프링은 원래의 형상과 위치를 되찾을 것이다. 판 스프링(24)의 쌍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소켓 부재(4)에 누름 버튼(23)을 부착하는 데 다른 형상 기억 부재가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일 판 스프링이 측벽(13 또는 14) 중 하나에 누름 버튼(23)을 부착하는 데 사용되거나, 누름 버튼(23) 또는 그와 유사한 것을 작동시키는 다른 형태의 부품이 누름 버튼(23)과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오로지 필요한 것은 버튼(23)이 내부 공동(10) 안으로 아래로 눌러지고, 그 후 버튼에 가해진 힘이 제거되면 다시 원위치로 되돌아갈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누름 버튼(23)에는 누름 버튼(23)으로부터 소켓 부재(4)의 내부 공동(10) 안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해제 부재(25)가 제공된다(도 7A 내지 도 8B 참조). 각 해제 부재(25)는 말단부에 내부 공동(10)의 중심을 향하여 면하는 한 쌍의 경사면(26)이 형성된다. 경사면들(26)은 도 7A와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누름 버튼(23)으로부터 내부 공동(10)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끝이 점점 가늘어지고 바람직하게는 정점을 형성한다.
누름 버튼(23)을 내부 공동(10)의 안으로 눌러 내릴 때, 누름 버튼(23)의 종방향의 수직 운동과 해제 부재(25)의 적절한 위치 확보를 보장하기 위해서, 소켓 부재(4)에는 소켓 부재(4)의 하부벽(12)으로부터 상향으로 내부 공동(10)의 안으로 돌출하는 안내벽들(27)이 마련된다 (도 7A와 도 7B 참조). 안내벽(27)은 누름 버튼(23)으로부터 하향으로 내부 공동(10)의 안으로 돌출하는 안내벽들(29) 사이에 형성되는 안내 채널(28)에 결합되는 데 적합하다(도 7A와 도 7B 참조). 도 7A와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벽(27과 29)의 말단부에는 누름 버튼(23)이 하향으로 눌러질 때 작은 오정렬이 있는 경우에 벽들(29) 사이에서 벽(27)이 채널(28) 안으로 쉽게 활주할 수 있도록 상호 작용하는 경사면들(30)이 구비된다.
각 플러그 부재(5)에는 기부(17)로부터 돌출하는 한 쌍의 잠금 레그(31)가 마련된다 (도 4 내지 도 6 참조). 잠금 레그(31)는 바람직하게도 플러그 부재(5)의 기부(17)와 일체로 형성되고,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부(17)의 전 길이와 비교해서 상대적으로 얇다. 이렇게 하여, 잠금 레그(31)는 상대적으로 가요성이 있게 된다. 그래도 잠금 레그가 기부(17)와 일체로 성형되기 때문에, 형상기억을 나타낼 정도로 충분히 탄력적이다. 즉, 잠금 레그에 가해진 굽힘력이 제거된 후에 잠금 레그는 원위치로 복귀한다. 각 잠금 레그(31)에는 바람직하게도 레그의 말단부(33)의 근처에 래치면(32; latching surface)이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8의 실시예에서, 래치면(32)은 횡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대체로 플러그 부재(5)의 삽입 방향과 레그(31)의 종방향 축에 대해 수직이다. 이렇게 하여, 래치면(32)은 플러그 부재(5)가 소켓 부재(4)에 완전히 삽입될 때, 지주(20)의 결합면(21)과 결합되기에 적합해진다. 잠금 레그(31)의 말단부(33)는 이후에 명백히 설명될 이유로 인해 바람직하게도 구근(球根)의 형상이다.
도 3, 도 4 그리고 도 6을 참조하면, 각 플러그 부재들(5)을 소켓 부재(4)에 결합시키기 위해서, 각 플러그 부재(5)의 안내 레그(16), 보조 안내 바(18) 그리고 잠금 레그(31)는 소켓 부재(4)의 반대편(양쪽) 개구(15)에 삽입된다. 안내 레그(16)의 위치와 선택적으로 보조 안내 바(18)는 잠금 레그(31)가 지주(20)의 양 측면 상에서 지주(20)의 둘레에서 안내되는 걸 보장한다. 레그(31)가 공동(10)에 삽입됨에 따라, 각 레그의 말단부-구근 영역(33)은 지주(20)의 경사면들(22) 중 하나와 접촉한다. 레그들(31)이 공동(10) 안으로 계속 삽입되어 경사면들(22)의 주위에서 힘을 받음에 따라, 레그들(31)은 표면(22)의 분기로 인해 분기될 것이다(외 측으로 벗어날 것이다). 레그(31)의 가요성은 분기를 가능하게 한다. 분기는 지주(20)의 단부(끝)를 넘을 때까지 계속될 것이고, 그 시점에서 레그(31)는 자유롭게 되어 급속히 내측으로 되돌아가며, 그로 인해 래치면(32)을 지주(20)의 결합면(21) 상에 래치면(32)을 결합시킨다. 래치면들(32)이 지주(20)를 넘은 후에 레그들(31)이 급속히 되돌아가게 하는 것은 레그들(31)의 탄력적인 형상기억의 특성이다. 래치면(32)이 결합면(21)에 결합될 때, 안내 레그(16), 보조 안내 바(18) 그리고 잠금 레그(31)는 소켓 부재(4)에 완전히 삽입될 것이고, 플러그 부재(5)는 소켓 부재(4)에 결합될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4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치면들(32)과 결합면(21)의 결합은 플러그 부재(4)를 소켓 부재(5)에 잠기게 하고, 버클 부분들의 분리를 방지할 것이다.
각 플러그 부재(4)를 소켓 부재(5)로부터 해제시키기 위해서는, 누름 버튼(23)을 반드시 아래로 눌러야만 한다. 도 5와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누름 버튼을 아래로 누를 때, 해제 부재(25)는 하향으로 힘을 받아서 경사진 경사면(26)이 잠금 레그(31)의 구근 형상의 말단부(33)와 접촉되게 할 것이다 (도 5의 우측 플러그 부재 상의 잠금 레그(31)의 위치 참조). 계속해서 누름 버튼(23)을 하향으로 누르면 경사면들(26)이 레그의 구근 형상부(33)를 외측으로 밀기 때문에 잠금 레그들(31)이 힘을 받아 측방향 외측으로 구부러지고 분기하게(벌어지게) 된다(도 5의 우측 플러그 부재와 도 8B의 단면도 참조). 래치면들(32)이 지주(20)의 결합면(21)을 넘어갈 때까지 측방향의 외측으로 레그들(31)에 계속 힘이 가해질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 때에, 레그들(31)의 구근 형상의 말단부들(33)은 지주(20)의 경사면들(22)을 따라 활주하게 되고, 레그들(31)의 탄력적인 형상기억 특성과 원래의 휘지 않은 위치로의 복귀의 성향에 의해 플러그 부재들(5)은 소켓 부재(4)로부터 튕겨 나오게 될 것이다 (도 5의 좌측에 있는 플러그 부재 참조). 누름 버튼(23)의 운동이 두 해제 부재(25)를 동시에 하향시켜서 각 쌍의 잠금 레그(31)를 분기시키기 때문에 두 플러그 부재(5)의 동시 해제는 이루어진다. 누름 버튼(23)을 소켓 부재(4)에 결합시키는 판 스프링(24)의 형상기억 특성 때문에, 누름 버튼(23)은 누름 버튼에 가해진 압력이 제거된 후, 눌러지지 않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할 것이다. 누름 버튼(23)을 아래로 누름에 따라, 안내벽들(27)은 안내 채널(28)의 안으로 강제로 들어갈 것이고 안내벽들(29)에 의해 측방향 운동이 제한을 받기 때문에, 잠금 레그들(31)의 말단부들(33)의 사이에서 면들(26)이 이동되도록 해제 부재(25)는 적절히 조준 및 정렬되어서, 누름 버튼(23)과 해제 부재들(25)의 종방향의 직선(수직) 운동은 보장될 것이다.
당 업계의 숙련자는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버클의 소켓 부재(4)에 제공되는 지주(20)의 수와 배열이 결정적인 것이 아니며 변화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총 네 개의 지주가 마련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각 지주가 네 개의 잠금 레그의 하나와 결합한다. 별법으로서, 특히 네 개의 결합면이 마련되는 것이 적합한 단일 지주가 제공될 수도 있고, 각각의 결합면은 잠금 레그들 중 하나와 결합한다. 당 업계의 숙련자는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지주와 결합하고 해제될 때 잠금 레그(31)가 휘는 방향은 결정적인 것이 아니며 상기 방향으로부터 변화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지주, 지주의 결 합면, 잠금 레그 그리고 래치면은 소켓 부재에 삽입 시에 잠금 레그들이 상기의 실시예에서처럼 분기되는 것보다 서로 가까워지게 힘을 받도록 즉시 구조를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이 변형예에서, 누름 버튼(23)의 작동시, 잠금 레그들은 지주 상의 결합면으로부터 래치면을 해제시키기 위해 상기의 실시예에서처럼 분기되지 않고 모일 것이다. 당 업계의 숙련자는 본 발명의 전 범위를 이탈하지 않고 본 발명의 버클에 대한 많은 추가 변형예와 개량이 만들어질 수도 있다는 걸 알 수 있을 것이다.
향상된 래치 성능을 구비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 9와 도 10에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는 잠금 레그(31) 상에 형성되는 래치면(34)의 기하학적 형상과 지주(20) 상에 형성되는 상보적인 결합면(38)의 기하학적 형상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8의 실시예와 모든 면에서 동일하다. 도 1 내지 도 8의 실시예와 동일한 부품들은 도 9와 도 10에서도 동일한 참조 번호로써 나타내고 동일한 부품들의 설명과 묘사는 전술한 부분을 참조하면 된다.
도 9와 도 10을 참조하면, 래치면(34)은 각 잠금 레그(31)의 말단부(33) 근처에 형성되고, 플러그 부재(5)의 삽입 방향과 레그(31)의 종방향 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되어 있다. 래치면(34)은 래치면(34)이 잠금 레그(31)의 상부, 측부(35) 그리고 하부의 주위에서 연장하도록 V자형 형상을 갖는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V자형 래치면(34)의 정점은 잠금 레그(31)의 측부(35)에 있다. 또한, 지주(20)에 형성되는 결합면(38)은 잠금 레그(31)에 형성되는 래치면(34)과 정확히 짝을 이루도록 상보적인 V자형을 갖는다(도 10 참조). 다른 모든 점에 대해서, 도 9와 도 10의 실시예의 삼방향 버클의 구조는 도 1 내지 도 8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또한 도 9와 도 10의 삼방향 버클의 성능과 작동도 도 1 내지 도 8의 삼방향 버클과 같고, 플러그 부재(5)는 도 1 내지 도 8의 버클과 같은 방법으로 소켓 부재(4)와 결합되고 해제된다.
각 잠금 레그(31)에서 형성되는 래치면(34)은 대체로 V자 형상이기 때문에 V자형의 정점은 잠금 레그(31)의 측면(35)에 있기 때문에, 래치면(34)은 잠금 레그(31)의 상부, 측부 그리고 하부의 주위에서 연장된다는 걸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와 달리, 도 1 내지 도 8의 실시예에서, 래치면(32)은 레그(31)의 상부 또는 하부가 아닌 잠금 레그(31)의 측부(35)만을 따라 연장한다는 걸 알 수 있다. 따라서, 도 9와 도 10의 실시예는 잠금 레그(31)의 상부, 측부(35) 그리고 하부의 주위에 보다 균일하게 분포된 표면 영역(표면적)을 구비하고, 이는 결과적으로 버클에 부하가 가해질 때, 래치 저항력이 보다 균일하게 분포되게 한다. 이렇게 보다 균일하게 분포된 래치 저항력은 도 9와 도 10에서 구현된 버클에 대한 래치력(latching strength)을 보다 크게 한다.
상기 명세서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이고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로 하여 설명되었다. 그러나, 청구범위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보다 넓은 사상과 범위를 이탈하지 않고 명백하게 다양한 개량과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명세서와 도면들은 제한의 의미보다는 예시적인 의미로 여겨져야 한다.
본 발명의 삼방향 버클은 래치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서 종래 기술의 설형부를 이용하지 않고 그보다 더욱 잘 휠 수 있는 래치 기구를 구비하게 되므로, 종래 기술의 버클보다 더욱 향상된 해제 성능과 래치 성능들을 갖게 된다.

Claims (27)

  1. 서로의 사이에 내부 공동을 형성하는 외면(obverse surface)과 한 쌍의 측면을 구비하고, 제1 개방 단부와 제2 개방 단부를 구비하는 소켓 부재와,
    소켓 부재에 부속되며, 적어도 일부가 내부 공동 안으로 돌출되는 위치까지 제1 방향으로 눌러질 수 있는 버튼과,
    내부 공동의 안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부재와,
    각각 기부와 이 기부로부터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적으로 휠 수 있는 레그를 구비하고, 상기 레그에는 래치면이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적으로 휠 수 있는 레그는 래치면을 적어도 하나의 제2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고, 각 적어도 하나의 제2 방향은 제1 방향과 평행하지 않은, 제1 플러그 부재와 제2 플러그 부재
    를 포함하고,
    플러그 부재들을 소켓 부재에 결합시키기 위해서 소켓 부재는 소켓 부재의 개방 단부들을 통해 플러그 부재들의 레그들을 활주 가능하게 수용하고,
    플러그 부재들이 소켓 부재에 결합될 때, 소켓 부재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합 부재는 제1 및 제2 플러그 부재의 레그들의 래치면들과 결합되어 소켓 부재에 플러그 부재들을 잠그게 되며,
    래치면을 적어도 하나의 결합 부재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2 방향 중 하나의 방향으로 해제시키고 플러그 부재들을 소켓 부재로부터 해제시킬 수 있도록 버튼을 제1 방향으로 소켓의 내부를 향해 누름으로써 플러그 부재가 소켓 부재로부터 해제되는 것인 버클.
  2. 청구항 1에 있어서, 버튼은 적어도 하나의 결합 부재로부터 제1 플러그 부재에 부속되는 각 적어도 하나의 탄성적으로 휠 수 있는 레그 상에 형성되는 래치면을 해제시키는 제1 해제 부재와 적어도 하나의 결합 부재로부터 제2 플러그 부재에 부속되는 각 적어도 하나의 탄성적으로 휠 수 있는 레그 상에 형성되는 래치면을 해제시키는 제2 해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버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제1 플러그 부재에 부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적으로 휠 수 있는 레그는 한 쌍의 탄성적으로 휠 수 있는 레그를 포함하고, 제2 플러그 부재에 부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적으로 휠 수 있는 레그는 한 쌍의 탄성적으로 휠 수 있는 레그를 포함하는 것을 것인 버클.
  4. 청구항 3에 있어서, 버튼이 눌러질 때, 제1 해제 부재는 제1 플러그 부재에 부속되는 레그들을 분기시키고, 제2 해제 부재는 제2 플러그 부재에 부속되는 레그들을 분기시키는 것인 버클.
  5. 청구항 1에 있어서, 버튼은 적어도 하나의 결합 부재로부터 레그들의 래치면들을 해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해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버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결합 부재는 플러그 부재들이 소켓 부재에 결합될 때, 적어도 하나의 레그의 래치면과 결합되는 결합면을 구비하는 지주인 것인 버클
  7. 청구항 1에 있어서, 각 플러그 부재는 플러그 부재의 기부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탄성적으로 휠 수 있는 레그를 구비하고 각각의 레그에는 래치면이 형성되는 것인 버클.
  8. 청구항 7에 있어서, 버튼은 해제 부재를 포함하고, 이 해제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부재로부터 레그들의 래치면들을 해제시키기 위해서, 버튼이 눌러질 때 적어도 하나의 결합 부재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부재의 쌍의 레그들을 이격시키는 것인 버클
  9. 청구항 7에 있어서, 제1 결합 부재와 제2 결합 부재를 구비하고, 플러그 부재들이 소켓 부재와 결합될 때, 제1 플러그 부재에 부속되는 쌍의 레그들 상에 형성되는 래치면은 제1 결합 부재와 결합되고, 제2 플러그 부재에 부속되는 쌍의 레그들 상에 형성되는 래치면은 제2 결합 부재와 결합되는 것인 버클.
  10. 청구항 9에 있어서, 버튼은 적어도 하나의 해제 부재를 포함하고, 이 해제 부재는 버튼이 눌러질 때, 제1 및 제2 결합 부재로부터 각 쌍의 레그의 래치면을 해제시키는 것인 버클.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플러그 부재에 부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레그의 래치면과 제2 플러그 부재에 부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레그의 래치면은 버튼이 소켓 내부를 향해 눌러질 때, 적어도 하나의 결합 부재로부터 동시에 해제되는 것인 버클.
  12. 청구항 7에 있어서, 버튼은 적어도 하나의 결합 부재로부터 제1 플러그 부재에 부속되는 쌍의 레그들 상에 형성되는 래치면들을 해제시키는 제1 해제 부재와, 적어도 하나의 결합 부재로부터 제2 플러그 부재에 부속되는 쌍의 레그들 상에 형성되는 래치면들을 해제시키는 제2 해제 부재를 포함하고, 버튼이 눌러질 때, 제1 및 제2 플러그 부재는 소켓 부재로부터 동시에 해제되는 것인 버클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버튼이 눌려질 때, 제1 해제 부재는 제1 플러그 부재에 부속되는 레그들을 분기시키고, 제2 해제 부재는 제2 플러그 부재에 부속되는 레그들을 분기시키는 것인 버클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제1 및 제2 해제 부재의 말단부에는 경사면들이 형성되고, 버튼이 눌러질 때, 상기 경사면들은 플러그 부재들의 레그들을 분기시키는 것인 버클.
  15. 청구항 1에 있어서, 각 플러그 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레그의 래치면은 적어도 하나의 레그의 측부를 따라 형성되는 것인 버클.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각 레그의 래치면은 레그의 종방향 축에 대해 횡방향인 것인 버클.
  17. 청구항 1에 있어서, 각 플러그 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레그 상에 형성되는 래치면은 대체적으로 V자 형상인 것인 버클.
  18. 청구항 13에 있어서, 각 플러그 부재의 각 레그 상에서 형성되는 래치면은 대체적으로 V자 형상인 것인 버클.
  19. 청구항 1에 있어서, 각 플러그 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레그의 래치면은 레그의 상부, 측부 그리고 하부의 둘레에서 연장되는 것인 버클.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각 플러그 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레그의 래치면은 레그의 상부, 측부 그리고 하부의 둘레에서 연장되어 V자 형상을 형성하고, V자 형상의 래치면은 정점이 레그의 측부에 있는 것인 버클.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결합 부재에는 V자 형상의 래치면과 결합하는 V자 형상의 결합면이 형성되는 것인 버클.
  22. 청구항 1에 있어서, 버튼은 적어도 하나의 판 스프링에 의해 소켓 부재에 결합되는 것인 버클.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버튼은 한 쌍의 판 스프링에 의해 소켓 부재의 하부벽에 결합되는 것인 버클.
  24. 청구항 1에 있어서, 각 플러그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 레그를 포함하고, 이 안내 레그는 플러그 부재가 소켓 부재에 결합될 때, 소켓 부재의 측부 중의 한 측부의 내면과 접촉하는 것인 버클
  25. 청구항 24에 있어서, 각 플러그 부재는 기부로부터 돌출하는 한 쌍의 안내 레그를 포함하고, 각 안내 레그는 플러그 부재에 소켓 부재가 결합될 때, 소켓 부재의 측부 중의 한 측부의 내면과 접촉하는 것인 버클.
  26. 청구항 5에 있어서, 레그를 향한 적어도 하나의 해제 부재의 운동을 안내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인 버클.
  27. 청구항 26에 있어서, 안내 수단은 소켓 부재의 하부벽으로부터 소켓 안으로 상향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안내벽과, 버튼의 내면 상에 형성되고 버튼이 눌러질 때에 상기 안내벽을 수용하기에 적합한 한 쌍의 안내 채널을 구비하는 것인 버클.
KR1020000038158A 2000-03-01 2000-07-05 향상된 래치 성능을 구비하는 삼방향 누름 해제 버클 KR1006739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516,977 US6408494B1 (en) 2000-03-01 2000-03-01 Three-way push release buckle having improved latching capability
US09/516,977 2000-03-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7101A KR20010087101A (ko) 2001-09-15
KR100673917B1 true KR100673917B1 (ko) 2007-01-25

Family

ID=24057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8158A KR100673917B1 (ko) 2000-03-01 2000-07-05 향상된 래치 성능을 구비하는 삼방향 누름 해제 버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408494B1 (ko)
EP (1) EP1129635B1 (ko)
JP (1) JP2001252107A (ko)
KR (1) KR100673917B1 (ko)
CN (1) CN1181771C (ko)
DE (1) DE60031644D1 (ko)
TW (1) TW46773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11790B2 (en) * 2001-12-06 2004-03-30 Illinois Tool Works Inc. Buckle device
US6796007B1 (en) * 2003-04-29 2004-09-28 Joseph Anscher Buckle assembly
US6931695B2 (en) * 2003-12-18 2005-08-23 Joseph Anscher Buckle with push button release
US20050238414A1 (en) * 2004-04-16 2005-10-27 General Binding Corporation Disposable clip for coupling binding elements and combination of binding elements with disposable coupling clip
US7069625B2 (en) * 2004-11-22 2006-07-04 Kim Ging Hui Enterprise Co., Ltd. Safety buckle
US7600302B2 (en) * 2006-07-17 2009-10-13 James Michael Dillner Safety buckle for child seat and the like
CN200994477Y (zh) 2006-08-04 2007-12-26 明门实业股份有限公司 扣具
JP6075757B2 (ja) * 2010-05-31 2017-02-08 クリップウェア株式会社 留め具
CN102379490B (zh) * 2010-08-27 2013-12-25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婴幼儿安全带扣具
JP5632244B2 (ja) * 2010-09-22 2014-11-26 株式会社ニフコ ベルトバックル
WO2013184594A1 (en) * 2012-06-06 2013-12-12 Illinois Tool Works Inc. Multi-directional buckle assembly
US20140260425A1 (en) * 2013-03-14 2014-09-18 Heartwood Creations, LLC Bands with buckles & methods & apparatus for displaying band & buckle components
JP6266226B2 (ja) * 2013-04-26 2018-01-24 Ykk株式会社 施錠可能バックル
GB2521103B (en) * 2013-08-06 2019-11-20 Cleere James Lanyard
GB2517943A (en) * 2013-09-05 2015-03-11 Magmatic Ltd Fastening arrangem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59931A (en) * 1994-05-11 1997-08-26 National Molding Corp. Buckle which is releasable by depression of a hinged member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15168A (en) 1960-07-08 1963-01-09 Harley Patents Int Improvements relating to releasable connectors
GB1371152A (en) 1972-01-17 1974-10-23 American Safety Equip Multiple strap buckle member
US4457052A (en) 1982-02-19 1984-07-03 Peter Hauber Buckle for child's car seat harness
JPS5972912A (ja) 1982-10-20 1984-04-25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ケーブル布設方法
JPS5972912U (ja) * 1982-11-05 1984-05-17 フルヤ工業株式会社 バツクル
GB8331919D0 (en) 1983-11-30 1984-01-04 Itw Ltd Buckles
US4559679A (en) 1984-01-18 1985-12-24 Downey Philip L Helmut strap fastener
US4682390A (en) 1985-05-21 1987-07-28 Parrish Stanley G Buckle and body restraint system for a vehicle
JPH0545207Y2 (ko) 1986-02-12 1993-11-18
US4679282A (en) 1986-06-04 1987-07-14 Feng Lung S Press fastener
JPH0411531Y2 (ko) 1986-08-12 1992-03-23
JPH0540733Y2 (ko) 1987-09-30 1993-10-15
JPH052092Y2 (ko) 1988-06-22 1993-01-20
CH676316A5 (en) 1988-08-26 1991-01-15 Fritschi Apparatebau Fastening for two straps with housing - has two interlocking hooks and fitments with sloping hooked ends, with cams on housing base
AT395672B (de) 1988-09-14 1993-02-25 Ulbricht Hein Wwe Gmbh Steckschnalle
JPH0746167Y2 (ja) 1989-11-10 1995-10-25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バックル
US5222279A (en) 1992-07-27 1993-06-29 Illinois Tool Works Inc. Buckle having increased holding power when under load
JPH0650523U (ja) 1992-12-22 1994-07-12 吉田工業株式会社 袋物・鞄などの蓋の係止具
US5380238A (en) 1993-09-30 1995-01-10 Warnaco Inc. Double-closure clasp
JP2700380B2 (ja) 1994-03-09 1998-01-21 ナックス株式会社 ベルト用バックル
JP3090583B2 (ja) 1994-11-18 2000-09-25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バックル
US5551131A (en) 1994-12-15 1996-09-03 National Molding Corp. Buckle which is releasable by depression of a hinged member and having improved locking capability
JPH08256809A (ja) * 1995-03-28 1996-10-08 Nifco Inc バックル
US5794316A (en) * 1996-06-24 1998-08-18 National Molding Corp. Side-release buckle having improved locking feature
JPH11266908A (ja) * 1998-03-20 1999-10-05 Ykk Corp バックル
JPH11309004A (ja) * 1998-04-30 1999-11-09 Ykk Corp バック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59931A (en) * 1994-05-11 1997-08-26 National Molding Corp. Buckle which is releasable by depression of a hinged mem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252107A (ja) 2001-09-18
KR20010087101A (ko) 2001-09-15
DE60031644D1 (de) 2006-12-14
TW467733B (en) 2001-12-11
EP1129635B1 (en) 2006-11-02
EP1129635A1 (en) 2001-09-05
US6408494B1 (en) 2002-06-25
CN1181771C (zh) 2004-12-29
CN1310969A (zh) 2001-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3917B1 (ko) 향상된 래치 성능을 구비하는 삼방향 누름 해제 버클
US4672725A (en) Snap buckle
KR950003345Y1 (ko) 버클 조립체
KR101310675B1 (ko) 사이드 릴리스 버클 조립체
KR970007149B1 (ko) 버클
US5440792A (en) Buckle having resilient locking arm with coacting retaining lug
US5170539A (en) Spring loaded sliding bar web connector assembly for a buckle
US6446314B1 (en) Push release buckle with improved latching capability
TWI373313B (ko)
JP3240559B2 (ja) バックル・アセンブリ
KR950004760Y1 (ko) 버클
KR100286868B1 (ko) 버클
JPH10327908A (ja) 保持ストラップを備えたサイド・リリース・バックル
US8286311B2 (en) Buckle
EP0125631A2 (en) Buckle
US6163942A (en) Two-piece lock with hidden locking mechanism
EP0103186A1 (en) Strap adjustment assembly
JPH0638810A (ja) バックル
JPS60135004A (ja) バツクル
KR19990083626A (ko) 버클
JP4271076B2 (ja) バックルおよびこれを用いたベビーキャリア
US7181813B2 (en) Low-profile heavy-duty buckle
JP3213174B2 (ja) 3点式シートベルトの連結装置
KR101573906B1 (ko) 길이 조절이 간편한 가방용 버클
JP3248104B2 (ja) バックル・アセンブ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