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2904B1 - 천연 항산화 화합물 - Google Patents

천연 항산화 화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2904B1
KR100672904B1 KR1020060004584A KR20060004584A KR100672904B1 KR 100672904 B1 KR100672904 B1 KR 100672904B1 KR 1020060004584 A KR1020060004584 A KR 1020060004584A KR 20060004584 A KR20060004584 A KR 20060004584A KR 100672904 B1 KR100672904 B1 KR 100672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queous methanol
methanol solution
formula
disease
antioxid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4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봉식
이인경
유익동
정진영
김영숙
Original Assignee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명공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60004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29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2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29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09/3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309/3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oxy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309/3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oxy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one oxygen atom in position 2 or 4, e.g. pyr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another 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1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hetero atom,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1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hetero atom, condensed with other rings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311/9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hetero atom, condensed with other rings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condensed with rings other than six-membered or with ring systems containing such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5/00
    • C07D40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7/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directly linked by a ring-member-to-ring-member bo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 항산화 화합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와층버섯 (Inonotus xeranticus)으로부터 분리된 천연 화합물로서 자유 라디칼 소거 작용에 따른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여 암, 노화, 관상동맥경화, 당뇨, 관절염, 간질, 뇌졸중, 파킨슨병, 알츠하이머병, 자가면역질환, 및 신경퇴행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로서 유효한 신규의 천연 항산화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기와층버섯(Inonotus xeranticus), 자유 라디칼 소거 활성, 항산화 활성, 항암제, 항뇌질환제, 노화 방지제

Description

천연 항산화 화합물{Natural compounds having anti-oxidant activity}
본 발명은 천연 항산화 화합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와층버섯 (Inonotus xeranticus)으로부터 분리된 천연 화합물로서 자유 라디칼 소거 작용에 따른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여 암, 노화, 관상동맥경화, 당뇨, 관절염, 간질, 뇌졸중, 파킨슨병, 알츠하이머병, 자가면역질환, 및 신경퇴행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로서 유효한 신규의 천연 항산화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몸은 산소를 최종 전자수용체로 하는 호흡을 통해 에너지를 획득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생명유지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산소이지만 안정한 분자상태인 기저 삼중항산소가 각종 물리적, 화학적, 환경적 요인 등에 의하여 수퍼옥사이드 라디칼 (O2 -), 하이드록실 라디칼 (HO·), 과산화수소 (H2O2), 일중항산소 (1O2)와 같은 반응성이 매우 큰 자유 라디칼 또는 활성산소 (reactive oxygen species)로 전환되면 생체에 치명적인 산소독성을 일으키는 양면성을 지니고 있다. 즉, 이들 활성산소는 세포 구성성분들인 지질, 단백질, 당, DNA 등에 대하여 비선택적, 비가역적인 파괴작용을 함으로써 암을 비롯하여 동맥경화, 관절염, 뇌졸중, 파킨슨병, 알츠하이머병, 자가면역질환 등의 각종 질병 원인으로 작용함은 물론이고 노화 원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금까지 알려진 합성 항산화제로는 BHA(Butylated hydroxy anisole), BHT(Butylated hydroxy toluene) 및 NDGA(Nordihydro-guaiaretic acid) 등이 있으며, 천연 항산화제로는 수퍼옥시다이드 디뮤스타제, 퍼옥시다아제, 카탈라아제, 글루타치온 퍼옥시다아제 등의 항산화 효소와 비타민 E, 비타민 C, 글루타치온 등의 비효소적 항산화 물질이 있다. 그러나, 합성 항산화제는 생체 내에서 독성을 나타내어 알러지와 종양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온도에 약해 한번 열을 가하면 쉽게 파괴되는 단점이 있다. 반면에 천연 항산화제는 합성 항산화제에 비교하여 생체에 안전한 장점은 있지만, 그 효과가 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항산화 활성이 탁월하고 보다 생체에 안전한 새로운 천연 항산화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실제로 자유 라디칼을 소거할 수 있는 천연 항산화제 개발을 통하여 각종 질환 치료제 및 노화 억제제로 이용하고자 하는 노력은 계속적으로 있어 왔다.
한편, 본 발명자들은 버섯, 약용 식물 등 각종 천연물로부터 신규 고부가가치 활성물질을 탐색하던 중, 기와층버섯 (Inonotus xeranticus)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아래 구조식으로 표시된 이노스캐빈 A(Inoscavin A) 화합물이 우수한 활성산소 소거능을 갖음을 이미 확인한 바도 있다 [한국특허등록 제320787호].
Figure 112006003092374-pat00001
상기 화학식에서, R1 및 R2는 각각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자유 라디칼 소거 활성이 우수하고 독성 및 부작용이 적은 천연 항산화제 개발에 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해왔고, 그러던 중 기와층버섯 (Inonotus xeranticus) 추출물로부터 신규 구조의 항산화 화합물을 분리하였고, 이들 화합물의 화학구조, 이화학적 특성 및 생물활성 등을 규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기와층버섯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것으로, 자유 라디칼 소거 활성이 우수하고 독성 및 부작용이 적은 천연 화합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천연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있고, 이들 유효성분의 자유 라디칼 소거작용에 의해 암, 노화, 관상동맥경화, 당뇨, 관절염, 간질, 뇌졸중, 파킨슨병, 알츠하이머병, 자가면역질환, 및 신경퇴행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로 유용한 약제조성물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자유 라디칼 소거작용에 의한 항산화 활성을 갖는 아래 화학식으로 표시된 천연 화합물을 그 특징으로 한다.
Figure 112006077238995-pat00035
,
Figure 112006077238995-pat00036
,
Figure 112006077238995-pat00037
,
Figure 112006077238995-pat00038
,
Figure 112006077238995-pat00039
,
Figure 112006077238995-pat00040
Figure 112006077238995-pat00041
상기 화학식에서, R1 및 R2는 각각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천연 항산화 화합물의 분리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와층버섯 속 (Inonotus xeranticus sp.)에 속하는 버섯자실체 또는 균사체 배양액을 유기용매에 침지한 후 추출하여 기와층버섯 추출물을 얻는다. 기와층버섯을 추출하기 위한 유기용매는 탄소수 1 내지 6의 저급알코올, 디에틸 에테르,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기와층버섯 자실체는 1시간에서 2일 동안 유기용매에 침지시켜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 다음, 상기한 기와층버섯 추출물로부터 항산화 활성물질을 분리한다. 즉, 기와층버섯 추출물을 물 및 클로로포름, 메탄올, 에틸아세테이트 등의 유기용매 중에서 선택된 전개용매를 사용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세파덱스 LH-20 크로마토그래피, TLC 및 HPLC 등을 실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기와층버섯 추출물을 클로로포름:메탄올 (1:1, v/v)의 혼합용액을 전개용매로 사용하여 세파덱스 LH 20 컬럼을 실시하여 얻어진 활성분획을 농축하고, 메탄올 수용액의 농도를 30%에서 100%로 순차적으로 증가시키면서 역상 컬럼을 실시한 후 70% 메탄올의 전개용매로 세파덱스 LH-20 컬럼을 행하고, 최종적으로 70%의 메탄올 수용액을 전개용매로 역상 ODS(octadodecyl silicate) TLC를 실시하여 신규 항산화 화합물을 얻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기와층버섯 추출물의 제조과정이나 추출물로부터 항산화 활성물질을 분리하는 과정에서는, 당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추출 및 분리방법을 단독 또는 적합하게 조합하여 적용할 수도 있다.
상기한 추출 및 분리방법으로 얻어진 신규의 항산화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노란색의 분말로 수득되었으며, 각 화합물의 화학 구조분석을 위해 고분해(high resolution) ESI-mass, UV 스펙트럼, IR 스펙트럼, 선광도, NMR 분석기를 사용하였다. UV 스펙트럼에서는 대체로 207∼208, 254∼264 380∼400 nm에서 최대 흡수피크를 나타내었으며, IR 스펙트럼에서는 3430∼2450 cm-1에서 히드록실기(hydroxyl group), 1700∼1650 cm-1에서 카르보닐기(carbonyl group)에 기인하는 밴드들이 관찰되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방법으로 수득한 항산화 화합물에 대한 자유 라디칼 소거 활성을 조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공지의 실헙방법을 수행하였다: 1) 크산틴/크산틴 옥시다제 효소계를 이용한 과산화 라디칼, 2) ABTS(2,2'-Azino-bis-(3-ethylbenthiazoline-6-sulfonic acid) 라디칼, 3)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라디칼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항산화 물질로 이미 잘 알려져 있는 비타민 E, 카페산(caffeic acid), BHA(Butylated hydroxyanisole)와 비슷하거나 2 내지 3 배정도 강한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항산화 화합물에 대하여 급성 독성시험한 결과, 50% 치사량(LD50)은 적어도 1 g/kg 이상인 것으로 나타나 매우 안전한 물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신규 구조의 항산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시켜 암, 노화, 관상동맥경화, 당뇨, 관절염, 간질, 뇌졸중, 파킨슨병, 알츠하이머병, 자가면역질환, 및 신경퇴행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제조성물로 사용하는 용도를 권리범위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항산화 화합물을 의약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1 mg/kg ∼ 600 mg/kg을 성인에게 1일에 투여할 수 있으며, 추출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추출물을 증발시켜 그 잔사를 기준으로 10 mg/kg ~ 100 mg/kg을 1회 내지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조성물은 항산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여기에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통상의 무기 또는 유기의 담체를 가하여, 고체, 반고체 또는 액상의 형태로 제조하여 경구 또는 비경구에 적합한 제형 형태로 제조하여 투여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제형으로서는 정제(錠劑), 환제(丸劑), 과립제(顆粒劑), 연·경 캡슐제, 산제, 세립제, 분제, 유탁제(乳濁濟), 시럽제, 펠렛제 등을 들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투여용 제형으로 정제 및 캡슐 등의 제형으로 제제하기 위해 락토오스, 사카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밀로펙틴, 셀룰로오스 또는 젤라틴과 같은 결합제; 디칼슘 포스페이트와 같은 부형제; 옥수수 전분 또는 고구마 전분과 같은 붕괴제;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스테아르산 칼슘, 스테아릴푸마르산 나트륨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 왁스와 같은 윤활유가 함유된다. 캡슐제형의 경우는 상기에서 언급한 물질 이외에도 지방유와 같은 액체 담체를 함유한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형으로는 주사제, 점적제, 수액(輸液), 연고, 로션, 스 프레이, 현탁제, 유제(乳劑), 유제(油濟), 좌제(坐劑) 등을 들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제제화하기 위하여는 상법에 따라서 실시하면 용이하게 제제화할 수 있으며, 계면활성제, 부형제, 착색료, 향신료, 보존료, 안정제, 완충제, 현탁제, 기타 상용하는 보조제를 적당히 물과 혼합하여 용액 또는 현탁액으로 제조하고 이를 앰플 또는 바이알의 단위 투여형으로 제제하여 사용하면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는 바,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기와층버섯 추출물로부터 항산화 화합물의 분리
하기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 방법으로 얻어진 각각의 화합물에 대한 화학구조를 규명하기 위하여, 1H, 13C 및 DEPT(Distortionless Enhanced by Polarization Transfer)를 포함한 1차원 핵자기공명분석기, COSY(Correlation Spectroscopy) 및 HMBC(Heteronuclear Multiple Bond Connectivity)를 포함한 2차원 핵자기공명분석기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 화학식 (1-b)의 항산화 화합물 제조
음건 및 세절한 기와층버섯 자실체 3 kg을 에탄올 5 L에 1일 동안 침지하고, 실온에서 추출하여 기와층버섯의 에탄올 추출물을 얻었다
상기 방법으로 얻어진 기와층버섯의 에탄올 추출물을 클로포름/메탄올의 혼 합용액(1:1, v/v)을 전개용매로 사용하여, 세파덱스 LH-20 컬럼을 실시하여 활성분획을 농축하였다.
상기 얻어진 활성분획은 30% 메탄올 수용액, 50% 메탄올 수용액, 70% 메탄올 수용액 및 100% 메탄올을 순차적으로 사용하여 역상 컬럼을 실시한 후, 70% 메탄올 수용액의 전개용매로 세파덱스 LH-20 컬럼을 행하고, 최종적으로 70%의 메탄올 수용액을 전개용매로 역상 ODS(octadodecyl silicate) TLC를 실시하여 하기 화학식 (1-b)로 표시된 항산화 화합물을 4 mg 분리하였다.
Figure 112006003092374-pat00009
성상 : 노란색의 분말
분자량 : 436
분자식 : C24H20O8
선광도: [α]D : -5.7°(c 0.07, MeOH )
질량분석 스펙트럼 : HRESIMS m/z 437.1230 [M+H]+, ESIMS m/z 459.7 [M+Na]+
자외선흡수스펙트럼 : UV λmax (MeOH)(log ε) 213 (3.56), 220 (3.5), 264 (sh, 3.2), 419 (3.3) nm
적외선흡수스펙트럼 : IR (KBr) νmax 3420, 2923, 2852, 2361, 2342, 1632 cm-1
수소핵자기공명스펙트럼 : 1H-NMR ppm (400MHz, CD3OD) δ7.39 (H, d, J=16 Hz, H-2'), 7.37 (1H, s, H-1"), 7.24 (1H, d, J=2.0 Hz, H-3"), 7.06 (1H, d, J=2.0 Hz, H-8'), 7.02 (1H, dd, J=8.4, 2.0 Hz, H-7"), 6.98 (1H, dd, J=8.4, 2.0 Hz, H-4'), 6.79 (1H, d, J=8.0 Hz, H-5'), 6.74 (1H, d, J=8.4 Hz, H-6"), 6.67 (1H, d, J=16 Hz, H-1'), 6.37 (1H, s, H-4), 3.37 (3H, s, H-6-OCH3), 1.75 (3H, s, H-6-CH3).
탄소핵자기공명스펙트럼 : 13C-NMR ppm (80MHz, CD3OD) δ171.0 (C-4a), 163.5 (C-3), 160.6 (1CO), 148.8 (C-6'), 146.7 (C-7'), 146.8 (C-5"), 146.2 (C-4"), 138.0 (C-2'), 129.2 (C-7), 128.7 (C-3', 2"), 126.2 (C-1"), 123.5 (C-7"), 122.2 (C-4'), 118.2 (C-6), 117.4 (C-3"), 116.9 (C-1'), 116.5 (C-5'), 116.3 (C-6"), 114.8 (C-8'), 104.1 (C-7a), 95.8 (C-4), 51.6 (C-6-OCH3), 23.3 (C-6-CH3).
실시예 2. 화학식 (1-c)의 항산화 화합물 제조
음건 및 세절한 기와층버섯 자실체 3 kg을 에탄올 5리터에 1일 동안 침지하 고, 실온에서 추출하여 기와층버섯의 에탄올 추출물을 얻었다
상기 방법으로 얻어진 기와층버섯의 에탄올 추출물을 클로포름/메탄올의 혼합용액(1:1, v/v)을 전개용매로 사용하여, 세파덱스 LH-20 컬럼을 실시하여 활성분획을 농축하였다.
상기 얻어진 활성분획은 30% 메탄올 수용액, 50% 메탄올 수용액, 70% 메탄올 수용액 및 100% 메탄올을 순차적으로 사용하여 역상 컬럼을 실시한 후, 70% 메탄올 수용액의 전개용매로 세파덱스 LH-20 컬럼을 행하고, 최종적으로 70%의 메탄올 수용액을 전개용매로 역상 ODS(octadodecyl silicate) TLC를 실시하여 하기 화학식 (1-c)로 표시된 항산화 화합물을 6 mg 분리하였다.
Figure 112006003092374-pat00010
성상 : 노란색의 분말
분자량 : 450
분자식 : C25H22O8
선광도: [α]D : -15.5°(c 0.2, MeOH )
질량분석 스펙트럼 : HRESIMS m/z 473.1217 [M+Na]+, ESIMS m/z 473.6 [M+Na]+
자외선흡수스펙트럼 : UV λmax (MeOH)(log ε) 214 (3.8), 219 (3.7), 257 (sh, 3.6), 410 (3.6) nm
적외선흡수스펙트럼 : IR (KBr) νmax 3420, 2924, 2852, 2363, 1632, cm-1
수소핵자기공명스펙트럼 : 1H-NMR ppm (400MHz, CD3OD) δ7.46 (H, d, J=16 Hz, H-2'), 7.37 (1H, s, H-1"), 7.24 (1H, d, J=2.0 Hz, H-3"), 7.22 (1H, d, J=2.0 Hz, H-8'), 7.02 (1H, dd, J=8.4, 2.0 Hz, H-7"), 7.10 (1H, dd, J=8.4, 2.0 Hz, H-4'), 6.82 (1H, d, J=8.0 Hz, H-5'), 6.74 (1H, d, J=8.4 Hz, H-6"), 6.78 (1H, d, J=16 Hz, H-1'), 6.39 (1H, s, H-4), 3.92 (3H, s, H-7-OCH3), 3.37 (3H, s, H-6-OCH3), 1.76 (3H, s, H-6-CH3).
탄소핵자기공명스펙트럼 : 13C-NMR ppm (80MHz, CD3OD) δ171.2 (C-4a), 163.8 (C-3), 160.9 (1CO), 150.2 (C-6'), 149.5 (C-7'), 147.0 (C-5"), 146.4 (C-4"), 137.9 (C-2'), 129.3 (C-7), 128.8 (C-3', 2"), 126.4 (C-1"), 123.6 (C-7"), 123.6 (C-4'), 118.2 (C-6), 117.4 (C-3"), 117.3 (C-1'), 116.6 (C-5'), 116.4 (C-6"), 111.3 (C-8'), 104.3 (C-7a), 96.0 (C-4), 56.5 (C-7-OCH3), 49.9 (C-6-OCH3), 23.3 (C-6-CH3).
실시예 3. 화학식 (1-d)의 항산화 화합물 제조
음건 및 세절한 기와층버섯 자실체 3 kg을 에탄올 5리터에 L에 1일 동안 침지하고, 실온에서 추출하여 기와층버섯의 에탄올 추출물을 얻었다
상기 방법으로 얻어진 기와층버섯의 에탄올 추출물을 클로포름/메탄올의 혼합용액(1:1, v/v)을 전개용매로 사용하여, 세파덱스 LH-20 컬럼을 실시하여 활성분획을 농축하였다.
상기 얻어진 활성분획은 30% 메탄올 수용액, 50% 메탄올 수용액, 70% 메탄올 수용액 및 100% 메탄올을 순차적으로 사용하여 역상 컬럼을 실시한 후, 70% 메탄올 수용액의 전개용매로 세파덱스 LH-20 컬럼을 행하고, 최종적으로 50%의 메탄올 수용액을 전개용매로 역상 ODS(octadodecyl silicate) TLC를 실시하여 하기 화학식 (1-d)로 표시된 항산화 화합물을 20 mg 분리하였다.
Figure 112006003092374-pat00011
성상 : 노란색의 분말
분자량 : 464
분자식 : C25H20O9
선광도: [α]D : +221°(c 0.37, MeOH )
질량분석 스펙트럼 : HREIMS m/z 464.1107 [M]+, EIMS m/z 464.4 [M]+
자외선흡수스펙트럼 : UV λmax (MeOH)(log ε) 214 (4.10), 256 (4.08), 292 (sh), 364 (4.07) nm
적외선흡수스펙트럼 : IR (KBr) νmax 3320, 1660, 1650, 1640, 1600, 1540,1450, 1280, 1160 cm-1
수소핵자기공명스펙트럼 : 1H-NMR ppm (400MHz, CD3OD) δ7.21 (H, d, J=16 Hz, H-2'), 6.98 (1H, d, J=2.0 Hz, H-8'), 6.89 (1H, dd, J=8.4, 2.0 Hz, H-4'), 6.86 (1H, d, J=2.0 Hz, H-2"), 6.70 (1H, dd, J=8.4, 2.0 Hz, H-6"), 6.75 (1H, d, J=8.0 Hz, H-5'), 6.67 (1H, d, J=8.4 Hz, H-5"), 6.45 (1H, d, J=16 Hz, H-1'), 5.95 (1H, s, H-4), 5.76 (1H, s, H-12), 5.49 (1H, s, H-9), 4.28 (1H, s, H-7), 2.09 (3H, s, H-10-CH3).
탄소핵자기공명스펙트럼 : 13C-NMR ppm (80MHz, CD3OD) δ194.7 (C-8), 175.9 (C-10), 169.0 (1CO), 165.5 (C-5), 159.1 (C-3), 147.2 (C-6'), 145.4 (C-7'), 145.7 (C-4"), 144.7 (C-3"), 136.0 (C-2'), 128.9 (C-1"), 127.8 (C-3'), 120.8 (C-4'), 119.7 (C-6"), 115.7 (C-1"), 115.5 (C-5'), 114.9 (C-5"), 114.7 (C-2"), 113.8 (C-8'), 104.1 (C-9), 100.0 (C-4), 97.3 (C-6), 83.2 (C-12), 46.8 (C-7), 20.8 (C-10-CH3).
실시예 4. 화학식 (1-e)의 항산화 화합물 제조
음건 및 세절한 기와층버섯 자실체 3 kg을 에탄올 5리터에 1일 동안 침지하고, 실온에서 추출하여 기와층버섯의 에탄올 추출물을 얻었다
상기 방법으로 얻어진 기와층버섯의 에탄올 추출물을 클로포름/메탄올의 혼합용액(1:1, v/v)을 전개용매로 사용하여, 세파덱스 LH-20 컬럼을 실시하여 활성분획을 농축하였다.
상기 얻어진 활성분획은 30% 메탄올 수용액, 50% 메탄올 수용액, 70% 메탄올 수용액 및 100% 메탄올을 순차적으로 사용하여 역상 컬럼을 실시한 후, 70% 메탄올 수용액의 전개용매로 세파덱스 LH-20 컬럼을 행하고, 최종적으로 50%의 메탄올 수용액을 전개용매로 역상 ODS(octadodecyl silicate) TLC를 실시하여 하기 화학식 (1-e)로 표시된 항산화 화합물을 2 mg 분리하였다.
Figure 112006003092374-pat00012
성상 : 노란색의 분말
분자량 : 478
분자식 : C26H22O9
선광도: [α]D : +37°(c 0.2, MeOH )
질량분석 스펙트럼 : HRESIMS m/z 501.1202 [M+Na]+, ESIMS m/z 501.5 [M+Na]+
자외선흡수스펙트럼 : UV λmax (MeOH)(log ε) 216 (4.16), 221 (4.15), 254 (3.96), 367 (3.98) nm
적외선흡수스펙트럼 : IR (KBr) νmax 3420, 2925, 2852, 2361, 2343, 1653,1602, 1559, 1436, 1258 cm-1
수소핵자기공명스펙트럼 : 1H-NMR ppm (400MHz, CD3OD) δ7.25 (H, d, J=16 Hz, H-2'), 7.14 (1H, d, J=2.0 Hz, H-8'), 7.00 (1H, dd, J=8.4, 2.0 Hz, H-4'), 6.86 (1H, d, J=2.0 Hz, H-2"), 6.71 (1H, dd, J=8.4, 2.0 Hz, H-6"), 6.77 (1H, d, J=8.0 Hz, H-5'), 6.68 (1H, d, J=8.4 Hz, H-5"), 6.56 (1H, d, J=16 Hz, H-1'), 5.94 (1H, s, H-4), 5.78 (1H, s, H-12), 5.48 (1H, s, H-9), 4.28 (1H, s, H-7), 3.88 (3H, s, H-7-OCH3), 2.09 (3H, s, H-10-CH3).
실시예 5. 화학식 (1-f)의 항산화 화합물 제조
음건 및 세절한 기와층버섯 자실체 3 kg을 에탄올 5리터에 1일 동안 침지하고, 실온에서 추출하여 기와층버섯의 에탄올 추출물을 얻었다
상기 방법으로 얻어진 기와층버섯의 에탄올 추출물을 클로포름/메탄올의 혼 합용액(1:1, v/v)을 전개용매로 사용하여, 세파덱스 LH-20 컬럼을 실시하여 활성분획을 농축하였다.
상기 얻어진 활성분획은 30% 메탄올 수용액, 50% 메탄올 수용액, 70% 메탄올 수용액 및 100% 메탄올을 순차적으로 사용하여 역상 컬럼을 실시한 후, 70% 메탄올 수용액의 전개용매로 세파덱스 LH-20 컬럼을 행하고, 최종적으로 50%의 메탄올 수용액을 전개용매로 역상 ODS(octadodecyl silicate) TLC를 실시하여 하기 화학식 (1-f)로 표시된 항산화 화합물을 7 mg 분리하였다.
Figure 112006003092374-pat00013
성상 : 노란색의 분말
분자량 : 464
분자식 : C25H20O9
선광도: [α]D : +8.4°(c 0.62, MeOH )
질량분석 스펙트럼 : HRESIMS m/z 465.1200 [M+H]+, ESIMS m/z 487.5 [M+Na]+
자외선흡수스펙트럼 : UV λmax (MeOH)(log ε) 214 (4.10), 221 (4.10), 256(4.08), 373 (4.07) nm
적외선흡수스펙트럼 : IR (KBr) νmax 3420, 1654, 1599, 1550, 1600, 1418,1363, 1285, 1196 cm-1
수소핵자기공명스펙트럼 : 1H-NMR ppm (400MHz, CD3OD) δ7.73 (1H, s, H-1"), 7.37 (H, d, J=16 Hz, H-2'), 7.06 (1H, d, J=2.0 Hz, H-8'), 6.98 (1H, dd, J=8.4, 2.0 Hz, H-4'), 6.94 (1H, d, J=2.0 Hz, H-3"), 6.84 (1H, dd, J=8.4, 2.0 Hz, H-7"), 6.79 (1H, d, J=8.0 Hz, H-5'), 6.70 (1H, dd, J=8.4, 2.0 Hz, H-6"), 6.65 (1H, d, J=16 Hz, H-1'), 6.20 (1H, s, H-4), 2.06 (3H, s, H-11-CH3).
탄소핵자기공명스펙트럼 : 13C-NMR ppm (80MHz, CD3OD) δ195.7 (10CO), 183.5 (C-8), 170.0(C-5), 165.9 (1CO), 161.4 (C-3), 148.7 (C-6', 5"), 146.8 (C-7'), 146.3 (C-4"), 142.1 (C-1"), 137.6 (C-2'), 128.9 (C-3'), 128.8 (C-2"), 124.9 (C-7"), 124.3 (C-7), 122.1 (C-4'), 117.3 (C-3"), 116.2 (C-6"), 116.8 (C-1'), 116.6 (C-5'), 114.9 (C-8'), 101.5 (C-4), 100.3 (C-6), 98.0 (C-9), 26.0 (C-11-CH3).
실시예 6. 화학식 (1-g)의 항산화 화합물 제조
음건 및 세절한 기와층버섯 자실체 3 kg을 에탄올 5리터에 1일 동안 침지하 고, 실온에서 추출하여 기와층버섯의 에탄올 추출물을 얻었다
상기 방법으로 얻어진 기와층버섯의 에탄올 추출물을 클로포름/메탄올의 혼합용액(1:1, v/v)을 전개용매로 사용하여, 세파덱스 LH-20 컬럼을 실시하여 활성분획을 농축하였다.
상기 얻어진 활성분획은 30% 메탄올 수용액, 50% 메탄올 수용액, 70% 메탄올 수용액 및 100% 메탄올을 순차적으로 사용하여 역상 컬럼을 실시한 후, 70% 메탄올 수용액의 전개용매로 세파덱스 LH-20 컬럼을 행하고, 최종적으로 50%의 메탄올 수용액을 전개용매로 역상 ODS(octadodecyl silicate) TLC를 실시하여 하기 화학식 (1-g)로 표시된 항산화 화합물을 4 mg 분리하였다.
Figure 112006003092374-pat00014
성상 : 노란색의 분말
분자량 : 438
분자식 : C23H18O9
선광도: [α]D : +16.7°(c 0.3, MeOH )
질량분석 스펙트럼 : HRESIMS m/z 439.0990 [M+H]+
자외선흡수스펙트럼 : UV λmax (MeOH)(log ε) 214 (4.15), 221 (4.15), 254 (3.98), 373 (4.05) nm
적외선흡수스펙트럼 : IR (KBr) νmax 3437, 2960, 2925, 2854, 2361, 2341,1651, 1599, 1556, 1441, 1415, 1384, 1280, 1249 cm-1
수소핵자기공명스펙트럼 : 1H-NMR ppm (400MHz, CD3OD) δ7.77 (1H, s, H-1"), 7.34 (H, d, J=16 Hz, H-2'), 7.05 (1H, d, J=2.0 Hz, H-8'), 6.97 (1H, dd, J=8.4, 2.0 Hz, H-4'), 6.96 (1H, d, J=2.0 Hz, H-3"), 6.84 (1H, dd, J=8.4, 2.0 Hz, H-7"), 6.78 (1H, d, J=8.0 Hz, H-5'), 6.70 (1H, dd, J=8.4, 2.0 Hz, H-6"), 6.63 (1H, d, J=16 Hz, H-1'), 6.16 (1H, s, H-4), 3.75 (3H, s, H-8-OCH3).
탄소핵자기공명스펙트럼 : 13C-NMR ppm (80MHz, CD3OD) δ170.7(C-5), 170.1 (8CO), 166.2 (1CO), 160.7 (C-3), 148.6 (C-6'), 148.7 (C-5"), 146.8 (C-7'), 146.3 (C-4"), 145.4 (C-1"), 137.0 (C-2'), 121.9 (C-3'), 128.4 (C-2"), 124.8 (C-7"), 120.1 (C-7), 121.9 (C-4'), 117.2 (C-3"), 116.2 (C-6"), 117.0 (C-1'), 116.6 (C-5'), 114.9 (C-8'), 102.5 (C-4), 100.6 (C-6), 52.6 (C-8-OCH3).
실시예 7. 화학식 (1-h)의 항산화 화합물 제조
음건 및 세절한 기와층버섯 자실체 3 kg을 에탄올 5리터에 1일 동안 침지하고, 실온에서 추출하여 기와층버섯의 에탄올 추출물을 얻었다
상기 방법으로 얻어진 기와층버섯의 에탄올 추출물을 클로포름/메탄올의 혼합용액(1:1, v/v)을 전개용매로 사용하여, 세파덱스 LH-20 컬럼을 실시하여 활성분획을 농축하였다.
상기 얻어진 활성분획은 30% 메탄올 수용액, 50% 메탄올 수용액, 70% 메탄올 수용액 및 100% 메탄올을 순차적으로 사용하여 역상 컬럼을 실시한 후, 70% 메탄올 수용액의 전개용매로 세파덱스 LH-20 컬럼을 행하고, 최종적으로 50%의 메탄올 수용액을 전개용매로 역상 ODS(octadodecyl silicate) TLC를 실시하여 하기 화학식 (1-h)로 표시된 항산화 화합물을 5 mg 분리하였다.
Figure 112006003092374-pat00015
성상 : 노란색의 분말
분자량 : 422
분자식 : C23H18O8
선광도: [α]D : +17.3°(c 0.2, MeOH )
질량분석 스펙트럼 : HRESIMS m/z 423.1076 [M+H]+
자외선흡수스펙트럼 : UV λmax (MeOH)(log ε) 212 (4.05), 221 (4.02), 255(3.84), 367 (3.85) nm
적외선흡수스펙트럼 : IR (KBr) νmax 3420, 2959, 2927, 2853, 2361, 1651, 1603, 1556, 1444, 1417, 1384, 1286, 1118 cm-1
수소핵자기공명스펙트럼 : 1H-NMR ppm (400MHz, CD3OD) δ7.77 (1H, s, H-1"), 7.35 (H, d, J=16 Hz, H-2'), 7.05 (1H, d, J=2.0 Hz, H-8'), 6.97 (1H, dd, J=8.4, 2.0 Hz, H-4'), 6.99 (1H, d, J=2.0 Hz, H-3"), 6.89 (1H, dd, J=8.4, 2.0 Hz, H-7"), 6.78 (1H, d, J=8.0 Hz, H-5'), 6.71 (1H, dd, J=8.4, 2.0 Hz, H-6"), 6.64 (1H, d, J=16 Hz, H-1'), 6.17 (1H, s, H-4), 2.38 (3H, s, H-9-CH3).
탄소핵자기공명스펙트럼 : 13C-NMR ppm (80MHz, CD3OD) δ170.7(C-5), 200.6 (8CO), 166.2 (1CO), 159.4 (C-3), 147.3 (C-6'), 147.9 (C-5"), 145.7 (C-7'), 145.2 (C-4"), 145.4 (C-1"), 135.8 (C-2'), 127.9 (C-3'), 127.2 (C-2"), 124.0 (C-7"), 128.0 (C-7), 127.9 (C-4'), 116.3 (C-3"), 116.2 (C-6"), 117.0 (C-1'), 116.6 (C-5'), 113.4 (C-8'), 102.5 (C-4), 99.7 (C-6).
실시예 8. 화학식 (1-i)의 항산화 화합물 제조
음건 및 세절한 기와층버섯 자실체 3 kg을 에탄올 5리터에 1일 동안 침지하고, 실온에서 추출하여 기와층버섯의 에탄올 추출물을 얻었다
상기 방법으로 얻어진 기와층버섯의 에탄올 추출물을 클로포름/메탄올의 혼 합용액(1:1, v/v)을 전개용매로 사용하여, 세파덱스 LH-20 컬럼을 실시하여 활성분획을 농축하였다.
상기 얻어진 활성분획은 30% 메탄올 수용액, 50% 메탄올 수용액, 70% 메탄올 수용액 및 100% 메탄올을 순차적으로 사용하여 역상 컬럼을 실시한 후, 70% 메탄올 수용액의 전개용매로 세파덱스 LH-20 컬럼을 행하고, 최종적으로 50%의 메탄올 수용액을 전개용매로 역상 ODS(octadodecyl silicate) TLC를 실시하여 하기 화학식 (1-i)로 표시된 항산화 화합물을 3 mg 분리하였다.
Figure 112006003092374-pat00016
성상 : 노란색의 분말
분자량 : 420
분자식 : C23H16O8
선광도: [α]D : -35° (c 0.5, MeOH )
질량분석 스펙트럼 : HRESIMS m/z 421.0952 [M+H]+
자외선흡수스펙트럼 : UV λmax (MeOH)(log ε) 207 (4.05), 260 (sh, 4.1), 400 (4.3) nm
적외선흡수스펙트럼 : IR (KBr) νmax 3446, 2923, 2852, 2363, 2344, 1700, 1603, 1558, 1518, 1284 cm-1
수소핵자기공명스펙트럼 : 1H-NMR ppm (400MHz, CD3OD) δ7.33 (H, d, J=16 Hz, H-2'), 7.05 (1H, d, J=2.0 Hz, H-8'), 6.95 (1H, dd, J=8.4, 2.0 Hz, H-4'), 7.23 (1H, d, J=2.0 Hz, H-2"), 7.16 (1H, dd, J=8.4, 2.0 Hz, H-6"), 6.77 (1H, d, J=8.0 Hz, H-5'), 6.83 (1H, dd, J=8.4, 2.0 Hz, H-5"), 6.68 (1H, d, J=16 Hz, H-1'), 6.80 (1H, s, H-4), 2.65 (3H, s, H-9-CH3).
탄소핵자기공명스펙트럼 : 13C-NMR ppm (80MHz, CD3OD) δ197.5 (8CO), 158.7 (1CO), 158.7 (C-3), 161.0 (C-4a), 155.3 (C-6), 147.4 (C-6'), 148.0 (C-4"), 145.6 (C-7'), 145.3 (C-3"), 119.9 (C-1"), 135.3 (C-2'), 127.9 (C-3'), 114.5 (C-2"), 120.1 (C-7"), 119.9 (C-7), 120.7 (C-4'), 114.5 (C-2"), 115.2 (C-5"), 115.8 (C-1'), 115.4 (C-5'), 113.6 (C-8'), 94.7 (C-4), 30.9 (C-9).
실시예 9. 화학식 (1-j)의 항산화 화합물 제조
음건 및 세절한 기와층버섯 자실체 3 kg을 에탄올 5리터에 1일 동안 침지하고, 실온에서 추출하여 기와층버섯의 에탄올 추출물을 얻었다
상기 방법으로 얻어진 기와층버섯의 에탄올 추출물을 클로포름/메탄올의 혼합용액(1:1, v/v)을 전개용매로 사용하여, 세파덱스 LH-20 컬럼을 실시하여 활성분획을 농축하였다.
상기 얻어진 활성분획은 30% 메탄올 수용액, 50% 메탄올 수용액, 70% 메탄올 수용액 및 100% 메탄올을 순차적으로 사용하여 역상 컬럼을 실시한 후, 70% 메탄올 수용액의 전개용매로 세파덱스 LH-20 컬럼을 행하고, 최종적으로 50%의 메탄올 수용액을 전개용매로 역상 ODS(octadodecyl silicate) TLC를 실시하여 하기 화학식 (1-j)로 표시된 항산화 화합물을 2 mg 분리하였다.
Figure 112006003092374-pat00017
성상 : 노란색의 분말
분자량 : 434
분자식 : C24H18O8
선광도: [α]D : -82° (c 0.2, MeOH )
질량분석 스펙트럼 : HRESIMS m/z 435.1113 [M+H]+
자외선흡수스펙트럼 : UV λmax (MeOH)(log ε) 205 (3.89), 264 (sh, 3.6), 400 (3.7) nm
적외선흡수스펙트럼 : IR (KBr) νmax 3436, 2923, 2850, 2363, 1630, 1554, 1510, 1280 cm-1
수소핵자기공명스펙트럼 : 1H-NMR ppm (400MHz, CD3OD) δ7.40 (H, d, J=16 Hz, H-2'), 7.20 (1H, d, J=2.0 Hz, H-8'), 7.08 (1H, dd, J=8.4, 2.0 Hz, H-4'), 7.24(1H, d, J=2.0 Hz, H-2"), 7.17 (1H, dd, J=8.4, 2.0 Hz, H-6"), 6.81 (1H, d, J=8.0 Hz, H-5'), 6.83 (1H, dd, J=8.4, 2.0 Hz, H-5"), 6.81 (1H, d, J=16 Hz, H-1'), 6.84 (1H, s, H-4), 3.92 (1H, H-7'-OCH3), 2.66 (3H, s, H-9-CH3).
실시예 10. 화학식 (1-k)의 항산화 화합물 제조
음건 및 세절한 기와층버섯 자실체 3 kg을 에탄올 5리터에 1일 동안 침지하고, 실온에서 추출하여 기와층버섯의 에탄올 추출물을 얻었다
상기 방법으로 얻어진 기와층버섯의 에탄올 추출물을 클로포름/메탄올의 혼합용액(1:1, v/v)을 전개용매로 사용하여, 세파덱스 LH-20 컬럼을 실시하여 활성분획을 농축하였다.
상기 얻어진 활성분획은 30% 메탄올 수용액, 50% 메탄올 수용액, 70% 메탄올 수용액 및 100% 메탄올을 순차적으로 사용하여 역상 컬럼을 실시한 후, 70% 메탄올 수용액의 전개용매로 세파덱스 LH-20 컬럼을 행하고, 최종적으로 50%의 메탄올 수용액을 전개용매로 역상 ODS(octadodecyl silicate) TLC를 실시하여 하기 화학식 (1-k)로 표시된 항산화 화합물을 3 mg 분리하였다.
Figure 112006003092374-pat00018
성상 : 노란색의 분말
분자량 : 396
분자식 : C21H16O8
선광도: [α]D : -15.5° (c 0.2, MeOH )
질량분석 스펙트럼 : HRESIMS m/z 397.0954 [M+H]+
자외선흡수스펙트럼 : UV λmax (MeOH)(log ε) 214 (4.05), 219 (3.7),257 (sh, 3.6), 410 (3.6) nm
적외선흡수스펙트럼 : IR (KBr) νmax 3453, 2925, 2852, 2361, 2338, 1716, 1518, 1458, 1287 cm-1
수소핵자기공명스펙트럼 : 1H-NMR ppm (400MHz, CD3OD) δ8.08 (1H, s, H-10), 7.33 (H, d, J=16 Hz, H-2'), 7.05 (1H, d, J=2.0 Hz, H-8'), 6.96 (1H, dd, J=8.4, 2.0 Hz, H-4'), 6.78 (1H, d, J=8.0 Hz, H-5'), 6.74 (1H, s, H-7), 6.63 (1H, d, J=16 Hz, H-1'), 6.36 (1H, s, H-4), 6.06 (1H, s, H-6), 3.53 (3H, s, H- 6-OCH3).
탄소핵자기공명스펙트럼 : 13C-NMR ppm (80MHz, CD3OD) δ162.0 (C-4a), 158.7 (1CO), 158.7 (C-3), 147.5 (C-6'), 146.6 (C-9), 145.6 (C-7'), 145.6 (C-8), 135.7 (C-2'), 127.9 (C-3'), 120.8 (C-4'), 117.8 (C-10a), 115.4 (C-1'), 115.3 (C-5'), 113.6 (C-8'), 112.9 (C-6a), 112.8 (C-7), 111.1 (C-10), 100.7 (C-4), 100.6 (C-6), 54.7 (C-6-OCH3).
실시예 11. 화학식 (1-l)의 항산화 화합물 제조
음건 및 세절한 기와층버섯 자실체 3 kg을 에탄올 5리터에 1일 동안 침지하고, 실온에서 추출하여 기와층버섯의 에탄올 추출물을 얻었다
상기 방법으로 얻어진 기와층버섯의 에탄올 추출물을 클로포름/메탄올의 혼합용액(1:1, v/v)을 전개용매로 사용하여, 세파덱스 LH-20 컬럼을 실시하여 활성분획을 농축하였다.
상기 얻어진 활성분획은 30% 메탄올 수용액, 50% 메탄올 수용액, 70% 메탄올 수용액 및 100% 메탄올을 순차적으로 사용하여 역상 컬럼을 실시한 후, 70% 메탄올 수용액의 전개용매로 세파덱스 LH-20 컬럼을 행하고, 최종적으로 50%의 메탄올 수용액을 전개용매로 역상 ODS(octadodecyl silicate) TLC를 실시하여 하기 화학식 (1-l)로 표시된 항산화 화합물을 2 mg 분리하였다.
Figure 112006003092374-pat00019
성상 : 노란색의 분말
분자량 : 410
분자식 : C22H18O8
선광도: [α]D : -37° (c 0.2, MeOH )
질량분석 스펙트럼 : HRESIMS m/z 411.1046 [M+H]+
자외선흡수스펙트럼 : UV λmax (MeOH)(log ε) 216 (4.16), 221 (4.15),254 (sh, 3.96), 410 (3.9) nm
적외선흡수스펙트럼 : IR (KBr) νmax 3453, 2925, 2853, 2361, 2338, 1716, 1518, 1458, 1287 cm-1
수소핵자기공명스펙트럼 : 1H-NMR ppm (400MHz, CD3OD) δ8.08 (1H, s, H-10), 7.39(H, d, J=16 Hz, H-2'), 7.20 (1H, d, J=2.0 Hz, H-8'), 7.08 (1H, dd, J=8.4, 2.0 Hz, H-4'), 6.81 (1H, d, J=8.0 Hz, H-5'), 6.75 (1H, s, H-7), 6.74 (1H, d, J=16 Hz, H-1'), 6.38 (1H, s, H-4), 6.07 (1H, s, H-6), 3.91 (3H, s, H- 7'-OCH3) 3.54 (3H, s, H-6-OCH3).
한편, 본 발명은 신규 항산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포함하는 바,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비경구 및 경구로 투여될 수 있으며, 하기의 제제예에서는 약학적 조성물을 경구투여용 제형으로서 시럽제 또는 정제로 제조한 예와 비경구투여용 제형으로 주사제를 제조한 예를 예시하고는 있지만, 그밖에도 당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일반적 부형제를 사용한 공지의 제형 형태로 제제화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제제예] 경구 또는 비경구투여용 제형에 대한 제제화 예
제제예 1. 시럽제 제조
본 발명의 신규 항산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을 유효성분으로서 2 %(중량/부피)로 함유하는 시럽제는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항산화 화합물(2 g), 사카린(0.4 g), 당(25.4 g)을 온수 80 g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냉각시킨 후, 여기에 글리세린(8.0 g), 사카린(0.4 g), 향미료(0.04 g), 에탄올(4.0 g) 및 소르브산(0.4 g)을 혼합하고, 여기에 증류수를 첨가하여 전체 용량이 100 ㎖가 되게 하였다. 상기 항산화 화합 물은 기타 다른 형태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으로도 대체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2. 정제 제조
유효성분 15 mg이 함유된 정제는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한다.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항산화 화합물(250 g)을 락토오스(175.9 g), 감자전분(180 g) 및 콜로이드성 규산(32 g)과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에 10% 젤라틴 용액을 첨가시킨 후, 분쇄해서 14 메쉬체를 통과시켰다. 이것을 건조시키고 여기에 감자전분(160 g), 활석(50 g)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5 g)을 첨가해서 얻은 혼합물을 타정하여 정제로 만들었다.
제제예 3. 주사액제의 제조
유효성분 10 mg을 함유하는 주사액제는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항산화 화합물(1 g), 염화나트륨(0.6 g) 및 아스코르브산(0.1 g)을 증류수에 용해시켜서 100 ㎖ 용액을 만들었다. 이 용액을 병에 넣고 20 ℃에서 30 분간 가열하여 멸균시켰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신규 항산화 화합물에 대한 자유 라디칼 소거 작용을 알아보기 위해 하기와 같은 실험예를 실시하였다.
[실험예] 생리활성 확인 실험
실험예 1. 과산화 라디칼 소거 효과
과산화 라디칼 소거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하기와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96 웰 마이크로플레이트의 각 웰 당, 크산틴 (0.5 mM)과 니트로블루테트라졸륨 (NBT, 0.1 mM)이 1:1 부피비로 용해된 인산칼륨 완충액 (50 mM, pH 7.8) 75 μL, 디메틸술폭사이드 (DMSO)에 시험물질이 용해된 각 농도의 시료 5 μL를 넣은 후, 1 unit/mL의 크산틴 옥시다제 25 μL를 첨가하여 37 ℃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 그리고, 하기 수학식 1로부터 과산화 라디칼 소거 활성(%)을 산출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는 비타민 E, 카페산(caffeic acid), 및 BHA(Butylated hydroxyanisole)를 사용하였다. 하기 표 1에는, 대조구에 비하여 흡광도 값을 50% 감소시키는 각 시료의 농도를 IC50 값으로 나타내었다.
Figure 112006003092374-pat00020
상기 수학식 1에서, A는 대조구의 흡광도를 나타내고, B는 시료의 흡광도를 나타낸다.
실험예 2. ABTS 라디칼 소거 효과
2,2'-아조-비스-(3-에틸벤티아졸린-6-설폰산) (ABTS) 라디칼 소거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하기와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95 μL의 ABTS 라디칼 양이온 용 액에, 시험물질 5 μL를 넣어 실온에서 5분간 방치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icroplate reader)로 734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시료를 넣지 않은 대조구와 비교하였다. 농도별로 각각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50% 소거 활성을 나타내는 농도를 상기 수학식 1에 의하여 계산하였고, 양성 대조군인 비타민 E, 카페산(caffeic acid), 및 BHA(Butylated hydroxyanisole)와 비교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3. DPPH 라디칼 소거 효과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라디칼 소거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하기와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DPPH는 그 자체가 매우 안정한 free radical로서 517 nm에서 특징적인 광흡수를 나타내는 보라색 화합물이다. 마이크로플레이트의 각 웰 당, 150 μM DPPH 용액 95 μL와 시료 5 μL를 넣고 실온에서 20분간 방치 한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icroplate reader)로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시료를 넣지 않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다. 농도별로 각각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50% 소거 활성을 나타내는 농도를 상기 수학식 1에 의하여 계산하였고, 양성 대조군인 비타민 E, 카페산(caffeic acid), 및 BHA(Butylated hydroxyanisole)와 비교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상기 실험예 1, 2 및 3의 방법에 의해 자유 라디칼을 50% 소거하는 농도 (IC50)를 지표로 신규 항산화 화합물들의 수퍼옥사이드, ABTS, DPPH 라디칼 소거능을 규명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자유 라디칼 소거 효과 (IC50, μM)
시료 과산화 라디칼 ABTS 라디칼 DPPH 라디칼
화학식 (1-b) 95 31.9 >100
화학식 (1-c) 38 13.1 >100
화학식 (1-d) 2.3 0.8 3.4
화학식 (1-e) 5.4 1.5 18.7
화학식 (1-f) 6.4 1.2 15.0
화학식 (1-g) 3.7 2.2 23.0
화학식 (1-h) 2.3 3.3 22.5
화학식 (1-i) 35 8.5 82.2
화학식 (1-j) 95 12 95.1
화학식 (1-k) 21 25 >100
화학식 (1-l) 40.5 75 >100
비타민 E >100 5.7 12.3
카페산 2.9 2.8 31.7
BHA 9.5 0.8 22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양성 대조구인 비타민 E, 카페산(caffeic acid), BHA보다 자유 라디칼 소거 활성이 강하거나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4. 랫트에 대한 비경구투여 급성 독성 시험
한편, 본 발명의 항산화 화합물의 급성 독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6 주령의 특정병원부재(SPF) SD계 랫트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급성독성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발명의 항산화 화합물 각각을 10 mL의 생리식염수에 현탁하여 0.1 g/kg의 용량으로 상기 랫트 2 마리의 전경골근 (anterior tibialis)에 근육 내 주사 투여하였다. 시험물질 투여 후 동물의 폐사여부, 임상증상, 체중변화를 관찰하고 혈액학적 검사와 혈액 생화학적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부검하여 육안으로 복강장기와 흉강장기의 이상여부를 관찰하였다. 시험결과, 시험물질을 투여한 모든 동물에서 특기할 만한 임상증상이나 폐사된 동물은 없었으며, 체중변화, 혈액검사, 혈액생화학 검사, 부검소견 등에서도 독성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 본 발명의 추출물 및 화학식 1의 항산화 화합물은 랫트에서 0.1 g/kg까지 독성변화를 나타내지 않으며 비경구 투여 최소치사량 (LD50)은 0.1 g/kg 이상인 안전한 물질로 판단되었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 본 바와 같이, 기와층버섯 추출물로부터 얻어진 신규 구조의 천연 화합물은 자유 라디칼을 강하게 소거하는 항산화 활성을 가지고 있으며, 부작용 및 독성이 적어 식품, 화장품 및 의약품의 소재로서 산업적으로 널리 이용될 수 있다.

Claims (2)

  1. 하기 화학식 중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
    Figure 112006077238995-pat00042
    ,
    Figure 112006077238995-pat00043
    Figure 112006077238995-pat00044
    ,
    Figure 112006077238995-pat00045
    Figure 112006077238995-pat00046
    ,
    Figure 112006077238995-pat00047
    Figure 112006077238995-pat00048
    상기 화학식에서, R1 및 R2는 각각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2.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유효성분으로 함유되어 있는 암, 노화, 관상동맥경화, 당뇨, 관절염, 간질, 뇌졸중, 파킨슨병, 알츠하이머병, 자가면역질환, 및 신경퇴행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제조성물 :
    Figure 112006077238995-pat00049
    ,
    Figure 112006077238995-pat00050
    Figure 112006077238995-pat00051
    ,
    Figure 112006077238995-pat00052
    Figure 112006077238995-pat00053
    ,
    Figure 112006077238995-pat00054
    Figure 112006077238995-pat00055
    상기 화학식에서, R1 및 R2는 각각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KR1020060004584A 2006-01-16 2006-01-16 천연 항산화 화합물 KR100672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4584A KR100672904B1 (ko) 2006-01-16 2006-01-16 천연 항산화 화합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4584A KR100672904B1 (ko) 2006-01-16 2006-01-16 천연 항산화 화합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2904B1 true KR100672904B1 (ko) 2007-01-22

Family

ID=38014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4584A KR100672904B1 (ko) 2006-01-16 2006-01-16 천연 항산화 화합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2904B1 (ko)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해당문헌 없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essa et al.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organic extracts and of pure flavonoids of Blumea balsamifera DC leaves
KR100926798B1 (ko) 페리너스 속 버섯 또는 이노노투스 속 버섯의 균사체배양물로부터 분리된 히스피딘 유사체를 포함하는 항산화조성물
Xiao et al. Schistosoma japonicum: in vitro effects of artemether combined with haemin depend on cultivation media and appraisal of artemether products appearing in the media
KR100836941B1 (ko) 차가버섯으로부터 분리된 항산화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0672904B1 (ko) 천연 항산화 화합물
WO2022215441A1 (ja) 新規ポリフェノール化合物
KR100833121B1 (ko) 활성산소 소거활성이 있는 신규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US11292807B2 (en) Molecules from seaweeds with anti-cancer activity
US10420808B2 (en) Seaweed extract and composition useful against cancer cells
KR100736456B1 (ko) 후피향나무 잎으로부터 분리된 신규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항산화제
KR100320787B1 (ko) 히스피딘계 활성산소소거물질 및 그 제조방법
KR100831757B1 (ko) 페리너스 속 버섯 또는 이노노투스 속 버섯의 균사체 배양물로부터 분리된 항산화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130005118A (ko) 사우치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위축 억제 및 예방용 조성물
Widiyarti et al. Cytotoxic activity of cytronellyl caproate on Murine Leukemia (P388) Cells
KR100831645B1 (ko) 항고지혈, 항산화 및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 참취 추출물및 그로부터 분리된 화합물
JP2006232807A (ja) 西洋わさび抽出物を含む抗酸化剤
KR100542323B1 (ko) 후박나무로부터 세포사멸 유도작용을 갖는 화합물을 분리하는 방법
KR100519080B1 (ko) 녹용으로부터 추출된 항진균제
KR100466031B1 (ko) 콩버섯 유래의 신규한 항산화성 화합물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성 조성물
KR100560100B1 (ko) 상황버섯에서 분리한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합물의 제조방법
KR20090087208A (ko) 신규 크라이토싸이빈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방지용 조성물
Alade et al. Weak Membrane Stabilizing Activity of Sydowinin B and Pitholide B
KR100882194B1 (ko) 항고지혈, 항산화 및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 참취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
KR100371085B1 (ko) 신규 엘라지탄닌 배당체 화합물
KR20220139512A (ko) 떨꿩나무 잎 유래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로시나제 활성 저해능력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