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2774B1 - 보수재 및 보수재의 제조방법 그리고 그것을 이용한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보수재 및 보수재의 제조방법 그리고 그것을 이용한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2774B1
KR100672774B1 KR1020040023380A KR20040023380A KR100672774B1 KR 100672774 B1 KR100672774 B1 KR 100672774B1 KR 1020040023380 A KR1020040023380 A KR 1020040023380A KR 20040023380 A KR20040023380 A KR 20040023380A KR 100672774 B1 KR100672774 B1 KR 100672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ubber
expandable
dough
re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3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8370A (ko
Inventor
이대우
이상윤
김영근
Original Assignee
이대우
이상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우, 이상윤 filed Critical 이대우
Priority to KR1020040023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2774B1/ko
Publication of KR20050098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83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2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2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34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5/00Compositions of bituminous materials, e.g. asphalt, tar, pitch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natural rubb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20Diluents or 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80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03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 E04G23/0211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using injec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ling Material Composi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완성한 후, 완성된 콘크리트 구조물에 크렉(Crack)발생 등의 원인으로 침수 및 누수가 되는 경우에 침수 및 누수 되는 부위를 보수하고 보완하여 구조물의 콘크리트의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보수재와 보수재의 제조방법 그리고 그것을 이용한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고무주재의 수팽창성 보수재는, 고무(Rubber)에 점착부여제인 석유수지, 포리부덴을 첨가하여 접착제와 같은 점착성을 갖고있으며 또한 물과 친화성이 있는 폴리아크릴레이트, CMC를 첨가하였으므로 침수 및 누수가 되고있는 물에 젖은 콘크리트와도 접착이 매우 우수한 보수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보수재 및 보수재의 제조방법 그리고 그것을 이용한 시공방법{ MENDING STUFF AND MANUFACTURING METHOD OF MENDING STUFF AND CONSTRUCTION METHOD FOR USING THE MENDING STUF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수재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수재를 이용한 보수 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콘크리트 구조물
114 : 방수층
120 : 주입구
130 : 액상의 수팽창성 보수재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완성한 후, 완성된 콘크리트 구조물에 크렉(Crack)발생 등의 원인으로 침수 및 누수가 되는 경우에 침수 및 누수 되는 부 위를 보수하고 보완하여 구조물의 콘크리트의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보수재와 보수재의 제조방법 그리고 그것을 이용한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콘크리트 구조물을 건설하여 완성한 후, 완성된 콘크리트 구조물이 부동 침하 또는 크렉 발생 등에 의하거나 또는 방수시공 하자로 인하여 내부 벽체에 누수 및 침수가 되면 구조물의 손상으로 인한 내구성 저하 및 수명단축 등 막대한 피해를 보게되어 큰 문제로 대두 되고있으며, 완성된 구조물이 양호한 성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 내부 벽체에서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차단하는 보수시공이 절실히 필요하다.
조금 더 부연설명을 하면, 개착식터널, 건물의 지하구조물, 지하차도, 지하철, 등의 콘크리트구조물을 건설하면서, 콘크리트구조물이 지하수 등에 피해를 보지 않기 위해서 콘크리트 외부면에 방수시공을 하여 건설하는 콘크리트에 누수 및 침수가 되지 않도록 외부 방수시공처리를 하게 된다. 상기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건설중이거나 건설을 완성한 후 구축된 콘크리트 구조물에 부동 침하 등으로 균열의 발생 및 방수시공 한 것이 하자가 발생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 벽체로 누수 또는 침수되어 물이 세면 완성된 구조물의 사용이 불편하고 구조물의 손상으로 내구수명이 단축됨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로 유입되는 누수를 차단하는 보수시공을 하게된다.
이의 개선책으로 종래에는 에폭시(Epoxy) 주입보수공법, 폴리우레탄(Polyurethan) 주입보수공법, 시멘트 밀크 그라우팅(Milk grauting)주입하여 침수 및 누수 되는 부위를 보수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여 왔다.
상기 에폭시 주입 보수공법은 콘크리트구조물의 균열 및 크렉으로 인하여 누수가 되고있는 갈라진 틈에 앙카를 설치하여 고정하여 설치한 공업용주사기로 2액형인 저점도의 에폭시를 틈세 사이로 주입하여 틈세 사이를 밀봉함으로서 누수되는 물길을 차단하여 보수하는 공법이다. 에폭시주입 보수공법은 저점도 타입으로 크렉 틈 사이로 에폭시의 주입이 용이하고 누수되는 젖은 콘크리트와의 접착력도 우수한 장점이 있는 반면에, 에폭시 보수제는 주제와 경화제로 조성된 2액형으로 현장에서 혼합하여 사용할 때 정확한 혼합이 어렵고, 또한 혼합한 에폭시를 공업용 주사기로 누수되는 틈세에 주입하여 밀봉하여 보수시공을 완료하지만, 보수시공 한 초기에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되는 부위의 콘크리트 면과 접착하면서 밀봉하여 완벽하게 보수를 하여 완료하였어도 시간이 경과하고 경화제에 의해 경화가 진행되면서 에폭시가 경화로 인한 형태변형으로 부착된 콘크리트 면과 탈락되어 틈세가 발생하는 경우가 자주 있어 재차 누수 되는 결점이 있다.
폴리우레탄 주입 보수공법은 저점도의 폴리우레탄을 공업용 주사기로 크렉부분에 주입하여 누수되는 부위를 밀봉하여 보수하는 공법으로, 폴리우레탄 보수제는 주제와 경화제로 조성된 2액형으로 조성되어있으며, 공업용 주사기로 누수되는 콘크리리트 구조물의 갈라진 틈세에 주입하면 주제인 폴리우레탄이 경화제에 의해 경화되어 누수되는 틈세를 밀봉하여 누수를 차단하는 공법이다.
폴리우레탄 보수제는 경화제에 의해 경화되어도 고무상태의 탄성을 갖이고 있으므로 경화후 변형이 되지를 않고 탄성에 의해 지속적으로 누수되는 틈세를 밀봉하여 누수를 차단하지만, 폴리우레탄의 최대 단점인 물과 접촉하면 물과 반응하 여 분해되는 결점에 의해, 폴리우레탄을 주입하여 완벽한 보수를 수행한 후 6개월이 경과하면서 서서히 누수 되는 물과 반응하여 주입 밀봉한 우레탄이 분해 및 부식되면서 갈라진 콘크리트 틈사이에 밀봉한 폴리우레탄이 수축 및 이완하여 콘크리트 벽체와 탈락되어 발생되는 틈세로 재차 누수되는 결함이 있어 최근에는 우레탄 보수공법을 기피하는 실정이다.
개착식 터널, 지하차도, 지하철 등의 건설 중이거나 완성후 구축된 콘크리트 구조물이 균열 및 크렉 등으로 침수 또는 누수로 인한 침투 수(水)에 의해 손상을 입게되어 이를 보수하고자, 종래에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되는 부위의 갈라진 틈세에 에폭시 또는 폴리우레탄을 공업용주사기로 주입하는 보수공법을 주로 적용하였으나, 기존의 발생된 균열 및 크렉의 갈라진 틈세에 주입 밀봉한 에폭시 또는 우레탄 보수제는 보수 시공한 초기에는 양호한 효과를 얻지만 시간이 경과하면서 보수 시공한 콘크리트 면과 탈락되어 재 누수가 발생된 폐단이 있고, 설사 완벽하게 보수하였을지라도 누수되는 부위가 주변으로 이동하여 새로운 갈라진 틈세가 발생하고 누수가 발생되면, 이것에 따라 보수시공을 계속하여야 함으로, 에폭시 주입 보수방법 또는 우레탄 주입 보수방법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 하자에 관한 근본적인 보수가 용이하지 않아 근년에 와서 시멘트밀크 그라우팅 보수방법을 적용하게 되었다.
시멘트밀크 그라우팅 보수공법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로 물이 침수되어 누수가 발생되면, 콘크리트 내측면의 누수가 발생되는 부위에서 바깥쪽의 방수층까지 콘크리트 구조물을 관통하는 보수제 주입 관통구를 뚫어 시멘트밀크 그라우팅 보수제를 주입하도록 주입구를 형성하고, 형성된 주입구를 통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측면의 방수층에 물이 침수되어 누수되고 있는 공간을 시멘트밀크 그라우팅을 주입하여 원천적으로 밀봉함으로서 침투수로 인한 누수를 원천적으로 봉쇄함으로서 누수로 인한 반복적인 보수시공 하는 것을 개선하게 되었다.
시멘트밀크 그라우팅 보수공법은 콘크리트 구조물이 침수되어 누수가 발생하는 콘크리트 외측면을 원천적으로 보수 시공함으로서 종래의 에폭시 보수공법, 우레탄 보수공법 보다는 우수한 보수공법임에는 틀림없으나, 시멘트밀크 그라우팅 보수재는 액상의 시멘트 교반물로 조성되어있어, 누수되는 공간에 주입하면 공간을 충진하면서 경화하는 것으로, 시멘트밀크 그라우팅 공법은 침수되는 공간에 연속적으로 계속 주입하여야 하며, 시멘트밀크 그라우팅 보수제를 주입하던 도중에 중단하다가 주입을 하는 경우에는, 먼저 주입한 시멘트밀크 그러우팅 보수재는 경화가 진행된 것에 새로운 시멘트밀크 그라우팅 보수재를 주입하면 층 분리로 인한 공간 틈세로 물이 침수되는 폐단이 있어, 이로 인하여 시멘트밀크 그라우팅 보수를 하고서도 침수로 인한 누수가 되는 폐단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각종 방수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고무(Rubber)에 물과 접촉하면 물(水)과 수화반응 하여 체적이 팽창하는 수 팽창제와 불건성유(不乾性油)를 첨가한 것을 유기 용제에 용해한 점조(粘稠)한 메스틱(mastic)형태의 고무 교반물로, 경화되지 않는 고무 주재의 수팽창성 보수재 및 그 보수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고무주재의 수팽창성 메스틱 형태의 경화되지 않는 보수재를 사용하여 보수 시공하는 보수공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건설된 콘크리트 구조물이 부동침하, 균열 및 크렉 등 또는 방수시공 하자에 의한 침수 및 누수로 피해를 보는 경우, 콘크리트 내측벽의 누수 되는 부위에서 외측벽의 방수층까지 관통하는 누수보수용 주입구를 뚫고 본 발명의 점조한 메스틱 형태의 고무주재의 수팽창성 보수재를 주입하여 물이 침수되는 공간을 충전하여 채우면서 방수기능을 발휘하면서 1차로 자가보수 하게되고, 물과 수화 반응하여 체적(부피)이 2∼3배 팽창하면서 팽창압에 의해 빈 공간을 밀봉 압박하여 더 이상 물이 침수되지 않도록 원천 봉쇄하면서 2차로 내벽 쪽의 균열 및 크렉으로 인한 틈세를 메꾸어 지속적으로 침수 또는 누수를 차단하는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건설중이거나 건설이 완료된 콘크리트 구조물(구체)의 부동침하, 크렉에 의한 손상 또는 방수시공하자로 인한 침수로 손상을 입게되는 경우에, 손상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침수 및 누수로 유입되는 물(水)을 차단하는 보수재의 제조방법의 제공과 그것을 이용한 보수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에 발생되는 침수 및 누수로 유입되는 물은 콘크리트 구조물 자체의 부동침하 또는 거동으로 인한 균열 및 크렉에 의해서 또는 방수시공 하자로 인한 방수층의 부실시공 및 방수층 파손 또는 방수층이 노후 되어 콘크리트 바탕면과 분리되는 경우에 방수층의 손상부위로 유입된 물은 방수층의 분리된 부위를 따라 확산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취약부위인 균열 및 크렉부분을 통하여 콘크리트 내부로 물이 유입되면서 누수가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고무주재의 수팽창성 보수재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거동으로 인한 균열 및 크렉에 의해서 또는 방수층의 파손으로 인해서 유입된 물이 침수 또는 누수가 되고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측면에서 외측면의 방수층까지 관통하는 보수제 주입구를 뚫고 본 발명의 고무주재의 수팽창성 보수재를 주입하면, 콘크리트 벽체의 외측면의 파손된 방수층의 공간을 충전하면서 1차로 방수기능을 발휘하면서, 유입된 물과 수화반응 하여 체적이 2∼3배 팽창하면서 팽창압에 의해 2차로 유입되는 물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고 한편으로는 콘크리트 내측면의 균열 및 크렉에 의한 틈세에 충진 밀봉함으로서 누수 되는 것을 완전 차단함으로서 완벽한 보수가 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고무주재의 수팽창성 보수재는, 고무(Rubber)에 점착부여제인 석유수지, 포리부덴을 첨가하여 접착제와 같은 점착성을 갖고있으며 또한 물과 친화성이 있는 폴리아크릴레이트, CMC를 첨가하였으므로 침수 및 누수가 되고있는 물에 젖은 콘크리트와도 접착이 매우 우수한 보수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고무주재의 수팽창성 보수재는 점조한 액상으로 조성되어 있어 보수재와 보수재간에 접합이 간단히 접착되어 일체화되고 물이 있는 콘크리트 면과 접착이 매우 우수함으로, 콘크리트 벽체에 균열 및 크랙이 발생되어 물이 흐르는 틈 사이 또는 콘크리트 벽체 외측면의 손상된 방수층에 물이 유입되고 있는 물에 젖은 콘크리트와도 접착이 매우 우수하여, 손상된 콘크리트 구조물에 본 발명의 보수제를 주입하면, 콘크리트 벽체에 물의 유입으로 침수 및 누수 되는 공간의 콘크리트 외측면과 밀착 접합하면서 충전을 하면서 방수기능을 발휘하게되고, 충전하면서 유입된 물과 수화반응 하여 체적이 2∼3배 팽창하면서 압밀 밀봉하게 됨으로 손상된 콘크리트 벽체에 물이 유입되는 물길을 차단하여 침수 및 누수를 완전 차단하는 완벽한 보수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로 인해 한정되어 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3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 상기 도면들에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병기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수제의 제조 과정을 설명하는 플로우챠트이고, 도 2 내지 도 3은 그것을 사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고무주재의 수팽창성 점조한 메스틱 형태의 보수제의 조성은 다음과 같다.
고무 주재 : 천연고무, 합성고무(CR고무, IIR고무, BR고무, EPT고무, SBR고무, NBR고무, IR고무)중의 하나 .......................... 100 g
점착부여제 : 구마론수지(Cumarone Resins) .................... 15 g
포리부텐(Polybutene) ........................... 10 g
수 팽창 제 : 소디움 폴리아크릴 레이트(Sodium polyacryllate) .. 3-5 g
CMC(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 1-3 g
연 화 제 : 피마자 유(Castor Oil) ............................. 15 g
유동 파라핀(Paraffin Oil)) ........................ 10 g
노화방지제 : 노방3C(Phenylisopropyl-p-phenylenediamin) ......... 2 g
노방RD(Pplymerized trimethyl dihydroquinoline) ..... 1 g
충 진 제 : 탄산칼슘(Calcium Carbonate) ...................... 30 g
규조토(Diatomaceous Earth) ........................ 20 g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하나의 예를 든 것으로서, 고무주재는 종류별로 고유한 물성과 특성이 다르므로, 본 발명의 보수제의 사용용도 또는 수요자의 요구에 따라 천연고무 또는 합성고무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천연고무와 합성고무를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본 발명자는 천연고무와 합성고무를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시험하여 본 결과는 CR고무와 IIR고무를 6 :4 비율로 혼합 한 것 또는 IIR고무(부칠고무)와 IR고무(Isoprene Rubber)를 7 :3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한 것이 물에 흠뻑 젖은 콘크리트와 계면접착이 매우 우수하였고 물과 접촉하고 수화반응하여 체적이 2∼3배 팽창하여도 물에 풀림이 없이 본래의 탄성과 점도를 유지하였다.
본 발명의 고무주재의 수팽창성 액상 보수재를 물이 담긴 대형시험관에 넣 어본 결과, 물에 잠긴 대형시험관의 유리 벽면과 접착이 매우 우수함이 보였고 보수재가 물속에 갈아 앉고 물과 분리되어 하층의 물이 보수제 상부에 위치하면서 6시간이 경과 후 보수제의 체적이 팽창하면서 상부에 위치한 물이 상승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보수제의 상부에 위치한 물은 원래 대로 매우 깨끗이 투명하고 전혀 오염된 물질이 보이지 않아, 본 발명의 고무주제의 수팽창성 보수제는 물과 접촉하여 수화반응에 의하여 체적은 팽창할지라도 물에 구성성분이 전혀 추출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이것은 본 발명의 보수제를 콘크리트 구조물 벽체의 거동으로 인한 손상 또는 방수층의 파단으로 인하여 물이 침수하거나 누수되는 경우 본 발명의 보수제로 보수시공하면 완벽하게 보수가 되면서 환경오염도 없다는 것을 추정할 수 있었다,
본 발명자는 시멘트 몰-탈로 손상된 구조물의 형상을 제작하여 본 발명의 고무주재의 수팽창성 액상 보수제를 주입하여 보았더니, 물이 유입되는 빈 공간을 충진하고 균열된 틈세에도 침투하여 틈세를 메꾸어 물의 유입을 차단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성분과 성분 비율에 따른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밀폐식 혼합기계인 밤바리 믹서기계(Bambury Mixer) 또는 니-다기계(Kneader Mixer)에 천연고무 또는 합성고무(CR고무, IIR고무, BR고무, EPT고무, SBR고무, NBR고무, IR고무)가운데 하나 100g과 점착부여제인 구마론수지(15g),포리부텐(10g)를 넣어 고르게 분산되도록 교반 혼합하여준 후 노화방지제인 노방3C(2g), 노방RD(1g)와 팽창제인 소디움 폴리아크릴레이트(5g),CMC(3g)를 넣어 주어 혼합 교반한 후에 충진제인 탄산칼슘(30g)와 규조토(20g)와 연화제인 피마자유(15g), 유동파라핀(10g)를 함께 넣어 고르게 잘 혼합되도록 교반한 고무혼합 생지를 고무 혼합기계인 오픈 로-라(Open Roller)에서 재차 잘 혼합되도록 교반하면서 일정한 두께(7∼10㎜)의 시트로 제조(1차 혼합단계)한 것을 절단기에서 잘게 절단한다.
잘게 절단한 고무혼합 생지를 액상 교반기에 넣고, 고무혼합 생지에 대하여 1:2의 비율로 토루엔, 키실렌, 솔벤트 등의 유기용제를 넣어 액상 교반기로 교반하여 주면, 액상 교반기에서 교반하여준 고무혼합 생지가 토루엔, 키실렌 또는 솔벤트 등의유기용제에 완전히 용해하여 점도가 4000∼5000pcs의 점조한 메스틱 형태의 고무주재의 수팽창성 보수제가 제조된다(2차 혼합단계).
부연하여 설명하면,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고무혼합 생지 1kg에 대해서 상기 용제인 토루엔, 키실렌, 또는 솔벤트 등을 2000cc 의 비율로 첨가하여 완전히 용해하면 본 발명의 점조한 메스틱 형태의 수팽창성 보수재가 제조된다.
상기 유기용제인 토루엔, 키실렌, 솔벤트 등은 휘발성이 강한 방향족 유기용제로서, 제조작업 중 또는 보수시공 작업중 대형 화제의 위험이 있어, 불연성 용제인 트리크로에칠렌(Trichloroethylene), 포크로로 에칠렌(Perchloro Ethylene), 염화메칠렌(Methylene Chloride) 등의 염화물이 주성분인 불연성(不燃性) 용제를, 상기와 같은 비율인 고무혼합 생지 1 Kg에 대해 2000cc의 비율로 첨가하여 완전히 용해하면 화재의 위험이 없는 불연성인 메스틱 형태의 수팽창성 보수제를 제조한다.
상기 불연성 용제인 트리크로로에칠렌, 퍼크로로 에칠렌, 염화메칠렌은 가격 이 비교적 고가에 속함으로, 제조비의 절감을 희망하면, 상기의 불연성 용제 50%에 일반 방향족 용제인 토루엔, 키실렌, 솔벤트 등의 용제를 30%∼50%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불연성인 고무주재의 수팽창성 보수재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으로 제조한 고무주재의 수팽창성 보수재는, 고무주재에 점착부여제인 구마론수지 및 포리부텐을 첨가하고, 물과 접촉하면 물을 흡수하여 체적이 12배∼15배로 체적이 팽창하고 건조 시에는 원상태의 체적으로 수축하였다가 물과 다시 접촉하면 다시 물을 흡수하여 체적이 팽창하는 반복적인 수화반응을 하는 수팽창제인 소디움 폴리아크릴레이트와 CMC를 첨가하고 혼합하여 조성하였고, 고무자체의 점착력이 있는데다가 다량의 점착부여제를 첨가한 것을 액상으로 제조하여 점착력이 매우 강력하도록 조성한 것에, 물과 친화성이 우수한 수팽창제를 첨가하여 액체로 제조한 것이므로, 수중의 콘크리트 벽체 등에 매우 접착이 우수하도록 조성하였다.
본 발명의 고무주재의 수팽창성 보수재가 물과 접촉하여 지나친 수화팽창으로 과도하게 팽창하여 불투수층이 파괴되어 방수능력을 상실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량의 수팽창제를 첨가하여 2배∼3배만 팽창하도록 하여 제조함으로서, 본 발명의 보수제는 치밀한 불투수층을 형성하여 방수능력을 백분 발휘하면서도 빠른 유속의 물에 접하여도 강력한 점착력과 접착력에 의해 탈락되어 유실됨이 없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고무주재의 수팽창성 보수재가 물과 접촉하면서 장구한 시간동안 보수제의 기능을 백분 발휘하도록 하기 위하여 노화방지제와 내수성의 연화제를 첨가하여 보완하였으므로 내구성이 우수하다.
수요자의 요청 및 시장여건에 의해 저렴한 보수제를 요구하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조성비율에 따라 고무주제에 점착부여제인 구마론수지,포리부텐을 첨가하면서 아스팔트(Asphalt)를 40g을 첨가하고 팽창제, 연화제, 노화방지제, 충진제를 첨가하여 유기용제에 용해하면 저렴한 본 발명의 보수제가 제조되며, 고무의 점착성과 첨가한 점착부여제와 아스팔트의 점착력이 상승 작용하여 끈끈한 점착성이 매우 우수하고 물에 흠뻑 젖은 콘크리트와의 접착성도 우수하다.
다만 아스팔트를 첨가하는 경우에는, 고무주제에 아스팔트를 첨가하고 용제에 용해하면 연화되어 너무 물러지므로 상기 실시예의 조성성분과 조성비율에서 유동 파라핀(10g)의 첨가를 배제하고 피마자유(15g)만 첨가하고 아스팔트는 불라운 아스팔트를 첨가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고무주재인 수팽창성 보수재의 기술적인 테크닉은 고무에 점착부여제인 구마론수지와 포리부텐을, 수팽창제인 소디움 폴리아크릴레이트와 CMC를, 충전제로 무기화학물인 탄산칼슘과 규조토를 첨가하고 연화제인 피마자유를 첨가하여 혼합 교반한 것을 유기용제에 용해하여, 우수한 방수성능을 보유한 된꿀과 같이 끈끈한 점액질 액상의 메스틱 형태인 유동성 물질로 제조하는 보수용 방수제에 관한 것으로, 이것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구조체의 바탕면이 거동하여 갈라져 균열 및 크렉이 발생하거나 또는 방수층이 손상되어 물이 유입되는 부위에 주입하여 보수 시공하면 점조한 메스틱 형태의 유동성액상인 본 발명의 고무주재인 수팽창 보수재가 손상 부위의 형태와 공간에 적응하면서 메꾸어 방수기능을 발휘하고 자가 보수하게되며, 물이 유입되면 2차로 물과 수화반응하여 체적이 2배∼3배 팽창하면 서 팽창압력에 의해 손상된 콘크리트 구조체 표면에 압밀 접착하여 물의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완벽한 보수 기능을 발휘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인 테크닉을 십분 발휘하기 위해서는, 고무와 점착부여제의 역할은 끈끈한 접착력을 발휘하면서 방수재로서의 기능을 발휘하도록 하고, 고무와 혼합한 수팽창제의 역할은 물과 접촉하면 물을 흡수하여 체적이 팽창되면서 팽창압을 생성토록 하며, 연화제는 지속적인 유동성을 보유하여 콘크리트 구조체의 거동에 적응하여 공간적응이 원활하도록 하는데 있다.
종래의 고무주재에 수팽창제를 첨가하여 제조한 수팽창성 고무제품은 가황을 하거나 경화하여 사용함에 반에, 본 발명의 고무주재의 수팽창성 보수재는 경화를 하지 않고 지속적인 유동성을 보유하기 위하여 연화제로 불건성유인 피마자유 및 유동 파라핀을 첨가하여 항시 유동적인 끈끈한 점액질로 유지하도록 조성하였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한 고무주재 수팽창성 보수제를 건물의 천장 및 옥상 또는 건물의 지하구조물 및 지하철, 지하차도 등의 지하의 콘크리트 구조물이 부동침하 등의 원인에 의한 콘크리트의 거동에 의하거나 또는 방수층의 파단 또는 노후화로 인하여 방수층이 손실되어 물이 침입하여 이로 인한 누수가 발생되는 경우 콘크리트 구조물(110)의 내부측벽(112)에서 외부측벽의 방수층(114)까지 천공하여 누수보수용 주입구(120)를 확보한 후(도 3의 A참조), 본 발명의 끈끈한 점액질로 된 고무주재인 수팽창성 보수제(130)를 주입기계로 주입하면 손상된 공극을 충진하면서 1차적으로 새로운 방수층을 형성하여 자가치유를 하고(도 3의 B참조), 외부로부터 물(침투수)이 침수되면 2차적으로 침수되는 물과 수 화반응하여 체적이 2배∼3배로 팽창하여 팽창압에 의해 침수되는 물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도 3의 C참조) 완벽한 보수시공이 되는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보수재 및 그것의 제조 방법 그리고 그것을 사용한 보수 시공 방법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적용하면, 상기 실시예의 구성비로 조성된 본 발명의 고무주재의 수팽창성 보수재는, 고무주재에 점착부여제, 수 팽창제, 연화제, 노화방지제, 충진제를 첨가하고 혼합한 고무 생지를 유기용제 용해하여 된꿀 상태의 점착력이 강한 보수제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거동 또는 방수층의 노화 및 파단으로 인하여 물이 유입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에 누수 등이 발생하는 부위에 보수 주입구를 통하여 본 발명의 보수재를 주입하면, 다양한 형상의 물이 유입되는 공간에 적응하여 충진하면서 1차적인 방수기능을 발휘하면서 자가 보수하고, 계속 유입되는 물과 접촉하여 체적이 2배∼3배로 팽창 하면서 팽창압에 의해 공간을 밀착 압밀하여 누수되는 통로를 차단하여 2차적으로 완전한 보수를 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일반 방향족 유기용제에 용해하지 않고, 불연성 유기용제에 용해하여 불연성인 점조한 메스틱 상태의 점착력이 강력한 수팽창성 보수재의 제조를 하여 대형화재에 대비하도록 한다.

Claims (8)

  1. 수팽창성 보수재에 있어서:
    고무주재에 점착 부여제, 노화방지제, 팽창제, 충진제, 연화제를 혼합하여 고무혼합 생지를 만들고, 이 고무혼합 생지에 추가로 유기용재를 혼합하여 점조(粘稠)한 메스틱 (mastic) 상태로 제조하되, 상기 연화제는 지속적인 유동성 보유하기 위하여 건조되지 않는 불건성유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팽창성 보수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혼합 생지와 상기 유기용재의 혼합 비율은 약 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팽창성 보수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혼합 생지에는 아스팔트가 더 포함되며,
    상기 유기용제는 불연성 용제인 트리크로로에칠렌, 퍼크로로 에칠렌, 염화메칠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팽창성 보수재.
  4. 수팽창성 보수재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고무주재에 점착 부여제, 수팽창제, 연화제, 노화방지제, 충진제를 혼합하여 반죽 상태의 고무혼합 생지를 만드는 1차 혼합 단계;
    상기 고무혼합 생지에 유기용재를 혼합하여 점조(粘稠)한 메스틱 (mastic) 상태로 만드는 2차 혼합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연화제는 지속적인 유동성 보유하기 위하여 건조되지 않는 불건성유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팽창성 보수재 제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혼합 생지와 상기 유기용재의 혼합 비율은 약 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팽창성 보수재 제조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혼합 생지에는 아스팔트가 더 첨가되고,
    상기 유기용제는 불연성 용제인 트리크로로에칠렌, 퍼크로로 에칠렌, 염화메칠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팽창성 보수재 제조 방법.
  7. 수팽창성 보수재를 이용하여 벽면과 방수층을 갖는 구조물을 방수 보수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수층이 파손된 부분으로 관통하는 주입구를 상기 벽면에 형성하는 단계;
    상기 주입구를 통해 상기 방수층이 파손된 부분으로 상기 수팽창성 보수재를 주입하는 단계;
    상기 주입구를 밀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수팽성성 보수재는 고무주재에 점착 부여제, 수팽창제, 건조되지 않는 불건성유인 연화제, 노화방지제, 충진제를 혼합하여 반죽 상태의 고무혼합 생지를 만들고, 그 고무혼합 생지에 유기용재를 혼합하여 점조(粘稠)한 메스틱(mastic)상태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팽창성 보수재를 이용한 방수 보수 시공 방법.
  8. 삭제
KR1020040023380A 2004-04-06 2004-04-06 보수재 및 보수재의 제조방법 그리고 그것을 이용한시공방법 KR100672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3380A KR100672774B1 (ko) 2004-04-06 2004-04-06 보수재 및 보수재의 제조방법 그리고 그것을 이용한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3380A KR100672774B1 (ko) 2004-04-06 2004-04-06 보수재 및 보수재의 제조방법 그리고 그것을 이용한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8370A KR20050098370A (ko) 2005-10-12
KR100672774B1 true KR100672774B1 (ko) 2007-01-24

Family

ID=37277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3380A KR100672774B1 (ko) 2004-04-06 2004-04-06 보수재 및 보수재의 제조방법 그리고 그것을 이용한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277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854B1 (ko) 2007-03-22 2008-06-13 주식회사 한강개발 노즐을 이용한 보수공법 및 보수용 노즐
KR101000497B1 (ko) 2010-09-14 2010-12-14 (주)실리칼플로어 콘크리트 주입 보수제와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공극체적확인 및 지수공법
CN105368117A (zh) * 2015-11-18 2016-03-02 广德县常丰竹木业制品有限公司 一种木用修补腻子及其制备方法
CN106046905A (zh) * 2016-08-14 2016-10-26 谢新莉 一种墙面装饰用环保抗裂材料及制备方法
CN106497206A (zh) * 2016-12-27 2017-03-15 苏州润景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环保抗裂水性装饰板腻子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296B1 (ko) * 2006-01-03 2008-07-10 이대우 복합형 수팽창 고무시트의 제조방법 및 그 고무시트를이용한 시공방법
KR101500958B1 (ko) * 2012-10-18 2015-03-10 한국석유공업 주식회사 초속경 고분자계 콘크리트 보수재
KR101278545B1 (ko) * 2012-11-07 2013-06-24 이에이바이오스 주식회사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 보수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20426A (en) 1981-01-20 1982-07-27 Hayakawa Rubber Co Ltd Unvulcanized rubber plate for successive pour
JPS6035074A (ja) 1983-08-04 1985-02-22 Futaba Gomme Kogyo Kk ゴムパツキング材の製造法
KR940011545A (ko) * 1992-11-25 1994-06-21 이대우 물접촉 팽창성 액상 고무
KR950000383A (ko) * 1993-06-29 1995-01-03 이대우 방수시트 제조방법
KR20000015397A (ko) * 1998-08-28 2000-03-15 이대우 미가류 상태의 불연성 도막 방수재의 제조방법 및 그 방수재를이용한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20426A (en) 1981-01-20 1982-07-27 Hayakawa Rubber Co Ltd Unvulcanized rubber plate for successive pour
JPS6035074A (ja) 1983-08-04 1985-02-22 Futaba Gomme Kogyo Kk ゴムパツキング材の製造法
KR940011545A (ko) * 1992-11-25 1994-06-21 이대우 물접촉 팽창성 액상 고무
KR950000383A (ko) * 1993-06-29 1995-01-03 이대우 방수시트 제조방법
KR20000015397A (ko) * 1998-08-28 2000-03-15 이대우 미가류 상태의 불연성 도막 방수재의 제조방법 및 그 방수재를이용한 시공 방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01015690000
1001080070000 *
1020000015397 *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854B1 (ko) 2007-03-22 2008-06-13 주식회사 한강개발 노즐을 이용한 보수공법 및 보수용 노즐
KR101000497B1 (ko) 2010-09-14 2010-12-14 (주)실리칼플로어 콘크리트 주입 보수제와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공극체적확인 및 지수공법
CN105368117A (zh) * 2015-11-18 2016-03-02 广德县常丰竹木业制品有限公司 一种木用修补腻子及其制备方法
CN106046905A (zh) * 2016-08-14 2016-10-26 谢新莉 一种墙面装饰用环保抗裂材料及制备方法
CN106497206A (zh) * 2016-12-27 2017-03-15 苏州润景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环保抗裂水性装饰板腻子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8370A (ko) 2005-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2774B1 (ko) 보수재 및 보수재의 제조방법 그리고 그것을 이용한시공방법
KR101951792B1 (ko) 점도가 서로 다른 2종의 아크릴 주입제를 사용하는 보수공법
CN111364517A (zh) 一种预制综合管廊接头防水连接结构
KR100920963B1 (ko) 고성능 그라우트재를 이용한 이음부의 누수보강구조 및누수보강공법
KR101902836B1 (ko) 콘크리트 일체형 유무기 하이브리드 방수재 적층 자착형 점착씰 보강방수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보수시공공법
KR100845296B1 (ko) 복합형 수팽창 고무시트의 제조방법 및 그 고무시트를이용한 시공방법
CN105780940A (zh) 建筑物伸缩缝防渗漏结构
CN112593726A (zh) 一种寒区的抗冻胀堵漏和加固方法
KR100995901B1 (ko) 무용제 보수제 및 무용제 보수제의 제조방법 그리고 그것을이용한 시공방법
KR100996448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이음부 방수공법
KR100631171B1 (ko) 도막방수재의 제조방법 그리고 그것을 사용한 방수 시공 방법
KR100512074B1 (ko) 건축 구조물의 이음부위 방수공법
KR19980067712A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방지 또는 누수예방용 주입액 및 이 주입액을 사용한 방수공법
JP2017193869A (ja) コンクリート面の漏水対策工法
KR100454605B1 (ko) 신/구 구조물 이음부 누수에 대한 고밀도 가압 보수 공법
CN113503056A (zh) 一种建筑物变形缝渗漏维修方法
JPH0238700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クラック・目地等の補修方法
CN216041825U (zh) 一种用于混凝土构件裂缝的防水结构
KR100385998B1 (ko) 구조물 이음부의 패킹재 사용에 의해 누수방지하는 방법
Pro Water control using polyurethane resins
KR0180959B1 (ko) 건축 구조물의 방수공법
IT201900012477A1 (it) Procedimento per la sigillatura di giunti fra conci prefabbricati o elementi costruttivi simili, in particolare nella costruzione di tunnel e gallerie, e corrispondenti sistema e striscia di sigillatura
JP2019183591A (ja) ひび割れを有する構造物の補修方法
CN115126933B (zh) 管节间的密封装置和密封装置的使用方法
KR20120099839A (ko) 케이엘라스틱 차수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