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2191B1 - 필름 점착력 측정방법 및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필름 점착력 측정방법 및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2191B1
KR100672191B1 KR1020040039276A KR20040039276A KR100672191B1 KR 100672191 B1 KR100672191 B1 KR 100672191B1 KR 1020040039276 A KR1020040039276 A KR 1020040039276A KR 20040039276 A KR20040039276 A KR 20040039276A KR 100672191 B1 KR100672191 B1 KR 100672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adhesive force
measuring
air
air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9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4074A (ko
Inventor
김영택
전세기
이대해
Original Assignee
삼성코닝정밀유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코닝정밀유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코닝정밀유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9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2191B1/ko
Publication of KR20050114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40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2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2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9/00Investigating materials by mechanical methods
    • G01N19/04Measuring adhesive force between materials, e.g. of sealing tape, of coa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2Details
    • G01N3/04Chuc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2035/00178Special arrangements of analysers
    • G01N2035/00277Special precautions to avoid contamination (e.g. enclosures, glove- boxes, sealed sample carriers, disposal of contaminated material)
    • G01N2035/00297Antistatic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 Other Investigation Or Analysis Of Materials By Electr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점착력 및 자기 점착력 필름의 점착력을 측정함에 있어서 제전기를 이용하여 정전기를 제거하고 에어 브오우잉(Air Blowing)을 사용하여 필름의 점착력을 측정할 수 있는 필름 점착력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점착력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은, 종래의 스프링 방식으로는 점착력 측정이 불가능하였던 저점착력 필름, 특히 3g/25mm 이하의 저점착력을 갖는 필름에 대하여 점착력을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에어 브로우잉(Air Blowing) 방식을 사용하여 필름의 손상을 방지하고 보다 정밀한 측정 및 평가가 가능한 현저한 효과가 있다.
점착력; 에어노즐; 제전기

Description

필름 점착력 측정방법 및 측정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ADHESIVENESS OF FILM}
도 1a 내지 도 1c 는 본 발명에 따른 점착력 측정부를 도시한 도.
도 2a 내지 도 2c 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장부를 도시한 도.
도 3a 및 도 3b 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노즐과 각도 조정기을 도시한 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점착력 측정부 12 : 측정부
14 : 플레이트부 16 : 가이드부
18 : 에어노즐 20 : 스테이지
22 : 제전기 노즐 24 : 각도 조정기
26 : 인덱스 플런저 28 : 완충부
30 : 전장부 32 : 레귤레이터
34 : 타이머 36 : 솔레노이드 밸브
38 : 제전기 전원부 40 : 제전기 컨트롤러
50 : 측정시편
본 발명은 필름 점착력 측정방법 및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저점착력 및 자기 점착력 필름의 점착력을 측정함에 있어서 제전기를 이용하여 정전기를 제거하고 에어 브로우잉(Air Blowing)을 사용하여 필름의 점착력을 측정할 수 있는 필름 점착력 측정방법 및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필름의 점착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스프링 등을 이용하여 필름을 벗겨내면서 이때 측정되는 힘을 기준으로 점착력을 측정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방식의 경우 스프링 강도의 미세한 조절이 곤란한 점 등으로 인해 미세한 점착력 차이에 대한 변별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 방식을 이용할 경우 점착력이 비교적 높은 필름에 대하여는 측정이 가능한 반면, 점착력이 낮은 필름, 예를 들어 3g/25mm 이하의 점착력을 갖는 필름의 점착력을 측정하는 것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필름이 변형되어 측정치의 오차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점착력 측정장치의 경우 필름의 정전기를 제거하지 않은 상태에서 점착력 측정이 진행되므로, 정전기가 발생할 경우 주변 환경에 의해 측정값이 달라지게 되어 정확한 측정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저점착력을 갖는 필름에 대하여 필름의 변형이나 정전기에 의한 측정 오차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저점착력 필름의 점착력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필름 점착력 측정방법 및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점착력 측정방법은, 저점착력을 갖는 필름의 점착력을 측정함에 있어서, 제전기를 이용하여 필름의 정전기를 제거하고 에어 브로우잉(Air Blowing)하여 필름의 떨어진 길이를 측정함으로써 점착력을 측정하는 필름 점착력 측정방법으로서, 평판유리의 일면에 필름이 부착된 일정 크기의 측정시편을 고정하는 제 1 단계, 정전기를 제거하는 제전기로부터 발생된 이온을 측정시편으로 분출하여 필름의 정전기를 제거하는 제 2 단계, 평판유리와 필름의 부착면으로 에어를 브로우잉하는 에어노즐의 에어 브로우잉 압력 및 시간을 설정하는 제 3 단계, 에어노즐을 통해 에어를 브로우잉하는 제 4 단계 및 필름의 떨어진 길이를 측정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고, 제 2 단계가 제 3 단계와 순서에 무관하게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단계에서 필름이 밑으로 배치되도록 측정시편을 거치 및 고정하도록 한다. 또한, 제 3 단계가, 에어노즐을 소정의 초기설정 높이로 이동하는 제 3-1 단계를 포함하도록 하며, 이때, 제 1 단계 및 제 3-1 단계에서, 측정시편의 평판유리의 중앙부과 에어노즐의 중앙부가 일치하도록 측정시편과 에어노즐 을 배치하도록 한다. 아울러, 필름은 3g/25mm 이하의 점착력을 갖는 저점착력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점착력 측정장치는, 저점착력을 갖는 필름의 점착력을 측정함에 있어서 에어 브로우잉(Air Blowing) 후 필름의 떨어진 길이를 측정함으로써 점착력을 측정하는 필름 점착력 측정장치로서, 평판유리의 일면에 필름이 부착된 일정 크기의 측정시편을 고정하고, 평판유리와 필름의 부착면으로 에어 브로우잉한 후 필름의 떨어진 길이를 측정하는 점착력 측정부와, 이온을 생성 및 분출하여 필름에 발생하는 정전기를 제거하는 제전기, 그리고 점착력 측정부 및 제전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장부를 포함하고, 점착력 측정부가, 평판유리와 필름의 부착면으로 에어를 브로우잉하는 에어노즐 및 에어 브로우잉 후 필름의 떨어진 길이를 측정하는 측정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점착력 측정부가, 측정시편을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도록 한다. 또한, 전장부가, 에어노즐의 에어 브로우잉 압력을 조절하며, 에어노즐과 연결되는 레귤레이터, 제전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전기 컨트롤러, 에어노즐의 에어 브로우잉 시간을 조절하는 타이머 및 에어노즐의 에어 브로우잉을 온/오프하는 밸브를 포함하도록 하며, 이때, 밸브로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사용하도록 한다. 아울러, 점착력 측정부는, 에어노즐의 높이를 미세 조절하는 스테이지를 더 포함하도록 하고, 제전기는 코로나 제전방식으로 이온을 생성하도록 한다. 또한, 제전기는, 측정시편을 향해 노출 형성되어, 생성된 이온을 측정시편으로 분출하는 제전기 노즐을 더 포함하도록 하며, 이때, 제전기가 측정시편의 위치에 따라 볼 플렌저를 이용하여 제전기 노즐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정기를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장점, 특징 및 바람직한 실시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점착력 측정장치는 점착력 측정을 위한 점착력 측정부와 점착력 측정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전장부로 이루어진다. 점착력 측정부는 저점착력 필름이 부착된 평판유리(측정시편)를 장착하고, 장착된 측정시편으로 에어를 브로우잉(blowing)하여 평판유리로부터 필름이 떨어지도록 한다. 또한, 점착력 측정부는 평판유리로부터 필름이 떨어진 길이를 측정하고 필름의 떨어진 길이를 토대로 필름의 점착력을 측정하게 된다. 전장부는 점착력 측정부의 동작을 제어하는데, 구체적으로 에어의 브로우잉 압력 및 시간을 조절하고 에어의 브로우잉을 온/오프시키게 된다. 또한, 전장부는 측정시편으로 이온을 분출하여 필름의 정전기를 제거하는 제전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점착력 측정부 및 전장부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a 내지 도 1c 는 본 발명에 따른 점착력 측정부를 도시한 도로서, 도 1a 는 점착력 측정부의 평면도, 도 1b 는 점착력 측정부의 측면도, 그리고 도 1c 는 점착력 측정부의 정면도이다. 또한, 도 2a 내지 도 2c 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장부를 도시한 도로서, 도 2a 는 전장부의 정면도, 도 2b 는 전장부의 측면도, 그리고 도 2c 는 전장부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3a 및 도 3b 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노즐과 각도 조정기를 도시한 도로서, 도 3a 는 에어노즐과 측정시편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b 는 에어노즐, 측정시편 및 각도 조정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a 내지 도 3b 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점착력 측정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점착력 측정부(10)는 저점착력 필름이 평판유리의 일면에 부착된 측정시편(50)을 고정하고, 저점착력 필름과 평판유리의 부착면 사이(측면)로 에어를 브로우잉하여 필름이 떨어진 길이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이다. 점착력 측정부(10)의 각 구성부에 대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먼저, 플레이트부(14)는 저점착력 필름이 부착된 평판유리, 즉 측정시편(50)을 장착하는 구성부로서, 측정시편을 점착력 측정부(10)의 상면에 수평으로 고정하게 된다. 플레이트부(14)는 측정시편을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하여 점착력 측정부의 상면의 좌우에 상호 대향하는 형상으로 두개 구비된다. 한편, 플레이트부에 측정시편을 장착할 때에는 필름이 밑으로 오도록 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부(16)는 좌우의 플레이트부(14)를 결착하고 플레이트부의 이동을 지지하는 구성부이다. 바람직하게는, 플레이트부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하여, 가이드부(16)는 좌우 플레이트부(14)에 대하여 두개 이상 구비하도록 하며, 플레이트부의 양 단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한 위치에 구비하도록 한다. 따라서, 플레이트부(14)를 측정시편(50)의 사이즈에 맞게 좌우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측정시편을 플레이트부에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플레이트부(14)가 움직이는 좌우 방향은 점착력 측정부(10)의 평면도 및 측면도인 도 1a 및 도 1b를 기준으로 한 것이며, 점착력 측정부의 정면도인 도 1c를 기준으로 하면 전후 방향이 된다.
측정부(Ruler, 12)는 에어 브로우잉을 통해 평판유리로부터 필름이 떨어진 길이를 측정하기 위한 구성부이다. 측정부(12)는 필름 길이의 측정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하기 위하여 점착력 측정부 상면의 좌우 양측에 구비하도록 하며, 바람직하게는 플레이트부(14) 상에 구비하도록 한다.
또한, 인덱스 플런저(Index Plunger, 26)는 플레이트부(14)와 가이드부(16)를 고정시켜 주고 측정시편(50)의 크기에 맞게 플레이트부를 이동한 후 이를 고정시킨다.
측정시편(50)이 장착되는 점착력 측정부(10)의 상면으로는 에어를 브로우잉하기 위한 에어노즐(18)이 노출 구비된다. 에어노즐(18)은, 도 3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부(14)에 장착된 측정시편(50)의 측면으로 에어를 브로우잉(Air Blowing)하는 노즐로서, 구체적으로 저점착력 필름과 평판유리의 부착면 사이로 에어를 분출한다. 에어노즐을 통한 에어 브로우잉의 압력 및 시간은 전장부(30)의 레귤레이터(32)와 타이머(34)에 의해 조절 가능하다. 에어노즐(18)은 좌우 플레이트부(14)와 수직 방향을 이루는 점착력 측정부(10)의 일측에 구비하도록 한다.
측정시편(50)의 평판유리와 필름의 부착면 사이의 정확한 위치로 에어를 브로우잉하기 위하여는, 측정시편의 두께 등에 따라 에어노즐(18)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하여야 한다. 스테이지(20)는 에어노즐(18)의 높이를 미세 조정함으로써 측 정시편의 평판유리와 필름의 부착면과 에어노즐의 높이를 일치시킴으로써 측정시편의 정확한 위치로 에어를 브로우잉할 수 있도록 한다. 스테이지(20)로는 한축 방향으로 움직이는 1 축 스테이지를 사용하도록 한다.
한편, 측정시편(50)을 플레이트부(14)에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점착력 측정부(10)는 완충부(Shock Absorber, 28)를 구비하도록 한다. 완충부(28)는 에어노즐(18)이 구비된 점착력 측정부(10)의 일측면과 반대 측면, 즉 에어노즐과 대향하는 측정시편의 일측면의 반대 측면을 대향하며 구비되며, 스프링이 장착되어 탄성력에 의해 전후로 움직이므로써 측정시편의 착탈을 용이하게 한다. 즉, 측정시편 장착시 완충부(28)를 뒤로 민 상태에서 측정시편을 플레이트부 (14)에 거치하고 완충부를 놓으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완충부가 앞으로 움직여 측정시편의 배면을 지지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점착력 측정이 완료된 측정시편(50)을 제거할 때에는 완충부(28)를 뒤로 밀고 플레이트부(14)로부터 측정시편을 꺼내게 된다.
한편, 점착력의 정확한 측정을 위하여는 측정시편의 점착력 필름에 발생되는 정전기를 제거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점착력 측정장치는 제전기를 별도 구비하여 점착력 필름에 발생하는 정전기를 제거하도록 한다. 제전기는 전장부(30) 내에 구비하도록 하며, 바람직하게는 제전기로 코로나 제전 방식의 스폿형 제전기(미도시)를 사용하도록 한다. 코로나 제전/방전이란 기체 속 방전의 한 형태로서, 2개의 전극 사이에 높은 전압을 가하면 불꽃을 발하기 이전에 전기장의 강한 부분만이 발광하여 전도성을 갖는 현상을 말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코로나 제전 방식의 스폿형 제전기는 이러한 코로나 방식에 의해 생성되는 이온을 작은 사이즈의 노즐로 분출하는 제전기로서, 이온을 측정시편의 점착력 필름에 분출함으로써 정전기를 제거하게 된다.
점착력 측정부(10)는 제전기로부터 생성된 이온을 분출하기 위한 제전기 노즐(22)을 구비하는데, 제전기 노즐(22)은 전장부(30)의 제전기 컨트롤러(40)의 출력단(41)과 연결되어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이온을 분출하게 된다. 제전기 노즐(22)은 에어노즐(18)의 하부로 소정 거리 이격한 위치에 구비되며, 측정시편(50)을 향해 각도 조절된 상태로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b 에 도시한 각도 조정기(24)의 상부에 구비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부(14)에 측정시편 (50)을 장착함에 있어서 필름이 밑으로 향하도록 장착하므로, 제전기 노즐(22)을 통해 분출되는 이온이 필름으로 브로우잉되어 필름의 정전기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각도 조정기(24)는 측정시편(50)의 위치에 따라 제전기 노즐(22)의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효율적인 제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각도 조정기(24)는 볼 플렌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장부(30)는 점착력 측정부(10)와 제전기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부이다. 구체적으로, 도 2a 내지 도 2c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노즐(18)을 통해 분출되는 에어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레귤레이터(32), 에어 브로우잉 시간을 조절하기 위한 타이머(34) 및 에어의 분출을 온/오프하기 위한 솔레노이드 밸 브(36)를 구비한다. 레귤레이터(32)는 점착력 측정부(10)의 에어노즐(18)과 연결되어 에어노즐을 통한 에어의 분출 압력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레귤레이터(32)의 상부로는 에어의 압력을 확인할 수 있도록 게이지(33)가 구비된다.
또한, 전장부(30)는 전장부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전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전기 전원부(38)와 제전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전기 컨트롤러(40)를 구비한다. 제전기 컨트롤러(40)는 점착력 측정부(10)의 제전기 노즐(22)과 연결되는데, 구체적으로 전장부(30)의 측면에 구비되는 제전기 컨트롤러(40)의 출력단(41)과 제전기 노즐이 연결된다. 따라서, 제전기 컨트롤러를 통해 제전기 노즐을 통한 이온 분출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점착력 측정장치는 점착력을 측정할 측정시편을 장착한 후 에어 브로우잉(Air Blowing) 시간 및 압력을 조정하여 테스트를 수행한 후, 필름이 떨어진 길이를 측정하여 이에 해당되는 범위의 점착력을 찾아내는 상대적인 비교를 함으로써 점착력 정도를 판단하게 된다. 필름 점착력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필름의 점착력을 측정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이때, 측정시편(샘플)의 크기는 폭 20mm, 길이 310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단계: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점착력 측정장치(Peel Force Gage)와 제전기의 전원을 온(On) 시킨다.
제 2 단계: 에어노즐(18)의 위치가 노즐 높이 초기값에 있는지 확인한다.
제 3 단계: 전장부(30)의 게이지(33) 상의 에어의 압력을 확인한다.
제 4 단계: 제전기의 위치, 즉 제전기 노즐(22)의 각도를 확인하고 각도 조정기(24)를 이용해 조정한다.
제 5 단계: 측정시편(50)을 필름이 있는 부분이 밑으로 위치하도록 거치한다. 측정시편(50)의 거치시 글래스(평판유리)의 중앙부(Glass center)와 에어노즐(18)의 중앙부(Nozzle center)가 서로 일치하도록 위치를 조절하도록 한다.
제 6 단계: 측정시편(50)과 에어노즐(18)의 위치를 확인한 후 타이머(34)를 설정하고 스타트 버튼을 누른다.
제 7 단계: 에어 브로우잉을 통한 측정이 이루어진 후에 떨어진 필름의 길이를 측정부(12)를 통해 측정하여 점착력을 확인한다.
이상 설명한 바대로,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점착력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은, 종래의 스프링 방식으로는 점착력 측정이 불가능하였던 저점착력 필름, 특히 3g/25mm 이하의 저점착력을 갖는 필름에 대하여 점착력을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에어 브로우잉(Air Blowing) 방식을 사용하여 필름의 손상을 방지하고 보다 정밀한 측정 및 평가가 가능한 현저한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저점착력 필름을 요구하는 산업에 적용시 품질 관리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제전기를 이용하여 정전기를 제거한 후 점착력 측정을 진행함으로써 주변 환경에 따른 측정결과의 오차를 현저히 줄일 수 있어 측정결과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기술되어 왔지만, 그러한 기술은 오로지 설명을 하기 위한 것이며,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야 한다.

Claims (13)

  1. 저점착력을 갖는 필름의 점착력을 측정함에 있어서, 제전기를 이용하여 상기 필름의 정전기를 제거하고 에어 브로우잉(Air Blowing)하여 상기 필름의 떨어진 길이를 측정함으로써 점착력을 측정하는 필름 점착력 측정방법으로서,
    평판유리의 일면에 상기 필름이 부착된 일정 크기의 측정시편을 고정하는 제 1 단계;
    정전기를 제거하는 제전기로부터 발생된 이온을 상기 측정시편으로 분출하여 상기 필름의 정전기를 제거하는 제 2 단계;
    상기 평판유리와 상기 필름의 부착면으로 에어를 브로우잉하는 에어노즐의 에어 브로우잉 압력 및 시간을 설정하는 제 3 단계;
    상기 에어노즐을 통해 에어를 브로우잉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필름의 떨어진 길이를 측정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단계가 상기 제 3 단계와 순서에 무관하게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점착력 측정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에서,
    상기 필름이 밑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측정시편을 거치 및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점착력 측정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가,
    상기 에어노즐을 소정의 초기설정 높이로 이동하는 제 3-1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점착력 측정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 및 상기 제 3-1 단계에서,
    상기 측정시편의 평판유리의 중앙부과 상기 에어노즐의 중앙부가 일치하도록 상기 측정시편과 상기 에어노즐을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점착력 측정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이,
    3g/25mm 이하의 점착력을 갖는 저점착력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점착력 측정방법.
  6. 저점착력을 갖는 필름의 점착력을 측정함에 있어서 에어 브로우잉(Air Blowing) 후 상기 필름의 떨어진 길이를 측정함으로써 점착력을 측정하는 필름 점착력 측정장치로서,
    평판유리의 일면에 상기 필름이 부착된 일정 크기의 측정시편을 고정하고, 상기 평판유리와 상기 필름의 부착면으로 에어 브로우잉한 후 상기 필름의 떨어진 길이를 측정하는 점착력 측정부;
    이온을 생성 및 분출하여 상기 필름에 발생하는 정전기를 제거하는 제전기; 및
    상기 점착력 측정부 및 상기 제전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력 측정부가,
    상기 평판유리와 상기 필름의 부착면으로 에어를 브로우잉하는 에어노즐; 및
    에어 브로우잉 후 상기 필름의 떨어진 길이를 측정하는 측정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점착력 측정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력 측정부가,
    상기 측정시편을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점착력 측정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부가,
    상기 에어노즐의 에어 브로우잉 압력을 조절하며, 상기 에어노즐과 연결되는 레귤레이터;
    상기 제전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전기 컨트롤러;
    상기 에어노즐의 에어 브로우잉 시간을 조절하는 타이머; 및
    상기 에어노즐의 에어 브로우잉을 온/오프하는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점착력 측정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가 솔레노이드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점착력 측정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력 측정부가,
    상기 에어노즐의 높이를 미세 조절하는 스테이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점착력 측정장치.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전기가 코로나 제전방식으로 상기 이온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점착력 측정장치.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전기가,
    상기 측정시편을 향해 노출 형성되어, 상기 생성된 이온을 상기 측정시편으 로 분출하는 제전기 노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점착력 측정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전기가,
    상기 측정시편의 위치에 따라 볼 플렌저를 이용하여 상기 제전기 노즐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정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점착력 측정장치.
KR1020040039276A 2004-05-31 2004-05-31 필름 점착력 측정방법 및 측정장치 KR100672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9276A KR100672191B1 (ko) 2004-05-31 2004-05-31 필름 점착력 측정방법 및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9276A KR100672191B1 (ko) 2004-05-31 2004-05-31 필름 점착력 측정방법 및 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4074A KR20050114074A (ko) 2005-12-05
KR100672191B1 true KR100672191B1 (ko) 2007-01-19

Family

ID=37288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9276A KR100672191B1 (ko) 2004-05-31 2004-05-31 필름 점착력 측정방법 및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21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58155A (zh) * 2015-08-14 2015-12-16 芜湖蓝博塑胶有限公司 空调塑料件的沾黏性检测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13274A (zh) * 2020-04-21 2020-07-14 延边长白山印务有限公司 一种检测纸张层间结合度的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58155A (zh) * 2015-08-14 2015-12-16 芜湖蓝博塑胶有限公司 空调塑料件的沾黏性检测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4074A (ko) 2005-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3800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sting surface breakdown of dielectric materials caused by electrical tracking
WO2012108066A1 (ja) 検査治具
WO2016056115A1 (ja) 吸着ノズル
KR100672191B1 (ko) 필름 점착력 측정방법 및 측정장치
KR101954975B1 (ko) 전지셀의 안전성 시험장치
US9285263B2 (en) Measurement device
JP5732858B2 (ja) 基板厚み測定装置及び基板厚み測定方法
CN205279954U (zh) 一种通用测量仪
JP2014238296A (ja) 電子部品の落下衝撃試験方法およびその落下衝撃試験装置
KR100832905B1 (ko) 프로브 유닛 및 검사 장치
KR100340466B1 (ko) 프로브 장치
CN110954016A (zh) 一种高精度光学元件干涉检测中的装夹装置
KR20090024436A (ko) 중공형 부품의 내경 측정 장치 및 측정 방법
CN216013217U (zh) 一种新型红外测温仪
JP2006184133A (ja) 落下試験機および落下試験方法
KR20060117200A (ko) 평형 경음기의 접점 극간 조정 방법 및 동 조정 치구
US11483953B2 (en) Measurement device and measurement method
WO2018163394A1 (ja) 部品実装機
JPH0126104Y2 (ko)
CN211403855U (zh) 一种塑壳耐冲击实验装置
KR100384358B1 (ko) 측정 탐침 장치
CN211601833U (zh) 用于快速检测电机定子部件磁瓦角度合格率的检具
JP2002090386A (ja) プリント基板検査用コンタクトピン
CN111031734B (zh) 一种电子元器件用支撑底座
KR100954872B1 (ko) 레진 도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