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1059B1 - 공동주택 단지 내 벤치 기능과 제설재함을 가진 자전거보관대 - Google Patents

공동주택 단지 내 벤치 기능과 제설재함을 가진 자전거보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1059B1
KR100671059B1 KR1020060066003A KR20060066003A KR100671059B1 KR 100671059 B1 KR100671059 B1 KR 100671059B1 KR 1020060066003 A KR1020060066003 A KR 1020060066003A KR 20060066003 A KR20060066003 A KR 20060066003A KR 100671059 B1 KR100671059 B1 KR 100671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ch
trench
bicycle storage
bicycle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6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준호
Original Assignee
(주)종합건축사 사무소 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종합건축사 사무소 담 filed Critical (주)종합건축사 사무소 담
Priority to KR1020060066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10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1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1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3/00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1/00Bench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05Garages for vehicles on two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전거 보관대 기능과 벤치기능이 전환되며 배수 기능을 함께 가지고 제설재 보관기능을 가진 공동주택 단지 내 벤치 기능과 제설재함을 가진 자전거 보관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공동주택 단지내에 형성되며 전체적인 외형이 곡선부를 가진 자전거 보관대와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자전거를 보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자전거 보관부(100), 상기 자전거 보관부(100)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되 보행자가 앉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벤치부(200), 상기 자전거 보관부(100)가 사용위치에 있을 때 상기 자전거 보관부(100) 아래의 지중에 형성되며 제설재를 보관하도록 형성되는 제설재함(300), 상기 자전거 보관부(100)가 사용위치에 있을 때 상기 자전거 보관부(100) 앞의 지중에 형성되며 빗물이 흘러 갈 수 있도록 형성되는 트렌치부(500)를 포함하는 공동주택 단지 내 벤치 기능과 제설재함을 가진 자전거 보관대에 관한 것이다.
공동주택 단지, 벤치, 제설재함, 자전거 보관대

Description

공동주택 단지 내 벤치 기능과 제설재함을 가진 자전거 보관대{Bicycle rack with a bench function and material box for snow removal in an apartment house in a housing complex}
도 1은 본 발명 공동주택 단지 내 벤치 기능과 제설재함을 가진 자전거 보관대의 자전거 보관부(100)가 사용되는 경우의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공동주택 단지 내 벤치 기능과 제설재함을 가진 자전거 보관대의 벤치부(200)가 사용되는 경우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공동주택 단지 내 벤치 기능과 제설재함을 가진 자전거 보관대의 구성요소인 자전거 보관부(100)와 벤치부(200)의 사시도이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자전거 보관부 110 : 자전거 보관부 회전축
120 : 자전거 보관부 곡선부 130 : 자전거 보관부 직선부
200 : 벤치부 210 : 벤치 착석부
220 : 벤치 지지부 230 : 벤치 지지대
250 : 벤치 지지 돌출부 300 : 제설재함
310 : 제설재함 덮개 320 : 제설재함 몸체 500 : 트렌치부 505 : 트렌치 그레이팅지지 앵글부
510 : 폭이 좁은 트렌치 그레이팅
515 : 폭이 좁은 트렌치 그레이팅 지지 돌출부
520 : 폭이 넓은 트렌치 그레이팅
525 : 폭이 넓은 트렌치 그레이팅 지지 돌출부
530 : 트렌치 610 : 자전거 바퀴
본 발명은 공동주택 단지 내 벤치 기능과 제설재함을 가진 자전거 보관대에 관한 것이다. 좀 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공동주택 단지내에 형성되며 전체적인 외형이 곡선부를 가진 자전거 보관대와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자전거를 보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자전거 보관부(100), 상기 자전거 보관부(100)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되 보행자가 앉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벤치부(200), 상기 자전거 보관부(100)가 사용위치에 있을 때 상기 자전거 보관부(100) 아래의 지중에 형성되며 제설재를 보관하도록 형성되는 제설재함(300), 상기 자전거 보관부(100)가 사용위치에 있을 때 상기 자전거 보관부(100) 앞의 지중에 형성되며 빗물이 흘러 갈 수 있도록 형성되는 트렌치부(500)를 포함하며,
자전거 보관대 기능과 벤치기능이 전환되며 배수 기능을 함께 가지고 제설재 보관기능을 가진 공동주택 단지 내 벤치 기능과 제설재함을 가진 자전거 보관대에 관한 것이다.
공동주택 단지 내 자전거 보관대도 설치되어 있고 벤치도 설치되어 있다. 한 번 위치가 정해지면 자전거 보관대나 벤치를 이동하기 힘들다.
오랜 시간이 경과한 후에 보면, 자전거가 하나도 보관되어 있지 않은 자전거 보관대도 생기며, 전혀 사용되지 않는 벤치도 생긴다.
사용되지 않는 자전거 보관대나 벤치를 철거하거나 위치를 이동하는 것도 무척 힘든 일이다. 그래서 자전거 보관대나 벤치 중 방치되는 것이 생기게 된다.
어떤 경우에는 자전거 보관대로 사용되고 또 어떤 경우에는 벤치로 사용될 수 있다면 방치되는 경우는 상당히 줄어들 것이다.
만약 자전거 보관대 기능과 벤치기능이 전환되는 장치가 있다면 바람직하겠다.
자전거 보관대나 벤치가 있는 곳이 비가 오거나 하면 늘 물이 차는 곳이면 상기 자전거 보관대나 벤치를 편하고 쾌적하게 이용하기는 힘들다.
만약 배수 기능을 함께 가진 자전거 보관대 기능과 벤치기능이 전환되는 장치가 있다면 바람직하겠다.
자전거 보관대나 벤치가 있는 곳은 차도는 아니어서 눈이 쌓여 미끄러운 경우 다량의 제설재가 필요한 것은 아니겠지만, 어느 정도 양의 제설재가 보관되어 있어서 필요시 제설재를 사용할 수 있다면 좋겠다.
만약 제설재 보관기능을 가진 자전거 보관대 기능과 벤치기능이 전환되는 장치가 있다면 바람직하겠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전거 보관대 기능과 벤치기능이 전환되는 공동주택 단지 내 벤치 기능과 제설재함을 가진 자전거 보관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배수 기능을 함께 가진 공동주택 단지 내 벤치 기능과 제설재함을 가진 자전거 보관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설재 보관기능을 가진 공동주택 단지 내 벤치 기능과 제설재함을 가진 자전거 보관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공동주택 단지 내 벤치 기능과 제설재함을 가진 자전거 보관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자전거 보관부(100), 벤치부(200), 제설재함(300), 트렌치부(500)를 포함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은 공동주택 단지내에 형성되며 전체적인 외형이 곡선부를 가진 자전거 보관대와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자전거를 보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자전거 보관부(100), 상기 자전거 보관부(100)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되 보행자가 앉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벤치부(200), 상기 자전거 보관부(100)가 사용위치에 있을 때 상기 자전거 보관부(100) 아래의 지중에 형성되며 제설재를 보관하도록 형성되는 제설재함(300), 상기 자전거 보관부(100)가 사용위치에 있을 때 상기 자전거 보관부(100) 앞의 지중에 형성되며 빗물이 흘러 갈 수 있도록 형성되는 트렌치부(500)를 포함한다.
첨부한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 공동주택 단지 내 벤치 기능과 제설재함을 가진 자전거 보관대의 자전거 보관부(100)가 사용되는 경우의 측단면도이다.
또한 제2도는 본 발명 공동주택 단지 내 벤치 기능과 제설재함을 가진 자전거 보관대의 벤치부(200)가 사용되는 경우의 측단면도이다.
또한 제3도는 본 발명 공동주택 단지 내 벤치 기능과 제설재함을 가진 자전거 보관대의 구성요소인 자전거 보관부(100)와 벤치부(200)의 사시도이다.
제1,2,3도와 같이, 상기 자전거 보관부(100)는 전체적으로 봉형부재 또는 각형부재가 길이방향으로 곡선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자전거 바퀴(610)가 접촉되며 자전거를 묶을 수 있도록 형성되고 곡선형태로 형성되는 자전거 보관부 곡선부(120), 상기 자전거 보관부 곡선부(120)와 연속되며 직선형태로 형성되는 자전거 보관부 직선부(130), 상기 자전거 보관부 곡선부(120)와 자전거 보관부 직선부(130)가 만나는 한쪽 편에 형성되며 상기 자전거 보관부(100)를 회전시키는 회전축으로 형성되는 자전거 보관부 회전축(110), 상기 자전거 보관부 직선부(130)의 중앙부근에 형성되며 상기 벤치부(200)가 사용되는 경우 상기 벤치부(200)를 지지하는 부재와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벤치 지지부(220), 상기 벤치부(200)를 지지하는 부재로 한쪽 단부는 상기 벤치 지지부(220)와 결합되도록 형성되며 다른 한쪽 단부는 상기 제설재함(300)에 의해 지지되도록 형성되는 벤치 지지대(230)를 포함한다.
상기 자전거 보관부 회전축(110)은 일반적으로 회전축이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방식으로 지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벤치 지지부(220)는 복수 개의 상기 자전거 보관부(100) 중 양단의 2개 의 상기 자전거 보관부(100)에만 형성될 수 도 있고 양단의 2개의 상기 자전거 보관부(100) 뿐 만 아니라 중간에 위치한 복수 개의 상기 자전거 보관부(100)에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벤치 지지부(220)의 개수 만큼 상기 벤치 지지대(230)도 형성된다.
상기 벤치 지지대(230)는 상기 벤치부(200)가 사용되는 경우에만 상기 벤치 지지부(220)와 결합되며 평상시에는 별도로 보관된다.
상기 자전거 보관부(100)와 상기 벤치부(200)는 상기 자전거 보관부 회전축(110)을 중심으로 공동주택 단지 내 벤치 기능과 제설재함을 가진 자전거 보관대를 회전시킴으로 기능이 전환될 수 있다.
따라서 자전거 보관대 기능과 벤치기능이 전환되는 공동주택 단지 내 벤치 기능과 제설재함을 가진 자전거 보관대를 제공하는 목적이 달성된다.
상기 벤치부(200)는 전체적으로 판형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자전거 보관부(100)가 연장되어 형성되는 벤치 착석부(210), 상기 벤치부(200)와 상기 자전거 보관부(100)의 경계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벤치 착석부(210)의 위로 돌출되어 나온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벤치 착석부(210)의 전면 폭 만큼 연속되어 형성되며 상기 트렌치부(500)의 부재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폭이 좁은 트렌치 그레이팅 지지 돌출부(515)를 포함한다.
상기 벤치 착석부(210)는 상기 보행자가 앉는 부위이므로 잘 보존될 필요가 있으므로 상기 벤치부(200)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벤치 착석부(210)는 합성수지막이나 합성고무막으로 싸여서 보존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설재함(300)은 전체적으로 지중에 매설된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벤치부(200)의 전면 폭 보다 넓게 형성되고 제설재를 보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설재함 몸체(320), 상기 제설재함 몸체(320)를 덮어주도록 형성되며 판형으로 형성되는 제설재함 덮개(310), 상기 제설재함 덮개(310)의 중앙부위 부근에서 위로 돌출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설재함 덮개(310)의 전면 폭 만큼 연속되어 형성되며 상기 벤치부(200)가 사용되는 경우 상기 벤치부(200)를 지지하는 부재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벤치 지지 돌출부(250), 상기 제설재함 덮개(310)의 상기 트렌치부(500)쪽의 단부 부근에서 위로 돌출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설재함 덮개(310)의 전면 폭 만큼 연속되어 형성되며 상기 벤치부(200)가 사용되는 경우 상기 트렌치부(500)의 부재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폭이 넓은 트렌치 그레이팅 지지 돌출부(525)를 포함한다.
상기 벤치부(200)가 사용되는 경우 상기 벤치 지지대(230)의 한쪽 단부는 상기 벤치 지지부(220)와 결합하고 다른 쪽 단부는 상기 벤치 지지 돌출부(250)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제설재함(300)은 동절기에 보도나 자전거도로가 미끄러운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소량의 제설재라 하여도 자전거나 보행자를 위해서는 크게 유익할 수 있다.
따라서 제설재 보관기능을 가진 공동주택 단지 내 벤치 기능과 제설재함을 가진 자전거 보관대를 제공하는 목적이 달성된다.
상기 트렌치부(500)는 전체적으로 깊은 배수로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지면에 설치되는 타 부재의 한 쪽 단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트렌치 그레이팅 지지 앵글부(505), 상기 자전거 보관부(100)가 사용되는 경우 상기 트렌치부(500)를 덮어주는 그레이팅으로 형성되며 상기 그레이팅의 한쪽 단부는 상기 트렌치 그레이팅 지지 앵글부(505)에 의해 지지되고 다른 한쪽 단부는 상기 벤치부(200)에 의해 지지되도록 형성되는 폭이 좁은 트렌치 그레이팅(510), 상기 벤치부(200)가 사용되는 경우 상기 트렌치부(500)를 덮어주는 그레이팅으로 형성되며 상기 그레이팅의 한쪽 단부는 상기 트렌치 그레이팅 지지 앵글부(505)에 의해 지지되고 다른 한쪽 단부는 상기 제설재함(300)에 의해 지지되도록 형성되는 폭이 넓은 트렌치 그레이팅(520), 상기 트렌치부(500)의 바닥면의 일부에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물이 흘러가도록 형성되고 타 배수로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트렌치(530)를 포함한다.
상기 폭이 좁은 트렌치 그레이팅(510)의 한쪽 단부는 상기 트렌치 그레이팅 지지 앵글부(505)에 의해 지지되고 다른 쪽 단부는 상기 폭이 좁은 트렌치 그레이팅 지지 돌출부(515)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폭이 좁은 트렌치 그레이팅(510)은 상기 자전거 보관부(100)가 사용되는 경우에만 설치되며 평상시에는 별도로 보관된다.
또한 상기 폭이 넓은 트렌치 그레이팅(520)의 한쪽 단부는 상기 트렌치 그레이팅 지지 앵글부(505)에 의해 지지되고 다른 쪽 단부는 폭이 넓은 트렌치 그레이팅 지지 돌출부(525)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폭이 넓은 트렌치 그레이팅(520)은 상기 벤치부(200)가 사용되는 경우에만 설치되며 평상시에는 별도로 보관된다.
상기 자전거 보관부(100) 근처에 물이 고여있다면 늘 야외에 보관되어 있어 부식에 취약한 저전거의 부식이 더욱 가속화 될 것이다.
또한 상기 벤치부(200) 근처에 물이 고여있다면 상기 벤치부(200)는 사용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상기 트렌치부(500)는 자전거 보관부(100) 근처 또는 상기 벤치부(200) 근처의 빗물, 고인물, 눈 녹은 물을 깔끔하게 배수시켜 준다.
따라서 배수 기능을 함께 가진 공동주택 단지 내 벤치 기능과 제설재함을 가진 자전거 보관대를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본 발명으로 자전거 보관대 기능과 벤치기능이 전환되는 공동주택 단지 내 벤치 기능과 제설재함을 가진 자전거 보관대를 제공하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으로 배수 기능을 함께 가진 공동주택 단지 내 벤치 기능과 제설재함을 가진 자전거 보관대를 제공하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으로 제설재 보관기능을 가진 공동주택 단지 내 벤치 기능과 제설재함을 가진 자전거 보관대를 제공하게 되었다.

Claims (5)

  1. 공동주택 단지내에 형성되며, 자전거를 보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자전거 보관부(100),
    상기 자전거 보관부(100)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되 보행자가 앉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벤치부(200),
    상기 자전거 보관부(100)가 사용위치에 있을 때 상기 자전거 보관부(100) 아래의 지중에 형성되며 제설재를 보관하도록 형성되는 제설재함(300),
    상기 자전거 보관부(100)가 사용위치에 있을 때 상기 자전거 보관부(100) 앞의 지중에 형성되며 빗물이 흘러 갈 수 있도록 형성되는 트렌치부(500),
    를 포함하며;
    상기 자전거 보관부(100)는,
    전체적으로 봉형부재 또는 각형부재가 길이방향으로 곡선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자전거 바퀴(610)가 접촉되며 자전거를 묶을 수 있도록 형성되고 곡선형태로 형성되는 자전거 보관부 곡선부(120),
    상기 자전거 보관부 곡선부(120)와 연속되며 직선형태로 형성되는 자전거 보관부 직선부(130),
    상기 자전거 보관부 곡선부(120)와 자전거 보관부 직선부(130)가 만나는 한쪽 편에 형성되며 상기 자전거 보관부(100)를 회전시키는 회전축으로 형성되는 자전거 보관부 회전축(110),
    상기 자전거 보관부 직선부(130)의 중앙부근에 형성되며 상기 벤치부(200)가 사용되는 경우 상기 벤치부(200)를 지지하는 부재와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벤치 지지부(220),
    상기 벤치부(200)를 지지하는 부재로 한쪽 단부는 상기 벤치 지지부(220)와 결합되도록 형성되며 다른 한쪽 단부는 상기 제설재함(300)에 의해 지지되도록 형성되는 벤치 지지대(230),
    를 포함하는;
    공동주택 단지 내 벤치 기능과 제설재함을 가진 자전거 보관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벤치부(200)는,
    전체적으로 판형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자전거 보관부(100)가 연장되어 형성되는 벤치 착석부(210);
    상기 벤치부(200)와 상기 자전거 보관부(100)의 경계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벤치 착석부(210)의 위로 돌출되어 나온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벤치 착석부(210)의 전면 폭 만큼 연속되어 형성되며 상기 트렌치부(500)의 부재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폭이 좁은 트렌치 그레이팅 지지 돌출부(515);
    를 포함하는 벤치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단지 내 벤치 기능과 제 설재함을 가진 자전거 보관대.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설재함(300)은
    전체적으로 지중에 매설된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벤치부(200)의 전면 폭 보다 넓게 형성되고 제설재를 보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설재함 몸체(320);
    상기 제설재함 몸체(320)를 덮어주도록 형성되며 판형으로 형성되는 제설재함 덮개(310);
    상기 제설재함 덮개(310)의 중앙부위 부근에서 위로 돌출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설재함 덮개(310)의 전면 폭 만큼 연속되어 형성되며 상기 벤치부(200)가 사용되는 경우 상기 벤치부(200)를 지지하는 부재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벤치 지지 돌출부(250);
    상기 제설재함 덮개(310)의 상기 트렌치부(500)쪽의 단부 부근에서 위로 돌출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설재함 덮개(310)의 전면 폭 만큼 연속되어 형성되며 상기 벤치부(200)가 사용되는 경우 상기 트렌치부(500)의 부재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폭이 넓은 트렌치 그레이팅 지지 돌출부(525);
    를 포함하는 제설재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단지 내 벤치 기능과 제설재함을 가진 자전거 보관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부(500)는
    전체적으로 깊은 배수로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지면에 설치되는 타 부재의 한 쪽 단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트렌치 그레이팅 지지 앵글부(505);
    상기 자전거 보관부(100)가 사용되는 경우 상기 트렌치부(500)를 덮어주는 그레이팅으로 형성되며 상기 그레이팅의 한쪽 단부는 상기 트렌치 그레이팅 지지 앵글부(505)에 의해 지지되고 다른 한쪽 단부는 상기 벤치부(200)에 의해 지지되도록 형성되는 폭이 좁은 트렌치 그레이팅(510);
    상기 벤치부(200)가 사용되는 경우 상기 트렌치부(500)를 덮어주는 그레이팅으로 형성되며 상기 그레이팅의 한쪽 단부는 상기 트렌치 그레이팅 지지 앵글부(505)에 의해 지지되고 다른 한쪽 단부는 상기 제설재함(300)에 의해 지지되도록 형성되는 폭이 넓은 트렌치 그레이팅(520);
    상기 트렌치부(500)의 바닥면의 일부에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물이 흘러가도록 형성되고 타 배수로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트렌치(530);
    를 포함하는 트렌치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단지 내 벤치 기능과 제설재함을 가진 자전거 보관대.
KR1020060066003A 2006-07-13 2006-07-13 공동주택 단지 내 벤치 기능과 제설재함을 가진 자전거보관대 KR100671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6003A KR100671059B1 (ko) 2006-07-13 2006-07-13 공동주택 단지 내 벤치 기능과 제설재함을 가진 자전거보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6003A KR100671059B1 (ko) 2006-07-13 2006-07-13 공동주택 단지 내 벤치 기능과 제설재함을 가진 자전거보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1059B1 true KR100671059B1 (ko) 2007-01-19

Family

ID=38014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6003A KR100671059B1 (ko) 2006-07-13 2006-07-13 공동주택 단지 내 벤치 기능과 제설재함을 가진 자전거보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105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036969C (nl) * 2009-05-19 2010-03-29 Johannes Cornelis Verkerk Zitbank in het publieke domein waarvan het op een rvs-buis aangebrachte zitgedeelte middels een electromotor met vertragingsbak naar beneden geklapt kan worden om ongewenste personen te weren en dan ingeklapt tevens dienst kan doen als fietsenstalling.
KR200465335Y1 (ko) 2011-08-30 2013-02-13 강현녀 다목적용 볼라드
KR101402219B1 (ko) * 2012-08-01 2014-06-27 방현수 벤치형 제설함
KR101997585B1 (ko) * 2018-03-16 2019-07-08 류형우 유모차 거치 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6002327A1 (en) 1984-09-13 1986-04-24 Hanafi Ameur Lockable cycle vehicle stand
US5098155A (en) 1990-09-27 1992-03-24 Madrax, Inc. Combination bench and bicycle stand
KR200189425Y1 (ko) 2000-02-25 2000-07-15 연충희 자전거 보관대
KR200276548Y1 (ko) 2001-04-12 2002-05-24 이재권 가로환경 시설물
JP2004076310A (ja) 2002-06-18 2004-03-11 Sankyo Alum Ind Co Ltd フェンス
KR200375179Y1 (ko) 2004-10-06 2005-03-11 이순근 벤치
KR200383818Y1 (ko) 2005-02-02 2005-05-10 주식회사 다우디앤에이 차양막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6002327A1 (en) 1984-09-13 1986-04-24 Hanafi Ameur Lockable cycle vehicle stand
US5098155A (en) 1990-09-27 1992-03-24 Madrax, Inc. Combination bench and bicycle stand
KR200189425Y1 (ko) 2000-02-25 2000-07-15 연충희 자전거 보관대
KR200276548Y1 (ko) 2001-04-12 2002-05-24 이재권 가로환경 시설물
JP2004076310A (ja) 2002-06-18 2004-03-11 Sankyo Alum Ind Co Ltd フェンス
KR200375179Y1 (ko) 2004-10-06 2005-03-11 이순근 벤치
KR200383818Y1 (ko) 2005-02-02 2005-05-10 주식회사 다우디앤에이 차양막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036969C (nl) * 2009-05-19 2010-03-29 Johannes Cornelis Verkerk Zitbank in het publieke domein waarvan het op een rvs-buis aangebrachte zitgedeelte middels een electromotor met vertragingsbak naar beneden geklapt kan worden om ongewenste personen te weren en dan ingeklapt tevens dienst kan doen als fietsenstalling.
KR200465335Y1 (ko) 2011-08-30 2013-02-13 강현녀 다목적용 볼라드
KR101402219B1 (ko) * 2012-08-01 2014-06-27 방현수 벤치형 제설함
KR101997585B1 (ko) * 2018-03-16 2019-07-08 류형우 유모차 거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1059B1 (ko) 공동주택 단지 내 벤치 기능과 제설재함을 가진 자전거보관대
FR2878797B1 (fr) Phare de vehicule avec unite de prevention d&#39;eblouissement
FR2882307B1 (fr) Element de garnissage d&#39;un siege ventile pour vehicule automobile permettant un drainage dans le revetement dudit siege
KR101400081B1 (ko) 경사 그레이팅을 구비한 배수모듈
JP2007100506A (ja) 集水桝とこれを用いた舗装道路の排水構造
JPH0853808A (ja) 透水性歩道ブロック
KR20190057944A (ko) 집수 블록
CN212688692U (zh) 一种公路桥梁用排水结构
FR3076844A1 (fr) Avaloir pour une voie de circulation telle qu&#39;une rue
KR100612080B1 (ko) 배수처리를 위한 도로용 경계석 구조
KR100562838B1 (ko) 연약지반 도로의 물고임 방지를 위한 엘형측구 배수시설
CN209759934U (zh) 一种快速渗水跑道的地面结构
ITVI20050029A1 (it) Solette per sci con particolari inserti che provocano o il drenaggio o la formazione di un velo d&#39;acqua tra la neve e la soletta (per aumentarne la scorrevolezza in entrambi i casi)
JP2004346701A (ja) 排水溝構造
Anderson Jr et al. Evolution of the Paradise/Stevens glacier ice caves
DE50007354D1 (de) Fahrzeugvorderbau mit einem Wasserkasten
CN213507893U (zh) 一种骑行道透水路面
FR2820103A1 (fr) Dispositif monte a la place des roues d&#39;une trottinette lui permettant de glisser sur la neige
JP3740046B2 (ja) 歩車道境界ブロックおよび排水構造
FR2877378B1 (fr) Position de la serrure sur tous chassis coulissant permettant, a ce niveau, de supprimer les ponts thermiques et ameliorant l&#39;esthetique
FR2554004A1 (fr) Dispositif pour ameliorer le comportement et les performances des engins glissant sur la neige et sur l&#39;eau
DE29810535U1 (de) Schnee-Strand-Wüste-Bergabfahrts-Fahrrad
CN104563043A (zh) 一种清扫城市道路排水沟内树叶的扫帚
CA2335710C (fr) Mini traceur-dameur pour ski de randonnee s&#39;attachant a un vehicule recreatif
DK2339069T3 (en) MODULE FOR THE CONSTRUCTION OF A ROAD OR WALKING ROAD ON A WATER ROA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