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1043B1 - 포일이 전사된 파일 섬유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포일이 전사된 파일 섬유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1043B1
KR100671043B1 KR1020060035923A KR20060035923A KR100671043B1 KR 100671043 B1 KR100671043 B1 KR 100671043B1 KR 1020060035923 A KR1020060035923 A KR 1020060035923A KR 20060035923 A KR20060035923 A KR 20060035923A KR 100671043 B1 KR100671043 B1 KR 100671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foil
fibers
pile fibers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5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훈
Original Assignee
김용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훈 filed Critical 김용훈
Priority to KR1020060035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10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1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10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7/00Compound processes or apparatus, for finishing or dressing textile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QDECORATING TEXTILES
    • D06Q1/00Decorating textiles
    • D06Q1/06Decorating textiles by local treatment of pile fabrics with chemical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QDECORATING TEXTILES
    • D06Q1/00Decorating textiles
    • D06Q1/12Decorating textiles by transferring a chemical agent or a metallic or non-metallic material in particulate or other form, from a solid temporary carrier to the textil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201/00Cellulose-based fibres, e.g. vegetable fibres
    • D10B2201/20Cellulose-derived artificial fibres
    • D10B2201/28Cellulose esters or ethers, e.g. cellulose acetat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02P70/62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related technologies for production or treatment of textile or flexible materials or products thereof, including footwear

Abstract

본 발명은 포일이 전사된 파일 섬유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파일 섬유류를 정련 및 염색하는 단계와, 파일 섬유류를 건조하는 단계와, 건조된 파일 섬유류를 포일지와 합지하는 단계와, 합지된 파일 섬유류와 포일지를 분리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파일 섬유 제조방법과 이로부터 얻어지는 섬유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파일 섬유에 여러가지 색상 표현이 가능하고, 입체감이 있는 특유의 질감이 구현되어 내구성이 요구되는 의류 및 각종 산자재 등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파일 섬유, 파일 섬유류, 의류, 포일지

Description

포일이 전사된 파일 섬유 및 그 제조방법{PILE TEXTILE HAVING FOIL TRANSF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일이 전사된 파일 섬유 제조방법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일이 전사된 파일 섬유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패딩기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 패팅기 110 : 롤러
120 : 애칭홈 130 : 청소날
본 발명은 포일이 전사된 파일 섬유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파일 섬유류의 일면 또는 양면으로 포일을 전사하여 여러가지 색상의 부착이 가능하고, 입체감을 갖는 질감이 표현되는 파일 섬유 제조방법 및 섬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일(pile) 직물은 부드러운 입모나 루프, 또는 고리가 표면을 덮고 있는 직물로서, 보온성, 단열성, 흡음성,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촉감이 부드러워 모직, 견직, 면직, 화섬직물등에 이용된다.
이러한 파일 직물에 포일 전사지를 전사하기 위해서는, 먼저, 직물에 원하는 무늬 또는 글씨모양으로 접착액을 바르고 포일 전사지로 그 위에 전사시키거나, 포일 이면에 접착액을 발라 직물위에 접착시켜 포일을 파일 직물에 전사시켜야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포일이 파일 직물로부터 쉽게 박리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신축성이 큰 직물에 포일이 전사되면 직물의 신축성에 의해 포일이 쉽게 갈라지고 박리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내구성이 현저하게 떨어지고, 파일 직물의 길이, 강도에 따라 유연하지 못한 직물이 제조되어 의류산업용으로는 적용이 원활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파일 섬유류에 입체감이 있는 특유의 자연적인 질감을 유지되도록 하고 내구성이 우수한 포일이 전사된 파일 섬유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파일 섬유류를 정련 및 염색하는 단계와, 파일 섬유류를 건조하는 단계와, 건조된 파일 섬유류를 포일지와 합지하는 단계와, 합지된 파일 섬유류와 포일지를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건조된 파일 섬유류에 포일지를 합지하는 단계는, 일정 문양이 형성된 애칭홈을 갖는 롤러를 준비하고, 준비된 롤러의 애칭홈으로 바인더를 투입한 후, 롤러가 회전되면 상기 애칭홈의 바인더에 의해 포일지가 인날되고, 파일 섬유류가 압착되어 상기 파일 섬유류와 포일지가 상호 접착된다. 또한, 상기 건조된 파일 섬유류에 포일지를 합지하는 단계는, 상기 포일지는 바인더와 함께 건조되어 상기 파일 섬유류에 압착 접착될 수 있으며, 상기 파일 섬유류는 아세테이트, 레이온, 폴리에스테르 섬유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일 섬유류를 정련 및 염색하는 단계는, 정련제와 소다애쉬액이 혼합된 도가니탕에 30~65℃의 온도에서 40~120분 동안 반복적으로 침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정련 및 염색한 후에 상기 파일 섬유류를 공업용수 즉, 섬유용 화학제가 첨가되지 아니한 물이 담긴 도가니탕에 수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파일 섬유류를 건조하는 단계는, 건조된 상기 파일 섬유류에 실리콘 타입의 유연제와 대전방지제를 혼합한 처리액을 연속 함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일이 전사된 파일 섬유는 상술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일이 전사된 파일 섬유 제조방법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파일 섬유류를 정련 및 염색하는 단계(S1)와, 파일 섬유류를 건조하는 단계(S2)와, 건조된 파일 섬유류를 포일지와 합지하는 단계(S3)와, 합지된 파일 섬유류와 포일지를 분리시키는 단계(S4)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파일 섬유류와 포일지가 합지하는 단계는 상기 포일지와 파일 섬유류를 상호 압착 접착시키기 위해 포일지를 바인더와 함께 건조하는 건조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파일(pile) 섬유류는 아세테이트(Acetate), 레이온(Rayon), 폴리에스테르(Polyester) 섬유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바, 본 실시예에 따른 파일 섬유류는 아세테이트 섬유로 구성될 수 있으며, 나일론 및 T.C와 아세테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파일 섬유류는 최종 6mm로 절단되는데, 제직 또는 편조가 끝난 직물인 생지(INGREY) 상의 길이는 7~9mm의 섬유류가 사용된다.
이러한 섬유류의 구성인 생지(INGREY)를 얻기 위해서는 제사, 제직, 제편시 오일이 부가되는바, 이때 부가된 오일은 최종제품 제조시, 품질에 심각한 불량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제거되어야 한다. 따라서, 오일의 제거와 함께 파일 직물에 색상을 부여하기 위해서 상기 파일 섬유류를 정련 및 염색하는 단계가 필요하다.
이때, 상기 파일 섬유류를 정련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련제는 페놀 오일(oil phenol) 10~15%, 암모늄 화합물 5~10%, 알킬에테르 4~10% 및 물과 함께 정련제 배합물이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SUNMORL WX-17이 사용되는데, 여기에 소다애쉬(soda ash) 희석액 5~10%를 함께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정련제가 포함된 소다애쉬(soda ash)액은 파일 섬유류에 함침되는데, 이를 위해, 준비된 파일 섬유류는 딥핑법에 의해 딥핑된다. 이때 딥핑되는 섬유류는 30~65℃의 온도에서 40~120분 동안 30회/분으로 왕복운동되며 딥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서, 상기 파일 섬유류는 부드럽고 광택이 발현되는 기초 섬유류의 특징을 발현시킬 수 있다.
여기서, 딥핑되는 온도가 30℃ 미만으로 너무 낮게 되면 가수분해 효과가 현저하게 저하되어 공정 시간이 지연될 수 있고, 해당 온도가 65℃를 초과하게 되면 침적시 불균일한 가수분해로 인한 강도 저하와 부분 얼룩 등의 불량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딥핑되는 시간이 40분 이하가 되면 섬유류의 중앙과 변두리부분의 가수분해가 불균일하게 일어날 수 있고, 해당 시간이 120분을 초과하게 되면 공정이 지연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련된 상기 파일 섬유류는 호이스트(hoist)를 이용하여 수세를 위한 수세탕으로 이동하여 수세를 수차례 반복한다. 이때, 상기 파일 섬유류는 공업용수 즉, 섬유용 화학제가 첨가되지 아니한 물만 담긴 수세탕에서 30분 정도 상,하운동으로 수세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수세된 파일 섬유류는 탈수공정 후 염색탕으로 이동되어, 30℃의 온도에서 95℃까지 진행되는 염색 그래프를 따라 온도의 상승 및 연장으로 염색된다.
이러한 염색과정에서는 리액션(reaction) 타입의 염료와, 다이렉트(direct) 타입의 염료가 각각 사용되고, 상승 온도의 그래프는 30℃에서 20분 연장 이후 75 ℃까지 1℃/분의 비율로 승온시키며, 75℃에서 20분 연장 후 다시 1℃/분의 비율로 95℃까지 승온시키고 95℃에서 30분간 연장하여 염색시킨다. 염색이 완료되면 염착된 파일 섬유류는 정련 수세와 동일하게 수세가 이루어진다.
염색되고 수세된 파일 섬유류는 건조단계를 거치게 된다. 이때, 건조단계에 필요한 건조 온도 및 시간은 파일 섬유류 직물 표면, 특히 아세테이트 파일에 손상(경화)이 발생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직물 건조기(폭출기)는 상기 파일 섬유류를 90 내지 150℃에서 40초 내지 3분 동안 건열로 건조한다.
이와 같이 건조되는 파일 섬유류에는 실리콘 타입의 유연제와 대전방지제가 더 함침될 수 있다. 즉, 상기 유연제와 대전방지제를 1:3 내지 3:1의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 처리액을 만든 후, 제조된 혼합 처리액에 파일 섬유류를 연속 함침하여 파일 섬유류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된 실리콘 타입의 유연제는 실리콘 오일 5~15중량%, 폴리옥시알킬렌 알킬 에테르 2~6%, 사차암모늄 화합물 4~8중량%, 및 물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여기에 양이온 활성제 배합물이 더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 처리액에 사용되는 대전방지제는 파일 섬유류의 포일 전사시, 7000KV 이하로 대전기를 낮추도록 하는바, 이를 통해 공정이 쉽게 진행되도록 한다. 즉, 대전방지제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파일 섬유류의 길이가 길어져 대전기가 10,000KV 이상되면 파일 섬유류는 테비 플레이트 섬유에 대해 직각으로 서게 되어 작업이 곤란해 지고, 대전기가 7,000~10,000KV가 되면 파일 섬유류 일부가 테비 플레이트 섬유에 대해 직각으로 서서 불량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대전방지제를 사용하면, 대전기가 3,000KV이하로 낮아져 불량 없이 파일 섬유류를 테비 플레이트 섬유에 수평으로 붙게 하므로 불량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건조가 완료되면, 파일 섬유류를 커팅 및 마블(marble)하여 파일 섬유류가 일정방향으로 눕게 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2는 포일이 전사된 파일 섬유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패딩기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계속하여, 상기 파일 섬유류가 건조되면 바인더를 이용하여 포일지를 합지하게 된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먼저, 일정 문양의 애칭홈(120)이 형성된 롤러(110)를 포함하는 패딩기(100)를 준비한 후, 상기 애칭홈(120)에 바인더를 투입하여 롤러(110)를 회전시킨다. 상기 롤러(110)가 회전되면, 롤러(110)의 표면과 접촉되도록 설치된 청소날(130)에 의해 롤러(110)의 표면에는 바인더가 묻은 애칭홈(120)의 문양 부분에만 바인더가 남게 된다. 계속하여 애칭홈(120)의 바인더에 포일지를 인날한 후, 파일 섬유류를 접착하여 압착시키면, 인날된 부분에 묻은 바인더에 의해 상기 포일지와 파일 섬유류는 상호 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포일지는 바인더가 묻은 부분만 직물에 접착되는 바, 부착되기 전 약 20초~2분의 시간 동안 건열하여 약 60~100℃에서 미리 건조시킨 후, 상기 파일 섬유류에 압착되어 접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바인더는 상기의 조건과 같고 인날된 포일지는 20초~2분의 시간내에서 건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20초 이내이면 미리 건조시키는 온도가 높아야 되고, 2분 이상이면 온도는 적당할지라도 작업 여건상 바람직하지 못하여 20초~2분 사이를 최적의 상태로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또한, 온도는 너무 낮거나 높으면 필름의 작업성과 내열성에 심각한 불량이 초래될 수 있으므로 최적의 조건인 60~100℃로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포일지가 합지된 파일 섬유류는 60~120℃의 숙성실에서 30분 내지 24시간의 숙성기간을 거친후, 포일지와 섬유류를 분리하므로 원하는 직물을 얻을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1에 사용된 파일 섬유류는 1:4:9의 중량비를 갖는 나일론과 T.C와 아세테이트를 포함한다.
<실시예1>
먼저, 상기 파일 섬유류에 포함되어 있는 오일을 제거하기 위해, 8%의 소다애쉬(soda ash) 용액 50ml SUNMORL WX-17을 3g/L 혼합한 정련액에 파일 섬유류를 10분간 정련 실시하고, 수세한다.
수세를 실시한 후, 반응성 염료를 사용하여 T.C를 염색하는데, 온도 70℃에서 40분간 염색을 실시하고, 동시에 다이렉트(Direct) 염료를 사용하여 아세테이트를 염색한다.
파일 섬유류가 염색되면 염색된 파일 섬유류를 진공펌프를 통해 탈수시키고, 파일 섬유류를 대전방지제와 유연제를 각각 2%씩 만든 용액에 담근 후, 포목교정기(직물건조기)를 이용하여 140℃의 온도에서 1분 30초간 건열 큐어링시킨다.
계속하여, 건조시킨 파일 섬유류를 길이가 6mm로 되도록 커팅한 후, 열이 주어진 판에 파일 섬유류를 연속적으로 접촉시켜 70~120℃의 온도가 유지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파일의 방향이 테비 플레이트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곱게 눕혀 해당 표면이 테비 플레이트와 동일하도록 제조할 수 있다. 이때, 파일 섬유류의 온도가 70℃보다 낮게 되면 상술한 바와 같은 작용 효과가 미미해 지고, 100℃보다 높게 되면 파일에 손상이 발생될 수 있다.
도 2를 다시 참고하면, 필요 무늬가 형성된 애칭홈(120)을 갖는 롤러(110)의 패딩기(100) 중간에서 밑 부분에만 접촉되도록 바인더를 애칭된 부분에 담근 후 롤러(110)를 회전시키면, 청소날(130)에 의해 애칭이 안 된 부분만이 긁어지게 된다. 이때, 애칭홈(120)이 형성된 부분에만 바인더가 묻게 되어 필요한 무늬의 디자인을 표현해낼 수 있으며, 사용되는 바인더는 폴리우레탄계 바인더 70%, 경화제 20%, 촉진제 2% 필요수지 8%를 혼합하여 접착액을 혼합 제조된다.
또한, 상기 롤러(110)의 애칭홈(120)에 묻은 바인더는 롤러(110)와 스치듯이 회전 접촉되며 포일지에 묻혀지는 바, 접착 예정인 포일지 표면의 아세테이트 파일에 접착 압착되어 권취된다.
이와 같이, 압착 권취된 파일 섬유류는 100℃의 에이징룸에서 16시간동안 숙성 후, 포일지와 분리하여 원하는 직물로 제조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 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파일 섬유류에 여러가지 색상을 표현할 수 있으며, 입체감이 있는 특유의 질감이 구현되어 내구성이 우수한 의류및 각종 산자재 등으로 유용하게 사용 가능한 이점이 있다.

Claims (8)

  1. 파일 섬유류를 정련 및 염색하는 단계;
    정련 및 염색된 파일 섬유류에 실리콘 타입의 유연제와 대전방지제를 혼합한 처리액을 연속 함침하여 상기 파일 섬유류를 건조하는 단계;
    건조된 파일 섬유류를 포일지와 합지하는 단계;
    합지된 파일 섬유류와 포일지를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일이 전사된 파일 섬유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조된 파일 섬유류에 포일지를 합지하는 단계는,
    일정 문양이 형성된 애칭홈을 갖는 롤러를 준비하고, 준비된 롤러의 애칭홈으로 바인더를 투입한 후, 롤러가 회전되면 상기 애칭홈의 바인더에 의해 포일지가 인날되고, 파일 섬유류이 압착되어 상기 파일 섬유류와 포일지가 상호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일이 전사된 파일 섬유 제조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건조된 파일 섬유류에 포일지를 합지하는 단계는,
    상기 포일지는 바인더와 함께 건조되어 상기 파일 섬유류에 압착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일이 전사된 파일 섬유 제조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파일 섬유류는
    아세테이트, 레이온, 폴리에스테르 섬유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일이 전사된 파일 섬유 제조방법.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섬유류를 정련하는 단계는,
    정련제와 소다애쉬액이 혼합된 도가니탕에 30~65℃의 온도에서 40~120분 동안 반복적으로 침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일이 전사된 파일 섬유 제조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파일 섬유류를 정련 및 염색하는 단계는,
    정련 및 염색한 후에 상기 파일 섬유류를 공업용수가 담긴 도가니탕에 수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일이 전사된 파일 섬유 제조방법.
  7. 삭제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일이 전사된 파일 섬유.
KR1020060035923A 2006-04-20 2006-04-20 포일이 전사된 파일 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100671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5923A KR100671043B1 (ko) 2006-04-20 2006-04-20 포일이 전사된 파일 섬유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5923A KR100671043B1 (ko) 2006-04-20 2006-04-20 포일이 전사된 파일 섬유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1043B1 true KR100671043B1 (ko) 2007-01-19

Family

ID=38014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5923A KR100671043B1 (ko) 2006-04-20 2006-04-20 포일이 전사된 파일 섬유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104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5243A (ko) * 1999-06-30 2001-01-15 강태황 직물의 날염무늬에 연결되는 금은박 무늬 표출방법
KR20020033129A (ko) * 2001-10-09 2002-05-04 이윤종 섬유원단의 호일무늬 형성장치 및 그 방법
KR20030044467A (ko) * 2001-11-30 2003-06-09 김병길 블루진 원단의 가공방법
KR100438360B1 (ko) * 2001-09-13 2004-07-02 주식회사 웅천텍스텍 고내구성, 고드레이프성 축광 문양 섬유제품 및 그 제조방법
KR20050112019A (ko) * 2004-05-24 2005-11-29 주식회사 기주산업 날염물의 부분 포일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5243A (ko) * 1999-06-30 2001-01-15 강태황 직물의 날염무늬에 연결되는 금은박 무늬 표출방법
KR100438360B1 (ko) * 2001-09-13 2004-07-02 주식회사 웅천텍스텍 고내구성, 고드레이프성 축광 문양 섬유제품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33129A (ko) * 2001-10-09 2002-05-04 이윤종 섬유원단의 호일무늬 형성장치 및 그 방법
KR20030044467A (ko) * 2001-11-30 2003-06-09 김병길 블루진 원단의 가공방법
KR20050112019A (ko) * 2004-05-24 2005-11-29 주식회사 기주산업 날염물의 부분 포일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27367C1 (ru) Искусственная кожа со сверхтонкими волокнами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CN107988799B (zh) 一种防红外监测的防水阻燃聚酰胺纤维织物的制备工艺
CN105667061B (zh) 一种沙发面料的生产工艺
EP3561164A1 (en) Ultrafine fiber fabric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for
CN105671777A (zh) 一种超薄抗撕裂防水涤纶面料及其制备工艺
CN105671990A (zh) 一种有机硅树脂与聚氨酯复合的防污防水面料及其制备工艺
CN102944668B (zh) 拼接纺织品的互染色牢度的测试方法
JP2018003229A (ja) 編み物の染色仕上げ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所定の色を有する生地、アッパー生地
KR100671043B1 (ko) 포일이 전사된 파일 섬유 및 그 제조방법
CN1766225A (zh) 染色布帛的制造方法及染色布帛
US10947665B2 (en) Cork yarn, production method and uses
KR100963147B1 (ko) 고밀도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인공피혁
CN109778535A (zh) 一种防水疏油布料及制作方法
KR100954822B1 (ko) 섬유 직물의 고밀도화 방법
KR100625279B1 (ko) 폴리프로필렌이 포함된 섬유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얻은섬유
CN113802386A (zh) 一种高色牢度超细纤维合成革的制造方法
CN113215838A (zh) 一种低温环境下的人棉染色工艺
KR100695957B1 (ko) 주방용 수세미 및 그 제조 방법
KR100997120B1 (ko) 인조피혁표면가공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가공된 표면을 갖는 인조피혁
CN111364149A (zh) 一种三合一面料的加工工艺
KR101324762B1 (ko) 실리콘 베이크드 순면 걸레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차량용 먼지 털이게
JP2007182636A (ja) 汗滲み防止布帛の製造方法
CN110130117A (zh) 一种超纤维皮革生产工艺及清洁方法
CN213733789U (zh) 一种具有三防效果的涤纶单面绒沙发布面料
JPS6052234B2 (ja) デニム織物構造物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