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0905B1 - 카본함유 내화물 표면에 코팅되는 코팅재 - Google Patents

카본함유 내화물 표면에 코팅되는 코팅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0905B1
KR100670905B1 KR1020060004368A KR20060004368A KR100670905B1 KR 100670905 B1 KR100670905 B1 KR 100670905B1 KR 1020060004368 A KR1020060004368 A KR 1020060004368A KR 20060004368 A KR20060004368 A KR 20060004368A KR 100670905 B1 KR100670905 B1 KR 100670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coating
carbon
alumin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4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해룡
Original Assignee
조선내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선내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선내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4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09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0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09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8Anti-corrosive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eramic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본함유 내화물 표면에 코팅하여 사용되는 코팅재에 대하여 카본 내화물의 표면 산화를 방지하고, 표면으로부터의 열방산을 억제함과 함께 용강 및 슬라그 성분에 대한 우수한 내용성으로 사용수명을 향상시키는데 적합한 코팅재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른 구성은 중공지르코니아 1∼95중량부, 중공알루미나-실리카 5∼50중량부, 점토 3∼15중량부, 프리트(frit) 2∼30중량부, 질석 3∼15중량부, 석영, 뮬라이트, 지르코니아, 마그네시아, 스피넬, 알루미나, 납석, 파이버 중 적어도 1종이 2-10중량부, 액상바인더 20-180중량부로 조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본 함유 내화물 표면에 코팅되는 코팅재로 이루어진다.
중공지르코니아. 코팅재

Description

카본함유 내화물 표면에 코팅되는 코팅재{coating merterials for coating on surface refractories contained carbon}
본 발명은 카본함유 내화물의 코팅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카본 내화물의 표면 산화를 방지하고, 단열층으로서 표면으로부터의 열방산을 억제함과 함께 용강 및 슬라그 성분에 대한 우수한 내용성으로 사용수명을 향상시키는데 적합한 코팅재에 관한 것이다.
강의 연속주조용으로 사용되는 주조용 내화물에는 일반적으로 알루미나-카본질, 지르코니아-흑연질 등의 카본함유 내화물이 사용되고 있다.
카본 내화물은 예열중 및 사용중의 카본 산화방지를 위해 표면에 주로 유리 함유물인 산화방지제가 도포되고 있다.
또한 카본 함유 내화물은 통상 예열 종료후 및 사용중에 표면으로부터의 열방산에 의한 온도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유리상의 파이버 또는 세라믹 페이퍼의 단열 보온재를 외 표면에 감아서 사용하는 것이 지금까지의 일반적인 방법이다.
그러나 최근 유리상의 파이버 또는 세라믹 페이퍼 등의 보온재가 환경에 문제가 ㎛있어 유럽 등 일부 지역에서는 보온단열재의 성분 중 알루미나 함량 30중량 %, 파이버의 평균 직경을 5㎛ 이상으로 규제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평7-147174호 공보는 300∼1200℃에서 가열처리한 질석을 3∼30중량%, 800℃ 이상의 열에 중공 조직화하는 흑요석, 진주암, 송지암, 팽창혈암 중에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을 미가열상태로 1∼30중량%, 400∼1500℃에서 연화 용융하는 유리분말 또는 납석, 규석, 샤모트, 뮬라이트, 알루미나, 용융실리카, 지르코니아, 마그네시아를 1종류 이상의 내화분말을 40∼96중량%로 되는 혼합물에 추가적으로 액상바인더를 20∼250중량% 배합한 단열성을 갖는 흑연 함유 내화물의 단열성 산화방지제가 개시되고 있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49577호에서는 입도 0.5∼6.0mm의 중공알루미나를 15∼70중량%, 입도 1mm 이하의 마그네시아, 스피넬을 주성분으로 하는 적어도 1종류의 제1 미분을 2∼30중량%, 입도가 1mm 이하인 알루미나, 뮬라이트, 실리카, 지르코니아 중 적어도 1종류를 주성분으로 하는 제2 미분의 내화원료를 8∼60중량%, 수경성 알루미나, 알루미나 성분 65중량%, 알루미나 시멘트 5∼45중량% 혼합물로 구성되는 부정형 내화물이 개시되고 있다.
또한 일본공개특허공보 2003-95757호에서는 알루미나 및 실리카를 함유한 중공 내화원료(실리카 40∼80중량%, 알루미나 20∼60중량%, 입도 30∼800㎛) 50∼97중량%, 잔량의 일부 또는 전부가 점토(점토 함량 30%이하)이고, 추가적으로 액상바인더가 20∼170% 첨가하여서 된 카본 함유 내화물의 단열 코팅재가 개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특개평 7-147174호는 미가열 상태의 흑요석 · 진주암 · 송지암 · 팽창혈암(이하"발포성 펄라이트"라 칭함)의 함유량이 1∼30중량%로 조성되 고 있으나, 이와 같이 발포성 펄라이트를 배합해도 가열시 충분한 발포단열층이 얻어지지 않는다. 또한 발포성 펄라이트는 가열시 발포하여도 모재인 흑연 함유 내화물과 밀착성이 좋지 않고, 모재와 발포층의 간극이 발생하고 사용시 박리 가능성도 있다.
특개평11-49577호는 부정형 내화물의 입도가 큰 중공알루미나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단열층 형성이 곤란하고, 수경성 알루미나 또는 알루미나 시멘트를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시 균열 발생 및 조재와의 박리 가능성이 높다.
또한 특개평2003-95757호는 실리카 함량의 증가에 의한 사용 수명 향상이 곤란하여 2003년 일본의 YTK에서는 상기의 중공 원료 및 입자 100∼1000㎛의 중공 알루미나를 사용하여 침지노즐의 사용 수명을 연장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안정한 산화방지와 단열층을 형성하고 보다 획기적인 수명 향상을 도모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중공지르코니아에 여러 원료를 적절히 조성하여 고온 가열시 내화물의 표면 산화방지 및 단열층 형성으로 용강 및 슬라그 성분에 대한 내용성 증대로 사용수명이 향상된 카본 함유 내화물의 코팅재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중공지르코니아 1∼95중량부, 중공알루미나-실리카 5∼50중량부, 점토 3∼15중량부, 프리트(frit) 2∼30중량부, 질석 3∼15중량부, 석영, 뮬라이트, 지르코니아, 마그네시아, 스피넬, 알루미나, 납석, 파이버 중 적어도 1종이 2-10중량부, 액상바인더 20-180중량부로 조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본 함유 내화물 표면에 코팅되는 코팅재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코팅재에 필요에 따라 안정화조제인 CaO, MgO, Y2O3 중 적어도 1종이 10중량부 이하 조성될 수 있다.
중공지르코니아는 0.02∼2.0mm 입도 범위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입도 범위는 카본 함유 내화물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방법에 따라서 첨가 원료의 입도범위가 달라지며, 스프레이 도포시에는 0.02∼1.0mm가 양호하다.
중공지르코니아는 중공알루미나에 비해 융점이 높고 열전도율이 수분의 1 정도로 내열성 및 단열성이 우수하고, 용강 및 슬라그 성분과 반응하지 않기 때문에 내침식성 또한 기존에 사용하는 통상적인 원료에 비해 대단히 우수하다.
상기와 같은 중공지르코니아는 원료 자체의 특성이 뛰어나므로 기존의 중공원료를 일부 또는 전부 대치하여 단열성 및 내식성 증가로 사용수명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조성에서 점토는 그 사용량이 15중량부 이상일 경우는 배합 성분에 차이가 있지만 예열이나 실 사용시에 단열층의 소결 수축에 의해서 박리가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3∼15중량부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중공지르코니아와 점토 이외의 성분으로는 단열층의 조직을 보다 저온에서 결합하기 위해서 프리트(frit)와 같은 유리생성물 또는 규회석과 같은 원료를 30중량부 이하 첨가하되, 바람직하기로는 2∼30중량부이고, 이와 같은 유사한 목적으로 중공알루미나-실리카원료도 50중량부 미만 첨가하여 단열층의 결합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5∼50중량부이다.
본 발명은 상기 원료 외에 용융 석영, 뮬라이트, 지르코니아, 마그네시아, 스피넬 , 알루미나, 납석 등의 내화분말과 파이버 중에서 적어도 1종이 2∼10중량부 조성된다.
상기 파이버의 경우 평균 입경이 5㎛ 이상인 실리카, 지르코니아 등의 파이버를 1종 이상 사용할 수 있다.
이상의 원료를 배합한 코팅제는 액상바인더로서 규산칼슘, 인산, 인산알루미늄, 물유리, 콜로이달 실리카 중에서 적어도 1종 배합하여 사용되며, 첨가량은 20∼180중량부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조성에 안정화조제인 CaO, MgO, Y2O3 가 적어도 1종이 10중량부 이하 조성할 수 있다.
본 발명품의 코팅재를 사용하여 크팅층을 형성하는 방법은 액상바인더 첨가량의 조정 및 입자 크기를 조정하여 스프레이 도포, 붓이나 로울러 도포, 케스팅, 테이핑 등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따라 설명한다.
하기 (표 1) 및 (표 2)에 나타낸 조성의 코팅재를 카본 함유 내화물인 연속주조용 침지노즐의 외부 표면에 약 3∼4mm 두께로 스프레이 도포하여 110℃에서 6시간 건조하였다.
상기 코팅제가 도포된 침지노즐을 상부가스 버너를 이용하여 표면부가 1200℃될 때까지 가열하였다. 그리고 3시간 유지 후 가열을 중지한 뒤 대기중에 방치하여 온도 강하 속도 측정 및 코팅재의 부착상태, 모재의 산화 유무를 확인하였다.
또한 용강과 슬라그에 대한 내식성의 평가를 위해 상기 조성의 연속주조용 침지노즐로 별도의 시편을 제작하여 유도로 침식 시험을 실시하였다.
실 시 예 종래
1 2 3 4 5 6 7 8 1 2 3 4
중공지르코니아 95 85 70 55 40 25 10 1
중공알루미나-실리카 - - 10 25 30 35 40 49 74 78 72 85
점토 3 5 - 5 15 10 15 10 10 8 13 6
질석 - - 5 - 10 15 15 5 5 5 2
규회석 - 5 3 10 - - 15 30 2
유리상분말 2 3 8 - - 10 - - 3 3 1 2
석영유리 - - - - 3 - - - 2 - - -
뮬라이트 - - 2 - - - - - 6 - - -
마그네시아 - 2 - - - - - 3 - - - 2
지르코니아 - - 2 - - - - - - 6 - -
스피넬 - - - 5 - - - - - - - -
알루미나 - - - - 2 - - - - - 7 -
지르코니아 화이바 - - - - - 5 - 2 - - - -
납석 - - - - - - - - - - - -
액상바인더(물초자) +60 +80 +100 +140 +110 +130 +180 +160 +110 +100 +110 +80
스프레이 작업성
온도강하 470 490 400 420 390 450 450 470 400 390 400 360
카본함유내화물과의 부착성
카본함유내화물의 산화 × × × × × × × ×
내침식성 80 92 95 98 100 122 130 136 110 90 105 95
실 시 예
9 10 11 12 13 14 15 16 17
중공지르코니아 40 50 55 60 65 70 75 80 85
중공알루미나-실리카 30 40 - 30 - 20 - 10 -
점토 15 5 10 5 8 5 10 5 10
질석 10 - 10 - 5 3 - - -
규석회 - 3 20 3 10 - - - -
유리상분말 - - 3 - 7 - 10 - 2
석영유리 3 2 - - - - - - -
뮬라이트 - - - - 2 - - - -
마그네시아 - - 2 - - - - - 3
지르코니아 - - - 2 - - - - -
스피넬 - - - - 3 - - - -
알루미나 2 - - - - 2 - - -
지르코니아화이바 - - - - - - 5 - -
납석 - - - - - - - 5 -
액상바인더(물초자) +110 +95 +110 +100 +120 +110 +110 +95 +90
스프레이작업성
온도강하 390 350 390 360 380 360 370 350 370
카본함유내화물과 부착성
카본함유내화물과의 산화 × × × × × × × × ×
내침식성 100 78 85 72 82 70 75 62 68
온도강하: 가열후 방치 10분후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주성분으로 하는 중공지르코니아에 여러 원료를 적절히 조성하여 고온 가열시 내화물의 표면 산화방지 및 단열층 형성으로 용강 및 슬라그 성분에 대한 우수한 내용성 증대로 사용수명이 향상된 카본 함유 내화물의 코팅재를 얻게 된다.

Claims (3)

  1. 중공지르코니아 1∼95중량부, 중공알루미나-실리카 5∼50중량부, 점토 3∼15중량부, 프리트(frit) 2∼30중량부, 질석 3∼15중량부, 석영, 뮬라이트, 지르코니아, 마그네시아, 스피넬, 알루미나, 납석, 파이버 중 적어도 1종이 2-10중량부, 액상바인더 20-180중량부로 혼합 조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본 함유 내화물 표면에 코팅되는 코팅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에 안정화조제인 CaO, MgO, Y2O3 가 적어도 1종이 10중량부 이하 조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본 함유 내화물 표면에 코팅되는 코팅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지르코니아가 0.02∼2.0mm 입자범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카본 함유 내화물 표면에 코팅되는 코팅재
KR1020060004368A 2006-01-16 2006-01-16 카본함유 내화물 표면에 코팅되는 코팅재 KR100670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4368A KR100670905B1 (ko) 2006-01-16 2006-01-16 카본함유 내화물 표면에 코팅되는 코팅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4368A KR100670905B1 (ko) 2006-01-16 2006-01-16 카본함유 내화물 표면에 코팅되는 코팅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0905B1 true KR100670905B1 (ko) 2007-01-19

Family

ID=38014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4368A KR100670905B1 (ko) 2006-01-16 2006-01-16 카본함유 내화물 표면에 코팅되는 코팅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09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8136B1 (ko) 2008-10-15 2012-03-12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무기중공입자를 포함하는 내화도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미국특허공보 제5466280호
한국공개특허공보 1985-8187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8136B1 (ko) 2008-10-15 2012-03-12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무기중공입자를 포함하는 내화도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33923B2 (en) Monolithic refractory material having low expansibility, high strength, and crack extension resistance
EP3255024B1 (en) Heat-insulating monolithic refractory material
CN115321956B (zh) 一种利用高温液相增韧镁碳砖及其制备方法
GB2190371A (en) Moulding material
EP1443031A1 (en) Thermally insulating coating material for refractory containing carbon
KR100670905B1 (ko) 카본함유 내화물 표면에 코팅되는 코팅재
JP4598672B2 (ja) ジルコニア質不定形耐火物
KR100490984B1 (ko) 연속주조용 흑연질 내화물과 그에 도포되는 산화방지제
KR101743825B1 (ko) 지금 생성 억제용 코팅제
JP4416946B2 (ja) セラミック複合体
KR101236300B1 (ko) 탄소함유 내화물용 산화방지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여탄소함유 내화물의 초기 산화를 억제하는 방법
KR101236301B1 (ko) 탄소함유 내화물용 산화방지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여탄소함유 내화물의 초기 산화를 억제하는 방법
KR100569207B1 (ko) 염기성 습식 스프레이재
KR960004393B1 (ko) 고강도 내화단열 캐스타블 조성물
KR100218242B1 (ko) 래들/턴디쉬 내장내화물의 보수재 조성물 및 내장내화물의 보수방법
KR100276313B1 (ko) 산화방지용 저팽창성 도포제와 이를 이용한 도포방법
JP2657042B2 (ja) 黒鉛含有耐火物の断熱性酸化防止剤
KR100628972B1 (ko) 용융실리카질 내화 보수재
KR100262670B1 (ko) 내산화성과열간강도가개선된탄소함유내화물의산화방지용피복금속분말제조방법
JP2018062438A (ja) 連続鋳造ノズル用断熱コーティング材
KR100891823B1 (ko) 정련로 열간 보수용 마그네시아-크롬계 스프레이재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정련로 보수방법
EP2637980B1 (en) Protective surface coating composition for resin bonded refractory bricks and its method of production
JP2001335375A (ja) カーボン含有耐火物用断熱コーティング材
KR100826429B1 (ko) 감람석 함유 내화 몰탈 조성물
JPH0510299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