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9606B1 - 충전기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 방법 - Google Patents

충전기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9606B1
KR100669606B1 KR1020000021312A KR20000021312A KR100669606B1 KR 100669606 B1 KR100669606 B1 KR 100669606B1 KR 1020000021312 A KR1020000021312 A KR 1020000021312A KR 20000021312 A KR20000021312 A KR 20000021312A KR 100669606 B1 KR100669606 B1 KR 1006696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rechargeable battery
charging
state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1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7326A (ko
Inventor
박원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21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9606B1/ko
Publication of KR20010097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7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9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96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20/00Electricity: battery or capacitor charging or discharging
    • Y10S320/18Indicator or display
    • Y10S320/21State of charge of battery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 방법은, (a)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이 켜져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b)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이 켜져 있는 경우에는, 단말기에 내장된 충전기에 외부 전원이 입력되게 하는 단계와, (c)단말기에 내장된 충전기에 외부 전원이 입력되면, 단말기에 충전지가 부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d)단말기에 충전지가 부착되어 있으면, 충전지의 충전 상태가 충만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e)충전지의 충전 상태가 충만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충전지를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 상태 표시부에는, 단말기에 충전지가 부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단말기에 충전지의 부착을 요청하는 내용의 메시지가 표시되고, 충전 수행 중에는 단말기의 충전지에 대한 충전 수행 중임을 알리는 메시지가 표시되고, 단말기의 충전지가 충만 상태로 충전되면, 단말기의 충전지에 대한 충전 수행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내용의 메시지가 표시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 내부에 충전기가 내장되어, 단말기의 주제어부가 부착된 충전지의 충전 정도를 검출하고, 단말기 충전지의 충전을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충전 상태 표시부에 충전지의 충전 정도가 표시됨에 따라 충전지의 충전 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Description

충전기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 방법{Charging method for mobile station having a charger}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충전기가 접속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 방법에 따른 단말기의 충전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이 켜져 있는 상태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 방법에 따른 단말기의 충전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이 꺼져 있는 상태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 방법에 따른 단말기의 충전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300... 이동통신 단말기 110, 303... 충전기
111, 302... 충전 상태 표시부 301... 주제어부
310... 충전지 304... 외부 전원 입력부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 내부에 충전기가 내장되어, 단말기의 주제어부가 부착된 충전지의 충전 정도를 검출하고, 단말기 충전지의 충전을 제어할 수 있는 충전기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충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이동통신 단말기는 휴대의 간편성 및 편리성으로 인하여 생활의 필수품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연락처, 전화번호, 일정 관리, 메모 등을 입력할 수 있는 기능이 있어서, 전화 통화를 위한 수단을 넘어서 개인 정보 관리(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기능을 위한 수단으로 변화되고 있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단말기에 전원 공급이 되어야 하는데, 충전된 충전지를 단말기에 부착하여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또는 외부 전원 공급선을 상기 단말기의 리셉터클(receptacle)에 접속시키는 방법을 통하여 상기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한다.
그리고, 충전된 충전지를 이용하여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충전지를 충전시킬 수 있어야 한다. 이때, 충전지를 충전시키는 방법은 충전지만을 별도로 충전기에 삽입하여 충전할 수도 있고, 충전지가 부착된 단말기를 충전기에 삽입하여 충전지를 충전시킬 수도 있다.
그러면, 충전지를 충전시키는 과정에 대하여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해 보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충전기가 접속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 방법에 따른 단말기의 충전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충전지가 부착된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충전기(110)에 삽입시킨다(단계 201). 그러면, 상기 충전기(110)에 내장된 마이콤(micom)(미도시)은 상기 단말기(100) 충전지의 충전 상태를 점검하고(단계 202), 상기 단말기(100) 충전지의 충전 상태가 충만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충전지를 충전시킨다(단계 203). 이때, 상기 충전기(110)의 마이콤은 충전 상태 표시부(111)에 충전지를 충전 중임을 알리는 표시를, 예컨대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LED)의 색상을 이용하여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100) 충전지의 충전 상태가 충만한 상태가 되면, 상기 충전기(110)의 마이콤은 상기 충전 상태 표시부(111)에 충전지가 충만하게 충전되었음을 알리는 표시를 나타낸다(단계 204).
한편, 상기 단계 202의 판단 결과, 간편성 단말기(100) 충전지의 충전 상태가 충만한 경우에는, 상기 충전지에 대한 충전을 수행하지 않고 상기 충전 상태 표시부(111)에 충전지가 충만하게 충전되었음을 알리는 표시를 나타낸다(단계 204).
그런데,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충전함에 있어서는, 단말기와 충전기가 상호 분리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충전기가 별도의 충전 제어부를 구비해야 하며, 또한 단말기의 충전 상태를 표시함에 있어, 충전 중인 상태와 충전 완료의 상태만을 LED를 이용하여 표시함으로서, 단말기의 충전 상태가 어느 정도인지를 표시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 내부에 충전기가 내장되어, 단말기의 주제어부가 부착된 충전지의 충전 정도를 검출하고, 단말기 충전지의 충전을 제어할 수 있는 충전기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충전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 방법은,
(a)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이 켜져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b) 상기 단계 (a)의 판단 결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이 켜져 있는 경우에는, 상기 단말기에 내장된 충전기에 외부 전원이 입력되게 하는 단계와;
(c)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단말기에 내장된 충전기에 외부 전원이 입력되면, 상기 단말기에 충전지가 부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d) 상기 단계 (c)의 판단 결과, 상기 단말기에 충전지가 부착되어 있으면, 상기 충전지의 충전 상태가 충만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e) 상기 단계 (d)의 판단 결과, 상기 충전지의 충전 상태가 충만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충전지를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 상태 표시부에는, 상기 단계 (c)의 판단 결과, 상기 단말기에 충전지가 부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단말기에 충 전지의 부착을 요청하는 내용의 메시지가 표시되고, 상기 단계 (e)의 충전 수행 중에는, 상기 단말기의 충전지에 대한 충전 수행 중임을 알리는 메시지가 표시되고, 상기 단계 (e)의 충전 수행 결과, 상기 단말기의 충전지가 충만 상태로 충전되면, 상기 단말기의 충전지에 대한 충전 수행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내용의 메시지가 표시된다.
또한,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이 꺼져 있는 경우에는,
(h) 상기 단말기에 내장된 충전기에 외부 전원이 입력되게 하는 단계와;
(i) 상기 단계 (h)에서 상기 단말기에 내장된 충전기에 외부 전원이 입력되면, 상기 단말기의 충전 기능 수행에 필요한 부분에만 전원이 공급되는 단계와;
(j) 상기 단계 (i)에서 단말기의 충전 기능 수행에 필요한 부분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단말기에 충전지가 부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k) 상기 단계 (j)의 판단 결과, 상기 단말기에 충전지가 부착되어 있으면, 상기 충전지의 충전 상태가 충만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l) 상기 단계 (k)의 판단 결과, 상기 충전지의 충전 상태가 충만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충전지를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충전기에 공급되는 외부 전원이 차단되면, 상기 단말기는 전원 꺼짐 상태로 전환된다.
또한, 상기 단말기의 충전 상태 표시부에는, 상기 단계 (j)의 판단 결과, 상기 단말기에 충전지가 부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단말기에 충전지의 부착 을 요청하는 내용의 메시지가 표시되고, 상기 단계 (l)의 충전 수행 중에는, 상기 단말기의 충전지에 대한 충전 수행 중임을 알리는 메시지가 표시되고, 상기 단계 (l)의 충전 수행 결과, 상기 단말기의 충전지가 충만 상태로 충전되면, 상기 단말기의 충전지에 대한 충전 수행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내용의 메시지가 표시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 내부에 충전기가 내장되어, 단말기의 주제어부가 부착된 충전지의 충전 정도를 검출하고, 단말기 충전지의 충전을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충전 상태 표시부에 충전지의 충전 정도가 단계별로 표시됨에 따라 충전지의 충전 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말기(300)의 기능을 제어하는 주제어부(301)와, 상기 단말기(3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지(310)와, 그 충전지(310)를 충전시키는 충전기(303)와, 그 상기 충전기(303)에 공급되는 외부 전원이 입력되는 외부 전원 입력부(304) 및 상기 충전지(310)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충전 상태 표시부(302)를 포함한다.
그러면,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충전기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 과정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해 보기로 한다. 도 4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이 켜져 있는 상태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 방법에 따른 단말기의 충전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이동통신 단말기(300)의 전원이 켜져 있는 상태에서(단계 401), 상기 단말기(300)에 내장된 충전기(303)에, 외부 전원 입력부(304)를 통하여 외부 전원이 공급된다(단계 402). 이에 따라, 상기 단말기(300)의 주제어부(301)는 상기 단말기(300)에 충전지(310)가 부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403).
여기서, 단말기(300)의 전원이 켜져 있는 경우에도 충전지(310)가 부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예컨대, 리셉터클을 통하여 외부 전원이 단말기 (300)에 공급되는 경우에는, 충전지(310)가 상기 단말기(300)에 부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상기 단말기(300)는 정상적으로 동작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단계 403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단말기(300)에 충전지(310)가 부착되어 있으면, 상기 충전지(310)의 충전 상태를 판단하고(단계 404), 상기 충전지 (310)의 충전 상태가 충만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충전지(310)에 대한 충전을 수행한다(단계 405). 그리고, 상기 단말기(300)의 충전 상태 표시부(302)에는 상기 충전지(310)를 충전 중임을 나타내는 표시, 예컨대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LCD)를 이용하여 상기 충전지(310)의 충전 정도를 단계별로 나타낸다.
한편, 상기 단계 404의 판단 결과, 상기 충전지(310)의 충전 상태가 충만한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충전지(310)에 대한 충전을 수행하지 않고, 상기 충전 상태 표시부(302)에 상기 충전지(310)가 충만하게 충전되었음을 알리는 표시를 나타낸다 (단계 406).
또한, 상기 단계 403의 판단 결과, 상기 단말기(300)에 충전지(310)가 부착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충전 상태 표시부(302)에 충전지(310)의 부착을 요청하는 내용의 메시지를 표시한다(단계 407).
한편,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이 꺼져 있는 상태에서의 단말기 충전 과정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해 보기로 한다. 도 5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이 꺼져 있는 상태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 방법에 따른 단말기의 충전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이동통신 단말기(300)의 전원이 꺼져 있는 상태에서(단계 501), 상기 단말기(300)에 내장된 충전기(303)에, 외부 전원 입력부(304)를 통하여 외부 전원이 공급된다(단계 502). 그러면, 상기 단말기(300)의 충전 기능 수행에 필요한 부분, 예컨대 주제어부(301), 충전 상태 표시부(302)에 전원이 공급된다(단계 503).
이에 따라, 상기 단말기(300)의 주제어부(301)는 상기 단말기(300)에 충전지 (310)가 부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504). 이때, 상기 단계 504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단말기(300)에 충전지(310)가 부착되어 있으면, 상기 충전지(310)의 충전 상태를 판단하고(단계 505), 상기 충전지(310)의 충전 상태가 충만한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충전지(310)에 대한 충전을 수행한다(단계 506). 그리고, 상기 단말기(300)의 충전 상태 표시부(302)에는 상기 충전지(310)를 충전 중임을 나타내는 표시, 예컨대 LCD 표시창을 이용하여 상기 충전지(310)의 충전 정도를 단계별로 나타낸다.
한편, 상기 단계 505의 판단 결과, 상기 충전지(310)의 충전 상태가 충만한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충전지(310)에 대한 충전을 수행하지 아니하고, 상기 충전 상태 표시부(302)에 상기 충전지(310)가 충만하게 충전되었음을 알리는 표시를 나타낸다(단계 507).
또한, 상기 단계 504의 판단 결과, 상기 단말기(300)에 충전지(310)가 부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충전 상태 표시부(302)에 충전지(310)의 부착을 요청하는 내용의 메시지를 나타낸다(단계 508).
한편, 상기 단말기(300)에 공급되던 외부 전원이 차단되면, 상기 단말기 (300)는 전원 꺼짐 상태로 전환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전원이 꺼져 있는 상태에서의 단말기(300)에 대한 충전 수행 중에, 상기 단말기(300)의 전원 켜짐 버튼이 눌러 지면, 상기 단말기(300)의 모든 부분에 정상적으로 전원이 공급되며, 상기 단말기(300)의 일반적인 기능이 수행된다.
이와 같은, 충전기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단말기 전원 상태의 변화와, 충전지 부착 상태의 변화 및 외부 전원 공급 상태의 변화에 대한 상기 단말기의 동작을 표 1에 나타내었다.
단말기 전원 상태 충전지 부착 상태 외부 전원 공급 상태 단말기 동작 설명
꺼짐 분리 차단 -> 공급 충전지 부착 요청 표시
꺼짐 부착 차단 -> 공급 충전 수행
꺼짐 분리 공급 -> 차단 단말기 전원 꺼짐
꺼짐 부착 공급 -> 차단 단말기 전원 꺼짐
꺼짐 분리 -> 부착 차단 No Operation
꺼짐 분리 -> 부착 공급 N/A
꺼짐 부착 -> 분리 차단 No Operation
꺼짐 부착 -> 분리 공급 N/A
꺼짐 -> 켜짐 분리 차단 No Operation
꺼짐 -> 켜짐 분리 공급 충전지 부착 요청 표시
꺼짐 -> 켜짐 부착 차단 일반적인 동작 수행
꺼짐 -> 켜짐 부착 공급 충전 수행
켜짐 분리 차단 -> 공급 N/A
켜짐 부착 차단 -> 공급 충전 수행
켜짐 분리 공급 -> 차단 N/A
켜짐 부착 공급 -> 차단 일반적인 동작 수행
켜짐 분리 -> 부착 차단 N/A
켜짐 분리 -> 부착 공급 N/A
켜짐 부착 -> 분리 차단 단말기 전원 꺼짐
켜짐 부착 -> 분리 공급 N/A
켜짐 -> 꺼짐 분리 차단 No Operation
켜짐 -> 꺼짐 분리 공급 N/A
켜짐 -> 꺼짐 부착 차단 단말기 전원 꺼짐
켜짐 -> 꺼짐 부착 공급 충전 수행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충전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 내부에 충전기가 내장되어, 단말기의 주제어부가 부착된 충전지의 충전 정도를 검출하고, 단말기 충전지의 충전을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충전 상태 표시부에 충전지의 충전 정도가 단계별로 표시됨에 따라 충전지의 충전 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Claims (6)

  1. 표시부, 제어부, 전원부 및 충전부를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충전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a)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이 켜져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b) 상기 단계 (a)의 판단 결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이 켜져 있는 경우에는, 상기 단말기에 내장된 충전기에 외부 전원이 입력되게 하는 단계와;
    (c)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단말기에 내장된 충전기에 외부 전원이 입력되면, 상기 단말기에 충전지가 부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단말기에 충전지가 부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단말기에 충전지의 부착을 요청하는 내용의 메시지가 출력되는 단계와;
    (d) 상기 단계 (c)의 판단 결과, 상기 단말기에 충전지가 부착되어 있으면, 상기 충전지의 충전 상태가 충만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e) 상기 단계 (d)의 판단 결과, 상기 충전지의 충전 상태가 충만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충전지를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 상태 표시부에는,
    상기 단계 (e)의 충전 수행 중에는, 상기 단말기의 충전지에 대한 충전 수행 중임을 알리는 메시지가 표시되고,
    상기 단계 (e)의 충전 수행 결과, 상기 단말기의 충전지가 충만 상태로 충전되면, 상기 단말기의 충전지에 대한 충전 수행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내용의 메시지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 방법.
  3. 표시부, 제어부, 전원부 및 충전부를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충전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이 켜져 있는지를 판단한 결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이 꺼져 있는 경우에는,
    (a) 상기 단말기에 내장된 충전기에 외부 전원이 입력되게 하는 단계와;
    (b)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단말기에 내장된 충전기에 외부 전원이 입력되면, 상기 단말기의 충전 기능 수행에 필요한 부분에만 전원이 공급되는 단계; 및
    (c) 상기 충전기의 충전지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d) 상기 단계 (b)에서 단말기의 충전 기능 수행에 필요한 부분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단말기에 충전지가 부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e) 상기 단계 (d)의 판단 결과, 상기 단말기에 충전지가 부착되어 있으면, 상기 충전지의 충전 상태가 충만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f) 상기 단계 (e)의 판단 결과, 상기 충전지의 충전 상태가 충만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충전지를 충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에 공급되는 외부 전원이 차단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전원 꺼짐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지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 상태 표시부에는,
    상기 단계 (d)의 판단 결과, 상기 단말기에 충전지가 부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단말기에 충전지의 부착을 요청하는 내용의 메시지가 표시되고,
    상기 단계 (e)의 충전 수행 중에는, 상기 단말기의 충전지에 대한 충전 수행 중임을 알리는 메시지가 표시되고,
    상기 단계 (e)의 충전 수행 결과, 상기 단말기의 충전지가 충만 상태로 충전되면, 상기 단말기의 충전지에 대한 충전 수행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내용의 메시지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 방법.
KR1020000021312A 2000-04-21 2000-04-21 충전기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 방법 KR1006696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1312A KR100669606B1 (ko) 2000-04-21 2000-04-21 충전기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1312A KR100669606B1 (ko) 2000-04-21 2000-04-21 충전기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7326A KR20010097326A (ko) 2001-11-08
KR100669606B1 true KR100669606B1 (ko) 2007-01-15

Family

ID=19666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1312A KR100669606B1 (ko) 2000-04-21 2000-04-21 충전기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96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3460B1 (ko) * 2005-12-12 2006-1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상태 표시 장치 및 충전상태 표시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6722A (ko) * 1995-12-15 1997-07-31 유기범 자동 충전 차단 기능을 갖는 무선 전화기
KR970056724A (ko) * 1995-12-23 1997-07-31 정장호 전화기의 동작 상태에 따라 충전 상태를 조절해 주는 충전 장치 및 그 방법
KR19980012971U (ko) * 1996-08-29 1998-06-05 양재신 자동차용 실내 조명장치
KR100223293B1 (ko) * 1992-12-31 1999-10-15 구자홍 충전장치를 갖춘 휴대형 셀룰라폰
KR20000010017A (ko) * 1998-07-29 2000-02-15 윤종용 충전잔류시간 표시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3293B1 (ko) * 1992-12-31 1999-10-15 구자홍 충전장치를 갖춘 휴대형 셀룰라폰
KR970056722A (ko) * 1995-12-15 1997-07-31 유기범 자동 충전 차단 기능을 갖는 무선 전화기
KR970056724A (ko) * 1995-12-23 1997-07-31 정장호 전화기의 동작 상태에 따라 충전 상태를 조절해 주는 충전 장치 및 그 방법
KR19980012971U (ko) * 1996-08-29 1998-06-05 양재신 자동차용 실내 조명장치
KR20000010017A (ko) * 1998-07-29 2000-02-15 윤종용 충전잔류시간 표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7326A (ko) 2001-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3281B1 (ko) 모드 스위칭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저장 매체
EP2063616A1 (en) Method for performing display in cell phone and cell phone thereof
JP3928643B2 (ja) 電話機
US7181006B2 (en) Portable terminal device having timer
CN100440276C (zh) 显示装置和便携设备
JP2914425B2 (ja) 自動電源制御機能付き携帯電話機
KR100669606B1 (ko) 충전기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 방법
JP2002099884A (ja) 報知装置付icカード
KR100677068B1 (ko)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전원 관리장치 및 그 방법
JPH1069335A (ja) 携帯情報端末
JP2004120071A (ja) 携帯端末機
JPH0883143A (ja) ペン入力装置
KR20060082912A (ko) 절전 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자 장치 및 그의 처리 방법
KR100648333B1 (ko) 휴대폰의 충전방법
CN102156531B (zh) 用于管理省电功能的装置和方法
KR101002480B1 (ko) 휴대 단말용 충전 장치 및 그 방법
JP2004140848A (ja) 携帯電子機器
KR20060129906A (ko)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충전상태 표시 방법
CN209881460U (zh) 充电指示电路及移动终端
KR200285697Y1 (ko) 분리형 커넥터를 갖는 핸드폰 충전기의 표시장치
KR200256232Y1 (ko) 휴대 전화기용 간이 충전기의 잔류전압 표시회로
JP2007243962A (ja) 携帯電子機器
KR20160148442A (ko) 예비 배터리를 이용한 표시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KR20030051008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 소모 시 긴급통화 설정방법
KR20040014817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용량 표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