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6232Y1 - 휴대 전화기용 간이 충전기의 잔류전압 표시회로 - Google Patents

휴대 전화기용 간이 충전기의 잔류전압 표시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6232Y1
KR200256232Y1 KR2020010027298U KR20010027298U KR200256232Y1 KR 200256232 Y1 KR200256232 Y1 KR 200256232Y1 KR 2020010027298 U KR2020010027298 U KR 2020010027298U KR 20010027298 U KR20010027298 U KR 20010027298U KR 200256232 Y1 KR200256232 Y1 KR 2002562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battery
charger
mobile phon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72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선일
박계서
Original Assignee
유선일
박계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선일, 박계서 filed Critical 유선일
Priority to KR20200100272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62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62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6232Y1/ko

Links

Landscapes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 전화기용 간이 충전기의 잔류전압 표시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임의로 건전지(1)의 출력전압을 각부에 공급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전원 스위치(SW)와; 상기 전원 스위치(SW)가 '온'되면 간이 충전기내에 상호 직렬 연결되는 형태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개의 건전지(1)들에 대한 전체 전압이 제 1 전압 이하인지를 검출하는 건전지 교체전압 검출부(2)와; 상기 건전지 교체전압 검출부(2)에서 검출한 결과 건전지의 총전압이 제 2 전압 이상일때는 소등되고 제 1 전압 이하일 때는 점등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전전지를 가급적 교체하거나 즉시 교체할 수 있도록 인식시켜 주는 건전지 교체시기 표시부(3)와; 상기 전원 스위치(SW)가 '온'되면 수개의 건전지(1)들에 대한 전체 전압이 제 3 내지 제 4 전압 이상인지를 검출하는 건전지 사용 가능전압 검출부(4)와; 상기 건전지 사용가능전압 검출부(4)에서 검출한 결과 건전지(1)의 총 전압이 제 3 내지 제 4 전압 이상일때 점등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계속 사용 가능함을 인식토록 하는 전화통화 가능 표시부(5)로 구성하여 간이 충전기내 전전지 잔류전압이 계속 사용가능한지, 가급적 새로운 걸루 교체해야하는지 및 즉시 교체해야하는지를 시각 및 청각을 통해 인식할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 전화기용 간이 충전기의 잔류전압 표시회로{Battery remaining capacity indicating device of handy charger for portable phones}
본 고안은 휴대 전화기용 간이 충전기의 잔류전압 표시회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외부 업무를 보는 중이거나, 장거리 여행중에 휴대 전화기의 배터리가 다 소모되어, 차량용 충전기, 가정용 충전기를 사용하지 못할 경우에 언제 어디서든 누구나 쉽게 구할 수 있는 일반 건전지가 내장된 간이 충전기를 휴대 전화기에 간단히 연결시켜 보조적으로 휴대 전화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배터리를 급속 충전시켜 배터리 소모로 인한 불통화 상태를 없앨 수 있도록 개발된 간이 충전기내의 일반 건전지의 잔류 전압으로 얼마 만큼 더 통화를 실시할 수 있는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고안한 것이다.
다시말해서, 간이 충전기내의 전전지 잔류전압이 계속 사용가능한지, 가급적 새로운 것으로 교체해야하는지 및 즉시 교체할 것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하여 좀더 편리하게 간이 충전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한 휴대 전화기용 간이 충전기의 잔류전압 표시회로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수단의 발달로 많은 사람들이 휴대 전화기을 사용하고 있으며, 상기 휴대 전화기의 배면에는 배터리를 교체하여 사용을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대다수의 사람들은 고가의 보조 배터리를 별도로 더 구비하여 휴대 전화기와 별도로 휴대하면서 현재 휴대 전화기에 장착된 배터리를 다 사용하였을 때 보조 배터리로 교체하여 휴대 전화기를 계속해서 사용하거나, 휴대 전화기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로 외부기기인 충전기나, 차량에 설치하여 사용을 하는 충전기 또는 핸즈프리에 수시로 결합시켜 배터리들을 충전시켜 사용을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보조적으로 사용되는 배터리는 휴대하기가 불편하여 대다수의 사람들은 그냥 휴대 전화기에 결합되어 있는 배터리만으로 사용을 하고 있는데, 이는 휴대 전화기의 잦은 사용에 따라 배터리가 다 소모되었을 경우에 다시배터리를 충전시키기 까지는 휴대 전화기을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술한 충전기나 핸즈프리는 사용장소가 한정되어 있어 외부에서는 사용하기 곤란하여 휴대 전화기의 배터리가 다 소모되었을 때에 쉽게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기존의 휴대전화 충전방식은 가정이나 직장에서 교류전원(110, 220V)을 이용하기 때문에 교류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곳에서의 이용이 매우 어려운 점이 있었고, 또 차량 운전자의 경우에는 역시 운행중 차량의 전원(12,24V)을 이용하고 있으나 이 또한 배터리 소모시 차량에 시동을 걸고 충전을 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이유없는 공회전의 사용이 불가피할 뿐만 아니라, 차량내에 장착하므로써 그 내부의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게 됨은 물론 핸드프리나 충전기 자체가 운전자는 물론 탑승자에게 걸리적거리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보조 배터리를 휴대하고 다니다 보면 부주의로 인해 각종 전도체가 상기 보조 배터리의 충전단자를 단락시켜 방전되는 경우도 종종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들어 장소의 제약없이 비교적 쉽게 구입할 수 있는 건전지를 본체내에 장착한 상태로 휴대하고 다니다가, 외부에서 업무를 보는 중이거나 이동중, 장거리 여행중 또는 휴대 전화기의 통화량 증가로 휴대 전화기의 배터리가 다 소모되어 차량용 충전기, 가정용 충전기를 사용할 수 없을 때(즉, 긴급할 때) 휴대 전화기에 간단히 연결시켜 보조적으로 휴대 전화기 본체는 물론 배터리에 전원을 공급 및 급속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하여 배터리의 소모로 인한 불통화 상태를 없앨 수있음은 물론 휴대 전화기를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 전화기의 간이 충전기가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와같은 종래 간이 충전기에는 일반 건전지들에 대한 잔류 전압을 검출하여 표시하는 기능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건전기의 교체시기를 전혀 알 수 없다.
따라서, 간이 충전기를 이용한 긴급 통화중 건전지의 교체시기를 알지 못하고 계속 통화를 실시하므로써 긴급 통화 중 전원전압 부족으로 통화가 중단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장소의 제약없이 비교적 쉽게 구입할 수 있는 건전지를 본체내에 장착한 상태로 휴대하고 다니다가, 외부에서 업무를 보는 중이거나 이동중, 장거리 여행중 또는 휴대폰의 통화량 증가로 휴대폰의 배터리가 다 소모되어 차량용 충전기, 가정용 충전기를 사용할 수 없을 때 휴대 전화기에 간단히 연결시켜 보조적으로 휴대 전화기 본체는 물론 배터리에 전원을 공급 및 급속 충전시켜 긴급 통화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간이 충전기내의 건전지 잔류 전압을 3가지 방식으로 표시(즉, 간이 충전기내의 전전지 잔류전압이 계속 사용가능한지, 가급적 교체해야하는지 및 즉시 교체해야 하는지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건전지의 교체시기를 정확히 알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긴급 통화중 건전지의 소모로 인한 통화 중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휴대 전화기 간이 충전기의 잔류전압 표시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은, 사용자가 임의로 건전지의 출력전압을 각부에 공급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전원 스위치와; 간이 충전기내에 상호 직렬 연결되는 형태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개의 건전지들에 대한 전체 전압이 제 1 전압 이하인지를 검출하는 건전지 교체전압 검출부와; 상기 건전지 교체전압 검출부에서 검출한 결과 건전지의 총전압이 제 2 전압 이상일때는 소등되고 제 1 전압 이하일 때는 점등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전전지를 가급적 교체하거나 즉시 교체할 수 있도록 인식시켜 주는 건전지 교체시기 표시부와; 수개의 건전지들에 대한 전체 전압이 제 3 내지 제 4 전압 이상인지를 검출하는 건전지 사용 가능전압 검출부와; 상기 건전지 사용가능전압 검출부에서 검출한 결과 건전지의 총 전압이 제 3 내지 제 4 전압 이상일때 점등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계속 사용 가능함을 인식토록 하는 전화통화 가능 표시부로 구성하므로써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이 없거나 밖에서 자주 업무를 보는 경우, 또는 장거리 여행중 및 휴대폰의 통화량 증가로 휴대폰의 배터리가 다 소모된 경우인데도 불구하고 차량용 충전기나, 가정용 충전기를 사용할 수 없을 때에는 통상시 간편하게 휴대하고 다니면서 휴대 전화기의 하단 콘넥터에 간단히 접속시켜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음은 물론 휴대 전화기에 전원전압을 공급시켜 휴대 전화기를 계속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된 간이 충전기내 전전지 잔류전압이 계속 사용가능한지, 가급적 새로운 걸루 교체해야하는지 및 즉시 교체해야하는지를 시각 및 청각을 통해 인식할 있어 좀더 편리하게 간이 충전기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긴급 통화중 건전지의 소모로 인한 통화 중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상세 회로도.
도 2는 본 고안 회로가 내장된 간이 충전기를 휴대 전화기에 결합시킨 상태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건전지 2 : 건전지 교체전압 검출부
3 : 건전지 교체시기 표시부 4 : 건전지 사용 가능전압 검출부
5 : 전화통화 가능 표시부 SW : 전원 스위치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상세 회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 회로가 내장된 간이 충전기를 휴대 전화기에 결합시킨 상태를 보인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가 임의로 건전지(1)의 출력전압을 각부에 공급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전원 스위치(SW)와;
수개의 저항(R1-R3)과 트랜지스터(Q1)로 구성되어 전원 스위치(SW)가 '온'되면 간이 충전기내에 상호 직렬 연결되는 형태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개의 건전지(1)들에 대한 전체 전압이 제 1 전압(예를들어 4.0V) 이하인지를 검출하는 건전지 교체전압 검출부(2)와;
보호저항(R4)과 발광다이오드(LED1)로 구성되어 상기 건전지 교체전압 검출부(2)에서 검출한 결과 건전지의 총전압이 제 2 전압(예를들어 4.1V) 이상일때는 소등되고 제 1 전압(예를들어 4.0V) 이하일때는 점등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전전지를 가급적 교체하거나 즉시 교체할 수 있도록 인식시켜 주는 건전지 교체시기 표시부(3)와;
수개의 저항(R5-R7)과 트랜지스터(Q2)로 구성되어 전원 스위치(SW)가 '온'되면 수개의 건전지(1)들에 대한 전체 전압이 제 3 내지 제 4 전압(예를들어 4.2V 및4.8V) 이상인지를 검출하는 건전지 사용 가능전압 검출부(4)와;
발광다이오드(LED2)로 구성되어 상기 건전지 사용가능전압 검출부(4)에서 검출한 결과 건전지(1)의 총 전압이 제 3 내지 제 4 전압 이상일때 점등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계속 사용 가능함을 인식토록 하는 전화통화 가능 표시부(5)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표시용 부품으로 사용되는 발광다이오드(LED1, LED2)들은 그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구 부져 등을 설치할 수도 있다.
즉, 간이 충전기내 전전지 잔류전압이 계속 사용가능한지, 가급적 새로운 걸루 교체해야하는지 및 즉시 교체해야하는지를 시각 및 청각을 통해 인식할 있도록 발광다이오드 또는 부져 등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 회로가 구비된 간이 충전기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간이 충전기는 상,하 케이스가 수개의 걸림고리와 걸림홈에 의해 상호 결합된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이들의 결합력을 해지시키면 상호 분리 가능한 것으로, 새로운 건전지(1)의 장착시 이들 상하 케이스의 결합부에 형성된 틈새로 손톱이나 기타 얇은 판체 형상을 갖는 공구들을 삽입시켜 상호 분리시킨 후 건전기 수납홈에 1.5V의 일반 건전지(1)들을 장착시킨 후 다시 결합시키면 된다.
이때, 상기 건전지(1)들은 상기 충전기의 본체내의 양측면에 각각 소정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되어 근접된 +,- 단자들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 상태에 있는 수쌍의 +,- 코일형 단자들에 의해 상호 직렬 연결되어 전체적으로는 4.5V 내지 6.0V의 출력전압을 갖게 된다.
물론, 상기한 수쌍의 +,- 코일형 단자 중 최외곽에 위치된 코일형 단자가 접속 콘넥터에 설치되어 있는 수개의 콘넥터 핀 중 휴대 전화기의 콘넥터 핀들 중 +,- 전원단자와 연결되는 콘넥터 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본 고안의 회로는 기존의 간이 충전기(10)내에 일부 회로를 부가시킨 것으로 본 고안 회로의 각 구성품에 항상 전원전압이 공급되면 불필요하게 전력이 건전지가 소모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 에서는 상기 건전지(1)의 정극성 단자(+)와 각 부의 전원입력 단자 사이에 전원 스위치(SW)를 설치하여 간이 충전기(10)내의 건전지 전압을 체크할 필요성을 가질 때만 사용자가 상기 전원 스위치(SW)를 '온'시켜 건전지(1)의 전체 출력 전압이 각부로 공급되어 어떤 상태인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사용자가 간이 충전기(10)를 휴대 전화기(20)에 장착하기 앞서 상기 전원 스위치(SW)를 '온'시키면 건전지(1)의 출력전압이 건전지 교체전압 검출부(2)와 건전지 교체시기 표시부(3), 건전지 사용 가능전압 검출부(4) 및 전화통화 가능 표시부(5)에 각각 공급된다.
이때, 수개의 저항(R1-R3)과 트랜지스터(Q1)로 구성된 상기 건전지 교체전압 검출부(2)에서는 상기한 건전지(1)들의 출력전압을 분배저항(R1,R2)을 통해 전압강하시키게 되는데, 그 접속점의 전압이 제 2 소정전압에 대응하는 소정전압 이상이면 트랜지스터(Q1)를 턴 '온'되므로 건전지 교체시기 표시부(2)의 발광다이오드(LED1)로 흘러야할 전류가 트랜지스터(Q1)를 통해 접지로 흐르게 된다.
따라서, 상기 건전지 교체시기 표시부(2)내의 발광다이오드(LED1는 소등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물론, 상기 건전지 교체전압 검출부(2)에서 검출한 결과 건전지(1)의 총 출력전압이 제 1 의 소정전압(예를들어 4.0V) 이하이어서 분배저항(R1,R2점 전압이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바이어스 전압보다 낮으면 상기 트랜지스터(Q1 턴 '오프'되므로 건전지(1)의 출력전압 일부가 저항(R4 통해 건전지 교체시기 표시부(2)내의 발광다이오드(LED1)에 인가되므로 상기 발광다이오드(LED1)는 점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건전지 교체시기 표시부(2)내의 발광다이오드(LED1)가 점등된 것을 육안으로 인식하고(물론, 이 표시소자가 부져일 경우는 청각을 통해 인식) 즉시 건전지(1)를 교체해야만 함을 알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수개의 저항(R5-R7)과 트랜지스터(Q2)로 구성된 건전지 사용 가능전압 검출부(4)는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전원 스위치(SW)를 '온'시키면 건전지(1)들의 출력전압을 분배저항(R5,R6)을 통해 전압강하시켜 그 접속점의 전압이 제 3 내지 제 4 전압(예를들어 4.2V 및 4.8V 중 적어도 4.2V 이상)에 대응하는 소정전압 이상이면 트랜지스터(Q2)가 턴 '온'되므로 전화통화 가능 표시부(5)내 발광다이오드(LED2)가 점등된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는 상기 전화통화 가능 표시부(5)내의 발광다이오드(LED2)가 점등된 것을 육안으로 인식하고(물론, 이 표시소자 역시 부져일 경우는 청각을 통해 인식) 계속 사용해도 무방함을 알 수 있는 것이다.
즉, 아래 표 1를 중심으로 다시 설명하면, 본 고안의 회로가 내장된 간이 충전기의 전원 스위치(SW)를 '온'시켜 전전지들의 잔류전압을 검출한 결과 제 3 전압 즉, 4.2V 이상이면 상기 건전지 교체시기 표시부(2)내의 발광다이오드(LED1)는 소등되고 전화통화 가능 표시부(5)내의 발광다이오드(LED2)만 점등되므로 사용자는 이를 통해 간이 충전지를 휴대 전화기에 결합시켜 계속 사용해도 무방함을 인지할 수 있는 것이다.
건전지전압 4.8V 4.2V 4.1V 4.0V
LED1 OFF OFF OFF ON
LED2 ON ON OFF OFF
지시내용 계속사용가능 가급적교체필요 즉시교체
또한, 전기와 같이 간이 충전기의 전원 스위치(SW)를 '온'시켜 전전지들의 잔류전압을 검출한 결과 제 2 전압 즉, 4.1V 이하인 경우는 상기 건전지 교체시기 표시부(2)와 전화통화 가능 표시부(5)내의 발광다이오드(LED1,LED2)들이 모두 소등되므로 사용자는 이를 통해 간이 충전지내 건전지를 가급적 새로운 걸루 교체해야만 함을 인지할 수 있다.
물론, 상기 간이 충전기내 전전지들의 잔류전압을 검출한 결과 제 1 전압 즉, 4.0V 이하인 경우는 상기 건전지 교체시기 표시부(2)내의 발광다이오드(LED1)는 점등되고 전화통화 가능 표시부(5)내의 발광다이오드(LED2)들이 소등되므로 사용자는 이를 통해 간이 충전지내 건전지를 즉시 교체해야만 함을 인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간이 충전기(10)를 휴대 전화기(20)에 장착하기앞서 상기 전원 스위치(SW)를 '온'시키면 건전지(1)의 출력전압이 어느상태인지를 확인한 후에는 상기 전원 스위치를 오프시켜 불필요한 전지소모를 방지하면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간이 충전기내 전전지 잔류전압이 계속 사용가능한지, 가급적 새로운 걸루 교체해야하는지 및 즉시 교체해야하는지를 시각 및 청각을 통해 인식할 있으므로 좀더 편리하게 간이 충전기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긴급 통화중 건전지가 다 소모됨으로 인한 통화 중단과 같은 불상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사용자가 임의로 건전지(1)의 출력전압을 각부에 공급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전원 스위치(SW)와;
    상기 전원 스위치(SW)가 '온'되면 간이 충전기내에 상호 직렬 연결되는 형태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개의 건전지(1)들에 대한 전체 전압이 제 1 전압 이하인지를 검출하는 건전지 교체전압 검출부(2)와;
    상기 건전지 교체전압 검출부(2)에서 검출한 결과 건전지의 총전압이 제 2 전압 이상일때는 소등되고 제 1 전압 이하일 때는 점등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전전지를 가급적 교체하거나 즉시 교체할 수 있도록 인식시켜 주는 건전지 교체시기 표시부(3)와;
    상기 전원 스위치(SW)가 '온'되면 수개의 건전지(1)들에 대한 전체 전압이 제 3 내지 제 4 전압 이상인지를 검출하는 건전지 사용 가능전압 검출부(4)와;
    상기 건전지 사용가능전압 검출부(4)에서 검출한 결과 건전지(1)의 총 전압이 제 3 내지 제 4 전압 이상일때 점등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계속 사용 가능함을 인식토록 하는 전화통화 가능 표시부(5)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용 간이 충전기의 잔류전압 표시회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전지 교체시기 표시부(3)와 전화통화 가능 표시부(5)는 시각용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용 간이 충전기의 잔류전압 표시회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전지 교체시기 표시부(3)와 전화통화 가능 표시부(5)는 청각용 부져를 포함하는 것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용 간이 충전기의 잔류전압 표시회로.
KR2020010027298U 2001-09-06 2001-09-06 휴대 전화기용 간이 충전기의 잔류전압 표시회로 KR2002562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7298U KR200256232Y1 (ko) 2001-09-06 2001-09-06 휴대 전화기용 간이 충전기의 잔류전압 표시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7298U KR200256232Y1 (ko) 2001-09-06 2001-09-06 휴대 전화기용 간이 충전기의 잔류전압 표시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6232Y1 true KR200256232Y1 (ko) 2001-12-13

Family

ID=73108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7298U KR200256232Y1 (ko) 2001-09-06 2001-09-06 휴대 전화기용 간이 충전기의 잔류전압 표시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623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55940B2 (en) Multi-functional portable power charger
US7839119B2 (en) Charging devic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battery and portable phone battery
CN106532796B (zh) 用于多功能便携式电源充电器的安全电路
US20090267562A1 (en) Portable battery charger for multiple electronic devices
US6526293B1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rechargeable battery
KR100451054B1 (ko) 보조배터리를 가지는 벨트 클립 홀더
US6794851B2 (en) Charging circuit and battery charger
US9774273B2 (en) Electr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010078034A (ko) 배터리 충전장치, 배터리팩 및 2차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법
US9002413B2 (en) Battery cell phone combination
KR10040409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
KR100475455B1 (ko) 외장형 전지팩
JP2010062694A (ja) 携帯端末及びこれを備えた携帯端末装置
KR200256232Y1 (ko) 휴대 전화기용 간이 충전기의 잔류전압 표시회로
KR20060087475A (ko) 플래쉬겸용 휴대충전장치
CN107394846A (zh) 一种汽车应急电源
KR100468126B1 (ko) 이동 통신기기용 밧데리 충전기
KR200259108Y1 (ko) 휴대 전화기의 간이 충전기
KR0126190Y1 (ko) 휴대폰에서 전원제어장치
KR100357035B1 (ko) 여행용 충전기
KR200302762Y1 (ko) 외장형 전지팩
KR200285697Y1 (ko) 분리형 커넥터를 갖는 핸드폰 충전기의 표시장치
KR200360820Y1 (ko) 배터리 잔량 상태를 표시하는 배터리 휴대용 케이스
KR100669606B1 (ko) 충전기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 방법
KR200181428Y1 (ko) 자동충방전기부착배터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1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