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8442A - 예비 배터리를 이용한 표시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 Google Patents

예비 배터리를 이용한 표시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8442A
KR20160148442A KR1020160037234A KR20160037234A KR20160148442A KR 20160148442 A KR20160148442 A KR 20160148442A KR 1020160037234 A KR1020160037234 A KR 1020160037234A KR 20160037234 A KR20160037234 A KR 20160037234A KR 20160148442 A KR20160148442 A KR 201601484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ower
battery
display unit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7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강훈
Original Assignee
최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강훈 filed Critical 최강훈
Publication of KR20160148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84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519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02J2007/009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비 배터리를 이용한 표시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에 관한 것으로,
충전부는 외부로부터의 전원을 공급받으면 메인 배터리와 예비 배터리를 차례로 충전시키도록 하고,
충전부를 통한 외부의 전원이나 상기의 메인 배터리에 충전된 전원을 공급받는 제어부에서는 외부의 전원이나 상기 메인 배터리의 충전 전원을 전원부를 통하여 내부의 동작 전원으로 공급하도록 하고,
상기의 제어부에서는 외부 전원이 차단되거나 방전이 되어 전원의 공급이 끊기면 예비 배터리에 충전되었던 전원으로 최소의 기능만 수행하는 대기 모드를 수행하도록 하고,
상기의 제어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시간 표시부, 비상 램프 점등부, 나침판 표시부, 날짜 표시부, 온도 표시부, GPS에 의한 현재위치 표시부, 예비 배터리 잔량 표시부 및 NFC 기능부를 선택하여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긴급하게 수행하고자 하는 일을 손쉽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의 예비 배터리는 본체의 유심 칩 결합부에 내장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예비 배터리를 이용한 표시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THE SMARTPHONES HAVING A FUNCTION OF DISPLAYING USING A BACKUP BATTERY}
본 발명은 예비 배터리를 이용한 표시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스마트폰과 같은 IT(Information Technology) 제품에 있어서 배터리가 방전되거나 전원을 off 되었을 때 기본으로 내장되어 있는 메인 배터리 외에 유심 칩 결합부에 별도로 내장한 예비 배터리의 비상전원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시간 표시부, 비상 램프 점등부, 나침판 표시부, 날짜 표시부, 온도 표시부, GPS에 의한 현재위치 표시부, 예비 배터리 잔량 표시부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능부를 선택하여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베터리 방전으로 인하여 수행할 수 없었던 간편 기능 등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한 예비 배터리를 이용한 표시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은 과거에는 단순한 통화의 용도로만 사용되었으나 음성통화뿐만 아니라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면서 그 기능이 확대되었으며 최근에는 스마트폰과 태블릿PC의 개발로 인하여 이제 항상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를 손에 들고 다니거나 업무중에도 책상 옆에 놓고 즉시 확인하기 용이하도록 하면서 업무를 보는 경우가 늘어나는 상황이다.
이러한 스마트폰 등을 사용하기 위하여 일정 간격으로 충전을 해야 하며 특히 배터리의 기술문제로 최근의 스마트폰은 전력 소모량이 많아 일상생활 중에 방전 되어 충전을 해야하는 경우가 더욱 많아지고 있다.
최근 들어 연령을 초월한 휴대폰 사용의 보편화는 휴대폰 소지의 방식에도 많은 변화를 수반하고 있다.
그 중 비교적 연령이 높거나 외부활동이 많은(레저활동을 포함하여) 사용자층은 휴대폰을 분실할 우려가 없도록 항상 몸 가까이에 두고 언제든지 수시로 통화가능한 상태에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허리벨트에 착용가능한 휴대폰 수납케이스의 개발 필요성이 대두 되었고, 이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과 재질은 물론이고 기능적으로도 발전된 수납케이스 제품이 폭넓게 제안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이러한 휴대폰 수납케이스의 대부분은 고급 가죽이나 인조 피혁지(섬유재질 포함)로 제조되며 경우에 따라 견고한 합성수지로도 제조되고 있는데, 사용자의 허리벨트에 견고하면서도 간편하게 착용될 수 있도록 케이스 후면에 합성수지재의 클립이나 케이스와 동종 재질의 연결단을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납케이스는 단지 휴대폰 수납이라는 제한된 용도로만 사용되고 다른 부가적인 기능은 전혀 마련되어 있지 못하여 이에 대한 개선책이 매우 필요한 상태에 있다.
예컨대, 휴대폰은 한정된 배터리의 용량으로 인해 수시로 충전을 해주어야 연속적인 휴대폰 사용이 가능한 것인데, 이를 위해서는 별도의 충전장치와 함께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실외 등 야외에서는 현실적으로 휴대폰을 충전할 수 없는 관계로 부득이하게 별도의 요금을 지불하여 외부충전기를 이용하거나 보조 배터리를 구비하여 교체사용해야 하는 등 번거러움이 매우 컸다.
그리하여 2010년 07월 20일자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82812호(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가 제안되었으며,
이는, 휴대단말기가 삽입배치되는 제1 배치홈을 형성한 내부케이스와,
상기 내부케이스가 삽입배치되는 제2 배치홈을 형성한 외부케이스를 구비하는 케이스부;
상기 외부케이스의 일측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배치홈에 삽입배치된 휴대단말기의 전면을 덮는 덮개부 및 상기 케이스부를 통하여 외부노출되도록 일측단에 충전소켓단자가 구비되는 회로기판을 갖추고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보조배터리를 상기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와의 사이에 형성된 캐비티에 배치하는 보조전원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휴대단말기의 파손 및 손상을 방지하도록 보관하면서 보조 배터리를 간편하게 분실의 염려없이 휴대 단말기와 더불어 휴대할 수 있고, 휴대단말기에 내장된 기본 배터리의 방전시 배터리를 교체하는 번거로움의 필요없이 휴대단말기의 연속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전원을 공급하고, 기본 배터리와 더불어 보조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보조배터리의 케이스에 의하여서는 태양광을 이용한 충전을 위한 구조가 복잡함은 물론, 케이스로도 사용하기 위한 보조배터리 케이스의 구조가 복잡하여 이중의 케이스를 지니고 다니는 실정이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스마트폰과 같은 IT(Information Technology) 제품에 있어서 배터리가 방전되거나 전원을 off하거나 대기 모드로 전환하였을 때 기본으로 내장되어 있는 메인 배터리 외에 유심 칩 결합부에 별도로 내장한 예비 배터리의 비상전원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시간 표시부, 비상 램프 점등부, 나침판 표시부, 날짜 표시부, 온도 표시부, GPS에 의한 현재위치 표시부, 예비 배터리 잔량 표시부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능부를 선택하여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배터리 방전으로 인하여 수행할 수 없었던 기능을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한 예비 배터리를 이용한 표시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예비 배터리를 이용한 표시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은,
충전부는 외부로부터의 전원을 공급받으면 메인 배터리와 예비 배터리를 차례로 충전시키도록 하고,
충전부를 통한 외부의 전원이나 상기의 메인 배터리에 충전된 전원을 공급받는 제어부에서는 외부의 전원이나 상기 메인 배터리의 충전 전원을 전원부를 통하여 내부의 동작 전원으로 공급하도록 하고,
상기의 제어부에서는 외부 전원이 차단되거나 방전이 되어 전원의 공급이 끊기면 예비 배터리에 충전되었던 전원으로 최소의 기능만 수행하는 대기 모드를 수행하도록 하고,
상기의 제어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시간 표시부, 비상 램프 점등부, 나침판 표시부, 날짜 표시부, 온도 표시부, GPS에 의한 현재위치 표시부, 예비 배터리 잔량 표시부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능부를 선택하여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긴급하게 수행하고자 하는 일을 손쉽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의 예비 배터리는 본체의 유심 칩 결합부에 내장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본 발명에 따른 예비 배터리를 이용한 표시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내지 IT(Information Technology) 제품에 의하여서는 충전부는 외부로부터의 전원을 공급받으면 메인 배터리와 예비 배터리를 차례로 충전시키도록 한다.
충전부를 통한 외부의 전원이나 상기의 메인 배터리에 충전된 전원을 공급받는 제어부에서는 외부의 전원이나 상기 메인 배터리의 충전 전원을 전원부를 통하여 내부의 동작 전원으로 공급하도록 하여 정상적인 동작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의 제어부에서는 외부 전원이 차단되거나 방전이 되어 전원의 공급이 끊기면 예비 배터리에 충전되었던 전원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시간 표시부, 비상 램프 점등부, 나침판 표시부, 날짜 표시부, 온도 표시부, GPS에 의한 현재위치 표시부, 예비 배터리 잔량 표시부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능부를 선택하여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배터리 방전으로 인하여 수행할 수 없는 기능을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의 예비 배터리는 본체의 유심 칩 결합부에 내장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공간을 형성할 필요가 없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외관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동작을 위한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예비 배터리를 이용한 표시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내지 IT(Information Technology) 제품에 의하여서는,
충전부(1)는 외부로부터의 전원을 공급받으면 1차로 메인 배터리(2)에 충전 전원을 인가하도록 하고,
상기의 메인 배터리(2)에 충전이 완료되면 이어서 예비 배터리(3)에 충전 전원을 인가하도록 하고,
충전부(1)를 통한 외부의 전원이나 상기의 메인 배터리(2)에 충전된 전원을 공급받는 제어부(4)에서는 외부의 전원이나 상기 메인 배터리(2)의 충전 전원을 전원부(5)를 통하여 내부의 동작 전원으로 공급하도록 하고,
상기의 제어부(4)는 키입력부 또는 터치 화면부(6)를 통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관리 앱(7)이나 내부의 메모리(8)에 저장된 정보를 디스플레이 구동부(9)로 출력하면서 시간 표시부(10), 비상 램프 점등부(11), 나침판 표시부(12), 날짜 표시부(13), 온도 표시부(14), GPS에 의한 현재위치 표시부(15), 예비 배터리 잔량 표시부(16)를 디스플레이 패널(17)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하거나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능 선택부(18)를 선택하여 기능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긴급하게 수행하고자 하는 일을 손쉽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의 예비 배터리(3)는 본체(20)의 유심 칩 결합부(21)에 내장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을 TV, 테블릿PC, 노트북, 네이게이션과 같은 IT 제품에 적용할 경우에는 별도의 예비 배터리를 내장한 상태에서 예비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받는 제어부에서 기본적인 작동만 수행하는 중에 사용자의 선택을 기다리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예비 배터리를 이용한 표시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은,
외부로부터의 전원을 공급받는 충전부(1)에서는 1차로 메인 배터리(2)에 충전 전원을 인가하여 충전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의 메인 배터리(2)에 충전이 완료되면 충전부(1)에서 계속 예비 배터리(3)에 충전 전원을 인가하여 충전시키도록 한다.
상기의 충전부(1)를 통한 외부의 전원이나 상기의 메인 배터리(2)에 충전된 전원을 공급받는 제어부(4)에서는 외부의 전원이나 상기 메인 배터리(2)의 충전 전원을 전원부(5)를 통하여 내부의 동작 전원으로 공급하여 정상적인 작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 상태에서 외부 전원이 차단되거나 방전이 되어 상기의 제어부(4)로 전원의 공급이 끊기면, 상기의 제어부(4)에서 예비 배터리(3)에 충전되었던 전원을 사용하여 긴급한 상태에서만 작동하기 위한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된다.
그 상태에서 키입력부 또는 터치 화면부(6)를 통하여 사용자가 긴급 모드를 선택하면, 관리 앱(7)이나 내부의 메모리(8)에 저장된 정보를 디스플레이 구동부(9)로 출력하면서 시간 표시부(10), 비상 램프 점등부(11), 나침판 표시부(12), 날짜 표시부(13), 온도 표시부(14), GPS에 의한 현재위치 표시부(15), 예비 배터리 잔량 표시부(16) 및 NFC 기능부(18)의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영상을 디스플레이 패널(17)에 디스플레이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키입력부 또는 터치 화면부(6)를 통하여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게 되면, 이를 인식한 제어부(4)에서는 시간 표시부(10)를 통하여 현재시간을 표시하거나, 비상 램프 점등부(11)를 점등하여 전방의 사물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거나, 나침판 표시부(12)를 점등하여 현재의 위치에서 남과 북의 방향을 통하여 진행할 방향을 선택하도록 하거나, 날짜 표시부(13)를 통하여 오늘의 날자를 비롯한 날짜의 계산이 가능하도록 하거나, 온도 표시부(14)를 통하여 현재의 온드를 표시하여 체감 온도에 따른 상황을 선택하도록 하거니, GPS에 의한 현재위치 표시부(15)를 통하여 현재의 위치는 물론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도움이 필요한 곳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거나, 예비 배터리 잔량 표시부(16)를 통하여 통화를 비롯한 스마트폰의 기능을 사용하기 위한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또는 NFC 기능부(18)에 의한 NFC 기능을 수행하면서 꼭 필요한 정보를 사용 가능한 다른 스마트폰이나 IT 기기에 옮겨 저장한 상태로 계속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긴급하게 수행하고자 하는 일을 손쉽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의 예비 배터리(3)는 본체(20)의 유심 칩 결합부(21)에 내장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구성을 추가하지 않더라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 충전부 2 : 메인 배터리
3 : 예비 배터리 4 : 제어부
5 : 전원부 6 : 키입력부 또는 터치 화면부
7 : 관리 앱 10 : 시간 표시부
11 : 비상 램프 점등부 12 : 나침판 표시부
13 : 날짜 표시부 14 : 온도 표시부
15 : GPS에 의한 현재위치 표시부 16 : 예비 배터리 잔량 표시부
18 : NFC 기능부 21 : 유심 칩 결합부

Claims (3)

  1. 충전부(1)는 외부로부터의 전원을 공급받으면 1차로 메인 배터리(2)에 충전 전원을 인가하도록 하고,
    상기의 메인 배터리(2)에 충전이 완료되면 이어서 예비 배터리(3)에 충전 전원을 인가하도록 하고,
    충전부(1)를 통한 외부의 전원이나 상기의 메인 배터리(2)에 충전된 전원을 공급받는 제어부(4)에서는 외부의 전원이나 상기 메인 배터리(2)의 충전 전원을 전원부(5)를 통하여 내부의 동작 전원으로 공급하도록 하고,
    상기의 제어부(4)는 키입력부 또는 터치 화면부(6)를 통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관리 앱(7)이나 내부의 메모리(8)에 저장된 정보를 디스플레이 구동부(9)로 출력하면서 메인 배터리(2) 방전으로 긴급하게 수행하고자 하는 일을 할 수 없는 경우 예비 배터리(3)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선택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비 배터리를 이용한 표시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의 긴급하게 수행하고자 하는 일은, 시간 표시부(10), 비상 램프 점등부(11), 나침판 표시부(12), 날짜 표시부(13), 온도 표시부(14), GPS에 의한 현재위치 표시부(15), 예비 배터리 잔량 표시부(16)를 디스플레이 패널(17)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하거나 또는 NFC 기능부(18)를 선택하여 수행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비 배터리를 이용한 표시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의 예비 배터리(3)는 본체(20)의 유심 칩 결합부(21)에 내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비 배터리를 이용한 표시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KR1020160037234A 2015-06-16 2016-03-28 예비 배터리를 이용한 표시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KR2016014844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85493 2015-06-16
KR1020150085493 2015-06-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8442A true KR20160148442A (ko) 2016-12-26

Family

ID=57733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7234A KR20160148442A (ko) 2015-06-16 2016-03-28 예비 배터리를 이용한 표시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4844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5706A (ko) * 2017-06-13 2018-12-21 (주)텔코코리아아이에스 자가 배터리를 이용하여 gps를 구동하는 개인용 휴대기기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5706A (ko) * 2017-06-13 2018-12-21 (주)텔코코리아아이에스 자가 배터리를 이용하여 gps를 구동하는 개인용 휴대기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52612B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mode switching and storage medium thereof
KR101843983B1 (ko) 휴대 단말기에서 배터리를 교체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532573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6541506B2 (ja) 携帯型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411809B1 (ko) 휴대단말기의 사용 방법 및 장치
KR20090020837A (ko) 복수개의 배터리를 제어하는 전원 제어 방법 및 전원 제어장치,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JP2011101458A (ja) 電子装置および電源制御装置
US20120178505A1 (en) Smart charging system
KR20110023567A (ko) 이동 단말기의 충전방법
US20160079781A1 (en) Key ring attachable mobile phone power and control device
KR20110136327A (ko) 보호케이스와 착탈이 가능한 휴대용단말기 보조 전원공급 장치
CN104035317A (zh) 手表及其附件
KR20210034430A (ko)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법 및 상기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60148442A (ko) 예비 배터리를 이용한 표시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JP2005526471A (ja) 半導体チップ、及びその半導体チップを有する携帯電話
US10747266B2 (en) Docks, computing devices, methods for controlling a dock,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computing device
KR101466772B1 (ko) 보조배터리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KR20190091959A (ko) 메모리 기능을 갖는 보조 배터리 장치
JP7475079B2 (ja) 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428763B1 (ko) 듀얼 배터리가 장착된 태블릿 피시 및 제어방법
US20170038808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power maintenance function during replacement of battery
KR20160003460U (ko) 휴대폰케이스를 겸한 보조배터리
KR200425019Y1 (ko) 휴대용 단말기
CN102738870A (zh) 带显示的移动电源
EP1420326A1 (en) Circuit and operating method for integrated interface of PDA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