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1959A - 메모리 기능을 갖는 보조 배터리 장치 - Google Patents

메모리 기능을 갖는 보조 배터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1959A
KR20190091959A KR1020180011147A KR20180011147A KR20190091959A KR 20190091959 A KR20190091959 A KR 20190091959A KR 1020180011147 A KR1020180011147 A KR 1020180011147A KR 20180011147 A KR20180011147 A KR 20180011147A KR 20190091959 A KR20190091959 A KR 201900919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device
auxiliary battery
unit
battery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1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건하
최민기
성시영
이승환
양준모
Original Assignee
백석문화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석문화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백석문화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11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91959A/ko
Publication of KR20190091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19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10/4257Smart batteries, e.g. electronic circuits inside the housing of the cells or batte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6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8Cells or batteries combined with indicating means for external visualization of the condition, e.g. by change of colour or of light density
    • H01M2/102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7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devices, e.g. mobile phones, computers, hand tools or pacemak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8Systems for data transfer from batteries, e.g. transfer of battery parameters to a controller, data transferred between battery controller and main controll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보조 배터리 장치(100)가 제공된다. 상기 보조 배터리 장치(100)는 전지셀로 구현되는 배터리부(10); 상기 배터리부(10)와 동작 가능하게 결합되는 메모리부(60); 및 상기 배터리부(10) 및 상기 메모리부(60)를 제어하되, 상기 전지셀의 충전 또는 방전 상태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20)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배터리 장치(100)의 하단면(110)에는 외부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전원을 입력받기 위한 전원입력단자(112)와 외부 단말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출력단자(113)가 형성되고, 상기 전원입력단자(112) 또는 상기 전원출력단자(113)의 일 측에는 상기 배터리부(10)의 배터리잔량을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배터리잔량표시부(114)가 구비될 수 있다.

Description

메모리 기능을 갖는 보조 배터리 장치{AN AUXILIARY BATTERY DEVICE HAVING MEMORY FUNCTION}
본 발명은 메모리 기능을 갖는 보조 배터리 장치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보조 배터리에 멀티리더기의 기능을 추가하여 보조 배터리를 통해서 충전 및 자료 공유를 동시에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노트북이나 스마트폰을 주로 사용하는 소비자에게 편리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메모리 기능을 갖는 보조 배터리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최근에는 반도체 기술의 급격한 발달로 휴대 단말기 또는 멀티미디어 장치의 크기가 작고 무게 또한 가벼워져 휴대가 매우 용이하게 되어 많은 사용자들 사이에서 그 보급이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다.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를 활용하여 시간과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정보를 검색하거나 검색된 정보를 저장하거나 원하는 정보를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종래의 휴대 단말기, 예를 들어 휴대 전화는 상대방과 통화를 하기 위한 기능이 주된 기능이었으나, 최근에는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등의 다양한 기능들이 휴대 전화에 부가되고 있다.
그에 따라, 휴대 전화는 통화 이외의 부가 기능의 추가로 인해 내부 회로가 점점 복잡해지고 휴대 전화의 사이즈 및 중량이 증가하게 되었으며, 그에 따라 휴대 전화 배터리의 충전 용량이 고갈되는 속도가 점점 단축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를 휴대하고 다니는 경우에 더 큰 충전 용량을 갖는 배터리를 사용하거나 또는 별도의 보조 배터리를 휴대해야만 하고,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에 내장되지 않은 부가 가능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부가 기능이 내장된 별도의 휴대 단말기 또는 보조 장치를 추가로 휴대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충전과 데이터송수신을 동시에 구현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메모리 기능을 갖는 보조 배터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배터리 잔량에 관한 표시, 동작 모드, 장치 상태 등에 관한 표시를 사용자 친화적으로 인터페이싱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는 메모리 기능을 갖는 보조 배터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USB 메모리 카드를 컴퓨터 장치에 연결하는 멀티리더기의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보다 개선할 수 있는 메모리 기능을 갖는 보조 배터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배터리 장치는 전지셀로 구현되는 배터리부; 상기 배터리부와 동작 가능하게 결합되는 메모리부; 및 기 배터리부 및 상기 메모리부를 제어하되, 상기 전지셀의 충전 또는 방전 상태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배터리 장치의 하단면에는 외부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전원을 입력받기 위한 전원입력단자와 외부 단말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출력단자가 형성되고, 상기 전원입력단자 또는 상기 전원출력단자의 일 측에는 상기 배터리부의 배터리잔량을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배터리잔량표시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 배터리 장치의 상단면에는 상기 보조 배터리 장치의 충전 상태 또는 데이터 송수신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상태표시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태표시부는, 상기 보조 배터리 장치가 상기 외부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 중임을 나타내는 자체충전표시부; 상기 보조 배터리 장치가 상기 외부 단말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외부 단말을 충전 중임을 나타내는 외부기기충전표시부; 상기 보조 배터리 장치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송수신 중임을 나타내는 데이터송수신표시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 배터리 장치의 전면부 적어도 일 영역에는 상기 보조 배터리 장치의 동작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선택부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 배터리 장치의 동작 모드는 전원공급모드, 통신모드, 호스트통신모드 및 업데이트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기능을 갖는 보조 배터리 장치에 의하면, 충전과 데이터송수신을 동시에 구현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기능을 갖는 보조 배터리 장치에 의하면, 배터리 잔량에 관한 표시, 동작 모드, 장치 상태 등에 관한 표시를 사용자 친화적으로 인터페이싱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기능을 갖는 보조 배터리 장치에 의하면, USB 메모리 카드를 컴퓨터 장치에 연결하는 멀티리더기의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보다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배터리 장치(100)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배터리 장치(100)를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배터리 장치(100)의 내부 구성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배터리 장치(100)의 외부 기기와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배터리 장치(100)의 배터리 잔량을 표시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배터리 장치(100)의 상태표시부(121)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배터리 장치(100)의 외부 기기/단말과의 결합에 따른 상단면(120)과 하단면(110)의 상태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배터리 장치(100)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배터리 장치(100)를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배터리 장치(100)는 실질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의 몸체(130)로 구현될 수 있고, 6개의 면은 하단면(110), 상단면(120), 우측면(140), 좌측면(150), 전면(160) 및 후면(17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보조 배터리 장치(100)의 몸체(130)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실리콘, 고무 등으로 제조될 수 있고, 심미감을 개선하기 위해 소정의 표면 처리가 추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배터리 장치(100)의 하단면(110)에는 전원버튼(111)과, 전원입력단자(112)와, 전원출력단자(113)와 그리고 배터리잔량표시부(114)가 구비될 수 있다.
전원버튼(111)은 보조 배터리 장치(100)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하기 위한 스위치로서, 사용자가 전원버튼(111)을 가압함으로써 보조 배터리 장치(100)의 전원이 온 또는 오프될 수 있다. 전원입력단자(112)는 외부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전원을 입력받기 위한 단자에 해당하며, 여기서 상기 외부 전원 공급 장치는 예를 들어 컴퓨터 장치(200, 도 3 참조)일 수 있다. 전원출력단자(113)는 외부 단말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단자에 해당하며, 여기서 상기 외부 단말은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300, 도 3 참조)일 수 있다. 배터리잔량표시부(114)는 전원입력단자(112) 또는 전원출력단자(113)의 일 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보조 배터리 장치(100) 내부의 배터리잔량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배터리잔량표시부(114)에 의해 수행되는 배터리의 잔량 표시에 관한 설명은 이하의 도 4에서 보다 상술하기로 한다.
또한, 도 1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배터리 장치(100)의 전면(160) 적어도 일부 영역에(예를 들어, 하측에) 보조 배터리 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선택부(161)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모드선택부(161)에 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이하에서 보다 상술하기로 한다.
또한, 도 1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배터리 장치(100)의 상단면(120)에는 보조 배터리 장치(100)의 충전 상태 또는 데이터 송수신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상태표시부(121)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배터리 장치(100)는 외부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거나, 또는 외부 단말에 전원을 공급받거나 또는 외부 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보조 배터리 장치(100)의 충전 상태 또는 데이터 송수신 상태를 상단면(120)에 구비된 상태표시부(121)를 통해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사용자 편의 및 만족도를 상당히 향상시킬 수 있다. 상태표시부(121)의 보다 구체적인 설명 및 실시예에 대해서는 이하의 도 5에서 보다 상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배터리 장치(100)의 내부 구성 블록도를 도시하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배터리 장치(100)의 외부 기기와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와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배터리 장치(100)는 모바일 단말(300)의 충전과 동시에 모바일 단말(300) 또는 주변 단말(400)과의 데이터 통신 및 저장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배터리 장치(100)는 컴퓨터 장치(200), 모바일 단말(300) 및 주변 단말(400)과 통신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참고로, 모바일 단말(300)은 사용자가 시간과 장소에 제한 받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배터리 장치(1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될 수 있는 임의의 단말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 전화기(mobile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디지털 카메라, PMP, 전자 수첩, 네트워크 게임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주변 단말(400) 또한 사용자가 시간과 장소에 무관하게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배터리 장치(1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조 배터리 장치(100)와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충전 정보 또는 애플리케이션 정보 등의 송수신이 가능한 단말로서,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 전화기, PDA, PM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조 배터리 장치(100)는 모바일 단말(300)을 구동시키기 위한 동작 전원 또는 비상 동작 전원을 모바일 단말(300)에 공급하고, 모바일 단말(30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메모리부(60)에 저장하거나 또는 모바일 단말(300)의 보조 기억 장치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게다가, 보조 배터리 장치(100)는 소정의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주변 단말(400)에 대해 통신 호스트로서 동작하여 주변 단말(400)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의 블록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배터리 장치(100)는 내부에 배터리부(10)를 포함하고, 배터리부(10)는 예를 들어 전지셀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배터리 장치(100)의 하단면(110)에 구비된 전원입력단자(112)를 통해 외부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전원입력단자(1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지셀이 충전됨으로써 배터리부(10)의 전력량이 증가할 수 있다.
참고로, 전지셀은 전기의 충전과 방전이 가능한 배터리로서, 몸체(130) 내부에 형성된 안착홈(미도시)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전지셀은 리튬, 폴리머 계통의 2차 전지일 수 있으며, 전지셀의 크기는 일반적인 휴대 전화의 보조 배터리 정도의 크기일 수 있으며, 그 두께도 수 mm 정도일 수 있다.
또한, 보조 배터리 장치(100)의 전면(160)에 형성되는 모드선택부(161)는 보조 배터리 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데, 여기서 보조 배터리 장치(100)의 동작 모드는 모바일 단말(3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모드, 모바일 단말(300)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모드, 주변 단말(400)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호스트통신모드, 펌웨어를 업데이트하는 업데이트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동작들을 구현하기 위해서,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배터리 장치(100)는 전원공급부(30), 제1 통신부(40), 제2 통신부(50), 메모리부(60), 호스트부(70) 및 제어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원공급부(30), 제1 통신부(40), 제2 통신부(50), 메모리부(60), 호스트부(70) 및 제어부(20) 각각의 기능을 구현하는 전자 소자들이 PCB 상에 실장되어 구현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30)는 모드선택부(161)에 의해서 동작 모드가 충전모드로 설정되는 경우에 몸체(130) 내부에 장착된 전지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전원출력단자(113)를 통해 모바일 단말(300)에 전원을 공급한다.
제1 통신부(40)는 모바일 단말(300)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유닛으로서, 모드선택부(161)에 의해 동작 모드가 통신모드로 설정되는 경우에 전원출력단자(113)를 통해 모바일 단말(300)과 데이터 통신할 수 있다. 여기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는 모바일 단말(300)에 저장된 프로그램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멀티미디어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공된 데이터는 보조 배터리 장치(100)의 메모리부(60)에 저장될 수 있다. 추가로, 제1 통신부(40)는 제어부(20)를 통해 보조 배터리 장치(100)의 충방전에 관한 데이터를 모바일 단말(300)에 제공할 수 있다.
제2 통신부(50)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 단말(400)과의 무선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유닛으로서, 지그비, 블루투스, 와이파이, NFC, 등의 근거리 통신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제2 통신부(50)는 모드선택부(161)에 의해 동작 모드가 호스트통신모드로 설정되는 경우에 호스트부(70)를 통하여 주변 단말(400)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는 예를 들어 주변 단말(400)의 위치 정보, 애플리케이션 설치 정보, 애플리케이션 인증 정보, 보조 배터리 장치(100)의 충방전 정보, 펌웨어 설치 및/또는 업데이트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부(60)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 단말(400)에 대해서 통신 호스트로 동작하도록 하는 펌웨어, 전지셀의 충방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부(60)는 제어부(2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으며, 보조 배터리 장치(100)에 입출력되는 데이터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보조 배터리 장치(100)의 사용자는 제어부(20)를 통해 메모리부(60)의 정보를 저장, 변경, 편집, 삭제할 수 있다.
참고로, 메모리부(60)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HDD(Hard Disk Drive),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CF(Compact Flash) 카드, SD(Secure Digital) 카드, SM(Smart Media) 카드, MMC(Multimedia) 카드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저장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호스트부(70)는 모드선택부(161)에 의해 동작 모드가 호스트통신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펌웨어에 따라 보조 배터리 장치(100) 주변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 단말(400)에 통신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통신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시켜 주면 주변 단말(400)에 대해 통신 호스트로서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제어부(20)는 전지셀의 충방전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외부 전원 공급 장치(예를 들어, 컴퓨터 장치(2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거나 또는 외부 단말(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30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부(20)는 전지셀에 연결되어 전원입력단자(112)로부터 충전된 전원을 모바일 단말(300)에 제공하거나, 모바일 단말(300)과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거나, 또는 주변 단말(400)과의 호스트 통신을 수행하는 동작들을 제어하고, 해당 동작들에 관한 데이터를 메모리부(60)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배터리 장치(100)의 배터리 잔량을 표시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배터리 장치(100)의 하단면(110)에는 배터리부(10)의 배터리잔량을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배터리잔량표시부(114)가 구비되는데, 그 예가 도 4에 도시된다. 제어부(20)는 배터리부(10)의 배터리잔량을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된 배터리잔량에 기초하여 그 양에 관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도 4에서는 배터리잔량표시부(114)를 구성하는 4개의 발광수단(예를 들어, LED)을 모니터링된 배터리잔량에 따라 순차적으로 활성화하는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참고로, 도 4에 도시되는 배터리잔량표시부(114)의 조명 개수, 형태, 타입, 배터리잔량의 수치(예를 들어, 2%, 10%, 40%, 70%, 100%, 등)는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한 일 예에 불과하며, 따라서 다양한 형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배터리 장치(100)의 상태표시부(121)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배터리 장치(100)의 외부 기기/단말과의 결합에 따른 상단면(120)과 하단면(110)의 상태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배터리 장치(100)의 상단면(120)에는 보조 배터리 장치(100)의 충전 상태 또는 데이터 송수신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상태표시부(121)가 구비되고, 도 5에서는 3개(121-1, 121-2 및 121-3)의 표시 수단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예를 들어, 상태표시부(121)는, 보조 배터리 장치(100)가 외부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 중임을 나타내는 자체충전표시부(121-1); 보조 배터리 장치(100)가 외부 단말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외부 단말을 충전 중임을 나타내는 외부기기충전표시부(121-2); 보조 배터리 장치(100)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송수신 중임을 나타내는 데이터송수신표시부(121-3)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b의 (a)는 보조 배터리 장치(100)가 외부 전원 공급 장치(예를 들어, 컴퓨터 장치(200))와 연결되어 배터리부(10)를 충전함과 동시에 데이터의 송수신이 진행됨을 나타내고, 따라서 자체충전표시부(121-1)와 데이터송수신표시부(121-3)이 함께 활성화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5b의 (b)는 보조 배터리 장치(100)가 외부 단말(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300))과 연결되어 모바일 단말(300)에 전원을 공급함과 동시에 데이터의 송수신이 진행됨을 나타내고, 따라서 외부기기충전표시부(121-2)와 데이터송수신표시부(121-3)이 함께 활성화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기능을 갖는 보조 배터리 장치에 의하면, 충전과 데이터송수신을 동시에 구현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기능을 갖는 보조 배터리 장치에 의하면, 배터리 잔량에 관한 표시, 동작 모드, 장치 상태 등에 관한 표시를 사용자 친화적으로 인터페이싱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기능을 갖는 보조 배터리 장치에 의하면, USB 메모리 카드를 컴퓨터 장치에 연결하는 멀티리더기의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보다 개선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소프트웨어 및/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의 주문형 반도체(ASIC)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디바이스(DSPD)들, 프로그램어블 논리 디바이스(PLD)들, 필드 프로그램어블 게이트 어레이(FPGA)들, 프로세서들, 컨트롤러들, 마이크로컨트롤러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여기서 제시되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되는 다른 전자 유닛들 또는 이들의 조합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들은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에 수록되거나 인코딩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에 수록 또는 인코딩된 명령들은 프로그램 가능한 프로세서 또는 다른 프로세서로 하여금 예컨대, 명령들이 실행될 때 방법을 수행하게끔 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하며,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기타 광학 디스크 저장 매체,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또는 기타 자기 저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등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동작들 및 기능들을 지원하도록 동일한 디바이스 내에서 또는 개별 디바이스들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서 "~부"로 기재된 구성요소들, 유닛들, 모듈들, 컴포넌트들 등은 함께 또는 개별적이지만 상호 운용가능한 로직 디바이스들로서 개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들, 유닛들 등에 대한 서로 다른 특징들의 묘사는 서로 다른 기능적 실시예들을 강조하기 위해 의도된 것이며, 이들이 개별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에 의해 실현되어야만 함을 필수적으로 의미하지 않는다. 오히려, 하나 이상의 모듈들 또는 유닛들과 관련된 기능은 개별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에 의해 수행되거나 또는 공통의 또는 개별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내에 통합될 수 있다.
특정한 순서로 동작들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만, 이러한 동작들이 원하는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시된 특정한 순서, 또는 순차적인 순서로 수행되거나, 또는 모든 도시된 동작이 수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이해되지 말아야 한다. 임의의 환경에서는,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더욱이,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들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이러한 구분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기술된 구성요소들이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수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패키징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배터리부 20: 제어부
30: 전원공급부 40: 제1 통신부
50: 제2 통신부 60: 메모리부
70: 호스트부 100: 보조 배터리 장치
110: 하단면 111: 전원버튼
112: 전원입력단자 113: 전원출력단자
130: 몸체 140: 우측면
150: 좌측면 160: 전면
161: 모드선택부 170: 후면
200: 컴퓨터 장치 300: 모바일 단말
400: 주변 단말

Claims (5)

  1. 보조 배터리 장치(100)로서,
    전지셀로 구현되는 배터리부(10);
    상기 배터리부(10)와 동작 가능하게 결합되는 메모리부(60); 및
    상기 배터리부(10) 및 상기 메모리부(60)를 제어하되, 상기 전지셀의 충전 또는 방전 상태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20)
    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배터리 장치(100)의 하단면(110)에는 외부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전원을 입력받기 위한 전원입력단자(112)와 외부 단말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출력단자(113)가 형성되고,
    상기 전원입력단자(112) 또는 상기 전원출력단자(113)의 일 측에는 상기 배터리부(10)의 배터리잔량을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배터리잔량표시부(114)가 구비되는,
    보조 배터리 장치(10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배터리 장치(100)의 상단면(120)에는 상기 보조 배터리 장치(100)의 충전 상태 또는 데이터 송수신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상태표시부(121)가 구비되는,
    보조 배터리 장치(100).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표시부(121)는,
    상기 보조 배터리 장치(100)가 상기 외부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 중임을 나타내는 자체충전표시부(121-1);
    상기 보조 배터리 장치(100)가 상기 외부 단말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외부 단말을 충전 중임을 나타내는 외부기기충전표시부(121-2);
    상기 보조 배터리 장치(100)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송수신 중임을 나타내는 데이터송수신표시부(121-3)로 구성되는,
    보조 배터리 장치(100).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배터리 장치(100)의 전면부 적어도 일 영역에는 상기 보조 배터리 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선택부(161)가 추가로 형성되는,
    보조 배터리 장치(100).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배터리 장치(100)의 동작 모드는 전원공급모드, 통신모드, 호스트통신모드 및 업데이트모드를 포함하는,
    보조 배터리 장치(100).
KR1020180011147A 2018-01-30 2018-01-30 메모리 기능을 갖는 보조 배터리 장치 KR201900919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147A KR20190091959A (ko) 2018-01-30 2018-01-30 메모리 기능을 갖는 보조 배터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147A KR20190091959A (ko) 2018-01-30 2018-01-30 메모리 기능을 갖는 보조 배터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1959A true KR20190091959A (ko) 2019-08-07

Family

ID=67621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1147A KR20190091959A (ko) 2018-01-30 2018-01-30 메모리 기능을 갖는 보조 배터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9195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7639A (ko) 2019-11-29 2021-06-08 강상호 살균기능을 갖는 보조배터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7639A (ko) 2019-11-29 2021-06-08 강상호 살균기능을 갖는 보조배터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48103B2 (en) Multi-functional high capacity portable power charger
US9444284B2 (en) Bi-directional wireless charger
CN101162403B (zh) 可改变电池充电模式的计算机系统及其控制方法
US20130134923A1 (e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providing charging energy to recharge a portable power supply
CN108649658B (zh) 多电池的切换方法、供电装置、电子设备
US20130127687A1 (en) Terminal and Method for Charging and Discharging Thereof
US9667072B2 (en) Mobile power device with memory storage feature which switches between master and slave roles
KR20150016859A (ko) 보호 케이스
KR20170074985A (ko) 배터리 공유를 위한 유도성 결합 및 다기능 유도성 안테나
EP2597747A1 (e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providing charging energy to recharge a portable power supply
CN103078359B (zh) 用于控制便携式终端中的充电电流的装置和方法
KR20190091959A (ko) 메모리 기능을 갖는 보조 배터리 장치
KR20130090667A (ko) 휴대용 휴대폰 충전장치
KR101567048B1 (ko) 휴대용 보조 배터리 장치
KR20140008784A (ko) 배터리 공유장치
KR101162362B1 (ko) 휴대단말기용 태양전지 충전 타입의 배터리 팩 장치
CN204615478U (zh) 智能控制设备
KR101468947B1 (ko) 전원공급부가 구비되는 무선 호출 단말기
US20150288216A1 (en) Remote wireless charging system
KR101665088B1 (ko) 메모리가 결합된 보조 배터리 시스템
US11469599B2 (en) Method for controlling charging of battery of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20160102678A (ko) 휴대형 다기능 충전 배터리팩
CN112448429B (zh) 一种控制方法、终端及计算机存储介质
KR20160121647A (ko) 휴대용 디바이스의 자동인식 기능을 갖는 휴대용 배터리 충전장치
KR20210089906A (ko) 무선 전력 공유 기능을 빠르게 실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