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5019Y1 -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5019Y1
KR200425019Y1 KR2020060016285U KR20060016285U KR200425019Y1 KR 200425019 Y1 KR200425019 Y1 KR 200425019Y1 KR 2020060016285 U KR2020060016285 U KR 2020060016285U KR 20060016285 U KR20060016285 U KR 20060016285U KR 200425019 Y1 KR200425019 Y1 KR 2004250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ortable terminal
power supply
main
main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62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두형
Original Assignee
최두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두형 filed Critical 최두형
Priority to KR20200600162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50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50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501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9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switching to a backup power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메인 전원으로 사용되는 배터리의 전력이 소진되는 경우에도 휴대용 단말기가 켜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새로운 배터리로의 교체나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하게 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시간을 끊김 없이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전원이 항상 켜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용 단말기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 메인 전원과, 휴대용 단말기에 내장되어 상기 메인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없는 상태에서도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보조 전원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Portable terminal}
도 1은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110: 본체 기능부 20, 120: 메인 전원
125: 보조 전원 126: 전력 감지 수단
200: 휴대용 단말기 본체
본 고안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메인 전원의 전력이 소진되는 경우에도 소정 시간 온(ON)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 말하는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용 전화기나 PDA 등 개인이 휴대하는 각종 전자 기기를 총칭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도 1에는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휴대용 단말기는 고유의 기능을 수행하는 본체 기능부(10)와 상기 본체 기능부(10)에 전력을 공급하는 메인 전원(20)을 포함한다. 즉,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한 특성에 의해 자체 소모 전력을 공급하는 메인 전원(20)이 함께 사용될 수밖에 없다. 예를 들어, 휴대용 전화기의 경우 메인 전원(20)으로 충전식 배터리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다.
휴대용 전화기를 사용하는 과정을 예를 들면, 통화 중에 배터리의 전력이 소진되는 경우, 통상의 착신 대기 모드에서 전화를 기다릴 때 배터리의 전력이 소진되는 경우 등에는 교체할 배터리를 확보하고 소진된 배터리와 교체하는 동안 휴대 전화는 반드시 꺼질 수밖에 없다. 이때 통화의 내용이 대단히 중요하다거나 기다리는 전화가 긴급한 경우 배터리를 교체하는 길지 않은 시간 동안의 공백도 매우 난처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예는 휴대용 전화기에서만 국한된 것은 아니며, PDA, 이동식 지상파 DMB 수신기, 네비게이션 단말기 등의 각종 휴대용 단말기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배터리의 용량을 늘려서 교체 주기를 길게 유지한다고 하여도 이러한 난처한 상황을 피하기는 힘들고, 휴대가 간편하게 하기 위해서는 배터리 용량을 늘리는 것도 한계가 있다.
이에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할 필요성이 크게 대두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메인 전원으로 사용되는 배터리의 전력이 소진되어 불시에 휴대용 단말기가 꺼지는 경우, 전화 통화 등의 사용 중에 휴대용 단말기가 꺼지는 경우, 중요한 전화를 기다리는 중에 배터리가 소진되어 교체가 요구되는 경우 등에도, 휴대용 단말기가 켜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새로운 배터리로의 교체나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하게 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시간을 끊김 없이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전원이 항상 켜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용 단말기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 메인 전원과,
휴대용 단말기에 내장되어 상기 메인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없는 상태에서도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보조 전원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량을 감지하는 전력 감지 수단과,
상기 전력 감지 수단에서 감지되는 전력 정보를 통해 전원이 유실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되면 자동으로 보조 전원으로 전환되도록 하는 전원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여기서, 상기 메인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량을 감지하는 전력 감지 수단과,
상기 전력 감지 수단에서 감지되는 전력 정보를 통해 메인 전원이 유실될 가 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전원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메인 전원과 보조 전원의 변환을 선택할 수 있도록 사용자 전원 변환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인 전원과 상기 보조 전원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연결된 충전 케이블에 의해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충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인 전원과 상기 보조 전원은 서로 병렬로 연결되고, 각각의 전원에 ON/OFF 스위치가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통상의 메인 전원(120)과 추가적인 보조 전원(125)을 구비한다.
상기 메인 전원(120)은 휴대용 단말기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들에 많이 사용되는 형태의 충전식 배터리가 사용된다. 상기 보조 전원(125)은 휴대용 단말기 내에 내장된 것으로 역시 충전식 배터리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보조 전원(125)은 휴대용 단말기의 메인 전원(120)의 전력이 감소하여 이를 교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에만 전력을 공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조 전원(125)은 그 크기가 상기 메인 전원(120)에 비해 상당히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보조 전원(125)으로는 필름형 배터리와 같은 부피와 무게가 작은 충전식 배터리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메인 전원(120)과 상기 보조 전원(125)은 충전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선택적으로 충전이 이루어지거나 동시에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메인 전원(120)과 상기 보조 전원(125)은 서로 병렬로 연결된 상태로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 단자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메인 전원(120)과 전원 단자 사이에 제1스위치(S1)가 배치되고, 역시 상기 보조 전원과 전원 단자 사이에도 제2스위치(S2)가 배치되어, 평상시에는 제1스위치(S1)가 온(ON)이고 제2스위치(S2)가 오프(OFF)인 상태로 유지되다가, 필요한 경우 제2스위치(S2)가 온(ON)되고 제1스위치(S1)가 오프 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위치를 제어하여 전원을 변환하는 동작은 사용자가 전원 변환을 선택하여 수행되거나, 메인 전원의 전력 감소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전원 변환의 필요성을 느껴 전원 변환을 선택하는 경우 상술한 것과 같이 메인 전원(120)에 연결된 제1스위치(S1)가 오프 되고 보조 전원(125)에 연결된 제2스위치(S2)가 온 된다.
또한, 메인 전원(120)에서 공급되는 전력이 감소되는 경우 자동으로 이를 감지하여 메인 전원(120)에 연결된 제1스위치(S1)가 오프 되고 보조 전원(125)에 연결된 제2스위치(S2)가 온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메인 전원(120) 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감지하는 전력 감지 수단(126)을 별도로 더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전력 감지 수단은 기존에 휴대용 단말기의 메인 디스플레이 화면에 배터리 잔량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력 감지 수단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전력 감지 수단(126), 상기 보조 전원(125), 상기 제1 및 제2스위치(S1, S2)는 휴대용 단말기의 본체 기능부(110)와 함께 휴대용 단말기(200)의 내부에 내장된 상태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메인 전원(120)에서 공급되는 전력이 감소되는 경우에는 이를 사용자에게 통지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또는 자동으로 전원의 변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는 상기 전력 감지 수단(126)에서 감지된 메인 전원(120)의 전력의 크기와 미리 설정된 소정의 전력 경고값을 비교하여 사용자에게 통지하거나 전원의 변환을 위한 스위치들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전원 제어부(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전원 변환을 위한 명령을 입력하는 수단은 휴대용 단말기의 고정된 버튼으로 정해질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수단에 의해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메뉴 중에서 전원 변환 메뉴가 추가될 수 있다.
사용자에게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 상태를 통지하는 수단은 소리의 청각 신호,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되는 화면의 시각 정보, 휴대용 단말기의 자체 진동 등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이 항상 켜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특히, 메인 전원인 배터리의 전력이 소진되는 시점에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을 끄지 않고 배터리를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여 배터리 교체 시간 동안의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을 켜진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6)

  1.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용 단말기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 메인 전원과,
    휴대용 단말기에 내장되고 상기 메인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없는 상태에서도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보조 전원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량을 감지하는 전력 감지 수단과,
    상기 전력 감지 수단에서 감지되는 전력 정보를 통해 전원이 유실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되면 자동으로 보조 전원으로 전환되도록 하는 전원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량을 감지하는 전력 감지 수단과,
    상기 전력 감지 수단에서 감지되는 전력 정보를 통해 메인 전원이 유실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전원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메인 전원과 보조 전원의 변환을 선택할 수 있도록 사용자 전원 변환 수단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전원과 상기 보조 전원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연결된 충전 케이블에 의해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전원과 상기 보조 전원은 서로 병렬로 연결되고, 각각의 전원에 ON/OFF 스위치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KR2020060016285U 2006-06-16 2006-06-16 휴대용 단말기 KR2004250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6285U KR200425019Y1 (ko) 2006-06-16 2006-06-16 휴대용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6285U KR200425019Y1 (ko) 2006-06-16 2006-06-16 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5019Y1 true KR200425019Y1 (ko) 2006-08-28

Family

ID=41773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6285U KR200425019Y1 (ko) 2006-06-16 2006-06-16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501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6072B1 (ko) 복수개의 배터리를 제어하는 전원 제어 및 공급 전원의 표시 방법과 장치,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JP2005536172A (ja) 電力消費量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JPWO2013099079A1 (ja) 駆動制御装置、駆動制御方法、および駆動制御プログラム
JPH0538057A (ja) 携帯用通信機器
KR20110004618A (ko) 다중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KR200425019Y1 (ko) 휴대용 단말기
JP4562697B2 (ja) 携帯通信端末装置およびそのパワーセーブ方法
JP2001211480A (ja) 移動通信端末装置及びその充電状態報知方法
KR20060082912A (ko) 절전 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자 장치 및 그의 처리 방법
KR100624799B1 (ko) 최소전력모드 구동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동작방법
JP4354894B2 (ja) 電子装置
JP2008154434A (ja) 携帯端末用充電器
KR20130106740A (ko) 전원을 끄지 않는 배터리 교체 방법
JP5685690B2 (ja) 携帯端末、携帯端末システム、並びにバッテリ残量警告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310344B1 (ko) 휴대폰에서 저전압시 전화번호부 동작방법
KR20060014949A (ko) 보조 배터리가 구비된 휴대폰
JP2005117900A (ja) 携帯通信機
KR101466772B1 (ko) 보조배터리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KR101428763B1 (ko) 듀얼 배터리가 장착된 태블릿 피시 및 제어방법
KR20160148442A (ko) 예비 배터리를 이용한 표시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JP2011038999A (ja) 携帯端末機および携帯端末機の制御方法
JP2009207347A (ja) 携帯電子機器及び充電装置及び充電方法及び充電システム
JP5119841B2 (ja) 携帯型通信機器
KR10073917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비상 통화 방법
JP2007306329A (ja) 携帯電話機の電源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