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0837A - 복수개의 배터리를 제어하는 전원 제어 방법 및 전원 제어장치,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복수개의 배터리를 제어하는 전원 제어 방법 및 전원 제어장치,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0837A
KR20090020837A KR1020070085435A KR20070085435A KR20090020837A KR 20090020837 A KR20090020837 A KR 20090020837A KR 1020070085435 A KR1020070085435 A KR 1020070085435A KR 20070085435 A KR20070085435 A KR 20070085435A KR 20090020837 A KR20090020837 A KR 200900208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battery
main battery
auxiliary
auxiliary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5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6072B1 (ko
Inventor
우재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5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6072B1/ko
Priority to US12/168,605 priority patent/US7919885B2/en
Priority to CN2008101456035A priority patent/CN101373901B/zh
Publication of KR20090020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0837A/ko
Priority to US12/979,007 priority patent/US20110089764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6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60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02J7/0025Sequential battery discharge in systems with a plurality of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개의 배터리를 제어하는 전원 제어 방법 및 전원 제어 장치,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주 배터리 및 보조 배터리의 접속 상태 및 상기 주 배터리 전원과 상기 보조 배터리 전원의 상대적인 크기에 따라 주 배터리만을 이용한 전원 공급, 상기 주 배터리 전원과 보조 배터리 전원을 통합한 통합 전원 공급, 주 배터리 충전, 보조 배터리 충전, 동시 충전 및 휴대 단말기 전원이 턴-오프 된 상태에서의 주 배터리와 보조 배터리의 연결 등을 제어함으로써, 복수개의 배터리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의 전원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Figure P1020070085435
휴대 단말기, 전원 제어, 배터리, 역 충전 방지

Description

복수개의 배터리를 제어하는 전원 제어 방법 및 전원 제어 장치,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METHOD FOR POWER CONTROL OF MULTIPLE BATTERY AND DEVICE THEREOF, POTABLE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복수개의 배터리를 제어하는 전원 제어 방법 및 전원 제어 장치,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부 배터리 및 외부 배터리 간의 전원 차이에 따른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는 복수개의 배터리를 제어하는 전원 제어 방법 및 전원 제어 장치,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휴대 단말기는 배터리의 전기적 용량을 유지하면서 그 크기를 소형화시키는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힘입어 다양한 옵션 기능을 구현할 수 있게 되었다. 예를 들면, 상기 휴대 단말기는 미리 저장해 놓은 오디오 파일 및 비디오 파일을 재생 할 수 있는 파일 재생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정지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기능, 움직이는 영상을 추적하며 촬영하는 비디오카메라 기능 등 다양한 부가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다양한 부가기능의 추가는 배터리의 전기적 용량을 비약적으로 발전시켰다 할지라도, 휴대 단말기의 한정적 전원 공급의 특성상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는 현실에서 심각한 전원 공급의 문제점을 발생시킬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한정적 전원 공급을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제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복수개의 배터리를 제공하여 휴대 단말기의 제한적인 전원 공급의 문제를 해결하고,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의 운용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 복수개의 배터리를 제어하는 전원 제어 방법 및 전원 제어 장치,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복수개의 배터리를 제어하는 전원 제어 방법은, 주 배터리와 보조 배터리가 탈착될 수 있는 전원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전원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 배터리와 상기 보조 배터리 접속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 상기 배터리 접속 여부와, 상기 주 배터리 및 상기 보조 배터리의 전원 크기에 따라, 각기 다른 전원 공급 패스를 형성하는 과정; 및 상기 형성된 패스를 통하여 상기 주 배터리 전원, 상기 보조 배터리 전원 및 상기 주 배터리 전원과 상기 보조 배터리 전원이 통합된 통합 전원 중 어느 하나의 전원 을 출력부로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복수개의 배터리를 제어하는 전원 제어 방법은, 주 배터리와 보조 배터리가 탈착될 수 있는 전원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전원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 배터리와 상기 보조 배터리가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접속되고, 상기 보조 배터리 전원의 크기가 상기 주 배터리 전원 이상이며,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전원이 턴-오프 된 경우, 상기 보조 배터리와 상기 주 배터리를 연결하는 패스를 형성하는 과정; 및 상기 보조 배터리 전원이 상기 패스를 이용하여 상기 주 배터리 전원과 동일한 크기가 되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복수개의 배터리를 제어하는 전원 제어 방법은, 주 배터리와 보조 배터리가 탈착될 수 있는 전원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전원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 배터리와 보조 배터리가 휴대 단말기에 접속되고, 상기 보조 배터리 전원이 상기 주 배터리 전원 미만이며,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전원이 턴-오프 된 경우, 상기 보조 배터리 전원과 상기 주 배터리 전원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복수개의 배터리를 제어하는 전원 제어 방법은, 주 배터리와 보조 배터리가 탈착될 수 있는 전원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전원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 배터리와 상기 보조 배터리가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접속되고, 상기 주 배터리와 상기 보조 배터리 충전을 위한 충전 전원이 공급되며, 상기 주 배터리 전원이 기 설정된 일정 전압 이상인 경 우, 상기 보조 배터리와 상기 충전 전원 간의 패스를 형성하는 과정; 및 상기 패스를 이용하여 상기 충전 전원을 상기 보조 배터리에 공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복수개의 배터리를 제어하는 전원 제어 방법은, 주 배터리와 보조 배터리가 탈착될 수 있는 전원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전원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 배터리와 상기 보조 배터리가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접속되고, 상기 주 배터리와 상기 보조 배터리 충전을 위한 충전 전원이 공급되며, 상기 주 배터리 전원이 기 설정된 일정 전압 미만인 경우, 상기 주 배터리와 상기 충전 전원 사이에 패스를 형성하는 과정; 상기 패스를 이용하여 상기 주 배터리를 충전하는 과정; 및 상기 주 배터리가 상기 일정 전압 이상으로 충전된 경우, 상기 보조 배터리를 충전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복수개의 배터리를 제어하는 전원 제어 방법은, 주 배터리와 보조 배터리가 탈착될 수 있는 전원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전원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 배터리와 상기 보조 배터리가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접속되고, 상기 주 배터리와 상기 보조 배터리 충전을 위한 충전 전원이 공급되며, 상기 주 배터리 전원이 기 설정된 일정 전압 미만인 경우, 상기 충전 전원과 상기 보조 배터리 간의 패스 및 상기 충전 전원과 상기 주 배터리 간의 패스를 동시에 형성하는 과정; 및 상기 패스들을 이용하여 상기 주 배터리와 상기 보조 배터리를 동시에 충전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복수개의 배터리를 제어하는 전원 제어 장치는, 주 배터리와 보조 배터리가 탈착될 수 있는 전원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 배터리와 상기 보조 배터리를 연결하는 스위치; 상기 주 배터리 및 상기 보조 배터리 중 적어도 하나의 전원 출력을 위하여 상기 스위치에 전원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 및 상기 비교기 출력에 따라 상기 주 배터리 전원, 상기 보조 배터리 전원, 상기 주 배터리 전원 및 상기 보조 배터리 전원을 통합한 통합 전원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복수개의 배터리를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는, 주 배터리와 보조 배터리가 탈착될 수 있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주 배터리와 상기 보조 배터리 사이에 배치되는 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주 배터리 전원이 상기 보조 배터리 전원보다 큰 경우 상기 주 배터리 전원을 독립적으로 출력하고, 상기 주 배터리 전원이 상기 보조 배터리 전원 이하인 경우 상기 주 배터리 전원과 보조 배터리 전원을 통합한 통합 전원을 출력하는 전원부; 및 상기 스위치 제어를 위한 전원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수개의 배터리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의 전원 제어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주 배터리 및 보조 배터리를 배터리 용량에 따라 독립적으로 운용하거나, 통합하여 운용함으로써, 배터리 역충전을 방지함과 아울러 효율적인 전원 공급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전원으로서 주 배터리 및 주 배터리와 연계 또는 독립적으로 전원을 제공하는 보조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주 배터리와 보조 배터리 간에 발생하는 역충전 현상을 방지함과 아울러, 별도의 전원 공급이 없는 경우, 보조 배터리를 이용하여 주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에 포함되는 주 배터리 및 보조 배터리는 충전용 배터리로서, 충전용배터리인 이차 배터리 및 화학 배터리 등이 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보조 배터리는 일회성 건전지 등이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환경보호와 생산성 및 사용자 니즈(needs)를 고려하여 주 배터리 및 보조 배터리는 모두 충 전용 배터리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수개의 배터리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를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휴대 단말기는 단말기의 종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복수개의 배터리를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단말기 형태 예를 들면, 이동통신 단말기, 이동 전화기, 유/무선 전화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Notebook) 및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 3G 단말기 예를 들면,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단말기 및 와이브로와 같은 휴대 인터넷 단말기,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단말기, GSM/GPRS(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General Packet Radio Service),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등과 같은 모든 정보통신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와,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이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전원부는 전원 제어 회로, 전원 제어 장치 등으로 기재하기로 한다. 이러한 기재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적절하고 용이한 설명을 위하여 상황에 따라 다르게 기재하는 것으로, 상기 각 명칭은 동일한 구성을 지칭하는 것이다. 또한, 이하에서, 입력 전원은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제어부 측면에서 정의한 용어이며, 이에 따라, 상기 입력 전원은 상기 전원부 측면에서는 출력부에 해당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수개의 배터리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주파수부(110), 입력부(120), 오디오 처리부(130), 전원부(140), 표시부(150), 메모리(170)및 제어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원부(140)는의 다수개의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는 두개의 배터리 즉, 주 배터리(141) 및 보조 배터리(143)를 포함하는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무선주파수부(11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이동통신 단말기인 경우 포함될 수 있는 구성으로써,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이동통신 관련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상기 무선주파수부(110)는 상기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음성 통화 또는 화상 통화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한다. 상기 무선 주파수부(1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무선 주파수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무선 주파수 수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주파수부(110)는 상기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원부(140)에 포함된 배터리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아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20)는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한다. 상기 기능키들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사이드 키 및 단축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120)는 사용자 설정 및 휴대 단말기(10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키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특히, 상기 입력부(120)는 상기 전원부(140)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입력신호, 전원 공급을 시작하는 입력 신호 등을 생성하여 상기 전원부(140)에 직접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입력신호는 동일한 신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전원 공급 차단 신호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전원이 턴 온 된 상태에서 전원 키를 길게 누르는 롱키 형태의 입력신호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전원 공급 시작 신호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전원이 턴-오프 된 상태에서 전원키를 길게 누르는 롱키 형태의 입력신호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입력신호 형태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 다른 형태의 입력신호를 각각의 전원 공급 차단 신호 및 전원 공급 시작 신호에 할당할 수 도 있을 것이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13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수신한 오디오 파일 및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저장한 오디오 파일의 재생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SPK), 사용자의 음성 또는 기타 오디오 신호를 수집하기 위한 마이크(MIC)를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오디오 처리부(13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전원 공급에 따라 변화하는 상태별로 구별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에 따라 변화하는 상태는 휴대 단말기(100)의 초기 전원 공급 시, 기 저장된 로그 화면 및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상태, 로그 화면에서 대기 화면으로 전환된 상태, 전원 공급의 부족에 따라 이를 알람하는 상태, 전원 공급의 부족으로 인한 휴대 단말기 강제 종료를 알람하는 상태 및 강제 종료하는 상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130)는 상기 각 상태에 따라 구별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오디오 처리부(130)는 주 배터리(141) 및 보조 배터리(143)의 연결과 분리 시 상기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이를 알람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14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입력부(120)의 입력신호에 따라 전원 공급과 차단을 수행하며, 전원 공급 이후,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전원 공급을 조절하게 된다. 즉, 상기 전원부(140)는 휴대 단말기(100)가 턴-오프 된 상태에서 전원 키가 눌려질 경우, 주 배터리(141) 및 보조 배터리(143)의 연결 상태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로부터의 전원을 제어부(160)를 통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각 구성에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전원부(140)는 휴대 단말기(100)가 턴-온 된 상태에서 전원 키가 눌려질 경우, 주 배터리 및 보조 배터리(143)와 연결되는 전기적 신호 라인을 차단하여 전원 공급을 중지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원부(140)는 상기 주 배터리(141) 및 보조 배터리(143)의 효율적인 전원 공급과 함께, 주 배터리(141)의 전원이 보조 배터리(143)를 충전시키는 역충전을 방지시키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상기 전원부(1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주 배터리(141), 보조 배터리(143), 스위치(145) 및 비교기(147)를 포함하고, 상기 주 배터리(141)와 보조 배터리(143)를 충전하기 위한 TC(Travel Charger)(14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원부(140)는 상기 주 배터리(141)의 전원 및 상기 주 배터리(141)와 상기 보조 배터리(143)의 통합 전원을 상기 제어부(160)에 각각 독립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전원부(140)의 배터리 용량 상태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 설명은 표시부(150) 설명과 함께 보다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상기 주 배터리(141)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 탈착될 수 있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충전지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 배터리(141)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에 별도의 배치 공간을 마련하여, 장착되고, 배터리 외관 보호를 위하여 케이스를 마련할 수 있다. 이러한 주 배터리(141)는 상기 스위치(145)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60)와 상기 비교기(147)에 각각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서, 상기 비교기(147)에 공급되는 전원은 참조 전원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주 배터리(141)는 상기 스위치(145)의 활성화에 따라 상기 제어부(160)에 직접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145) 활성화를 위한 신호는 상기 입력부(120)의 전원키 입력신호에 해당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보조 배터리(143)는 상기 주 배터리(141)와 유사하게, 탈착 가능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일회성 건전지 및 충전지를 포함한다. 상기 보조 배터리(143)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 장착될 수 있는 별도의 공간을 마련하기 보다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 부착될 수 있는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상기 보조 배터리(143)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 일 측에 형성된 접속 단자에 접속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보조 배터리(143)는 상기 스위치(145)에 접속되어 상기 스위치(145) 제어에 따라 상기 주 배터리(141) 및 상기 제어부(160)에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스위치(145)는 상기 주 배터리(141)와 보조 배터리(143), 비교기(147) 및 제어부(160)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스위치(145)는 상기 제어부(160)의 제어 및 입력부(120)의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주 배터리(141)의 전원 공급 제어, 상기 보조 배터리(143)의 전원 공급 제어, 상기 주 배터리(141)와 상기 보조 배터리(143)간의 전압차에 따른 전원 공급 제어 등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145)는 상기 주 배터리(141)의 전원 및 상기 주 배터리(141)와 보조 배터리(143)의 통합 전원을 상기 제어부(160)에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상기 스위치(145)는 상기 주 배터리(141) 및 상기 보조 배터리(143) 모두 장착 또는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전원이 턴-오프 되고, 상기 보조 배터리(143)의 전원이 상기 주 배터리(141) 전원보다 높은 경우, 상기 주 배터리(141)와 상기 보조 배터리(143) 간의 전기적 연결 통로를 형성하여, 상기 보조 배터리(143)가 상기 주 배터리(141)를 충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비교기(147)는 상기 제어부(160)와 상기 스위치(145)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비교기(147)는 상기 주 배터리(141) 전원을 참조 전압으로 상기 제어부(16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제어 신호를 상기 스위치(145)에 전달한다. 이에 따라, 상기 비교기(147)는 상기 주 배터리(141) 전압이 상기 보조 배터리(143) 전압보다 클 경우, 상기 보조 배터리(143)와 상기 주 배터리(141) 간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교기(147)는 상기 주 배터리(141) 전압이 상기 보조 배터리(143) 전압 이하인 경우, 상기 보조 배터리(143)와 상기 주 배터리(141)와 상기 보조 배터리(143) 간의 전기적 연결을 생성하여 상기 주 배터리(141) 및 상기 보조 배터리(143)의 통합 전원을 상기 제어부(160)에 제공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상기 TC(149)는 휴대 단말기(100) 일 측에 형성된 커넥터에 접속되어 충전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TC(149)는 전기적으로 주 배터리(141)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며, 스위치(145)를 통하여 상기 보조 배터리(143)와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원부(140)의 각 구성의 상세한 설명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표시부(150)는 다양한 화면 예를 들면, 전원 턴-온 상태의 화면, 전원 턴-오프 과정의 화면, 대기 화면, 메뉴 화면, 비디오 파일의 재생 화면 등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기능에 따른 화면을 제공한다. 이러한, 표시부(15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표시부(150)는 LCD 제어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 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LCD를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표시부(150) 화면은 입력부로 동작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표시부(1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배터리(141)의 용량 상태, 보조 배터리(143)의 용량 상태 및 주 배터리(141)와 보조 배터리(143)의 통합 용량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아이콘, 팝업 메시지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팝업 메시지는 주 배터리(141) 및 보조 배터리(143)의 저전압 상태, 배터리 완전 소모 상태 등에 따른 메시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표시부(15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 주 배터리(141)만 연결된 경우, 상기 제어부(160)가 체크한 상기 주 배터리(141)의 배터리 용량 상태를 도 2의 151 화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 일 측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15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 보조 배터리(143)만 연결된 경우에도, 상기 제어부(160)가 체크한 상기 보조 배터리(143)의 배터리 용량 상태를 도 2의 15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 일 측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주 배터리(141) 및 상기 보조 배터리(143)의 배터리 용량 상태 표시는 각각의 배터리 종류를 구분할 수 있도록 각기 다른 식별요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표시부(150)는 상기 주 배터리(141)와 상기 보조 배터리(143)가 통합 전원으로 작용하는 경우, 상기 통합 전원에 해당하는 배터리 용량 상태를 도 2의 155 화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 일 측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150)는 상기 주 배터리(141)와 상기 보조 배터리(143)가 연결된 상태에서 독립된 전원으로 작용하는 경우, 상기 각각의 주 배터리(141) 용량 및 보조 배터리(143) 용량 상태를 도 2의 157 화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 일측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 2의 155 화면은 상기 주 배터리(141)의 전원이 상기 보조 배터리(143) 전원 이하인 경우, 상기 주 배터리(141)와 보조 배터리(143)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통합 전원을 형성하고, 그에 따라 동일한 크기의 전원을 가지게 됨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주 배터리(141) 및 상기 보조 배터리(143) 각각의 전원 표시는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주 배터리(141) 전원이 상기 보조 배터리(143) 전원보다 큰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주 배터리(141)와 보조 배터리(143) 간의 전기적 연결을 분리하여, 상기 도 2의 157 화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주 배터리(141) 전원의 크기 및 상기 보조 배터리(143) 전원 크기를 각 각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시부(150)는 통합 전원 및 주 배터리(141) 전원과 보조 배터리(143) 전원을 각각 표시하는 중에, 주 배터리(141) 및 보조 배터리(143) 중 어느 하나의 배터리가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제어부(160)가 현재 접속된 배터리 종류와 배터리 용량을 체크한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표시부(150)는 상기 통합 전원 표시는 삭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메모리(17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전원 제어를 위한 알고리즘, 사용자 데이터 등을 저장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이동통신 단말기인 경우 상기 무선주파수부(110)를 운용할 수 있는 응용프로그램을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170)는 상기 주 배터리(141) 및 보조 배터리(143)의 현재 배터리 용량에 대한 정보를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메모리(170)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영역은 휴대 단말기(100)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지원하는 기타 옵션(options) 기능 예컨대, 소리 재생 기능, 이미지 또는 동영상 재생 기능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특히, 상기 프로그램 영역은 상기 전원부(140)에 포함된 다수개의 구성을 상기 주 배터리(141) 및 보조 배터리(143)의 연결과 배터리 용량 상태에 따라 효율적으로 운용하도록 제어하는 전원 제어 알고리즘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사용자 요청 및 배터리 접속 상태에 상응하여 상기한 각 기 능을 활성화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해당 응용 프로그램들을 이용하여 각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데이터 영역은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제공하는 다양한 옵션 기능과 관련한 사용자 데이터들 예컨대, 앞서 설명한 동영상과, 폰 북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 및 해당 컨텐츠 또는 사용자 데이터들에 대응하는 정보들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데이터 영역은 상기 전원부(140)로부터 전달된 신호 즉, 주 배터리(141)의 배터리 용량 상태, 보조 배터리(143)의 배터리 용량 상태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 및 임시로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된 정보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표시부(150)로 출력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전원부(140)로부터 전달된 정보를 메모리(170)에 저장하는 구조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제어부(160)에 버퍼를 두어 전원부(140) 제어에 필요한 전원부(140) 관련 정보를 처리할 수 도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프로그램 영역에 저장될 수 있는 전원 제어 알고리즘, 상기 데이터 영역에 저장될 수 있는 전원부(140) 관련 정보는 각각 제어부(160)에 마련된 저장 공간을 통하여 운용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각 구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각 구성 간 송수신되는 신호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이동통신 기능 및 파일 재생 기능을 지원하 는 경우, 송수신되는 신호 및 파일을 처리할 수 있는 모뎀 기능과 코덱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제어부(160)는 상기 전원부(140)로부터 전달되는 정보 즉, 주 배터리(141)와 보조 배터리(143)의 접속 여부, 주 배터리(141)와 보조 배터리(143)의 배터리 용량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스위치(145) 및 상기 비교기(147)에 공급되는 신호를 조절하여 상기 전원부(140)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스위치(145)와 연결된 포트 예를 들면 제1 ADC 포트를 이용하여 상기 주 배터리(141) 또는 상기 주 배터리(141)와 상기 보조 배터리(143)의 통합 전원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보조 배터리(143)와 연결된 포트 예를 들면 제2 ADC 포트를 이용하여 상기 보조 배터리(143)의 전원을 체크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60)의 휴대 단말기(100) 전원 제어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원 제어 장치 즉, 전원 제어 회로의 일예를 블록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3b는 상기 전원 제어 회로를 실제 휴대 단말기(100)에 적용할 수 있도록 구현한 전원 제어 회로의 회로도이다. 여기서, 상기 도 3b에 나타낸 도면은 특정 휴대 단말기(100)에 적용될 수 있도록 다수의 소자를 추가한 것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특성 변화 및 추가 기능 구현 등에 따라 상기 도 3b에 나타낸 상기 소자의 특성과 소자의 위치 등은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전원 제어 회로는 주 배터리(141)와, 주 배터리(141)에 연결되는 커넥터(148), 커넥터(148)에 연결되는 TC(149), 주 배터리(141)와 커넥터(148) 사이의 제1 노드(N1), 상기 주 배터리(141)와 제1 스위치(142)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보조 배터리(143), 제1 스위치(142)의 활성화를 제어하는 비교기(147), 제1 노드(N1)와 입력 전원(Vin)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스위치(14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비교기(147)에는 제어부(160)로부터의 전원 제어 신호(FET_CTRL)가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스위치(144)에는 제어부(160)로부터의 전원 유지 신호(PS_HOLD), 입력부(120)로부터의 전원 턴-온 또는 전원 턴-오프에 해당하는 전원 신호(ON_SW), 상기 휴대 단말기(100) 개발과 점검을 위해 별도의 지그(Jig)를 통하여 입력되는 테스트 전압 신호(HP_PWR) 등이 공급되어, 상기 입력되는 신호 성격에 따라 상기 제2 스위치(144)가 활성화 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160)는 주 배터리(141)가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될 경우 주 배터리 접속 신호(MAIN_CF)를 감지하며, 상기 보조 배터리(143)가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 접속될 경우, 보조 배터리 접속 신호(SUB_CF)를 감지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주 배터리 접속 신호(MAIN_CF) 및 상기 보조 배터리 접속 신호(SUB_CF)를 기준으로 상기 주 배터리(141)와 상기 보조 배터리(143)의 접속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력 전원(Vin)은 상기 제어부(160)의 일 측에 형성된 입력 포트에 할당될 수 있다. 즉, 상기 전원 제어 회로에서 상기 주 배터리(141) 및 상기 보조 배터리(143)로부터의 전원은 상기 입력 전원(Vin) 형태로 상기 제어부(160)에 전달된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입력 전원(Vin)의 크기와 보조 배터리 접속 신호(SUB_CF), 보조 배터리(143) 전원의 크기 및 주 배터 리 접속 신호(MAIN_CF)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 전원이 주 배터리(141)로부터의 전원인지, 보조 배터리(143)로부터의 전원인지, 주 베터리(141)와 보조 베터리(143)의 전원이 동시에 공급되는 통합 전원으로부터의 전원인지를 구별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148)는 상기 제1 노드(N1)와 상기 TC(149) 사이에 배치되는 인터페이스이다. 이러한, 상기 커넥터(148)는 상기 TC(149)와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커넥터(148)를 가지는 전기 제어 회로는 주 배터리(141)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TC(149)가 결합되는 경우, 상기 TC(149)로부터의 충전전원을 상기 주 배터리(141)에 일차적으로 공급한다. 상기 주 배터리(141)의 충전이 완료되고 보조 배터리(143)가 연결되어 있으면, 상기 전원 제어 회로는 상기 제1 스위치(142)를 활성화하여 상기 보조 배터리(143)와 상기 커넥터(148) 및 상기 TC(149) 간에 전기적 통로를 형성한 후, 상기 충전전원을 상기 보조 배터리(143)에 공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구현된 전원 제어 회로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에 앞서, 주 배터리(141)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은 주 배터리 전원 즉, VBATT, 보조 배터리(143)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은 보조 배터리 전원 즉, S_BATT로 정의하기로 한다. 기타 저항은 전압 분배, 회로 안정 등의 목적으로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원 제어 회로는 주 배터리(141), 보조 배터리(143)를 포함하며, 상기 주 배터리(141)와 보조 배터리(143) 사이에 배치되는 P-Channel MOSFET으로 구성되는 제1 스위치(142), 상기 제1 스위치(142)와 입력 전원(Vin) 사이에 배치되는 P-Channel MOSFET으로 구성되는 제2 스위치(144), 상기 제2 스위치(144)의 활성화를 제어하기 위한 N-Channel MOSFET으로 구성되는 제3 스위치(146)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스위치(142)는 비교기(147) 출력에 따라 활성화되며, 상기 제2 스위치(144)는 상기 제3 스위치(146)의 상태에 따라 활성화가 결정된다. 상기 제3 스위치(146)는 전원 유지 신호(PS_HOLD), 전원 신호(ON_SW), 테스트 전압 신호(HP_PWR)의 입력에 따라 활성화 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 배터리(143)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 접속되는 경우, 입력부(120) 예를 들면 3*4Keypad 중 특정 키입력에 대응하여 전원 신호(ON_SW)를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상기 전원 신호(ON_SW)는 상기 제3 스위치(146)에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원 신호(ON_SW)는 상기 입력부(120)의 특정 키 입력에 따라 생성될 수 도 있다. 그리고 상기 비교기(147)는 상기 제1 스위치(142)를 활성화 시킬 수 있는 "Low" 신호 또는 "High" 신호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전원 제어 신호(FET_CTRL)를 주 배터리 전원(VBATT)에 비교 참조하여 상기 제1 스위치(142)에 공급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원 제어 회로의 구동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하는 스위칭 소자는 드레인 단자와 소스 단자 및 게이트 단자를 포함하는 MOSFET를 예로 하여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스위칭 소자는 일 측에 입력되는 신호에 대응하여 전원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는 소자라면 어떠한 소자라도 적용가능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MOSFET는 BJT, JFET 등으로 대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전원 제어 회로에서 주 배터리(141)만 연결된 경우의 전원 제어 회로 및 패스 형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주 배터리(141)만 연결된 경우, 상기 주 배터리(141)는 주 배터리 접속 신호(MAIN_CF)를 상기 제어부(160)에 전송하게 된다. 상기 주 배터리 접속 신호(MAIN_CF)는 상기 주 배터리 접속 신호(MAIN_CF)와 연결되는 라인에 풀업 전원(2.7V)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주 배터리(141) 접속으로 인하여 상기 풀업 전원(2.7V)이 풀 다운 됨으로써, 상기 제어부(160)에 전달되게 된다. 즉,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주 배터리(141) 접속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포트에"High"가 유지되는 경우, 주 배터리(141)가 미 장착된 상태로 인식하고, "Low"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주 배터리(141)가 장착된 상태로 인식하게 된다. 주 배터리(141) 연결 이후, 입력부(120)로부터 전원 신호(ON_SW)가 발생하면 상기 제3 스위치(146)는 상기 전원 신호(ON_SW) 입력에 따라 활성화된다. 상기 전원 신호(ON_SW)는 상기 입력부(120) 예를 들면 3*4Keypad의 전원키(ON_key)의 활성화에 따라 발생할 수 있다. 이후, 제2 스위치(144)의 게이트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주 배터리 전원(VBATT)이 상기 제3 스위치(146)를 통하여 접지 단자로 흐르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2 스위치(144)는 활성화되어, 상기 주 배터리(141), 제1 노드(N1), 제2 스위치(144) 및 입력 전원(Vin)으로 연결되는 제1 패스(Path_1)가 형성되어, 상기 주 배터리(141)의 전원이 입력 전원(Vin)으로서 상기 제어부(160)에 공급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160)는 전원 신호(ON_SW) 입력 이후, 상기 전원 유지 신 호(PS_HOLD)를 상기 제3 스위치(146)에 공급하여 상기 제1 패스(Path_1)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주 배터리 전원(VBATT)의 공급을 지원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TC(149)가 커넥터(148)에 연결되어 충전 전원을 공급하는 경우, 상기 충전 전원은 상기 커넥터(148)와 제1 노드(N1)를 통하여 상기 주 배터리(141)에 공급되어 상기 주 배터리(141)를 충전하게 된다. 한편, 상기 충전 전원은 상기 주 배터리 전원(VBATT)이 입력 전원(Vin)으로 공급되는 동안 형성되는 상기 제1 패스(Path_1)를 통하여 상기 입력 전원(Vin)으로 전송될 수 도 있다.
도 5는 전원 제어 회로에서 보조 배터리(143)만 연결된 경우의 전원 제어 회로 및 패스 형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보조 배터리(143)만 연결된 경우, 상기 보조 배터리(143)는 보조 배터리 접속 신호(SUB_CF)를 상기 제어부(160)에 전송함과 아울러, 입력부(120) 즉, 3*4Keypad의 특정 전원키(ON_KEY) 입력에 따라 생성되는 전원 신호(ON_SW)를 생성하여 상기 제3 스위치(146)에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보조 배터리(143)로부터 공급되는 보조 배터리 전원(S_BATT)은 상기 제1 스위치(142)의 드레인 단자에 공급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스위치(142)의 게이트 단자는 비교기(147)의 출력단자 및 주 배터리 전원(VBATT)과 접속되는데, 현재 상기 주 배터리 전원(VBATT)이 공급되지 않음으로, 상기 제1 스위치(142)는 상기 드레인 단자에 공급되는 보조 배터리 전원(S_BATT)에 의하여 활성화된다. 즉, 상기 제1 스위치(142)의 드레인 단자와 소스 단자는 상기 제1 스위치(142)의 상기 드레인 단자와 상기 게이트 단자 간의 전압차로 인한 기생전류에 의하여 전원이 공급될 수 있는 전기적 통로를 형성한다. 한편, 상기 보조 배터리(143)의 접속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전원 신호(ON_SW)는 상기 제3 스위치(146)를 활성화 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2 스위치(144)는 상기 제1 스위치(142)와 동일한 방식으로 활성화되어 상기 보조 배터리 전원(S_BATT)을 입력 전원(Vin)으로 전달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보조 배터리 전원(S_BATT)은 제1 스위치(142), 제2 스위치(144) 및 입력 전원(Vin)을 포함하는 제2 패스(Path_2)를 통하여 상기 제어부(160)에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 배터리 접속 신호(SUB_CF)는 상기 주 배터리 접속 신호(MAIN_CF)와 유사한 방식으로 상기 제어부(160)에 전달될 수 있다. 즉, 상기 보조 배터리 접속 신호(SUB_CF)는 풀업 전원(2.7V)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 배터리(143)가 접속되면, 상기 풀업 전원(2.7V)이 풀 다운되는 방식에 의하여 상기 제어부(160)에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전원 신호(ON_SW) 입력 이후, 전원 유지 신호(PS_HOLD)를 상기 제3 스위치(146)에 공급함으로써, 상기 제2 패스(Path_2)를 유지시켜 상기 보조 배터리 전원(S_BATT)을 상기 입력 전원(Vin)에 공급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TC(149)가 커넥터(148)에 연결되어 충전 전원을 공급하는 경우, 상기 충전 전원은 상기 커넥터(148)와, 제1 노드(N1) 및 제1 스위치(142)를 통하여 상기 보조 배터리(143)에 공급되어 상기 보조 배터리(143)를 충전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제1 스위치(142)에 공급되는 전원 제어 신호(FET_CTRL)를 저전압 즉, "Low" 신호를 공급하여 상기 제1 스위치(142)를 도통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충전 전원은 상기 제1 노드(N1) 및 제2 스위 치(144)를 통하여 입력 전원(Vin)으로 공급될 수 도 있다.
도 6a 및 도 6b는 주 배터리(141)와 보조 배터리(143)가 연결된 상태에서 전원 제어 회로의 패스 형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6a 및 도 6b에서 주 배터리(141)와 보조 배터리(143)가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 접속되면, 상기 주 배터리 접속 신호(MAIN_CF) 및 상기 보조 배터리 접속 신호(SUB_CF)는 각각 풀업 전원(2.7V)이 풀 다운 변화로 인하여 상기 제어부(160)에 전달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주 배터리(141) 및 보조 배터리(143) 접속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보조 배터리(143)로부터 입력되는 보조 배터리 전원(S_BATT) 및 상기 입력 전원(Vin)을 비교하여 상기 주 배터리 전원(VBATT)과 상기 보조 배터리 전원(S_BATT) 크기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160)는 주 배터리 접속 신호(MAIN_CF) 및 보조 배터리 접속 신호(SUB_CF)의 상태확인 시 둘 다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전원 제어 신호(FET_CTRL)를 "High" 전압으로 공급하여 상기 제1 스위치(142)를 비활성화 시킴으로써,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보조 베터리 전원(S_BATT)을 자신의 제2 ADC 포트에 독립적으로 공급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주 배터리 전원(VBATT)은 제1 패스(Path_1)를 통하여 자신의 제1 ADC 포트에 공급되게 함으로써, 상기 보조 배터리 전원(S_BATT) 및 주 배터리 전원(VBATT)을 각각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이렇게 입력받은 보조 배터리 전원(S_BATT) 및 주 배터리 전원(VBATT)의 각 전압 크기 및 상대적 크기를 판단하고, 그에 따라 상기 제1 스위치(142)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를 결정한다.
상기 도 6a는 주 배터리(141)의 전원이 일정 전압 예를 들면 4.1V 미만이고, 보조 배터리(143)의 전원보다 큰 경우, 전원 제어 회로의 패스 형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6a를 참조하면, 상기 주 배터리 전원(VBATT)이 4.1V 미만이며, 상기 보조 배터리 전원(S_BATT)보다 큰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주 배터리 전원(VBATT)이 보조 배터리 전원(S_BATT)과 독립적으로 입력 전원(Vin)에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160)는 비교기(147)에 입력되는 전원 제어 신호(FET_CTRL)를 "High" 신호로 공급하여 상기 제1 스위치(142)를 비활성화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보조 배터리 전원(S_BATT)은 보조 배터리 접속 신호(SUB_CF)를 상기 제어부(160)에 전송하고, 상기 주 배터리(141)로부터 고립된다. 이때, 상기 주 배터리 전원(VBATT)은 제1 노드(N1), 제2 스위치(144) 및 입력 전원(Vin)을 포함하는 제1 패스(Path_1)를 따라 상기 주 배터리 전원(VBATT)을 제어부(160)에 공급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테스트 전압 신호(HP_PWR), 전원 신호(ON_SW) 및 전원 유지 신호(PS_HOLD)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3 스위치(146)에 공급해야 할 것이다. 다시 말하여, 상기 테스트 전압 신호(HP_PWR), 전원 신호(ON_SW) 및 전원 유지 신호(PS_HOLD)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3 스위치(146)에 공급되면, 상기 제3 스위치(146)는 활성화되어 상기 제2 스위치(144)를 구성하는 P-Channel MOSFET의 게이트가 접지가 되어 제2 스위치도 활성화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전원 제어 회로는 상기 제2 스위치(144)를 포함하는 제1 패스(Path_1)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은 상기 주 배터리 전원(VBATT)이 상기 보조 배터리 전 원(S_BATT) 이하의 크기를 가질 때 까지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조 배터리(143) 및 주 배터리(141)는 상기 전원부(140)에 접속될 경우, 각각 풀 다운 신호를 상기 제어부(160)의 일정 포트에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보조 배터리 전원(S_BATT)과 주 배터리 전원(VBATT)을 각각 검출할 수 있는 포트를 확보하여, 상기 주 배터리 전원(VBATT)과 보조 배터리 전원(S_BATT)의 크기를 도 2의 15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표시부(15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보조 배터리(143)와 주 배터리(141) 모두 접속되면, 전원 제어 신호(FET_CTRL)을 "High"신호로 생성하여 전달함으로써, 상기 제1 스위치(142)를 비활성화 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주 배터리 전원(VBATT)을 입력 전원(Vin)으로 획득하여 제1 ADC포트로 입력하고, 보조 배터리 전원(S_BATT)은 제2 ADC포트로 입력 시킨다. 여기서, 상기 보조 배터리 전원(S_BATT)이 상기 주 배터리 전원(VBATT)보다 작을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제1 스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주 배터리 전원(VBATT)과 보조 배터리 전원(S_BATT)[을]간의 연결을 [제1 스위치(142)를 이용하여] 차단고립시킴으로써, 표시부(150)의 157 화면과 같은 배터리 표시를 수행하게 된다.
도 6b는 주 배터리 전원(VBATT)이 상기 보조 배터리 전원(S_BATT) 이하의 크기를 가지는 경우의 전원 제어 회로 및 패스 형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설명에 앞서, 상기 주 배터리 전원(VBATT)이 상기 보조 배터리 전원(S_BATT) 이하인 경우는 상기 주 배터리 전원(VBATT)이 상기 보조 배터리 전원(S_BATT)보다 큰 상태에서 상 기 주 배터리 전원(VBATT)이 독립적으로 공급되어 소모됨으로써, 상기 보조 배터리 전원(S_BATT) 이하로 변경된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 배터리 전원(VBATT)이 상기 보조 배터리 전원(S_BATT) 이하인 경우는 주 배터리(141)만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주 배터리 전원(VBATT)보다 높은 보조 배터리 전원(S_BATT)을 가지는 보조 배터리(143)가 새롭게 접속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보조 배터리 전원(S_BATT)이 상기 주 배터리 전원(VBATT)보다 큰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전원 제어 신호(FET_CTRL)를 "Low"신호로서 상기 비교기(147)에 전달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스위치(142)는 활성화된다. 상기 보조 배터리 전원(S_BATT)은 상기 활성화된 제1 스위치(142)를 통하여 제1 노드(N1)를 흐르게 된다. 상기 제2 스위치(144)는 상기 테스트 전압 신호(HP_PWR), 전원 신호(ON_SW) 및 전원 유지 신호(PS_HOLD)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활성화되고, 상기 보조 배터리 전원(S_BATT)은 상기 제2 스위치(144)를 통하여 입력 전원(Vin)으로서 공급된다. 이때, 상기 주 배터리 전원(VBATT)은 제1 노드(N1)를 사이 보조 배터리 전원(S_BATT)과 공유하게 됨으로, 상기 주 배터리 전원(VBATT) 및 보조 배터리 전원(S_BATT)은 동일한 크기의 전원을 가지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보조 배터리 전원(S_BATT) 및 주 배터리 전원(VBATT)은 제3 패스(Path_3)에 포함된 상기 제1 노드(N1)를 기점으로 통합되어 통합 전원으로써 상기 입력 전원(Vin)에 공급된다. 상기 제3 패스(Path_3)는 보조 배터리(143), 제1 스위치(142), 제1 노드(N1), 제2 스위치(144)를 연결하는 패스와, 주 배터리(141), 제1 노드(N1) 및 제2 스위치(144)를 연결하는 패스를 통합한 패스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주 배터리 전원(VBATT)이 상기 보조 배터리 전원(S_BATT)보다 작은 경우에 해당하여 상기 주 배터리 전원(VBATT) 및 상기 보조 배터리 전원(S_BATT)이 통합되어 통합 전원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통합 전원을 도 2의 155에 도시된 화면에서와 같이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 에에 따른 보조 배터리 및 주 배터리 연결 상태에서의 충전을 위한 전원 제어 회로 및 패스 형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설명에 앞서, 상기 주 배터리(141)의 완충 상태는 4.1V 이상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도 7a는 주 배터리 전원이 4.1V 이상으로 완충된 상태에서 충전을 위한 전원 제어 회로 패스 형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7a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주 배터리 전원(VBATT)이 일정 전압 예를 들면 4.1V 이상인 경우, 상기 전원 제어 신호(FET_CTRL)를 "Low" 신호로 공급하여, 상기 제1 스위치(142)를 활성화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전원 제어 회로는 상기 보조 배터리(143), 제1 스위치(142), 제1 노드(N1), 커넥터(148)와 TC(149)를 포함하는 제4 패스(Path_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TC(149)에 의하여 충전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충전전원은 상기 제4 패스(Path_4)를 따라 상기 보조 배터리(143)를 충전시킬 수 있다.
도 7b는 주 배터리 전원이 4.1V 미만인 경우, 주 배터리(141) 및 보조 배터리(143)의 충전을 위한 전원 제어 회로 패스 형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주 배터리(141)가 4.1V 이하이며, TC(149)가 연결되어 충전 전원을 공급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충전전원을 상기 주 배터리(141)에 전달하여 상기 주 배터리(141)를 충전시킨다. 이때,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비교기(147)에 공급되는 전원 제어 신호(FET_CTRL)를 "High" 신호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제1 스위치(142)를 비활성화 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주 배터리(141)를 제5 패스(Path_5)를 이용하여 상기 보조 배터리(143) 보다 먼저 충전 시킨 이후, 도 7a에 설명한 바와 같이 제4 패스(Path_4)를 통하여 보조 배터리(143)를 충전시키도록 제어함으로써, 순차적으로 충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비교기(147)에 공급되는 전원 제어 신호(FET_CTRL)를 "Low"신호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제1 스위치(142)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보조 배터리(143), 제1 스위치(142), 제1 노드(N1), 커넥터(148) 및 TC(149)를 포함하는 제4 패스(Path_4)와, 상기 주 배터리(141), 제1 노드(N1), 커넥터(148) 및 TC(149)를 포함하는 제5 패스(Path_5)를 모두 형성한 후, 상기 충전전원을 상기 제4 패스(Path_4) 및 제5 패스(Path_5)를 통하여 주 배터리(141) 및 보조 배터리(143)를 동시에 충전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원부는 주 배터리(141) 및 보조 배터리(143)가 연결된 상태에서, 전원이 턴-오프 되면, 상기 보조 배터리 전원(S_BATT)이 상기 주 배터리 전원(VBATT)보다 클 경우, 상기 보조 배터리 전원(S_BATT)이 상기 주 배터리(141) 전원을 충전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전원이 턴-오프 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 배터리 전원(S_BATT)은 상기 제1 스위치(142)의 드레인 단자에 공급되며, 상기 비교기(147) 출력은 상기 제1 스위치(142)의 게이트 단자에 공급된다. 이때, 상기 보조 배터리 전원(S_BATT)이 상기 비교기(147) 출력보다 클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스위치(142)에는 기생 전류에 의한 전기적 통로가 형성되어 상기 보조 배터리 전원(S_BATT)이 상기 제1 스위치(142)를 통하여 제1 노드(N1)에 전달된다. 이후, 상기 보조 배터리(143) 전원은 상기 주 배터리(141)를 충전함으로써, 상기 보조 배터리 전원(S_BATT)과 상기 주 배터리 전원(VBATT)은 동일한 전압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 주 배터리(141)가 상기 보조 배터리(143) 보다 높은 전원을 가지는 경우, 상기 제1 스위치(142)는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상기 보조 배터리(143)와 상기 주 배터리(141) 간의 통로가 차단되어, 상기 주 배터리 전원(VBATT)이 상기 보조 배터리(143)를 역 충전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위치들은 고전압(High)이 공급되면 비활성화되는 P-Channel MOSFET와, 저전압이 공급되면 비활성화되는 N-Channel MOSFET를 이용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상기 각 타입은 설계자의 의도 및 전원 제어 회로의 특성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고전압은 저전압으로, 상기 저전압은 고전압으로 대체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배터리 용량을 표시하는 표시부의 일예를 나타낸 화면 예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원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와 실제 회로도,
도 4는 주 배터리만 장착되는 경우 전원 출력 흐름 및 충전 전원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보조 배터리만 장착되는 경우 전원 출력 흐름 및 충전 전원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6a 및 도 6b는 주 배터리 및 보조 배터리가 장착된 상태에서 각 배터리 용량에 따른 전원 출력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7a 및 도 7b는 주 배터리 및 보조 배터리가 장착된 상태에서 각 배터리 용량에 따른 충전 전원 흐름을 나타낸 도면.

Claims (31)

  1. 주 배터리와 보조 배터리가 탈착될 수 있는 전원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전원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 배터리와 상기 보조 배터리 접속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
    상기 배터리 접속 여부와, 상기 주 배터리 및 상기 보조 배터리의 전원 크기에 따라, 각기 다른 전원 공급 패스를 형성하는 과정; 및
    상기 형성된 패스를 통하여 상기 주 배터리 전원, 상기 보조 배터리 전원 및 상기 주 배터리 전원과 상기 보조 배터리 전원이 통합된 통합 전원 중 어느 하나의 전원을 출력부로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의 배터리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의 전원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 배터리와 상기 보조 배터리가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접속되고, 상기 주 배터리 전원이 상기 보조 배터리 전원보다 큰 경우,
    상기 전원 공급 패스 형성과정은
    상기 주 배터리 및 상기 출력부를 연결하는 제1 패스를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출력 과정은
    상기 제1 패스를 이용하여 상기 주 배터리 전원을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의 배터리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의 전원 제어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 배터리 전원 출력에 의하여 상기 주 배터리 전원이 상기 보조 배터리 전원 이하로 변하는 경우,
    상기 전원 공급 패스를 형성하는 과정은
    상기 주 배터리 및 상기 출력부를 연결하는 패스와 상기 보조 배터리 및 상기 출력부를 연결하는 패스를 통합한 제2 패스를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출력 과정은
    상기 제2 패스를 이용하여 상기 통합 전원을 출력부로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의 배터리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의 전원 제어 방법.
  4. 주 배터리와 보조 배터리가 탈착될 수 있는 전원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전원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 배터리와 상기 보조 배터리가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접속되고, 상기 보조 배터리 전원의 크기가 상기 주 배터리 전원 이상이며,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전원이 턴-오프 된 경우,
    상기 보조 배터리와 상기 주 배터리를 연결하는 패스를 형성하는 과정; 및
    상기 보조 배터리 전원이 상기 패스를 이용하여 상기 주 배터리 전원과 동일 한 크기가 되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의 배터리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의 전원 제어 방법.
  5. 주 배터리와 보조 배터리가 탈착될 수 있는 전원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전원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 배터리와 보조 배터리가 휴대 단말기에 접속되고, 상기 보조 배터리 전원이 상기 주 배터리 전원 미만이며,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전원이 턴-오프 된 경우,
    상기 보조 배터리 전원과 상기 주 배터리 전원의 전기적 통로를 차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의 배터리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의 전원 제어 방법.
  6. 주 배터리와 보조 배터리가 탈착될 수 있는 전원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전원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 배터리와 상기 보조 배터리가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접속되고, 상기 주 배터리와 상기 보조 배터리 충전을 위한 충전 전원이 공급되며, 상기 주 배터리 전원이 기 설정된 일정 전압 이상인 경우,
    상기 보조 배터리와 상기 충전 전원 간의 패스를 형성하는 과정; 및
    상기 패스를 이용하여 상기 충전 전원을 상기 보조 배터리에 공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의 배터리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의 전원 제 어 방법.
  7. 주 배터리와 보조 배터리가 탈착될 수 있는 전원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전원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 배터리와 상기 보조 배터리가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접속되고, 상기 주 배터리와 상기 보조 배터리 충전을 위한 충전 전원이 공급되며, 상기 주 배터리 전원이 기 설정된 일정 전압 미만인 경우,
    상기 주 배터리와 상기 충전 전원 사이에 패스를 형성하는 과정;
    상기 패스를 이용하여 상기 주 배터리를 충전하는 과정; 및
    상기 주 배터리가 상기 일정 전압 이상으로 충전된 경우, 상기 보조 배터리를 충전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의 배터리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의 전원 제어 방법.
  8. 주 배터리와 보조 배터리가 탈착될 수 있는 전원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전원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 배터리와 상기 보조 배터리가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접속되고, 상기 주 배터리와 상기 보조 배터리 충전을 위한 충전 전원이 공급되며, 상기 주 배터리 전원이 기 설정된 일정 전압 미만인 경우,
    상기 충전 전원과 상기 보조 배터리 간의 패스 및 상기 충전 전원과 상기 주 배터리 간의 패스를 동시에 형성하는 과정; 및
    상기 패스들을 이용하여 상기 주 배터리와 상기 보조 배터리를 동시에 충전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의 배터리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의 전원 제어 방법.
  9. 주 배터리와 보조 배터리가 탈착될 수 있는 전원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 배터리와 상기 보조 배터리를 연결하는 스위치;
    상기 주 배터리 및 상기 보조 배터리 중 적어도 하나의 전원 출력을 위하여 상기 스위치에 전원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 및
    상기 비교기 출력에 따라 상기 주 배터리 전원, 상기 보조 배터리 전원, 상기 주 배터리 전원 및 상기 보조 배터리 전원을 통합한 통합 전원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주 배터리와 상기 스위치 사이의 제1 노드;
    상기 제1 노드에 접속되는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에 접속되어 충전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주 배터리와 보조 배터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비교기 출력에 따라 활성화되는 제1 스위치;
    상기 제1 스위치와 상기 출력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 활성화 제어를 위한 제3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비교기 출력이 제1 전압일 경우, 상기 주 배터리 전원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비교기 출력이 제2 전압이며, 상기 주 배터리 전원이 상기 보조 배터리 전원보다 큰 경우, 상기 주 배터리 전원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비교기 출력이 제2 전압이며, 상기 주 배터리 전원이 상기 보조 배터리 전원 이하인 경우, 상기 통합 전원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 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주 배터리 및 상기 보조 배터리가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 배터리 전원이 상기 주 배터리 전원보다 크고 전원 출력이 없는 경우,
    상기 보조 배터리는 상기 주 배터리를 충전시켜 동일한 크기의 전원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 장치.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주 배터리 및 상기 보조 배터리가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 배터리 전원이 상기 주 배터리 전원보다 작고, 전원 출력이 없는 경우,
    상기 주 배터리와 상기 보조 배터리는 각각 고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 장치.
  17. 주 배터리와 보조 배터리가 탈착될 수 있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주 배터리와 상기 보조 배터리 사이에 배치되는 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주 배터리 전원이 상기 보조 배터리 전원보다 큰 경우 상기 주 배터리 전원을 독립적으로 출력하고, 상기 주 배터리 전원이 상기 보조 배터리 전원 이하인 경우 상기 주 배터리 전원과 보조 배터리 전원을 통합한 통합 전원을 출력하는 전원부; 및
    상기 스위치 제어를 위한 전원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상기 주 배터리와 상기 보조 배터리를 연결하는 스위치;
    상기 주 배터리 및 상기 보조 배터리 중 적어도 하나의 전원 출력을 위하여 상기 스위치에 전원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 및
    상기 비교기 출력에 따라 상기 주 배터리 전원, 상기 보조 배터리 전원, 상기 주 배터리 전원 및 상기 보조 배터리 전원을 통합한 통합 전원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상기 주 배터리와 상기 보조 배터리를 연결하는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에 전원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주 배터리 및 상기 보조 배터리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비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주 배터리와 상기 보조 배터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비교기 출력에 따라 활성화되는 제1 스위치;
    상기 제1 스위치와 상기 출력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스위치; 및
    전원 신호, 전원 유지 신호 및 테스트 전압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여 상기 제2 스위치의 활성화를 제어하는 제3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고전압 또는 저전압 중 어느 하나를 형성하여 상기 비교기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주 배터리와 상기 보조 배터리 사이에 접속되는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에 접속되어 충전전원을 공급하는 충전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 배터리 전원이 기 설정된 일정 전압 미만인 경우, 상기 주 배터리 전원을 우선하여 충전시키고, 상기 주 배터리가 완충되면, 상기 보조 배터리를 충전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 배터리 전원이 기 설정된 일정 전압 미만인 경우, 상기 충전 수단과 상기 주 배터리 및 상기 보조 배터리를 동시에 연결하는 패스를 형성하고, 상기 패스를 통하여 상기 주 배터리 및 상기 보조 배터리를 동시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 배터리 전원이 기 설정된 일정 전압 이상인 경우, 상기 충전 수단과 보조 배터리를 연결하는 패스를 형성하고 상기 보조 배터리를 충전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7.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주 배터리 전원, 상기 보조 배터리 전원, 상기 주 배터리 전원 및 상기 보조 배터리 전원을 통합한 통합 전원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주 배터리 전원이 상기 보조 배터리 전원 이하인 경우, 상기 주 배터리 전원과 상기 보조 배터리 전원이 통합된 통합 전원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주 배터리 전원이 상기 보조 배터리 전원보다 큰 경우,
    상기 주 배터리 전원, 상기 보조 배터리 전원 각각을 별도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 배터리 전원이 상기 주 배터리 전원보다 큰 상태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전원이 턴-오프 되면, 상기 보조 배터리 전원을 상기 주 배터리 전원에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 배터리 전원이 상기 주 배터리 전원보다 작은 상태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전원이 턴-오프 되면, 상기 보조 배터리와 상기 주 배터리를 서로 고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070085435A 2007-08-24 2007-08-24 복수개의 배터리를 제어하는 전원 제어 및 공급 전원의 표시 방법과 장치,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KR1014560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5435A KR101456072B1 (ko) 2007-08-24 2007-08-24 복수개의 배터리를 제어하는 전원 제어 및 공급 전원의 표시 방법과 장치,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US12/168,605 US7919885B2 (en) 2007-08-24 2008-07-07 Method of controlling battery power, power control apparatus, and portable device using the same
CN2008101456035A CN101373901B (zh) 2007-08-24 2008-08-05 电池电源控制方法和设备以及使用该设备的便携式装置
US12/979,007 US20110089764A1 (en) 2007-08-24 2010-12-27 Method of controlling battery power, power control apparatus, and portable devic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5435A KR101456072B1 (ko) 2007-08-24 2007-08-24 복수개의 배터리를 제어하는 전원 제어 및 공급 전원의 표시 방법과 장치,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0837A true KR20090020837A (ko) 2009-02-27
KR101456072B1 KR101456072B1 (ko) 2014-11-03

Family

ID=40381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5435A KR101456072B1 (ko) 2007-08-24 2007-08-24 복수개의 배터리를 제어하는 전원 제어 및 공급 전원의 표시 방법과 장치,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7919885B2 (ko)
KR (1) KR101456072B1 (ko)
CN (1) CN101373901B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4618A (ko) * 2009-07-08 2011-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KR101050332B1 (ko) * 2010-10-05 2011-07-19 유정석 휴대폰 배터리 장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폰 사용 방법
WO2012173406A2 (en) * 2011-06-14 2012-1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replacing a battery in a portable terminal
KR101340660B1 (ko) * 2012-11-27 2013-12-11 기가스톤 코포레이션 개량된 무선 핫스팟 장치
WO2016093591A1 (ko) * 2014-12-08 2016-06-16 주식회사 포인트모바일 Pda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CN107294196A (zh) * 2016-03-31 2017-10-2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数字用户线接入设备的备用储能装置及其控制方法
KR20190008640A (ko) * 2017-07-17 2019-01-25 성창 주식회사 감시용 카메라 장치
US10211652B2 (en) 2015-06-30 2019-02-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multiple batteries and electronic device for implementing same
US10904833B2 (en) 2015-11-17 2021-01-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systems and electronic devic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22059A1 (en) 2008-08-18 2010-02-25 Austin Christopher B Vehicular battery charger, charging system, and method
EP2282494B1 (en) * 2009-07-08 2018-09-05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with multiple batteries
CN102148531A (zh) * 2010-02-10 2011-08-10 西安锐信科技有限公司 一种蓄电池供电方法、装置及系统
JP2011259625A (ja) * 2010-06-09 2011-12-22 Sony Corp 情報処理装置及び電力供給制御方法
JP2012061023A (ja) 2010-09-14 2012-03-29 Angel Playing Cards Co Ltd カード読取り装置およびテーブルゲームシステム
CN102065581A (zh) * 2010-12-28 2011-05-18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视频通话装置及方法
KR101790046B1 (ko) * 2011-07-15 2017-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보조배터리를 이용한 마스터장치의 충전장치 및 방법
KR20130029911A (ko) * 2011-09-16 2013-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파워 오프 제어 장치 및 방법
US20140059360A1 (en) * 2012-08-23 2014-02-27 Lifescan Scotland Limited Power supplies management in an analyte device having primary and secondary batteries
CN102790424A (zh) * 2012-08-30 2012-11-21 东莞宇龙通信科技有限公司 终端和终端供电的控制方法
US9337661B2 (en) 2012-12-27 2016-05-10 Intel Corporation Pow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9048665B2 (en) * 2013-01-04 2015-06-02 Otter Products, Llc Electronic device case
US8844817B2 (en) 2013-01-05 2014-09-30 Otter Products, Llc Electronic device case for mobile point of sale
JP5641381B1 (ja) * 2013-03-14 2014-12-17 一般財団法人マイクロマシンセンター センサ端末
US10008870B2 (en) 2014-03-20 2018-06-26 Otter Products, Llc Powered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9698632B2 (en) 2014-05-09 2017-07-04 Otter Products, Llc Wireless battery charger and charge-receiving device
CN105305520B (zh) * 2014-07-30 2018-08-10 广东高标电子科技有限公司 充电电路和电动车
CN105322625B (zh) * 2014-07-30 2018-07-03 广东高标电子科技有限公司 供电电路和电动车
FR3025664B1 (fr) 2014-09-10 2016-09-16 Continental Automotive France Procede d'aide au demarrage d'un moteur thermique d'un vehicule automobile
CN104283603B (zh) * 2014-10-31 2018-01-09 国家电网公司 Gprs信号的增强设备
US10356230B2 (en) * 2015-03-19 2019-07-16 Joseph Romain Battery replacement techniques and enhancement features for a mobile computing device
US10326488B2 (en) * 2015-04-01 2019-06-18 Otter Products, Llc Electronic device case with inductive coupling features
US10164468B2 (en) 2015-06-16 2018-12-25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cover with wireless charging feature
US9729187B1 (en) 2016-02-01 2017-08-08 Otter Products, Llc Case with electrical multiplexing
CN106627188B (zh) * 2016-03-23 2022-07-08 上海火亮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汽车增程系统
EP3690589A4 (en) 2017-09-27 2021-06-16 Positec Power Tools (Suzhou) Co., Ltd SELF-MOVING DEVICE AND AUTOMATIC WORKING SYSTEM FOR IT
US10958103B2 (en) 2018-08-14 2021-03-23 Otter Products, Llc Stackable battery pack system with wireless charging
CN109149709B (zh) * 2018-09-20 2021-02-1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CN109301911A (zh) * 2018-11-30 2019-02-01 努比亚技术有限公司 充电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200203960A1 (en) * 2018-12-19 2020-06-25 Apple Inc. Charging Technique for Series Cells
USD906958S1 (en) 2019-05-13 2021-01-05 Otter Products, Llc Battery charger
DE102021119020B3 (de) 2021-03-17 2022-06-02 charismaTec OG Versorgungsschaltung und elektronisches Gerät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66006A (en) * 1994-05-12 1997-09-09 Apple Computer, Inc. Circuit offering sequential discharge and simultaneous charge for a multiple battery system and method for charging multiple batteries
US5549984A (en) * 1994-07-25 1996-08-27 Globe-Union Inc. Control and indicator circuit for a dual battery system
JP3733554B2 (ja) * 1994-10-31 2006-01-11 富士通株式会社 バッテリ駆動型電子機器
EP0736828A3 (en) * 1995-04-06 1997-11-12 Seiko Epson Corporation Battery driv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power supply in the apparatus
US5684384A (en) 1995-10-31 1997-11-04 Motorola,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discharging and charging a multiple battery arrangement
KR100536589B1 (ko) * 1999-07-27 2005-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 전원의 전자 장치 및 그의 전원 공급 제어 방법
US6879134B2 (en) 2003-02-11 2005-04-12 O2Micro International Limited Selector circuit for power management in multiple battery systems
CN2663203Y (zh) 2003-10-26 2004-12-15 陈振富 电动车辆备用电源
KR20050079700A (ko) * 2004-02-06 2005-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단말기의 전원 공급 제어 장치
KR100750197B1 (ko) * 2006-06-08 2007-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에서 전원 공급 제어 장치 및 방법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4618A (ko) * 2009-07-08 2011-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KR101050332B1 (ko) * 2010-10-05 2011-07-19 유정석 휴대폰 배터리 장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폰 사용 방법
WO2012173406A2 (en) * 2011-06-14 2012-1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replacing a battery in a portable terminal
WO2012173406A3 (en) * 2011-06-14 2013-03-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replacing a battery in a portable terminal
US8660619B2 (en) 2011-06-14 2014-02-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replacing a battery in a portable terminal
US9519321B2 (en) 2011-06-14 2016-1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replacing a battery in a portable terminal
KR101340660B1 (ko) * 2012-11-27 2013-12-11 기가스톤 코포레이션 개량된 무선 핫스팟 장치
WO2016093591A1 (ko) * 2014-12-08 2016-06-16 주식회사 포인트모바일 Pda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US10063023B2 (en) 2014-12-08 2018-08-28 Pointmobile Co., Ltd. PDA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for
US10211652B2 (en) 2015-06-30 2019-02-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multiple batteries and electronic device for implementing same
US10904833B2 (en) 2015-11-17 2021-01-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systems and electronic devices
US11510144B2 (en) 2015-11-17 2022-1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systems and electronic devices
US11844019B2 (en) 2015-11-17 2023-12-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systems and electronic devices
CN107294196A (zh) * 2016-03-31 2017-10-2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数字用户线接入设备的备用储能装置及其控制方法
CN107294196B (zh) * 2016-03-31 2022-04-1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数字用户线接入设备的备用储能装置及其控制方法
KR20190008640A (ko) * 2017-07-17 2019-01-25 성창 주식회사 감시용 카메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73901A (zh) 2009-02-25
US20090051223A1 (en) 2009-02-26
KR101456072B1 (ko) 2014-11-03
CN101373901B (zh) 2012-07-18
US7919885B2 (en) 2011-04-05
US20110089764A1 (en) 2011-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20837A (ko) 복수개의 배터리를 제어하는 전원 제어 방법 및 전원 제어장치,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KR101843983B1 (ko) 휴대 단말기에서 배터리를 교체하는 장치 및 방법
US11923705B2 (en) Battery control system and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KR101568176B1 (ko) 휴대단말기의 이어폰 인식 방법 및 장치
KR100750197B1 (ko) 휴대 단말기에서 전원 공급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792183B1 (ko)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시스템
KR20100034229A (ko) 이어폰 회로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운용방법
US8335870B2 (en) Method of controlling mobile terminal on external device basis and external device operating system using the same
KR101790042B1 (ko) 이어폰 시스템과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를 기반으로 하는 이어폰 운용 방법
US8335549B2 (en) Method for power management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is method
KR20120110935A (ko) 휴대단말기의 무선 충전 방법 및 시스템
KR20100072857A (ko) 휴대 단말기의 인터럽트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
KR20090049154A (ko) 다수개의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통합 통신 모듈 및 제어방법
US20060025105A1 (en) Terminal and standby operation control method
KR101591274B1 (ko) 휴대단말기의 이어폰 노이즈 제거 방법 및 장치
US8930069B2 (en) In-vehicle system removing a freeze state of car navigation equipment
US8249584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controllers
JP2013138405A (ja) 携帯機器および車載システム
KR100624799B1 (ko) 최소전력모드 구동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동작방법
KR101671022B1 (ko) 다중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JP2000253593A (ja) 携帯型無線電話装置とその電源制御方法
KR20030051008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 소모 시 긴급통화 설정방법
KR20050070542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전원 제어 방법
KR101409757B1 (ko) 휴대 단말기의 안정화 장치 및 안정화 방법
JP2000134146A (ja) 携帯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