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5014B1 - 건설기계용 운전실 - Google Patents

건설기계용 운전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5014B1
KR100665014B1 KR1020000073177A KR20000073177A KR100665014B1 KR 100665014 B1 KR100665014 B1 KR 100665014B1 KR 1020000073177 A KR1020000073177 A KR 1020000073177A KR 20000073177 A KR20000073177 A KR 20000073177A KR 100665014 B1 KR100665014 B1 KR 1006650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lower
lower window
cab
window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3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2121A (ko
Inventor
소고마사노리
사카이순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10062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21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5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50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02F9/16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movable, tiltable or pivoting, e.g. movable seats, dampening arrangements of cab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02F9/163Structures to protect drivers, e.g. cabins, doors for cabins; Falling object protection structure [FOPS]; Roll over protection structure [R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분리한 전방하부창을 측벽에 대향시켜 유지하는 동시에, 측벽과 유지시킨 전방하부창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실내에 배치된 장비품의 사용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건설기계용 운전실을 제공한다.
운전석(2)의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상부창(8)과, 이 전방상부창(8)의 하방에 위치하는 동시에, 착탈가능하게 배치되는 전방하부창(9)을 보유하고, 또한 수평단면이 외측으로 만곡한 측벽내면(6s)을 보유하는 건설기계용 운전실에 있어서, 분리한 전방하부창(9)을 만곡한 측벽내면(6s)에 대향시켜 유지하는 유지수단(19, 20, 21)을 구비하고, 유지된 전방하부창(9)과 이것에 대향하는 측벽내면(6s)사이에 형성된 공간(V)을 매거진랙(18) 등의 물품수납공간으로서 사용한다.

Description

건설기계용 운전실{CABIN FOR CONSTRUCTION MACHINERY}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수평단면도이다.
도 2는 운전실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운전실의 좌측면도이다.
도 4는 장착된 전방하부창의 하단부부근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절단면선V-V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6은 전방하부창의 분리작업을 설명하기 위한 좌측면도이다.
도 7의 (a)는 도 4의 절단면선A-A에서 본 단면도이고, (b)는 도 4의 절단면선B-B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8은 전방하부창의 유지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의 (a)는 전방하부창의 유지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b)는 배면도이다.
도 10은 로크수단의 구성을 나타내며, (a)는 평면도이고, (b)는 정면도이고, (c)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2의 (a)는 도 11의 유지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b)는 배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운전실 2-----운전석
4-----본체 5-----슬라이드도어
5b----둘레가장자리부 6-----측벽
6a----둘레가장자리부 6s----내면
7-----도어용 개구 8-----전방상부창
9-----전방하부창 18-----매거진랙
19----브래킷 20----브래킷
20b---안내부 21----로크수단
V-----물품수납공간
본 발명은 유압셔블 등의 건설기계에 이용되는 건설기계용 운전실에 관한 것이다.
건설기계인 유압셔블은 주행체와, 주행체의 상부에 수직축둘레로 선회가능하게 배치되는 선회체와, 선회체에 수평축둘레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붐과, 붐의 선단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암과, 암의 선단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버킷을 구비하고 있다. 또, 상기 선회체에는 운전실이 설치되어 있고, 이 운전실내에는 운전석이 설치되어 있다. 작업자는 상기 운전석에 착석하여 조작레버나 조작페달 등을 조작해서 상기 주행체의 주행동작, 상기 선회체의 선회동작, 상기 붐, 암 및 버킷의 회전동작 등을 제어하면서 굴삭, 운반 등의 소정의 작업을 실행한다.
상기 유압셔블에 의한 작업을 행할 때, 작업자는 주위를 살펴볼 필요가 있으므로, 상기 운전실에는 복수개의 창이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운전석의 전방의 상방위치에 전방상부창, 전방상부창의 하방에 전방하부창, 운전석의 후방의 상방위치에 후방부창, 운전석의 우측 상방위치에 우측부창, 운전석의 좌측 상방위치에 좌측부창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창은 일반적으로 투명한 유리로 구성되고, 용도에 따라 고정적이고 약간은 개폐가능하게 또는 착탈가능하게 배치된다.
또, 운전실의 좌측벽에는 출입구가 되는 개구가 형성되는 동시에, 이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가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좌측부창은 일반적으로 상기 도어에 설치된 좌측부 전방부창과, 상기 개구의 후방에 설치된 좌측부 후방부창으로 분할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유압셔블에서 예를 들면 굴삭작업을 행할 때에, 운전실에 가까운 장소의 토사를 굴삭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작업자는 전방하부창을 통해 작업장소를 보게 되지만, 전방하부창은 다른 창에 비해 지면가까이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토사 등이 부착하기 쉬워 양호한 시계가 얻어지지 않는 일이 많고, 작업효율이나 작업정밀도의 저하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전방하부창을 착탈가능하게 배치하여 운전실에 가까운 장소의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는 전방하부창을 해체해서 양호한 시계를 확보한 상태에서 소정 작업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방하부창을 분리해서 작업을 행하는 경우, 분리한 전방 하부창을 운전실내의 소정의 장소에 유지할 필요가 있다. 종래에는 운전석의 후방측에 유지하도록 구성했지만, 최근에는 운전실의 소형화 및 운전실안의 장비품의 증가 등에 의해 운전석의 후방측에 유지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곤란해지고 있다.
그래서, 후방부창과 겹치도록 전방하부창을 배치해서 유지하도록 구성한 운전실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운전실에서는 운전실안에서 작업자가 섰을 때의 머리부근방의 위치에 전방하부창을 유지하는 브래킷 등이 돌기물로서 존재하고 있으므로 위험하다고는 할 수 없어도 작업자에게 심리적인 압박감을 주는 경향이 있고, 운전실내의 쾌적성을 손상하게 된다. 또, 후방부창은 예를 들면 굴삭작업중에 토사붕괴 등에 의해 도어가 열리지 않게 되었을 때에 긴급탈출용으로서 이용하는 경우가 있지만, 그 후방부창과 겹치도록 전방하부창을 배치해서 유지한 것에서는 후방부창을 전방하부창으로 막게 되게 되므로, 후방부창을 긴급탈출용으로서 이용하는데에 지장을 줄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운전실의 측벽측에 전방하부창을 배치해서 유지하는 구성이 제안되고 있다.
그런데, 최근에는 수평단면이 외측으로 원호상으로 만곡한 측벽을 갖는 운전실이 보급되고 있다. 측벽을 만곡시킨 것은 외주형상이 원형인 선회체에 설치했을 때에 선회체의 외주로부터 운전실의 외주가 돌출하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운전실내의 공간용적을 최대한 크게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운전실의 측벽측에 전방하부창을 배치해서 유지하도록 구성한 경우, 전방하부창을 유지하기 위한 유지공간을 미리 확보할 필요가 있고, 유지된 전방하부창에 대향하는 측벽부분에는 장비품 등을 배치할 수 없게 되므로, 데드스페이스가 존재해 버리는 문제가 있다. 특히, 측 벽이 만곡하고 있는 것만큼, 평면상의 전방하부창에 의해 덮여지는 측벽부분의 전후방향의 길이는 측벽이 평면상인 경우에 비해 길어지고, 데드스페이스가 커지게 된다. 이 데드스페이스의 존재는 소형화된 운전실내에 수많은 장비품을 배치한다라는 요구를 달성함에 있어서 큰 장해가 되고 있다. 왜냐하면, 좁은 공간에 수많은 장비품을 강인하게 배치하면 장치품의 사용성이 저하하고, 또 운전실의 쾌적성을 손상하게도 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분리한 전방하부창을 측벽에 대향시켜 유지하는 동시에, 측벽과 유지된 전방하부창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실내에 배치된 장비품의 사용성을 향상하는 동시에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건설기계용 운전실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그래서 청구항 1의 건설기계용 운전실은 운전석(2)의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상부창(8)과, 이 전방상부창(8)의 하방에 위치하는 동시에 착탈가능하게 배치되는 전방하부창(9)을 보유하고, 또한 수평단면이 외측으로 만곡한 측벽내면(6s)을 보유하는 건설기계용 운전실에 있어서, 분리한 상기 전방하부창(9)을 상기 만곡한 측벽내면(6s)에 대향시켜 유지하는 유지수단(19, 20, 21)을 구비하고, 유지된 상기 전방하부창(9)과 이 전방하부창(9)에 대향하는 측벽내면(6s)사이에 형성된 공간(V)을 매거진랙(18) 등의 물품수납공간으로서 사용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청구항 1의 건설기계용 운전실에서는, 분리한 전방하부창(9)은 유지수단(19, 20, 21)에 의해 만곡한 측벽내면(6s)에 대향한 상태로 유지된다. 이때, 측벽내면(6s)이 외측으로 만곡하고 있으므로, 전방하부창(9)과 측벽내면(6s)사이에는 외측으로 만곡하는 동시에 중앙부분의 폭이 가장 넓어지는 공간(V)이 형성된다. 이 공간(V)은 안쪽은 전방하부창(9)에 의해 구획되어 있지만, 상방측은 개방되어 있으므로, 이 공간(V)에 예를 들면 매거진랙(18)을 배치해서 상하방향으로 매거진을 반입반출하도록 하면, 종래는 데드스페이스였던 공간(V)을 물품수납공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청구항 1의 건설기계용 운전실에 의하면, 종래는 데드스페이스였던 공간(V)을 물품수납공간으로서 이용하고 있으므로, 종래는 물품수납공간을 위해 사용하고 있던 측벽부분을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측벽(6)에 장비품을 배치할 때의 자유도가 커지고, 작업자가 사용하기 쉬운 위치에 장비품을 배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실내에 배치된 장비품의 사용성이 향상하고, 이것에 따라 운전실내의 쾌적성도 향상한다.
또 청구항 2의 건설기계용 운전실은 수평단면이 외측으로 만곡한 측벽(6)에 개구(7)를 형성하는 동시에, 이 개구(7)를 개폐하는 슬라이드도어(5)를 상기 측벽(6)의 외면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하고, 또한 상기 슬라이드도어(5)가 폐쇄위치에서는 운전실안쪽으로 끌어넣어져서 수납되도록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개구(7)에 면하는 측벽둘레가장자리부(6a)를 운전실안쪽으로 오목하게 해서 상기 폐쇄위치에서의 슬라이드도어(5)의 둘레가장자리부(5b)에 겹치도록 형성하고, 상기 유지수단(19, 20, 21)은 분리한 상기 전방하부창(9)을 상기 개구(7)의 전 방측 또는 후방측에 유지하는 동시에 상기 전방하부창(9)의 상기 개구(7)측의 둘레가장자리부가 상기 측벽둘레가장자리부(6a)근방에 위치하도록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청구항 2의 건설기계용 운전실에서는 분리한 전방하부창(9)은 슬라이드도어(5)가 장착되는 개구(7)의 전방측 또는 후방측에서 상기 개구(7)측의 둘레가장자리부가 상기 개구(7)에 면하는 측벽둘레가장자리부(6a)의 근방에 위치하도록 유지된다. 이때, 상기 측벽둘레가장자리부(6a)는 운전실안쪽으로 오목하게 되어 있고, 이 상태는 측벽(6)이 둘레가장자리부(6a)근방에서 안쪽으로 크게 절곡된 상태이다. 따라서 전방하부창(9)과 측벽내면(6s)사이에 형성된 공간(V)은 수평단면이 대략 삼각형이고, 상기 개구(7)측의 폭이 가장 크게 된다. 그리고, 이 공간(V)은 단지 만곡면에 전방하부창(9)을 대향시켜 배치한 경우보다 큰 폭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이 청구항 2의 건설기계용 운전실에 의하면, 물품수납공간(V)을 크게 확보할 수 있으므로, 보다 많은 물품 또는 큰 물품을 수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청구항 3의 건설기계용 운전실은, 상기 유지수단은 상기 전방하부창(9)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브래킷(19, 20)과, 상기 전방하부창(9)의 움직임을 구속하는 로크수단(21)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청구항 3의 건설기계용 운전실에서는, 유지된 전방하부창(9)은 그 하단부가 브래킷(19, 20)에 의해 지지되어 상단부의 높이가 규제되고, 또 로크수단(21)에 의해 그 움직임이 구속된다. 이렇게 청구항 3의 건설기계용 운전실에 의하면 전방하부창(9)은 측벽(6)에 대해서 일정한 높이로 유지되고, 또한 그 움직임이 구속 되므로 건설기계의 주행시나 작업시에 있어서도 이동이나 진동하는 일없이 견고하게 전방하부창(9)을 유지할 수 있다.
청구항 4의 건설기계용 운전실은 상기 유지수단은 상기 전방하부창(9)을 유지위치까지 안내하는 안내수단(20b)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4의 건설기계용 운전실에서는 전방하부창(9)은 안내수단(20b)에 의해 소정의 유지위치까지 안내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유리로 형성되고, 비교적 중량이 큰 전방하부창(9)을 용이하게 유지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고, 작업자의 부담이 줄어들게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건설기계용 운전실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수평단면도이고, 도 2는 건설기계용 운전실(이하, 간단히 운전실이라고 함)(1)의 정면도이고, 도 3은 운전실(1)의 좌측면도이다.
운전실(1)은 건설기계인 예를 들면 유압셔블에 설치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압셔블은 주행체와, 주행체의 상부에 수직축둘레로 선회가능하게 배치되는 선회체와, 선회체에 수평축둘레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붐과, 붐의 선단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암과, 암의 선단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버킷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운전실(1)은 상기 선회체에 설치된다.
운전실(1)안에는 운전석(2)이 설치되어 있다. 작업자(3)는 운전석(2)에 착석하여 조작레버나 조작페달 등을 조작해서 상기 주행체의 주행동작, 상기 선회체의 선회동작, 상기 붐, 암 및 버킷의 회전동작 등을 제어하면서 굴삭, 운반 등의 소정 의 작업을 실행한다.
운전실(1)은 대략 상자형의 본체(4)와, 슬라이드도어(5)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4)에는 운전석(2)에 착석한 작업자(3)쪽에서 봐서 좌측의 측벽(이하, 좌측벽이라함)(6)에 그 앞가장자리측에서부터 전후방향의 대략 중간위치까지 넓어지는 도어용 개구(7)가 작업자(3)의 출입구로서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도어(5)는 도어용 개구(7)를 폐쇄하는 폐쇄위치와 개방하는 개방위치사이를 좌측벽(6)의 외면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본체(4)에 장착된다. 또, 슬라이드도어(5)의 전단측에는 이 슬라이드도어(5)를 개폐하기 위한 손잡이(5a)가 설치되어 있다.
본체(4)의 좌측벽(6)은 이 본체(4)가 적재되는 원형의 선회체(도시생략)의 외주면에 맞춰져 수평단면이 대략 원호상으로 되도록 외측으로 만곡해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본체(4)의 공간용적이 매우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도어(5)는 폐쇄위치에서는 도 1에 실선으로 나타내듯이 그 외면이 좌측벽(6)의 외면과 동일면을 형성하도록 유지된다. 또, 슬라이드도어(5)를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까지 슬라이드시킬 때에는 슬라이드개시초기에 폐쇄위치에서 외방으로 뻗치는 방향으로 이동한 후, 좌측벽(6)보다 외측의 원호상의 이동궤적을 따라 도 1에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개방위치까지 후방으로 슬라이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어용 개구(7)에 면하는 좌측벽(6)의 둘레가장자리부(6a)는 운전실(1)안쪽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절곡되어 폐쇄위치에서의 슬라이드도어(5)의 둘레가장자리부(5b)에 겹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유압셔블에 의한 작업을 행할 때에 작업자(3)는 주위를 살펴볼 필요가 있으므로, 운전실(1)에는 복수개의 창이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운전석(2)의 전방의 상방위치에 전방상부창(8), 전방상부창(8)의 아래쪽에 전방하부창(9), 운전석(2)의 후방의 상방위치에 후방부창(도시생략), 운전석(2)의 우측상방위치에 우측부창(10), 운전석(2)의 좌측위치에 좌측부창(11a, 11b, 11c)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창은 투명한 유리로 구성되고, 본체(4)에 형성된 창용 개구에 그 용도에 따라 고정적 또는 개폐가능 또는 착탈가능하게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방하부창(9)은 착탈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것은, 전방하부창(9)은 다른 창에 비해 지면가까이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토사 등이 부착하기 쉽고, 양호한 시계가 얻어지지 않는 일이 많고, 운전실(1)에 가까운 장소의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 작업효율이나 작업정밀도의 저하를 초래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운전실(1)에 가까운 장소의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는, 전방하부창(9)을 떼어내서 양호한 시계를 확보한 상태에서 원하는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 전방상부창(8)은 개폐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것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방하부창(9)을 작업자(3)가 외측에서 분리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은 후방부창도 개폐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것은 예를 들면 굴삭작업중에 토사붕괴 등에 의해 슬라이드도어(5)가 열리지 않게 되었을 때에 긴급탈출용으로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 우측부창(10)은 개폐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한편, 좌측부창(11a, 11b, 11c)는 고정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 본체(4)의 좌측벽(6)에는 도어용 개구(7)가 형성되는 동시에, 이 도어용 개구(7)를 개폐하는 슬라이드도어(5)가 장착되어 있으 므로, 좌측부창은 슬라이드도어(5)의 상측에 배치된 좌측부 전방상부창(11a)과, 이 좌측부 전방상부창(11a)의 하측에 배치된 좌측부 전방하부창(11b)과, 도어용 개구(7)의 후방에 배치된 좌측부 후방부창(11c)으로 분할해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착탈가능하게 배치된 전방하부창(9)을 떼어냈을 때에, 분리된 전방하부창(9)을 외측으로 만곡한 좌측벽(6)의 내면(6s)에 대향시켜 유지하고, 유지된 전방하부창(9)과 이것에 대향하는 좌측벽(6)의 내면(6s)사이에 형성된 공간(V)을 물품수납공간으로서 사용하도록 한 것이다.
먼저, 전방하부창(9)의 착탈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장착된 전방하부창(9)의 하단부근방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절단면선 V-V측에서 본 단면도이다. 전방하부창(9)은 통상시에는 도 2 및 도 4에 나타내듯이 전방상부창(8)의 하측에 형성된 전방하부창용 개구(12)에 장착되어 있다. 전방하부창용 개구(12)에 면하는 전방부벽(13)의 둘레가장자리부(13a)에는 도 5에 나타내듯이 대략 U자상의 창프레임(14)이 설치되어 있다. 창프레임(14)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 외측 기립부(14a)와 내측 기립부(14b)를 갖고, 이들 기립부(14a, 14b)에는 각각 연질고무 등의 탄성체로 형성된 시일부재(15a, 15b)가 부착되어 있다. 전방하부창(9)은 그 둘레가장자리부가 한 쌍의 기립부(14a, 14b)사이에 끼워지는 동시에 한 쌍의 시일부재(15a, 15b)에 의해 밀착되어 장착되어 있다.
단, 한 쌍의 기립부(14a, 14b)는 전방하부창용 개구(12)의 좌우양측에만 형성되어 있고, 상단 및 하단에는 한 쪽만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단측에서는 내측기립부(14b)는 형성되어 있지 않고, 외측기립부(14a)와 외측시일부재(15a)만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하단측에서는 외측기립부(14a)는 형성되어 있지 않고, 내측기립부(14b)와 내측시일부재(15b)만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도 6에 나타내듯이 작업자(3)가 외측에서 손을 뻗어 전방하부창(9)을 윗쪽으로 들어올리면 전방하부창(9)은 창프레임(14)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된다.
그런데, 전방하부창(9)의 하단부는 창프레임(14)의 바닥부(14c)에 설치된 받침부(16, 16)에 접촉해서 지지된다. 이것에 의해 전방하부창(9)의 하단부와 창프레임(14)의 바닥부(14c)사이에는 일정한 간극(W1)이 형성된다.(도 7의 (a)참조). 따라서, 작업자(3)는 이 간극(W1)에 손가락(3a)을 끼워넣어 전방하부창(9)을 들어올릴 수 있다. 단, 간극(W1)을 크게 하면, 작업자(3)로서는 전방하부창(9)을 들어올리기 쉬워지지만, 외부로부터 토사 등의 이물질이 침입하기 쉬워지므로, 너무 크게 할 수는 없고, 10mm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여기에서, 전방하부창(9)의 하단부의 대략 중앙부에 직사각형상의 파지용 노치(이하, 간단히 노치라고 함)(17)를 형성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노치(17)의 바닥부와 창프레임(14)의 바닥부(14c)사이의 간극(W2)의 길이는 간극(W1)의 길이보다 크게 되므로, 작업자(3)가 손가락(3a)을 끼워넣기 쉬워지고(도 7의 (b)참조), 그 결과, 전방하부창(9)을 들어올리기 쉬워진다. 노치(17)의 깊이는 약 15mm이고, 따라서 전방하부창(9)과 창프레임(14)사이의 간극(W2)의 길이는 약 25mm로 된다. 이 길이25mm는 사람이 손가락을 끼워넣기 쉬운 길이로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것이다.
이상으로부터, 전방하부창(9)을 떼어낼 때에는 도 6에 나타내듯이 작업자(3)는 전방상부창(8)을 열어 외측으로 손을 뻗쳐서 노치(17)부분에 손가락(3a)을 끼워 넣고, 전방하부창(9)을 위로 들어올려 창프레임(14)으로부터 빼내면 된다. 또, 노치(17)는 해체한 전방하부창(9)을 들을 때에도 이용할 수 있다. 또, 전방하부창(9)을 장착할 때에는 작업자(3)는 실내측에서 전방하부창(9)을 창프레임(14)의 상단측부터 삽입해서 끼워넣으면 된다.
다음에, 분리한 전방하부창(9)의 유지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분리한 전방하부창(9)은 도 1에 나타내듯이 소정의 유지수단에 의해 만곡한 좌측벽(6)의 내면(6s)에 대향한 상태로 유지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전방하부창(9)은 슬라이드도어(5)가 장착되는 도어용 개구(7)의 후방측에서 좌측부 후방부창(11c)의 하방에 도어용 개구(7)측의 둘레가장자리부가 좌측벽(6)의 둘레가장자리부(6a)의 근방에 위치하도록 유지된다. 이때, 전방하부창(9)은 그 긴 변이 상하방향으로, 짧은 변이 전후방향이 되도록 유지되는 동시에 그 하단부는 좌측부 후방부창(11c)의 하단부보다 조금 상방에 위치하도록 유지된다.
여기에서, 좌측벽(6)의 둘레가장자리부(6a)는 상술한 대로 운전실(1)의 안쪽으로 오목하게 되어 있고, 이 상태는 좌측벽(6)이 둘레가장자리부(6a)근방에서 안쪽으로 크게 절곡된 상태이다. 따라서, 전방하부창(9)과 좌측벽(6)의 내면(6s)사이에 형성된 물품수납공간(V)은 수평단면이 대략 삼각형이고, 도어용 개구(7)측의 폭이 가장 크게 된다.
또, 이 물품수납공간(V)은 만곡한 좌측벽(6)의 내면(6s)에 전방하부창(9)을 단지 대향시켜 배치한 경우보다 큰 폭을 갖게 된다. 이 물품수납공간(V)은 안쪽은 전방하부창(9)에 의해 구획되어 있지만, 상방측은 개방되어 있으므로, 상하방향으 로 매거진을 반입반출하도록 매거진랙(18)을 배치한다.
도 8은 전방하부창(9)의 유지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9의 (a)는 유지된 전방하부창(9)을 전방측(도 8의 화살표F방향)에서 본 정면도이고, 도 9의 (b)는 후방측(도 8의 화살표R방향)에서 본 배면도이다. 또, 도 8은 좌측벽(6)측에서 본 도이지만, 알아보기 쉽게 하기 위해 좌측벽(6)은 생략되어 있다.
유지수단은 지지수단인 한 쌍의 브래킷(19, 20)과, 구속수단인 로크수단(21)을 갖는다. 한 쌍의 브래킷(19, 20)은 좌측벽(6)의 하방측에 부착되고, 전방하부창(9)의 하단부를 지지한다. 한편, 로크수단(21)은 전방하부창(9)의 전방측에서 상하방향의 대략 중앙위치에 부착되어 전방하부창(9)의 움직임을 구속한다.
전방측에 배치되는 브래킷(19)은 평판상의 받침부(19a)와, 이 받침부(19a)의 일단측에서 대략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는 규제부(19b)와, 받침부(19a)의 타단측에서 규제부(19b)와는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착부(19c)를 갖는다. 부착부(19c)는 평판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두 개의 관통구멍(19d, 19d)을 갖는다. 이러한 브래킷(19)은 규제부(19b)가 실내측에 위치하고, 또한 받침부(19a)가 대략 수평하게 되는 자세로 배치되고, 부착부(19c)의 관통구멍(19d, 19d)에 관통시킨 볼트를 좌측벽(6)에 체결해서 부착된다. 전방하부창(9)은 그 하단면이 받침부(19a)에 접촉해서 지지되는 동시에 실내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부(19b)에 의해 규제된다.
한편, 후방측에 배치되는 브래킷(20)은 상부에 홈(20d)이 형성된 받침부(20a)와, 이 받침부(20a)의 일단측에서 경사방향으로 세워지는 안내부(20b)와, 받침부(20a)의 하부에 형성된 부착부(20c)를 갖는다. 홈(20d)의 폭은 전방하부창(9)의 두께보다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다. 또, 안내부(20b)는 홈(20d)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브래킷(20)은 안내부(20b)가 좌측벽(6)측에 위치하고, 또한 받침부(20a)의 홈(20d)이 대략 수평방향으로 연장하는 자세로 배치되고, 부착부(20c)를 운전실(1)(본체(4))의 바닥 또는 좌측벽(6)에 고정해서 부착된다. 전방하부창(9)은 그 하단부가 받침부(20a)의 홈(20d)에 끼워넣어져서 지지된다. 또, 전방하부창(9)의 하단부가 안내부(20b)에 접촉했을 때에는 상기 안내부(20b)는 경사져 있으므로, 하단부는 받침부(20a)의 홈(20d)으로 안내되게 된다. 즉, 안내부(20b)는 전방하부창(9)을 소정의 유지위치까지 안내하는 안내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또, 로크수단(21)은 도 10에 나타내듯이, 본체부(22)와 이 본체부(22)에 설치되는 한 쌍의 끼움부(23, 24)를 갖는다. 본체부(22)는 비교적 편평한 직방체상으로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된 한 쌍의 볼트관통구멍(22a, 22a)을 갖는다. 한 쪽의 끼움부(23)는 본체부(22)의 긴 변측의 일측면에서 측방으로 돌출해서 형성되어 있고, 길이는 본체부(22)와 같고, 높이(볼트관통구멍(22a)의 축방향을 따르는 길이)는 끼움부(24)와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본체부(22)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이에 반해, 다른 쪽의 끼움부(24)는 본체부(22)의 일표면(볼트관통구멍(22a)이 개구하고 있는 면)의 대략 중앙부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끼움부(24)는 평편상의 끼움판(24a)과, 끼움판(24a)의 일표면에 형성된 손잡이(24b)를 갖는다. 끼움판(24a)은, 폭은 볼트통과구멍(22a, 22a)사이의 간격보다 작고, 길이는 본체부(22)와 끼움부(23)의 각 폭의 합과 대략 같게 설정된다. 그리고, 끼움부(24)는 끼움판(24a)의 길이방향이 본체부(22)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위치(로크위치)와, 끼움판(24a)의 길이방향이 본체부(22)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되는 위치(해방위치)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로크위치에서는 고정측의 끼움부(23)와 가동측의 끼움부(24)의 선단측이 대향하고 있고, 전방하부창(9)의 둘레가장자리부를 한 쌍의 끼움부(23, 24)에 의해 끼워밀착해서 움직임을 구속한다. 또, 고정측의 끼움부(23)는 길이방향으로 나란한 한 쌍의 끼움편(23a, 23a)을 갖고, 이 끼움편(23a)을 탄성력을 이용해서 전방하부창(9)의 표면에 압압하고 있다. 끼움편(23a)의 선단측에는 전방하부창(9)의 표면에 접촉하는 가늘고 긴 막대상의 접촉부(23b)가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구성의 로크수단(21)은 좌측벽(6)의 둘레가장자리부(6a)의 선단부에 배치된다. 작업자(3)는 로크수단(21)의 가동측 끼움부(24)를 해방위치에 설정한 후, 분리한 전방하부창(9)을 노치(17)가 전방측으로 위치하는 상태로 들고, 이 상태에서의 하단부를 한 쌍의 브래킷(19, 20)에 접촉시키는 동시에, 전후방향의 위치를 조정해서 노치(17)의 안쪽 둘레가장자리부를 로크수단(21)의 고정측 끼움부(23)에 접촉시킨다. 그리고나서, 작업자(3)는 손잡이(24b)를 잡고, 가동측 끼움부(24)를 로크위치까지 회전시킨다. 이것에 의해, 전방하부창(9)은 좌측벽(6)에 대해서 일정한 높이로 유지되고, 또한 그 움직임이 구속된다.
로크수단(21)은 전방하부창(9)의 전방측의 둘레가장자리부를 끼워서 밀착하지만, 이때 노치(17)의 안쪽 둘레가장자리부를 끼우는 위치에 배치하고 있으므로, 로크수단(21)을 도어용 개구(7)로 돌출시키는 일없이 전방하부창(9)을 가능한한 도어용 개구(7)에 근접한 위치에서 유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도어용 개구(7)의 둘레가장자리에서 슬라이드도어(5)와 전방하부창(9) 또는 로크수단(21)이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전방측에 부착된 브래킷(19)의 전방에서 약간 상방측의 위치, 및 로크수단(21)의 후방에서 상방측의 위치에는 좌측벽(6)의 내면(6s)에 고무 등의 탄성재료로 이루어진 스토퍼(25, 25)가 부착되어 있다. 또, 후방측에 부착된 브래킷(20)의 상방측에서 로크수단(21)과 대략 같은 높이의 위치에는(도 3참조), 브래킷(20)보다 실내측에 위치하는 스토퍼(26)(도 1 참조)가 부착되어 있다. 이들 스토퍼(25, 26)를 배치함으로써 전방하부창(9)을 브래킷(19, 20)에 의해 지지했을 때에 전방하부창(9)이 좌측벽(6)측 또는 실내측으로 넘어지는 것이 방지되고, 비교적 중량있는 전방하부창(9)의 로크작업 및 로크해제작업을 안전하게 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유지된 전방하부창(9)과 좌측벽(6)의 내면(6s)사이에 형성된 공간(V), 즉 종래는 데드스페이스였던 공간을 물품수납공간으로서 이용하고 있으므로, 종래는 물품수납공간을 위해 사용했던 측벽부분을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측벽에 장비품을 배치할 때의 자유도가 커지고, 작업자(3)가 쓰기쉬운 위치에 장비품을 배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운전실(1)안에 배치된 장비품의 사용성이 향상하고, 이것에 따라 운전실(1)안의 쾌적성도 향상한다.
또, 전방하부창(9)을 대향시켜 배치하는 측벽부분으로서, 운전실안쪽으로 들 어가 있는 좌측벽(6)의 둘레가장자리부(6a), 즉 좌측벽(6)이 둘레가장자리부(6a)근방에서 안쪽으로 크게 절곡된 부분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물품수납공간(V)을 크게 확보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보다 많은 물품 혹은 큰 물품을 수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방하부창(9)은 좌측벽(6)에 대해서 일정한 높이로 유지되고, 또한 그 움직임이 구속되므로 건설기계의 주행시나 작업시에 있어서도 이동이나 진동하는 일없이 견고하게 전방하부창(9)을 유지할 수 있다.
또, 전방하부창(9)의 하단부를 브래킷(20)에 접촉시킬 때에, 하단부는 브래킷(20)의 안내부(20b)에 의해 유지위치로 되는 홈(20d)까지 안내되므로, 비교적 중량이 큰 전방하부창(9)을 용이하게 유지위치에 배치할 수 있고, 작업자의 부담이 줄어들게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장착시의 전방하부창(9)의 하단부의 대략 중앙부에 직사각형상의 노치(17)를 형성했으므로, 작업자(3)는 전방하부창(9)과 그것이 장착된 창프레임(14)사이에 손가락(3a)을 끼워 넣기 쉬워지고, 전방하부창(9)을 들어올리기 쉬워진다. 또, 노치(17)는 분리한 전방하부창(9)을 들을 때에도 이용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전방하부창(9)의 해체작업 및 배치작업을 행하기 쉽게 된다.
또, 로크수단(21)은 도어용 개구(7)에 면하는 좌측벽(6)의 둘레가장자리부(6a)에 배치되고, 전방하부창(9)의 전방측의 둘레가장자리부를 끼우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노치(17)의 안쪽 둘레가장자리부를 끼우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로크수단(21)을 도어용 개구(7)에 돌출시키는 일없이, 전방하부창(9) 을 가능한한 도어용 개구(7)에 근접한 위치에서 유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도어용 개구(7)의 둘레가장자리에서 슬라이드도어(5)와 전방하부창(9) 또는 로크수단(21)이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여러가지로 변경해서 실시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12의 (a)는 유지된 전방하부창(9)을 전방측(도 11의 화살표F방향)에서 본 정면도이고, 도 12의 (b)는 후방측(도 11의 화살표 R방향)에서 본 배면도이다. 또, 도 11은 좌측벽(6)측에서 본 도이지만, 알기 쉽게 하기 위해 좌측벽(6)은 생략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특징은 전방하부창(9)의 움직임을 구속하는 구속수단으로서, 상기 로크수단(21)대신에, 구속벨트(31)를 이용한 것이다. 구속벨트(31)는 벨트본체(32)와, 이 벨트본체(32)길이를 조절하는 버클부(33)를 갖는다. 한편, 도 11에 나타내듯이 한 쌍의 브래킷(19, 20)에 의해 지지된 전방하부창(9)에 관해서 후방측의 상측 모서리부근방과 노치(17)의 상방측에 대응하는 좌측벽(6)에 각각 지지암(34, 35)이 부착되어 있다. 구속벨트(31)는 벨트본체(32)를 지지암(34, 35)에 감아서 설치되어 있다.
전방하부창(9)을 유지할 때에는, 작업자(3)는 버클부(33)를 조작해서 벨트본체(32)를 길게 해서 느슨한 상태로 하고나서, 전방하부창(9)을 소정의 유지위치에 배치하고, 버클부(33)를 조작해서 벨트본체(32)를 짧게 해서 지지암(34, 35)사이에 서 팽팽하게 건 상태로 한다. 이것에 의해, 구속벨트(31)는 전방하부창(9)에 대해서 상단면에서부터 실내측 표면을 통과해 전단면까지 경사방향으로 감겨지게 되고, 전방하부창(9)의 움직임이 구속된다. 구속을 느슨하게 할 때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버클부(33)를 조작해서 구속벨트(31)를 느슨하게 하면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상술한 실시형태와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도어용 개구(7)의 후방측에 전방하부창(9)을 유지하지만, 전방측에 공간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전방측에 유지하도록 해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운전실안에 배치된 장비품의 사용성이 향상하고, 이것에 따라 운전실안의 쾌적성도 향상한다.

Claims (4)

  1. 운전석(2)의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상부창(8)과, 이 전방상부창(8)의 하방에 위치하는 동시에 착탈가능하게 배치되는 전방하부창(9)을 보유하고, 또한 수평단면이 외측으로 만곡한 측벽내면(6s)을 보유하는 건설기계용 운전실에 있어서, 분리한 상기 전방하부창(9)을 상기 만곡한 측벽내면(6s)에 대향시켜 유지하는 유지수단(19, 20, 21)을 구비하고, 유지된 상기 전방하부창(9)과 이 전방하부창(9)에 대향하는 측벽내면(6s)사이에 형성된 공간(V)을 매거진랙(18) 등의 물품수납공간으로서 사용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용 운전실.
  2. 제1항에 있어서, 수평단면이 외측으로 만곡한 측벽(6)에 개구(7)를 형성하는 동시에, 이 개구(7)를 개폐하는 슬라이드도어(5)를 상기 측벽(6)의 외면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하고, 또한 상기 슬라이드도어(5)가 폐쇄위치에서는 운전실안쪽으로 끌어넣어져서 수납되도록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개구(7)에 면하는 측벽둘레가장자리부(6a)를 운전실안쪽으로 오목하게 해서 상기 폐쇄위치에서의 슬라이드도어(5)의 둘레가장자리부(5b)에 겹치도록 형성하고, 상기 유지수단(19, 20, 21)은 분리한 상기 전방하부창(9)을 상기 개구(7)의 전방측 또는 후방측에 유지하는 동시에 상기 전방하부창(9)의 상기 개구(7)측의 둘레가장자리부가 상기 측벽둘레가장자리부(6a)근방에 위치하도록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용 운전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수단은 상기 전방하부창(9)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브래킷(19, 20)과, 상기 전방하부창(9)의 움직임을 구속하는 로크수단(21)을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용 운전실.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수단은 상기 전방하부창(9)을 유지위치까지 안내하는 안내수단(20b)을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용 운전실.
KR1020000073177A 1999-12-28 2000-12-05 건설기계용 운전실 KR1006650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374459 1999-12-28
JP37445999A JP4288546B2 (ja) 1999-12-28 1999-12-28 建設機械用運転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2121A KR20010062121A (ko) 2001-07-07
KR100665014B1 true KR100665014B1 (ko) 2007-01-09

Family

ID=18503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3177A KR100665014B1 (ko) 1999-12-28 2000-12-05 건설기계용 운전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288546B2 (ko)
KR (1) KR1006650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75739B2 (ja) * 2002-04-18 2006-05-17 住友建機製造株式会社 建設機械のキャブ用フロント窓構造
KR100753985B1 (ko) * 2006-03-13 2007-08-31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건설중장비용 운전실
KR100861561B1 (ko) * 2006-11-08 2008-10-02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중장비용 운전실
JP6104705B2 (ja) * 2013-05-21 2017-03-29 株式会社日立建機ティエラ 後方小旋回型の油圧ショベル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1373U (ko) * 1993-06-29 1995-01-04 볼보건설기계코리아주식회사 하부유리가 탈착가능한 운전실 캡
KR950024782U (ko) * 1994-02-28 1995-09-15 삼성중공업주식회사 탈착가능한 홀더를 이용한 중장비의 유리 고정장치
KR950032657U (ko) * 1994-05-31 1995-12-14 삼성중공업주식회사 중장비의 유리 고정장치
US5564774A (en) * 1994-05-05 1996-10-15 Kabushiki Kaisha Komatsu Seisakusho Operation room of construction machine
JPH10266269A (ja) * 1997-03-26 1998-10-06 Komatsu Ltd 建設機械の運転室に設置された収納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1373U (ko) * 1993-06-29 1995-01-04 볼보건설기계코리아주식회사 하부유리가 탈착가능한 운전실 캡
KR950024782U (ko) * 1994-02-28 1995-09-15 삼성중공업주식회사 탈착가능한 홀더를 이용한 중장비의 유리 고정장치
US5564774A (en) * 1994-05-05 1996-10-15 Kabushiki Kaisha Komatsu Seisakusho Operation room of construction machine
KR950032657U (ko) * 1994-05-31 1995-12-14 삼성중공업주식회사 중장비의 유리 고정장치
JPH10266269A (ja) * 1997-03-26 1998-10-06 Komatsu Ltd 建設機械の運転室に設置された収納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187548A (ja) 2001-07-10
KR20010062121A (ko) 2001-07-07
JP4288546B2 (ja) 200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01094B1 (en) Cab for construction machinery
JP4500352B2 (ja) 作業機械用キャブ
EP2045399B1 (en) Heavy equipment having tool box opening in forward direction of the equipment
EP1757738B1 (en) Construction machine
KR100753985B1 (ko) 건설중장비용 운전실
EP1920959A2 (en) vehicle sliding door
KR100665014B1 (ko) 건설기계용 운전실
JP4583360B2 (ja) 建設装備用運転室
JP2000303502A (ja) 建設機械
KR101717059B1 (ko) 작업 차량의 캡 및 그 제조 방법
US4940280A (en) Protection structure for heavy equipment
EP3719214A1 (en) Cab for working machine, and working machine
EP2899102B1 (en) Construction machine
JP2004074958A (ja) 建設機械におけるシャッター式のガード装置
JP6085216B2 (ja) 建機キャブの窓構造
JP2007030602A (ja) 開閉式フードのロック解除装置
KR100734441B1 (ko) 건설중장비용 운전실
JP3034175B2 (ja) 建設機械の運転室の前下窓格納装置
KR101625073B1 (ko) 다단 신축 아암 장치 및 다단 신축 아암 장치를 구비한 심굴 굴삭기
WO2011148945A1 (ja) 建設機械
JP2001187530A (ja) 建設機械用運転室
JP2000168499A (ja) 建設機械の運転席装置
JPH0727913U (ja) 作業機におけるキャブの窓板取付け構造
JP3050500B2 (ja) 建設機械におけるカバー体のロック装置
JP2005161994A (ja) 建設機械用キャ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