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4944B1 - 슬라이드 방식의 입력 장치 및 상기 입력 장치를 구비한휴대용 기기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방식의 입력 장치 및 상기 입력 장치를 구비한휴대용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4944B1
KR100664944B1 KR1020050074414A KR20050074414A KR100664944B1 KR 100664944 B1 KR100664944 B1 KR 100664944B1 KR 1020050074414 A KR1020050074414 A KR 1020050074414A KR 20050074414 A KR20050074414 A KR 20050074414A KR 100664944 B1 KR100664944 B1 KR 1006649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signal
moved
user
input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4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현
이영호
옥준호
조수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4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4944B1/ko
Priority to EP06117999A priority patent/EP1752866A3/en
Priority to JP2006212304A priority patent/JP4741997B2/ja
Priority to CNB2006101154229A priority patent/CN100531426C/zh
Priority to US11/502,349 priority patent/US20070035515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4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49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5Interaction with a metaphor-based environment or interaction object displayed as three-dimensional, e.g. changing the user viewpoint with respect to the environment or objec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23D-info-object: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internal or external surface of a three dimensional manipulable object, e.g. on the faces of a cube that can be rotated by the us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08Actuators other then push button
    • H01H2221/014Slide sel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06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having an operating member slidable in a plane in one direction and pivotable around an axis located in the sliding plane perpendicular to the sliding dir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6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along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a pointing device, e.g. roller key, track ball, rocker switch or joysti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Navig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드 방식의 입력 장치 및 상기 입력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슬라이드 방식의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3차원 형태로 배열된 객체를 편리하게 조작하거나 소정 객체의 크기 조절을 할 수 있는 슬라이드 방식의 입력 장치 및 상기 입력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기기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상하좌우 방향에 따른 키 선택 신호 및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이동된 소정 방향에 대한 이동 신호를 발생시키는 입력 수단과, 상기 입력 수단으로부터 발생된 키 선택 신호 및 이동 신호를 입력받는 신호 입력부와, 상기 신호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키 선택 신호 및 이동 신호에 따른 소정의 동작 명령을 수행하는 제어부와, 상기 동작 명령에 따라 선택된 객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휴대용 기기, 방향키, 방향키 이동, 슬라이드 방식

Description

슬라이드 방식의 입력 장치 및 상기 입력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기기{Input device of sliding mode and portable device compri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방식의 입력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기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방식의 입력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기기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방식의 입력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기기의 메모리에 저장된 방향키의 선택된 키 및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동작 명령을 저장한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방식의 입력 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방식의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3차원 형태로 배열된 객체들을 조작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방식의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된 객체의 크기를 조절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방식의 입력 장치의 이동 방향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0 : 휴대용 기기 120 : 신호 입력부
130 : 검색부 140 : 메모리
150 : 디스플레이부 160 : 제어부
10 : 입력 장치 11 : 방향키
20 : 디스플레이 화면
본 발명은 슬라이드 방식의 입력 장치 및 상기 입력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슬라이드 방식의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3차원 형태로 배열된 객체를 편리하게 조작하거나 소정 객체의 크기 조절을 할 수 있는 슬라이드 방식의 입력 장치 및 상기 입력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는 핸드폰, CT-2, 무선 전화기, 카폰 등의 휴대장치를 칭한다. 이때,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기지국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면서 통신 기능을 수행하고, 무선 전화기는 휴대 장치가 고정 장치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면서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최근 휴대 단말기는 거의 모든 사람들이 소지하고 있고 생활 필수품이라 할 만큼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그 기능을 동작하기 위한 각종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에 있어서, 기존에 2D 이미지 형태로 메뉴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메뉴마다 이미지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 이미지 자체로 용량을 많이 차지하고, 다른 메뉴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다시 상위 메뉴로 이동하여야 하기 때문에 많은 조작을 요한다.
또한, 전체 메뉴 구성이 복잡하게 되어 있어 폰 메뉴 시스템이 메모리 용량을 많이 차지하여 다른 메뉴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수차례의 버튼 조작이 필요한 번거로움과 함께 메뉴의 변경 시 메뉴의 로딩 속도가 느리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의 메뉴를 보다 빠르고 편리하게 이용하기 위하여는 휴대 단말기의 한정된 디스플레이 공간에 보다 효율적으로 메뉴를 구성하는 시스템이 필요하게 되었다.
즉, 휴대 단말기와 같이 작은 스크린을 통하여 다양한 기능을 제공해야 하는 기기의 보다 효율적인 GUI의 구성 방법 중 하나로 3D화면을 이용하는 것이다.
3D GUI 의 조작을 위한 종래 기술의 방법을 살펴보면, X와 Y 축으로만 이동할 수 있는 사방향 키의 제한성 때문에 3D GUI 설계 자체를 X축과 Y 축 조작만으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를 했으며, 또한 3D GUI 의 조작을 위하여 별도의 하드웨어 키를 두어 조작하는 방법 등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X 축 및 Y축 조작만으로 가능하도록 3D GUI를 설계하는 방법은 3D 의 장점을 효율적으로 살리기 어려우며, 사용자에게 자연스러운 조작 방법을 제공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Z 축 조작을 위한 별도의 하드웨어 장치를 마련하는 경우, X축 및 Y 축은 사방향키로 조작하고, Z 축으로의 이동만을 다른 키를 이용하도록 한다면, 사용자가 두개의 키를 조작하여 X축, Y축, 및 Z축으로의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조작의 편리성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3D GUI의 조작을 위하여 X축, Y축, 및 Z축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하나의 키를 제공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한국공개특허 2004-074456(휴대 전화기에서의 3차원 메뉴 시스템)는 휴대 전화기의 메뉴를 3D 형태로 구성하여 동시에 여러 단계의 다양한 메뉴를 한 화면에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휴대 전화기의 3차원 메뉴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으나, 이는 휴대 전화기 화면의 메뉴를 3D 형태로 효율적으로 구성하여 사용자들이 이용하기 쉽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3D 형태로 제공된 메뉴를 선택 및 조작할 수 있는 입력 수단 및 입력 방법에 관하여는 개시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슬라이드 방식의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화면에 제공된 3차원 형태의 객체(object)를 편리하게 선택 및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조작의 편리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슬라이드 방식의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휴대용 기기에 디스플레이된 객체(즉, 이미지)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상하좌우 방향 및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이동된 소정 방향으로 객체를 이동시키는 방향키와, 상기 방향키를 일 방향 또는 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슬라이드 수단과, 상기 사용자로부터 발생된 외력을 통해 상기 방향키가 일 방향 또는 타 방향으로 이동된 경우 반발력을 이용하여 상기 방향키를 복귀시키는 복귀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기기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상하좌우 방향에 따른 키 선택 신호 및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이동된 소정 방향에 대한 이동 신호를 발생시키는 입력 수단과, 상기 입력 수단으로부터 발생된 키 선택 신호 및 이동 신호를 입력받는 신호 입력부와, 상기 신호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키 선택 신호 및 이동 신호에 따른 소정의 동작 명령을 수행하는 제어부와, 상기 동작 명령에 따라 선택된 객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기기는 소정의 객체를 선택 및 제어하기 위해 상하좌우 방향의 키 신호 또는 소정 방향에 대한 이동 신호를 발생시키는 입력 수단과, 상기 입력 수단으로부터 발생된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객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슬라이드 방식의 입력 장치 및 상기 입력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또는 처리 흐름도에 대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 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제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방식의 입력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기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기기(100)는 입력 장치(10), 및 디스플레이 화면(20)을 포함한다. 여기서, 휴대용 기기(100)는 핸드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과 같이 정보처리 및 이동성이 있는 모바일(mobile) 기기로 이해될 수 있다.
입력 장치(10)는 디스플레이 화면(20)에 디스플레이된 소정의 객체들을 선택 및 제어하기 위해 상하좌우 방향에 대한 키 선택 신호 또는 소정 방향에 대한 이동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여기서 입력 장치(10)는 방향키(11), 슬라이드 수단, 및 복귀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입력 장치(10)의 방향키(11)는 상하좌우로 선택 및 이동할 수 있는 4방향키 이며, 슬라이드 수단을 통하여 상하 또는 좌우로 슬라이딩 되어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방향키(11)가 소정 방향으로 이동될 경우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 3차원 형태로 배열된 객체의 Z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또한 디스플레이 화면(20)에 디스플레이된 객체(즉, 이미지)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하, 도 4에서 입력 장치(10)를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방향키(11)를 통해 상하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에 방향키(11)를 통해 디스플레이 화면(20)에 제공된 3차원 형태로 배열된 객체를 선택하거나 소정의 객체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객체란 소정의 동작 수행을 위한 명령, 프로그램, 데이터, 및 이미지 등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방향키(11)를 소정 방향으로 이동(즉, 방향키(11)를 위 방향 또는 아래 방향으로 슬라이딩 시킴)시켜 3차원 형태로 배열된 객체들 중 Z 방향에 위치된 객체로 포커스를 이동할 수 있다. 즉, Z 방향에 위치된 객체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방향키(11)를 소정 방향으로 이동(즉, 방향키(11)를 위 방향 또는 아래 방향으로 슬라이딩 시킴)시켜 디스플레이 화면(20)에 제공된 객체의 크기를 확대(줌 인) 또는 축소(줌 아웃)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화면(20)은 입력 장치(10)로부터 발생된 신호에 따라 객체들을 제공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화면에는 사용자의 키 선택 및 키 이동에 따라 각각 의 선택된 객체가 디스플레이되거나, 특정 객체의 크기가 줌인 또는 줌 아웃 되어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화면(20)을 중심으로 볼 때, 상하 방향은 Y축을, 좌우 방향은 X축을 나타내며, 또한 상하 방향(Y축)과 좌우 방향(X축)이 이루는 평면의 수직인 방향은 Z축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화면(20)에 3차원 형태로 배열된 객체들이 디스플레이된 경우,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된 3차원 형태의 객체들 중 소정의 객체를 선택하고자 입력 장치(10)의 방향키(11)를 이동시키거나 특정 방향의 키를 선택하면, 상기 방향키(11)의 이동 방향 또는 선택된 방향 키에 따라 선택된 객체가 디스플레이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방식의 입력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기기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기기(100)는 입력 수단(110), 신호 입력 부(120), 검색부(130), 메모리(140), 디스플레이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입력 수단(110)은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상하좌우 방향에 따른 키 선택 신호 및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이동된 소정 방향에 대한 이동 신호를 발생시킨다. 여기서, 입력 수단(110)은 상하좌우 방향을 나타내는 방향키(11)를 말하며, 방향키(11)는 슬라이드 수단을 통해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소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여기서, 방향키(11)가 이동되는 방향은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가 방향키(11)를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최소의 방향으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발생된 외력을 통해 이동된 방향키(11)는 복귀 수단의 반발력을 이용하여 원래 지점으로 자동 복귀된다.
신호 입력부(120)는 입력 수단(110)으로부터 발생되어진 키 선택 신호 및 이동 신호를 입력 받는다. 여기서, 키 선택 신호는 입력 수단(110)의 사방향(즉, 상하좌우)키가 선택된 경우 발생된 신호이고, 이동 신호는 입력 수단(110)이 소정 방 향(예를 들어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된 경우 발생된 신호를 말한다.
또한, 신호 입력부(120)는 입력 수단(110)으로부터 발생된 키 선택 신호 뿐만 아니라, 다수의 숫자키 및 특정 기능 키들로부터 입력된 키 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160)로 전송한다.
검색부(130)는 신호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된 키 선택 신호 및 이동 신호에 대응되는 키 코드 값 및 이동 코드 값을 메모리(140)에서 검색하고, 검색된 해당 명령을 제어부(160)에게 전송한다.
메모리(140)는 입력 수단(110)을 통해 발생된 키 선택 신호 및 이동 신호에 대응되는 코드 값 및 이동 코드 값을 저장하고, 상기 키 코드 값 및 이동 코드값에 할당된 동작 명령을 저장한다. 여기서, 메모리(140)는 검색부(130)에게 소정 키 선택 신호 및 이동 신호에 따른 코드 값을 제공하고, 해당 코드 값에 할당된 동작 명령을 제공한다.
메모리(14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방향키(11)에 대응하는 코드 값과, 상기 코드 값에 할당된 동작 명령이 테이블 형태로 저장된다. 또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이동된 방향키(11)의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코드 값과, 상기 코드 값에 할당된 동작 명령이 테이블 형태로 저장된다.
예를 들어, 선택된 방향키(11)의 방향이 우측 방향인 경우, 대응되는 코드 값은 xx00001이고, 할당된 동작 명령은 오른쪽 방향(+X축)으로 이동하는 명령이 저장되어 있다.
또한, 이동된 방향키(11)의 방향이 상 방향인 경우, 대응되는 코드 값은 wo00010이고, 할당된 동작 명령은 -Z축으로 이동하는 명령이 저장되어 있다.
또한, 메모리(140)는 휴대용 기기(100)의 동작 제어 시 필요한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프로그램 메모리와, 제어 시 또는 사용자에 의해 수행도중 발생되는 동작 명령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메모리 등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140)의 보다 구체적인 일 예를 들면, 메모리(140)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플래시ROM(flash ROM), RAM(Random Access Memory)와 같은 메모리(140)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메모리(140)중 EEPROM에는 각종 프로그램 동작에 필요한 변수들이 저장되며, RAM에는 휴대용 기기(100)의 제어 시 필요한 각종 명령 데이터들이 저장된다. 그리고 플래시 ROM에는 동작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및 통신 프로토콜이 내장된다.
디스플레이부(150)는 제어부(160)의 동작 명령에 따라 객체를 디스플레이 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150)는 1,2 차원의 객체 뿐만 아니라 3차원 형태로 배열된 객체들을 제공한다.
제어부(160)는 휴대용 기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입력 수단(110)으로부터 발생된 키 선택 신호 및 이동 신호가 신호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되면, 신호 입력부(120)로부터 입력된 신호들을 검색부(130)로 전송하고, 검색부(130)를 제어하여 대응되는 코드 값을 검출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60)는 검색부(130)가 검색한 코드 값에 할당된 동작 명령을 수행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객체로 포커스가 위치되도록 하거나, 소정 객체의 크기를 확대 또는 축소되도록 하며, 상기 포커스가 위치된 객체 및 크기가 확대 또는 축소된 객체를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화면에 제공한다.
예를 들어, 휴대용 기기(100)의 화면에 3차원 형태로 배열된 객체들이 디스플레이 되어 있고, 사용자가 입력 수단(110)을 선택하여 상 방향으로의 이동 신호를 발생시킨다고 가정한다. 여기서, 3차원 형태로 배열된 객체 중 소정 위치에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포커스가 위치되어 있다.
먼저, 신호 입력부(120)는 사용자가 입력 장치(10)를 통해 발생시킨 '상(上)방향' 이동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된 '상 방향' 이동 신호를 제어부(160)로 전송한다.
그 다음, 제어부(160)는 '상 방향' 이동 신호를 검색부(130)로 전송하고, 검색부(130)는 전송된 '상 방향' 이동 신호에 대응하는 키 코드 값을 저장부(140)에서 검색한다.
검색 결과, '상 방향' 이동 신호에 대응하는 키 코드 값 및 상기 키 코드 값에 할당된 동작 명령이 '-Z 방향으로 이동'인 경우, 검색부(130)는 검색된 동작 명령(즉, '-Z 방향으로 이동')을 제어부(160)에게 전송한다.
이에, 제어부(160)는 휴대용 기기(1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3차원 형태로 배열된 객체 중 포커스가 위치된 객체에서 -Z 방향으로 포커스를 이동시킨다.
한편, 휴대용 기기(100)는 무선부, 및 음성 처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무선부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음성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제어하고, 음성처리부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무선부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스피커(speaker) SPK를 통해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마이크로폰(microphone) MIC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데이터화하여 무선부로 출력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방식의 입력 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장치(10)는 방향키(11), 슬라이드 수단(12), 및 복귀 수단(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방향키(11)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상하좌우 방향에 따른 키 선택 신호 및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이동된 소정 방향에 대한 이동 신호를 발생시킨다. 여기서, 방향키(11)는 상하좌우 4방향(즉, +X축, - X축, +Y축, 및 -Y축)으로 포커스(focus)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방향키(11) 자체가 소정 방향으로 이동되어 +Z축 및 -Z축으로 포커스를 이동시킬 수 있다.
슬라이드 수단(12)은 방향키(11)의 양측면(바람직하게는, 방향키(11)의 좌우측면)에 위치되며, 방향키(11)를 일 방향 또는 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한다. 즉, 방향키(11)는 슬라이드 수단(12)에 의해 소정 방향으로 슬라이딩 된다.
복귀 수단(13)은 방향키(11)의 양측면(바람직하게는, 방향키(11)의 상하 측면 중앙 부분)에 위치되며, 사용자로부터 발생된 외력을 통해 방향키(11)가 일 방향 또는 타 방향으로 이동된 경우 반발력을 이용하여 방향키(11)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킨다. 여기서, 복귀 수단(13)은 스프링, 및 탄성을 가지는 물체(또는, 수단)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복귀 수단(13)의 일측은 방향키(11)와 고정되어 있고, 타측은 휴대용 기기(100)와 고정되어 있어 방향키(11)가 복귀 수단(13)의 반발력에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키(11)의 좌우측면에 구비된 슬라이드 수단(12)은 휴대용 기기(100) 내에 구비된 가이드 홈(14)과 맞물려 방향키(11)가 소정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하며, 방향키(11)의 상하측면 중앙부분에 구비된 복귀 수단은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이동된 방향키(11)를 반발력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원래 위치로 복귀시킨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방식의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3차원 형태로 배열된 객체들을 조작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3차원 형태로 배열된 정육면체(이는 객체의 개수에 따라 여러 형태의 다면체로 구성되어 나타날 수 있다)의 객체들(1)이 디스플레이 화면(20)에 제공된다. 여기서, 각각의 객체는 소정의 명령을 나타내는 아이콘으로 이해될 수 있다.
먼저, 객체들 중 첫번째 면을 A면, 두번째 면을 B면, 및 세번째 면을 C면으로 정하고, A면에 해당하는 9개의 객체 각각에 순서대로 A-1부터 A-9의 번호를 할당한다. 또한, B면, 및 C면에도 B-1부터 B-9, 및 C-1부터 C-9 번호를 할당한다.
현재 휴대용 기기(100)의 디스플레이 화면(20)에 디스플레이된 객체들(1) 중 A-1 내지 A-9 면은 방향키(11)에 할당된 4방향을 이용하여 선택 및 이동 가능하며, B면, 및 C면은 방향키에 할당된 4방향으로는 선택 및 이동할 수 없다.
이 때, 현재 휴대용 기기(100)의 디스플레이 화면(20)에 디스플레이된 객체들(1) 중 포커스는 A-5 객체에 위치되어 있다고 가정하고, 사용자가 B-5 객체로 포커스의 위치를 이동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방항키(11)를 -Z 방향(예를 들어, 상 방향)으로 한번 이동시키면 A면의 뒤쪽에 위치된 B면으로 포커스가 이동되고, 이에 B-5 객체에 포커스가 위치된다. 여기서, 복귀 수단(13)에 의해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이동된 방향키(11)는 원래 위치로 자동 복귀된다.
한편, 포커스의 위치가 B면으로 이동될 경우 A면에 의해 포커스가 위치된 B면의 객체가 가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포커스가 위치된 소정 면 또는 특정 객체가 가려지지 않도록 앞쪽(또는 위쪽)에 위치되어 있는 항목들을 투명하게 처리(5)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이는 B면 및 C면 모두에 적용된다.
한편, 현재 포커스가 A-5 객체에 위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B-6 객체로 포커스의 위치를 이동하고자 할 경우에는, 방항키(11)를 Z 방향(예를 들어, 상 방향)으로 한번 이동시켜 B-5 객체에 포커스를 위치시킨 후, 방향키(11) 중 우측 방향의 키를 선택하여 포커스의 위치를 B-6 객체로 이동시키면 된다.
따라서, A면, B면, 및 C면으로 포커스를 이동시킬 경우에는 방향키(11)를 +Z축 방향 또는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포커스를 이동시킨 상태에서 특정 객체를 선택할 경우에는 방향키(11)의 상하좌우 방향을 선택하여 해당 면(즉, A면, B면, 및 C면)에서 자유롭게 포커스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하나의 입력 수단(10)를 통해 X축, Y축, 및 Z축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방식의 입력 장치를 이용하 여 디스플레이된 객체의 크기를 조절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는 객체의 크기를 확대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b는 객체의 크기를 축소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즉,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화면(20)에 제공된 객체(예를 들어, 소정의 이미지)의 크기를 확대 또는 축소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입력 장치(10)의 방향키(11)를 소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이미지의 크기를 확대(줌 인(zoom in)) 또는 축소(줌 아웃(zoom out)) 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방향키(11)를 아래쪽 방향(즉, +Z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이미지의 크기가 확대되고, 반대로 사용자가 방향키(11)를 위쪽 방향(즉, -Z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이미지의 크기가 축소된다. 여기서, 방향키(11)는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소정 방향으로 이동된 후, 복귀 수단(13)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귀된다.
또한, 사용자가 방향키(11)를 이동시키는 회수에 따라 줌 인 또는 줌 아웃 되는 비율이 다르게 적용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방향키(11)를 위쪽 방향으로 한번 이동시켰을 경우, 50%비율로 이미지가 확대되고, 방향키(11)를 위쪽 방향으로 두번 이동시킬 경우 75%비율로 이미지가 확대된다. 이때, 확대(줌 인) 또는 축소(줌 아웃)되는 비율은 사용자 또는 휴대용 기기(100)의 제어부(160)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방식의 입력 장치의 이동 방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는 입력 장치(10)의 방향키(11)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b는 입력 장치(10)의 방향키(110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에 도시된 입력 장치(10)의 경우 사용자가 Z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 방향키(11)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화면(20)에 제공된 이미지를 확대 또는 축소시키기 위해서도 방향키(11)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된다.
도 7b에 도시된 입력 장치(10)의 경우 사용자가 Z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 방향키(11)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되고, 디스플레이 화면(20)에 제공된 이미지를 확대 또는 축소시키기 위해서도 방향키(11)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된다.
따라서, 3차원 형태로 배열된 객체를 선택 또는 이동하고자 할 경우에 사용자는 입력 장치(10)를 통해 편리하게 원하는 객체를 선택 또는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된 소정의 이미지 파일의 크기를 확대 또는 축소하고자 할 경우에도 입력 장치(10)를 통해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슬라이드 방식의 입력 장치 및 상기 입력 장치 를 구비한 휴대용 기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슬라이드 방식의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화면에 제공된 3차원 형태의 객체를 편리하게 선택하거나 특정 객체로 이동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조작의 편리성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슬라이드 방식의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소정 객체(즉, 이미지)의 크기를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어 별도의 기능 키를 이용하지 않고 디스플레이된 객체의 크기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많은 업체에서 제안되어진 3D 형식의 UI를 보다 효율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3D 형식의 UI 상품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Z 축 방향으로 배열된 객체를 보다 쉽게 조작할 수 있게 함으로써, 휴대용 기기 등에 구비된 작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2)

  1.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상하좌우 방향 및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이동된 소정 방향으로 객체를 이동시키는 방향키;
    상기 방향키를 일 방향 또는 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슬라이드 수단;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발생된 외력을 통해 상기 방향키가 일 방향 또는 타 방향으로 이동된 경우 반발력을 이용하여 상기 방향키를 복귀시키는 복귀 수단을 포함하는 입력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키가 소정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이 이루는 평면의 수직인 방향 중 일 방향의 이동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방향키가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이 이루는 평면의 수직인 방향 중 타 방향의 이동 신호를 발생시키는 입력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키가 소정 방향으로 이동되면 줌 인 키 및 줌 아웃 키 중 하나의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방향키가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면 줌 인 키 및 줌 아웃 키 중 다른 하나의 신호를 발생시키는 입력 장치.
  4.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상하좌우 방향에 따른 키 선택 신호 및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이동된 소정 방향에 대한 이동 신호를 발생시키는 입력 수단;
    상기 입력 수단으로부터 발생된 키 선택 신호 및 이동 신호를 입력받는 신호 입력부;
    상기 신호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키 선택 신호 및 이동 신호에 따른 소정의 동작 명령을 수행하는 제어부; 및
    상기 동작 명령에 따라 선택된 객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기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키 선택 신호 및 이동 신호에 대응되는 키 코드 값 및 이동 코드 값을 검색하는 검색부; 및
    상기 입력 수단을 통해 발생된 키 선택 신호 및 이동 신호에 대응되는 코드 값 및 이동 코드 값을 저장하고, 상기 키 코드 값 및 이동 코드값에 할당된 동작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기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수단이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소정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상하 방향과 상기 좌우 방향이 이루는 평면의 수직인 방향 중 일 방향의 이동 신호를 발 생시키고, 상기 입력 수단이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상하 방향과 상기 좌우 방향이 이루는 평면의 수직인 방향 중 타 방향의 이동 신호를 발생시키는 휴대용 기기.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수단이 소정 방향으로 이동되면 줌 인 키 및 줌 아웃 키 중 하나의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입력 수단이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면 줌 인 키 및 줌 아웃 키 중 다른 하나의 신호를 발생시키는 휴대용 기기.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수단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발생된 외력을 통해 소정 방향으로 이동된 경우 반발력을 이용하여 복귀되는 휴대용 기기.
  9. 소정의 객체를 선택 및 제어하기 위해 상하좌우 방향에 대한 키 선택 신호 또는 소정 방향에 대한 이동 신호를 발생시키는 입력 수단; 및
    상기 입력 수단으로부터 발생된 신호에 따라 객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포함하는 휴대용 기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수단은,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상하좌우 방향에 따른 키 선택 신호 및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이동된 소정 방향에 대한 이동 신호를 발생시키는 방향키;
    상기 방향키를 일 방향 또는 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슬라이드 수단;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발생된 외력을 통해 상기 방향키가 일 방향 또는 타 방향으로 이동된 경우 반발력을 이용하여 상기 방향키를 복귀시키는 복귀 수단을 포함하는 휴대용 기기.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수단이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소정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상하 방향과 상기 좌우 방향이 이루는 평면의 수직인 방향 중 일 방향의 이동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입력 수단이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상하 방향과 상기 좌우 방향이 이루는 평면의 수직인 방향 중 타 방향의 이동 신호를 발생시키는 휴대용 기기.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수단이 소정 방향으로 이동되면 줌 인 키 및 줌 아웃 키 중 하나의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입력 수단이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면 줌 인 키 및 줌 아웃 키 중 다른 하나의 신호를 발생시키는 휴대용 기기.
KR1020050074414A 2005-08-12 2005-08-12 슬라이드 방식의 입력 장치 및 상기 입력 장치를 구비한휴대용 기기 KR1006649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4414A KR100664944B1 (ko) 2005-08-12 2005-08-12 슬라이드 방식의 입력 장치 및 상기 입력 장치를 구비한휴대용 기기
EP06117999A EP1752866A3 (en) 2005-08-12 2006-07-27 Slidable input device and portable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2006212304A JP4741997B2 (ja) 2005-08-12 2006-08-03 摺動方式の入力装置及び前記入力装置を備えた携帯用機器
CNB2006101154229A CN100531426C (zh) 2005-08-12 2006-08-09 可滑动输入装置和具有其的便携式设备
US11/502,349 US20070035515A1 (en) 2005-08-12 2006-08-11 Slidable input device and portable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4414A KR100664944B1 (ko) 2005-08-12 2005-08-12 슬라이드 방식의 입력 장치 및 상기 입력 장치를 구비한휴대용 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4944B1 true KR100664944B1 (ko) 2007-01-04

Family

ID=37192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4414A KR100664944B1 (ko) 2005-08-12 2005-08-12 슬라이드 방식의 입력 장치 및 상기 입력 장치를 구비한휴대용 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70035515A1 (ko)
EP (1) EP1752866A3 (ko)
JP (1) JP4741997B2 (ko)
KR (1) KR100664944B1 (ko)
CN (1) CN100531426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285B1 (ko) * 2008-07-08 2010-05-19 정세운 키 입력 유닛을 구비한 디지털 처리 장치 및 키 입력 방법
EP2754018A1 (en) * 2011-09-07 2014-07-16 Fakhir, Mustafa Computer-implemented method for asset lifecycle management
KR101499614B1 (ko) * 2012-12-27 2015-03-09 정다운 이중 자석과 볼 베어링을 이용하여 미세처짐과 오타를 방지하는 슬라이드 입력장치.
TW201508606A (zh) * 2013-08-27 2015-03-01 Hon Hai Prec Ind Co Ltd 工具組合系統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034166A1 (de) * 1990-10-26 1992-04-30 Cherry Mikroschalter Gmbh Cursorvorrichtung mit nullpunktrueckstellung
JP4264614B2 (ja) * 1998-11-30 2009-05-20 ソニー株式会社 情報提供装置及び情報提供方法
KR100353461B1 (ko) * 1999-12-31 2002-09-19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키의 기능 확장 방법
NO20003974L (no) * 2000-02-18 2001-08-20 Ziad Badarneh Manöverinnretning
TW466415B (en) * 2000-08-28 2001-12-01 Compal Electronics Inc Hand-held device with zooming display function
JP2003323259A (ja) * 2002-05-02 2003-11-14 Nec Corp 情報処理装置
JP4147839B2 (ja) * 2002-06-26 2008-09-10 ポリマテック株式会社 スライド式多方向入力キー
US7433885B2 (en) * 2003-12-15 2008-10-07 Quantum Matrix Holdings, Llc System and method for multi-dimensional organization, management, and manipulation of dat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52866A3 (en) 2012-07-18
CN100531426C (zh) 2009-08-19
JP2007052777A (ja) 2007-03-01
JP4741997B2 (ja) 2011-08-10
CN1913688A (zh) 2007-02-14
EP1752866A2 (en) 2007-02-14
US20070035515A1 (en) 2007-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07622B2 (en) Portable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menu icons
KR101983725B1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EP2407869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5779064B2 (ja) 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024004B2 (en) Device having display buttons and display method and medium for the device
JP4602417B2 (ja) 文字入力装置
CN103279293A (zh) 一种切换图片的方法、装置和终端
JP5379315B2 (ja) コンポーネント表示処理方法およびユーザデバイス
KR20130069730A (ko) 투영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상호작용하는 방법들 및 시스템들
CN104935723A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KR100664944B1 (ko) 슬라이드 방식의 입력 장치 및 상기 입력 장치를 구비한휴대용 기기
CN102880396A (zh) 一种页面切换的控制方法及设备
US9176526B2 (en) Portable terminal device, image display method used for same, and recording medium to record program for same
JP5885152B2 (ja) 携帯端末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表示制御方法
KR100661584B1 (ko) 네비게이션키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CN105847557A (zh) 一种切换情景模式的方法及装置
JPWO2003077098A1 (ja) 移動体通信装置、移動体通信装置の表示制御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JP2012175486A (ja) 携帯端末装置
KR101781846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이미지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JP4932565B2 (ja) 電子機器及びその操作方法
KR101185186B1 (ko) 3차원 축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3차원 축을 경계로 하는 2차원 평면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CN103488378A (zh) 一种切换选择方法及装置
JP5231976B2 (ja) 携帯電子機器
JP2017162295A (ja) 表示装置
CN1790247A (zh) 用于便携式设备的应用导航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