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4934B1 - 티브이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티브이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4934B1
KR100664934B1 KR1020050003288A KR20050003288A KR100664934B1 KR 100664934 B1 KR100664934 B1 KR 100664934B1 KR 1020050003288 A KR1020050003288 A KR 1020050003288A KR 20050003288 A KR20050003288 A KR 20050003288A KR 100664934 B1 KR100664934 B1 KR 100664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device
control
information
portable storag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3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2920A (ko
Inventor
우주경
최승억
진영규
박상현
조수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3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4934B1/ko
Publication of KR20060082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29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4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49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티브이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티브이 제어 장치는 소정의 제어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휴대용 저장 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스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연결된 상기 휴대용 저장 장치에 저장된 상기 제어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부, 및 상기 판독부에 의해 판독된 제어 정보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티브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용 저장 장치를 통해서 사용자별 기호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티브이 제어가 가능하다.
티브이, 제어, 카드

Description

티브이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TV contro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티브이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티브이 제어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휴대용 저장 장치를 사용하여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 받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청 제한 정보를 통한 티브이 제어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 위치 정보 기록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 위치 정보를 통한 서비스 제공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휴대용 저장 장치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데이터가 저장된 저장 영역에 접근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0 : 티브이 제어 장치 110 : 저장 장치 인터페이스부
120 : 판독부 130 : 제어부
140 : 사용자 입력부 150 : 설정부
200 : 휴대용 저장 장치
본 발명은 티브이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용 저장 장치에 저장된 제어 정보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티브이를 제어하는 티브이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TV(티브이)는 TV를 시청하는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설정으로 TV의 기능을 일일이 셋팅하도록 되어 있으며 한번 셋팅된 설정 상태는 TV에 기억된다. 그 후 다른 사용자가 동일한 TV를 사용할 경우에 TV는 이전에 셋팅된 설정에 따라서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예컨대 사용자가 TV의 볼륨 크기를 '10'으로 설정하였다면, TV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볼륨 크기를 기억하여 둔다. 따라서 차후에 사용자가 다시 TV를 사용하게 될 경우에도 TV는 볼륨 크기를 '10'으로 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그러나 사용자 마다 선호하는 TV 설정 상태가 다르므로, 종래 기술에 따를 경우 사용자는 TV를 시청할 때마다 자신에게 최적화된 설정 값을 TV에 셋팅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특히 사용자가 호텔 객실에 비치된 TV를 사용할 경우와 같이, 자주 이용하지 않는 TV를 사용하게 될 경우 이러한 불편함은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TV가 사용자별 기호에 맞는 서비스를 보다 간편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휴대용 저장 장치를 통해서 티브이가 사용자별 기호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티브이 제어 장치는 소정의 제어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휴대용 저장 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스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연결된 상기 휴대용 저장 장치에 저장된 상기 제어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부, 및 상기 판독부에 의해 판독된 제어 정보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티브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티브이 제어 방법은 소정의 제어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휴대용 저장 장치가 연결된 경우, 상기 휴대용 저장 장치에 저장된 상기 제어 정보를 판독하는 단계, 및 상기 판독된 제어 정보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티브이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티브이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티브이 제어 시스템은 티브이 제어 장치(100), 휴대용 저장 장치(200) 및 티브이(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휴대형 저장 장치(200)는 플래시 메모리와 같이 데이터를 읽고, 쓰고, 지울 수 있는 성질을 갖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고 있으며, 티브이 제어 장치(100)에 연결이 가능한 데이터 저장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휴대용 저장장치의 예로는 스마트 카드, 메모리 스틱, CF카드, XD카드, 멀티미디어카드 등을 들 수 있다.
따라서 휴대용 저장장치(200)는 소정의 제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휴대용 저장장치(200)에 저장된 제어 정보는 티브이 설정 정보, 시청 제한 정보, 선호 채널 정보, 시청 히스토리 정보, 저장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티브이 설정 정보는 화면 밝기, 볼륨 크기, 배색, 콘트라스트와 같은 영상 및 음성 출력 상태를 설정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시청 제한 정보는 시청 가능한 채널, 시청 가능한 시간대, 시청 가능한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선호 채널 정보는 사용자가 즐겨 시청하는 방송 채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시청 히스토리 정보는 사용자가 과거 시청하였던 방송 채널, 프로그램 및 시간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저장 위치 정보는 PVR 등을 통해 녹화해 두었던 프로그램, 예약 녹화 설정 정보 및 기타 사용자가 티브이에 저장시켜 두었던 데이터의 저장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한편, 티브이 제어 장치(100)는 저장 장치 인터페이스부(110), 판독부(120), 제어부(130), 사용자 입력부(140) 및 설정부(150)를 포함한다.
저장 장치 인터페이스부(110)는 휴대용 저장 장치(200)가 티브이 제어 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기본적으로 휴대용 저장 장치(200)가 티브이 제어 장치(100)와 연결된다는 것은 휴대용 저장 장치(200)와 티브이 제어 장치(100)가 서로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연결'이라는 의미는 휴대용 저장 장치(200)와 티브이 제어 장치(100)가 비 접촉 상태에서 무선매체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는 상태에 있다는 의미도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한다.
판독부(120)는 저장 장치 인터페이스부(170)에 연결된 휴대용 저장 장치(200)에 저장된 소정의 제어 정보를 판독한다.
제어부(130)는 판독부(120)에 의해 판독된 제어 정보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 하도록 티브이(300)를 제어한다. 제어부(130)의 티브이 제어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사용자 입력부(14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설정부(150)로 출력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 입력부(140)는 키패드, 터치패드, 터치스크린 등과 같이 사용자가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리모콘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경우, 사용자 입력부(140)는 리모콘으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해석하여 이를 설정부(150)로 출력할 수도 있다.
설정부(150)는 사용자 입력부(140)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에 따라서 저장 장치 인터페이스부(110)에 연결된 휴대용 저장 장치(200)에 제어 정보를 기록하거나, 휴대용 저장 장치(200)에 저장된 제어 정보를 변경 또는 삭제시킨다.
또한 설정부(150)는 사용자가 티브이를 시청하는 경우, 사용자가 시청한 방송 채널, 프로그램 명, 시청 시간 등, 사용자의 방송 시청 히스토리를 휴대용 저장 장치(200)에 기록한다.
도 1의 실시예에서는 티브이 제어 장치(100)가 티브이(300)와 독립된 객체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티브이 제어 장치(100)는 티브이(300)를 구성하는 컴포넌트로서 존재할 수도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티브이 제어 장치(100)를 구성하는 기능성 블록들의 동작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티브이 제어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최초 사용자 입력부(140)를 통해서 소정의 사용자 요청이 수신되면(S110), 저장 장치 인터페이스부(110)는 휴대용 저장 장치(200)가 연결 되었는지 판단한다(S120).
휴대용 저장 장치(200)가 저장 장치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연결된 경우, 판독부(120)는 휴대용 저장 장치(200)에 저장된 제어 정보를 판독한다(S130).
이 때 제어부(140)는 판독부(160)에 의해 판독된 제어 정보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티브이(300)를 제어한다(S140).
예를 들어 휴대용 저장 장치(200)가 티브이 설정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경우, 제어부(130)는 휴대용 저장 장치(200)에 저장된 티브이 설정 정보에 따라서 티브이의 화면 밝기, 볼륨 크기, 배색, 콘트라스트 등을 셋팅시킨다. 이러한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집에서뿐만 아니라 여행지나 기타 다른 지역에서도 자신에게 최적화된 티브이 설정 정보 저장하고 있는 휴대용 저장 장치(200)를 통해서 동일한 설정이 적용된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
휴대용 저장 장치(200)에 저장된 제어 정보가 시청 제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제어부(130)의 동작 과정(S140)을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휴대용 저장 장치(200)가 시청 제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경우, 제어부(130)는 시청 제한 정보와 사용자의 요청 사항을 비교하여(S210) 티브이 시청이 허용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20).
예를 들어 시청 제한 정보가 시청 가능한 채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시청을 요청한 채널이 시청 제한 정보에서 허용하는 채널인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시청 제한 정보가 시청 가능한 시간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면, 사용자의 티브이 시청 요청시 제어부(130)는 현재 시간과 휴대용 저장 장치(200)에 저장된 시청 제한 정보의 시간대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티브이 시청이 가능한 시간인지를 판단할 수도 있다.
티브이 시청이 허용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서 방송을 출력하도록 티브이를 제어한다(S230).
그러나 판단 결과(S220) 티브이 시청이 허용되지 않는다면, 제어부(130)는 방송 출력을 제한하도록 티브이를 제어할 수 있다(S240).
이에 따라서 특정 채널에서 방영되는 프로그램에 대해서만 티브이 시청이 가능하도록 하거나, 특정 시간대에만 티브이 시청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휴대용 저장 장치(200)에 저장된 시청 제한 정보는 시청 가능 연령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30)는 시청 제한 정보에 포함된 연령대에 맞는 프로그램에 대해서만 방송 출력을 허용하도록 티브이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시청 제한 정보는 부모가 자녀의 티브이 시청을 관리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한편, 휴대용 저장 장치(200)에 저장된 제어 정보가 선호 채널 정보나 시청 히스토리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서 티브이의 화면을 통해 선호 채널 정보 또는 시청 히스토리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선호 채널 정보는 사용자가 즐겨 시청하는 방송을 특정된 채널 번호에 매핑시킨 정보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사용자는 어디에서나 동일한 채널 번호를 통해 자신이 즐겨 시청하는 방송을 선택할 수 있다.
시청 히스토리 정보는 사용자가 티브이를 시청할 때마다 설정부(150)에 의해 휴대용 저장 장치(200)에 기록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시청 히스토리 정보를 통해 자신이 시청하였던 방송 채널, 프로그램, 시청 시간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휴대용 저장 장치(200)에 저장된 제어 정보가 저장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서 사용자가 녹화한 프로그램, 예약 녹화 설정 정보 및 기타 사용자가 티브이에 저장시켜 두었던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저장 위치 정보 또한 설정부(150)에 의해 휴대용 저장 장치(200)에 기록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 위치 정보 기록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티브이가 녹화 장치와 연결되어 있거나 프로그램 녹화 기능을 제공하는 경우, 최초 사용자 입력부(140)를 통해 프로그램 녹화 요청이 수신되면(S310) 제어부(130)는 녹화 장치 또는 티브이에게 사용자에 의해 요청된 프로그램의 녹화를 지시한다(S320). 이러한 녹화장치 또는 티브이의 녹화기능을 담당하는 수단은 PVR과 같은 디지털 저장 매체에 데이터를 저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부(130)는 휴대용 저장 장치(200)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예컨대, MAC 어드레스나 디바이스 시리얼넘버 등) 등을 사용하여 휴대용 저장 장치를 위한 고유한 저장 영역을 설정하도록 녹화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녹화장치는 휴대용 저장 장치마다 별도의 저장 영역을 할당할 수 있다.
녹화 장치에 의해 프로그램이 녹화되는 경우, 설정부(150)는 저장 장치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연결된 저장 장치에, 녹화된 프로그램이 저장된 위치에 대한 정보를 기록한다(S330).
추후 사용자가 자신이 녹화해 둔 프로그램을 재생시키려는 경우, 사용자는 휴대용 저장 장치(200)를 통해 자신이 녹화한 프로그램을 간편히 검색할 수 있다. 이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사용자 입력부(14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녹화된 프로그램 검색 요청이 수신된 경우(S410), 저장 장치 인터페이스부(110)는 휴대용 저장 장치(200)가 연결 되었는지 판단한다(S420).
휴대용 저장 장치(200)가 저장 장치 인터페이스부(110)에 연결된 경우, 판독부(130)는 휴대용 저장 장치(200)에 저장된 저장 위치 정보를 판독한다(S430).
이 때 제어부(130)는 판독된 저장 위치에 저장된, 녹화된 프로그램이 재생될 수 있도록 녹화장치 또는 티브이를 제어할 수 있다(S440). 만약 휴대용 저장 장치(200)가 복수의 저장 위치 정보를 저장 하고 있다면, 제어부(130)는 각 저장 위치에 저장된 프로그램의 메타 데이터를 제공하고 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프로그램을 재생시키도록 티브이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휴대용 저장 장치를 소지한 사용자가 저장한 데이터에 다른 휴대용 저장 장치를 소지한 사용자가 접근하지 못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저장시켜둔 데이터에 손쉽게 접근할 수 있으며, 자신이 저장시켜둔 데이터에 다른 사용자가 접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2의 흐름도에서 휴대용 저장 장치(200)가 저장 장치 인터페이스부(110)에 연결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130)는 기 설정된 설정 값에 따라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티브이를 제어할 수 있다(S150).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제어부(130)는 휴대용 저장 장치(200)가 저장 장치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연결되지 않은 경우 티브이 시청을 허용하지 않도록 티브이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티브이 설정 제어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휴대용 저장 장치를 통해서 사용자별 기호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티브이 제어가 가능하다.

Claims (5)

  1. 소정의 제어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휴대용 저장 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스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연결된 상기 휴대용 저장 장치에 저장된 상기 제어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부; 및
    상기 판독부에 의해 판독된 제어 정보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티브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정보는 티브이 설정 정보, 시청 제한 정보, 선호 채널 정보, 시청 히스토리 정보, 저장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 제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연결된 상기 휴대용 저장 장치에 상기 제어 정보를 기록하는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 제어 장치.
  3. 삭제
  4. 소정의 제어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휴대용 저장 장치가 연결된 경우, 상기 휴대용 저장 장치에 저장된 상기 제어 정보를 판독하는 단계; 및
    상기 판독된 제어 정보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티브이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 제어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는 티브이 설정 정보, 시청 제한 정보, 선호 채널 정보, 시청 히스토리 정보, 저장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 제어 방법.
KR1020050003288A 2005-01-13 2005-01-13 티브이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6649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3288A KR100664934B1 (ko) 2005-01-13 2005-01-13 티브이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3288A KR100664934B1 (ko) 2005-01-13 2005-01-13 티브이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2920A KR20060082920A (ko) 2006-07-20
KR100664934B1 true KR100664934B1 (ko) 2007-01-04

Family

ID=37173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3288A KR100664934B1 (ko) 2005-01-13 2005-01-13 티브이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493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2920A (ko) 200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2644B1 (ko) 복수의 개개인의 유저와 유저 카테고리를 위한 비디오 레코딩 시스템 및 방법
US8855467B2 (en) Content recorder multi-angle viewing and playback
CN101341741B (zh) 用于为典型虚拟频道提供缺省设置的模板的系统、设备和方法
KR100712574B1 (ko) 기록 재생 방법 및 기록 재생 장치
US20010055465A1 (en) Television signal recei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cording of television signals
KR20080094832A (ko) 복수 채널 병렬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US20060215990A1 (en) Multi-user PVR
KR20110070790A (ko) 콘텐츠 제공 서버, 콘텐츠 재생 장치, 콘텐츠 제공 방법, 콘텐츠 재생 방법, 프로그램 및 콘텐츠 제공 시스템
US20060233524A1 (en)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and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EP1887799A1 (en) Video preproduction limiting method and video player
US20060232707A1 (en) Broadcast receiver and broadcast receiving method
KR19990044751A (ko) 디지털 화상 재생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2001101797A (ja) デジタル放送記録再生装置
JP2005136527A (ja) 電子機器、情報転送装置、情報転送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US20060272001A1 (en) AV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080072201A (ko) 메모리 포맷이 가능한 디지털 전자기기, 메모리 포맷 방법,그리고, 저장기능을 가지는 디지털 전자기기 및 저장방법
KR100664934B1 (ko) 티브이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06311121A (ja) 番組選択装置
JP2012033981A (ja) 制御装置、録画機器
JP2003319304A (ja) 放送番組の予約方法、放送番組録画装置、及び放送番組予約用プログラム
CN100380947C (zh) 记录设备和记录方法
KR100609165B1 (ko) 사용자별 관리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기록재생장치
JP2005080012A (ja) 記録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7300402A (ja) 電子機器システム、および電子機器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2007201714A (ja) 番組情報提供システム、番組情報提供装置、及び、携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