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4750B1 - 해양구조물 도포용 해양생물 착생촉진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해양구조물 도포용 해양생물 착생촉진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4750B1
KR100664750B1 KR1020050087268A KR20050087268A KR100664750B1 KR 100664750 B1 KR100664750 B1 KR 100664750B1 KR 1020050087268 A KR1020050087268 A KR 1020050087268A KR 20050087268 A KR20050087268 A KR 20050087268A KR 100664750 B1 KR100664750 B1 KR 100664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rine
resins
resin
composition
hexan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7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현웅
박남식
박관순
임치영
정상목
김경호
Original Assignee
에스엠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엠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엠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7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47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4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4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1/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oxygen or sulfur compounds
    • A01N31/02A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solids as carriers or diluents
    • A01N25/10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6Antifouling paints; Underwater paints

Abstract

본 발명은 해양구조물 도포용 해양생물 착생촉진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의 해양구조물에 헥산올(hexanol), 퍼퍼릴알코올(furfuryl alcohol) 및 시스-3-헥센-1-올(cis-3-hexen-1-ol)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알코올을 바인더 및 용제에 혼합하여 도포하면 해양생물들의 착생 및 성장효과를 부여함을 알게 됨으로써 생태계 파괴로 인한 해양착생생물의 착생이 어려운 해양 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는 새로운 해양구조물 도포용 해양생물 착생촉진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해양구조물, 도포, 착생촉진제, 헥산올(hexanol), 퍼퍼릴알코올(furfuryl alcohol), 시스-3-헥센-1-올(cis-3-hexen-1-ol)

Description

해양구조물 도포용 해양생물 착생촉진제 조성물{Composition of attachment agents for marine man-made structure}
도 1은 착생촉진제(FAs)을 슬라이드 글라스 위 도포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착생촉진제 조성물에 관한 착생능 측정을 위한 PVC 쿠폰 패널 모형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해양구조물 도포용 해양생물 착생촉진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의 해양구조물에 헥산올(hexanol), 퍼퍼릴알코올(furfuryl alcohol) 및 시스-3-헥센-1-올(cis-3-hexen-1-ol)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알코올을 바인더 및 용제에 혼합하여 도포하면 해양생물들의 착생 및 성장효과를 부여함을 알게 됨으로써 생태계 파괴로 인한 해양착생생물의 착생이 어려운 해양 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는 새로운 해양구조물 도포용 해양생물 착생촉진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착생이란 저서생물체(benthic organisms)가 인공물체 등에 부착, 성장하는 것을 말한다.
현재 주로 사용되고 있는 해중 해양생물 부착 효과를 주기 위한 방법으로는 구조물로 시멘트, 철재, 세라믹, 섬유, 폐섬유, 합성수지(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클로리드), 폐타이어 등이 사용되어져 왔으나 시멘트 구조물은 초기 해양착생생물들의 착생하기 어려운 유해물질 방출로 해양착생생물들의 구조물 표면에 조기 착생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을 뿐 아니라 합성수지로부터 만들어진 구조물 경우 그 표면의 표면장력이 낮아 해양착생생물들이 착생할 때 쉽게 해수 유동에 의해 착생생물 포자들이 미끄려져 착생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구조물에 해양착생생물들이 착생 및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착생촉진제 조성물을 일정한 두께로 도포하여 해양착생생물들의 조기 착생 및 성장을 촉진시켰다.
일반적으로 착생촉진제 조성물 사용 없이 해양구조물로서 시멘트, 철재, 세라믹, 섬유, 폐섬유, 합성수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클로리드), 폐타이어 등으로 해양구조물로만 만들어져 사용되어졌으나, 시멘트 구조물 사용 중 방출되는 유해물질로 인해 해양착생생물들의 조기 착생에 어려움이 있어 효과적인 착생효과를 주지 못해 왔다.
또한,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300704호에는 재생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 인공어초를 개시하고 있으나, 해양착생생물들의 조기착생 효과를 주지 못한 문제점을 극복하지 못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한 결과, 헥산올(hexanol), 퍼퍼릴알코올(furfuryl alcohol) 및 시스-3-헥센-1-올(cis-3-hexen-1-ol)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알코올 화합물을 바인더와 용제를 혼합하여 해양구조물에 도포하면 해양생물들의 착생 및 성장효과를 부여함을 밝힘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헥산올(hexanol), 퍼퍼릴알코올(furfuryl alcohol) 및 시스-3-헥센-1-올(cis-3-hexen-1-ol)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알코올 화합물, 바인더 및 용제를 함유하는 해양구조물 도포용 해양생물 착생촉진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헥산올(hexanol), 퍼퍼릴알코올(furfuryl alcohol) 및 시스-3-헥센-1-올(cis-3-hexen-1-ol)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알코올 화합물, 바인더 및 용제를 함유하는 해양구조물 도포용 해양생물 착생촉진제 조성물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기존의 해양구조물에 헥산올, 퍼퍼릴알코올 및 시스-3-헥센-1-올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알코올을 바인더 및 용제와 혼합하여 도포하면 해양생물들의 착생 및 성장효과를 부여함을 알게 됨으로써 생태계 파괴로 인한 해양착생생물의 착생이 어려운 해양 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는 새로운 해양구조물 도포용 해양생물 착생촉진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착생촉진제, 바인더 및 용제로 구성되는 착생촉진제 조성물 제조에 있어서, 상기 착생촉진제 물질로 헥산올, 퍼퍼릴알코올 및 시스-3-헥센-1-올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알코올 화합물이 사용되는 해양구조물 도포용 해양생물 착생촉진제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양구조물 도포용 해양생물 착생촉진제 조성물 중 착생촉진제의 유효성분으로 헥산올, 퍼퍼릴알코올 및 시스-3-헥센-1-올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알코올 화합물을 사용하며, 이의 바람직한 함량은 1 ~ 45 중량%,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5 ~ 30 중량%이다. 상기 범위 미만의 경우에는 해양착생생물의 착생능이 부족하며, 이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타 조성 성분과의 혼합성, 장기 보관성 등이 저하된다.
본 발명의 해양구조물 도포용 해양생물 착생촉진제 조성물 중 사용될 수 있는 바인더로는 합성수지 및 천연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그 예로는, 초산비닐수지, 염화비닐수지 등의 비닐계 수지, 우레탄 수지, 염화고무 수지, 프탈산 수지, 알키드 수지, 에폭시 수지, 페놀 수지, 멜라닌 수지, 아크릴 수지, 불소 수지, 실리콘 수지 등의 합성수지와 로진 등의 천연수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 수지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으로 혼합 사용한다. 착생촉진제 조성물 중 바인더의 바람직한 함량은 전체 중량 중 2 ~ 45 중량%,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5 ~ 30 중량%이다. 상기 범위 미만의 경우에는 도료의 부착성이 저하되며, 이 범위를 초과할 경우에는 착생촉진제 조성물 제조시 타 조성물과의 상용성의 저하 및 혼합물 점도 상승으로 인해 구조물에 도포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해양구조물 도포용 해양생물 착생촉진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용제는, 크실렌,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등과 같은 탄화수소계, 케톤류 용제 및 셀루솔브 아세테이트 등이며, 그 사용량은 10 ~ 50 중량%가 적절하다. 이 범위 미만의 경우에는 점도가 지나치게 높게 되어 구조물에 도포하기 힘들며, 이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구조물에 대한 해양착생생물들의 착생능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조성 및 함량으로 제조된 해양구조물 도포용 해양생물 착생촉진제 조성물의 해양착생생물들에 대한 착생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착생생물착생시험(agar diffusion method), 쿠폰패널 해수침지시험을 통해 우수한 착생능이 검증되어 해중에 효과적인 착생생물의 서식지를 제공해주어 수산자원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은 다음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는바,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해양구조물 도포용 해양생물 착생촉진제 조성물 제조
실시예 1
0.5 ℓ함석용기에 비닐수지 60 g을 넣고 크실렌 60 g과 메틸이소부틸케톤을 30 g을 넣은 후 교반기를 통해 용해될 때까지 잘 혼합하였다. 헥산올 50 g을 첨가한 후 3500 rpm에서 60분 동안 교반기로 사용하여 혼합하여 착생촉진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0.5 ℓ함석용기에 비닐수지 60 g을 넣고 크실렌 60 g과 메틸이소부틸케톤을 30 g을 넣은 후 교반기를 통해 용해될 때까지 잘 혼합하였다. 퍼퍼릴알코올 50 g을 첨가한 후 3500 rpm에서 60분 동안 교반기로 사용하여 혼합하여 착생촉진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0.5 ℓ함석용기에 비닐수지 60 g을 넣고 크실렌 60 g과 메틸이소부틸케톤을 30 g을 넣은 후 교반기를 통해 용해될 때까지 잘 혼합하였다. 시스-3-헥센-1-올 50 g을 첨가한 후 3500 rpm에서 60분 동안 교반기로 사용하여 혼합하여 착생촉진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0.5 ℓ함석용기에 비닐수지 60 g을 넣고 크실렌 60 g과 메틸이소부틸케톤을 30 g을 넣은 후 교반기를 통해 용해될 때까지 잘 혼합하였다. 헥산올 20 g과 퍼퍼릴알코올 30 g을 첨가한 후 3500 rpm에서 60분 동안 교반기로 사용하여 혼합하 여 착생촉진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0.5 ℓ함석용기에 비닐수지 60g 을 넣고 크실렌 60g 과 메틸이소부틸케톤을 30 g을 넣은 후 교반기를 통해 용해될 때까지 잘 혼합하였다. 헥산올 20 g과 시스-3-헥센-1-올 30g 을 첨가한 후 3500rpm에서 60분 동안 교반기로 사용하여 혼합하여 착생촉진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0.5 ℓ함석용기에 비닐수지 40 g과 로진 40 g을 넣고 크실렌 20 g과 메틸이소부틸케톤을 40 g을 넣은 후 교반기를 통해 용해될 때까지 잘 혼합하였다. 헥산올 60 g을 첨가한 후 3500 rpm에서 60분 동안 교반기로 사용하여 혼합하여 착생촉진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0.5 ℓ함석용기에 비닐수지 60 g과 로진 60 g을 넣고 크실렌 20 g과 메틸이소부틸케톤을 40 g을 넣은 후 교반기를 통해 용해될 때까지 잘 혼합하였다. 헥산올 20 g을 첨가한 후 3500 rpm에서 60분 동안 교반기로 사용하여 혼합하여 착생촉진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
0.5 ℓ함석용기에 비닐수지 40 g과 로진 40 g을 넣고 크실렌 20 g과 메틸이소부틸케톤 40 g을 넣은 후 교반기를 통해 용해될 때까지 잘 혼합하였다. 헥산올 60 g을 첨가한 후 3500 rpm에서 60분 동안 교반기로 사용하여 혼합하여 착생촉진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0.5 ℓ함석용기에 비닐수지 100 g을 넣고 크실렌 59 g과 메틸이소부틸케톤을 40 g을 넣은 후 교반기를 통해 용해될 때까지 잘 혼합하였다. 헥산올 1 g을 첨가한 후 3500 rpm에서 60분 동안 교반기로 사용하여 혼합하여 착생촉진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0.5 ℓ함석용기에 비닐수지 100 g을 넣고 크실렌 59 g과 메틸이소부틸케톤을 40 g을 넣은 후 교반기를 통해 용해될 때까지 잘 혼합하였다. 퍼퍼릴알코올 1 g 을 첨가한 후 3500 rpm에서 60분 동안 교반기로 사용하여 혼합하여 착생촉진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0.5 ℓ함석용기에 비닐수지 100 g을 넣고 크실렌 59 g과 메틸이소부틸케톤을 40 g을 넣은 후 교반기를 통해 용해될 때까지 잘 혼합하였다. 시스-3-헥센-1-올 1 g을 첨가한 후 3500 rpm에서 60분 동안 교반기로 사용하여 혼합하여 착생촉진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분 착생촉진제 바인더 용제
헥산올 퍼퍼릴알코올 시스-3-헥센-1-올 비닐수지1) 로진2) 크실렌 메틸이소부틸케톤
실시예 1 25 - - 30 - 30 15
실시예 2 - 25 - 30 - 30 15
실시예 3 - - 25 30 - 30 15
실시예 4 10 15 - 30 - 30 15
실시예 5 10 - 15 30 - 30 15
실시예 6 30 - - 20 20 10 20
실시예 7 10 - - 30 30 10 20
실시예 8 30 - - 20 20 10 20
비교예 1 0.5 - - 50 - 29.5 20
비교예 2 0.5 - - 50 - 29.5 20
비교예 3 0.5 - - 50 - 29.5 20
1) VMCH, VYHH, VMCA, VROH, VAGH, Dow Chemicals 2) DX 100, 200, 400, 600, 700, 800, 900 series, Laton Korea Co. Ltd.
시험예 1: 착생촉진제의 착생시험(agar diffusion method) 검증
착생촉진제의 착생능을 검증하기 위한 일차 실험중 하나로 착생촉진제의 포자에 대한 착생율을 측정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증류수 100 ㎖에 2 g의 한천을 넣고 가열하여 액체 형태의 한천배지(2%)를 만들고, 제작된 한천배지는 항온수조(52 ℃)에 넣어 액상 상태를 유지시켰다. 2% 한천배지 5 ㎖에 상기 실시예 1 ~ 8 및 비교예 1 ~ 3 에 사용된 착생촉진제 5 ㎕를 넣어 1000 ㎎/ℓ의 시료 제작하였으며, 동일 방법으로 10 ㎎/ℓ의 시료를 제작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제작한 시료를 1 ㎖씩 슬라이드 글라스에 도말하여 30분간 상온에서 건조시켰다. 대조군으로는 2% 한천배지를 도말하여 사용하였다. 구멍갈파래의 포자를 방출한 바닷물에 준비한 슬라이드를 넣고 18 시간동안 암실에 보관하였다. 18시간 후에 흐르는 물에 슬라이드를 표면을 세척한 뒤 광학 현미경(Olympus CK2)을 이용하여 ×400 배율로 포자의 착생정도를 관찰하였다[도 1].
각 도포된 면적기준 단위면적당(cell/㎝2) 포자수를 세어 동일방법으로 대조군으로 사용된 2% 한천배지의 단위면적당 착생된 포자수를 상대 비교하였다.
착생촉진제의 착생시험(agar diffusion method) 검증
구분(착생촉진제) 농도(㎎/ℓ)
10 1000
대조군 40 ±6 cell/㎝2
실시예 1(헥산올) 960 ±26 cell/㎝2 1210 ±32 cell/㎝2
실시예 2 (퍼퍼릴알코올) 890 ±35 cell/㎝2 1110 ±34 cell/㎝2
실시예 3 (시스-3-헥센-1-올) 880 ±25 cell/㎝2 1170 ±35 cell/㎝2
시험예 2: 쿠폰패널 해수침지 시험검증
쿠폰 패널은 PVC 소재를 이용 1500 ㎜ × 600 ㎜(L×W) 크기로 제작한 다음, 50 ㎜ 간격으로 직경 30 ㎜, 깊이 3 ㎜의 실험구를 뚫어 제작하였으며, 연안 설치 후 PVC 판의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해 4개의 실험구 사이에 한 개의 구멍을 뚫어 물의 흐름을 원활하도록 하였다[도 2].
쿠폰패널 해수침지시험을 위해 구폰 패널에 도포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1 ~ 8 및 비교예 1 ~ 3의 착생촉진제 조성물을 각 500 g 함석용기에 착생촉진제, 바인더, 용제를 넣은 후 3500 rpm에서 60분 동안 교반기를 사용하여 잘 혼합하였다. 쿠폰 PVC에 잘 혼합된 상기 실시예 1 ~ 8 및 비교예 1 ~ 3의 착생촉진제 조성물을 각각 1 ㎖, 2 ㎖씩 피펫을 이용하여 실험구에 주입하였다. 주입 후 상온에서 2 ~ 3일간 잘 건조하여 동해 속초 근교 아야진 내항에 설치하였다. 설치방법으로는 쿠폰 패널을 부표를 이용하여 수심 0.5 ~ 2 M 이내가 되도록 설치하였다.
쿠폰패널 해수침지시험 설치 30일 경과 후 쿠폰패널의 각 도포된 셀의 면적기준 상, 중, 하(High, H; Medium, M; Low, L)로 착생 정도를 표기하였다.
쿠폰패널 해수 침지시험 검증
구분 쿠폰패널 해수 침지 30일 경과
1 ㎖ 2 ㎖
대조군 L L
실시예 1 H H
실시예 2 H H
실시예 3 H H
실시예 4 H H
실시예 5 H H
실시예 6 H H
실시예 7 M H
실시예 8 H H
비교예 1 L L
비교예 2 L L
비교예 3 L L
a) 대조군: PVC 단독 b) 구폰 패널 착생생물 착생정도: High(H), Medium(M), Low(L)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양구조물 도포용 해양생물 착생촉진제 조성물은 해양환경 오염으로 인해 해중 착생생물의 서식지가 차츰 사라져가는 해양환경에서 해양구조물에 착생촉진제 조성물을 도포하여 착생을 촉진함으로써 해중에 효과적인 착생생물의 서식지를 형성해 줌으로써 수산자원을 증대시킬 수 있다.

Claims (4)

  1. 헥산올(hexanol), 퍼퍼릴알코올(furfuryl alcohol) 및 시스-3-헥센-1-올(cis-3-hexen-1-ol)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알코올 화합물 1 ~ 45 중량%, 바인더 2 ~ 45 중량% 및 용제 10 ~ 50 중량%가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해양구조물 도포용 해양생물 착생촉진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는 비닐 수지, 우레탄 수지, 염화고무 수지, 프탈산 수지, 알키드 수지, 에폭시 수지, 페놀 수지, 멜라닌 수지, 아크릴 수지, 불소 수지, 실리콘 수지 및 로진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구조물 도포용 해양생물 착생촉진제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제는 크실렌,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및 셀루솔브 아세테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구조물 도포용 해양생물 착생촉진제 조성물.
  4. 헥산올(hexanol), 퍼퍼릴알코올(furfuryl alcohol) 및 시스-3-헥센-1-올(cis-3-hexen-1-ol)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알코올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구조물 도포용 해양생물 착생촉진제.
KR1020050087268A 2005-09-20 2005-09-20 해양구조물 도포용 해양생물 착생촉진제 조성물 KR100664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7268A KR100664750B1 (ko) 2005-09-20 2005-09-20 해양구조물 도포용 해양생물 착생촉진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7268A KR100664750B1 (ko) 2005-09-20 2005-09-20 해양구조물 도포용 해양생물 착생촉진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4750B1 true KR100664750B1 (ko) 2007-01-10

Family

ID=37866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7268A KR100664750B1 (ko) 2005-09-20 2005-09-20 해양구조물 도포용 해양생물 착생촉진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47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3828B1 (ko) 2007-11-23 2010-02-25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지방산을 포함하는 해양 구조물 도포용 해양생물 착생촉진제 조성물
KR20150132962A (ko) 2014-05-19 2015-11-27 주식회사 씨엠비오텍 해중림 조성을 위한 구조물의 제조방법 및 배합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24073A (en) 1979-08-02 1981-03-07 Dainippon Toryo Co Ltd Long-term anticorrosive and antifouling coating
JPS6065073A (ja) 1983-09-20 1985-04-13 Dainippon Toryo Co Ltd 長期防錆被覆組成物
KR860001613A (ko) * 1984-08-30 1986-03-20 세이지 다까나시 흡착제용 해조류 과립의 제조방법
KR20000017865A (ko) * 1999-12-24 2000-04-06 김우창 해태망 코팅용 양액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20072253A (ko) * 2002-03-30 2002-09-14 (주)성호바이오텍 다기능성 코팅제 및 이에 의해 도포된 섬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24073A (en) 1979-08-02 1981-03-07 Dainippon Toryo Co Ltd Long-term anticorrosive and antifouling coating
JPS6065073A (ja) 1983-09-20 1985-04-13 Dainippon Toryo Co Ltd 長期防錆被覆組成物
KR860001613A (ko) * 1984-08-30 1986-03-20 세이지 다까나시 흡착제용 해조류 과립의 제조방법
KR20000017865A (ko) * 1999-12-24 2000-04-06 김우창 해태망 코팅용 양액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20072253A (ko) * 2002-03-30 2002-09-14 (주)성호바이오텍 다기능성 코팅제 및 이에 의해 도포된 섬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3828B1 (ko) 2007-11-23 2010-02-25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지방산을 포함하는 해양 구조물 도포용 해양생물 착생촉진제 조성물
KR20150132962A (ko) 2014-05-19 2015-11-27 주식회사 씨엠비오텍 해중림 조성을 위한 구조물의 제조방법 및 배합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orham Observations on the Formation and Breakdown of the Oxidized Microzone at the Mud Surface in Lakes 1
EP2781567B1 (en) Antifouling coating composition, antifouling coating film, anti-foul base material,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anti-foul base material
DE60004248T2 (de) Selbstpolierende anwuchsverhindernde anstrichfarbe für wasserfahrzeuge - mit silizium enthaltenden copolymeren und fasern
KR101817486B1 (ko) 방오도료 조성물, 방오도막, 방오기재, 방오기재의 제조방법 및 방오도료 조성물의 저장방법
Callow A world-wide survey of slime formation on anti-fouling paints
Evans et al. Algal biofouling
KR100664750B1 (ko) 해양구조물 도포용 해양생물 착생촉진제 조성물
CN1261506C (zh) 遇水湿润型无毒防污涂料及其制备方法
Hargrave Stability in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mud-water interface: With 2 figures and 1 table in the text
JP3175964B2 (ja) 水域環境改善方法及び水域環境改善用塗料
KR100946557B1 (ko) 알킬 락테이트를 포함하는 해양 구조물 도포용 해양생물착생 촉진제 조성물
JP2007023222A (ja) コーティング用組成物および該組成物を用いた海水用除菌膜の形成方法
KR100943633B1 (ko) 에스테르 고리 화합물을 포함하는 해양 구조물 도포용해양생물 착생 촉진제 조성물
Kitamura et al. Effect of Primary Films on the Settlement of Larvae of a Bryozoan Bugula neritina* 1, 2
JPH10330687A (ja) 水中防汚剤
KR100943828B1 (ko) 지방산을 포함하는 해양 구조물 도포용 해양생물 착생촉진제 조성물
KR100941873B1 (ko) 폴리사카라이드를 포함하는 해양 구조물 도포용 해양생물착생 촉진제 조성물
CN104472442A (zh) 一种适于海洋底栖水生动物养殖的基质
KR100946568B1 (ko) 락테이트 염을 포함하는 해양 구조물 도포용 해양생물 착생촉진제 조성물
KR100885934B1 (ko) 어망용 방오도료
KR20090053524A (ko)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해양 구조물 도포용 해양생물 착생촉진제 조성물
JPH0565433A (ja) 水生生物の付着防止材料
CN1321165C (zh) 低表面能海洋网箱网衣防污涂料
KR101687764B1 (ko) 이노시톨을 함유하는 해양 구조물 착생 촉진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해양 구조물의 표면 도포 방법
KR20090053506A (ko) 알콕시벤잘데히드를 포함하는 해양 구조물 도포용 해양생물착생 촉진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