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2658B1 - 헬멧형 자동 세발기 - Google Patents

헬멧형 자동 세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2658B1
KR100662658B1 KR1020060062642A KR20060062642A KR100662658B1 KR 100662658 B1 KR100662658 B1 KR 100662658B1 KR 1020060062642 A KR1020060062642 A KR 1020060062642A KR 20060062642 A KR20060062642 A KR 20060062642A KR 100662658 B1 KR100662658 B1 KR 1006626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lmet
type automatic
tricycle
outer portion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2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헌
Original Assignee
김기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헌 filed Critical 김기헌
Priority to KR1020060062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26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2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26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45D19/18Hair-colouring caps

Landscapes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미용실과 같은 영업소나 일반 가정의 욕실 등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자동 세발기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급수 및 배수가 가능한 이중구조인 헬멧부재 속에 저장수단 및 세발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는 헬멧부재를 착용한 상태에서 제어수단을 통해 해당 모드에 대한 선택만으로 일련의 세발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헬멧형 자동 세발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급수 및 배수 가능한 이중구조의 헬멧부재 속에 저장수단 및 세발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머리를 감을 때와 동일한 두피 마사지 및 세정 효과가 발휘된다. 또한, 본 발명은 헬멧부재 속에 건조수단이 구비되어, 샴푸나 린스 및 헹굼은 물론, 건조 과정까지 사용자가 스스로 일괄할 수 있으므로 이발관이나 미용실과 같은 영업소에서는 인건비를 절감할 뿐만 아니라, 생산성을 제고하는 효과가 뛰어나다. 특히, 헬멧부재의 크기를 최적화함으로써, 세발시 사용되는 물이나 세제와 같은 자원의 낭비를 근본적으로 차단하는 경제적인 효과도 뛰어나다.
세발, 모발, 두발, 세척, 세정, 머리, 미용

Description

헬멧형 자동 세발기{Helmet Type Automatic Hair Washer}
도 1은 종래기술의 실시형태를 단면 상태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헬멧형 자동 세발기를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헬멧형 자동 세발기의 사용 상태를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헬멧형 자동 세발기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헬멧형 자동 세발기를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헬멧형 자동 세발기의 다른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헬멧부재 11 : 외형부
12 : 내형부 12a: 분사노즐
13 : 호스 13a: 밸브
14 : 흡기공 15 : 삽입구
16 : 급수구 17 : 배수구
20 : 저장수단 21 : 주입구
22 : 분출구 23 : 커버
30 : 세발수단 31 : 구동모터
31a: 회전축 32 : 진동판
33 : 마찰돌기 40 : 제어수단
41 : 버턴 50 : 건조수단
51 : 케이스 51a: 배기공
52 : 송풍팬 53 : 전열선
60 : 밀봉수단 61 : 부착구
70 : 수납수단 80 : 조절수단
81 : 가변연결부 81a: 주름
82 : 고정부재 90 : 설치부재
91 : 앉은 판 92 : 팔걸이
본 발명은 이·미용실과 같은 영업소나 일반 가정의 욕실 등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자동 세발기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급수 및 배수가 가능한 이중구조인 헬멧부재 속에 저장수단 및 세발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는 헬멧부재를 착용한 상태에서 제어수단을 통해 해당 모드에 대한 선택만으로 일련의 세발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헬멧형 자동 세발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미용실과 같이 두발관리를 위주로 하는 영업소에서는 인건비를 줄이거나, 보다 나은 접객 서비스를 위해 다양한 형태의 자동 세발기와 관련된 기술이 요구된다. 이와 같은 실정이 반영된 기술의 일종으로,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332655호(2002. 4. 2 등록, 이하 '종래기술'이라 함)에서 개시된 기술을 들 수 있다.
상기한 종래기술에서 개시된 기술적 구성을 살펴보면, 도 1에서처럼 외형을 이루는 케비넷(1) 속에 목 받침(2a)이 구비된 수조(2)를 형성하되, 이 수조(2)는 세발자가 누운 상태에서 머리 삽입을 위한 입구(2b)를 형성하고, 그 내부 바닥에는 배수구(3)가 구비되며, 내부 벽면에는 다수의 샤워 헤드(S1∼S12) 및 노즐 헤드(N1∼N6)가 구비된다. 이 샤워 헤드(S1∼S12)는 설치위치에 따라 두정부(頭頂部), 측두부(側頭部), 후두부(後頭部) 및 목덜미 부분을 각각 세정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세발자가 누운 상태에서 수조(2) 내부로 급수되는 샤워 헤드(S1∼S12) 및 노즐 헤드(N1∼N6)의 수압으로만 샴푸 및 린스 그리고 헹굼이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두피자극과 같은 섬세한 부분에 대한 세정효과를 기대하 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종래기술과 같이 일련의 과정을 분사노즐의 수압에만 의존할 경우, 과도한 세정수 사용에 따른 물의 낭비를 막을 수 없다.
또한, 종래기술은 세발자의 각 두부별로 분사되는 샤워 헤드(S1∼S12)의 분사압력을 일괄적으로 조정되는 것에 불과한 것으로, 수압에 대한 자극이 민감한 목덜미나 둔감한 두정부(頭頂部)에 가해지는 수압이 동일하게 됨으로 세발자가 자극이 민감한 특정부위에서는 강한 수압에 의해 통증을 일으키게 되고, 자극에 둔한 다른 부위에서는 상대적으로 약한 수압에 의해 개운함을 느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급수 및 배수가 가능한 이중구조의 헬멧부재 속에 저장수단 및 세발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머리를 감을 때와 동일한 두피 마사지 및 두발세정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헬멧형 자동 세발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헬멧부재 속에 건조수단을 더 구비함으로써, 샴푸나 린스 및 헹굼은 물론, 드라이 과정까지 일괄 구현하게 됨으로 세발을 위해 소비하는 불필요한 시간의 낭비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헬멧형 자동 세발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헬멧형 자동 세발기는 급수 및 배수를 위한 호스가 연결된 외형부 및 내형부로 이루어진 이중구조의 헬멧부재 내에 세정액을 담긴 저장수단과 두피자극을 위한 세발수단을 구비되고, 여기에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연결된 제어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헬멧형 자동 세발기는 헬멧부재 내에 냉풍 및 온풍을 일으키는 건조수단이 구비되어, 샴푸와 린스 등으로 세정한 뒤 두피에 남는 물기를 말끔히 제거할 수 있는 등의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헬멧형 자동 세발기는 대략 헬멧부재(10) 속에 저장수단(20) 및 세발수단(30)을 포함하는 것으로, 헬멧부재(10)와는 별도로 형성된 복수의 버턴(41)으로 형성되며, 헬멧부재(1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선택모드에 따라 작동상태를 조절하는 제어수단(40)이 구비된 형태라 할 수 있다.
상기한 헬멧부재(10)는 급수 및 배수를 위한 호스(13)가 연결된 외형부(11)와 다수의 분사노즐(12a)이 구비된 내형부(12)가 일체된 이중구조로써, 급수구(16)는 외형부(11)를 통해 공급되는 물이 내형부(12)의 분사노즐(12a)을 통해 분산 가능하게 마련되고, 배수구(17)는 내형부(12)의 분사노즐(12a)을 통해 분산 공급된 물이 외형부(11) 바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헬멧부재(10)의 외형부(11)로 연결된 급수 및 배수를 위한 호스(13) 즉, 급수구(16)와 배수구(17) 측에는 제어수단(40)의 작동모드에 따라 개폐되는 밸브(13a)를 구비함으로써, 각 모드에 따라 급수 및 배수 상태가 제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 저장수단(20)은 샴푸나 린스와 같은 세정제를 담는 일종의 용기와 같은 것으로, 세정제의 종류에 따라 각각 별도로 마련된 형태가 좋다. 본 발명의 저장수단(20)은 헬멧부재(10)의 외형부(11)와 내형부(12) 사이에 마련되며, 외형부(11)측에서 주입하고, 내형부(12)측으로 분출되게 주입구(21) 및 분출구(22)가 구비된다. 이때, 주입구(21)는 소정의 커버(23)를 이용하여 밀폐토록 하되, 밀폐된 용기 내부에는 제어수단(40)에 의해 제어되는 피스톤과 같은 구성을 구비하여, 해당 모드에 따라 각 세정제의 분출시기 및 양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세발수단(30)은 헬멧부재(10)의 외형부(11) 내측에 마련되어, 내형부(12)에 관통되게 설치된 것으로, 세발자가 머리를 감을 때, 두발세정 및 두피 마사지 등과 같은 효과를 위해 자극을 주는 손의 기능을 구현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세발수단(30)은 구동모터(31)와 진동판(32) 그리고 마찰돌기(33)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모터(31)는 헬멧부재(10)의 외형부(11) 내측에 일체되어, 제어수단(40)에 의해 작동되게 하고, 진동판(32)은 경질의 심재 외부에 연질소재를 씌운 소정의 판을 구동모터(31)의 회전축(31a)에 결합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구동모터(31)의 회전축(31a) 끝단에는 소정의 돌기를 형성하여, 이에 치합된 진동판(32)이 돌기의 회전에 의해 진동을 일으키는 형태 등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그리고 마찰돌기(33)는 상기 진동판(32)에 마련된 다수의 돌출된 봉 형태로, 연질의 합성수지재를 손가락 정도의 굵기로 형성하되, 끝단면을 울퉁불퉁하게 함으로써, 샴푸 또는 린스 사용시 거품의 생성이 좋아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구동모터(31)의 회전축(31a)은 상기 헬멧부재(10)의 외형부(11) 내측에 탄성 지지 되어, 헬멧부재(10)의 착용시 사용자의 두피에 맞닿는 마찰돌기(33)에 따른 충격을 다소 완화하며, 착용자의 머리 크기에 따른 진동판(32)의 위치가 유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헬멧부재(10)의 범용성을 확보하는 형태로도 가능하다.
여기서, 세발수단(30)은 하나의 몸체로도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내형부(12)로부터 돌출된 형태가 적어도 두 개인 복수로 구비된 것이 좋다. 예를 들면, 정수리 근처를 자극하는 것과 후두부를 자극할 수 있는 것으로 마련된 형태 또는, 각 부위별로 적정한 다각형을 응용하여 다수가 좌우대칭으로 분산된 형태로 긴 뒷머리의 세정효율을 높이기 위해 헬멧부재(10)의 후단부에 소정의 형태로 마련하는 등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헬멧부재(10)를 형성하는 외형부(11)와 내형부(12) 사이에 냉풍 및 열풍의 생성이 가능한 건조수단(50)이 구비되어, 머리를 감은 뒤 말리는 과정까지 일괄할 수 있는 형태로도 가능하다. 상기 건조수단(50)은 제어수단(40)에 의해 개폐되는 배기공(51a)이 형성된 케이스(51) 내에 송풍 팬(52) 및 전열선(53)이 구비된 형태로, 케이스(51)가 헬멧부재(10)의 외형부(11)에 천공된 흡기공(14)과 연계 가능한 내측에 일체되어, 외기를 흡입해서 그대로 공급하거나 전열선을 통해 데운 뒤 적정 온도의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한 본 발명의 헬멧부재(10)는 종래기술에 따른 세발 자세에서처럼 사용자가 착용 후, 얼굴이 상향되게 누운 상태에서 작동함으로써, 작동 간에 공급되는 물이 세발자의 얼굴이나 몸으로 흘러내리지 않고 배수구(17)로 유출되게 하는 형태로도 실시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헬멧부재(10)의 삽입구(15) 가장자리 둘레로 누수방지를 위한 밀봉수단(60)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세발 자세에 상관없이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형태가 좋다. 이때, 밀봉수단(60)은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탈부착이 자유로운 형태 예를 들면, 도면에서처럼 헬멧부재(10)의 삽입구(15)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자석 또는 벨크로와 같은 소정의 부착구(61)가 복수로 구비된 형태가 좋다.
그리고 헬멧부재(10)의 후단부에는 빗과 같은 형태의 수납수단(70)이 구비되 어 장발을 걷어 올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긴 머리를 가진 사람들에 대해서도 세발 상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형태가 좋다. 또, 도 5에서처럼 상기 헬멧부재(10)는 외형부(11) 및 내형부(12)를 좌우로 양분하는 중앙에 착용자의 머리 크기에 따라 착용상태를 보정할 수 있는 조절수단(80)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머리 크기와 관계없이 최적의 착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형태로 하는 것이 좋다.
상기한 조절수단(80)은 확장 및 축소가 용이한 가변연결부(81)와 설정상태를 고정하는 고정부재(82)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가변연결부(81)는 복수의 주름(81a)이 형성된 연질의 합성수지재 등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82)는 가변연결부(81)의 전단 및 후단 각각에 마련된 소정의 돌기 형태로 가능하다. 여기서, 고정부재(82)는 양분된 헬멧부재(10)와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사용자가 착용 후 헬멧부재(10)를 가압하여 조절하면, 그 설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도 가능하다.
첨부한 도면 제4a 및 4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헬멧부재(10)는 바닥과 천정 사이에 고정할 수 있는 설치부재(90)에 결합함으로써, 설치나 보관 및 사용상의 편의를 도모하는 형태로도 가능하다. 이때, 설치부재(90)는 옷걸이용 헹어와 같이 이동형 연결관 및 고정형 볼트 등을 이용하여 설치부재(90)의 높이는 물론, 헬멧부재(10)의 높이도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외에 설치부재(90)에는 앉은 판(91) 및 팔걸이(92)가 구비된 형태로도 가능하다. 여기서 앉은 판(90) 및 팔걸이(92)는 접을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앉은 자세에서는 물론, 선 자세에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한 팔걸이(92)에는 제어수단(40)을 구비함으로써, 작동 간의 편의성을 높이는 형태로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구성 간의 작동관계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헬멧형 자동 세발기는 도 4a 및 4b 그리고 6에서처럼 이·미용실 또는 가정용 욕실의 천정과 바닥 사이에 고정된 설치부재(90)와 연결되어, 사용자가 앉은 판(91)을 펼쳐 앉거나 접어 선 상태로 헬멧부재(10)를 착용한 뒤, 팔걸이(92)에 형성된 제어수단(40)을 통해 샴푸, 린스, 헹굼 및 건조를 위한 해당 버턴(41)을 택함으로써, 아래와 같은 일련의 세발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먼저, 사용자는 헬멧부재(10)를 착용한 뒤, 헬멧부재(10)의 삽입구(15) 가장자리로 자석과 같은 부착구(61)를 이용하여 밀봉수단(60)을 밀착시켜, 헬멧부재(10)의 삽입구(15)와 사용자의 머리 둘레 사이의 기밀성이 밀봉수단(60)에 의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사용자의 머리가 길어 후단으로 늘어진 경우에는, 헬멧부재(10)의 후단에 마련된 빗 형태의 수납수단(70)에 걸친 상태에서 올려 줌으로써, 헬멧부재(10) 속으로 함입된 두발의 수납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양손으로 헬멧부재(10)의 좌우측을 가압해서 조절수단(80)을 통해 사용자의 머리 크기에 맞도록 헬멧부재(10)의 사이즈를 조절함으로써, 헬멧부재(10)의 밀착성 및 기밀성을 높인다. 즉, 사용자가 손으로 헬멧부재(10)의 좌우측을 가압하면, 복수의 주름(81a)이 형성된 가변연결부(81)의 상단이 늘어나 연장되는 반면, 하단은 주름지면서 줄어들게 된다. 이때, 가변연결부(81)의 양 끝단 내측에 형성된 돌기 형태의 고정부재(82)는 양분된 헬멧부재(10)의 접촉면과 맞물린 톱니 형태로부터 소정의 조절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 본 발명의 세발수단(30) 즉, 구동모터(31)의 회전축(31a)은 상기 헬멧부재(10)의 외형부(11) 내측에 탄성 지지 되어, 헬멧부재(10)의 착용시 사용자의 두피에 맞닿는 마찰돌기(33)에 따른 충격을 다소 완화하고, 진동판(32)이 설치된 위치를 유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착용자의 머리 크기에 따른 범용성을 확보하는 기능적 특징을 발휘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어수단(40)의 버턴(41) 중 샴푸기능을 선택하면, 급수구(16)로 연결된 호스(13)의 밸브(13a)가 열리면서 헬멧부재(10)의 외형부(11) 및 내형부(12)로 이루어진 공간 속으로 소정시간 물의 공급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공급된 물은 다시 내형부(12)에 마련된 다수의 분사노즐(12a)에 의해 세발자의 두발 곳곳으로 분사되면서 잉여분은 배수구(17)를 따라 헬멧부재(10) 밖 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배수측 호스(13)의 밸브(13a)가 개방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세발수단(30)은 구동모터(31)의 회전축(31a)과 연결된 진동판(32)이 요동되면서 마찰돌기(33)로부터 세발자의 두피를 자극함과 동시에 두발 속 곳곳으로 공급되는 물이 스며들도록 작동된다.
이와 같이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면, 제어수단(40)에 의해 급수구(16)측 호스(13)의 밸브(13a)는 닫히고, 저장수단(20)에 담긴 샴푸가 분출구(22)를 통해 소정 양 분출된 뒤, 세발수단(30)의 마찰돌기(33)가 진동되면서 거품을 일으키는 샴푸에 의한 세발 과정을 계속하게 된다. 이후, 세발자가 샴푸 과정을 끝내기 위해 제어수단(40)에서 헹굼 기능을 선택하면, 이전 단계에서 닫혔던 급수구(16)의 밸브(13a)가 열리면서 상기한 물의 공급이 시작되고, 배수구(17)측 밸브(13a)는 소정시간 동안 닫힌 상태로 제어된다. 이때, 헬멧부재(10) 속의 세발수단(30)은 계속 구동되면서 두발 속에 잔재되는 샴푸를 말끔하게 세척하는 역할을 병행하고, 배수구(17) 측 밸브(13a)는 소정시간이 경과되면 다시 열려 배수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어수단(40)을 통해 구동되는 린스기능은, 상기한 샴푸기능 중 저장수단(20)에서 샴푸가 분출구(22)를 통해 나오는 대신 린스가 분출되게 이루어진다는 점 외에 각 구성 간의 작동이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건조기능시 작동관계에 대해 살펴본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헬멧형 자동 세발기는 건조수단을 구비하여 샴푸 및 린스 그리고 헹굼을 병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발로 인한 물기를 냉풍이나 열풍을 이용하여 말림으로써, 일련의 세발과정을 일괄할 수 있는 것으로, 건조시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제어수단(40)에 형성된 버턴(41) 중 건조기능을 선택하면, 급수구(16)측에 연결된 호스(13)의 밸브(13a)는 닫아 물의 공급을 막고, 배수구(17)측에 연결된 다른 호스(13)의 밸브(13a)는 열어 통풍구 역할을 수행하도록 제어된다. 그리고 이전 단계에서는 폐쇄 상태로 지속되던 건조수단(50)의 케이스(51)에 형성된 배기공(51a)이 제어수단(40)에 의해 개방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건조수단(50)의 송풍팬(52)이 구동되면 헬멧부재(10)의 외형부(11)에 마련된 흡기공(14)을 통해 케이스(51) 내부로 외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외기는 배기공(51a)을 통해 외형부(11) 및 내형부(12)로 이루어진 공간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이 공기는 다시 샴푸 및 린스시 공급되는 물의 경로와 마찬가지로 내형부(12)에 형성된 분사노즐(12a)을 통해 사용자의 두피 및 두발 곳곳으로 분사된 뒤, 배수구(17)를 따라 헬멧부재(10) 밖으로 흘러 나가게 된다. 이때, 세발수단(30)의 구동모터(31), 회전축(31a), 진동판(32)은 샴푸나 린스 과정에서처럼 진동을 계속하면서, 물기로 인해 뭉쳐진 두발을 마찰돌기(33)에 의해 흩어 주도록 함으로써, 바람을 이용한 건조성을 높이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열풍을 이용하여 건조하고자 할 경우에는, 제어수단(40)으로부터 건조수단(50)의 전열선(53)으로 전원이 인가되어 열이 발생됨으로, 이 전열선(53)을 경유한 공기가 데워진 상태에서 케이스(51)의 배기공(51a)을 통해 상기한 경로를 따라 공급되게 된다.
이상과 같은 일련의 작동관계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헬멧형 자동 세발기는 샴푸와 린스 그리고 헹굼 및 건조까지 통상의 세발과정을 사용자가 스스로 일괄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특정 실시형태에 한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개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 또는 변경 실시하는 것 또한 본 발명의 기재된 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당연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헬멧형 자동 세발기는 급수 및 배수 가능한 이중구조의 헬멧부재 속에 저장수단 및 세발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머리를 감을 때와 동일한 두피 마사지 및 세정 효과가 발휘된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헬멧형 자동 세발기는 헬멧부재 속에 건조수단이 구비되어, 샴푸나 린스 및 헹굼은 물론, 건조까지 사용자가 스스로 일괄할 수 있으므로 이발관이나 미용실과 같은 영업소에서는 인건비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성을 제고하는 효과가 뛰어나다. 특히, 헬멧부재는 사용자마다 착용하는 크기를 최적화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세발시 사용되는 물이나 세제와 같은 자원의 낭비를 근본적으로 차단하는 경제적인 효과가 뛰어나다.

Claims (2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급수 및 배수를 위한 호스(13)가 연결된 외형부(11)와 다수의 분사노즐(12a)이 형성된 내형부(12)로 이루어진 이중구조로, 좌우 양분된 중앙에 착용자의 머리 크기에 따라 착용상태를 보정할 수 있는 조절수단(80)이 구비되고, 삽입구(15) 가장자리를 따라 누수방지를 위한 밀봉수단(60)이 탈부착 되게 구비된 헬멧부재(10)와;
    상기 헬멧부재(10)의 외형부(11) 및 내형부(12)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외형부(11)측에서 주입하고, 상기 내형부(12)측으로 분출되게 마련된 저장수단(20);
    상기 헬멧부재(10)의 외형부(11) 내측에 마련되며, 상기 내형부(12)에 관통되게 설치된 세발수단(30);
    상기 헬멧부재(1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복수의 버턴(41)형태로, 선택모드에 따라 작동상태를 조절하는 제어수단(4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형 자동 세발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80)은,
    확장 및 축소를 위한 복수의 주름(81a)이 형성된 가변연결부(81)와;
    상기 가변연결부(81)의 전·후단 각각에 마련되어 설정 상태를 고정하는 고정부재(8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형 자동 세발기.
  12. 제 10항 또는 11항에 있어서,
    상기 헬멧부재(10)는 바닥과 천정 사이에 고정된 설치부재(90)에 결합되며, 높이조절이 자유로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형 자동 세발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재(90)는 앉은 판(91) 및 팔걸이(92)가 접을 수 있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형 자동 세발기.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헬멧부재(10)의 외형부(11)와 내형부(12) 사이에는 냉풍 및 열풍을 일으키는 건조수단(5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형 자동 세발기.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수단(50)은,
    상기 제어수단(40)에 의해 개폐되는 배기공(51a)이 형성된 케이스(51) 내에 송풍 팬(52) 및 전열선(53)이 구비된 형태로, 상기 케이스(51)가 상기 헬멧부재(10)의 외형부(11)에 천공된 흡기공(14)과 연계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형 자동 세발기.
  16.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세발수단(30)은,
    상기 헬멧부재(10)의 외형부(11) 내측에 마련되어, 상기 제어수단(40)에 의해 작동되는 구동모터(31)와;
    상기 구동모터(31)의 회전축(31a)에 결합되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판(32);
    그리고 상기 진동판(32)에 형성된 다수의 마찰돌기(3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형 자동 세발기.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31)의 회전축(31a)은 상기 헬멧부재(10)의 외형부(11) 내측에 탄성 지지 되어, 상기 진동판(32)의 위치상태가 유동 가능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형 자동 세발기.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세발수단(30)은 적어도 두개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형 자동 세발기.
  19.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수단(60)은 상기 헬멧부재(10)의 삽입구(15)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자석과 같은 부착구(61)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형 자동 세발기.
  20.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헬멧부재(10)의 외형부(11)로 연결된 급수 및 배수를 위한 호스(13)에는 각각 상기 제어수단(40)에 의해 개폐되는 밸브(13a)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형 자동 세발기.
  2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헬멧부재(10)의 후단부에는 장발을 걷어 올릴 수 있는 수납수단(7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형 자동 세발기.
KR1020060062642A 2006-07-04 2006-07-04 헬멧형 자동 세발기 KR1006626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2642A KR100662658B1 (ko) 2006-07-04 2006-07-04 헬멧형 자동 세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2642A KR100662658B1 (ko) 2006-07-04 2006-07-04 헬멧형 자동 세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2658B1 true KR100662658B1 (ko) 2006-12-28

Family

ID=37815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2642A KR100662658B1 (ko) 2006-07-04 2006-07-04 헬멧형 자동 세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2658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602B1 (ko) 2007-04-10 2008-08-01 김홍간 자동모발세척로봇
KR101256770B1 (ko) 2012-04-12 2013-04-25 김수완 헬멧형 헤어드라이어
KR200471330Y1 (ko) * 2013-06-24 2014-02-13 이진욱 샤워기 부착캡 유닛
KR101773715B1 (ko) 2016-06-23 2017-08-31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두피 마사지용 헤어 캡
CN107307556A (zh) * 2017-06-28 2017-11-03 杭州旭鹏智能箱柜有限公司 一种智能洗头帽
WO2018006213A1 (zh) * 2016-07-02 2018-01-11 李仁涛 智能洗头装置
KR101824533B1 (ko) * 2016-10-27 2018-02-01 박용국 헬멧형 헤어드라이어
CN109380850A (zh) * 2017-08-04 2019-02-26 南宁市黑晶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便捷式洗头装置
CN109527760A (zh) * 2018-12-13 2019-03-29 苟斌 一种自动洗头装置
KR102411553B1 (ko) * 2021-07-15 2022-06-23 조상현 직립형 샴푸 캡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49106A (ja) 1983-02-15 1984-08-27 清水 彰 頭髪自動洗浄染毛器
KR850002510Y1 (ko) * 1983-12-23 1985-10-21 이상규 머리 세척기
US4987618A (en) 1989-12-29 1991-01-29 Tolbert Linda D Hair rinsing device
JPH04327803A (ja) * 1991-04-26 1992-11-17 Masami Takahashi 自動頭髪シャンプー装置
KR970010954B1 (ko) * 1995-02-27 1997-07-05 김인호 두발세척기
KR20000056977A (ko) * 1999-09-03 2000-09-15 박지헌 두발 세척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49106A (ja) 1983-02-15 1984-08-27 清水 彰 頭髪自動洗浄染毛器
KR850002510Y1 (ko) * 1983-12-23 1985-10-21 이상규 머리 세척기
US4987618A (en) 1989-12-29 1991-01-29 Tolbert Linda D Hair rinsing device
JPH04327803A (ja) * 1991-04-26 1992-11-17 Masami Takahashi 自動頭髪シャンプー装置
KR970010954B1 (ko) * 1995-02-27 1997-07-05 김인호 두발세척기
KR20000056977A (ko) * 1999-09-03 2000-09-15 박지헌 두발 세척기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602B1 (ko) 2007-04-10 2008-08-01 김홍간 자동모발세척로봇
KR101256770B1 (ko) 2012-04-12 2013-04-25 김수완 헬멧형 헤어드라이어
KR200471330Y1 (ko) * 2013-06-24 2014-02-13 이진욱 샤워기 부착캡 유닛
WO2014208864A1 (ko) * 2013-06-24 2014-12-31 Lee Jinwook 샤워기 부착캡 유닛
KR101773715B1 (ko) 2016-06-23 2017-08-31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두피 마사지용 헤어 캡
WO2018006213A1 (zh) * 2016-07-02 2018-01-11 李仁涛 智能洗头装置
KR101824533B1 (ko) * 2016-10-27 2018-02-01 박용국 헬멧형 헤어드라이어
WO2018080084A1 (ko) * 2016-10-27 2018-05-03 박용국 헬멧형 헤어드라이어
CN107307556A (zh) * 2017-06-28 2017-11-03 杭州旭鹏智能箱柜有限公司 一种智能洗头帽
CN107307556B (zh) * 2017-06-28 2020-09-04 杭州旭鹏智能箱柜有限公司 一种智能洗头帽
CN109380850A (zh) * 2017-08-04 2019-02-26 南宁市黑晶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便捷式洗头装置
CN109527760A (zh) * 2018-12-13 2019-03-29 苟斌 一种自动洗头装置
KR102411553B1 (ko) * 2021-07-15 2022-06-23 조상현 직립형 샴푸 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2658B1 (ko) 헬멧형 자동 세발기
CN103960857B (zh) 自动洗头机
CN203934800U (zh) 自动洗头机
CN201939238U (zh) 一种面具式洗脸器
WO2012092860A1 (zh) 一种面具式洗脸器
JP4514311B2 (ja) 自動洗髪機
JP2002360333A (ja) 自動洗髪機
KR100473380B1 (ko) 자동 세발장치
KR100838560B1 (ko) 긴머리용 헤어드라이장치
JP3439358B2 (ja) 自動洗髪機
KR20000000117A (ko) 스팀 한증 안마 침상
CN104983343A (zh) 一种洗澡机的运行方法
KR100332657B1 (ko) 세발기
KR200304031Y1 (ko) 자동 세발장치
KR200278878Y1 (ko) 애완동물용 자동 안마 목욕조
JP2535012Y2 (ja) 自動洗髪機
KR102416053B1 (ko) 환자를 위한 방수 샴푸모자
CN219206690U (zh) 一种具有自动模式的自助洗澡器
KR20180071692A (ko) 헤어 케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헤어 케어 방법
KR20090101071A (ko) 기능성 샤워기
KR20100007694U (ko) 개량 샤워기 헤드
JP2003102535A (ja) 自動洗髪機
JP3023610U (ja) シャワーヘッド
KR200291539Y1 (ko) 샤워기 헤드
JPH0363020A (ja) 自動浴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