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9317B1 -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전면판넬 조립체 - Google Patents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전면판넬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9317B1
KR100659317B1 KR1020060005525A KR20060005525A KR100659317B1 KR 100659317 B1 KR100659317 B1 KR 100659317B1 KR 1020060005525 A KR1020060005525 A KR 1020060005525A KR 20060005525 A KR20060005525 A KR 20060005525A KR 100659317 B1 KR100659317 B1 KR 1006593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panel
door
optical disc
panel assembly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5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필중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5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93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9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93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401Details
    • G11B17/0405Closing mechanism, e.g. do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Landscapes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전면판넬 조립체는, 광디스크 출입구(21)를 갖는 전면판넬(10)과, 광디스크 출입구(21)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40)를 포함하고, 도어(40)의 일측 단부에는 도어 복귀스프링(50)이 결합되는 지지축(41)이 구비되고, 전면판넬(10)의 전면에는 도어 복귀스프링(50)이 삽입될 수 있는 전면 결합구(24)와 지지축(41)이 끼워지는 축 끼움홈(25)이 구비된다. 지지축(41)은 도어 복귀스프링(50)이 결합된 상태로 축 끼움홈(25)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도어 복귀스프링(50)은 전면 결합구(24)를 통해 전면판넬(10)의 내측에 설치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40)에 도어 복귀스프링(50)을 결합한 상태에서 전면판넬(10)의 전방에서 도어(40)를 전면판넬(10)에 결합하기 때문에, 도어 복귀스프링(50)의 설치가 용이하다. 따라서, 조립 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전면판넬 조립체{Front panel assembly for optical disk player}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전면판넬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전면판넬 조립체의 일부 구성을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전면판넬 조립체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일부분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전면판넬 조립체가 조립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전면판넬 12...결합돌기
20...평면부 21...광디스크 출입구
23,31...버튼홀 24...전면 결합구
25...축 끼움홈 26...축 삽입홀
27...도어 걸림돌기 30...경사부
40...도어 41...지지축
42...스프링 고정부재 43...스프링 걸림돌기
44...걸림홈 45...보조 지지축
50...도어 복귀스프링 60...전면시트
70...버튼 조립체 71...조작 버튼
72...축 이탈방지부재 73...결합홀
본 발명은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전면판넬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광디스크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의 결합 구조가 개선된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전면판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디스크(optical disk)는 대용량의 정보를 기록할 수 있어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매체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광디스크의 종류로는 오디오-CD, 비디오-CD, CD-ROM, CD-I(Interactive), CD-G(Graphic), DVD(Digital Versatile Disk) 등이 있다.
이러한 여러 가지 광디스크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시키거나 광디스크에 새로운 정보를 기록하는 광디스크 플레이어는, 광디스크를 회전시키기 위한 턴테이블과, 회전하는 광디스크에 빛을 조사하여 기록된 정보를 읽거나 새로운 정보를 기록하는 광픽업장치를 포함한다. 턴테이블과 광픽업장치는 전면이 개방된 캐비넷의 내 부에 설치되고, 캐비넷의 개방된 전면에는 전면판넬이 결합된다.
전면판넬의 일측에는 광디스크가 출입할 수 있는 광디스크 출입구가 구비되고, 이 광디스크 출입구는 도어 복귀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도록 전면판넬에 결합되는 도어에 의해 개폐된다. 도어는 광디스크를 턴테이블까지 옮겨주도록 캐비넷의 내부에 광디스크 출입구를 통해 출입되도록 설치되는 트레이장치에 의해 작동된다.
즉, 트레이장치가 전면판넬의 전방으로 이동할 때 도어가 트레이장치에 의해 밀리면서 광디스크 출입구가 개방되고, 트레이장치가 캐비넷의 내부로 이동할 때 도어 복귀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도어가 회전하여 광디스크 개방구가 닫힌다.
이와 같은 광디스크 출입구를 갖는 전면판넬에 도어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전멸판넬 조립체는 한국 공개특허 제2005-34835호에 그 일예가 개시되어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2005-34835호에 개시되어 있는 전면판넬 조립체는, 전면판넬에 구비된 힌지축에 도어의 리브가 끼워져 도어가 전면판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면판넬의 후면에 구비된 핀에 결합되는 도어 복귀스프링이 도어를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전면판넬 조립체는 도어가 전면판넬의 전방에서 조립되고, 도어 복귀스프링이 도어와 별도로 전면판넬의 후방에서 조립되기 때문에, 조립 작업이 번거롭다.
또한, 종래의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전면판넬 조립체는 도어의 리브가 전면판넬의 힌지축에 단순히 끼워지는 것으로 도어가 전면판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실수로 도어를 당길 경우 도어가 전면판넬로부터 쉽게 이 탈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품의 신뢰도가 떨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어의 결합 구조를 개선하여 도어와 전면판넬 사이의 조립 작업이 용이하고, 도어가 전면판넬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는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전면판넬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전면판넬 조립체는, 광디스크 출입구를 갖는 전면판넬과, 상기 광디스크 출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를 갖는다. 상기 도어의 일측 단부에는 도어 복귀스프링이 결합되는 지지축이 구비되고, 상기 전면판넬의 전면에는 상기 도어 복귀스프링이 결합된 상기 지지축이 삽입될 수 있는 전면 결합구와 상기 지지축이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축 끼움홈이 구비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 복귀스프링이 도어에 결합된 상태로 도어와 함께 전면판넬에 결합되기 때문에, 도어 복귀스프링의 설치가 용이하고 조립 효율이 좋아진다.
여기에서, 상기 지지축에는 상기 도어 복귀스프링이 고정되는 스프링 고정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복귀스프링은 연장된 일단부 및 타단부를 갖는 비틀림 스프링이고, 상기 도어 복귀스프링의 일단부는 상기 스프링 고정부재에 고정되며, 상 기 스프링 고정부재에는 상기 도어 복귀스프링의 타단부가 이탈 가능하게 걸릴 수 있는 스프링 걸림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축 끼움홈은 상기 광디스크 출입구와 상기 전면 결합구 사이에 구비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축 끼움홈에는 상기 지지축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축 이탈방지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축 이탈방지부재는 상기 전면판넬의 후면에 결합되는 조작 버튼과 일체로 구비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도어의 타측 단부에는 보조 지지축이 구비되고, 상기 전면판넬에는 상기 보조 지지축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축 삽입홀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판넬의 전면에는 상기 전면 결합구 및 상기 축 끼움홈을 덮기 위한 전면시트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판넬에는 상기 도어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상기 도어의 단부가 걸리는 도어 걸림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전면판넬 조립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전면판넬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전면판넬 조립체의 일부 구성을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전면판넬 조립체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일부분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전면판넬 조립체가 조립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전면판넬 조립체는, 광디스크 출입구(21)를 갖는 전면판넬(10)과, 광디스크 출입구(21)를 개폐시키는 도어(40)와, 전면판넬(10)의 전면에 결합되는 전면시트(60)와, 전면판넬(10)의 후면에 결합되는 버튼 조립체(70)를 포함한다.
전면판넬(10)은 광픽업장치, 턴테이블, 트레이장치 등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각종 전장품이 내장되는 캐비넷(80;도 6참조)에 결합된다. 캐비넷(80)에 결합되기 위해 전면판넬(10)의 후면에는 복수의 결합리브(11)가 돌출 구비된다. 전면판넬(10)의 전면은 지면과 수직을 이루며 상부에 배치되는 평면부(20)와, 전면판넬(10)의 안쪽을 향해 기울어지며 하부에 배치되는 경사부(30)로 구분되고, 전면판넬(10)의 후면에는 복수의 결합돌기(12;도 3참조)가 구비된다.
평면부(20)에는 광디스크 출입구(21)와, 디스플레이창(22)과, 버튼홀(23)이 구비된다. 광디스크 출입구(21)의 한쪽 측부에는 도어(40)를 결합하기 위한 전면 결합구(24)가 구비되고 광디스크 출입구(21)와 전면 결합구(24)의 사이에는 축 끼움홈(25)이 구비된다. 축 끼움홈(25)과 마주보는 광디스크 출입구(21)의 다른쪽 측부에는 축 삽입홀(26)이 구비된다. 광디스크 출입구(21)의 하부에는 복수의 도어 걸림돌기(27)가 구비된다. 이 도어 걸림돌기(27)는 전면판넬(10)에 결합된 도어(40)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 도어(40)는 평면부(20)와 대략 수직을 이룰 때 그 하단부가 이 도어 걸림돌기(27)에 걸려 더이상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경사부(30)에는 복수의 버튼홀(31)이 구비된다.
도어(40)는 전면판넬(10)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지지축(41)과 보조 지지축(45)을 갖는다. 지지축(41)과 보조 지지축(45)은 도어(40)의 양 단부에 각각 동일선 상에 놓이도록 구비되고, 지지축(41)에는 스프링 고정부재(42)가 구비된다. 스프링 고정부재(42)에는 열린 위치의 도어(40)를 닫힌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도어 복귀스프링(50)이 고정된다. 스프링 고정부재(42)의 일측에는 걸림홈(44)을 갖는 스프링 걸림돌기(43)가 구비된다.
도어 복귀스프링(50)은 양쪽 단부가 직선으로 길게 연장된 비틀림 스프링(tortion spring)으로 그 일단부(51)는 스프링 걸림돌기(43)에 고정되고, 그 타단부(52)는 걸림홈(44)에 이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전면판넬 조립체의 조립시, 도어(40)는 도어 복귀스프링(50)이 고정된 상태에서 전면판넬(10)에 결합된다. 도어(40)가 전면판넬(10)에 결합될 때, 도어 복귀스프링(50)은 그 타단부(52)가 스프링 걸림돌기(43)의 걸림홈(44)에 걸려 접힌 상태로 스프링 고정부재(42)와 함께 전면 결합구(24)에 결합된다. 그리고, 지지축(41)은 축 끼움홈(25)에 끼워지고 보조 지지축(45)은 축 삽입홀(26)에 삽입됨으로써 도어(40)는 전면판넬(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어(40)가 전면판넬(10)에 결합된 후, 전면판넬(10)의 후방에서 도어 복귀스프링(50)의 타단부(52)를 스프링 걸림돌기(43)의 걸림홈(44)에서 이탈시켜 원위치시키면 복귀스프링(50)의 타단부(52)는 전면판넬(10)의 후면 일측에 접하게 된다. 이렇게 도어 복귀스프링(50)의 일단부(51)는 도어(40)의 지지축(41)에 고정되 고 도어 복귀스프링(50)의 타단부(52)는 전면판넬(10)에 접함으로써, 도어(40)가 외력을 받아 회전하면 도어 복귀스프링(50)이 탄성 변형되고 외력이 해제되면 도어 복귀스프링(50)의 복원력에 의해 도어(40)는 원래의 닫힌 위치로 복귀된다.
전면시트(60)는 전면판넬(10)의 평면부(20)에 결합되어 전면 결합구(24) 및 축 끼움홈(25)을 덮고 전면판넬(10)의 외관을 세련되게 한다. 전면시트(60)에는 광디스크 출입구(21)에 대응하는 절개부(61)가 구비된다.
버튼 조립체(70)는 사용자가 트레이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전면판넬(10)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조작 버튼(71)과, 축 끼움홈(25)에 끼워진 도어(40)의 지지축(41)이 이탈되지 못하도록 축 끼움홈(25)을 덮는 축 이탈방지부재(72)를 포함한다. 버튼 조립체(70)에는 전면판넬(10)의 후면에 구비된 복수의 결합돌기(12)에 대응하는 복수의 결합홀(73)이 구비된다. 버튼 조립체(70)는 각 결합홀(73)에 각 결합돌기(12)가 삽입되도록 전면판넬(10)의 후면에 결합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전면판넬 조립체의 조립 과정 및 그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면판넬(10)에 도어(40)를 결합하기 전에 먼저 도어(40)의 지지축(41)에 도어 복귀스프링(50)을 결합한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도어 복귀스프링(50)의 일단부(51)는 스프링 고정부재(42)의 스프링 걸림돌기(43)에 걸어 고정하고, 도어 복귀스프링(50)의 타단부(52)는 가압해서 스프링 걸림돌기(43)의 걸림홈(44)에 걸리게 한다. 이렇게 도어 복귀스프링(50)의 타단부(52)가 스프링 고정부재(42)와 나란하도록 접힌 상태에서 전면판넬(10)의 전방에서 도어(40)를 전면판넬 (10)에 결합한다. 이때, 보조 지지축(45)을 전면판넬(10)의 축 삽입홀(26)에 삽입하고, 도어 복귀스프링(50)이 결합된 스프링 고정부재(42)를 전면 결합구(24)에 결합함과 동시에 지지축(41)을 축 끼움홈(25)에 끼운다.
이후, 전면판넬(10)의 후방에서 도어 복귀스프링(50)의 타단부(52)를 스프링 걸림돌기(43)의 걸림홈(44)에서 이탈시킨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도어 복귀스프링(50)의 타단부(52)는 원래 위치로 복원되면서 전면 결합구(24) 상부의 전면판넬(10) 후면 일측에 접하게 된다. 이렇게 도어 복귀스프링(50)의 일단부(51;도 2참조)가 도어(40)의 지지축(41)에 고정되고 도어 복귀스프링(50)의 타단부(52)가 전면판넬(10)의 후면 일측에 접함으로써, 도어(40)는 닫힌 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도어 복원스프링(50)에 의해 지지된다.
도어(40)를 전면판넬(10)에 결합한 후,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면판넬(10)의 후방에서 버튼 조립체(70)를 전면판넬(10)의 후면에 결합한다. 이때, 버튼 조립체(70)의 각 결합홀(73)에 전면판넬(10)의 결합돌기(12)를 각각 삽입하고, 조작 버튼(71)을 버튼홀(23;도 1참조)을 통해 전면판넬(10)의 전방으로 돌출시키며, 축 이탈방지부재(72)를 도어(40)의 지지축(41)이 끼워져 있는 축 끼움홈(25)에 결합하여 지지축(41)이 축 끼움홈(25)에서 이탈되지 못하게 한다.
버튼 조립체(70)를 전면판넬(10)에 결합하고 나면, 전면판넬(10)의 전방에서 전면시트(60)를 전면판넬(10)의 평면부(20)에 결합한다. 이때, 전면판넬(10)의 전면 결합구(24) 및 축 끼움홈(25)은 전면시트(60)에 의해 덮혀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게 된다.
조립이 완료된 전면판넬 조립체는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캐비넷(80) 전방에 결합한다.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전면판넬(10)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조작 버튼(71)을 누르면 캐비넷(8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트레이장치가 광디스크 출입구(21)를 통해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도어(40)를 전방으로 민다. 이에 의해, 도어(40)는 지지축(41;도 1참조) 및 보조 지지축(45;도 1참조)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열리고, 이때 도어 복귀스프링(50;도 1참조)은 탄성 변형된다. 그리고, 트레이장치가 다시 캐비넷(80)의 내부로 복귀되면 도어 복귀스프링(5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도어(40)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닫힌 위치로 복귀된다.
한편, 도어(40)가 열리는 과정에서 도어(40)에 의도되지 않은 외력이 작용하여 도어(40)가 과도하게 젖혀지는 경우, 도어(40)는 전면판넬(10)의 평면부(20;도 1참조)와 대략 수직을 이루는 위치에서 그 하단부가 전면판넬(10)의 도어 걸림돌기(27)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도어(40)는 그 이상 회전하지 못하고, 도어(40)의 과도한 회전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지지축(41)의 파손이나 도어(40)의 이탈 등의 문제는 발생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에 도어 복귀스프링을 결합한 상태에서 전면판넬의 전방에서 도어를 전면판넬에 결합하기 때문에, 도어 복귀스프링의 설치가 용이하다. 따라서, 조립 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의 지지축이 전면판넬의 축 끼움홈에 끼워진 후 축 이탈방지부재가 축 끼움홈에 결합되기 때문에, 지지축이 전면판넬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아 제품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화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본 발명은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

Claims (9)

  1. 광디스크 출입구를 갖는 전면판넬과, 상기 광디스크 출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를 갖는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전면판넬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일측 단부에는 도어 복귀스프링이 결합되는 지지축이 구비되고, 상기 전면판넬의 전면에는 상기 도어 복귀스프링이 결합된 상기 지지축이 삽입될 수 있는 전면 결합구와 상기 지지축이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축 끼움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전면판넬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에는 상기 도어 복귀스프링이 고정되는 스프링 고정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전면판넬 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복귀스프링은 연장된 일단부 및 타단부를 갖는 비틀림 스프링이고, 상기 도어 복귀스프링의 일단부는 상기 스프링 고정부재에 고정되며, 상기 스프링 고정부재에는 상기 도어 복귀스프링의 타단부가 이탈 가능하게 걸릴 수 있는 스프링 걸림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전면판넬 조립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 끼움홈은 상기 광디스크 출입구와 상기 전면 결합구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전면판넬 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축 끼움홈에는 상기 지지축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축 이탈방지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전면판넬 조립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축 이탈방지부재는 상기 전면판넬의 후면에 결합되는 조작 버튼과 일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전면판넬 조립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타측 단부에는 보조 지지축이 구비되고, 상기 전면판넬에는 상기 보조 지지축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축 삽입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전면판넬 조립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넬의 전면에는 상기 전면 결합구 및 상기 축 끼움홈을 덮기 위한 전면시트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전면판넬 조립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넬에는 상기 도어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상기 도어의 단부가 걸리는 도어 걸림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전면판넬 조립체.
KR1020060005525A 2006-01-18 2006-01-18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전면판넬 조립체 KR1006593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5525A KR100659317B1 (ko) 2006-01-18 2006-01-18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전면판넬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5525A KR100659317B1 (ko) 2006-01-18 2006-01-18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전면판넬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9317B1 true KR100659317B1 (ko) 2006-12-20

Family

ID=37814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5525A KR100659317B1 (ko) 2006-01-18 2006-01-18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전면판넬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931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8831A (ja) * 1991-11-05 1993-05-25 Ricoh Co Ltd カートリツジ出入口開閉装置
JPH05347088A (ja) * 1992-04-15 1993-12-27 Shinano Kenshi Kk ディスク再生装置
KR20040003590A (ko) * 2002-07-03 2004-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도어잠금수단을 갖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프런트 패널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디스크 드라이브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8831A (ja) * 1991-11-05 1993-05-25 Ricoh Co Ltd カートリツジ出入口開閉装置
JPH05347088A (ja) * 1992-04-15 1993-12-27 Shinano Kenshi Kk ディスク再生装置
KR20040003590A (ko) * 2002-07-03 2004-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도어잠금수단을 갖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프런트 패널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디스크 드라이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9180332A (ja) 電子機器
JP2816120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装置
US7356826B2 (en) Disk player casing with buffered lid
JPH10208359A (ja) 電子機器
US5481520A (en) Disk player door assembly
KR100659317B1 (ko)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전면판넬 조립체
US6370108B1 (en) Disc cartridge
JP3113191U (ja) ディスク装置内蔵型テレビジョンおよびディスク装置
KR100362369B1 (ko) 디스크카트리지어댑터및그구동장치
JPS61217961A (ja) マイクロフロツピデイスクドライブのカ−トリツジ着脱機構
KR20060014611A (ko)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이중 삽입 방지장치
JP4132096B2 (ja) 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US7284252B2 (en) Locking mechanism for external optical disk drive
JP3674077B2 (ja) 記録再生装置
WO2001004900A1 (fr) Cartouche dans laquelle est stocke un disque
KR101006604B1 (ko) 광디스크 카트리지
KR200235972Y1 (ko) 디스크 플레이어의 데크 잠금후크
KR100942578B1 (ko) 휴대형 디스크 재생기의 도어개폐장치
JP3100482U (ja) ディスクプレーヤのトレイパネル開閉装置およびディスクプレーヤ一体型テレビ受像機
JP3591008B2 (ja) カートリッジ排出装置及び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3708315B2 (ja) 記録再生装置の扉構造
JPH03250476A (ja) 対物レンズクリーニング用カートリッジ
JP4379581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3754264B2 (ja) カートリッジの収納装置
KR20030069713A (ko) 광기록/재생기용 데크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