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7881B1 - 전기 면도기 - Google Patents

전기 면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7881B1
KR100657881B1 KR1020047010490A KR20047010490A KR100657881B1 KR 100657881 B1 KR100657881 B1 KR 100657881B1 KR 1020047010490 A KR1020047010490 A KR 1020047010490A KR 20047010490 A KR20047010490 A KR 20047010490A KR 100657881 B1 KR100657881 B1 KR 100657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drive
cleaning
driving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0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7466A (ko
Inventor
이부키야스오
야마시타미키히로
Original Assignee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107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74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7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7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28Drive layout for hair clippers or dry shavers, e.g. providing for electromotive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38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hair clippers, or dry shavers, e.g. housings, casings, grips, guards
    • B26B19/3873Electric features; Charging; Computing devices
    • B26B19/388Sensors;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38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hair clippers, or dry shavers, e.g. housings, casings, grips, guards
    • B26B19/3886Actuating members, e.g. switches or control knob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y Shavers And Clippers (AREA)

Abstract

통상 구동 모드와 세정 구동 모드를 구비하고, 래치가 걸리지 않은 메인 스위치와, 면도기의 칼날을 구동하는 구동부와, 세정 구동 모드인 것을 유저에게 통지하는 표시부와, 유저에게 세정을 재촉하는 표시부와, 소정 시간을 계측하는 타이머부와, 통상 구동 모드에서 동작한 시간을 적산하는 적산 타이머부와,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시에 표시부 및 표시부를 발광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또, 제어부는 메인 스위치가 온인 시간을 타이머부에 계측시키고, 상기 온의 시간에 따라서 통상 구동 모드와 세정 구동 모드의 전환을 행하여, 통상 구동 모드에서는 칼날의 이동 속도를 수염의 절단에 알맞은 속도로 제어하고, 세정 구동 모드에서는 칼날의 이동 속도를 칼날의 세정에 알맞은 속도로 제어한다.

Description

전기 면도기{ELECTRIC RAZOR}
본 발명은, 칼날을 세정할 수 있는 전기 면도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기 면도기의 칼날에 부착된 수염 찌꺼기의 청소가 용이한 전기 면도기로서, 전기 면도기의 칼날을 구동한 상태로 수세(水洗)할 수 있는 전기 면도기가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전기 면도기에서는, 면도기의 내부 칼날과 외부 칼날을 부착시킨 상태로 칼날에 물을 묻혀서 구동시키고, 물의 움직임에 의해서 칼날을 세정할 수 있다. 또, 칼날에 세정제를 묻힌 상태로 칼날을 구동시킴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세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장기간 칼날에 수염 찌꺼기가 부착된 채로 방치된 경우 등에는, 수염 찌꺼기가 내부 칼날에 고착되어 버려서, 상기와 같은 세정을 행해도 충분한 세정 효과를 얻을 수 없다. 이와 같이 내부 칼날에 수염 찌꺼기가 고착되어 버린 경우에는, 면도기의 외부 칼날을 분리하여 직접 내부 칼날에 흐르는 물을 접촉시키면서 내부 칼날을 구동시키는 방법에 의해서, 충분한 세정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내부 칼날의 구동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내부 칼날의 구동에 의해서 물이나 수염 찌꺼기가 튀어나와서 주위로 산란된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종래, 전용의 세정기를 이용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이 방법에서는, 세정기의 내부에 전기 면도기를 본체 채 넣어서, 세정하는 부분을 세정기로 감싼 상태로 내부 칼날을 구동시키기 때문에, 물이나 수염 찌꺼기가 튀어나와서 주위로 산란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충분한 세정 효과를 얻기 위해서, 면도기의 외부 칼날을 분리하여 직접 내부 칼날에 흐르는 물을 접촉시키면서 내부 칼날을 구동시키는 방법에서는, 내부 칼날의 구동에 의해서 물이나 수염 찌꺼기가 튀어나와서 주위로 산란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물이나 수염 찌꺼기의 산란을 막기 위해서 전용의 세정기를 이용하는 방법에서는, 전기 면도기의 칼날을 세정하기 위해서 전용의 세정기를 필요로 하고, 또한 그 세정기는, 전기 면도기의 세정 부분을 감쌀 필요가 있으므로 대형의 기구로 되기 때문에, 손쉽게 전기 면도기의 칼날을 세정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물이나 수염 찌꺼기를 비산(飛散)시키지 않고 효과적으로 또한 손쉽게 칼날을 세정할 수 있는 전기 면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은, 내부 칼날과 외부 칼날을 갖고, 이들 칼날의 한쪽 또는 양쪽을 구동시켜서 사이에 끼움으로써 수염의 절단을 행하는 전기 면도기에 있어서, 수염의 절단을 행하기 위한 통상 구동 모드와, 칼날의 세정을 행하기 위한 세정 구동 모드를 구비하고, 상기 세정 구동 모드에서는, 칼날의 구동 주파수, 회전수 및 진 폭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통상 구동 모드와는 상이하도록 제어하는 전기 면도기에 의해서 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면도기의 외관 및 칼날부를 세정하는 모양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면도기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면도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상태 천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및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면도기의 외관 및 칼날부를 세정하는 모양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 및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면도기의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면도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면도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이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서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처음부터 하기 실시예에 의해서 제한을 받는 것이 아니라, 전·후기의 취지에 적합할 수 있는 범위에서 적당히 변경을 가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것들은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 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실시 형태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면도기(1)의 외관 및 전기 면도기(1)로부터 외부 칼날(2)을 분리하여 내부 칼날(3)을 흐르는 물(A)로 세정하는 모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하는 전기 면도기(1)의 하우징(4)은, 박형(薄型)의 각통 형상으로 되어 있고, 하우징(4)의 일단 상면에 구동부(7)를 통해서 내부 칼날(3)이 장착된다. 또, 내부 칼날(3)에 덮어 씌워지도록 하우징(4)에 외부 칼날(2)이 장착된다.
외부 칼날(2)은 유저가 탈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고, 외부 칼날(2)이 하우징(4)에 장착되면, 외부 칼날(2)의 내면에 내부 칼날(3)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접착된다. 도 1에서는, 외부 칼날(2)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하우징(4)의 전면에는, 슬라이드형의 스위치 핸들(5)과 스위치 핸들(6)이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스위치 핸들(5)은, 유저가 전기 면도기(1)를 동작시키기 위한 조작부에서, 동작의 온(閉)과 오프(開)에 대응한 2개의 위치로 슬라이드시킬 수 있다. 스위치 핸들(6)은, 유저가 전기 면도기(1)의 동작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부에서, 통상 구동 모드와 세정 구동 모드에 대응한 2개의 위치로 슬라이드시킬 수 있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면도기(1)의 블록도이다. 메인 스위치(11)는, 스위치 핸들(5)이 온인 위치로 슬라이드됨으로써 온하고, 스위치 핸들(5)이 오프인 위치로 슬라이드됨으로써 오프한다. 그리고, 메인 스위치(11)의 온/오프 신호가 제어부(13)에 출력된다.
모드 스위치(12)는, 스위치 핸들(6)이 세정 구동 모드의 위치로 슬라이드됨으로써 온하고, 스위치 핸들(6)이 통상 구동 모드의 위치로 슬라이드됨으로써 오프한다. 그리고, 모드 스위치(12)의 온/오프 신호가, 제어부(13)에 출력된다.
제어부(13)는, 메인 스위치(11) 및 모드 스위치(12)로부터 출력된 온/오프 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온/오프 신호의 상태에 따라서 구동부(7)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구동부(7)로 출력한다. 제어부(13)는, 예를 들면, CPU(중앙 연산 처리 장치),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구성되고, CPU가 ROM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구동부(7)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4)는, CPU 등을 이용하지 않고 논리 회로, 트랜지스터, 발진 회로 등의 개별 부품에 의해서, 구성되는 것이어도 좋다.
구동부(7)는, 내부 칼날(3)과 접속되어, 내부 칼날(3)을 구동하여 내부 칼날(3)에 왕복 운동을 시키는 것으로, 예를 들면 리니어 모터, 혹은 회전식의 모터와 캠을 조합하여 구성된다. 또, 구동부(7)는, 제어부(13)로부터 출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서, 단위 시간당에 내부 칼날(3)이 왕복하는 횟수인 구동 주파수를 변경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 내부 칼날(3)이 1회의 왕복 운동으로 이동하는 거리인 구동 진폭은 일정하게 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내부 칼날(3)의 이동 속도는 구동 주파수에 비례한다. 또, 제어부(13)는,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구동부(7)의 구동 주파수를 제어함으로써, 내부 칼날(3)이 구동되는 이동 속도가 제어된다.
또한, 구동 주파수를 일정하게 하여, 내부 칼날(3)이 1회의 왕복 운동으로 이동하는 거리인 구동 진폭을 변경 가능하게 구동부(7)를 구성하고, 제어부(13)는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구동부(7)의 구동 진폭을 제어함으로써, 구동부(7)가 내부 칼날(3)을 구동하는 이동 속도를 제어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 제어부(13)는 구동 주파수 및 구동 진폭의 양쪽을 제어함으로써, 구동부(7)가 내부 칼날(3)을 구동하는 이동 속도를 제어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 내부 칼날이 회전 운동을 하는 회전식 전기 면도기에 본 발명을 적용하여, 단위 시간당에 내부 칼날이 회전하는 수인 구동 회전수를 변경 가능하게 구동부(7)를 구성하고, 제어부(13)는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구동부(7)의 구동 회전수를 제어함으로써, 내부 칼날(3)이 구동되는 이동 속도가 제어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제어부(13)는, 모드 스위치(12)로부터 출력된 온/오프 신호가 오프 상태이고, 또한 메인 스위치(11)로부터 출력된 온/오프 신호가 온 상태인 경우에는, 수염의 절단을 행하기 위한 통상 구동 모드에서의 제어를 행한다.
통상 구동 모드에서는, 제어부(13)는 제어 신호를 구동부(7)로 출력하여 구동부(7)가 내부 칼날(3)에 왕복 운동을 시키는 구동 주파수를 제어하고, 구동부(7)에 내부 칼날(3)을 수염을 절단하기 위해서 알맞은 이동 속도로 구동시킨다. 이 경우, 외부 칼날(2)이 하우징(4)에 장착된 상태로 내부 칼날(3)이 왕복 운동을 함으로써, 내부 칼날(3)과 외부 칼날(2)의 사이에 수염이 끼워져서 절단된다.
또, 제어부(13)는 모드 스위치(12)로부터 출력된 온/오프 신호가 온 상태이고, 또한 메인 스위치(11)로부터 출력된 온/오프 신호가 온 상태인 경우에는, 칼날 부의 세정을 행하기 위한 세정 구동 모드에서의 제어를 행한다.
세정 구동 모드에서는, 제어부(13)는 제어 신호를 구동부(7)로 출력하여 구동부(7)가 내부 칼날(3)에 왕복 운동을 시키는 구동 주파수를 제어하고, 구동부(7)에 내부 칼날(3)을 세정하기 위해서 알맞은 이동 속도로 구동시킨다.
예를 들면, 면도기의 외부 칼날(2)을 분리하여 직접 내부 칼날(3)에 흐르는 물(A)을 접촉시키면서 세정하는 경우에는, 내부 칼날(3)의 구동에 의해서 물이나 수염 찌꺼기가 튀어나오는 것을 보다 적게 하기 위해서, 제어부(13)는 구동부(7)의 구동 주파수를 통상 구동 모드보다 작아지도록 제어하고, 구동부(7)에 의해서 내부 칼날(3)이 구동되는 이동 속도를 통상 구동 모드보다 느리게 한다.
또, 다양한 실험에 의하면, 내부 칼날(3)의 구동에 의해서 물이나 수염 찌꺼기가 튀어나오는 것을 보다 적게 하기 위해서, 내부 칼날(3)의 이동 속도의 순간 최고값이 매분 60m 이하가 되도록, 제어부(13)는 구동부(7)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식 전기 면도기에 본 발명을 이용한 경우에는, 물이나 수염 찌꺼기가 튀어나오는 것을 보다 적게 하기 위해서, 내부 칼날의 최외주부의 속도가 매분 60m 이하가 되도록, 제어부(13)는 구동부(7)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내부 칼날(3)에 직접 흐르는 물(A)을 접촉시키면서 내부 칼날(3)을 구동하여 세정을 행할 때에 충분한 세정 효과를 얻기 위해서, 내부 칼날(3)의 이동 속도가 순간적으로 매분 20m 이상이 되도록, 제어부(13)는 구동부(7)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내부 칼날(3)이 최고 속도로 구동되 는 왕복 운동의 진폭의 중앙 부근에서, 내부 칼날(3)의 이동 속도가 매분 20m 이상이 되도록 제어부(13)는 구동부(7)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부(13)는 외부 칼날(2)을 장착한 상태로 물, 세정제 등을 외부 칼날(2) 및 내부 칼날(3)에 묻혀서 칼날부의 세정을 행하는 경우의 세정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세정 구동 모드에서는, 내부 칼날(3)의 이동 속도가 통상 구동 모드인 경우보다도 고속이 되도록 제어부(13)는 구동부(7)의 구동 주파수를 제어하고, 구동부(7)에 의해 내부 칼날(3)이 구동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내부 칼날(3)이 보다 고속인 이동 속도로 구동되기 때문에, 세정 효과가 높아지는 동시에, 외부 칼날(2)이 장착된 상태이므로, 물이나 수염 찌꺼기가 튀어나오는 것이 보다 적다.
또, 제어부(13)는 세정 구동 모드에서는, 내부 칼날(3)의 이동 속도가 상이한 다수의 구동 모드로 내부 칼날(3)을 구동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예를 들면, 제어부(13)는, 내부 칼날(3)을 고속으로 구동시키는 모드, 내부 칼날(3)을 저속으로 구동시키는 모드 및 내부 칼날(3)의 이동 속도가 0이 되는 모드를 조합하여 내부 칼날(3)을 구동함으로써, 내부 칼날(3)을 고속 구동으로부터 급격히 저속 구동으로 변화시키거나, 또는 고속 구동으로부터 급격히 정지시키거나, 혹은 이들 구동 모드의 조합을 반복하여 내부 칼날(3)의 이동 속도를 다양하게 변화시키고, 또 내부 칼날(3)에 가속도를 가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내부 칼날(3)의 이동 속도나, 내부 칼날(3)에 가해지는 가속도 등에 의해서, 수염 찌꺼기가 흔들려서 떨어지고, 보다 세정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 전기 면도기(1)는 도시하지 않은 충전식 전지 및 상기 충전식 전지의 충 전을 제어하는 충전 제어 회로를 구비한다. 상기 충전 제어 회로는, 상기 충전식 전지의 출력 전압에 따라서, 상기 충전식 전지에 충전을 행하기 위한 충전 모드와 다른 동작 모드의 사이에서 모드를 전환한다.
(제1 실시 형태의 동작)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면도기(1)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상태 천이도이다. 도 3의 상태 천이도에서, 스탠바이 모드에서는, 내부 칼날(3)은 정지 상태로 되어 있다. 스탠바이 모드에서, 스위치 핸들(6)이 통상 구동 모드의 위치에 있을 때에, 스위치 핸들(5)이 온의 위치에 슬라이드된 경우, 모드 스위치(12)로부터 제어부(13)로 온/오프 신호가 오프 상태로 출력되고, 메인 스위치(11)로부터 제어부(13)로 온/오프 신호가 온 상태로 출력되기 때문에, 제어부(13)는 통상 구동 모드로 이행한다.
통상 구동 모드에서는, 제어부(13)에 의해 구동부(7)의 구동 주파수가 제어되고, 구동부(7)에 의해 내부 칼날(3)이 수염을 절단하기 위해서 알맞은 이동 속도로 구동된다.
한편, 스탠바이 모드에서, 스위치 핸들(6)이 세정 구동 모드의 위치에 있을 때에, 스위치 핸들(5)이 온의 위치로 슬라이드된 경우, 모드 스위치(12)로부터 제어부(13)로 온/오프 신호가 온 상태로 출력되고, 메인 스위치(11)로부터 제어부(13)로 온/오프 신호가 온 상태로 출력되기 때문에, 제어부(13)는 세정 구동 모드로 이행한다.
세정 구동 모드에서는, 내부 칼날(3)이 구동되는 이동 속도가, 통상 구동 모 드보다 느린 속도, 예를 들면, 순간적으로 매분 20m 이상이고, 순간 최고값이 매분 60m 이하가 되도록, 제어부(13)에 의해서 구동부(7)의 구동 주파수가 제어되고, 구동부(7)에 의해 내부 칼날(3)이 구동된다. 이 경우, 면도기의 외부 칼날(2)을 분리하여 직접 내부 칼날(3)에 흐르는 물(A)을 접촉시킴으로써, 효과적으로 칼날을 세정할 수 있는 동시에, 물이나 수염 찌꺼기가 튀어나오는 것이 보다 적어진다. 또, 내부 칼날(3) 등의 세정을 행하기 위해서, 전용의 세정기 등을 이용할 필요가 없으며, 손쉽게 전기 면도기(1)의 칼날을 세정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는 통상 구동 모드로, 스위치 핸들(6)이 세정 구동 모드의 위치로 슬라이드되고, 모드 스위치(12)로부터 출력된 온/오프 신호가 온 상태로 된 경우에는, 세정 구동 모드로 이행한다. 또, 세정 구동 모드에서, 스위치 핸들(6)이 통상 구동 모드의 위치로 슬라이드되고, 모드 스위치(12)로부터 출력된 온/오프 신호가 오프 상태로 된 경우에는, 통상 구동 모드로 이행한다. 또, 제어부(13)는 통상 구동 모드 및 세정 구동 모드에서 스위치 핸들(5)이 오프의 위치로 슬라이드되고, 메인 스위치(11)로부터 출력된 온/오프 신호가 오프 상태로 된 경우에는, 스탠바이 모드로 이행하여, 구동부(7)에 내부 칼날(3)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제2 실시 형태의 구성)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면도기(1)의 외관 및 전기 면도기(1)로부터 외부 칼날(2)을 분리하여 내부 칼날(3)을 흐르는 물(A)로 세정하는 모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면도기(1)의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하는 전기 면도기(1)는, 도 1에 도시하는 전기 면도기(1)와 이하의 점에서 다르다.
즉, 도 4에 도시하는 전기 면도기(1)는, 슬라이드형의 스위치 핸들(5) 및 스위치 핸들(6)을 구비하지 않는다. 한편, 도 4에 도시하는 전기 면도기(1)는 하우징(4)의 전면에, 스위치 버튼(8), 표시부(9) 및 표시부(10)가 배치되어 있다. 스위치 버튼(8)은, 메인 스위치(11)와 연동하도록 배치된다. 이 경우, 메인 스위치(11)로서, 래치가 걸리지 않은 택 스위치 등의 가압 버튼 스위치가 이용되고, 유저가 스위치 버튼(8)을 가압하고 있는 동안에만 메인 스위치(11)가 온하고, 손을 떼면 오프한다.
표시부(9)는, 전기 면도기(1)가 세정 구동 모드에서 동작중인 것을 유저에게 통지하기 위한 표시를 행하는 것으로, 제어부(13)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의해 발광한다. 표시부(10)는, 유저에게 세정을 재촉하기 위한 표시를 행하는 것으로, 제어부(13)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의해 발광한다. 표시부(9) 및 표시부(10)는, 예를 들면 발광 다이오드 등이 이용된다.
또, 도 5에 도시하는 블록도는, 도 2에 도시하는 블록도와 이하의 점에서 상이하다. 즉, 모드 스위치(12)를 구비하지 않고, 타이머부(14), 표시부(9), 표시부(10) 및 적산 타이머부(15)를 구비한다. 타이머부(14)는 제어부(13)에 의해서 설정된 소정 시간을 계측한다. 타이머부(14)로서는, 예를 들면 범용의 타이머 IC 등이 이용된다. 타이머부(14)는 제어부(13)에 의해 소정 시간이 설정됨으로써 시간의 계측을 개시하고, 설정된 소정 시간이 경과하였을 때에 타임 업 신호를 제어부(13)로 출력한다.
적산 타이머부(15)는, 제어부(13)로부터 출력되는 통상 구동 모드로 동작 중인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취입하여, 상기 신호가 출력되어 있는 시간을 적산한다. 그리고, 적산 타이머부(15)는 상기 적산한 시간이 미리 설정된 소정 시간(Ts)을 넘었을 때에, 적산 타임 업 신호를 제어부(13)로 출력한다. 또, 적산 타이머부(15)는 제어부(13)로부터 세정 구동 모드로 동작 중인 것을 나타내는 신호가 출력된 경우, 적산 타이머를 리셋하여 적산한 시간을 0으로 되돌린다.
또, 적산 타이머부(15)로서는, 예를 들면 전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으로 동작하는 타이머 IC 등이 이용되고, 적산 타이머부(15)는 전기 면도기(1)의 스위치가 오프되거나, 전기 면도기(1)가 구비하는 상기 충전식 전지의 전압이 저하된 경우에도 적산한 시간을 유지한다. 그리고, 적산 타이머부(15)는, 새롭게 제어부(13)로부터 통상 구동 모드에서 동작 중인 것을 나타내는 신호가 출력된 경우, 상기 신호가 출력되고 있는 시간을 상기 유지하고 있는 시간으로 적산하도록 구성된다.
제어부(13)는, 메인 스위치(11)로부터 출력된 온/오프 신호를 검출하는 동시에, 타이머부(14)에 소정 시간(Ta)을 설정하여 소정 시간(Ta)를 계측시킨다. 또, 제어부(13)는 상기 검출한 온/오프 신호가 온 상태를 계속하고 있는 시간이, 타이머부(14)에서 계측된 소정 시간(Ta)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별하여, 통상 구동 모드와 세정 구동 모드의 전환을 행한다.
또, 제어부(13)는 세정 구동 모드에서 구동부(7)에 내부 칼날(3)을 구동시키고 있는 동안, 표시부(9)를 발광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여 표시부(9)를 발광시 킨다. 유저는 표시부(9)가 발광함으로써, 전기 면도기(1)가 세정 구동 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전기 면도기(1)가 세정 구동 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것을 유저에게 통지하는 수단으로서, 부저 등을 구비하여 소리에 의해서 통지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제2 실시 형태의 동작)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면도기(1)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메인 스위치(11)가 온되면, 단계 S1에서, 구동부(7)를 통상 구동 모드의 구동 주파수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가, 제어부(13)로부터 구동부(7)로 출력된다. 그리고, 구동부(7)는 내부 칼날(3)을 통상 구동 모드로 구동시키고, 내부 칼날(3)이 구동되는 이동 속도는 수염의 절단에 알맞은 속도에 제어된다. 또, 제어부(13)에 의해 타이머부(14)에 소정 시간(Ta)이 설정되고, 타이머부(14)에 의해서, 소정 시간(Ta)의 시간 계측이 개시된다.
또한, 단계 S1에서, 내부 칼날(3)이 구동되는 이동 속도가 통상 구동 모드보다도 저속이 되도록, 제어부(13)에 의해 제어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내부 칼날(3)의 구동을 개시시킬 때의 이동 속도는, 세정 모드인 경우의 이동 속도 이상이고, 통상 모드인 경우의 이동 속도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처음부터 외부 칼날(2)이 분리되고, 흐르는 물(A)이 내부 칼날(3)에 접촉되어 있는 상태로, 스위치가 온된 경우에도, 물이나 수염 찌꺼기가 비산하는 것을 보다 적게 할 수 있다.
다음에, 단계 S2에서, 타이머부(14)로부터 출력되는 타임 업 신호가, 제어부(13)에 의해 검출될 때까지, 단계 S1∼S2가 반복되고, 통상 구동 모드에서의 내부 칼날(3)의 구동이 계속된다. 그리고, 소정 시간(Ta)이 경과하여, 타이머부(14)로부터 출력된 타임 업 신호가 제어부(13)에 의해 검출되었을 때, 단계 S3으로 이행한다.
다음에, 단계 S3에서, 메인 스위치(11)가 온 상태를 계속하고 있었을 때에는, 제어부(13)는 세정 구동 모드로 하기 위해서 단계 S5로 이행하고, 메인 스위치(11)가 온 상태를 계속하고 있지 않았을 때에는, 통상 구동 모드를 유지하기 위해서 단계 S4로 이행한다.
상기 단계 S2∼S3의 동작에 의해, 유저가 소정 시간(Ta) 동안 스위치 버튼(8)을 계속 가압함으로써, 세정 구동 모드로 전환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위치 버튼(8)과 연동하는 메인 스위치(11)로서, 래치가 걸리지 않은 스위치가 이용되고 있기 때문에, 유저는 스위치 버튼(8)으로부터 손을 떼는 것 만으로 메인 스위치(11)를 오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유저는 소정 시간(Ta)이 경과하기 전에 스위치 버튼(8)으로부터 손을 떼는 것 만으로 통상 동작 모드로 전환할 수 있고, 간단한 조작으로 동작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저가 외부 칼날(2)을 장착한 상태로 외부 칼날(2)의 외측에서 세정제 등을 묻혀서 스위치 버튼(8)을 가압하고, 통상 구동 모드로 내부 칼날(3)을 구동시킴으로써, 외부 칼날(2) 및 내부 칼날(3) 전체에 세정제를 널리 퍼지도록 할 수 있는 동시에, 거품을 일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세정 구동 모드보다도 내부 칼날(3)이 고속으로 구동되기 때문에, 세정제를 널리 퍼지게 하여, 거품을 일게 하는 효과가 보다 크다.
그리고, 유저가 그대로 스위치 버튼(8)을 계속 가압한 경우에는 세정 구동 모드로 전환되기 때문에, 세정 구동 모드로 전환된 후, 유저가 외부 칼날(2)을 분리하여 직접 내부 칼날(3)에 흐르는 물(A)을 접촉시킴으로써, 내부 칼날(3)에 세정제가 널리 퍼진 상태로 세정되어, 보다 세정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칼날(2)을 분리할 때에는, 유저는 스위치 버튼(8)으로부터 손을 뗄 필요가 있기 때문에, 세정 구동 모드로 이행한 후에는 스위치 버튼(8)으로부터 손을 떼어도 세정 구동 모드가 계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세정제를 널리 퍼지게 한 상태로, 유저가 소정 시간(Ta)이 경과하기 전에 스위치 버튼(8)으로부터 손을 뗀 경우에는 통상 구동 모드로 전환되기 때문에, 종래와 동일하게 외부 칼날(2)을 장착된 상태로 통상 구동 모드에 의한 세정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소정 시간(Ta)으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 외부 칼날(2)과 내부 칼날(3)에 세정제가 충분히 널리 퍼지는 시간인 2초∼5초 정도로 설정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2에서, 소정 시간(Ta)이 경과하기 전에 메인 스위치(11)가 오프한 경우에는, 단계 S3으로 이행하지 않고 통상 구동 모드로 하기 위해서 단계 S4로 이행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소정 시간(Ta)이 경과하기 전에 유저가 스 위치 버튼(8)으로부터 손을 떼었을 때, 소정 시간(Ta)이 경과하는 것을 대기하지 않고, 신속하게 단계 S4의 통상 구동 모드로 이행한다.
다음에, 단계 S4에서 통상 구동 모드로 되기 때문에, 제어부(13)에 의해 구동부(7)의 구동 주파수가 제어되고, 구동부(7)에 의해 내부 칼날(3)이 수염을 절단하기 위해서 알맞은 이동 속도로 구동된다. 또, 제어부(13)에 의해 적산 타이머부(15)에 소정 시간(Ts)이 설정된다.
또, 제어부(13)에 의해 적산 타이머부(15)로 통상 구동 모드에서 동작 중인 것을 나타내는 신호가 출력되고, 적산 타이머부(15)에 의해서 상기 신호가 출력되고 있는 동안의 시간이 적산된다. 또, 상기 적산된 시간이, 소정 시간(Ts)을 넘는 경우에는, 적산 타이머부(15)에 의해 적산 타임 업 신호가 제어부(13)로 출력된다. 그리고, 제어부(13)에 의해 세정을 재촉하도록 표시부(10)를 발광시키기 위한 신호가 출력되어, 표시부(10)가 발광한다.
소정 시간(Ts)으로서는, 미리 실험 등에 의해서 조사한, 유저가 면도를 행함으로써 수염 찌꺼기가 칼날부에 잔류하는 데에 걸리는 시간이 설정된다. 또, 소정 시간(Ts)으로서 설정되는 시간은, 시간(Ts)의 설정 시간을 전환하는 스위치 등을 설치하고, 유저의 수염의 농도 등의 사용 조건에 따라서 변화시키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유저는 표시부(10)가 발광함으로써, 칼날부에 수염 찌꺼기가 잔류하여, 세정할 필요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단계 S5에서, 세정 구동 모드로 이행하고, 제어부(13)에 의해 구동부(7)의 구동 주파수가 제어되며, 구동부(7)에 의해 내부 칼날(3)이 세정하기 위해서 알맞은 이동 속도로 구동된다. 또, 제어부(13)에 의해 세정 구동 모드에서 동작 중인 것을 통지하기 위해서 표시부(9)를 발광시키기 위한 신호가 출력되어, 표시부(9)가 발광한다.
이 경우, 유저는 표시부(9)가 발광함으로써, 세정 구동 모드에서 동작 중인 것을 알 수 있고, 유저가 세정 구동 모드에서 면도를 행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 유저는 표시부(9)가 발광함으로써, 세정 구동 모드로 전환된 것을 확인하여, 외부 칼날(2)을 분리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9)를 구비하지 않은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세정 구동 모드로 전환함으로써, 내부 칼날(3)이 구동되는 구동 주파수가 변화하기 때문에, 내부 칼날(3)의 구동음이 변화함으로써, 유저는 세정 구동 모드로 전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 제어부(13)에 의해 타이머부(14)에 소정 시간(Tb)이 설정되고, 타이머부(14)에 의해서 소정 시간(Tb)의 시간 계측이 개시된다. 또, 제어부(13)에 의해 세정 구동 모드에서 동작 중인 것을 나타내는 신호가 적산 타이머부(15)로 출력된다. 그리고, 적산 타이머부(15)에서는 적산된 시간을 0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세정 구동 모드로 내부 칼날(3)을 구동하면, 적산 타이머부(15)에서 적산된 시간이 0이 되기 때문에, 적산 타이머부(15)는 세정 구동 모드로 내부 칼날(3)이 세 정된 후, 통상 구동 모드에서 유저가 면도를 행한 시간을 적산하게 된다.
다음에, 단계 S6에서, 타이머부(14)에서 출력되는 타임 업 신호가, 제어부(13)에 의해 검출될 때까지, 단계 S5∼S6이 반복되고, 세정 구동 모드에서의 내부 칼날(3)의 구동이 소정 시간(Tb) 동안 계속된다. 그리고, 소정 시간(Tb)이 경과하여, 타이머부(14)로부터 출력된 타임 업 신호가 제어부(13)에 의해 검출되었을 때, 제어부(13)는 구동부(7)에 내부 칼날(3)의 구동을 정지시킨다(단계 S7).
이 경우, 소정 시간(Tb)으로서는, 충분한 세정 효과를 얻기 위해서 필요한 시간이 설정된다. 따라서, 유저가 세정 구동 모드로 세정을 행함으로써, 충분한 세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내부 칼날(3)의 구동은, 세정를 위해서 필요한 시간의 경과 후, 제어부(13)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정지되기 때문에, 유저가 내부 칼날(3)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조작을 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잘못된 조작 등, 의도하지 않고 세정 구동 모드로 칼날이 구동되는 상태가 되었을 때에도 칼날이 계속 구동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전기 면도기(1)를 유저가 가방 등에 넣어서 들고 운반할 때, 잘못해서 스위치 버튼(8)이 가압되어 세정 구동 모드로 칼날이 구동되는 상태가 되었을 때에도 칼날이 계속 구동되지 않고, 또, 전지가 쓸데없이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의 구성)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면도기(1)의 제3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전기 면도기(1)의 외관 및 블록도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면도기(1)와 동일하게, 각각 도 4 및 도 5에 도시된다.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면도기(1)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면도기(1)와는 제어부(13)의 구성이 상이하다.
즉, 제어부(13)에 의한 세정 구동 모드로서, 외부 칼날(2)을 장착된 상태로 외부 칼날(2)의 외측에서 세정제 등을 묻혀서 외부 칼날(2) 및 내부 칼날(3) 전체에 세정제를 널리 퍼지게 하기 위한 제1 세정 구동 모드와, 외부 칼날(2)을 분리한 상태에서 흐르는 물을 내부 칼날(3)에 접촉시키면서 세정을 행하기 위한 제2 세정 구동 모드를 포함한다.
제1 세정 구동 모드에서는, 제어부(13)는 구동부(7)의 구동 주파수를 제어하여, 외부 칼날(2)을 장착된 상태로 외부 칼날(2)의 외측에서 세정제 등을 묻혀서 외부 칼날(2) 및 내부 칼날(3) 전체에 세정제를 널리 퍼지게 하기 위해서 알맞은 이동 속도로, 구동부(7)에 내부 칼날(3)을 구동시킨다.
이 경우, 외부 칼날(2)이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내부 칼날(3)을 구동하는 이동 속도를 고속으로 해도 물이나 수염 찌꺼기가 비산되지 않는다. 따라서, 외부 칼날(2)을 분리한 상태로 흐르는 물을 내부 칼날(3)에 접촉시키면서 세정을 행하기 위한 제2 세정 구동 모드의 경우보다도, 제1 세정 구동 모드에서 내부 칼날(3)을 구동하는 경우의 이동 속도를 고속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세정제를 널리 퍼지게 하거나, 혹은 거품을 일게 하는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제1 세정 구동 모드에서 내부 칼날(3)을 구동하는 경우의 내부 칼날(3)의 이동 속도는, 제2 세정 구동 모드의 경우와 동일해도 좋다. 또, 제1 세정 구동 모드에서 내부 칼날(3)을 구동하는 경우의 내부 칼날(3)의 이동 속도는, 통상 구동 모드의 경우와 동일하거나, 혹은 통상 구동 모드의 경우보다도 고속이어도 좋다.
제2 세정 구동 모드에서는, 내부 칼날(3)이 구동되는 이동 속도가, 통상 구동 모드보다 느린 속도, 예를 들면, 순간적으로 매분 20m 이상이고, 순간 최고값이 매분 60m 이하가 되도록, 제어부(13)에 의해 구동부(7)의 구동 주파수가 제어되고, 구동부(7)에 의해 내부 칼날(3)이 구동된다.
또, 제어부(13)는 소정 시간(Tc) 동안, 제1 세정 구동 모드에서 구동부(7)에 내부 칼날(3)을 구동시키고, 그 후, 소정 시간(Td) 동안, 내부 칼날(3)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또한 그 후, 소정 시간(Te) 동안, 제2 세정 구동 모드에서 구동부(7)에 내부 칼날(3)을 구동시킨 후에 내부 칼날(3)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이것에 의해, 유저는, 제1 세정 구동 모드일 때에, 외부 칼날(2)을 장착한 상태로 외부 칼날(2)의 외측에서 세정제 등을 묻혀서 외부 칼날(2) 및 내부 칼날(3) 전체에 세정제를 널리 퍼지게 한 후에, 내부 칼날(3)의 구동이 정지하고 있는 소정 시간(Td) 동안에 외부 칼날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고, 제2 세정 구동 모드일 때에, 세정제를 널리 퍼지게 한 내부 칼날(3)에 흐르는 물을 직접 접촉시키면서 세정을 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소정 시간(Tc)으로서는, 외부 칼날(2)을 장착한 상태로 외부 칼날(2)의 외측에서 세정제 등을 묻혀서 외부 칼날(2) 및 내부 칼날(3) 전체 에 세정제를 널리 퍼지게 하거나, 혹은 거품을 일게 하기 위해서 충분한 시간 등이 설정되고, 소정 시간(Td)으로서는, 유저가 외부 칼날을 분리하기 위해서 필요한 시간이 설정되며, 소정 시간(Te)으로서는, 흐르는 물을 직접 내부 칼날(3)에 접촉시키면서 세정을 행하는 경우에 충분한 세정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시간이 설정된다.
(제3 실시 형태의 동작)
도 7은, 제3 실시 형태에 의한 전기 면도기(1)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제2 실시 형태와는, 도 7의 흐름도에서, 단계 S15 이후의 세정 구동 모드에서의 동작이 상이하다. 단계 S11∼S14는,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도 6의 흐름도에서의 단계 S1∼S4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하고, 단계 S15 이후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단계 S13으로부터 세정 구동 모드로 하기 위해서 단계 S15로 이행하고, 단계 S15에서 제1 세정 구동 모드가 된다. 단계 S15에서, 제어부(13)에 의해 구동부(7)의 구동 주파수가 제어되고, 구동부(7)에 의해 외부 칼날(2) 및 내부 칼날(3) 전체에 세정제를 널리 퍼지게 하는 데에 알맞은 이동 속도, 예를 들면 통상 구동 모드의 경우와 동일 이동 속도로 내부 칼날(3)이 구동된다. 이 경우, 제2 세정 구동 모드로 내부 칼날(3)을 구동시키는 이동 속도보다도 고속으로 내부 칼날(3)이 구동되기 때문에, 외부 칼날(2)을 장착한 상태에서 외부 칼날(2)의 외측에서 세정제 등을 묻혀서 내부 칼날(3)을 구동시킴으로써, 외부 칼날(2) 및 내부 칼날(3) 전체에, 보다 충분히 세정제를 널리 퍼지게 할 수 있다.
또, 제어부(13)에 의해, 세정 구동 모드에서 동작 중인 것을 통지하기 위해서 표시부(9)를 발광시키기 위한 신호가 출력되고, 표시부(9)가 발광한다. 또, 제어부(13)에 의해, 타이머부(14)에 소정 시간(Tc)이 설정되고, 타이머부(14)에 의해서, 소정 시간(Tc)의 시간 계측이 개시된다. 이 경우, 소정 시간(Tc)으로서는, 예를 들면, 외부 칼날(2) 및 내부 칼날(3) 전체에, 보다 충분히 세정제를 널리 퍼지게 하기 위해서 필요한 시간이 설정된다.
다음에, 단계 S16에서, 타이머부(14)로부터 출력되는 타임 업 신호가, 제어부(13)에 의해 검출될 때까지, 단계 S15∼S16이 반복되기 때문에, 제1 세정 구동 모드에서의 내부 칼날(3)의 구동이 소정 시간(Tc) 동안, 계속된다. 그리고, 소정 시간(Tc)이 경과하여, 타이머부(14)로부터 출력된 타임 업 신호가 제어부(13)에 의해 검출되었을 때, 내부 칼날(3)의 구동을 중단하기 위해서 단계 S17로 이행한다.
다음에, 단계 S17에서, 제어부(13)는 구동부(7)에 내부 칼날(3)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또, 제어부(13)에 의해 타이머부(14)에 소정 시간(Td)이 설정되고, 타이머부(14)에 의해서 소정 시간(Td)의 시간 계측이 개시된다.
다음에, 단계 S18에서, 타이머부(14)로부터 출력되는 타임 업 신호가 제어부(13)에 의해 검출될 때까지, 단계 S17∼S18이 반복되고, 소정 시간(Td) 동안, 내부 칼날(3)의 구동이 정지한다. 그리고, 소정 시간(Td)이 경과하여, 타이머부(14)로부터 출력된 타임 업 신호가 제어부(13)에 의해 검출되었을 때, 제2 세정 구동 모드로 하기 위해서 단계 S19로 이행한다.
이 경우, 소정 시간(Td)으로서는, 예를 들면, 외부 칼날(2)의 분리를 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시간이 설정되고, 내부 칼날(3)의 구동이 정지하고 있는 동안에 외부 칼날(2)을 분리함으로써, 외부 칼날(2)과 내부 칼날(3)이 충돌하는 등의 간섭을 일으키지 않고 용이하게 외부 칼날(2)을 분리할 수 있다.
또, 내부 칼날(3)의 구동이 정지하면, 내부 칼날(3)의 구동음이 꺼지기 때문에, 유저는 내부 칼날(3)의 구동이 정지한 것을 확인하여 외부 칼날(2)을 분리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유저에게 외부 칼날(2)의 분리를 재촉하는 관점에서, 내부 칼날(3)의 구동이 정지하고 있는 동안, 제어부(13)는 표시부(9)를 점멸 발광시키는 신호를 출력하여, 표시부(9)가 점멸 발광하도록 해도 좋다.
다음에, 단계 S19에서, 제2 세정 구동 모드로 이행하고, 제어부(13)에 의해 구동부(7)의 구동 주파수가 제어된다. 그리고, 구동부(7)에 의해 통상 구동 모드보다 느린 속도, 예를 들면, 순간적으로 매분 20m 이상이고, 순간 최고값이 매분 60m 이하인 이동 속도로 내부 칼날(3)이 구동된다. 또, 제어부(13)에 의해, 세정 구동 모드에서 동작 중인 것을 통지하기 위해서 표시부(9)를 발광시키기 위한 신호가 출력되어, 표시부(9)가 발광한다.
또, 제어부(13)에 의해 타이머부(14)에 소정 시간(Te)이 설정되고, 타이머부(14)에 의해서 소정 시간(Te)의 시간 계측이 개시된다. 또, 제어부(13)에 의해, 세정 구동 모드에서 동작 중인 것을 나타내는 신호가 적산 타이머부(15)로 출력된다. 그리고, 적산 타이머부(15)는 적산된 시간을 0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제2 세정 구동 모드에서 내부 칼날(3)을 구동하면, 적산 타이머부(15)에서 적산된 시간이 0이 되기 때문에, 적산 타이머부(15)는 제2 세정 구동 모드에서 내부 칼날(3)이 세정된 후, 통상 구동 모드에서 유저가 면도를 행한 시간을 적산하게 된다.
다음에, 단계 S20에서, 타이머(14)로부터 출력되는 타임 업 신호가, 제어부(13)에 의해 검출될 때까지, 단계 S19∼S20이 반복되어, 제2 세정 구동 모드에서의 내부 칼날(3)의 구동이 소정 시간(Te) 동안 계속된다. 그리고, 소정 시간(Te)이 경과하여, 타이머부(14)로부터 출력된 타임 업 신호가 제어부(13)에 의해 검출되었을 때, 제어부(13)는 구동부(7)에 내부 칼날(3)의 구동을 정지시킨다(단계 S21).
이 경우, 소정 시간(Te)으로서 충분한 세정 효과를 얻기 위해서 필요한 시간을 설정함으로써, 충분한 세정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소정 시간(Te)의 경과 후, 제어부(13)에 의한 구동이 자동적으로 정지되기 때문에, 내부 칼날(3)이 계속 구동되지 않는다.
다음에, 이상 설명한 전기 면도기는, 내부 칼날과 외부 칼날을 갖고, 이들 칼날의 한쪽 또는 양쪽을 구동시켜서 사이에 끼움으로써 수염의 절단을 행하는 전기 면도기로서, 수염의 절단을 행하기 위한 통상 구동 모드와, 칼날의 세정을 행하기 위한 세정 구동 모드를 구비하고, 상기 세정 구동 모드에서는, 칼날의 구동 주 파수, 회전수 및 진폭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통상 구동 모드와 상이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전기 면도기에 의하면, 상기 통상 구동 모드에서는 수염의 절단을 행하기 위해서 칼날의 구동이 제어되고, 상기 세정 구동 모드에서는 칼날의 세정을 행하기 위해서 칼날의 구동이 제어되며, 상기 세정 구동 모드에서는 칼날의 구동 주파수, 회전수 및 진폭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통상 구동 모드와 상이하도록 제어된다. 이 경우, 세정 구동 모드에서는, 칼날의 이동 속도를 칼날의 세정에 알맞은 속도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칼날을 효과적으로 세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기구를 이용하여 칼날을 세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손쉽게 칼날을 세정할 수 있다.
상기 세정 구동 모드에서는, 상기 주파수, 상기 회전수 및 상기 진폭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통상 구동 모드보다 작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세정 구동 모드에서는, 상기 주파수, 상기 회전수 및 상기 진폭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통상 구동 모드보다 작아진다. 이 경우, 상기 세정 구동 모드에서는 상기 통상 구동 모드보다도 칼날의 이동 속도가 작아지기 때문에, 면도기의 외부 칼날을 분리하여 내부 칼날에 직접 흐르는 물을 접촉시키면서 상기 세정 구동 모드에서 칼날을 구동시킨 경우에 물이나 수염 찌꺼기가 비산하는 것을 보다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세정 구동 모드에서는, 구동하는 칼날의 이동 속도의 순간 최고값을 매분 60m 이하로 유지하는 동시에, 적어도 하나의 구동하는 칼날의 이동 속도를 매분 20m 이상으로 하는 순간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세정 구동 모드에서는, 구동하는 칼날의 이동 속도의 순간 최고값이 매분 60m 이하로 유지되고, 적어도 하나의 구동하는 칼날의 이동 속도가 매분 20m 이상이 되는 순간이 있다. 이 경우, 면도기의 외부 칼날을 분리하여 내부 칼날에 직접 흐르는 물을 접촉시키면서 상기 세정 구동 모드로 칼날을 구동시켰을 때에, 구동하는 칼날의 이동 속도의 순간 최고값이 물이나 수염 찌꺼기의 비산이 심해지는 속도 이하로 유지되고, 구동하는 칼날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 속도가 세정을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는 속도 이상으로 되는 순간이 있기 때문에, 물이나 수염 찌꺼기가 비산하는 것을 억제하면서 효과적인 세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세정 구동 모드에서는, 상기 주파수, 상기 회전수 및 상기 진폭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통상 구동 모드보다 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세정 구동 모드에서는, 상기 주파수, 상기 회전수, 상기 진폭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통상 구동 모드보다 커진다. 이 경우, 상기 세정 구동 모드에서는 상기 통상 구동 모드보다도 칼날의 이동 속도가 커지기 때문에, 면도기의 외부 칼날을 부착한 상태로 칼날에 세정제 등을 묻혀서 칼날을 구동시켰을 때에, 보다 효과적으로 칼날을 세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세정 구동 모드는, 상기 주파수, 상기 회전수 및 상기 진폭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상이한 다수의 구동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구동 모드를 조합하여 칼날을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세정 구동 모드에는, 상기 주파수, 상기 회전수 및 상기 진폭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상이한 다수의 구동 모드가 포함되고, 상기 다수의 구동 모드의 조합에 의해서 칼날이 구동된다. 이 경우, 칼날의 이동 속도가 상이한 다수의 구동 모드가 조합되어, 칼날의 이동 속도가 변화됨으로써 수염 찌꺼기가 흔들려서 떨어지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으로 세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전기 면도기는, 스위치가 온되었을 때에는 상기 통상 구동 모드이고, 스위치가 온된 상태가 소정 시간 이상 계속된 경우에 상기 세정 구동 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전기 면도기에 의하면, 스위치가 온되었을 때에는 상기 통상 구동 모드에서 칼날이 구동되고, 스위치가 온된 상태가 소정 시간 이상 계속된 경우에 상기 세정 구동 모드로 전환된다. 이 경우, 유저가 스위치를 소정 시간 이상 계속하여 온시켰을 때에 상기 세정 구동 모드로 전환되기 때문에, 상기 세정 구동 모드로 하기 위한 스위치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다.
이 전기 면도기는, 상기 세정 구동 모드로 소정 시간 칼날을 구동한 후에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전기 면도기에 의하면, 칼날은 상기 세정 구동 모드에서 소정 시간 구동된 후에 정지한다. 이 경우, 의도하지 않고 상기 세정 구동 모드에서 칼날이 구동되는 상태가 되었을 때에도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칼날의 구동이 정지하기 때문에, 칼날이 계속 구동되지 않는다.
이 전기 면도기는, 상기 세정 구동 모드에서는, 제1 소정 시간 칼날을 구동한 후에 칼날의 구동을 중단하고, 상기 중단 후, 제2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칼날의 구동을 재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전기 면도기에 의하면, 상기 세정 구동 모드에서 제1 소정 시간 칼날이 구동된 후, 칼날의 구동이 제2 소정 시간 동 안 중단된 후에 칼날의 구동이 재개된다. 이 경우, 칼날의 구동이 중단되어 있는 동안에 외부 칼날을 분리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외부 칼날을 분리할 때에 외부 칼날과 내부 칼날이 충돌하는 등의 간섭을 일으키지 않고, 용이하게 외부 칼날을 분리할 수 있다.
이 전기 면도기는, 상기 세정 구동 모드에서는, 상기 칼날의 구동을 재개한 후에는, 상기 주파수, 상기 회전수 및 상기 진폭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칼날의 구동을 중단하기 전과 상이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전기 면도기에 의하면, 상기 칼날의 구동을 재개한 후에는, 상기 주파수, 상기 회전수 및 상기 진폭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칼날의 구동을 중단하기 전과 상이하다. 이 경우, 상기 칼날의 구동을 중단하기 전에 외부 칼날을 장착한 상태로 외부 칼날 및 내부 칼날에 세정제를 널리 퍼지게 할 때와, 상기 칼날의 구동을 재개한 후에 외부 칼날을 분리하여 내부 칼날을 구동시켜서 세정할 때의 각각의 경우에 알맞도록, 칼날의 이동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 전기 면도기는, 상기 세정 구동 모드에서는, 상기 칼날의 구동을 재개한 후에는, 상기 주파수, 상기 회전수 및 상기 진폭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칼날의 구동을 중단하기 전보다 작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전기 면도기에 의하면, 상기 칼날의 구동을 재개할 때에는, 상기 주파수, 상기 회전수 및 상기 진폭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칼날의 구동을 중단하기 전보다도 작다. 이 경우, 상기 칼날의 구동을 재개한 후에, 외부 칼날을 분리하여 내부 칼날에 직접 흐르는 물을 접촉시키면서 칼날을 구동시키는 경우에, 물이나 수염 찌꺼기가 비산하는 것을 보다 적게 할 수 있다.
이 전기 면도기는, 상기 세정 구동 모드에서는, 상기 칼날의 구동을 재개한 후, 제3 소정 시간 칼날을 구동한 후에 칼날의 구동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전기 면도기에 의하면, 상기 칼날의 구동이 재개된 후, 제3 소정 시간 칼날이 구동된 후에 칼날의 구동이 정지한다. 이 경우, 의도하지 않고 상기 세정 구동 모드에서 칼날이 구동되는 상태가 되었을 때에도 제3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칼날의 구동이 정지하기 때문에, 칼날이 계속 구동되지 않는다.
이 전기 면도기는, 스위치가 온되었을 때에는 상기 주파수, 상기 회전수 및 상기 진폭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통상 구동 모드보다 작게 하여 칼날을 구동하고, 스위치가 온된 상태가 소정 시간 이상 계속된 경우에 상기 세정 구동 모드에서 칼날을 구동하며, 스위치가 온된 상태가 소정 시간 이상 계속되지 않은 경우에는 스위치가 오프되었을 때에 상기 통상 구동 모드에서 칼날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전기 면도기에 의하면, 스위치가 온되었을 때에는 상기 주파수, 상기 회전수 및 상기 진폭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통상 구동 모드보다 작아지도록 칼날이 구동되고, 스위치가 온된 상태가 소정 시간 이상 계속된 경우에 상기 세정 구동 모드에서 칼날이 구동되며, 스위치가 온된 상태가 소정 시간 이상 계속되지 않은 경우에는 스위치가 오프되었을 때에 상기 통상 구동 모드에서 칼날이 구동된다. 이 경우, 스위치가 온되었을 때에는 상기 통상 구동 모드보다도 칼날의 이동 속도가 작기 때문에, 유저가 처음부터 외부 칼날을 분리한 상태로 칼날의 세정을 행하는 경우에도, 스위치가 온되었을 때로부터 물이나 수염 찌꺼기가 비산하는 것을 보다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전기 면도기는, 상기 세정 구동 모드인 것을 유저에게 통지하는 통지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전기 면도기에 의하면, 상기 세정 구동 모드로 되어 있을 때에, 상기 세정 구동 모드인 것이 통지 수단에 의해서 유저에게 통지된다. 이 경우, 상기 세정 구동 모드로 되어 있을 때에, 상기 세정 구동 모드로 되어 있는 것을 유저에게 알릴 수 있다.
이 전기 면도기는, 상기 세정 구동 모드에 의한 칼날의 구동을 행한 후에, 상기 통상 구동 모드에서 칼날을 구동한 시간을 적산하여, 상기 적산된 시간이 소정 시간 이상이 된 경우에, 세정을 재촉하기 위한 표시를 행하는 표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전기 면도기에 의하면, 상기 세정 구동 모드에서 칼날이 구동된 후에, 상기 통상 구동 모드로 칼날이 구동된 시간이 적산되어, 상기 적산된 시간이 소정 시간 이상이 된 경우에, 표시 수단에 의해서 유저에게 세정을 재촉하기 위한 표시가 된다. 이 경우, 대개 수염 찌꺼기가 잔류하는 시기에, 유저에게 세정을 재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고, 수염의 절단을 행하기 위한 통상 구동 모드와, 칼날부의 세정을 행하기 위한 세정 구동 모드를 구비하기 때문에, 칼날을 세정하기 위한 기구를 이용하지 않고 손쉽게, 물이나 수염 찌꺼기를 비산시키는 것이 보다 적고, 효과적으로 칼날을 세정 가능한 전기 면도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4)

  1. 내부 칼날과 외부 칼날을 갖고, 이들 칼날의 한쪽 또는 양쪽을 구동시켜서 사이에 끼움으로써 수염의 절단을 행하는 전기 면도기에 있어서,
    상기 칼날의 한쪽 또는 양쪽을 구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를, 수염의 절단을 행하기 위한 통상 구동 모드와, 칼날의 세정을 행하기 위한 세정 구동 모드의 어느 하나로도 구동 가능함과 동시에, 그 중 선택된 모드로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정 구동 모드에서는, 단위 시간당 칼날이 왕복하는 횟수인 구동주파수, 단위 시간당 칼날이 회전하는 수인 구동회전수 및 칼날이 1회의 왕복운동으로 이동하는 거리인 구동진폭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칼날을 세정하기 위해 적합한 이동 속도가 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면도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 구동 모드에서는, 상기 칼날을 세정하기 위해 적합한 이동 속도로서, 구동하는 칼날의 이동 속도의 순간 최고값을 매분 60m 이하로 유지하는 동시에, 적어도 하나의 구동하는 칼날의 이동 속도를 매분 20m 이상으로 하는 순간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면도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 구동 모드는, 상기 구동주파수, 상기 구동회전수 및 상기 구동진폭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상이한 복수의 구동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구동 모드를 조합하여 칼날을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면도기.
  6. 제1항에 있어서, 스위치가 온되었을 때에는 상기 통상 구동 모드이고, 스위치가 온된 상태가 소정 시간 이상 계속된 경우에 상기 세정 구동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면도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 구동 모드로 소정 시간 칼날을 구동한 후에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면도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 구동 모드에서는, 제1 소정 시간 칼날을 구동한 후에 칼날의 구동을 중단하고, 상기 중단한 후, 제2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칼날의 구동을 재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면도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 구동 모드에서는, 상기 칼날의 구동을 재개한 후에는, 상기 구동주파수, 상기 구동회전수 및 상기 구동진폭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칼날의 구동을 중단하기 전과 상이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면도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 구동 모드에서는, 상기 칼날의 구동을 재개한 후에는, 상기 구동주파수, 상기 구동회전수 및 상기 구동진폭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칼날의 구동을 중단하기 전보다 작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면도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 구동 모드에서는, 상기 칼날의 구동을 재개한 후, 제3 소정 시간 칼날을 구동한 후에 칼날의 구동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면도기.
  12. 제1항에 있어서, 스위치가 온되었을 때에는 상기 구동주파수, 상기 구동회전수 및 상기 구동진폭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통상 구동 모드보다 작게 하여 칼날을 구동하고, 스위치가 온된 상태가 소정 시간 이상 계속된 경우에 상기 세정 구동 모드에서 칼날을 구동하고, 스위치가 온된 상태가 소정 시간 이상 계속되지 않은 경우에는 스위치가 오프되었을 때에 상기 통상 구동 모드에서 칼날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면도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 구동 모드인 것을 통지하는 통지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면도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 구동 모드에 의한 칼날의 구동을 행한 후에, 상 기 통상 구동 모드에서 칼날을 구동한 시간을 적산하고, 상기 적산된 시간이 소정 시간 이상이 된 경우에, 세정을 재촉하기 위한 표시를 행하는 표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면도기.
KR1020047010490A 2002-06-12 2003-06-10 전기 면도기 KR1006578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171774A JP4304419B2 (ja) 2002-06-12 2002-06-12 電気かみそり
JPJP-P-2002-00171774 2002-06-12
PCT/JP2003/007308 WO2003106118A1 (ja) 2002-06-12 2003-06-10 電気かみそり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7466A KR20040107466A (ko) 2004-12-20
KR100657881B1 true KR100657881B1 (ko) 2006-12-14

Family

ID=29727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0490A KR100657881B1 (ko) 2002-06-12 2003-06-10 전기 면도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50144784A1 (ko)
EP (1) EP1512502A4 (ko)
JP (1) JP4304419B2 (ko)
KR (1) KR100657881B1 (ko)
CN (1) CN1628014B (ko)
AU (1) AU2003242132A1 (ko)
WO (1) WO20031061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73786B2 (ja) 2003-02-25 2009-06-03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電気かみそり
US8615886B1 (en) * 2004-05-06 2013-12-31 Winthrop D. Childers Shaving system with energy imparting device
CN100423912C (zh) * 2004-07-13 2008-10-08 光荣电业公司 电动剃须刀
US20060207104A1 (en) * 2005-03-18 2006-09-21 Armando Alvite Hair clipper with multiple speeds
JP4697079B2 (ja) * 2006-07-20 2011-06-08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シェーバ
DE102006038126A1 (de) * 2006-08-14 2008-02-21 Braun Gmbh Verfahren zur Bestimmung der Verschmutzung eines elektrisch angetriebenen Schneidwerkzeugs und Haarschneidegerät
JP5654387B2 (ja) * 2011-02-28 2015-01-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リニア振動モータの駆動制御装置、リニア振動モータの駆動制御方法および小型電気機器
CN202825877U (zh) * 2012-08-10 2013-03-27 珠海新秀丽家居用品有限公司 一种小型体毛修剪器
JP6008197B2 (ja) * 2013-02-13 2016-10-1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除毛器具
JP6266141B2 (ja) * 2014-06-20 2018-01-24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クリーニングインジケータを用いる電気シェーバ
CN104385312B (zh) * 2014-10-30 2015-09-30 姜乃瑜 一种便于携带的剃须刀
JP2016202235A (ja) * 2015-04-15 2016-12-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小型電気機器およびその制御装置
EP3300864B1 (en) * 2016-09-28 2021-12-15 Braun GmbH Electric shaver
JP2018060007A (ja) * 2016-10-04 2018-04-1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US10464225B1 (en) * 2018-05-15 2019-11-05 Lizzette Morales Shaving razor
JP2019048170A (ja) * 2018-12-12 2019-03-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小型電気機器およびその制御装置
JP7117515B2 (ja) * 2020-06-23 2022-08-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小型電気機器およびその制御装置
USD950849S1 (en) * 2020-09-24 2022-05-03 Hybrid Razor Ltd. Shav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061Y2 (ja) * 1987-05-22 1994-08-24 九州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電気かみそり
US6493878B1 (en) * 1988-10-17 2002-12-10 Lord Samuel A Kassatly Method and apparatus for tv broadcasting and reception
US5623193A (en) * 1991-09-26 1997-04-22 Braun Aktiengesellschaft Apparatus for controlling battery discharge
JPH0796085A (ja) * 1993-09-30 1995-04-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電気かみそり
DE4402238C2 (de) * 1994-01-26 1996-09-26 Braun Ag Reinigungsvorrichtung für den Scherkopf eines Trockenrasierers
DE69503872T2 (de) * 1994-06-01 1999-03-04 Philips Electronics Nv Rasier apparat mit regulierbarer motor geschwindigkeit
JPH0938349A (ja) * 1995-05-19 1997-02-1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電気かみそり用の刃組み合わせ体
DE19705977C1 (de) * 1997-02-17 1998-03-05 Braun Ag Reinigungsvorrichtung für einen Trockenrasierapparat
DE19705976C1 (de) * 1997-02-17 1998-10-01 Braun Ag Reinigungsvorrichtung für einen Scherkopf eines Trockenrasierapparates
JPH1147463A (ja) * 1997-08-04 1999-02-23 Izumi Prod Co 電気かみそり
US6158126A (en) * 1998-02-18 2000-12-12 Face International Corp. Piezoelectrically actuated shaver
US6460251B1 (en) * 1998-03-25 2002-10-08 Pfizer Inc. Razor system with worn blade indicator
US6568083B1 (en) * 1999-11-25 2003-05-2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Dry shaver with a height adjustable cutter head
JP4496606B2 (ja) * 2000-05-26 2010-07-07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電気かみそり
JP4663904B2 (ja) * 2001-04-18 2011-04-06 九州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電気かみそ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3242132A1 (en) 2003-12-31
KR20040107466A (ko) 2004-12-20
EP1512502A4 (en) 2006-05-10
CN1628014A (zh) 2005-06-15
WO2003106118A1 (ja) 2003-12-24
CN1628014B (zh) 2010-05-05
US20050144784A1 (en) 2005-07-07
JP4304419B2 (ja) 2009-07-29
EP1512502A1 (en) 2005-03-09
JP2004016285A (ja) 2004-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7881B1 (ko) 전기 면도기
JP7032390B2 (ja) 電気かみそり
EP3082020B1 (en) Electric appliance
CN105619345B (zh) 电动设备
US9866153B2 (en) Motor-driven appliance
US9980438B2 (en) Shearing tool
US7658237B2 (en) Power tool having mode controller
CN103372682A (zh) 充电式电动工具
JP2014230666A (ja) 除毛器具洗浄装置
JP5838335B2 (ja) 電気かみそり
JP7117515B2 (ja) 小型電気機器およびその制御装置
JP2019048170A (ja) 小型電気機器およびその制御装置
JP3127876U (ja) 食物皮剥き機
JP7279232B2 (ja) 連動システム
US20240130506A1 (en) Shaving system with shaving unit and cleaning device
CN113501117A (zh) 水下推进器及水下推进器的清洗方法
KR950007119Y1 (ko) 초음파 세척기의 세척시간 제어장치
KR100466823B1 (ko) 김치냉장고의 숙성모드 전환방법
JPH0531266A (ja) 電気かみそり
JP5608022B2 (ja) 電気かみそり
JP2004135476A (ja) 電動機駆動装置の制御方法
JP2001300892A (ja) 食品スライサーの運転装置
JPH09215654A (ja) 簡易洗浄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