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7853B1 - 가공배전용 케이블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가공배전용 케이블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7853B1
KR100657853B1 KR1020060092229A KR20060092229A KR100657853B1 KR 100657853 B1 KR100657853 B1 KR 100657853B1 KR 1020060092229 A KR1020060092229 A KR 1020060092229A KR 20060092229 A KR20060092229 A KR 20060092229A KR 100657853 B1 KR100657853 B1 KR 100657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ball
stud
socket
ball s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2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대연
Original Assignee
황대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대연 filed Critical 황대연
Priority to KR1020060092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78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7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7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0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 F16B39/04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with a member penetrating the screw-threaded surface of at least one part, e.g. a pin, a wedge, cotter-pin, scre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12Connections or attachments, e.g. turnbuckles, adapted for straining of cables, ropes, or wir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4Arrangements or devices for relieving mechanical tens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볼소켓과 볼스터드의 움직임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하여 활선작업을 보다 더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가공배전용 케이블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볼스터드(40)와 스터드측나사부(42)가 만나는 부위에 스플라인축(44)을 형성하고, 깔대기모양으로 형성된 스토퍼(60)의 중심에는 스플라인축(44)에 미끄럼 겹합되는 스플라인구멍(62)을 형성하며, 스토퍼(60)의 내주연에 볼스터드(40)에 밀착하는 구면밀착부(64)를 형성하고, 볼소켓(30)으로 스토퍼(60)를 가압하기 위한 고정너트(70)를 스터드측나사부(42)에 결합하며, 스토퍼(60)의 외주면에 환형걸림홈(66)을 형성하고, 스토퍼(60)에 형성된 환형걸림홈(66)을 덮는 스토퍼수용부(72)를 고정너트(70)에 일체로 형성하며, 환형걸림홈(66)에 걸리는 스크류(80)를 스토퍼(60)의 외주면에 형성된 스크류구멍(74)에 나사결합하고, 볼소켓(30)의 피가압면(34)과 스토퍼(60)의 가압면(68)에 상호 맞물려 결합하는 회전방지홈(36)과 회전방지돌기(69)를 등각도로 형성하여 구성한 것이다.
가공선,배전,볼아이,인장클램프,볼조인트,소켓,스토퍼,홈,돌기,회전방지

Description

가공배전용 케이블 연결구조{Aerial distribution electric supply cable connection structure}
도 1은 종래 가공 케이블 지지용 링아이 구조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용 케이블 연결구조를 보인 정면측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용 케이블 연결구조를 보인 배면측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스토퍼에 의해 볼소켓의 회전이 정지된 잠금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스토퍼에 의해 볼소켓의 회전이 정지된 잠금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스토퍼가 볼소켓으로부터 이격되어 볼소켓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해제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스토퍼가 볼소켓으로부터 이격되어 볼소켓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해제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용 케이블 연결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용 케이블 연결구조의 적용 예를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20 : 인장클램프 22 : 볼아이
30 : 볼소켓 32 : 소켓측나사부
34 : 피가압면 36 : 회전방지홈
40 : 볼스터드 42 : 스터드측나사부
44 : 스플라인축 50 : 볼조인트
60 : 스토퍼 62 : 스플라인구멍
64 : 구면밀착부 66 : 환형걸림홈
68 : 가압면 69 : 회전방지돌기
70 : 고정너트 72 : 스토퍼수용부
74 : 스크류구멍 80 : 스크류
본 발명은 가공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인장클램프와 볼아이를 연결하여 주는데 이용되는 가공배전용 케이블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볼소켓과 볼스터드의 움직임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하여 활선작업을 보다 더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가공배전용 케이블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예로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10-2003-0093213호(등록번호 10-0563972, 공고일자 2006년03월29일) "가공 케이블 지지용 링아이 구조"가 제안된 바 있으며, 이는 첨부도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주(10)에 설치된 지선밴드(11) 일측에 타원형금구(12)가 설치되고, 가공케이블(13)을 연결하기 위한 인장클램프(14)에 설치된 원형금구(15)와 타원형금구(12)를 아이로드(16)에 의해 연결하는 구조로 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가공 케이블 지지용 링아이 구조는 인장클램프(14)에 가공케이블(13)을 연결하는 경우 인장클램프(14)가 밑으로 처지거나 옆으로 흔들려 가공케이블(13)의 고정이 쉽지 않았으며, 가공케이블 연결 후 장력조절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볼소켓을 스크류로 조여서 움직임을 정지시킬 수 있는 통상의 클램프 구조를 생각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조는 마찰력에 의존 볼소켓과 볼스터드의 움직임을 막는 것이기 때문에 과도한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슬립이 발생하여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볼소켓의 주위로 클램프가 돌출되기 때문에 활선작업에 장애가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기 때문에 적용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인장클램프에 가공케이블을 연결할 때 인장클램프의 처짐이나 흔들림을 방지하여 활선작업을 보다 편리하게 수행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가공배전용 케이블 연결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볼스터드와 스터드측나사부가 만 나는 부위에 스플라인축을 형성하고, 깔대기모양으로 형성된 스토퍼의 중심에는 스플라인축에 미끄럼 겹합되는 스플라인구멍을 형성하며, 스토퍼의 내주연에 볼스터드에 밀착하는 구면밀착부를 형성하고, 볼소켓으로 스토퍼를 가압하기 위한 고정너트를 스터드측나사부에 결합하며, 스토퍼의 외주면에 환형걸림홈을 형성하고, 스토퍼에 형성된 환형걸림홈을 덮는 스토퍼수용부를 고정너트에 일체로 형성하며, 환형걸림홈에 걸리는 스크류를 스토퍼의 외주면에 형성된 스크류구멍에 나사결합하고, 볼소켓의 피가압면과 스토퍼의 가압면에 상호 맞물려 결합하는 회전방지홈과 회전방지돌기를 등각도로 형성하여 가공배전용 케이블 연결구조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2 내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측나사부(32)를 갖는 볼소켓(30)과 스터드측나사부(42)를 갖는 볼스터드(40)로 이루어진 볼조인트(50)에 의해 인장클램프(20)와 볼아이(22)를 연결한다.
볼스터드(40)와 스터드측나사부(42)가 만나는 부위에 스플라인축(44)을 형성하고, 깔대기모양으로 형성된 스토퍼(60)의 중심에는 스플라인축(44)에 미끄럼 겹합되는 스플라인구멍(62)을 형성하며, 스토퍼(60)의 내주연에 볼스터드(40)에 밀착하는 구면밀착부(64)를 형성한다.
또한, 볼소켓(30)으로 스토퍼(60)를 가압하기 위한 고정너트(70)를 스터드측나사부(42)에 결합하며, 스토퍼(60)의 외주면에 환형걸림홈(66)을 형성하고, 스토퍼(60)에 형성된 환형걸림홈(66)을 덮는 스토퍼수용부(72)를 고정너트(70)에 일체 로 형성하며, 환형걸림홈(66)에 걸리는 스크류(80)를 스토퍼(60)의 외주면에 형성된 스크류구멍(74)에 나사결합하고, 볼소켓(30)의 피가압면(34)과 스토퍼(60)의 가압면(68)에 상호 맞물려 결합하는 회전방지홈(36)과 회전방지돌기(69)를 등각도로 형성한다.
또, 볼소켓(30)에 형성되어 있는 회전방지홈(36)과 스토퍼(60)에 형성된 회전방지돌기(69)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하여 서로 맞물릴 때 진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스플라인축(44)의 길이를 충분히 길게 하여 스토퍼(60)가 볼소켓(30)으로부터 이격되어 후퇴할 때 스토퍼(60)가 스플라인축(44)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구성한다.
한편, 첨부도면 도9는 본 발명이 적용된 예를 보인 것으로, 전주(28)에 설치된 지선밴드(26)에 달린 볼아이(22)에 볼스터드(40)에 형성된 스터드측나사부(42)를 결합하고, 가공케이블(24)을 고정하기 위한 인장클램프(20)에는 볼소켓(30)에 형성된 소켓측나사부(32)를 결합한다.
이때 스터드측나사부(42)에는 조정너트(90)와 로크너트(92)를 설치하여 스터드측나사부(42)가 볼아이(22)에 박히는 깊이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2 내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조인트(50)를 구성하고 있는 스터드측나사부(42)를 볼아이(22)에 결합한 다음 소켓측나사부(32)를 인장클램프(20)에 결합하게 되면, 볼조인트(50)가 볼아이(22)와 인장클램프(20) 사이에 연 결된다.
위와 같은 상태에서 인장클램프(20)에 가공케이블(24)을 연결하기 전 인장클램프(20)가 밑으로 처지거나 옆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볼조인트(50)의 회전을 방지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작업을 위해 고정너트(70)를 조임방향으로 돌려서 스토퍼(60)를 볼소켓(30)으로 밀게 되면, 스토퍼(60)가 스플라인축(44)과 스플라인구멍(62)에 의해 축방향으로 직선안내되면서 볼소켓(30)을 향해 직진하게 된다.
이때 스토퍼(60)의 외주면에 형성된 환형걸림홈(66)에 걸려 있는 스크류(80)에 의해 고정너트(70)의 회전력이 스토퍼(60)로 전달되지 못하게 되며, 단지 고정너트(70)로부터 축방향으로 작용되는 힘만이 스토퍼(60)로 전달된다. 즉, 고정너트(70)는 회전운동과 축방향직진운동이 복합된 나선운동을 하게 되지만 스토퍼(60)는 직진운동만 하게 된다.
이후 스토퍼(60)의 가압면(68)이 볼소켓(30)의 피가압면(34)에 근접하였을 때 볼소켓(30)에 형성된 회전방지홈(36)과 스토퍼(60)에 형성된 회전방지돌기(69)가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볼소켓(30)을 회전시켜 위치를 맞춘 다음 스토퍼(60)가 볼소켓(30)에 밀착하도록 고정너트(70)를 조임방향으로 계속해서 돌리게 되면, 스토퍼(60)에 형성된 회전방지돌기(69)가 볼소켓(30)에 형성된 회전방지홈(36)에 끼워져 결합되는 동시에 스토퍼(60)의 가압면(68)이 볼소켓(30)의 피가압면(34)과 밀착되어 볼소켓(30)이 움직일 수 없게 된다.
또한, 스토퍼(60)의 내주연에 형성되어 있는 구면밀착부(64)가 볼스터드(40) 의 표면에 밀착하여 더욱 견고한 밀착이 가능하게 된다.
즉, 볼스터드(40)가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볼소켓(30)에 상하좌우로 작용되는 힘이 가해지는 경우 스토퍼(60)의 가압면(68)이 볼소켓(30)의 피가압면(34)에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볼소켓(30)이 회동할 수 없게 된다.
또, 볼스터드(40)가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볼소켓(30)을 자전시키려는 힘이 작용되는 경우 볼소켓(30)에 형성된 회전방지홈(36)에 스토퍼(60)의 회전방지돌기(69)가 결합되어 있고, 스토퍼(60)는 스플라인축(44)과 스플라인구멍(62)에 의해 볼스터드(40)에 회전할 수 없도록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볼소켓(30)의 자전이 방지되어 결국 볼소켓(30)은 전혀 움직일 수 없는 상태로 된다.
위와 같이 볼조인트(50)가 고정된 상태에서 인장클램프(20)에 가공케이블(24)을 결합하게 되면, 고정된 볼조인트(50) 때문에 인장클램프(20)가 밑으로 처지거나 옆으로 흔들리지 않게 되어 작업이 용이하게 될 뿐만 아니라 가공케이블(24)의 장력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후 볼조인트(50)의 소켓측나사부(32)와 스터드측나사부(42)에 인장클램프(20)와 볼아이(22)를 연결한 상태에서 고정너트(70)을 해제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고정너트(70)와 스토퍼(60)가 볼소켓(30)으로부터 이격되어 볼소켓(30)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상태로 되어 인장클램프(20)가 가공케이블(24)의 자중에 의해 약간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고정너트(70)의 회전력은 스크류(80)와 환형걸림홈(66)에 의해 스토퍼(60)로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고정너트(70)의 회전이 자유롭게 되며, 스토퍼(60) 는 스크류(80)에 의해 고정너트(70)가 진행하는 방향으로 직선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활선작업시 가공케이블을 인장클램프에 연결할 때 인장클램프와 볼아이 사이에 연결된 볼조인트의 회전을 일시적으로 막게 되면, 인장클램프가 밑으로 처지거나 옆으로 흔들리지 않게 되기 때문에 활선작업이 보다 더 편리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은 볼조인트의 움직임을 정지시킬 때 스토퍼의 내주연에 형성된 구면밀착부가 볼스터드의 표면에 밀착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볼조인트가 보다 더 강인하게 고정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1)

  1. 소켓측나사부(32)를 갖는 볼소켓(30)과 스터드측나사부(42)를 갖는 볼스터드(40)로 이루어진 볼조인트(50)에 의해 인장클램프(20)와 볼아이(22)를 연결하도록 구성된 가공배전용 케이블 연결구조에 있어서,
    볼스터드(40)와 스터드측나사부(42)가 만나는 부위에 스플라인축(44)을 형성하고, 깔대기모양으로 형성된 스토퍼(60)의 중심에는 스플라인축(44)에 미끄럼 겹합되는 스플라인구멍(62)을 형성하며, 스토퍼(60)의 내주연에 볼스터드(40)에 밀착하는 구면밀착부(64)를 형성하고, 볼소켓(30)으로 스토퍼(60)를 가압하기 위한 고정너트(70)를 스터드측나사부(42)에 결합하며, 스토퍼(60)의 외주면에 환형걸림홈(66)을 형성하고, 스토퍼(60)에 형성된 환형걸림홈(66)을 덮는 스토퍼수용부(72)를 고정너트(70)에 형성하며, 환형걸림홈(66)에 걸리는 스크류(80)를 스토퍼(60)의 외주면에 형성된 스크류구멍(74)에 나사결합하고, 볼소켓(30)의 피가압면(34)과 스토퍼(60)의 가압면(68)에 상호 맞물려 결합하는 회전방지홈(36)과 회전방지돌기(69)를 등각도로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배전용 케이블 연결구조.
KR1020060092229A 2006-09-22 2006-09-22 가공배전용 케이블 연결구조 KR100657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2229A KR100657853B1 (ko) 2006-09-22 2006-09-22 가공배전용 케이블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2229A KR100657853B1 (ko) 2006-09-22 2006-09-22 가공배전용 케이블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7853B1 true KR100657853B1 (ko) 2006-12-15

Family

ID=37733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2229A KR100657853B1 (ko) 2006-09-22 2006-09-22 가공배전용 케이블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785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205B1 (ko) * 2007-07-03 2007-10-09 (주)신흥이앤지 케이블 연결모듈
CN102468633A (zh) * 2010-11-05 2012-05-23 上海艾迪欧电力防振金具有限公司 1/2碗球组合开口连接环
CN111342409A (zh) * 2020-04-28 2020-06-26 华恩电力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缺陷自动识别的碗头挂板
KR102176140B1 (ko) * 2020-07-24 2020-11-09 남부솔루션(주) 지중 배전선로용 배전 커넥터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205B1 (ko) * 2007-07-03 2007-10-09 (주)신흥이앤지 케이블 연결모듈
CN102468633A (zh) * 2010-11-05 2012-05-23 上海艾迪欧电力防振金具有限公司 1/2碗球组合开口连接环
CN111342409A (zh) * 2020-04-28 2020-06-26 华恩电力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缺陷自动识别的碗头挂板
CN111342409B (zh) * 2020-04-28 2020-12-25 华恩电力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缺陷自动识别的碗头挂板
KR102176140B1 (ko) * 2020-07-24 2020-11-09 남부솔루션(주) 지중 배전선로용 배전 커넥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7853B1 (ko) 가공배전용 케이블 연결구조
US3030128A (en) Swivel for lighting fixtures
KR20130092611A (ko) 케이블 아웃렛 커넥터에 케이블을 고정하는 장치
CN110848223A (zh) 一种锁紧装置
US9379482B2 (en) Method and device for gripping a cable
JP2014523829A5 (ko)
KR20180051623A (ko) 차량 전원 시스템과 배터리 핀 간에 전기 연결을 위한 전기 접촉장치와 배터리 핀
CN108026962A (zh) 用于将附件可释放地固定至外部物体的装置
JP6532430B2 (ja) 枢着装置、並びに、取付装置
US20130292151A1 (en) Apparatus for detachable attachment of an electrical conductor to a current transformer housing
KR20140093501A (ko) 체결부재
KR20160089098A (ko) 전기스탠드
KR102234160B1 (ko) 레이스웨이 고정용 클램프
JPH02142074A (ja) 抜け止め機構付プラグイン式接続装置
KR20130058443A (ko) 케이블 연결장치
CN202522245U (zh) 旋转编码器
JPH0446329Y2 (ko)
CN202095003U (zh) 半球形摄像设备
JPH0136301Y2 (ko)
KR101872754B1 (ko) 와이어를 이용한 고정장치
JPS647580Y2 (ko)
CN111969531B (zh) 一种带线夹的挂环
US20220407195A1 (en) Battery terminal
JP2009070774A (ja) コネクタ
CN215706111U (zh) 一种汽车电缆绑带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0

Year of fee payment: 14